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616Y1 -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 - Google Patents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616Y1
KR200397616Y1 KR20-2005-0013989U KR20050013989U KR200397616Y1 KR 200397616 Y1 KR200397616 Y1 KR 200397616Y1 KR 20050013989 U KR20050013989 U KR 20050013989U KR 200397616 Y1 KR200397616 Y1 KR 200397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rtical duct
inlet
exhaust por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극종
Original Assignee
대한전기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기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기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3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입상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진제거시 합성수지 입상체가 여과망에 부딪혀 깨지거나 여과망의 눈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한 분진까지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입상체가 유입되는 분지관이 일측에 연결 설치된 연직덕트와, 입구가 상기 연직덕트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연직덕트를 통하여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입구와 배기구를 구획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연직덕트로 유입되는 입상체가 포집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입구로부터 배기구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DEVICE FOR REMOVING DUST AN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EVICE}
본 고안은 합성수지 입상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진제거시 합성수지 입상체가 여과망에 부딪혀 깨지거나 여과망의 눈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한 분진까지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입상체는 비중이 작고 직경이 크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이송하게 된다. 이 때 합성수지 입상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분진은 공기중으로 부상하게 되며, 부상된 분진은 사출기에 유입되어 제품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입상체의 이송중 부상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분진제거장치가 필요하다.
고안의 명칭이 ‘사출기의 원료 혼합장치’이고, 2000년 3월 6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5631호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진제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공개된 분진제거장치는 에어펌프(미도시)와 연통설치되어 부압을 형성하는 흡입공기관(62)과, 흡입공기관(62)이 연통 설치되는 에어믹서유니트(60) 하부와 챠지호퍼(52)사이에 연통설치되는 공급관(70)과, 상기 공급관(70)의 원주면에 연통설치되며 입상체가 유입되는 분기관(72)과, 입상체가 흡입공기관(62)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흡입공기관(62)의 입구에 설치되는 여과망(64)이 구비된다. 이러한 분진제거장치는 입상체가 분기관(72)과 공급관(70) 통하여 에어믹서유니트(60)에 유입되고, 에어펌프의 작동이 멈추면 에어믹서유니트(60)에 유입되었던 입상체가 공급관(70)을 통하여 챠지호퍼(52)에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진제거장치는 분진 제거시 입상체가 여과망과 충돌하여 깨지고, 깨진 입상체는 직경이 작아져 흡입공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입상체의 손실로 인해 제품의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상체가 여과망과 충돌하면 충돌한 입상체의 일부는 여과망의 눈에 끼여 여과망의 눈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여과망의 눈에 끼인 입상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출장치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유하고 있는 입상체는 서로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고 이 정전기에 의해 분진이 양전하로 대전된다. 여기서 대전된 분진은 입상체에 부착되어 잘 분리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입상체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입상체가 여과망의 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대전되어 입상체에 부착된 미세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입상체가 유입되는 분지관이 일측에 연결 설치된 연직덕트와, 입구가 상기 연직덕트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연직덕트를 통하여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입구와 배기구를 구획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연직덕트로 유입되는 입상체가 포집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입구로부터 배기구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분진제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분진제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음이온을 방사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입상체가 유입되는 분지관이 일측에 연결 설치된 연직덕트와, 입구가 상기 연직덕트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연직덕트를 통하여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입구와 배기구를 구획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연직덕트로 유입되는 입상체가 포집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입구로부터 배기구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분진제거장치와, 상기 연직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입상체를 공급하는 저장호퍼와, 상기 연직덕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직덕트를 통하여 낙하하는 입상체를 일시저장하는 장입호퍼와, 상기 장입호퍼에서 배출되는 입상체를 녹여서 사출하는 사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장치를 이용한 사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를 이용한 사출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는 입상체가 유입되는 연직덕트(16)와, 상기 연직덕트(16)의 상단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중공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망(20)과, 상기 여과망(20)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0)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입상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하는 공기노즐(40) 및 이오나이저(50)를 포함한다.
연직덕트(16)는 입상체가 유입되는 덕트로서, 일측에 분지관(18)이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분지관(18)을 통하여 연직덕트(16)에 유입된 입상체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우징(10)은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연직덕트(16)와 경사지게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부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으로 배기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기(12)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기구(1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부압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진공펌프(14)와 연결된다.
여과망(20)은 배기구(12)를 통하여 입상체가 손실되지 않도록 입상체를 걸러주는 망으로서, 하우징(10)의 입구와 배기구(12)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다. 이러한 여과망(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연직덕트(16)로부터 유입되는 입상체가 포집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우징(10)의 입구로부터 배기구(12)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여과망(20)은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여과망(20)은 눈의 크기가 입상체의 직경보다는 적게 구비되어 배기구(12)를 통하여 입상체가 손실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여과망(20)은 입상체와 충돌시 입상체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면이 라운딩(ROUNDING)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모터(30)는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모터(30)의 회전축(32)은 여과망(20)과 연결되어 회전모터(30)의 회전축(32)이 회전함에 따라 여과망(20)이 회전하게 된다.
공기노즐(40)은 하우징(10)의 원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노즐(4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부유하고 있는 입상체에 공기를 분사하여 분진을 입상체로부터 분리해 낸다. 여기서, 공기노즐(40)은 입상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오나이저(50)는 하우징(10)의 원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이오나이저(50)는 여과망(20)의 내부로 음이온을 방사한다. 여과망(20)의 내부로 방사된 음이온은 입상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양전하를 띠고 있는 분진과 결합한다. 따라서 분진은 부착력을 상실하여 입상체로부터 분리되며, 입상체로부터 분리된 분진은 여과망(20)의 내부에서 부유하게 된다. 여과망(20)의 내부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은 여과망(20)을 통과한 후, 배기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를 이용한 사출시시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출장치는 분진제거장치(100)와, 입상체를 공급하는 저장호퍼(110)와, 입상체를 일시저장하는 장입호퍼(120)와, 입상체를 녹여서 사출하는 사출장치(130)를 포함한다.
저장호퍼(110)는 입상체를 저장하는 호퍼이다. 여기서 저장호퍼(10)는 입상체의 종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호퍼(110)의 하부에는 입상체를 이송하기 위한 분지관(18)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분진제거장치(100)는 입상체가 유입되는 분지관(18)이 일측에 연결 설치된 연직덕트(16)와, 입구가 상기 연직덕트(16)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연직덕트(16)를 통하여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12)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와 배기구(12)를 구획하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연직덕트(16)로 유입되는 입상체가 포집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입구로부터 배기구(12)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여과망(20)과, 상기 여과망(2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회전모터(30)를 포함한다.
장입호퍼(120)는 입상체가 사출장치(130)에 투입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호퍼로서 연직덕트(16)와 연결되어 있다.
사출장치(130)는 장입호퍼(120)에서 공급되는 입상체를 녹여서 사출하는 장치로서 당업자라면 누구나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펌프(14)를 작동시키면 배기구(12)를 통하여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면 하우징(10)의 내부와 저장호퍼(110)의 압력차에 의해서 저장호퍼(110)에 저장되어 있던 입상체가 분지관(18)과 연직덕트(16)를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입상체는 여과망(20)에서 걸려 배기구(12)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부유하게 된다. 이 때 비중이 작은 분진 등은 배기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회전모터(30)에 의해 여과망(20)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하우징(10)에 유입된 입상체는 여과망(20)의 눈에 끼이지 않게 된다.
동시에 공기노즐(40)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면 입상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이 분리되어 배기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이오나이저(50)를 작동시켜 음이온이 입상체에 방사되도록 한다. 입상체에 방사된 음이온은 양으로 대전되어 있는 분진과 결합하여 분진을 입상체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분리된 분진은 배기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입상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이 충분히 제거되면 진공펌프(14)의 작동을 멈추어 하우징(1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환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환원되면 부유하고 있던 입상체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연직덕트(16)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여과망(20)의 내주면을 따라 연직덕트(16)를 통하여 장입호퍼(120)에 장입된다.
장입호퍼(120)에 장입된 입상체는 필요에 따라 사출장치(130)에 공급되어 사출제품으로 제조된다.
본 고안에 의한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는 여과망이 연직덕트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입상체의 낙하시 낙하거리가 단축되어 입상체가 깨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깨진 입상체가 배기구를 통하여 손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는 여과망이 회전함에 따라 입상체가 여과망의 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망의 눈에 끼여있는 입상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출장치를 중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는 공기노즐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하고 이오나이저를 통하여 음이온을 방사하므로 입상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를 이용한 사출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사출기 원료 혼합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여과망
30 회전모터 40 공기노즐
50 이오나이저

Claims (4)

  1. 입상체가 유입되는 분지관이 일측에 연결 설치된 연직덕트와,
    입구가 상기 연직덕트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연직덕트를 통하여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입구와 배기구를 구획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연직덕트로 유입되는 입상체가 포집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입구로부터 배기구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음이온을 방사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장치.
  4. 입상체가 유입되는 분지관이 일측에 연결 설치된 연직덕트와, 입구가 상기 연직덕트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연직덕트를 통하여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입구와 배기구를 구획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상기 연직덕트로 유입되는 입상체가 포집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입구로부터 배기구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분진제거장치와,
    상기 연직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입상체를 공급하는 저장호퍼와,
    상기 연직덕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직덕트를 통하여 낙하하는 입상체를 일시저장하는 장입호퍼와,
    상기 장입호퍼에서 배출되는 입상체를 녹여서 사출하는 사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장치를 이용한 사출장치.
KR20-2005-0013989U 2005-05-18 2005-05-18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 KR200397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89U KR200397616Y1 (ko) 2005-05-18 2005-05-18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989U KR200397616Y1 (ko) 2005-05-18 2005-05-18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514A Division KR100631081B1 (ko) 2005-05-18 2005-05-18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616Y1 true KR200397616Y1 (ko) 2005-10-06

Family

ID=4369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989U KR200397616Y1 (ko) 2005-05-18 2005-05-18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6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205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우드원 진공을 이용한 원료공급장치
KR20200013968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우드원 진공을 이용한 건식 원료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205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우드원 진공을 이용한 원료공급장치
KR102113977B1 (ko) * 2018-07-24 2020-05-22 주식회사 우드원 진공을 이용한 원료공급장치
KR20200013968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우드원 진공을 이용한 건식 원료공급장치
KR102108631B1 (ko) * 2018-07-31 2020-05-07 주식회사 우드원 진공을 이용한 건식 원료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939B1 (ko) 합성수지 원료의 분진제거장치
KR20180088815A (ko) 오버스프레이 제거 시스템을 갖는 페인팅 부스, 오버스프레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플랜트
CN103056784A (zh) 喷丸装置
CN203863533U (zh) 喷丸处理装置
JP2007050354A (ja) 粉取り装置
US6401798B1 (en) Rotating drum for reclaiming molding sand and molding sand reclaiming apparatus
JPH01317855A (ja) 車輪洗浄装置
KR101541921B1 (ko) 분말제거장치 및 입체 분리 시스템
KR200397616Y1 (ko)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장치
KR101560225B1 (ko) 기류식 분쇄장치
JP2010179270A (ja) オイルミスト電気集じん機の洗浄装置
KR100631081B1 (ko) 분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시스템
JPH084701B2 (ja) 集塵装置
CN103159033A (zh) 具有制品释放沟槽的旋转阀
CN104815796A (zh) 一种轻柔薄片物料的杂质分离装置
CN103370171A (zh) 喷射材料区分装置及喷射处理装置
CN212216257U (zh) 一种原料筛分处理装置
KR101745296B1 (ko) 덕트구조의 합성수지원료 분진제거장치
KR100890617B1 (ko) 폐코팅종이 처리장치
KR20120001484A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JP2008030364A (ja)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CN104815794A (zh) 一种新型风送式轻柔薄片物料的杂质分离装置及方法
CN204638544U (zh) 一种轻柔薄片物料的杂质分离装置
KR100756082B1 (ko) 고추씨 분리장치
CN105344472A (zh) 一种振动给料式垃圾磁选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