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357B1 - 사료정량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사료정량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357B1
KR102483357B1 KR1020200149254A KR20200149254A KR102483357B1 KR 102483357 B1 KR102483357 B1 KR 102483357B1 KR 1020200149254 A KR1020200149254 A KR 1020200149254A KR 20200149254 A KR20200149254 A KR 20200149254A KR 102483357 B1 KR102483357 B1 KR 10248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valve unit
supply device
mete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422A (ko
Inventor
서윤기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넷 filed Critical (주)아쿠아넷
Priority to KR102020014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3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정량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정량공급장치는양식장에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정량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정량공급장치(130)는 사료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40a)와 유입된 사료를 정량으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구(140b)가 형성된 몸체(140)와, 상기 몸체(140) 내에 위치되며 사료를 정량으로 계량할 수 있도록 톱니형상으로 복수개의 격벽(152)이 형성된 밸브유닛(150)과, 상기 밸브유닛(150)에 의해 계량된 사료를 상기 몸체(14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배출구(140b)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톱니형상으로 복수개의 격벽(162)이 형성된 이송유닛(160)과, 상기 밸브유닛(150) 및 상기 이송유닛(160)에 동력을 제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계량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구동모터(170)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유닛(150) 및 상기 이송유닛(160)의 각각의 격벽(152,162) 하부에는 회전시 상기 몸체(140)의 바닥판(144a,142a) 사이에 사료가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게 사료끼임방지돌기(152a,162a)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료정량공급장치{AUTOMATIC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어류 양식장 등에서 양식 어류에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의 사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한 사료정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 양식장 등에서는 양식 어류에 인위적으로 사료를 공급하고 있다.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서 이와 같은 사료 공급은 정해진 시간 및 공급량에 맞춰 이뤄져야 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어류 양식장에서는 이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즉, 작업자가 직접 사료가 담긴 용기를 들고 다니며,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해 사료를 양식장 내에 뿌려주는 방식으로 사료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오늘날 어류 양식장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생산성 등의 측면에서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양식 어류는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소량의 사료를 빈번하게 공급해줘야 보다 원활한 성장이 가능한데,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시간이나 인력의 제한으로 인해 이와 같은 소량의 빈번한 사료 공급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정해진 정량의 사료보다 많은 양의 사료를 한번에 공급해주게 되며, 이는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정량 이상의 사료 공급은 양식 어류가 공급된 사료를 미처 처리하지 못한 채 초과된 사료가 양식장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어, 사료의 낭비 및 침전된 사료로 인한 수질 오염의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사료를 양식장 전체에 걸쳐 넓게 살포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즉,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양식장의 일부 구역에서 사료를 집중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양식 어류 전체에 고르게 사료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좁은 구역에서 다수의 양식 어류가 밀집되어 사료를 섭취하게 되므로, 밀집된 공간에 따른 먹이 경쟁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양식 어류의 건강한 성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결국 양식 어류의 상품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종래 어류 양식장 등에서 사료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일부 제안된 바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145호(특허문헌 1)는 원심력이나 공기의 압력에 의해 흩뿌려 사료를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사료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기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6208호(특허문헌 2)를 통해 임펠러를 구비하고 호퍼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혼합 배출할 수 있는 사료공급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의 정량 조절이나 공급 범위에 있어 다소 한계를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즉, 특허문헌 1의 경우 사료의 자동 배출은 가능하나 사료의 정량 조절은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반자동식으로 이뤄져 있으며, 일정한 원심력이나 공기 압력에 의해 사료를 흩뿌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료를 공급 가능한 범위(거리)도 제한되게 된다. 특허문헌 2 또한 사료 공급관을 통해 일정한 위치에 사료를 공급하게 되므로, 그 공급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특허문헌들의 경우 단순히 사료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반자동이긴 하지만 사료를 흩뿌리는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잇점은 있었으나, 아무래도 정량의 사료를 일정하게 공급하기란 다소 부족한 면이 있었다. 또한,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한다손 치더라도 넓은 범위에 사료를 정확히 공급하기란 쉽지 않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7279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이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차단판(13)에 의해 상층공간(17)과 하층공간(18)으로 구분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상층공간(17)을 덮는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1)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상층공간(17)으로 사료(82)를 공급하는 공급구(11a)와, 상기 중간차단판(13)에 형성되어 상기 상층공간(17)에서 상기 하층공간(18)으로 사료(82)가 낙하하는 통로인 낙하공(13a)과, 상기 하층공간(18)의 바닥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0)의 하판(15)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하층공간(18)에서 사료(82)를 배출하는 배출구(15a)와, 상기 배출구(15a)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5a)에서 배출되는 사료(82)를 고속공기에 의해 외부로 불어내는 토출장치(60)와, 상기 상층공간(17)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구(11a)에서 공급되는 사료(82)를 날개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낙하공(13a)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층임펠러(30)와, 상기 하층공간(18)에 설치되어 상기 낙하공(13a)에서 낙하하는 사료(82)를 날개사이의 공간에 수용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배출구(15a)로 배출시키기 위한 하층임펠러(40)와, 상기 상층임펠러(30)와 상기 하층임펠러(40)의 중심축을 형성하여 서로 일체로 회전시키는 회전축봉(53)과, 상기 회전축봉(53)을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51)를 포함하되, 상기 낙하공(13a)은, 상기 회전축봉(53)의 둘레의 위치 중,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볼 때, 상기 공급구(11a) 및 상기 배출구(15a)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을 제안하였다.
이로 인해, 넓은 범위에 일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등록특허 제10-2117279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정량의 사료를 공급하기 위해 중간판과 하층판에 대해 각각 회전하는 상층임펠러 및 하층임펠러 사이의 틈새로 사료가 끼는 단점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모터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하우징을 볼트로 결합시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상술한 중간판과 하층판이 변형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정량공급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료를 넓은 범위에 걸쳐 확산킬 수 있도록 한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료정량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정량공급장치는양식장에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정량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정량공급장치는 사료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구와 유입된 사료를 정량으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위치되며 사료를 정량으로 계량할 수 있도록 톱니형상으로 복수개의 격벽이 형성된 밸브유닛과, 상기 밸브유닛에 의해 계량된 사료를 상기 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톱니형상으로 복수개의 격벽이 형성된 이송유닛과, 상기 밸브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에 동력을 제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계량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각각의 격벽 하부에는 회전시 상기 몸체의 바닥판 사이에 사료가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게 사료끼임방지돌기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정량공급장치는 마치 맷돌 방식으로 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정량으로 공급된 사료를 송풍기를 이용하여 넓게 분산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사료를 저장통에 저장해두었다가 살포유닛을 통해 자동 살포하도록 구성되어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던 어류 양식장의 사료 공급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와 같은 이점들은 결국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사료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사료의 낭비나 초과 사료로 인한 수질 오염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정량의 사료가 양식장 전체에 걸쳐 보다 고르게 살포됨으로 인해, 양식 어류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 상품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사료급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정량공급장치가 사용된 사료급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사료정량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사료정량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정량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정량공급장치가 사용된 사료급여기는 내부에 사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된 저장통(110)과, 상기 저장통(110)의 하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통(110)으로 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사료정량공급장치(130)와, 상기 사료정량공급장치(130)에 의해 정량으로 계량된 사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한 살포유닛(180)과, 상기 사료정량공급장치(130) 및 상기 살포유닛(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통(110)은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저장공간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110)은 소정의 저장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형태이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외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저장통(110)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하고, 하부에는 깔대기 형태의 호퍼부(114)를 형성하여 상기 저장통(110) 내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통(110)의 개방된 상부에는 뚜껑(11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112)을 열고 저장통(110)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사료를 공급하여 저장할 수 있는 등 개방된 상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20)은 상기 저장통(11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저장통(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통(110)으로 공급되는 사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살포유닛(180)의 살포관(184)이 관통되게 위치되어 정량으로 공급된 사료를 외부로 살포할 수 있게 살포구(120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살포구(120b)에는 후술하는 살포유닛(180)의 송풍기에서 송풍시 진동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살포관(18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진동음을 최소화하도록 탄성지지부재(121)를 설치한다. 즉, 송풍기에서 바람 및 사료가 유동되게 되는데 이때, 살포관(184) 내부에서 진동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지지부재(121)가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진동음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료정량공급장치(130)는 상기 하우징(120) 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통(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정량으로 계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사료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40a)와 유입된 사료를 정량으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구(140b)가 형성된 몸체(140)와, 상기 몸체(140) 내에 위치되며 사료를 정량으로 계량할 수 있도록 한 밸브유닛(150)과, 상기 밸브유닛(150)에 의해 계량된 사료를 몸체(14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배출구(140b)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유닛(160)과, 상기 밸브유닛(150) 및 상기 이송유닛(160)에 동력을 제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계량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구동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판(142a) 일측에 배출구(140b)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42)와, 상기 하부케이스(142)의 상측에 결합되며 바닥판(144a) 일측에 통공(145)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44)와, 상기 상부케이스(144)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사료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40a)가 형성된 플레이트(146)와, 상기 플레이트(146)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플레이트(146)를 관통한 하부가 상기 밸브유닛(150)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계량막(147) 및 상기 하부케이스(142)와 상부케이스(144)의 각 바닥판(142a,144a) 및 플레이트(146)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볼트(14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142)와 상부케이스(144)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판(142a,144a)과, 상기 바닥판(142a,144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142b,144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개의 볼트(148)는 상기 측벽(142b,144b)의 외부에 위치되는 바닥판(142a,144a)에 형성된 볼트공(140c) 통해 상기 바닥판(142a,144a)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 바닥판(142a,144a)에 형성된 볼트공(140c)의 측면 양측에는 한 쌍의 보강리브(140d)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볼트(148)의 결합시 가압력에 바닥판(142a,144a) 및 플레이트(146)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보강리브(140d)가 각 바닥판(142a,144a) 및 플레이트(146)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볼트 및 너트의 결합력에 의해 바닥판(142a,144a) 및 플레이트(146)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42)에 형성되는 배출구(140b)는 상기 상부케이스(144)에 형성되는 통공(145)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추후 상기 통공(145)을 통해 상부케이스(144)에서 하부케이스(142)로 사료가 배출되면 하부케이스(142)내의 사료가 살포유닛(180)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케이스(144) 내에는 밸브유닛(1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케이스(142) 내에는 이송유닛(1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밸브유닛(150)과 이송유닛(160)은 구동모터(170)와 연결된 회전축(143)에 의해 상기 몸체(14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43)은 사각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43)이 결합되는 상기 밸브유닛(150) 및 이송유닛(160)의 결합공도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43)의 회전시 상기 밸브유닛(150) 및 이송유닛(160)이 상기 회전축(14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밸브유닛(150)과 상기 이송유닛(160)은 톱니형상으로 복수개의 격벽(152,162)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벽(152,162) 사이 사이에 사료가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52,16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8개의 격벽(152,162)을 갖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6개 5개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유닛(150)과 상기 이송유닛(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격벽(152,162) 하부에 사료끼임방지돌기(152a,162a)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밸브유닛(150) 및 상부케이스(144)의 바닥판(144a)과, 상기 이송유닛(160) 및 상기 하부케이스(142)의 바닥판(142a) 사이에 사료가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바닥판(142a,144a)과 밸브유닛(150) 및 이송유닛(160) 사이에 사료가 삽입되게 되면 밸브유닛(150) 및 이송유닛(160)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밸브유닛(150) 및 이송유닛(16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70)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유닛(150)과 이송유닛(160)의 격벽(152,162)에 각각 사료끼임방지돌기(152a,162a)를 형성하여 사료가 끼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밸브유닛(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테두리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140)의 유입구(140a)를 통해 사료가 유입되면 상기 밸브유닛(150)의 테이퍼진 상면과, 격벽(152) 사이 사이에 사료가 충진되는데, 이때 상술한 플레이트(146)에 결합된 계량막(147)의 하부가 상기 테이퍼진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유닛(150)이 회전하면서 사료를 정량으로 계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밸브유닛(150)의 상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케이스(144) 내에서 밸브유닛(150)의 회전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가 상기 플레이트(146)와 상기 밸브유닛(150)의 격벽(152,162) 사이에 사료가 끼어 알갱이 형태의 사료가 가루 형태로 분쇄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정량공급장치(130)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유닛(150)의 상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이와 접촉되어 사료를 편평하게 하여 정량이 될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재질의 계량막(147)을 통해 사료가 끼는 것을 방지하여 사료가 분쇄되지 않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계량막(147)은 강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밸브유닛(150)의 테이퍼지게 형성된 격벽(152)과 대응되게 바닥면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밸브유닛(150)의 상측에 계량막(147)이 접촉된 상태에서 밸브유닛(15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계량막(147)은 지속적인 사용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상기 플레이트(146)에는 관통공(14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49)에 계량막(147)이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탈부착 할 수 있다.
즉, 계량막(147)이 상기 밸브유닛(150)과 지속적으로 마찰되면서 마모되어 장시간 사용후에는 사료의 계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량막(147)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계량막(147)은 상기 관통공(149)을 통해 상부케이스(144) 내부로 삽입되게 위치되되, 말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확장되는 걸림단(147a)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49)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유닛(150) 및 계량막(147)에 의해 계량된 사료는 상기 상부케이스(144)의 바닥판(144a)에 형성된 통공(145)을 통해 하부케이스(142) 내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42) 내에는 이송유닛(1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145)을 통해 이송유닛(160)의 격벽(162) 사이 사이에 정량의 사료가 충진되고 충진된 사료는 이송유닛(160)이 회전하면서 하부케이스(142)의 바닥판(142a)에 형성된 배출구(140b)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170)는 회전축(143)이 상기 몸체(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되, 상기 회전축(143) 상에 상기 밸브유닛(150) 및 상기 이송유닛(160)이 고정결합되어 회전축(143)의 회전시 밸브유닛(150)과 이송유닛(160)이 회전축(143)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이다.
즉, 구동모터(1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140) 내에서 밸브유닛(150) 및 상기 이송유닛(160)이 회전을 하게 되며, 밸브유닛(150)과 이송유닛(160)이 상기 상부케이스(144) 및 하부케이스(142) 내로 유입되는 사료를 정량으로 개량하여 통공(145) 및 배출구(140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몸체(140)의 플레이트(146)에 형성된 유입구(140a)와, 상부케이싱에 형성된 통공(145) 및 하부케이싱에 형성된 배출구(140b)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40a)를 통해 상부케이스(144) 내로 유입된 사료는 밸브유닛(150)의 회전에 의해 유입구(140a)의 반대편 상부케이스(144) 바닥판(144a)에 형성된 통공(145)을 통해 하부케이스(142)로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통공(145)을 통해 하부케이스(142) 내로 유입된 사료는 이송유닛(160)의 회전에 의해 통공(145)의 반대편 하부케이스(142)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40b)를 통해 몸체(14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료정량공급장치(130)에서 정량으로 개량된 사료는 배출구(140b)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사료는 살포유닛(180)으로 이동된다.
살포유닛(180)은 상기 사료정량공급장치(130)에 의해 정량으로 개량된 사료를 넓은 범위로 살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원의 인가에 따라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송풍기(182)와, "ㅗ"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 일측은 상기 송풍기(182)와 연결되고 상측은 상기 배출구(140b)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게 형성되며, 수평방향 타측은 상기 배출구(140b)에서 공급된 사료가 살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살포관(18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구(140b)와 연결된 상측으로 사료가 유입되면 송풍기(182)에서 에어를 공급하여 사료가 살포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정량공급장치가 사용된 사료급여기는 저장통(110)에 저장된 사료가 호퍼부(114)를 통해 사료정량공급장치(130) 내로 공급되면 구동모터(170)가 구동되면서 밸브유닛(150) 및 이송유닛(16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저장통(110)에 저장된 사료는 자중에 의해 사료정량공급장치(130)의 유입구(140a)를 통해 몸체(140) 내로 유입되며 유입된 사료는 상부케이스(144) 내에 위치된 밸브유닛(150)의 격벽(152) 사이 사이로 분배되며 밸브유닛(150)이 회전하면서 계량막(147)에 의해 격벽(152)과 격벽(152) 사이의 공간 크기 만큼 밸브유닛(150)에 사료가 충진 및 계량된다.
이후 상기 밸브유닛(150)에 의해 계량된 사료는 밸브유닛(150)이 회전하면서 상부케이스(144)의 바닥판(144a)에 형성된 통공(145)을 통해 하부케이스(142) 내로 이송된다. 이때, 하부케이스(142) 내에는 이송유닛(16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유닛(150)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구조이다. 덧붙여, 이송유닛(160)은 밸브유닛(150)에 비해 격벽(162)과 격벽(162) 사이의 공간이 넓기 때문에 원활한 유입이 가능하다.
즉, 밸브유닛(150)의 경우 격벽(152) 상측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이송유닛(160)은 테이퍼진 부분이 없어 밸브유닛(150)에 비해 이송유닛(160)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사료를 충진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160)의 격벽(162) 사이 사이에 충진된 사료는 이송유닛(160)의 회전하면서 하부케이스(142) 바닥판(142a)에 형성된 배출구(140b)를 통해 몸체(140) 외부 즉, 사료정량공급장치(130)의 외부로 계량된 사료를 배출하게 된다.
즉, 사료정량공급장치(130)는 마치 맷돌방식으로 사료를 계량 및 이송시켜 정량으로 사료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료정량공급장치(130)에서 배출된 사료는 살포유닛(180)에 의해 살포되어 어류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살포유닛(180)으로 송풍기(182)를 사용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된 다단 적층구조 형태의 밸브유닛(150) 및 이송유닛(160)의 구조로 인해 송풍시 바람에 의해 사료가 사료정량공급장치(130)의 몸체(140)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방향으로만 사료를 살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상기 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수납부(122)에 위치되어 상기 사료정량공급장치(130)의 구동모터(170) 및 상기 살포유닛(180)의 송풍기(1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가 위치되는 상기 수납부(122)는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90)의 이상 발생시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하우징(120) 내에 수납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122)와 연통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한 후 상기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커버(124)를 설치하여 상기 수납부(122) 내에서 선택적으로 제어부(19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사료정량공급장치(130)에 의해 사료를 정량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량 및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저장통 112 : 뚜껑
114 : 호퍼부 120 : 하우징
122 : 수납부 124 : 커버
130 : 사료정량공급장치
140 : 몸체 140a : 유입구
140b : 배출구 140c : 볼트공
140d : 리브 142 : 하부케이스
142a : 바닥판 142b : 측벽
143 : 회전축 144 : 상부케이스
144a : 바닥판 144b : 측벽
145 : 통공 146 : 플레이트
147 : 계량막 148 : 볼트
150 : 밸브유닛 152 : 격벽
152a : 사료끼임방지돌기 160 : 이송유닛
162 : 격벽 162a : 사료끼임방지돌기
170 : 구동모터 180 : 살포유닛
182 : 송풍기 184 : 살포관
190 : 제어부

Claims (4)

  1. 양식장에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료정량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료정량공급장치는
    사료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40a)와 유입된 사료를 정량으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구(140b)가 형성된 몸체(140)와,
    상기 몸체(140) 내에 위치되며 사료를 정량으로 계량할 수 있도록 톱니형상으로 복수개의 격벽(152)이 형성된 밸브유닛(150)과,
    상기 밸브유닛(150)에 의해 계량된 사료를 상기 몸체(14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배출구(140b)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톱니형상으로 복수개의 격벽(162)이 형성된 이송유닛(160)과,
    상기 밸브유닛(150) 및 상기 이송유닛(160)에 동력을 제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료의 계량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구동모터(170)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유닛(150) 및 상기 이송유닛(160)의 각각의 격벽(152,162) 하부에는 회전시 상기 몸체(140)의 바닥판(144a,142a) 사이에 사료가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게 사료끼임방지돌기(152a,162a)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격벽(152) 상측 테두리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테이퍼지게 형성된 상기 격벽(152)의 상측에는 격벽(152)의 상면과 접촉되어 사료를 편평하게 정량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계량막(147)이 설치되되, 상기 계량막(147)은 격벽(152)의 테이퍼지게 형성된 상면과 대응되게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사료정량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몸체(14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판(142a) 일측에 배출구(140b)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42)와,
    상기 하부케이스(142)의 상측에 결합되며 바닥판(144a) 일측에 통공(145)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44)와,
    상기 상부케이스(144)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사료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40a)가 형성된 플레이트(146)와,
    상기 플레이트(146)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플레이트(146)를 관통한 하부가 상기 밸브유닛(150)의 표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계량막(147) 및
    상기 하부케이스(142)와 상부케이스(144)의 각 바닥판(142a,144a) 및 플레이트(146)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볼트(148)로 구성되는 사료정량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트(148)가 결합되도록 상기 각 바닥판(142a,144a)에 형성된 볼트공(140c)의 측면 양측에는 한 쌍의 보강리브(140d)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148)의 결합시 가압력에 상기 바닥판(142a,144a) 및 플레이트(146)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사료정량공급장치.
  4. 삭제
KR1020200149254A 2020-11-10 2020-11-10 사료정량공급장치 KR102483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254A KR102483357B1 (ko) 2020-11-10 2020-11-10 사료정량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254A KR102483357B1 (ko) 2020-11-10 2020-11-10 사료정량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422A KR20220063422A (ko) 2022-05-17
KR102483357B1 true KR102483357B1 (ko) 2023-01-02

Family

ID=8179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254A KR102483357B1 (ko) 2020-11-10 2020-11-10 사료정량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17A (ko) 2021-10-25 2023-05-03 (주)아쿠아넷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592A (ja) 1998-12-14 2000-06-27 Takashi Kuribayashi 金魚鉢内の餌やり装置
KR200369247Y1 (ko) * 2004-09-21 2004-12-04 박종대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장치
KR101620587B1 (ko) * 2015-09-07 2016-05-12 주식회사 한길테크 양어장 자동사료공급장치
KR102117279B1 (ko) * 2018-12-17 2020-06-01 (주)아쿠아넷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8983U (ko) * 1975-04-12 1976-10-18
KR102143340B1 (ko) * 2018-08-10 2020-08-11 용창덕 물고기 사료 배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592A (ja) 1998-12-14 2000-06-27 Takashi Kuribayashi 金魚鉢内の餌やり装置
KR200369247Y1 (ko) * 2004-09-21 2004-12-04 박종대 가축사료 급이기의 코너휠 장치
KR101620587B1 (ko) * 2015-09-07 2016-05-12 주식회사 한길테크 양어장 자동사료공급장치
KR102117279B1 (ko) * 2018-12-17 2020-06-01 (주)아쿠아넷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17A (ko) 2021-10-25 2023-05-03 (주)아쿠아넷 양어장용 사료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422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2912B2 (en) Discharge unit for a game feeder
KR101067843B1 (ko)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KR102136934B1 (ko) 고속공기를 이용한 어류용 사료살포기
US74100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micro-ingredient feed additives to animal feed rations
EP3413699B1 (en) Rotor assembly, method, feeder device and agricultural implement for feeding granular or powder material
KR102483357B1 (ko) 사료정량공급장치
US20070068970A1 (en) Screw type material feeding apparatus
EP3599836B1 (en) Feeder
KR20180120918A (ko)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WO2013063438A2 (en) Adaptable spreader
KR20160120902A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2233426B1 (ko) 사료정량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급이기
US10225976B2 (en) Adaptable spreader
US20100220549A1 (en) Process for preparing and applying pesticide or herbicide formulation
KR102134167B1 (ko) 액상 자동 급이기
KR101599598B1 (ko) 비닐하우스용 공기조절시스템
JP2007159480A (ja) 粉粒体の均等送出装置
US6758163B1 (en) Bird feeder
KR200228641Y1 (ko) 입상물정량배출장치
KR101923115B1 (ko) 사료 정량 자동 공급장치
KR102229111B1 (ko)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CN210131550U (zh) 一种复合肥物料调节装置
CN210504783U (zh) 投料装置和尿素机
CN113892437A (zh) 一种宠物喂食器
US20230051208A1 (en) Material feeder with material flow assist mechanism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