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279B1 -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279B1
KR102117279B1 KR1020180162919A KR20180162919A KR102117279B1 KR 102117279 B1 KR102117279 B1 KR 102117279B1 KR 1020180162919 A KR1020180162919 A KR 1020180162919A KR 20180162919 A KR20180162919 A KR 20180162919A KR 102117279 B1 KR102117279 B1 KR 10211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eed
impeller
wing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학윤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넷 filed Critical (주)아쿠아넷
Priority to KR1020180162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02P60/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공기가 분사되어 사료를 살포하되, 사료의 공급량이 계량될 수 있고, 고속공기가 호퍼 측으로 누설됨이 없이 원활한 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사료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간차단판에 의해 상층공간과 하층공간으로 구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상층공간을 덮는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일부분에 형성된 공급구와, 상기 중간차단판에 형성된 낙하공과, 상기 하층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하판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사료를 고속공기에 의해 외부로 불어내는 토출장치와, 상기 상층공간에 설치된 상층임펠러와, 상기 하층공간에 설치된 하층임펠러를 포함하되, 상기 낙하공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 때, 공급구 및 배출구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FEEDING DEVICE OF FISH FARM}
본 발명은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료의 호퍼로부터 공급받는 물고기 등의 사료를, 균일하게 일정량씩 분배하고, 토출장치에 의해 고속공기로 살포함으로써, 사료의 정량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양식장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류 양식장에서는 정해진 시간마다 사료를 공급하되, 양식하는 어류가 모두 소비할 수 있도록 적정량을 설정 시간간격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대형화된 양식장에서는 정해진 시간마다 작업자가 사료통을 들고 다니면서 바가지로 흩뿌려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사료 공급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료호퍼의 사료를 자동분사할 수 있는 사료공급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그와 같은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55331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를 수용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1)에서 낙하한 사료를 받아서 분사시키도록 하부에 형성한 분사관(2)과, 상기 분사관(2)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개폐시키는 공기솔레노이드밸브(3)와, 상기 공기솔레노이드밸브(3)의 개폐를 온,오프 제어하도록 형성한 컨트롤러(4)와, 상기 공기솔레노이드밸브(3)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탱크(5)와, 상기 공기탱크(5)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콤프레셔(6)로 구성한다.
그와 같은 종래 사료공급장치는 공기에 압력을 가하여 고속으로 분사하고 그 고속의 공기에 의해 호퍼(1)의 사료가 분사관(2)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호퍼(1)의 사료가 낙하하여 분사관(2)을 통해 분사되는 작업 중에는, 작업자의 경험적 판단을 기준으로 사료의 공급량을 가늠할 수 있을 뿐, 양식장에 살포되는 사료의 정확한 양이 계량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속 고압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분출되는 분사관(2)에 호퍼(1)의 하단이 직접 연결됨으로써, 고속 고압의 공기가 호퍼(1)의 하단을 통해 일부 상승하여, 사료가 호퍼(1)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해하고 호퍼(1)의 사료가 고속 고압의 일부 공기에 의해 호퍼(1) 내에서 날리게 되어 사료 살포작업을 방해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공기가 분사되어 사료를 살포하는 사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사료의 공급량이 계량될 수 있는 공급구조를 가지고, 사료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도록 고속공기가 호퍼 측으로 상승함이 없이 원활한 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사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중간차단판에 의해 상층공간과 하층공간으로 구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상층공간을 덮는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상층공간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중간차단판에 형성되어 상기 상층공간에서 상기 하층공간으로 사료가 낙하하는 통로인 낙하공과, 상기 하층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하판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하층공간에서 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고속공기에 의해 외부로 불어내는 토출장치와, 상기 상층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구에서 공급되는 사료를 날개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낙하공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층임펠러와, 상기 하층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낙하공에서 낙하하는 사료를 날개사이의 공간에 수용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하층임펠러와, 상기 상층임펠러와 상기 하층임펠러의 중심축을 형성하여 서로 일체로 회전시키는 회전축봉과, 상기 회전축봉을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낙하공은, 상기 회전축봉의 둘레의 위치 중,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 때, 상기 공급구 및 상기 배출구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상기 상층임펠러의 날개와 상기 하층임펠러의 날개가 설치개수와 설치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상기 하층임펠러의 날개의 테두리가 상기 하층공간을 형성하는 내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공간이 폐쇄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상기 상층임펠러가, 상기 회전축봉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돔형상의 허브를 가지고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날개가 방사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급구에서 낙하한 사료가 상기 허브의 돔형상 표면을 타고 날개의 단부측으로 모이도록 하여 상기 낙하공으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상기 하층공간이 상기 상층공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고, 상기 하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공간이 상기 상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공간보다 더 큰 부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하나의 공간에 수용된 사료가, 상기 낙하공을 통해 모두 낙하하여 상기 하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하나의 공간에 충전시, 충전된 사료의 상측에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층임펠러가 회전하는 상층공간과 하층임펠러가 회전하는 하층공간이 중간차단판에 의해 구분되고, 그 중간차단판에 낙하공이 설치되되, 회전축봉의 둘레의 위치 중,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 때, 공급구 및 배출구를 벗어난 위치에 낙하공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는 토출장치의 고속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상승하더라도 낙하공을 통해 상층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고, 상층임펠러도 날개 사이의 공간에 사료를 일정량씩 충전한 후 이동하여 낙하공으로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사료의 살포시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회전축봉의 회전수를 감지하기만 하면 사료의 공급량이 계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는, 상층임펠러의 날개와 하층임펠러의 날개가 설치개수 및 설치위치에서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낙하공을 통해 사료가 균일하게 낙하하고 하층임펠러도 균일한 양의 사료를 배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하층임펠러의 날개의 회전시 사료가 끼여 부서지는 상황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는, 상층임펠러가 회전축봉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돔형상의 허브를 가지고 그 허브를 중심으로 날개가 방사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급구에서 낙하한 사료가 허브의 돔형상 표면을 타고 날개의 단부측으로 모이도록 하여 낙하공으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장치는, 하층임펠러의 날개의 높이가 상층임펠러의 날개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하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공간이 상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공간보다 더 큰 부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하나의 공간에 수용된 사료가, 낙하공을 통해 모두 낙하하여 하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의 하나의 공간에 충전시, 충전된 사료의 상측에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낙하하는 사료가 하층임펠러의 날개 사이에서 넘치지 않도록 하여 사료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낙하공의 테두리와 회전하는 하층임펠러의 날개의 상단 사이에 사료가 끼여 부서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1는 종래 사료호퍼의 사료를 자동분사할 수 있는 사료공급장치의 구성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에서 상층임펠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에서 상층임펠러의 상측에 설치되는 커터부재의 설치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에서 하층임펠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에서 낙하공과, 공급구 및 배출구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에서 사료가 공급되어 토출되기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작동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중간차단판(13)에 의해 상층공간(17)과 하층공간(18)으로 구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상층공간(17)을 덮는 하우징(10)의 상판(11)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층공간(17)으로 사료(82)를 공급하는 공급구(11a)와, 상기 중간차단판(13)에 형성되어 상층공간(17)에서 하층공간(18)으로 사료(82)가 낙하하는 통로인 낙하공(13a)과, 상기 하층공간(18)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의 하판(15)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하층공간(18)에서 사료(82)를 배출하는 배출구(15a)와, 상기 배출구(15a)에 연결되어 배출구(15a)에서 배출되는 사료(82)를 고속공기에 의해 외부로 불어내는 토출장치(60)와, 상기 상층공간(17)에 설치되어 공급구(11a)에서 공급되는 사료(82)를 날개(31) 사이의 공간(32)에 충전된 상태로 회전시켜 낙하공(13a)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층임펠러(30)와, 상기 하층공간(18)에 설치되어 낙하공(13a)에서 낙하하는 사료(82)를 날개(41) 사이의 공간(42)에 수용한 상태로 회전시켜 배출구(15a)로 배출시키기 위한 하층임펠러(40)와, 상기 상층임펠러(30)와 하층임펠러(40)의 중심축을 형성하여 서로 일체로 회전시키는 회전축봉(53)과, 상기 회전축봉(53)을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51)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층공간(17)과 하층공간(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10)은 상층공간(17)을 둘러싸는 상층원통부(12)와, 하층공간(18)을 둘러싸는 하층원통부(14)와, 상층공간(17)을 덮는 상판(11)과, 하층공간(18)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판(15)을 포함한다.
하우징(10) 내부의 상층공간(17)과 하층공간(18)은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중간차단판(13)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상기 공급구(11a)는 상층공간(17)을 덮는 하우징(10)의 상판(11)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층공간(17)으로 사료(82)를 공급받는 입구이다.
공급구(11a)의 상측에는 공급통로(21)가 형성되고 공급통로(21)의 상측에 사료호퍼(81)가 설치되어 공급통로(21)와 연결된다. 공급통로(21)에는 개폐밸브(22)가 설치되어 사료호퍼(81)로부터 사료(82)가 공급통로(21)를 통해 공급구(11a)로 낙하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구(11a)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82)는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로 공급되어 날개(31) 사이에 가득 충전되고 날개(31) 사이의 공간(32)보다 높게 쌓인 사료(82)는 도 4와 같이 커터부재(85)에 의해 걷어내어짐으로써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공간(32)에 일정량씩 수용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층공간(17)에 설치되는 상층임펠러(30)는 회전축봉(5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돔형상의 허브(34)를 가지고, 그 허브(34)를 중심으로 날개(31)가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돔형상의 허브(34)는 공급구(11a)에서 낙하한 사료(82)가 허브의 돔형상 표면을 타고 날개의 단부 측으로 모이도록 하여 낙하공(13a)으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커터부재(85)는 하우징(10)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의 상단과 접촉하거나 미세 간격을 두고 판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보다 높이 쌓인 사료(82)를 걷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터부재(85)가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공급구(11a)의 위치보다 날개가 더 이동한 위치에 설치되고, 도 4와 같이 그 구조가 하방으로 가면서 회전해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탄성판체로 설치됨으로써, 날개 높이보다 높게 쌓인 사료(82)를 걷어내는 작용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다.
상기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의 높이와 간격은 모두 동일하게 설치됨으로써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공간(32)마다 일정한 양의 사료(82)가 충전되어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하공(13a)으로 낙하하고 배출구(15a)로 배출되는 사료(82)의 양이 회전시마다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회전축봉(53)의 회전수만 별도의 센서에 의해 감지하게 되면, 그 회전수에 따른 사료(82)의 공급량이 산출되고 전체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다. 참고로,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는 공지되어 있고 다양한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므로 적정한 구조의 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상기 낙하공(13a)은 상층임펠러(30)가 날개(31) 사이에 사료(82)가 충전된 상태로 사료(82)를 이동시켜 하층공간(18)으로 낙하시키는 부분으로서 중간차단판(13)에 형성된 관통공이다.
낙하공(13a)은 상층임펠러(30)가 공급구(11a)로부터 사료(82)를 공급받는 중에 바로 낙하시키지 않도록 상층임펠러(3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도 6과 같이 공급구(11a)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층공간(18)에는 하층임펠러(40)가 설치되어 낙하공(13a)으로부터 낙하하는 사료(82)를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공간(42)에 수용하여 회전이동시키며 배출구(15a)로 배출시킨다.
하층임펠러(40)와 상층임펠러(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봉(53)에 결합되어 회전축봉(53)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하층임펠러(40)는 중심에 원주형 허브(44)가 형성되고 그 원주형 허브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41)가 설치된 구조이고, 날개(4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고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한다.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와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고 간격도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낙하공(13a)을 통해 사료(82)가 균일하게 낙하하고 하층임펠러(40)도 균일한 양의 사료(82)를 배출구(15a)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와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설치위치도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이에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하나의 공간(32)에 수용된 사료(82)가 낙하공(13a)을 만날 때,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하나의 공간(42)에 모두 낙하하여 수용되면서,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에 의해 사료(82)가 끼여 부서지는 경우를 최소화 또는 방지한다.
즉, 상층임펠러(30)와 하층임펠러(40)의 날개(31,41)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면,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하나의 공간(32)에 수용된 사료(82)가 도 8과 같이, 낙하공(13a)을 만나 낙하하는 중간에,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가 지나가면서, 낙하공(13a)의 테두리와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상단모서리 사이에 사료(82)가 끼여 사료(82)가 부서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테두리는 하층공간(18)을 형성하는 내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공간(42)이 폐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5와 같이,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는 단부의 테두리에 설치된 얇은 밀착고무재(46)를 포함하여, 하층임펠러(40)의 회전운동에도 날개(41)가 하우징(10)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공간(42)를 폐쇄시킨다.
이는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공간(42)이 낙하공(13a)과 배출구(15a)를 만나는 부분에서만 개방되도록 하여, 배출구(15a)의 하측에서 사료(82)를 불어내는 고속공기가 배출구(15a)를 타고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공간(42)으로 진입시, 낙하공(13a)이나 날개(41) 사이의 다른 공간(42)으로 진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만일, 고속공기가 배출구(15a)를 타고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여러 공간(42)으로 진입하거나 낙하공(13a)으로 진입하는 경우, 사료(82)의 공급작용이 불안정해지고 사료(82)가 날개(41) 사이의 공간(42)에서 날리고 충돌하여 깨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높이가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공간(42)이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공간(32)보다 더 큰 부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하나의 공간(32)에 수용된 사료(82)가, 낙하공(13a)을 통해 모두 낙하하여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하나의 공간(42)에 충전시, 도 9와 같이 충전된 사료(82)의 상측에 여유공간(높이 h3에 해당하는 만큼의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높이(h2)가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의 높이(h1)와 동일하거나 낮은 경우,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하나의 공간(42)이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하나의 공간(32)보다 부피가 작게 되어, 낙하하는 사료(82)가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공간(42)에 충전한 상태에서 넘치게 된다.
이 경우, 낙하공(13a)을 통한 사료(82)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에서 넘치는 사료(82) 중, 낙하공(13a)의 테두리와 회전하는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상단 사이에 끼여 부서지는 사료(82)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소한다.
한편, 회전축봉(53)은 중간차단판(13)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하로 연장되고 상층임펠러(30)와 돔형상 허브(34)와 하층임펠러(40)의 원주형 허브(44)에 각각 결합되며, 하우징(10)의 하측에 설치된 전동기(51)에 의해 설정된 일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전동기(51)는 감속기(51a)를 매개로 회전축봉(53)과 연결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5a)는 하층공간(18)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의 하판(15)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하층공간(18)에서 사료(82)를 낙하시켜 배출한다.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하나의 공간(42)이 배출구(15a)를 만날 때, 낙하공(13a)을 함께 만나고 있는 상태가 되지 않도록, 배출구(15a)는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회전방향으로 볼 때 낙하공(13a)을 벗어난 위치가 되도록 한다.
위에서 낙하공(13a)도 공급구(11a)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하도록 설명하였으므로, 낙하공(13a)을 기준으로 하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낙하공(13a)은 회전축봉(53)의 둘레의 위치 중,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 때, 공급구(11a) 및 배출구(15a)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낙하공(13a)의 위치가 구성됨으로써 도 9와 같이 사료(82)의 토출작용 중, 토출장치(60)의 고속공기가 배출구(15a)를 통해 상승하더라도 낙하공(13a)을 통해 상층공간(17)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상층임펠러(30)도 날개 사이의 공간에 사료(82)를 일정량씩 충전한 후 이동하여 낙하공(13a)으로 원활히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사료(82)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공급량이 회전축봉(53)의 회전수에 의해 정확히 계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장치(60)는 배출구(15a)에 연결되어 배출구(15a)에서 배출되는 사료(82)를 고속공기에 의해 외부로 불어내는 부분이다.
하우징(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측의 배출구(15a)로부터 사료(82)가 낙하하여 공급받는 토출로(61)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로(61)에는 고속공기노즐(62)이 설치되어 낙하하는 사료(82)를 불어내도록 고속공기가 분사된다.
토출로(61)에는 살포호스가 연결되어 양식장에 사료(82)를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하우징 11; 상판
11a; 공급구 12; 상층원통부
13; 중간차단판 13a; 낙하공
14; 하층원통부 15; 하판
15a; 배출구 17; 상층공간
18; 하층공간 21; 공급통로
22; 개폐밸브 30; 상층임펠러
31; 날개 32; 공간
34; 돔형상의 허브 40; 하층임펠러
41; 날개 42; 공간
44; 원주형 허브 46; 밀착고무재
51; 전동기 51a; 감속기
53; 회전축봉 60; 토출장치
61; 토출로 62; 고속공기노즐
81; 사료호퍼 82; 사료
85; 커터부재

Claims (5)

  1. 중간차단판(13)에 의해 상층공간(17)과 하층공간(18)으로 구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상층공간(17)을 덮는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1)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상층공간(17)으로 사료(82)를 공급하는 공급구(11a)와,
    상기 중간차단판(13)에 형성되어 상기 상층공간(17)에서 상기 하층공간(18)으로 사료(82)가 낙하하는 통로인 낙하공(13a)과,
    상기 하층공간(18)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0)의 하판(15)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하층공간(18)에서 사료(82)를 배출하는 배출구(15a)와,
    상기 배출구(15a)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5a)에서 배출되는 사료(82)를 고속공기에 의해 외부로 불어내는 토출장치(60)와,
    상기 상층공간(17)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구(11a)에서 공급되는 사료(82)를 날개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낙하공(13a)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층임펠러(30)와,
    상기 하층공간(18)에 설치되어 상기 낙하공(13a)에서 낙하하는 사료(82)를 날개사이의 공간에 수용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15a)로 배출시키기 위한 하층임펠러(40)와,
    상기 상층임펠러(30)와 상기 하층임펠러(40)의 중심축을 형성하여 서로 일체로 회전시키는 회전축봉(53)과,
    상기 회전축봉(53)을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51)를 포함하되,
    상기 낙하공(13a)은, 상기 회전축봉(53)의 둘레의 위치 중,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 때, 상기 공급구(11a) 및 상기 배출구(15a)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와 상기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는 설치개수와 설치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테두리가 상기 하층공간(18)을 형성하는 내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공간(42)이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임펠러(30)는,
    상기 회전축봉(53)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돔형상의 허브(34)를 가지고 상기 허브를 중심으로 날개(31)가 방사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급구(11a)에서 낙하한 사료(82)가 상기 허브의 돔형상 표면을 타고 날개의 단부측으로 모이도록 하여 상기 낙하공(13a)으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의 높이가 상기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공간(42)이 상기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공간(32)보다 더 큰 부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층임펠러(30)의 날개(31) 사이의 하나의 공간에 수용된 사료(82)가, 상기 낙하공(13a)을 통해 모두 낙하하여 상기 하층임펠러(40)의 날개(41) 사이의 하나의 공간(42)에 충전시, 충전된 사료(82)의 상측에 여유공간(h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1020180162919A 2018-12-17 2018-12-17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10211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919A KR102117279B1 (ko) 2018-12-17 2018-12-17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919A KR102117279B1 (ko) 2018-12-17 2018-12-17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279B1 true KR102117279B1 (ko) 2020-06-01

Family

ID=7108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919A KR102117279B1 (ko) 2018-12-17 2018-12-17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426B1 (ko) * 2020-11-11 2021-03-29 (주)아쿠아넷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급이기
KR20220063422A (ko) * 2020-11-10 2022-05-17 (주)아쿠아넷 사료정량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526A (ko) * 1991-09-26 1993-04-20 김정철 물고기의 사료자동공급장치
KR20050102697A (ko) * 2004-04-21 2005-10-27 임종환 회전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2086A (ko) * 2008-09-17 2010-03-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료 공급 장치
KR101620587B1 (ko) * 2015-09-07 2016-05-12 주식회사 한길테크 양어장 자동사료공급장치
KR101677010B1 (ko) *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526A (ko) * 1991-09-26 1993-04-20 김정철 물고기의 사료자동공급장치
KR20050102697A (ko) * 2004-04-21 2005-10-27 임종환 회전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2086A (ko) * 2008-09-17 2010-03-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료 공급 장치
KR101620587B1 (ko) * 2015-09-07 2016-05-12 주식회사 한길테크 양어장 자동사료공급장치
KR101677010B1 (ko) *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422A (ko) * 2020-11-10 2022-05-17 (주)아쿠아넷 사료정량공급장치
KR102483357B1 (ko) * 2020-11-10 2023-01-02 (주)아쿠아넷 사료정량공급장치
KR102233426B1 (ko) * 2020-11-11 2021-03-29 (주)아쿠아넷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급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587B1 (ko) 양어장 자동사료공급장치
KR102117279B1 (ko)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102136934B1 (ko) 고속공기를 이용한 어류용 사료살포기
US8393476B2 (en) Automatic gelatin capsule sorting machine
WO2019119244A1 (zh) 离心甩盘、喷洒装置及无人飞行器
US9591798B2 (en) Distributing unit for granular material, in particular a seeding unit
US9510501B2 (en) Dispens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spreader machine
CN104335949A (zh) 一种养殖池精准投喂装置及投喂方法
US8162650B2 (en) Filling apparatus for a rotary tablet press
KR101249165B1 (ko) 진동시 풀림없는 정량 조절 장치
JP2012507991A5 (ko)
SE524649C2 (sv) Anordning för åtskild fördelning av granuler
WO2014063931A1 (en) Powder feeder for container filling machines
US5334244A (en) Device for covering lumpy products, especially pills, pellets or tablets, with a coating material
KR101923605B1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101827563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발효사료 생산장치
CN111295975A (zh) 一种种子包衣机
RU2370937C1 (ru) Протравливатель семян
CN103333012A (zh) 一种连续包衣设备
US20230240174A1 (en) Seed dispensing device for sowing machines
CN111589367A (zh) 自动喷雾消毒灭菌机器人用的药片投放装置
KR101923115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JP6888293B2 (ja) 充填ノズル
US8079456B1 (en) Spring detangler
KR102483357B1 (ko) 사료정량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