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918A -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918A
KR20180120918A KR1020170054876A KR20170054876A KR20180120918A KR 20180120918 A KR20180120918 A KR 20180120918A KR 1020170054876 A KR1020170054876 A KR 1020170054876A KR 20170054876 A KR20170054876 A KR 20170054876A KR 20180120918 A KR20180120918 A KR 20180120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inlet
module
base fram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521B1 (ko
Inventor
서학윤
서윤기
김병문
박영수
이소광
한석규
정상현
김관식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넷
서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넷, 서윤기 filed Critical (주)아쿠아넷
Priority to KR102017005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모듈 및 투입모듈을 포함하되, 투입모듈은, 일측에 저장공간과 연통되어 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유입구로부터 이격된 타측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되, 유입구는 상방을 향해 개방되고, 배출구는 하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유입구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 구동되도록 형성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을 구비하고, 복수의 베인에 의해 복수의 분할공간이 구획되어 각 분할공간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사료가 일시적 수용되는, 정량공급팬;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일단이 정량공급팬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살포구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정량공급팬으로부터 낙하된 사료를 살포구로 이송 및 낙하시키는, 이송벨트; 및 이송벨트 타단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송벨트로부터 낙하된 사료를 살포구를 통해 살포하되, 타격날개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어, 타격날개를 통해 낙하된 사료를 타격하여 전방으로 살포하는, 살포팬;을 포함하는, 사료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QUAFARM}
본 발명은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 양식장 등에서 양식 어류에 사료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 양식장 등에서는 양식 어류에 인위적으로 사료를 공급하고 있다.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서 이와 같은 사료 공급은 정해진 시간 및 공급량에 맞춰 이뤄져야 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어류 양식장에서는 이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즉, 작업자가 직접 사료가 담긴 용기를 들고 다니며,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해 사료를 양식장 내에 뿌려주는 방식으로 사료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오늘날 어류 양식장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생산성 등의 측면에서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많은 경우, 양식 어류는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소량의 사료를 빈번하게 공급해줘야 보다 원활한 성장이 가능한데,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시간이나 인력의 제한으로 인해 이와 같은 소량의 빈번한 사료 공급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정해진 정량의 사료보다 많은 양의 사료를 한번에 공급해주게 되며, 이는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정량 이상의 사료 공급은 양식 어류가 공급된 사료를 미처 처리하지 못한 채 초과된 사료가 양식장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어, 사료의 낭비 및 침전된 사료로 인한 수질 오염의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사료를 양식장 전체에 걸쳐 넓게 살포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즉,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양식장의 일부 구역에서 사료를 집중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양식 어류 전체에 고르게 사료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좁은 구역에서 다수의 양식 어류가 밀집되어 사료를 섭취하게 되므로, 밀집된 공간에 따른 먹이 경쟁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양식 어류의 건강한 성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결국 양식 어류의 상품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종래 어류 양식장 등에서 사료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일부 제안된 바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145호(특허문헌 1)는 원심력이나 공기의 압력에 의해 흩뿌려 사료를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사료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기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6208호(특허문헌 2)를 통해 임펠러를 구비하고 호퍼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혼합 배출할 수 있는 사료공급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의 정량 조절이나 공급 범위에 있어 다소 한계를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즉, 특허문헌 1의 경우 사료의 자동 배출은 가능하나 사료의 정량 조절은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반자동식으로 이뤄져 있으며, 일정한 원심력이나 공기 압력에 의해 사료를 흩뿌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료를 공급 가능한 범위(거리)도 제한되게 된다. 특허문헌 2 또한 사료 공급관을 통해 일정한 위치에 사료를 공급하게 되므로, 그 공급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145호(2013년 01월 0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6208호(2016년 02월 15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료의 정량 조절이 보다 용이하고 사료의 공급 범위를 넓게 확장할 수 있는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저장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사료를 외부로 살포하는 투입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투입모듈은, 일측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어 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된 타측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되, 상기 유입구는 상방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배출구는 하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유입구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 구동되도록 형성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에 의해 복수의 분할공간이 구획되어 상기 각 분할공간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사료가 일시적 수용되는, 정량공급팬;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정량공급팬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살포구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정량공급팬으로부터 낙하된 사료를 상기 살포구로 이송 및 낙하시키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 타단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낙하된 사료를 상기 살포구를 통해 살포하되, 하나 이상의 타격날개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어, 상기 타격날개를 통해 낙하된 사료를 타격하여 전방으로 살포하는, 살포팬;을 포함하는,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많은 양의 사료를 저장모듈에 저장해두었다가 투입모듈을 통해 자동 살포하도록 구성되어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던 어류 양식장의 사료 공급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정량공급팬 및 살포팬의 구동 제어를 통해 매우 쉽게 사료의 공급시기나 공급량, 범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정량공급팬을 기 설정된 시간 및 회전속도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사료의 공급시기나 공급량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살포팬의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그 공급범위 또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는, 살포팬(127)이 사료를 타격하여 전방으로 살포하는 방식인 바, 종래 대비 보다 멀리까지 사료를 살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살포팬의 회전속도를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경우, 사료의 공급은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고르게 이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점들은 결국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사료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사료의 낭비나 초과 사료로 인한 수질 오염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정량의 사료가 양식장 전체에 걸쳐 보다 고르게 살포됨으로 인해, 양식 어류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 상품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공급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료투입모듈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료투입모듈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100)의 외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료공급장치(100)는 저장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모듈(110)은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사료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모듈(110)은 소정의 저장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며, 그 외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저장모듈(110)은 하부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부가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모듈(110)의 외형은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모듈(110)은 일측에 투입구(111a)를 구비할 수 있다. 투입구(111a)는 저장모듈(110) 내부의 저장공간과 연통되어 저장공간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투입구(111a)는 저장모듈(110) 상단에 배치되어 상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이와 같은 투입구(111a)의 위치 또는 방향은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으며,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투입구(111a)는 저장모듈(110)의 측면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저장모듈(110)은 상부의 투입가이드(111)와 하부의 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가이드(111)는 양단이 개방된 통(筒)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12)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사료의 투입을 안내하게 된다. 투입가이드(111) 일단은 외부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투입구(111a)를 형성할 수 있으며, 타단은 본체(112) 내부의 저장공간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투입가이드(111)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하가 개방되어 상단의 투입구(111a)로 공급된 사료를 하단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예시된 투입가이드(111)의 외형은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투입가이드(111)는 사각통형 등 다각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2)는 투입가이드(1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12) 내부에는 투입구(111a)를 통해 공급된 사료가 저장될 수 있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1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외형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112)는 투입가이드(111)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투입가이드(111)는 본체(112)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투입가이드(111)를 본체(112)로부터 분리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본체(112)와 투입가이드(111)의 결합방식은 탈착이 가능한 다양한 공지의 결합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체(112) 및 투입가이드(111)는 볼트, 핀, 스냅-패스너(snap-fastener)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료공급장치(100)는 투입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모듈(120)은 저장된 사료를 양식장에 살포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모듈(1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투입모듈(120)은 저장모듈(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12)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투입모듈(120)의 장착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가급적 저장공간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외부 구동원 없이 자중에 의해 사료가 투입모듈(1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투입모듈(120)은 전술한 저장모듈(110)과 별개로 하나의 독립된 부품으로 모듈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투입모듈(120) 및 저장모듈(110)은 각각 별개의 독립된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호 조립 결합되어 하나의 사료공급장치(100)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부분 파손 등의 경우에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장치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저장모듈(110)을 저장용량 등에 따라 복수 타입으로 구현하고, 투입모듈(120) 또한 사료 종류 등에 따라 복수 타입으로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듈화된 각 부품을 사용환경에 맞게 적절히 조합하여 보다 적합한 형태의 사료공급장치(100)를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은 설비 구축이나 유지 보수를 위한 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공급장치(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모듈(110)의 본체(112) 내부에는 저장공간(112a)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공간(112a)은 상단이 개방되어 투입구(111a)와 연통되며, 측부는 본체(112) 내벽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저장공간(112a)의 하단 일측에는 배출구(112e)가 마련되어 저장공간(112a)에 저장된 사료가 투입모듈(1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본체(112) 내부에는 격벽(112b)이 마련될 수 있다. 격벽(112b)은 본체(112)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측의 저장공간(112a)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112b)에 의해 구획된 하측의 공간은 스택공간(112c)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택공간(112c)은 저장공간(112a)으로 투입하기 전의 사료 포대나 필요한 관련 기자재를 보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필요에 따라 본체(112)의 측면 일측에는 스택공간(112c)을 개폐하는 개폐도어(112d)가 마련될 수 있다.
격벽(112b)은 본체(112) 내부에서 대략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배출구(112e)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12e)는 투입모듈(120)로 사료를 공급하는 이동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격벽(112b)은 배출구(112e)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저장공간(112a)을 구획하는 격벽(112b) 상면은 배출구(112e)가 형성된 지점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배출구(112e)는 저장공간(112a)의 최하단에 배치되게 되는바, 자중에 의한 사료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투입모듈(120)은 저장공간(112a) 하단의 배출구(112e)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본체(112)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투입모듈(120)은 배출구(112e)로부터 공급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정량공급팬(122), 정량공급팬(122)을 통해 공급된 사료를 일단의 살포팬(127)까지 이송하는 이송벨트(123), 이송벨트(123)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송된 사료를 외부로 살포하는 살포팬(1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입모듈(120)의 상세한 내부 구성에 대하여는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부연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료투입모듈(120)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료투입모듈(12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 편의상,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이송벨트(123)를 생략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투입모듈(120)은 베이스 프레임(12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21)은 투입모듈(120)의 전체적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정량공급팬(122) 등이 장착 지지될 수 있는 지지 골격을 제공하게 된다. 베이스 프레임(121)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의 공간은 정량공급팬(122) 등 관련부품의 장착과 사료의 이송 및 처리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21)은 배출구(112e)와 연통되는 유입구(121a)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입구(121a)는 베이스 프레임(121) 일단의 상측에 형성되고 있다. 저장공간(112a)에서 배출구(112e)를 통해 나온 사료는 본 유입구(121a)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2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21)은 본체(112)로의 결합을 위한 결합편(121b)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편(121b)은 유입구(121a)와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121) 일단에 배치되어 결합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합편(121b)은 베이스 프레임(121)과 본체(112)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베이스 프레임(121)은 유입구(121a)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이송벨트(123)의 단부에 인접하게 마련된 살포구(121c)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살포구(121c)는 유입구(121a)의 반대측 단부에 하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살포구(121c)는 이송벨트(123)를 통해 이송된 사료가 이송벨트(123)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낙하되어 베이스 프레임(12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된 사료는 후술할 살포팬(127)에 의해 전방으로 살포될 수 있다.
한편, 투입모듈(120)은 정량공급팬(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정량공급팬(122)은 베이스 프레임(1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입구(121a) 하측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정량공급팬(122)은 유입구(121a)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21) 내부로 유입되는 사료를 기 설정된 정량만큼 이송벨트(123)로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정량공급팬(122)은 회전축을 가지고 베이스 프레임(1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122a)을 구비할 수 있다. 각 베인(122a)은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정량공급팬(122)의 테두리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22a)으로 인해 정량공급팬(122)은 사료가 일시적으로 수용 또는 저장되는 복수의 분할공간(122b)를 가질 수 있다. 각 분할공간(122b)은 일측의 베인(122a)과 이에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베인(122a)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분할공간(122b)은 정량공급팬(122)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공간(122b)은 유입구(121a)를 통해 나오는 사료를 일시적 수용 또는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입구(121a)를 거쳐 하방으로 이동된 사료는 먼저 분할공간(122b)으로 유입되어 일시적으로 수용 또는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각 분할공간(122b)의 반경방향 외측단의 폭은 유입구(121a)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1a)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분할공간(122b)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량공급팬(122)은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즉, 정량공급팬(122)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회전속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량공급팬(122)은 각 분할공간(122b)의 크기 및 회전속도에 따라 이송벨트(123)로 일정량의 사료를 공급하게 된다. 즉, 정량공급팬(122)이 소정속도로 회전되면서 각 분할공간(122b)에 수용된 사료가 이송벨트(123)로 낙하하여 공급되게 된다. 이때, 정량공급팬(122)이 공급하는 사료의 양은 정량공급팬(122)의 회전속도를 통해 쉽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투입모듈(120)은 이송벨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벨트(123)는 베이스 프레임(121) 내부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송벨트(123) 일단은 정량공급팬(122)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타단은 살포구(121c)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벨트(123)는 양단의 롤러(12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롤러(123a)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사료를 일 방향(도면상, 우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롤러(123a)는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송벨트(123)는 정량공급팬(122)에 의해 일단으로 공급된 사료를 타단측의 살포구(121c)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정량공급팬(122)이 회전됨에 따라 각 분할공간(122b)의 사료가 이송벨트(123) 상면으로 낙하되면, 양단의 롤러(123a)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벨트(123)가 사료를 일 방향(도면상, 우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송된 사료는 이송벨트(123)의 타단에서 아래로 낙하되어 살포구(121c)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2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투입모듈(120)은 스크래퍼(12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퍼(124)는 이송벨트(123) 하측에서 이송벨트(123)의 외면에 접촉되어 이송벨트(123) 외면에 남아있는 사료 부스러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스크래퍼(124)는 이송벨트(123) 타단에서 사료가 낙하된 후 이송벨트(123) 외면에 잔재하는 사료 부스러기를 제거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크래퍼(124)는 살포구(121c)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송벨트(123)의 하측 외면에 접촉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2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송벨트(123)가 구동됨에 따라 스크래퍼(124)는 이송벨트(123) 외면을 소정정도 긁어내어 외면에 남은 사료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이송벨트(123)가 사료 부스러기 등으로 인해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부스러기 등이 장치 내 적체됨으로 인한 오작동이나 손상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투입모듈(120)은 정류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정류판(125)은 사료가 이송되는 이송벨트(123) 상측에서 이송벨트(123)의 외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송 중인 사료가 이송벨트(123) 외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정류판(125)은 사료가 공급되는 이송벨트(123)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류판(125)은 사료가 이송벨트(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르게 분산되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벨트(123) 타단으로부터 살포구(121c)로 낙하되는 사료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투입모듈(120)은 UV램프(126)를 포함할 수 있다.
UV램프(126)는 베이스 프레임(121) 내부에 배치되어 이송벨트(123) 상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UV램프(126)는 사료가 이송벨트(123)를 따라 이송되면서 소정정도 살균 처리될 수 있도록 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 프레임(121) 내부의 천정면에 이러한 UV램프(126)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투입모듈(120)은 살포팬(127)을 포함할 수 있다.
살포팬(127)은 살포구(121c)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살포팬(127)은 이송벨트(123) 타단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송벨트(123)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전방으로 살포할 수 있다. 살포팬(127)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살포팬(127)은 하나 이상의 타격날개(127a)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살포팬(127)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타격날개(127a)를 구비할 수 있으며, 2개의 타격날개(127a)는 대략 18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타격날개(127a)는 살포팬(127)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이송벨트(123)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타격하여 살포하는 것으로, 충분한 타격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가지고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타격날개(127a)는 3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나, 타격날개(127a)가 다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 타격날개(127a) 간 충분한 간격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4개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살포팬(127)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이송벨트(123)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전방으로 살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타격날개(127a)는 낙하되는 사료를 타격날개(127a)를 통해 타격하여 사료를 전방으로 살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사료를 보다 먼 거리까지 살포할 수 있도록 하며, 살포팬(127)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사료의 살포범위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살포팬(127)의 회전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구동 제어함으로써, 양식장의 전체 면적에 걸쳐 사료를 보다 고르게 살포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장치(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술한 도 2를 참조하면, 투입구(111a)를 통해 공급된 사료는 저장공간(112a)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사료는 저장공간(112a) 하부의 배출구(112e)를 통해 투입모듈(120)로 공급될 수 있다. 투입모듈(120)로의 사료 공급은 저장된 사료의 자중 및 정량공급팬(122)의 회전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투입모듈(120)의 작동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입모듈(120)로 공급된 사료는 먼저 정량공급팬(122)의 분할공간(122b)에 채워지게 된다. 정량공급팬(122)은 구동모터에 의해 설정된 회전속도로 회전 구동되므로, 정량공급팬(122)이 회전되는 동안 사료가 대응되는 분할공간(122b)에 서서히 채워지게 된다.
정량공급팬(122)이 계속 회전되면, 분할공간(122b)에 채워져 있던 사료는 하측의 이송벨트(123)로 낙하하게 된다. 정량공급팬(122)은 복수의 분할공간(122b)이 원주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있는바, 이와 같은 이송벨트(123)로의 사료 공급과 함께, 다른 분할공간(122b)에는 저장모듈(110)로부터 제공되는 사료가 채워지게 된다.
이송벨트(123)로 떨어진 사료는 이송벨트(123)를 따라 일 방향(도면상, 우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이송벨트(123)의 타단(도면상, 우측단)으로 이송된 사료는 하측의 살포구(121c)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이때, 살포구(121c)로 떨어지는 사료는 회전 구동되는 살포팬(127)의 타격날개(127a)에 부딪혀 전방으로 살포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살포팬(127)이 회전되면서 타격날개(127a)가 낙하되는 사료를 전방으로 타격하여 사료를 살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의 사료공급장치(100)는 많은 양의 사료를 저장모듈(110)에 저장해두었다가 투입모듈(120)을 통해 자동 살포하도록 구성되어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던 어류 양식장의 사료 공급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사료공급장치(100)는 정량공급팬(122) 및 살포팬(127)의 구동 제어를 통해 매우 쉽게 사료의 공급시기나 공급량, 범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정량공급팬(122)을 기 설정된 시간 및 회전속도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사료의 공급시기나 공급량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살포팬(127)의 회전속도 제어를 통해 그 공급범위 또한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사료공급장치(100)에 있어 살포팬(127)은 사료를 타격하여 전방으로 살포하는 방식인 바, 종래 대비 보다 멀리까지 사료를 살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살포팬(127)의 회전속도를 점진적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구동 제어하는 경우, 사료의 공급은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고르게 이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점들은 결국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사료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사료의 낭비나 초과 사료로 인한 수질 오염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정량의 사료가 양식장 전체에 걸쳐 보다 고르게 살포됨으로 인해, 양식 어류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 상품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사료공급장치 110: 저장모듈
111: 투입가이드 112: 본체
120: 투입모듈 121: 베이스 프레임
122: 정량공급팬 123: 이송벨트
124: 스크래퍼 125: 정류판
126: UV램프 127: 살포팬

Claims (4)

  1. 저장공간(112a)을 구비하는 저장모듈(110); 및
    상기 저장모듈(110)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112a)에 저장된 사료를 외부로 살포하는 투입모듈(120);을 포함하되,
    상기 투입모듈(120)은,
    일측에 상기 저장공간(112a)과 연통되어 사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21a)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121a)로부터 이격된 타측에 상기 유입구(121a)를 통해 유입된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112e)가 마련되되, 상기 유입구(121a)는 상방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배출구(112e)는 하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121);
    상기 유입구(121a)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회전 구동되도록 형성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122a)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122a)에 의해 복수의 분할공간(122b)이 구획되어 상기 각 분할공간(122b)에 상기 유입구(121a)를 통해 유입된 사료가 일시적 수용되는, 정량공급팬(122);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 내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정량공급팬(122)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살포구(121c)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정량공급팬(122)으로부터 낙하된 사료를 상기 살포구(121c)로 이송 및 낙하시키는, 이송벨트(123); 및
    상기 이송벨트(123) 타단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123)로부터 낙하된 사료를 상기 살포구(121c)를 통해 살포하되, 하나 이상의 타격날개(127a)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되어, 상기 타격날개(127a)를 통해 낙하된 사료를 타격하여 전방으로 살포하는, 살포팬(127);을 포함하는,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모듈(110)은,
    본체(112) 내부에 격벽(112b)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112) 내부가 상측의 상기 저장공간(112a)과 하측의 스택공간(112c)으로 구획되되, 상기 격벽(112b)은 사료가 상기 저장공간(112a)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구(112e)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12) 일측에는 상기 스택공간(112c)을 개폐하는 개폐도어(112d)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모듈(120)은,
    상기 저장모듈(110)과 독립된 부품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에 마련된 결합편(121b)을 통해 상기 저장모듈(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포팬(127)은,
    점진적으로 회전속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구동 제어되는,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123)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이송벨트(123)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이송벨트(123) 외면에 잔존한 사료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스크래퍼(124);를 더 포함하는,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1020170054876A 2017-04-28 2017-04-28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10194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76A KR101940521B1 (ko) 2017-04-28 2017-04-28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76A KR101940521B1 (ko) 2017-04-28 2017-04-28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918A true KR20180120918A (ko) 2018-11-07
KR101940521B1 KR101940521B1 (ko) 2019-01-22

Family

ID=6436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876A KR101940521B1 (ko) 2017-04-28 2017-04-28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6690A (zh) * 2019-01-05 2020-07-14 珠海云鲲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自动投喂机的出料装置
CN111820171A (zh) * 2020-09-07 2020-10-27 南县小龙虾协会 一种稻虾综合种养饲料快速投喂装置
CN112219769A (zh) * 2020-10-16 2021-01-15 山东省渔业技术推广站 一种海水养殖饲料供给装置
KR102342826B1 (ko) * 2021-10-12 2021-12-23 최삼규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CN113875673A (zh) * 2021-11-19 2022-01-04 苏州市阳澄湖现代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虾蟹养殖用饲料定量不定点投喂一体机及使用方法
CN115943917A (zh) * 2023-01-10 2023-04-11 通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鱼苗种投喂装置及其投喂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111B1 (ko) * 2018-05-17 2021-03-22 (주)아쿠아넷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KR102521204B1 (ko) * 2020-12-15 2023-04-12 소옥이 입자크기가 작은 사료 등에 적합한 사료살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760A (ja) * 1985-01-19 1986-07-29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00004711A (ja) * 1998-06-26 2000-01-11 Yamaha Motor Co Ltd 自動給餌システム
JP2004283178A (ja) * 2004-06-07 2004-10-14 Dainichi Co Ltd 給餌装置
KR20130000145A (ko) 2011-06-22 2013-01-02 박기혁 양어장의 사료공급장치
KR20160016208A (ko) 2014-08-04 2016-02-15 이상준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760A (ja) * 1985-01-19 1986-07-29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2000004711A (ja) * 1998-06-26 2000-01-11 Yamaha Motor Co Ltd 自動給餌システム
JP2004283178A (ja) * 2004-06-07 2004-10-14 Dainichi Co Ltd 給餌装置
KR20130000145A (ko) 2011-06-22 2013-01-02 박기혁 양어장의 사료공급장치
KR20160016208A (ko) 2014-08-04 2016-02-15 이상준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6690A (zh) * 2019-01-05 2020-07-14 珠海云鲲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自动投喂机的出料装置
CN111820171A (zh) * 2020-09-07 2020-10-27 南县小龙虾协会 一种稻虾综合种养饲料快速投喂装置
CN112219769A (zh) * 2020-10-16 2021-01-15 山东省渔业技术推广站 一种海水养殖饲料供给装置
KR102342826B1 (ko) * 2021-10-12 2021-12-23 최삼규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CN113875673A (zh) * 2021-11-19 2022-01-04 苏州市阳澄湖现代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虾蟹养殖用饲料定量不定点投喂一体机及使用方法
CN115943917A (zh) * 2023-01-10 2023-04-11 通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鱼苗种投喂装置及其投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21B1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521B1 (ko)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US5927232A (en) Poultry feeder
EP3599836B1 (en) Feeder
CN206150132U (zh) 一种喂料器
EP2526763B1 (en) A poultry trough feeding system with feeding-trough segment(s) having dry feed and fluid feed inlets
KR101940520B1 (ko) 수리 보수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KR101827563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발효사료 생산장치
KR102229111B1 (ko)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어류용 사료급여기
CN109105934A (zh) 一种畜牧养殖饲料加工设备
US20120111277A1 (en) Removable adapter to facilitate manual filling of animal feeders
US7785866B2 (en) Compost tea apparatus
KR20160058637A (ko) 씨앗 선별 및 온탕소독장치
CN109076892B (zh) 一种蔬菜快速种植方法
KR100494258B1 (ko) 사료의 배합 및 정량 분배 공급장치
KR102415816B1 (ko)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CN217407438U (zh) 一种适用于鸡养殖便于补食的喂食装置
KR200468326Y1 (ko) 가축사료 자동 공급 장치
CN104872003A (zh) 养鸡场投料喂水一体机
US8282026B1 (en) Bedding distributor apparatus and method
KR200299023Y1 (ko) 양어장의 사료 자동공급기
KR101963542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KR100761221B1 (ko)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KR20220063422A (ko) 사료정량공급장치
KR200315771Y1 (ko) 어류용 사료공급장치
CN210538172U (zh) 一种可定量的鸡舍喂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