KR101126433B1 -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433B1
KR101126433B1 KR1020090065191A KR20090065191A KR101126433B1 KR 101126433 B1 KR101126433 B1 KR 101126433B1 KR 1020090065191 A KR1020090065191 A KR 1020090065191A KR 20090065191 A KR20090065191 A KR 20090065191A KR 101126433 B1 KR101126433 B1 KR 10112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short
ball
short ball
s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655A (ko
Inventor
정연자
Original Assignee
정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자 filed Critical 정연자
Priority to KR102009006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4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92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by mechanical means, e.g. by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6Impeller wheels; Rotor blad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면에 쇼트볼을 임펠러로 배출시키는 투사공이 형성된 투사관과;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투사관과 동축상으로 상기 투사관 내부에 수용되며 판면에 내부의 쇼트볼을 상기 투사관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된 내부공급관과; 상기 내부공급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쇼트볼공급원으로부터 쇼트볼을 공급받는 쇼트볼공급관과; 상기 내부공급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급관과 상기 쇼트볼공급관에 걸쳐 구비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쇼트볼공급관 내부의 쇼트볼을 상기 내부공급관으로 강제 이송하는 이송날개를 구비하는 쇼트볼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쇼트볼이 쇼트 블라스트에 고르게 공급되어 연마효율과 연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쇼트 블라스트, 쇼트볼 공급장치, 쇼트볼 공급

Description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SHOTBALL PROVIDING APPARATUS FOR SHOT BLAST}
본 발명은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쇼트볼을 투사관의 전영역에 걸쳐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는 주조나 단조, 압연 등의 방식으로 성형된 제품의 표면에 나타나는 주물사나 스케일 등을 제거하거나, 제품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제품의 표면에 미세한 크기를 가진 쇼트볼(shot ball)을 분사시켜 그 충격에 의해 표면을 연마 또는 가공하는 기계이다.
쇼트볼 공급장치는 쇼트블라스트에서 쇼트볼을 임펠러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1은 종래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 쇼트볼 공급장치(10)는 회전축(2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내부 공급관(15)과, 내부 공급관(15)의 외측에 구비되어 원심력에 의해 쇼트볼을 임펠러(30)로 공급하는 투사관(17)과, 내부 공급관(15)으로 쇼트볼을 공급하는 쇼트볼공급관(13)과 쇼트볼공급원(11)을 포함한다.
종래 쇼트볼 공급장치(10)는 쇼트볼공급원(11)이 쇼트볼을 공급하면 중력에 의해 쇼트볼공급관(13)을 거쳐 내부 공급관(15)으로 쇼트볼이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 쇼트볼공급관(13)은 쇼트볼공급원(11)으로부터 내부 공급관(15) 사이의 이송경로가 절곡형성되어 있어 절곡영역(A)에 쇼트볼이 적재되어 원활하게 쇼트볼이 내부 공급관(15)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 쇼트볼 공급장치(10)는 쇼트볼공급원(11)과 내부 공급관(15)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쇼트볼이 공급되므로 쇼트볼이 내부 공급관(15)의 내부 영역까지 깊숙이 이송되지 못하고 내부 공급관(15)과 쇼트볼공급관(13)이 결합되는 입구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이송되었다. 이에 따라 내부 공급관(15)이 회전하여 배출공(15a)를 통해 투사관(17)으로 공급될 때도 입구영역에만 집중적으로 공급되고, 이는 투사관(17)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즉, 투사관(17)에서도 입구영역측에만 쇼트볼이 공급되므로 투사공(17a)을 통해 임펠러(30)로 공급될 때도 입구영역에 편심되어 쇼트볼이 공급되었다.
쇼트볼이 편심되어 공급될 경우 임펠러를 통해 제품의 표면으로 쇼트볼이 공급될 때도 일영역에 집중되므로 제품의 표면 연마가 전영역에 걸쳐 고르게 이루어 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쇼트볼공급원으로부터 내부 공급관의 내부영역까지 쇼트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쇼트볼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공급관과 투사관 사이에도 쇼트볼이 전영역에 걸쳐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임펠러로 쇼트볼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쇼트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쇼트볼 공급장치는, 판면에 쇼트볼을 임펠러로 배출시키는 투사공이 형성된 투사관과;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투사관과 동축상으로 상기 투사관 내부에 수용되며 판면에 내부의 쇼트볼을 상기 투사관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된 내부공급관과; 상기 내부공급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쇼트볼공급원으로부터 쇼트볼을 공급받는 쇼트볼공급관과; 상기 내부공급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급관과 상기 쇼트볼공급관에 걸쳐 구비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쇼트볼공급관 내부의 쇼트볼을 상기 내부공급관으로 강제 이송하는 이송날개를 구비하는 쇼트볼이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공급관의 판면에는 나선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내부공급관과 상기 투사관 사이에 위치하는 쇼트볼이 축방향을 따라 고르게 분포하도록 상기 쇼트볼을 이송하는 이송나사산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쇼트볼공급관은 상기 내부공급관과 동축상에 이웃 하게 배치되며, 상기 쇼트볼공급원은 상기 쇼트볼공급관의 중심영역 상측에 구비되어 중력에 의해 쇼트볼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날개는 상기 내부공급관의 축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복수개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축은 상기 쇼트볼공급관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쇼트볼공급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송축구동모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는 쇼트볼공급원으로부터 임펠러로 쇼트볼이 공급될 때까지 전과정에 걸쳐 고르게 쇼트볼이 분포하게 되므로 어느 일영역에 쇼트볼이 집중되어 발생하던 종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공급관과 투사관까지 쇼트볼이 고르게 분포하여 임펠러로 공급되므로 제품의 연마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 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200)를 구비한 쇼트 블라스트(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2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200)의 쇼트볼 이송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쇼트 블라스트(100)는 구동모터(110)와, 구동모터(11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증속장치(120)와, 쇼트볼 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쇼트볼을 표면을 연마할 제품으로 배출하는 임펠러(140)를 포함한다.
쇼트볼 공급장치(200)는 쇼트 블라스트(100)의 임펠러(140)로 쇼트볼을 공급한다. 쇼트볼 공급장치(200)는 쇼트볼이 수용되는 쇼트볼 공급원(210)과, 쇼트볼 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받은 쇼트볼을 내부 공급관(230)으로 전달하는 쇼트볼 공급관(220)과, 쇼트볼 공급관(220)과 이웃하게 구비되며 쇼트볼 공급장치(200)의 회전축(13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쇼트볼 공급관(220)으로부터 공급받은 쇼트볼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투사관(250)으로 공급하는 내부 공급관(230)과, 쇼트볼 공급관(220)과 내부 공급관(230)에 걸쳐 구비되어 쇼트볼을 내부 공급관(230)의 내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쇼트볼 이송부(240)와, 내부 공급관(230)의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 공급관(230)으로부터 공급받은 쇼트볼을 임펠러(140)로 공급하는 투사관(250)을 포함한다.
쇼트볼 공급원(210)은 쇼트볼 공급관(220)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쇼트볼 공급관(220)의 내부로 쇼트볼을 공급한다. 쇼트볼 공급원(2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데기 형태로 구비되어 쇼트볼 공급관(220)의 상부영역에 결합된다. 쇼트볼 공급원(210)은 하부영역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쇼트볼이 공급될 때 빠른 속도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쇼트볼 공급원(210)의 하부영역에는 쇼트볼 공급관(220)의 상부영역에 결합되는 볼투입구(213)가 구비된다. 볼투입구(213)는 쇼트볼 공급관(220)의 투입구연결부(221) 내에 수용되어 쇼트볼을 쇼트볼 공급관 내부로 주입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원(210)은 쇼트볼 공급관(220)의 중심영역 상측에 구비된다. 이에 의해 쇼트볼 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된 쇼트볼이 쇼트볼 공급관(220) 내부에 배치된 쇼트볼 이송부(240)의 상부영역으로 공급되고 쇼트볼 이송부(240)를 따라 좌우로 넓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쇼트볼 공급원(210)의 하부영역에는 볼투입구(213)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11)가 구비된다. 개폐밸브(211)는 투사공(251)에서 임펠러(140)로 공급되는 쇼트볼의 유량 또는 쇼트볼 이송부(240)의 회전수 등을 감지하여 볼투입구(213)를 개폐하여 쇼트볼의 공급을 조절한다. 개폐밸브(211)는 슬릿밸브, 게이트밸브, 솔레노이드밸브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쇼트볼 공급관(220)은 쇼트볼 공급원(210)과 내부 공급관(230) 사이에 구비되어 쇼트볼을 내부 공급관(230)으로 공급한다. 쇼트볼 공급관(220)은 내부 공급관(230)과 축선이 일치되도록 직성상에 위치된다. 쇼트볼 공급관(220)은 원형실린 더, 사각관 등 단면형상이 직선 형태로 구비된다. 쇼트볼 공급관(220)은 내부 공급관(230)과 축선이 일치되도록 구비되므로 쇼트볼 공급원(210)에서 공급된 쇼트볼이 어느 일영역에 집중적으로 적재되지 않고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쇼트볼 공급관(220)의 상부영역에는 쇼트볼 공급원(210)의 볼투입구(213)를 수용하는 투입구연결부(221)가 관통 형성된다. 투입구연결부(221)는 볼투입구(213)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볼투입구(213)로부터 공급되는 쇼트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쇼트볼 공급관(22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쇼트볼 공급관(220)은 쇼트볼 공급원(210)의 개폐밸브(211)의 1회 개방에 의해 공급되는쇼트볼의 용량에 따라 적절한 부피를 갖도록 구비된다.
내부 공급관(230)은 쇼트볼 공급관(220)과 일영역이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쇼트볼 공급관(220)으로부터 쇼트볼을 공급받는다. 내부 공급관(230)은 축결합부(235)가 쇼트 블라스트(100)의 회전축(13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내부에 수용된 쇼트볼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투사관(250)으로 공급한다.
내부 공급관(230)은 원형실린더의 형태로 구비되며, 판면에 쇼트볼을 투사관(250)으로 배출하는 배출공(231)이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내부 공급관(230)의 판면에는 배출공(231)을 통해 배출된 쇼트볼을 투사관(250)의 좌우로 이송시키는 이송나사산(233)이 형성된다.
배출공(231)은 내부 공급관(230)의 판면에 축선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 배출공(231)은 내부 공급관(230)이 회전할 경우 내부 공급관(230) 내에서 회전하던 쇼트볼이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는 출구가 된다. 배출공(231)에 의해 배출된 쇼트볼은 투사관(25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나사산(233)은 내부 공급관(230)의 판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공(231)을 통해 배출된 쇼트볼이 투사관(250) 내부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쇼트볼을 이송한다. 이송나사산(233)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231)을 제외한 전영역에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이송나사산(233)의 높이는 내부 공급관(230)과 투사관(250) 사이에 쇼트볼이 유동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나사산(233)은 배출공(231)을 통해 배출된 쇼트볼이 이웃하는 나사산 사이에 함몰 형성된 골부분을 따라 투사관(250)의 좌우로 분포되도록 쇼트볼을 이송한다.
쇼트볼 이송부(240)는 쇼트볼 공급관(220)과 내부 공급관(230)에 걸쳐 구비되어 쇼트볼 공급원(210)으로부터 공급된 쇼트볼을 내부 공급관(230)으로 강제 이송한다. 쇼트볼 이송부(240)는 쇼트볼 공급관(220)과 내부 공급관(230)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축(130)에 결합되는 이송축(241)과, 이송축(24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형성되어 쇼트볼을 이송하는 이송날개(243)와, 내부 공급관(240)의 축결합부(235)에 결합되는 축결합리브(245)를 포함한다.
도5는 쇼트볼 이송부(240)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축(241)은 일단부는 쇼트블라스트(100)의 회전축(13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쇼트볼 공급관(220)의 벽면에 결합된다. 이송축(241)은 내부 공급관(230)과 쇼트볼 공급 관(220)을 가로질러 결합되어 회전축(13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송날개(243)는 이송축(24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이송축(241)의 축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이송날개(243)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송날개(243)는 볼투입구(213)를 통해 쇼트볼이 쇼트볼 공급관(220) 내부로 공급되면 회전하면서 이송날개(243)에 의해 쇼트볼이 내부 공급관(230)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 때, 이송날개(243)는 내부 공급관(230)의 축결합부(235)의 영역까지 형성되어 있으므로 쇼트볼은 내부 공급관(230)의 전영역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이송부(240)는 쇼트볼 공급관(220)에 수용되는 제1영역(L1)과 내부 공급관(230)에 수용되는 제2영역(L2)의 이송날개(243)의 높이와 폭이 동일하게 구비되었다(a1=a2, d1=d2). 그러나, 이는 일예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제1영역(L1)의 이송날개(243)의 높이(a1)이 제2영역(L2)의 이송날개(243)의 높이(a2)에 비해 높게 형성되거나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날개(243)의 폭도 서로 상이하거나 가변되게 구비될 수 있다.
투사관(250)은 내측에 내부 공급관(230)을 수용하며 배출공(231)을 통해 공급된 쇼트볼을 임펠러(140) 측으로 투사한다. 투사관(250)은 내부 공급관(230)을 축선방향이 일치하도록 내부에 수용하며 판면에 쇼트볼을 임펠러(140)로 투사하는 투사공(251)이 형성된다. 투사공(251)은 판면에 한 개가 형성된다. 투사관(250)은 고정결합되므로 내부 공급관(230)과 투사공(251)의 각도에 의해 쇼트볼의 투사각도 를 조정하여 임펠러(14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쇼트볼은 내부 공급관(230) 판면에 형성된 이송나사산(233)에 의해 투사관(250)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므로 투사공(251)을 통해 균일한 양의 쇼트볼이 임펠러(140)로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200)의 쇼트볼 공급과정을 도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볼 공급원(210)에 수용된 쇼트볼은 개폐밸브(211)의 개방에 의해 쇼트볼 공급관(220)으로 공급된다. 이 때, 쇼트볼 공급원(210)의 볼배출공(231)이 쇼트볼 공급관(220)의 중심영역에 결합되므로 쇼트볼은 쇼트볼 공급관(220)의 중심영역에서 좌우로 공급된다.
쇼트볼 공급관(220)으로 공급된 쇼트볼은 이송날개(243) 사이에 잔류하게 되고 이송날개(243)의 회전에 따라 점차적으로 내부 공급관(230) 측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쇼트볼 공급관(220)은 내부 공급관(230)과 직선상에 배치되므로 쇼트볼이 어느 한 영역에 잔류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된다. 또한, 이송날개(243)의 회전에 의해 쇼트볼들이 서로 섞이며 강제적으로 내부 공급관(230) 측으로 이송된다.
쇼트볼은 이송날개(243)의 회전에 의해 내부 공급관(230)의 최내측까지 고르게 이동하고 내부 공급관(23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쇼트볼은 내부 공급관(230)의 판면에 형성된 배출공(231)을 통해 내부 공급관(230) 외부로 배출된다. 내부 공급관(230) 외부로 배출된 쇼트볼은 내부 공급관(230) 판면에 형성된 이송나사산(233)에 의해 내부 공급관(230)과 투사 관(250) 사이에 고르게 분포한다. 즉, 내부 공급관(2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나사산(233)은 회전하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이송날개(24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내부 공급관(230)과 투사관(250) 사이에 고르게 분포하는 쇼트볼은 투사관(250)의 투사공(251)을 통해 임펠러(140)로 공급된다. 여기서, 투사관(250) 내부에 쇼트볼이 균일하게 분포하므로 투사공(251)을 통해 투사되는 쇼트볼은 투사공(251)의 전영역에 걸쳐 고르게 배출되게 된다. 임펠러(140)로 공급된 쇼트볼도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하므로 제품의 표면에 고르게 작용하여 연마성능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트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는 최초 공급시부터 임펠러로 쇼트볼이 공급될 때까지 전영역에 걸쳐 고르게 쇼트볼이 분포하게 되므로 어느 일영역에 쇼트볼이 집중되어 발생하던 종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공급관과 투사관까지 쇼트볼이 고르게 분포하여 임펠러로 공급되므로 쇼트블라스트의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200a)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200)는 쇼트볼 이송부(240)의 이송축(241)이 회전축(130)에 결합되므로 구동모터(110)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공급관(230)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내부 공급관(230)과 별도로 쇼트볼 공급유량을 제어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200a)는 이송축(241)이 쇼트볼 공급관(22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별도의 이송축구동모터(261)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송축구동모터(261)는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10)와 동일하거나 다른 회전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쇼트볼이송부(240)의 이송속도가 내부 공급관(230)과 별도로 제어되므로 쇼트볼 이송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이송축(241)과 내부 공급관(230)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이송축(241)이 내부 공급관(230)의 회전에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쇼트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쇼트볼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가 구비된 쇼트블라스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의 쇼트볼 공급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의 쇼트볼이송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쇼트볼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쇼트 블라스트 110 : 구동모터
120 : 증속장치 130 : 회전축
140 : 임펠러 200 : 쇼트볼 공급장치
210 : 쇼트볼공급원 211 : 개페밸브
213 : 볼투입구 220 : 쇼트볼공급관
221 : 투입구연결부 230 : 내부공급관
231 : 배출공 233 : 이송나사산
235 : 축결합부 240 : 쇼트볼이송부
241 : 이송축 243 : 이송날개
245 : 축결합리브 250 : 투사관
251 : 투사공 253 : 결합영역
261 : 이송축구동모터

Claims (5)

  1.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판면에 쇼트볼을 임펠러로 배출시키는 투사공이 형성된 투사관과;
    상기 투사관과 동축상으로 상기 투사관 내부에 수용되며 판면에 내부의 쇼트볼을 상기 투사관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공이 형성된 내부공급관과;
    상기 내부공급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쇼트볼공급원으로부터 쇼트볼을 공급받는 쇼트볼공급관과;
    상기 내부공급관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급관과 상기 쇼트볼공급관에 걸쳐 구비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쇼트볼공급관 내부의 쇼트볼을 상기 내부공급관으로 강제 이송하는 이송날개를 구비하는 쇼트볼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급관의 판면에는 나선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내부공급관과 상기 투사관 사이에 위치하는 쇼트볼이 축방향을 따라 고르게 분포하도록 상기 쇼트볼을 이송하는 이송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볼공급관은 상기 내부공급관과 동축상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쇼트볼공급원은 상기 쇼트볼공급관의 중심영역 상측에 구비되어 중력에 의해 쇼트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날개는 상기 내부공급관의 축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축은 상기 쇼트볼공급관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쇼트볼공급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송축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공급장치.
KR1020090065191A 2009-07-17 2009-07-17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KR10112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191A KR101126433B1 (ko) 2009-07-17 2009-07-17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191A KR101126433B1 (ko) 2009-07-17 2009-07-17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55A KR20110007655A (ko) 2011-01-25
KR101126433B1 true KR101126433B1 (ko) 2012-03-29

Family

ID=4361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191A KR101126433B1 (ko) 2009-07-17 2009-07-17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495A (ko) 2022-06-27 2024-01-03 이세창 쇼트볼 공급량 조절 자동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592B1 (ko) * 2013-03-15 2014-11-12 웰텍 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575A (ja) 1984-08-03 1986-03-04 Sintokogio Ltd 遠心投射式研掃方法
US4751798A (en) 1986-06-04 1988-06-21 Mcdade Bernard F Shot blasting apparatus
US20090137193A1 (en) * 2005-09-06 2009-05-28 Sintokogio, Ltd. Centrifugally Projec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4575A (ja) 1984-08-03 1986-03-04 Sintokogio Ltd 遠心投射式研掃方法
US4751798A (en) 1986-06-04 1988-06-21 Mcdade Bernard F Shot blasting apparatus
US20090137193A1 (en) * 2005-09-06 2009-05-28 Sintokogio, Ltd. Centrifugally Project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495A (ko) 2022-06-27 2024-01-03 이세창 쇼트볼 공급량 조절 자동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55A (ko)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5058B (zh) 珠擊處理裝置
US20030224704A1 (en) Rotary media valve
KR101126433B1 (ko)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TWI652144B (zh) 珠擊處理裝置
WO2017014767A1 (en) Control cage for centrifugal blast wheel machine
WO2022247210A1 (zh) 一种风送式投料机
KR101612616B1 (ko) 비드밀
KR20170014165A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101149067B1 (ko) 로터리 피더
US1953566A (en) Blasting machine
CA2454736C (en) Airless blaster arrangement
KR200299381Y1 (ko) 드라이아이스 블라스팅 장치
KR200397616Y1 (ko)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
JPH07327545A (ja) 投餌機
JP6092980B1 (ja) 飼料搬送装置
TWI637815B (zh) 珠擊處理裝置
CN114007812B (zh) 用于抛丸机的叶轮
KR20090106678A (ko)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분사장치
CN215270096U (zh) 一种气力输送的投料机
JP3993455B2 (ja) ビーズミル
KR20230009030A (ko) 로터 및 이를 구비한 비드밀
CN218433273U (zh) 螺旋输送机
KR200216263Y1 (ko) 곡물 이송기
CN209582506U (zh) 沙仓
JP7401572B2 (ja) 炉のワーク装入抽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