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816B1 -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 Google Patents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816B1
KR102415816B1 KR1020220007127A KR20220007127A KR102415816B1 KR 102415816 B1 KR102415816 B1 KR 102415816B1 KR 1020220007127 A KR1020220007127 A KR 1020220007127A KR 20220007127 A KR20220007127 A KR 20220007127A KR 102415816 B1 KR102415816 B1 KR 10241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distribution
screw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
공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 공경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0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mechanical injection of the materials, e.g. by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8Screws or like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에 설치된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 사료를 공급시키는 데 사용되는 피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사료가 저장되는 메인저장탱크로부터 일정량의 사료가 주기적으로 투입되는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상에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개수에 맞추어 사료분배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사료의 교반과 분배작업을 수행하는 회전식 이퀄라이저를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사료분배공 하측마다 스크류피더를 하나씩 연결시키고, 상기 각 스크류피더의 사료 출구에 송풍급이용 제트노즐을 하나씩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각각의 제트노즐이 송풍공기의 바이패스관에 의하여 분배교반탱크와 연결되게 함으로서, 하나의 피딩장치만으로도 양식어류의 생육에 적합한 최적의 급이시간 이내에 모든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의 일괄적인 동시 분산급이가 가능토록 하며, 제트노즐로부터 연장되는 사료공급관의 내부에 일시적인 압력상승(양압)이 발생하더라도 송풍공기의 일부가 스크류케이싱의 내부로 역류하지 않고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분배교반탱크로 유도되게 함으로서, 스크류케이싱을 따라 이송되는 사료가 송풍공기의 역류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적체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수(RPM) 제어를 통한 사료의 정량공급 역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멀티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Multi-feeding apparatus combined use of screw feeder and jet nozzle for the same time dispersive supply of a feed}
본 발명은 대용량의 사료가 저장되는 메인저장탱크로부터 일정량의 사료가 주기적으로 투입되는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상에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개수에 맞추어 사료분배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사료의 교반과 분배작업을 수행하는 회전식 이퀄라이저를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사료분배공 하측마다 스크류피더를 하나씩 연결시키고, 상기 각 스크류피더의 사료 출구에 송풍급이용 제트노즐을 하나씩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각각의 제트노즐이 송풍공기의 바이패스관에 의하여 분배교반탱크와 연결되게 함으로서, 하나의 피딩장치만으로도 양식어류의 생육에 적합한 최적의 급이시간 이내에 모든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의 일괄적인 동시 분산급이가 가능토록 한 멀티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에 양식수조를 설치하여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육상의 양식장 시설 뿐만 아니라, 호수나 저수지 또는 연안해역 등지의 수역(水域)에 가두리그물을 발판구조물과 함께 계류식(繫留式)으로 설치하여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 시설에서는 어류의 성장에 필요한 먹이, 즉 사료를 요구하는 시간대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공급시키는 것이 양식장의 관리 측면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기존에는 양식장 관리인이 현장으로 직접 투입되어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바가지 등으로 퍼담아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 내부로 사료를 흩뿌리는 방식의 수작업이 행하여졌는 바, 1일 3~4회의 급이시간에 맞추어 관리인이 선박으로 이동해야 하는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은 물론이고, 관리인이 상주할 수 있는 육상의 양식장에서도 전문인력의 채용에 따른 인건비 때문에 양식장의 관리에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양식장에 항시 상주해야 하는 열악하고 힘든 근무환경으로 말미암아 관리인의 구인 또한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존 관리인들의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매우 심각한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에 있어서는 바다에 위치하고 있는 환경적인 여건상 사료의 급이작업을 최대한 빨리 마무리지어야 하므로, 관리자가 가두리그물 주변의 발판에서 가두리그물의 중앙부로 한꺼번에 많은 량의 사료를 뿌리기 때문에 양식어류들이 사료를 충분히 섭취하기 이전에 가두리그물의 밑이나 옆으로 약20~30% 정도의 사료가 빠져나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크기가 크고 건강한 양식어류는 왕성한 먹이활동력으로 충분한 사료의 섭취가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약한 양식어류는 큰 고기에 밀려 사료를 제대로 먹지 못하는 성장불균형까지 초래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현장의 관리인을 대신하여 사료 자동 공급장치가 보급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사료 자동 공급장치는 사료의 공급시간과 그 투입량을 컨트롤러상에 미리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주기적인 사료공급을 수행토록 하되, 하루 5~10회에 걸쳐 소량의 사료를 조금씩 수시로 투입시키는 방식을 적용시킴에 따라, 큰 고기가 일차로 사료를 먼저 섭취한 이후 작은 고기들도 그 뒤를 이어 사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양식어류간의 사료섭취 불균형을 해소하여 양식어류 대부분이 골고루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과 동시에, 사료의 불필요한 낭비 또한 방지하여 양식어민들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사료 자동 공급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호퍼(Hopper) 형태로 제작된 사료저장통의 하단측에 로터리밸브 등을 설치하여 사료의 배출 및 차단작업을 수행토록 한 상태에서, 사료저장통의 하단 출구에 스크류 컨베이어로서의 스크류피더를 직접 연결시켜 사료의 배출과 공급(이송) 및 투입을 겸하도록 한 스크류식 사료공급장치와, 사료저장통의 하단 출구에 송풍팬이나 블로워(Blower) 등과 연결된 사료이송관으로서의 에어송풍관을 정량토출기와 함께 배치시킨 송풍식 사료공급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가 대량으로 저장되는 메인저장탱크로서의 사료저장통 하단에 스크류피더나 에어송풍관을 직접 연결시킴에 따라 하나의 사료공급장치로 하나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만 사료공급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다수 개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이 설치된 육상의 실내 양식장이나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에서는 각각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마다 사료공급장치가 하나씩 개별적으로 설치되어야 함으로서, 사료공급장치의 설치와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한편, 각각의 장치를 통한 사료의 투입과 사료의 관리 역시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료저장통의 하단에 설치된 정량토출기의 입구측에 송풍팬이나 블로워로부터 연장되는 에어송풍관(에어유입관)을 연결시키고, 상기 정량토출기의 출구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에어송풍관(에어배출관)의 말단에 로터리(회전) 방식이나 수평이동 방식의 송풍경로 조정기를 설치하며, 상기 송풍경로 조정기로부터 다수 개의 송풍급이관을 연장시키는 한편, 각각의 송풍급이관을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마다 하나씩 할당시킨 경로조정식 송풍급이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경로조정식 송풍급이장치에 따르면, 정량토출기로부터 연장되는 하나의 에어송풍관 출구를 각각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 개의 송풍급이관 입구와 선택적으로 대응시키는 방식의 송풍경로 조정기를 사용함으로서, 정량토출기를 거쳐 사료와 함께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경로, 즉 사료의 투입경로를 송풍경로 조정기에 제공된 각각의 송풍급이관 입구측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대응시킴에 따라, 하나의 사료공급장치만으로도 다수 개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사료급이가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일례로서, 상기 송풍기나 블로워 등으로부터 메인저장탱크 하부의 정량토출기를 거쳐 연장되는 송풍급이관이 양식장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상부면을 따라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 전체를 커버하는 하나의 단일급이라인을 이루도록 선회식(지그재그식)으로 설치한 다음, 각각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상부에 해당하는 송풍급이관 부분에 Y밸브나 T밸브를 설치한 상태에서, 송풍급이관을 따라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사료를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마다 할당된 순번에 맞추어 해당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 상부의 Y밸브나 T밸브를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는 송풍경로 전환방식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로조정식 송풍급이장치 또는 Y밸브나 T밸브를 이용한 송풍경로 전환방식의 경우에는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마다 정해진 순번에 맞추어 그 순서대로 사료의 급이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으로서, 양식어류의 식욕이 가장 왕성한 최적의 급이시간대에 다수 개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동시 다발적인 사료급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별로 양식어류의 성장속도와 양식효율에 상당한 불균형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경로조정식 송풍급이장치나 송풍경로 전환방식을 이용하여 하나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급이작업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게는 20분에서 길게는 40분 정도가 되므로, 총 5개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급이작업을 그 정해진 순번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수행한다고 가정할 경우, 사료급이에 소요되는 전체적인 시간은 최소 100분(1시간 40분)에서 최대 200분(3시간 20분) 정도가 되지만, 양식어류의 식욕이 가장 왕성하게 발현되는 시간은 길어야 30~60분 남짓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방식에 따라 1번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사료의 급이작업을 수행한 다음, 2번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 사료의 급이단계가 넘어가는 시점에 해당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양식어류는 그 식욕이 상대적으로 낮아진 상태가 되며, 그 이후의 3번과 4번 및 5번으로 넘어갈수록 양식어류의 식욕은 점차 큰 폭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별로 양식어류의 성장상태와 양식효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뒤늦게 급이가 수행된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양식어류는 위장장애로 인한 질병에도 취약하게 되는 등 양식어류간의 성장불균형이 야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급이순번을 지속적으로 변경시키거나 해당 순번이 랜덤식으로 채택되게 할 수도 있지만, 이는 양식장 관리의 혼선만을 초래할 뿐이고 최적의 급이시간대에 동시적 분산급이를 수행하지 못함에 따른 성장불균형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었으며, 양식어류의 식욕이 가장 왕성한 시간대에 투입된 사료는 대부분이 먹이로 활용되지만, 그 이후의 시간에 투입된 사료는 상당량이 먹이로 활용되지 못함에 따라, 사료의 불필요한 낭비와 양식장의 수질오염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특히, 종래의 경로조정식 송풍급이장치를 이용하여 총 5개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급이작업을 1일 3~4회 정도 수행한다고 가정하면, 하루 24시간 중 최소 300분(5시간)에서 최대 800분(13시간 20분) 동안 송풍급이장치가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가동되어야 하고,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이 10개 정도의 비교적 많은 개수로 설치된 경우에는 송풍급이장치가 거의 하루종일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가동되어야 함으로서, 양식장의 운영에 많은 전력이 소비되어 당업자(양식어가)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개수가 많은 양식장의 경우 종래의 송풍식 급이장치를 여러 대로 설치하여 각각의 급이장치마다 할당되는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개수를 줄여야 하는 바, 이 또한 당업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설치비용의 증대)이 되었으며, 실내공간이 협소한 육상의 양식장에 있어서는 여러 대의 급이장치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매우 어렵게 됨은 물론이고,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에 있어서는 통상 10개 이상의 가두리그물이 셀(Cell) 방식으로 한데 모아 설치됨으로서, 여러 대의 급이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정량토출기로서 스크류피더를 이용하고 상기 에어송풍관으로서 제트노즐을 이용하는 사료공급장치의 경우는, 제트노즐로부터 연장되는 송풍급이용 사료공급관의 내부공간이 좁거나, 사료공급관의 길이가 길게 되거나, 사료의 공급량이 순간적으로 증대되어 사료공급관의 통로공간이 줄어들거나, 사료공급관을 이루는 배관라인 중의 굽어진 부분 내측에 사료가 일시 정체되는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사료공급관의 내부에 일시적인 압력상승(양압)이 유발될 경우, 제트노즐을 거쳐 분사되는 송풍공기의 일부가 스크류피더의 스크류케이싱 내부로 역류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트노즐을 거쳐 고속으로 분사되어야 할 송풍공기의 일부가 스크류케이싱의 내부로 역류하게 되면, 스크류케이싱을 통하여 이송되어져 나오는 사료가 역류된 송풍공기에 의하여 그 이송 방향과 반대되는 사료저장통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적체됨으로서, 스테핑모터로서의 스크류모터를 이용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수(RPM)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방식으로 스크류피더로부터 제트노즐로 유입되는 사료를 정량화시키는 정량급이 측면에서 사료의 불규칙한 공급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료공급관의 일시적인 내압상승으로 송풍공기가 스크류케이싱으로 역류함에 따라 스크류케이싱을 통하여 이송되는 사료가 반대 방향으로 밀려 들어갈 경우에는, 기설정된 이송스크류의 회전수를 기준으로 하는 사료의 실질적인 급이량이 정량기준치보다 불규칙하게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고, 사료공급관의 내압이 정상화된 시점에서는 스크류케이싱의 내부에 적체되어 있던 사료가 한꺼번에 배출되는 등, 사료의 실질적인 급이량을 정량급이 조건에 맞추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사료 급이량간의 큰 편차(偏差)는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서 사육되는 양식어류의 크기나 양식어류의 마리수에 따라 적정량의 사료가 공급되게 설정하여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사료의 불규칙한 공급으로 말미암아 어느 정도의 사료량이 실질적으로 공급되었는지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양식어류의 성장에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투입된 사료 성분에 의한 사육수의 오염과 양식어류의 질병 및 폐사까지 초래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스크류피더의 스크류케이싱 출구가 연결되는 제트노즐의 내측 부분에는 고깔형 분사헤드와 연계된 사료흡입용 부압(負壓: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공간이 제공되므로, 스크류케이싱으로부터 제트노즐의 내부로 유도된 사료중의 일부가 분사헤드의 하부측에 해당하는 부압공간으로 흘러 내리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분사헤드 하부측의 부압공간으로 흘러 내린 사료의 대부분이 사료공급관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해당 공간에 끼여 있는 상태로 장기간 적체 및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제트노즐의 원리를 활용한 사료의 원활한 유도와 공급 및 그 정량급이를 어렵게 하는 추가적인 요인이 됨은 물론이고, 해당 공간에서 부패된 사료의 일부 또는 전부가 떨어져 나가 양식수조로 공급될 경우에는 활어수의 오염에 따른 양식어류의 질병발생률과 폐사율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육상의 실내 양식장이나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는 양식어류의 성장 촉진과 질병 예방을 위하여 영양제나 항생제 등의 약품을 사료에 자주 혼합시켜 사용하는 바, 기존에는 약품혼합탱크를 사료공급장치와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서 당업자에게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사료급이장치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품혼합탱크에서 사료의 표면에 약품 성분을 코팅시킨 이후, 이를 사료급이장치로 다시 투입하지 않고 약품혼합탱크에 저장된 사료를 작업자가 직접 바가지 등으로 퍼담아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 사료를 흩뿌리는 방식의 수동급이를 행함으로서, 사료급이의 자동화 측면에 오히려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탱크드럼의 내부로 1~10mm 크기(직경)를 가지는 입자형 사료를 일정량만큼 투입시킨 다음, 상기 탱크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액상의 약품을 바가지 등의 용기에 담아 탱크 내부로 직접 뿌려주거나 약병의 입구를 뒤집어 탱크 내부로 직접 부어주는 방식이 적용됨에 따라, 입자형 사료가 액상의 약품과 함께 서로 엉겨 붙으면서 덩어리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사료의 전반에 걸친 약품의 균일한 코팅 효과와 우수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약품 성분이 코팅된 사료를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은 수동급이 방식으로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 투입시킴에 따라 작업자의 불필요한 노동이 추가됨은 물론이고, 작업자가 항생제 등의 약품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등, 약품의 코팅 처리과정과 약품 처리된 사료의 취급과정 역시 매우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6770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1175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용량의 사료가 저장되는 메인저장탱크로부터 일정량의 사료가 주기적으로 투입되는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상에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개수에 맞추어 사료분배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사료의 교반과 분배작업을 수행하는 회전식 이퀄라이저를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사료분배공 하측마다 스크류피더를 하나씩 연결시키고, 상기 각 스크류피더의 사료 출구에 송풍급이용 제트노즐을 하나씩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각각의 제트노즐이 송풍공기의 바이패스관에 의하여 분배교반탱크와 연결되게 함으로서, 하나의 피딩장치만으로도 양식어류의 생육에 적합한 최적의 급이시간 이내에 모든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의 일괄적인 동시 분산급이가 가능토록 하며, 제트노즐로부터 연장되는 사료공급관의 내부에 일시적인 압력상승(양압)이 발생하더라도 송풍공기의 일부가 스크류케이싱의 내부로 역류하지 않고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분배교반탱크로 유도되게 함으로서, 스크류케이싱을 따라 이송되는 사료가 송풍공기의 역류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적체되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수(RPM) 제어를 통한 사료의 정량공급 역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멀티피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바이패스관에 유량조정용 밸브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크류케이싱과 바이패스관의 사이에 소정의 확장공간을 제공하는 감압챔버를 설치함으로서, 바이패스관을 거쳐 분배교반탱크로 유도되는 역류공기의 흐름에 편승하여 일정량의 사료가 불필요하게 딸려 나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트노즐의 내부로 삽입되는 분사노즐의 노즐몸통 선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분사헤드를 에워싸는 방식의 보조분사공을 형성시키되, 그 상부측 가장자리보다 하부측 가장자리에 보다 많은 개수의 보조분사공을 형성시킴으로서, 분사헤드의 하부측을 포함한 부압공간에 걸쳐 사료가 불필요하게 정체 및 누적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몸통을 제트노즐의 메인케이싱 후방측에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메인케이싱과 노즐몸통의 외측면에 세팅마커와 눈금을 각각 제공함으로서, 분사노즐의 장착 방향과 장착 깊이를 정확하게 판단 및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탱크덮개 상부면에 영양제나 항생제 등의 약품주입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탱크덮개의 하부면에는 약품주입호스의 출구와 연결되는 약품분사노즐을 배치하는 한편, 분배교반탱크의 외측면상에 전기히터를 설치함으로서, 사료에 대한 약품의 균일한 코팅처리 및 신속한 건조작업을 분배교반탱크에서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멀티피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피딩장치는, 상부면에 탱크덮개가 설치되고 내측 바닥면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사료분배공이 형성된 분배교반탱크와,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일측 외부면에 제공되는 사료투입구와,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하부측에서 각각의 사료분배공마다 하나씩 연결 설치된 상태로 임의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설치되는 스크류피더와, 상기 각 스크류피더의 사료 출구 하측에 하나씩 연결된 상태로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의 송풍식 사료급이를 수행하는 제트노즐과,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에서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사료투입구로부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로 투입된 사료의 교반과 배분작업을 수행하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피더는 분배교반탱크의 사료분배공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케이싱과, 상기 스크류케이싱의 선단면 또는 후단면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모터와, 상기 스크류모터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스크류축과 함께 스크류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케이싱의 일측단 상부면에는 사료분배공과 연결되는 사료배출관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케이싱의 타측단 하부면에는 제트노즐을 통한 사료 출구로서의 연결관이 설치되며, 상기 제트노즐은 연결관에 의하여 해당 스크류피더의 스크류케이싱과 연통되는 메인케이싱과, 상기 메인케이싱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파이프형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 선단의 고깔형 분사헤드 전방측에 배치되는 깔때기형 도입구와, 상기 도입구의 선단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분사파이프와, 상기 분사파이프 선단측의 확관부를 거쳐 메인케이싱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토출관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헤드와 도입구의 사이에 사료흡입용 부압공간이 제공되는 한편, 상기 연결관은 부압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의 후단부측에 공기주입용 송풍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케이싱의 토출관에 송풍급이용 사료공급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과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스크류케이싱의 타측 단부에는 분사헤드 선단의 분사공으로부터 도입구측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의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이 스크류케이싱으로부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분배교반탱크로 회수되는 송풍공기의 유량 조정을 위한 밸브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크류케이싱과 바이패스관의 사이에는 감압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감압챔버는 실린더 형상의 챔버몸통 상단측과 하단측에 고깔형 유출부와 깔때기형 도입부가 각각 제공된 것이며, 상기 감압챔버의 유출부 상단에 바이패스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감압챔버의 도입부 하단에는 유도관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도관이 연결관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스크류케이싱의 타측단 상부면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헤드는 실린더 형상의 노즐몸통 선단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진 부위에 해당하는 노즐몸통의 선단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송풍공기의 보조분사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노즐몸통 선단면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보조분사공의 개수는 노즐몸통 선단면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보조분사공 개수의 최소 1.5배에서 최대 5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인케이싱의 후방면은 노즐몸통의 끼움식 장착을 위한 개구부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케이싱과 노즐몸통의 후단부 외측면에는 분사노즐의 정확한 장착을 위한 세팅마커가 대응 형성되고, 상기 노즐몸통의 외측면상에는 메인케이싱에 대한 분사노즐의 삽입 깊이를 표시하는 눈금이 제공되며, 상기 메인케이싱의 후방측에는 노즐몸통의 위치 고정을 위한 세팅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탱크덮개 상부면에는 약품주입호스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탱크덮개의 하부면에는 약품주입호스의 출구와 연결되는 약품분사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 외측이나 측면부 또는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 외측과 측면부에는 전기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기히터는 일측면이 개구된 상태로 분배교반탱크의 외측면상에 설치되는 히터케이싱과, 상기 히터케이싱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전열블록과, 상기 전열블록을 관통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시즈히터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외측면과 전열블록의 사이에는 전열그리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배교반탱크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직립식 원통 탱크가 되거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수평형 드럼 탱크가 되고, 상기 이퀄라이저는 직립식 원통 탱크가 되는 분배교반탱크의 내부 중앙측에서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축 또는 수평형 드럼 탱크가 되는 분배교반탱크의 내부 하측에서 분배교반탱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연결된 상태로 해당 작동축과 함께 분배교반탱크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축의 하단측 또는 일측단이 분배교반탱크의 외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저장탱크로부터 분배교반탱크로 투입된 일정량의 사료를 이퀄라이저와 각각의 스크류피더 및 제트노즐을 이용하여 양식장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 전체로 일괄 분산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피딩장치만으로도 양식어류의 식욕이 가장 왕성한 최적의 급이시간 이내에 모든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의 동시적 사료급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정해진 순번에 맞추어 순차적인 사료급이를 수행하였던 종래의 방식보다 양식어류의 성장속도와 양식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피딩장치의 전체적인 가동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불필요한 에너지(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각각의 제트노즐로부터 연장되는 사료공급관을 이용하여 피딩장치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진 위치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도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손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각각의 제트노즐을 해당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과 연결하는 사료공급관의 내부에 일시적인 압력상승(양압)이 발생하더라도 제트노즐을 거쳐 고속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의 일부가 스크류피더의 스크류케이싱 내부로 역류하지 않고 바이패스관을 통하여 분배교반탱크로 유도되게 함으로서, 스크류케이싱을 따라 이송되는 사료가 송풍공기의 역류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적체되거나 분배교반탱크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수 제어에 의한 사료의 정량급이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바이패스관에 유량조정용 밸브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크류케이싱과 바이패스관의 사이에 소정의 확장공간을 제공하는 감압챔버를 설치함으로서, 바이패스관을 거쳐 분배교반탱크로 유도되는 역류공기의 흐름에 편승하여 일정량의 사료가 불필요하게 딸려 나가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분사노즐의 노즐몸통 선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보조분사공을 이용하여 부압공간으로 유도된 사료의 전량(全量)이 도입구를 거쳐 분사파이프측으로 보다 더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함으로서, 분사헤드의 하부측을 포함한 부압공간에 사료가 불필요하게 정체 및 누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궁극적으로는, 이송스크류의 회전수 제어와 송풍공기의 분사를 통한 사료의 정량급이에 지장을 초래하였던 여러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소시켜 사료의 정량급이를 한층 더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편차없이 수행토록 함으로서, 양식어류의 고른 성장과 건강한 사육환경을 조성하고 사육수의 오염에 따른 양식어류의 질병발생률과 폐사율을 제로(Zero)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제트노즐의 메인케이싱과 분사노즐의 노즐몸통에 제공된 세팅마커 및 눈금을 이용하여 분사노즐을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히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료공급관을 통한 사료의 공급속도 역시 현장 여건에 맞추어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분배교반탱크로 투입된 사료를 이퀄라이저로 교반시키는 도중에 약품주입호스와 약품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액상의 약품 성분을 넓은 범위에 걸쳐 미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분배교반탱크로 투입된 입자형 사료가 액상의 약품 성분에 의하여 서로 엉겨 붙으면서 덩어리지지 않고 투입된 사료의 전반에 걸쳐 약품 성분을 균일하게 코팅시킬 수 있는 한편,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약품의 코팅 및 건조처리에 소요되는 시간도 최대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사료의 교반식 배분작업을 수행하는 분배교반탱크의 내부에서 약품의 코팅 및 건조처리까지 일괄 수행토록 함에 따라, 사료공급장치와 약품처리탱크를 별도로 제작 및 사용하였던 종래의 경우보다 한층 더 경제적인 방식을 제공할 수 있고, 비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사료와 약품의 관리 및 취급 또한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분배교반탱크의 내부에서 사료에 대한 약품의 코팅 및 건조처리가 완료되는 즉시 각각의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을 이용하여 해당 사료를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 최단시간내에 공급시킴으로서 약품 성분의 우수한 약효를 보장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피딩장치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개폐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의 사료공급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링크커플러를 이용한 배관연결 상태의 예시도.
도 10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이퀄라이저의 종류별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피딩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피딩장치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도 12의 측단면도.
도 15는 개폐덮개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 14의 A-A선 단면도.
도 16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이퀄라이저의 종류별 예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피딩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탱크덮개(2)가 설치되고 내측 바닥면에는 다수 개의 사료분배공(17)이 형성된 분배교반탱크(1)와,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일측 외부면에 제공되는 사료투입구(4)와,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하부측에서 각각의 사료분배공(17)마다 하나씩 연결 설치된 상태로 임의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설치되는 스크류피더(Screw feeder)(7)와, 상기 각 스크류피더(7)의 사료 출구 하측에 하나씩 연결된 상태로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의 송풍식 사료급이를 수행하는 제트노즐(13)과,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에서 구동모터(5)의 동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료투입구(4)로부터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로 투입된 사료의 교반과 배분작업을 수행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20)를 기본구성요소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교반탱크(1)는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가지는 직립식 원통형 탱크로 제작되어 있고,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하부에는 본 발명의 멀티피딩장치(10)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으로서의 장치받침대(10a)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덮개(2)는 분배교반탱크(1)의 개구된 상단면을 덮는 원판 형태의 뚜껑으로 제작되는 한편, 그 중의 반원판 부분이 힌지식 개폐덮개(3)로 하여 나머지 탱크덮개(2)의 반원판 부분과 경첩(2a)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료투입구(4)는 호퍼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그 하단측 출구 부분이 분배교반탱크(1)의 원통 벽체 하측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사료분배공(17)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피딩장치(10)가 적용되는 양식장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개수에 맞추어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형성시키되, 상기 각각의 사료분배공(17)이 이퀄라이저(20)의 회전반경내에 놓이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스크류피더(7)는 분배교반탱크(1)의 사료분배공(17)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케이싱(11)과, 상기 스크류케이싱(11)의 선단면 또는 후단면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모터(12)와, 상기 스크류모터(12)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스크류축(7b)과 함께 스크류케이싱(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는 이송스크류(7a)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케이싱(11)의 일측단 상부면에 해당 위치의 사료분배공(17)과 연결되는 사료배출관(11a)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케이싱(11)의 타측단 하부면에 제트노즐(13)과의 연결관(11b)이 설치될 것이고, 상기 연결관(11b)이 스크류케이싱(11)의 사료 출구를 제공하게 되며, 상기 각각의 스크류피더(7)를 양식장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마다 하나씩 할당시킨 다음, 각각의 스크류피더(7)마다 제공된 제트노즐(13)의 출구측으로부터 해당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까지 송풍급이용 사료공급관을 연장시키게 되면, 분배교반탱크(1)로 투입된 일정량의 사료를 상기 이퀄라이저(20) 및 각각의 스크류피더(7)와 제트노즐(13)을 이용하여 양식장의 모든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동시적 분산식 사료급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스크류피더(7)를 이루는 스크류모터(12)가 분배교반탱크(1)의 하부에 해당하는 스크류케이싱(11)의 사료배출관(11a)측 단부에 설치된 경우는 이송스크류(7a)로 사료를 밀어내는 정회전 급이방식이 되고, 상기 스크류모터(12)가 스크류케이싱(11)의 연결관(11b)측 단부에 설치된 경우는 이송스크류(7a)로 사료를 당겨오는 역회전 급이방식이 될 것이며, 상기 스크류모터(12)는 감속기(12a) 일체형의 기어드모터로 하여 장치받침대(10a)에 제공된 모터장착대(12b)상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트노즐(13)은 공지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을 거쳐 고속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에 의하여 조성된 부압을 이용하여 스크류케이싱(11)으로부터 사료를 흡입식으로 유도한 다음, 이를 송풍공기와 함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측으로 공급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양식장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이 총 6개로 설치되었다는 가정하에서, 분배교반탱크(1)의 좌측과 우측에 걸쳐 각각 3개씩의 스크류피더(7)를 나누어 연결시키되, 양측 3개씩의 스크류피더(7)가 장치받침대(10a)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스크류피더(7)를 이루는 스크류케이싱(11)의 단부측 연결관(11b)이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이도록 한 다음, 각 스크류케이싱(11)의 연결관(11b)마다 제트노즐(13)을 하나씩 연결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상기 스크류피더(7)용 스크류모터(12)는 해당 스크류케이싱(11)의 연결관(11b)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11b)의 상부측에 해당하는 스크류케이싱(11) 부분에는 제트노즐(13)을 거쳐 고속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의 역류시 그 우회로를 제공하도록 감암챔버(8)를 개재시킨 상태로 바이패스관(9)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관(9)이 밸브기구(9a)를 구비한 상태로 스크류케이싱(11)으로부터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제트노즐(13)은 하나의 대용량 송풍팬이나 블로워 등과 동시에 연결 설치될 수도 있고, 각각의 제트노즐(13)마다 송풍팬이나 블로워 등이 개별적으로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케이싱(11)의 사료배출관(11a)이 사료분배공(17)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기밀(氣密)용 조립플랜지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관(11b)에는 스크류피더(7)와 제트노즐(13)간의 착탈 기능과 기밀유지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링크커플러(13a)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감압챔버(8)가 스크류케이싱(11)과 연결되는 부위에도 링크커플러(13a)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크류피더(7)와 제트노즐(13) 및 감암챔버(8)와 바이패스관(9)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피딩장치(10)의 주된 요부를 이루는 사료공급유닛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료공급유닛은 도 6 내지 도 9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교반탱크(1)의 사료분배공(17) 하측에 사료배출관(11a)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사료배출관(11a)이 스크류피더(7)의 스크류케이싱(11) 일측단(도면상 우측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케이싱(11)의 타측단(도면상 좌측단) 하부에 사료공급용 송풍공기의 제트노즐(13)이 연결관(11b)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트노즐(13)의 후방측 입구에 송풍기 또는 블로워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송풍관(38)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트노즐(13)의 선단측 출구에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미도시)로 연장되는 사료공급관(42)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피더(7)는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실린더 형상의 스크류케이싱(11)을 따라 사료의 이송스크류(7a)가 삽입 설치된 것이고, 상기 이송스크류(7a)의 스크류축(7b) 일측단이 스크류케이싱(11)의 단부 외측에 고정된 감속기(12a)를 거쳐 스크류모터(12)와 연결 설치됨에 따라, 스크류케이싱(11)의 내부에서 이송스크류(7a)가 축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스크류축(7b)의 타측 단부는 해당 위치에서 스크류케이싱(11)과 조립 설치되는 단부캡(36)의 베어링(36a)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트노즐(13)의 경우에는 연결관(11b)에 의하여 스크류케이싱(11)과 연통되는 실린더 형상의 메인케이싱(39)과, 상기 메인케이싱(39)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파이프형 분사노즐(37)과, 상기 분사노즐(37) 선단의 고깔형 분사헤드(37c) 전방측에 배치되는 깔때기형 도입구(49)와, 상기 도입구(49)의 선단측으로부터 메인케이싱(39)의 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분사파이프(51)와, 상기 분사파이프(51) 선단측의 확관부(51a)를 거쳐 메인케이싱(39)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토출관(4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헤드(37c)와 도입구(49)의 사이에 송풍공기의 고속분사에 따른 사료흡입용 부압공간(50)이 제공될 것이고, 상기 연결관(11b)은 스크류케이싱(11)의 사료 배출용 출구를 부압공간(50)과 연통시키도록 설치될 것이며, 상기 송풍관(38)은 분사노즐(37)의 노즐몸통(37a) 후방측의 유입관(37b)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사료공급관(42)은 토출관(41)의 선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메인케이싱(39)의 선단측은 토출관(41)의 외측면이 끼워지는 핏팅파이프(39a)로 형성되고, 상기 송풍관(38)과 사료공급관(42)은 통상적으로 유연한 재질의 호스가 사용되는 한편, 클램핑밴드(38a)(42a) 등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유입관(37b) 및 토출관(41)과 견고하게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크류피더(7)의 스크류축(7b) 양측단에는 공지의 리테이너씰(Retainer seal)(48)을 적용시킴으로서, 이송스크류(7a)의 축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면서도 스크류케이싱(11)의 단부측을 통한 송풍공기의 불필요한 누설은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면상 상기 제트노즐(13)이 스크류케이싱(11)과 90도 각도로 교차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크류피더(7)와 제트노즐(13)간의 연결각도는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미도시)의 배치상태 등에 맞추어 임의대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리테이너씰(48)은 스크류축(7b)의 양측단에 베어링(12d)(36a)을 세팅시키기 위한 리테이너홀더(Retainer holder)(48a)와 함께 스크류케이싱(11)의 양측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합성수지 등의 탄성소재를 이용하여 "∠"자형 단면을 가지는 링 형태로 제작되는 한편, 해당 몸체의 내부에 "∠"자형 가압스프링(48b)을 개재시킴에 따라, 그 내주연 부분이 스크류축(7b)과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송풍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착단부(48c)를 이루도록 한 것이며, 이외에도 송풍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스크류축(7b)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의 리테이너씰을 적용시키더라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리테이너씰(48)의 장착을 위하여 스크류모터(12)용 감속기(12a)의 구동축(12c)과 연결되는 스크류축(7b)의 일측단 외주면에는 리테이너홀더(48a)의 스토퍼(7c)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축(7b)의 타측 단부는 리테이너홀더(48a)와 연결된 상태로 스크류케이싱(11)과 조립 설치되는 단부캡(3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리테이너홀더(48a)와 스크류축(7b)의 단부 사이에 리테이너씰(48)이 베어링(12d)(36a)과 함께 삽입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1b)과 인접한 위치, 도면상 연결관(11b)과 마주보는 스크류케이싱(11)의 상부측 위치에 분사헤드(37c) 선단의 분사공으로부터 도입구(49)측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의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관(9)이 연결 설치되는 바, 상기 바이패스관(9)이 스크류케이싱(11)으로부터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바이패스관(9)에는 분배교반탱크(1)로 회수되는 송풍공기의 유량 조정을 위한 밸브기구(9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관(9)을 스크류케이싱(11)으로부터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까지 연장시키는 이유는, 스크류피더(7)와 제트노즐(13)이 포함된 사료공급경로의 내부로 외기나 수분(습기) 등이 불필요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바이패스관(9)의 최종 출구는 분배교반탱크(1) 이외의 다른 부분에도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기구(9a)는 볼밸브나 게이트밸브 또는 버터플라이 밸브와 같이 공지된 어떠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와 더불어,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밸브기구(9a)로부터 분배교반탱크(1)로 연장되는 바이패스관(9) 중에서 밸브기구(9a)가 포함된 일정 길이만큼의 배관라인은 금속관으로 하고, 해당 금속관을 분배교반탱크(1)와 연결시키는 나머지 배관라인은 유연한 재질의 연결호스(44)로 하는 것이 그 적용성 측면에서 보다 더 유리하며, 상기 금속관과 연결호스(44)는 클램핑밴드(44a)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외측면상에 바이패스관(9)의 연결호스(44)에 끼워지는 금속관으로서의 회수포트(9b)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회수포트(9b)의 후방측 출구(도 7에서 우측단) 부분이 분배교반탱크(1)의 벽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것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류케이싱(11)과 바이패스관(9)의 사이에 소정의 확장공간을 제공하는 감압챔버(8)를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감압챔버(8)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실린더 형상의 챔버몸통(8a) 상단측과 하단측에 고깔형 유출부(8c)와 깔때기형 도입부(8b)가 각각 제공된 것이고, 상기 감압챔버(8)의 유출부(8c) 상단 출구에 바이패스관(9)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감압챔버(8)의 도입부(8b) 하단 입구에는 유도관(11c)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11c)이 연결관(11b)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스크류케이싱(11)의 상부면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압챔버(8)는 바이패스관(9)을 거쳐 분배교반탱크(1)로 유도되는 역류성 송풍공기의 유속과 압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낮추어 줌으로서, 제트노즐(13)의 부압공간(50)으로 흡입되어야 할 사료의 일부가 바이패스관(9)을 거쳐 분배교반탱크(1)로 불필요하게 딸려 나가지 않고 유도관(11c) 및 연결관(11b)을 거쳐 부압공간(50)의 내부로 다시 낙하(落下)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유도관(11c)의 직경은 연결관(11b)의 직경과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바이패스관(9)의 직경은 유도관(11c) 직경의 1/5 내지 1/10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챔버몸통(8a)의 직경은 유도관(11c) 직경의 1.5~3배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압챔버(8)와 연결되는 바이패스관(9)의 단부측에는 끼움식 또는 나사체결식의 연결캡(43)을 적용시킴으로서, 감압챔버(8)와 바이패스관(9)을 손쉽게 분리 및 재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도관(11c)의 경우에도 상,하 2개의 배관으로 분리시킨 다음, 분리된 각각의 배관이 맞대어지는 연결부위에 플랜지부(13b)를 돌출 형성시키고, 각각의 플랜지부(13b)를 공지된 링크커플러(Link coupler)(13a)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감압챔버(8)를 스크류케이싱(11)과도 분리 및 재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감압챔버(8)를 바이패스관(9) 및 스크류케이싱(11)과 필요시마다 분리 및 재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면, 감압챔버(8) 내부의 청소작업 등을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스크류케이싱(11)과 제트노즐(13)을 연결하는 연결관(11b)의 경우에도 플랜지부(13b)에 의하여 상,하로 맞대어지는 2개의 배관으로 분리시킨 다음, 각각의 배관을 링크커플러(13a)로 연결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플랜지부(13b)가 제공된 분리면을 제외한 유도관(11c)과 연결관(11b)의 나머지 단부는 감압챔버(8)의 도입부(8b)와 스크류케이싱(11) 및 제트노즐(13)의 메인케이싱(39) 외측면에 용접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도면상 수직 방향으로 직립 설치된 상기 감압챔버(8)를 스크류피더(7)의 스크류케이싱(11)과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결시켜 설치하더라도 무방하고, 상기 스크류케이싱(11)과 제트노즐(13)용 메인케이싱(39)의 경우에도 수직 방향이 아닌 임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케이싱(39)이 연결관(11b)의 플랜지부(13b)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스크류케이싱에 대한 메인케이싱의 상대적인 각운동)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유도관(11c)과 연결관(11b)의 분리 및 재조립에 사용되는 링크커플러(13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圓弧)상으로 형성되는 총 3개의 클램프바디(52)가 링크죠인트(53)를 개재시킨 상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클램프바디(52)는 상,하 2개의 플랜지부(13b)를 견고하게 맞물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한편, 제 1 클램프바디(52)와 제 3 클램프바디(52)의 선단측에는 링크커플러(13a)의 결착단부(54)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단부(54)에는 클램핑볼트(55)와 핏팅너트(55a)를 이용하여 각각의 클램프바디(52)를 오므려 조이거나 풀어내기 위한 체결공(5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링크커플러(13a) 이외에도 플랜지부(13b)에 의하여 상,하 2개의 배관으로 맞대어지는 연결관(11b)과 유도관(11c)을 착탈식으로 분리 및 재조립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커플러가 사용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플랜지부(13b)를 따라 다수 개의 체결공을 대응 형성시킨 다음, 각 플랜지부(13b)간의 밀착면 사이에 밀폐링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해당 플랜지부(13b)를 조립 설치하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분사노즐(37)의 분사헤드(37c)를 실린더 형상의 노즐몸통(37a) 선단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시키고, 상기 단턱진 부위에 해당하는 노즐몸통(37a)의 선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송풍공기의 보조분사공(45)을 관통 형성시켰으며, 이러한 방식의 적용을 통하여 분사헤드(37c) 주변의 부압공간(50)으로 유입된 사료를 도입구(49) 내측으로 보다 더 확실하게 유도시킴으로서, 분사헤드(37c) 선단의 (메인)분사공을 거쳐 고속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에 흐름에 편승하여 사료의 전량이 분사파이프(51)로 투입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노즐몸통(37a) 선단면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보조분사공(45)의 개수(배치간격)를 노즐몸통(37a) 선단면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보조분사공(45)의 개수(배치간격)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조밀한 간격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다량의 사료가 정체 및 누적되기 쉬운 분사헤드(37c) 하부측의 부압공간(50)으로 송풍공기의 보조유량 대부분을 집중시킴에 따라 해당 공간으로 유입되는 사료를 도입구(49)측으로 한층 더 강하게 밀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노즐몸통(37a) 선단면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보조분사공(45)의 개수는 노즐몸통(37a) 선단면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보조분사공(45)의 개수보다 최소 1.5배에서 최대 5배 수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을 기준으로 할 경우 노즐몸통(37a) 선단면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총 7개의 보조분사공(4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총 3개의 보조분사공(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분사공(45)을 지나치게 많은 개수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분사헤드(37c) 선단의 (메인)분사공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의 유속과 압력을 오히려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보조분사공(45)의 개수는 최대 20개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37)의 노즐몸통(37a) 선단면 상부측 가장자리와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분사공(45)이 형성되는 개수를 달리할 경우, 상부측과 하부측 보조분사공(45)이 정확한 위치에 세팅될 수 있도록 제트노즐(13)의 메인케이싱(39)에 대한 분사노즐(37)의 조립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도 6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케이싱(39)과 노즐몸통(37a)의 후단부 외측면에는 분사노즐(37)의 정확한 장착을 위한 세팅마커(Setting marker)(46)가 대응 형성되어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케이싱(39)의 후방측은 노즐몸통(37a)의 끼움식 장착을 위한 개구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인케이싱(39)의 개구된 후단부를 통하여 분사노즐(37)이 삽입되는 깊이는 분사노즐(37)의 분사헤드(37c)가 도입구(49)와 이격되는 간격 및 이에 따른 송풍공기의 분사력과 사료공급관(42)을 통한 사료의 공급속도를 결정하는 요소가 되는 바, 분사노즐(37)의 삽입 깊이가 깊어질수록 송풍공기의 분사력과 사료의 공급속도는 증대되고, 분사노즐(37)의 삽입 깊이가 적어질수록 송풍공기의 분사력과 사료의 공급속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케이싱(39)을 통한 분사노즐(37)의 삽입 깊이를 조정하게 되면, 사료공급관(42)을 거쳐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 공급되는 사료의 공급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몸통(37a)의 외측면상에 메인케이싱(39)에 대한 분사노즐(37)의 삽입 깊이를 표시하는 눈금(47)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상 상기 눈금(47)이 세팅마커(46)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나, 세팅마커(46)와 무관한 위치에 눈금(47)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37)의 노즐몸통(37a)에 형성되는 눈금(47)의 최초 위치가 분사노즐(37)의 최소 삽입 깊이가 되도록 하고, 해당 눈금(47)의 최종 위치가 분사노즐(37)의 최대 삽입 깊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노즐몸통(37a)의 세팅된 위치가 사료공급유닛(4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 인하여 변동되지 않도록, 메인케이싱(39)으로부터 노즐몸통(37a)측으로 체결되어 노즐몸통(37a)을 가압하는 세팅볼트(39b) 또는 메인케이싱(39)의 후단부를 노즐몸통(37a) 부분과 함께 조이는 클램핑밴드(미도시) 등으로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켜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료공급유닛(40)과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이퀄라이저(20)는 구동모터(5)의 동력에 의하여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사료투입구(4)를 거쳐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로 투입된 일정량의 사료를 각각의 사료분배공(17)을 통하여 스크류피더(7)마다 고르게 배분시킴과 동시에, 이후에 설명되어질 약품분사노즐(16)을 통하여 분사되는 약품 성분이 사료의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사료를 교반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의 이퀄라이저(20)가 설치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이퀄라이저(20)의 회전작동을 위한 작동축(19)이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 중앙측에서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작동축(19)의 하단부에 종동스프라켓(19a)이 조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5)는 분배교반탱크(1)와 인접한 위치에서 장치받침대(10a)의 상부면에 제공된 테이블식 모터받침대(6)상에 하향 직립식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받침대(6)의 하부에서 구동모터(5)의 출력축과 조립되는 구동스프라켓(5a)이 미도시된 체인에 의하여 작동축(19)의 종동스프라켓(19a)과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퀄라이저(20)는 작동축(19)의 상단측에 연결된 상태로 분배교반탱크(1) 바닥면의 사료분배공(17)을 향하여 아치(Arch)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21)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21) 하단측에 연결된 상태로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과 근접 배치되는 풋패널(Foot panel)(22)과, 상기 일측 메인프레임(21)의 중앙부에 날개 형태로 연결 설치되는 "ㅌ"자형 윙프레임(23)과, 상기 타측 메인프레임(21)으로부터 분배교반탱크(1)의 원통 벽체와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ㄱ"자형 보조프레임(25)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축(19)의 상단측과 각각의 메인프레임(21) 사이에 걸쳐 보강대(24)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퀄라이저(20)의 풋패널(22)이 각각의 사료분배공(17)으로부터 스크류피더(7)를 통한 사료의 배분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21)과 윙프레임(23)과 보조프레임(25) 및 보강대(24)가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로 투입된 사료의 교반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며, 도 2 및 도 5에서 상기 작동축(19)은 분배교반탱크(1)의 중앙부 내측에 직립 설치된 축케이싱(18)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19)의 상단에 커넥팅캡(Connecting cap)(26)이 조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팅캡(26)의 외주면상에 이퀄라이저(20)의 메인프레임(21)과 보강대(24)가 각각 연결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작동축(19)의 관통부위로 사료 입자가 끼이거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축케이싱(18)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작동축(19)이 관통되는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에 방수베어링 등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퀄라이저(20)를 작동축(19)과 직접 연결시키는 방식도 가능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5a)과 종동스프라켓(19a) 및 체인을 대신하여 벨트나 풀리 또는 기어식 전동수단 등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5)의 출력축을 작동축(19)과 직접 연결시키는 방식도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5)는 감속기 일체형 모터가 바람직하며, 상기 이퀄라이저(20)의 경우 또한 도 5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작동축(19)과 연결 설치되는 방사상의 날개형 프레임이나 막대형 프레임 또는 지그재그식의 스크류형 프레임 중에서 택일한 구조를 이루거나, 상기 프레임 구조물간의 조합 또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풋패널(22)과 같은 판상(板狀)의 구조물이 추가된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한 이퀄라이저(20)의 다른 종류를 도 10의 (가) 내지 (다)에 각각 도시하였는 바, 도 10의 (가)에 도시된 것은 작동축(19)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나선형 프레임이 보강대에 의하여 작동축(19)과 연결 설치된 것이고, 도 10의 (나)에 도시된 것은 작동축(19)의 상단부 및 하단부와 연결되는 "ㄷ"자 형태의 날개프레임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작동축(19)과 각각의 날개프레임의 사이에 대각선 방향의 보강대가 연결 설치된 것이며, 도 10의 (다)에 도시된 것은 축케이싱(18)의 상단측에서 작동축(19)과 연결되는 커넥팅캡(26)상에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에 이르는 사다리꼴 형태의 날개프레임이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 5 및 도 10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이퀄라이저(20)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대표적인 몇몇의 일례에 불과한 것이고,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로 투입된 일정량의 사료를 골고루 교반시킴과 동시에,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에 제공된 각각의 사료분배공(17)과 스크류피더(7)를 통하여 사료를 균일하게 배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이퀄라이저(20)의 형태나 구조에 제한을 두지 아니함을 다시 한번 더 강조하는 바이며, 상기 사료분배공(17) 또한 이퀄라이저(20)의 회전반경내에 위치된다는 조건하에서 양식장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맞추어 다양한 개수와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분배교반탱크(1) 역시 사각통이나 다각통 형상 또는 그 하부에 소정 면적의 바닥을 가지는 이퀄라이저(20)용 호퍼가 제공된 형상 등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탱크덮개(2) 상부면에 약품주입호스(14)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탱크덮개(2)의 하부면에는 약품주입호스(14)와 연결되는 약품분사노즐(16)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외측면상에 전기히터(27)를 설치함으로서, 영양제나 항생제 등의 액상 약품을 사료의 표면에 코팅시키는 작업으로부터 사료의 표면에 코팅된 약품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작업에 이르기까지의 약품처리 전과정을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약품주입호스(14)는 약품분사노즐(16)과 함께 탱크덮개(2)의 개폐덮개(3)상에 설치함으로서 노즐의 장착과 교체작업 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개폐덮개(3)를 관통하는 약품주입호스(14)의 출구를 최소 2개소 이상(도면상 5개소)으로 하여 각각의 출구마다 액상 약품의 미분사(微噴射: 미세한 물방울에 의한 안개식 분사)가 가능한 약품분사노즐(16)을 하향 분사식으로 설치함으로서,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공간을 통한 약품의 분사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약품주입호스(14)에는 영양제나 항생제 등의 액상 약품이 저장된 미도시된 약품저장통으로부터 정량펌프나 정량토출기 등을 거쳐 연장되는 약품공급호스(15)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기히터(27) 역시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 하측이나 그 외측면 또는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 하측과 외측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최소 2군데 이상 분산 배치시킴으로서, 과도한 집중식 가열에 따른 사료의 불필요한 변질 등을 방지하는 조건으로 사료의 표면에 코팅된 액상의 약품 성분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대표적인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이 개구된 상태로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 외측에 설치되는 히터케이싱(27a)의 내부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제 블록,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의 전열블록(29)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열블록(29)상에 다수 개(도면상 3개)의 시즈히터(Sheath heater: 금속관의 내부에 코일형 전열선과 함께 절연분말을 충진시킨 공지의 히터)(28)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관통식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전기히터(27)를 적용시킴에 따라, 각각의 시즈히터(28)로부터 발산되는 열이 분배교반탱크(1) 바닥면의 좁은 위치로 집중되지 않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전열블록(29)을 거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게 하는 한편, 외부의 각종 충격으로부터 시즈히터(28)를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점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과 전열블록(29)의 사이에 전열그리스(Heat transmission grease)를 충진시킬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히터케이싱(27a)이 분배교반탱크(1)와 조립되는 부분 및 상기 시즈히터(28)용 전력케이블(미도시)이 히터케이싱(27a)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오일용 팩킹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 하측에 설치되는 전기히터(27)를 약품 건조용 베이스로 활용하되, 보다 더 신속한 약품 성분의 코팅 및 건조처리를 위하여 분배교반탱크(1)의 외측면, 즉 분배교반탱크(1)의 몸통 둘레 부분에 걸쳐서도 원호상 또는 링(Ring) 형상의 전기히터(27)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분배교반탱크(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기히터(27) 역시 앞서 설명되어진 방식의 히터 구조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분배교반탱크(1)의 몸통 부분을 에워싸는 전열선(발열선)이 보호케이싱에 내장된 것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 방식의 전기히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피딩장치(10)의 사용상태도로서, 대용량의 사료가 저장되는 메인저장탱크(30)가 타워식 지지프레임(33)과 함께 설치되어 있고, 본 발명의 멀티피딩장치(10)는 장치받침대(10a)와 함께 메인저장탱크(30)의 지지프레임(33) 내측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메인저장탱크(30)의 하부측에 제공된 깔때기형 투입호퍼(31) 하단의 사료배출구(32)가 분배교반탱크(1)의 사료투입구(4)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메인저장탱크(30)의 사료배출구(32)에는 미도시된 로터리밸브나 슬라이드식 개폐밸브와 같은 정량배출기구가 설치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피딩장치(10)의 분배교반탱크(1)를 통하여 일정량의 사료를 주기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방식 또한 본 발명의 멀티피딩장치(10)가 메인저장탱크(30)와 함께 설치되는 대표적인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멀티피딩장치(10)를 메인저장탱크(30)와 함께 설치 가능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메인저장탱크(30)를 본 발명의 멀티피딩장치(10)와 이격시켜 설치한 다음, 메인저장탱크(30)의 사료배출구(32)로부터 배출된 사료를 미도시된 컨베이어벨트나 스크류컨베이어 또는 송풍팬이나 블로워 등과 연결된 송풍이송관이나 낙차식(落差式) 배출덕트 등을 이용하여 분배교반탱크(1)로 투입시킬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메인저장탱크(30)로부터 분배교반탱크(1)로 일정량의 사료를 투입시키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피딩장치(10)는 도 12 내지 도 15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교반탱크(1)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수평형 드럼 탱크로 제작된 상태에서 하부측의 장치받침대(10a)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탱크덮개(2)는 분배교반탱크(1)의 전,후방 벽체를 제외한 나머지 상부측 반원통 부분을 힌지식 개폐덮개로 하여 분배교반탱크(1)의 몸통 일측 중앙부와 경첩(2a)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탱크덮개(2)의 자유단부측에는 분배교반탱크(1)와의 연결고정을 위한 걸고리(2c)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사료투입구(4)는 분배교반탱크(1)의 후방(도면상 우측) 벽체상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료분배공(17)은 분배교반탱크(1)의 하단면에서 분배교반탱크(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축(19)은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 하측에서 분배교반탱크(1)의 전방 벽체와 후방 벽체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분배교반탱크(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전방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작동축(19)의 선단에 종동스프라켓(19a)이 조립 설치되는 한편, 상기 작동축(19)이 분배교반탱크(1)의 전,후방 벽체를 관통하는 부분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5)는 장치받침대(10a)에 제공된 모터받침대(6)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그 출력축에 작동축(19)의 종동스프라켓(19a)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라켓(5a)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퀄라이저(20)는 분배교반탱크(1)의 길이 방향에 걸쳐 작동축(19)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날개형 분배스크류(34)와, 상기 분배스크류(34)의 피치 방향을 따라 각각의 분배스크류(34) 일측면(도 14에서 좌측면)상에 연결 설치되는 교반패널(35)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분배스크류(34) 하단측 외주면이 분배교반탱크(1)의 하단측 내주면과 근접 또는 내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요소로서 스크류피더(7)와 제트노즐(13)과 바이패스관(9)이 포함된 사료공급유닛(40) 및 약품주입호스(14)와 약품분사노즐(16)과 전기히터(27)에 관한 세부적인 기술적 사항과, 구동모터(5)와 작동축(19)간의 동력전달에 관한 사항 및 메인저장탱크(30)와의 연계사항은 앞서 설명되어진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드럼 형상으로 제작된 분배교반탱크(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 바람직하게는 탱크 직경의 1/2 내지 2/3 수준의 직경을 가지는 이송스크류 형태로 이퀄라이저(20)를 제작한 다음, 이를 분배교반탱크(1)의 내측 하부공간에 내접식으로 배치시키는 이유는, 분배교반탱크(1)의 바닥면에 제공된 사료분배공(17)과 스크류피더(7)를 통해서는 사료의 균일한 이송과 배분작업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이송스크류를 이루는 분배스크류(34)의 외주면과 분배교반탱크(1)의 내주면 사이에는 적절한 여유공간을 제공하여 약품의 분사 및 코팅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이퀄라이저(20)의 형태나 구조 및 분배교반탱크(1)의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퀄라이저(20)의 경우에도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이송스크류 방식 이외에, 작동축(19)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식 스크류 또는 상기 작동축(19)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날개형 프레임이나 막대형 프레임 중에서 택일한 구조를 이루거나, 상기 스크류와 프레임 구조물의 조합 또는 상기 스크류와 프레임 구조물에 교반패널(35)과 같은 판상 구조물이 추가된 것 등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분배교반탱크(1)의 경우에도 사각통이나 다각통 형상 또는 그 하부에 소정의 바닥공간을 가지는 이퀄라이저(20)용 호퍼가 제공된 형상 등으로도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한 이퀄라이저(20)의 종류를 도 16의 (가) 내지 (다)에 각각 도시하였는 바, 도 16의 (가)에 도시된 것은 작동축(1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된 사선형(斜線形) 프레임이 수직 방향의 보강대에 의하여 작동축(19)과 연결 설치된 것이고, 도 16의 (나)에 도시된 것은 작동축(19)을 따라 다수 개의 막대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시키되, 각각의 막대프레임 단부에 교반패널을 설치한 것이며, 도 16의 (다)에 도시된 것은 작동축(19)을 따라 지그재그식으로 휘어지는 나선형 프레임과, 삼각형 교반패널이 적용된 막대프레임을 작동축(19)상에 상,하 방향으로 나누어 설치한 것인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이퀄라이저(20)의 대표적인 몇 가지 일례에 불과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멀티피딩장치(1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별 재질에 대하여 별도로 언급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약품주입호스(14)와 약품공급호스(15) 및 제트노즐(13)과 연결되는 송풍관(38)과 사료공급관(42)은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를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부분들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치받침대(10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 형상이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은 지지다리 형상 이외에도 분배교반탱크(1)를 구동모터(5) 및 스크류피더(7)와 함께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구조물이라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멀티피딩장치(10)에 따르면, 메인저장탱크(30)로부터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로 투입된 일정량의 사료를 이퀄라이저(20)와 각각의 스크류피더(7) 및 제트노즐(13)를 이용하여 양식장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 전체로 일괄 분산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피딩장치만으로도 양식어류의 식욕이 가장 왕성한 최적의 급이시간, 다시 말해서 양식어류의 먹이활동이 최대한으로 발현되는 최소 30분에서 최대 1시간 이내에 양식장에 설치된 모든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의 동시적 사료급이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의 정해진 순번에 따라 순차적인 사료급이를 수행하였던 종래의 방식보다 양식어류의 성장속도와 양식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피딩장치의 전체적인 가동시간을 1일 3~4회 급이기준으로 최소 90분에서 최대 4시간으로 현저히 단축시켜 불필요한 에너지(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트노즐(13)로부터 연장되는 사료공급관(42)을 이용하여 피딩장치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진 위치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도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손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제트노즐(13)을 해당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과 연결하는 사료공급관(42)의 내부에 일시적인 압력상승(양압)이 발생하더라도 제트노즐(13)을 거쳐 고속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의 일부가 스크류케이싱(11)의 내부로 역류하지 않고 바이패스관(9)을 따라 분배교반탱크(1)로 유도되게 함으로서, 스크류케이싱(11)을 따라 이송되는 사료가 송풍공기의 역류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 적체되거나 분배교반탱크(1)로 재유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이송스크류(7a)의 회전수 제어에 의한 사료의 정량급이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바이패스관(9)에 유량조정용 밸브기구(9a)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크류케이싱(11)과 바이패스관(9)의 사이에 소정의 확장공간을 제공하는 감압챔버(8)를 설치함으로서, 바이패스관(9)을 거쳐 분배교반탱크(1)로 유도되는 역류공기의 흐름에 편승하여 일정량의 사료가 불필요하게 딸려 나가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분사노즐(37)의 노즐몸통(37a) 선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보조분사공(45)을 이용하여 부압공간(50)으로 유도된 사료의 전량(全量)이 도입구(49)를 거쳐 분사파이프(51)측으로 보다 더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함으로서, 분사헤드(37c)의 하부측을 포함한 부압공간(50)에 사료가 불필요하게 정체 및 누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이송스크류(7a)의 회전수 제어와 송풍공기의 분사를 통한 사료의 정량급이에 지장을 초래하였던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소시켜 사료의 정량급이를 한층 더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편차없이 수행토록 함으로서, 양식어류의 고른 성장과 건강한 사육환경을 조성하고 사육수의 오염에 따른 양식어류의 질병발생률과 폐사율을 제로(Zero)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제트노즐(13)의 메인케이싱(39)과 노즐몸통(37a)에 제공된 세팅마커(46)와 눈금(47)을 이용하여 분사노즐(37)을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히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료공급관(42)을 통한 사료의 공급속도 역시 현장 여건에 맞추어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분배교반탱크(1)로 투입된 사료를 이퀄라이저(20)로 교반시키는 도중에 약품주입호스(14)와 약품분사노즐(16)을 이용하여 액상의 약품 성분을 넓은 범위에 걸쳐 미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분배교반탱크(1)로 투입된 입자형 사료가 액상의 약품 성분에 의하여 서로 엉겨 붙으면서 덩어리지지 않고 투입된 사료의 전반에 걸쳐 약품 성분을 균일하게 코팅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전기히터(27)를 이용하여 약품의 코팅처리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최대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배교반탱크(1)상에 전기히터(27)를 추가로 설치하여 약품 성분을 신속히 건조시키는 이유는, 사료의 외부 표면에 코팅된 액상(점액질)의 약품 성분이 완전히 건조되지 못할 경우, 스크류케이싱(11)과 제트노즐(13)을 거쳐 사료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해당 관로의 내부표면에 사료 가루 등의 이물질이 들러 붙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누적될 경우 스크류피더(7)의 작동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제트노즐(13)의 분사통로가 좁아져 사료이송이 어렵게 될 수 있으며, 스크류케이싱(11)이나 제트노즐(13)의 내부표면에 들러 붙은 이물질이 부패한 상태로 떨어져 나올 경우 이를 먹은 양식어류가 질병에 걸리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사료의 교반식 배분작업을 수행하는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에서 약품의 코팅 및 건조처리까지 일괄 수행토록 함에 따라, 종래의 경우보다 한층 더 경제적인 방식을 제공할 수 있고, 비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약품 처리된 사료로 수동급이를 행함에 따른 불필요한 노동력의 낭비와 항생제 등의 약품에 작업자가 무방비로 노출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등 사료와 약품의 관리 및 취급 또한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분배교반탱크(1)의 내부에서 사료에 대한 약품의 코팅 및 건조처리가 완료되는 즉시 각각의 스크류피더(7)와 제트노즐(13)을 이용하여 해당 사료를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 최단시간내에 공급시킴으로서 약품 성분의 우수한 약효 역시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1 : 분배교반탱크 2 : 탱크덮개 2a : 경첩
2b : 걸고리 3 : 개폐덮개 4 : 사료투입구
5 : 구동모터 5a : 구동스프라켓 6 : 모터받침대
7 : 스크류피더 7a : 이송스크류 7b : 스크류축
7c : 스토퍼 8 : 감압챔버 8a : 챔버몸통
8b : 도입부 8c : 유출부 9 : 바이패스관
9a : 밸브기구 9b : 회수포트 10 : 멀티피딩장치
10a : 장치받침대 11 : 스크류케이싱 11a : 사료배출관
11b : 연결관 11c : 유도관 12 : 스크류모터
12a : 감속기 12b : 모터장착대 12c : 구동축
12d,36a : 베어링 13 : 제트노즐 13a : 링크커플러
13b : 플랜지부 14 : 약품주입호스 15 : 약품공급호스
16 : 약품분사노즐 17 : 사료분배공 18 : 축케이싱
19 : 작동축 19a : 종동스프라켓 20 : 이퀄라이저
21 : 메인프레임 22 : 풋패널 23 : 윙프레임
24 : 보강대 25 : 보조프레임 26 : 커넥팅캡
27 : 전기히터 27a : 히터케이싱 28 : 시즈히터
29 : 전열블록 30 : 메인저장탱크 31 : 투입호퍼
32 : 사료배출구 33 : 지지프레임 34 : 분배스크류
35 : 교반패널 36 : 단부캡 37 : 분사노즐
37a : 노즐몸통 37b : 유입관 37c : 분사헤드
38 : 송풍관 38a,42a,44a : 클램핑밴드
39 : 메인케이싱 39a : 핏팅파이프 39b : 세팅볼트
40 : 사료공급유닛 41 : 토출관 42 : 사료공급관
43 : 연결캡 44 : 연결호스 45 : 보조분사공
46 : 세팅마커 47 : 눈금 48 : 리테이너씰
48a : 리테이너홀더 48b : 가압스프링 48c : 밀착단부
49 : 도입구 50 : 부압공간 51 : 분사파이프
51a : 확관부 52 : 클램프바디 53 : 링크죠인트
54 : 결착단부 54a : 체결공 55 : 클램핑볼트
55a : 핏팅너트

Claims (13)

  1. 양식장에 설치된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 사료를 공급시키기 위한 피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딩장치는 상부면에 탱크덮개가 설치되고 내측 바닥면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사료분배공이 형성된 분배교반탱크와,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일측 외부면에 제공되는 사료투입구와,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하부측에서 각각의 사료분배공마다 하나씩 연결 설치된 상태로 임의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설치되는 스크류피더와, 상기 각 스크류피더의 사료 출구 하측에 하나씩 연결된 상태로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로의 송풍식 사료급이를 수행하는 제트노즐과,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에서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사료투입구로부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로 투입된 사료의 교반과 배분작업을 수행하는 이퀄라이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피더는 분배교반탱크의 사료분배공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케이싱과, 상기 스크류케이싱의 선단면 또는 후단면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모터와, 상기 스크류모터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스크류축과 함께 스크류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설치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케이싱의 일측단 상부면에는 사료분배공과 연결되는 사료배출관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스크류케이싱의 타측단 하부면에는 제트노즐을 통한 사료 출구로서의 연결관이 설치되며,
    상기 제트노즐은 연결관에 의하여 해당 스크류피더의 스크류케이싱과 연통되는 메인케이싱과, 상기 메인케이싱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파이프형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 선단의 고깔형 분사헤드 전방측에 배치되는 깔때기형 도입구와, 상기 도입구의 선단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분사파이프와, 상기 분사파이프 선단측의 확관부를 거쳐 메인케이싱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토출관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헤드와 도입구의 사이에 사료흡입용 부압공간이 제공되는 한편, 상기 연결관은 부압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의 후단부측에 공기주입용 송풍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케이싱의 토출관에 송풍급이용 사료공급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과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스크류케이싱의 타측 단부에는 분사헤드 선단의 분사공으로부터 도입구측으로 분사되는 송풍공기의 우회로를 제공하는 바이패스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이 스크류케이싱으로부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분배교반탱크로 회수되는 송풍공기의 유량 조정을 위한 밸브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케이싱과 바이패스관의 사이에는 감압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감압챔버는 실린더 형상의 챔버몸통 상단측과 하단측에 고깔형 유출부와 깔때기형 도입부가 각각 제공된 것이며,
    상기 감압챔버의 유출부 상단에 바이패스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감압챔버의 도입부 하단에는 유도관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도관이 연결관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스크류케이싱의 타측단 상부면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헤드는 실린더 형상의 노즐몸통 선단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진 부위에 해당하는 노즐몸통의 선단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송풍공기의 보조분사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통 선단면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보조분사공의 개수는 노즐몸통 선단면의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보조분사공 개수의 최소 1.5배에서 최대 5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싱의 후방면은 노즐몸통의 끼움식 장착을 위한 개구부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케이싱과 노즐몸통의 후단부 외측면에는 분사노즐의 정확한 장착을 위한 세팅마커가 대응 형성되는 한편, 상기 노즐몸통의 외측면상에는 메인케이싱에 대한 분사노즐의 삽입 깊이를 표시하는 눈금이 제공되며, 상기 메인케이싱의 후방측에는 노즐몸통의 위치 고정을 위한 세팅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탱크덮개 상부면에는 약품주입호스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탱크덮개의 하부면에는 약품주입호스의 출구와 연결되는 약품분사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 외측이나 측면부 또는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 외측과 측면부에는 전기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는 일측면이 개구된 상태로 분배교반탱크의 외측면상에 설치되는 히터케이싱과, 상기 히터케이싱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전열블록과, 상기 전열블록을 관통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시즈히터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외측면과 전열블록의 사이에는 전열그리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교반탱크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직립식 원통 탱크가 되고,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 중앙측에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작동축이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퀄라이저는 작동축과 연결 설치되는 방사상의 날개형 프레임이나 막대형 프레임 또는 지그재그식의 스크류형 프레임 중에서 택일한 구조를 이루거나, 상기 프레임 구조물간의 조합 또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판상(板狀)의 구조물이 추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는 작동축의 상단측에 연결된 상태로 분배교반탱크 바닥면의 사료분배공을 향하여 아치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 하단측에 연결된 상태로 분배교반탱크의 바닥면과 근접 배치되는 풋패널과, 상기 일측 메인프레임의 중앙부에 날개 형태로 연결 설치되는 "ㅌ"자형 윙프레임과, 상기 타측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배교반탱크의 원통 벽체와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ㄱ"자형 보조프레임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교반탱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수평형 드럼 탱크가 되고, 상기 분배교반탱크의 내부 하측에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작동축이 분배교반탱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사료투입구는 분배교반탱크의 후방 벽체상에 제공되고, 상기 사료분배공은 분배교반탱크의 하단면에서 분배교반탱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이퀄라이저는 작동축과 연결 설치되는 날개형 스크류나 프레임식 스크류 또는 상기 작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연결 설치되는 날개형 프레임이나 막대형 프레임 중에서 택일한 구조를 이루거나, 상기 스크류와 프레임 구조물의 조합 또는 상기 스크류와 프레임 구조물에 판상 구조물이 추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저는 분배교반탱크의 길이 방향에 걸쳐 작동축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날개형 분배스크류와, 상기 분배스크류의 피치 방향을 따라 각각의 분배스크류 일측면상에 연결 설치되는 교반패널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분배스크류 하단측 외주면이 분배교반탱크의 하단측 내주면과 근접 또는 내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KR1020220007127A 2021-02-22 2022-01-18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KR102415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3097 2021-02-22
KR1020210023097 2021-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816B1 true KR102415816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127A KR102415816B1 (ko) 2021-02-22 2022-01-18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5912A (zh) * 2023-12-22 2024-02-02 山东港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上料装置及其上料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276U (ko) * 1984-11-29 1986-06-19
JPS6235655U (ko) * 1985-08-23 1987-03-03
KR200315771Y1 (ko) * 2003-03-21 2003-06-18 해표산업 주식회사 어류용 사료공급장치
KR20050046972A (ko) * 2003-11-15 2005-05-19 윤병구 양식어류의 자동사료투척기
KR20050102463A (ko) * 2004-04-22 2005-10-26 주식회사 리더시스템 사료보충 및 공급을 겸한 사료살포장치
KR20090041572A (ko) * 2007-10-24 2009-04-29 이강고 양어 양식용 사료 급이 장치
KR101677010B1 (ko)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JP2019154287A (ja) * 2018-03-09 2019-09-19 水口電装株式会社 餌放出機
KR102117532B1 (ko) 2019-10-28 2020-06-02 주식회사 대일 양식장용 스크류식 사료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5276U (ko) * 1984-11-29 1986-06-19
JPS6235655U (ko) * 1985-08-23 1987-03-03
KR200315771Y1 (ko) * 2003-03-21 2003-06-18 해표산업 주식회사 어류용 사료공급장치
KR20050046972A (ko) * 2003-11-15 2005-05-19 윤병구 양식어류의 자동사료투척기
KR20050102463A (ko) * 2004-04-22 2005-10-26 주식회사 리더시스템 사료보충 및 공급을 겸한 사료살포장치
KR20090041572A (ko) * 2007-10-24 2009-04-29 이강고 양어 양식용 사료 급이 장치
KR101677010B1 (ko)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JP2019154287A (ja) * 2018-03-09 2019-09-19 水口電装株式会社 餌放出機
KR102117532B1 (ko) 2019-10-28 2020-06-02 주식회사 대일 양식장용 스크류식 사료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5912A (zh) * 2023-12-22 2024-02-02 山东港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上料装置及其上料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532B1 (ko) 양식장용 스크류식 사료공급장치
WO2018004075A1 (ko)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EP0076663A2 (en) Hog feeder
KR102415816B1 (ko) 사료의 동시적 분산급이를 위한 스크류피더와 제트노즐 병용 멀티피딩장치
KR101940521B1 (ko) 어류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200448419Y1 (ko)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KR101634358B1 (ko) 사료자동 공급장치
CN107873552A (zh) 一种具有混合饲料和清理粪便功能的自动喂料机
US20110239948A1 (en) Plant for controlled distribution of material with a substantially fluid behaviour for feeding animals
KR101693466B1 (ko) 휀스형 사료 및 음수 자동 급이시스템
EP2179664A1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 vegetable product
KR101677011B1 (ko)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KR101004611B1 (ko) 트랙터 탑재형 더블호퍼 살포기
KR20060084427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473011Y1 (ko) 사료 살포장치
CN206576026U (zh) 一种防堵塞自动投料饲料槽
US4667623A (en) Intake cup apparatus
KR102012081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KR100761221B1 (ko)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JP3276210B2 (ja) 養魚池用給餌機
KR100797404B1 (ko) 축분 균일 분산장치
KR200188614Y1 (ko)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JPH02207726A (ja) 養魚槽における給餌方法
KR102443548B1 (ko) 양식장용 사료 공급장치
KR20070072436A (ko) 양돈용 액상 급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