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011B1 -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011B1
KR101677011B1 KR1020160080893A KR20160080893A KR101677011B1 KR 101677011 B1 KR101677011 B1 KR 101677011B1 KR 1020160080893 A KR1020160080893 A KR 1020160080893A KR 20160080893 A KR20160080893 A KR 20160080893A KR 101677011 B1 KR101677011 B1 KR 101677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ipe
feeder
cage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길
양용수
박미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08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K61/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저장호퍼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블로워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의 가두리그물 또는 육상 양식장의 양식수조로 공급시키도록 한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이송관 출구측에 배치되어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의 내측으로 사료를 흩뿌리도록 한 사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이송관의 출구와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수직관 부분으로부터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수평관 부분이 연이어진 "¬" 형태의 사료살포관과, 사료의 공급이 요구되는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의 방향에 맞추어 사료살포관을 회전 및 세팅시킬 수 있는 구동유닛을 장치받침대상에 설치하여 놓음으로서, 하나의 송풍식 사료공급장치만으로도 다수 개의 가두리그물이나 양식수조에 대한 급이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사료투입이 필요한 곳을 수시로 직접 선택하거나, 지정된 순번에 따라 기설정된 투입량과 횟수에 맞추어 요구하는 시간대에 사료를 공급시킬 수 있는 등, 양식장에 관리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정확한 급이작업이 가능토록 하여 해당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육상의 양식장이나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운용이 편리하도록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그 조작 역시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Feed distributor of an air blower type feeding apparatus for an aquaculture place}
본 발명은 블로워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의 가두리그물 또는 육상 양식장의 양식수조로 사료를 공급시키도록 한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이송관 출구측에 배치되어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의 내측으로 사료를 흩뿌리도록 한 사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료이송관의 출구와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수직관 부분으로부터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수평관 부분이 연이어진 "¬" 형태의 사료살포관과, 사료의 공급이 요구되는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의 방향에 맞추어 사료살포관을 회전 및 세팅시킬 수 있는 구동유닛을 장치받침대상에 설치하여 놓음에 따라, 하나의 송풍식 사료공급장치만으로도 다수 개의 가두리그물이나 양식수조에 대한 급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에 양식수조를 설치하여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육상의 양식장 시설 뿐만 아니라, 호수나 하천 또는 해상 등지의 수역(水域)에 일정 범위만큼 가두리그물을 발판구조물과 함께 계류식으로 설치하여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 시설에서는 어류의 성장에 필요한 먹이, 즉 사료를 요구하는 시간대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공급시키는 것이 양식장의 관리 측면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기존에는 양식장 관리인이 현장으로 직접 투입되어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바가지 등으로 퍼담아 가두리그물이나 양식수조의 내부로 사료를 흩뿌리는 방식의 수작업이 행하여졌는 바, 이는 관리인이 상주할 수 있는 육상의 양식장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아니하지만, 관리인이 상주할 수 없는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에 있어서는 가두리 양식장으로의 이동에 필요한 선박의 유류비용과 전문인력의 채용에 따른 인건비 등으로 말미암아 양식장의 관리에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자동화된 사료공급장치가 현장의 관리인을 대신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는 바, 종래의 양식장용 사료 자동 공급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사료저장호퍼의 하단 출구에 로터리밸브를 게이트(Gate) 수단으로 설치하여 사료의 배출 및 차단작업을 수행토록 한 상태에서, 가두리그물이나 양식수조로 사료를 이송하는 데에는 블로워(Blower: 송풍기)를 사용하는 송풍식 공급장치(선행기술문헌 참조)와, 사료저장통의 하단 출구에 스크류 컨베이어를 직접 연결시켜 사료의 투입과 이송을 겸하도록 한 스크류식 공급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마다 통상 한대씩 비치하여 사용되었기 때문에, 대규모의 양식장에서는 사료공급장치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사료공급장치로 다수 개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급이를 수행코자 할 경우에는, 비교적 좁은 공간이 되는 가두리그물용 발판구조물이나 양식장의 바닥면에 걸쳐 밸브기구가 포함된 다기관(多岐管: Manifold) 형태의 사료분배기구가 추가로 설비되어야 함으로서, 양식장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료분배기구의 세팅 및 사료공급경로의 제어 역시 매우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5866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843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로워로부터 토출된 송풍공기를 이용하여 사료를 공급시키는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이송관 출구측에 요구하는 살포 방향에 맞추어 사료살포관을 회전시킬 수 있는 사료살포기를 배치함으로서, 하나의 사료공급장치만으로도 다수 개의 가두리그물이나 양식수조에 대한 사료공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사료살포관의 위치를 판단하는 센서기구 등을 사료공급장치용 제어유닛과 접속시키고,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사료살포기와 사료공급장치의 원격제어가 가능토록 함에 따라, 앱상에서 사료투입이 필요한 곳을 수시로 직접 선택하거나, 지정된 순번에 따라 기설정된 투입량과 횟수에 맞추어 요구하는 시간대에 사료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 양식장에 관리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정확한 급이작업이 가능토록 하여 해당 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육상의 양식장이나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운용이 편리하도록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그 조작 역시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료살포관의 선단 출구측을 하향 경사지게 굴곡(屈曲)시켜 그 크기(직경이나 면적)가 작은 양식수조에도 송풍식 급이작업이 가능토록 하고, 사료살포관 선단 출구의 방향과 각도 역시 현장여건에 맞추어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료의 살포거리와 살포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세팅하여 사료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 합리적인 방식의 급이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살포기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이송관 출구와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수직관 부분으로부터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수평관 부분이 연이어진 "¬" 형태의 사료살포관과, 상기 사료살포관을 요구하는 살포 방향에 맞추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지지를 위한 장치받침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사료살포관의 수평관 선단 출구측은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토출관이 되거나, 상기 사료살포관의 수평관을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관으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경사관의 선단 출구측이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토출관이 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관 또는 경사관이 토출관과 연결되는 부위는 소정폭의 주름관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사료살포기는 장치받침대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호케이싱을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케이싱의 상부면 중앙에는 사료살포관의 수직관 부분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장치받침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부장착판 및 하부장착판과, 상기 각각의 장착판 외곽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사료살포관의 수직관 하단측은 상부장착판의 관통구멍을 거쳐 하부장착판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사료이송관은 하부장착판의 바닥면에 조립된 파이프커넥터에 의하여 사료살포관의 수직관 하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감속기를 구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감속기의 구동축을 사료살포관의 수직관 부분과 연결하는 전동수단을 포함한 상태로 상,하부장착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장착판에는 수직관 부분의 축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전동수단은 감속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사료살포관의 수직관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을 종동스프라켓과 연결시키기 위한 전동체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장착판에는 베어링유닛을 개재시킨 상태로 파이프형 로터리허브가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료살포관의 수직관 하단측은 로터리허브의 상단 내측으로 조립 설치되며, 상기 로터리허브의 하단 내측에는 하부장착판의 파이프커넥터를 거쳐 사료이송관과 연통되는 연결관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은 연결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종동스프라켓의 하부에 해당하는 수직관 또는 연결관의 외주면에 하나의 돌출핀을 구비하는 센서작동판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하부장착판의 상부면에는 수직관 또는 연결관이 중심부를 관통하는 원판 형태의 센서홀더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센서홀더의 주연부에는 센서작동판의 돌출핀과 근접하여 사료의 살포위치를 판단하는 최소 2개 이상의 근접센서를 방사상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근접센서를 사료공급장치의 제어유닛과 접속시키거나, 상기 구동모터 자체를 스테핑모터로 하여 사료공급장치의 제어유닛과 접속시킴으로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한 사료살포기와 사료공급장치의 원격제어가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송풍식 사료공급장치만으로도 다수 개의 가두리그물이나 양식수조에 대한 급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사료공급장치의 제어유닛과 연계된 현장제어 또는 원격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사료투입이 필요한 곳을 수시로 직접 선택하거나, 지정된 순번에 따라 기설정된 투입량과 횟수에 맞추어 요구하는 시간대에 사료를 공급시킬 수 있는 등, 양식장에 관리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여러 개소에 걸쳐 정확한 급이작업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육상의 양식장이나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운용이 편리하도록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그 조작 역시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사료살포관의 선단 출구측을 하향 경사지게 굴곡시켜 그 크기가 작은 양식수조에도 송풍식 급이작업이 가능하고, 사료살포관 선단 출구의 방향과 각도 역시 현장여건에 맞추어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료의 살포거리와 살포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세팅하여 사료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 합리적인 방식의 급이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궁극적으로는, 양식장에 비치되어 있는 기존의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와 손쉽게 연결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해당 사료공급장치와 연계된 정량토출 방식의 급이관리 및 급이작업의 자동화에 최적화된 사료살포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급이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성 및 경제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킴으로서, 양식업자들의 수익 향상과 양식산업의 대외경쟁력 확보 측면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살포기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료살포기의 외관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살포기(10)는 도 1 내지 도 4에 걸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이송관(11)의 출구와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수직관(3a) 부분으로부터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측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수평관(3b) 부분이 연이어진 "¬" 형태의 사료살포관(3)과, 상기 사료살포관(3)을 요구하는 살포 방향에 맞추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4)과, 상기 구동유닛(4)의 지지를 위한 장치받침대(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받침대(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부장착판(2a) 및 하부장착판(2b)과, 상기 각각의 장착판(2a)(2b) 외곽측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수 개(도면상 4개)의 지지다리(2c)로 구성되며, 장치받침대(2)의 견고한 고정식 장착을 위하여 각각의 지지다리(2c) 하단에 걸쳐 바닥고정판(2d)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동유닛(4)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장치받침대(2)의 외측에는 보호케이싱(1)을 추가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 상기 보호케이싱(1)은 장치받침대(2)를 에워싸는 원통 형상의 메인케이싱과, 상기 메인케이싱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반구형의 보조케이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외에도 육면체 케이싱과 같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보호케이싱(1)의 제작이 가능하고, 상기 보호케이싱(1)의 상부면 중앙에는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부분이 삽입되는 관통구멍(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1a)을 거쳐 하방으로 연장되는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부분이 장치받침대(2)를 베이스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료살포관(3)을 요구하는 살포 방향에 맞추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4)은, 감속기(6)를 구비하는 구동모터(5)와, 상기 감속기(6)의 구동축(6a)을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부분과 연결하는 전동수단을 포함한 상태로 상,하부장착판(2a)(2b)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케이싱(1)의 관통구멍(1a)과 대응되는 상부장착판(2a)의 중앙부측에도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1a)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 상기 전동수단으로서 감속기(6)의 구동축(6a)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5a)과,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5b)과, 상기 구동스프라켓(5a)을 종동스프라켓(5b)과 연결시키기 위한 전동체인(5c)으로 이루어지는 체인전동수단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기어전동수단 또는 벨트전동수단과 같은 다양한 전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으로, 구동유닛(4)에 의한 사료살포관(3)의 회전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함과 아울러, 사료공급장치의 블로워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압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사료이송관(11)을 사료살포관(3)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장치받침대(2)의 상부장착판(2a)에는 수직관(3a)의 축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유닛(4a)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수직관(3a)의 하단측은 베어링유닛(4a)을 거쳐 하부장착판(2b)까지 연장 설치되며, 상기 하부장착판(2b)의 바닥면에는 사료이송관(11)을 사료살포관(3)과 연통시키기 위한 파이프커넥터(11a)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료살포기(10)는 도 5 내지 도 8에 걸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살포관(3)의 선단 출구측을 하향 경사지게 굴곡시키는 한편, 사료살포관(3) 선단 출구의 방향 조정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송풍식 사료살포 작업의 적용성과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료살포관(3)과 사료이송관(11)의 연결구조를 보다 합리적으로 개선시켜 사료살포관(3)의 교체작업이나 구동유닛(4)의 수리 및 유지보수 작업 등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되어진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료살포관(3)의 수평관(3b) 부분이 소정의 각도(바람직하게는 15~25도)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관(3c)이 되도록 함으로서, 가두리 양식장의 난간구조물이나 양식수조의 높이 등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사료살포관(3)의 회전 및 세팅작업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경사관(3c)의 선단 출구측은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토출관(3d)이 되도록 함으로서, 사료의 살포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크기가 작은 양식수조에도 사료의 누출없이 송풍식 급이작업이 가능토록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관(3c)과 토출관(3d)의 연결부위를 소정폭의 주름관(3e)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사료살포관(3) 선단 출구의 방향과 각도 역시 현장여건, 즉 요구하는 살포거리 및 살포위치 등에 맞추어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앞서 설명되어진 일실시예의 경우도 사료살포관(3)의 수평관(3b) 선단 출구측이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토출관(3d)이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수평관(3b)과 토출관(3d)의 연결부위에 소정폭의 주름관(3e)을 적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주름관(3e)의 적용시 사료살포관(3)의 소재는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관이나 알루미늄관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장착판(2a)에는 베어링유닛(4a)을 개재시킨 상태로 파이프형 로터리허브(Rotary hub)(4b)가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하단측은 로터리허브(4b)의 상단 내측으로 조립 설치되며, 상기 로터리허브(4b)의 하단 내측에는 하부장착판(2b)의 파이프커넥터(11a)를 거쳐 사료이송관(11)과 연통되는 연결관(7)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7)의 외주면에 구동유닛(4)의 종동스프라켓(5b)이 고정 설치되도록 하였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7)이 로터리허브(4b) 및 사료살포관(3)과 함께 장치받침대(2)상에서 축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종동스프라켓(5b)이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에 직접 고정 설치된 일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사료살포관(3)을 보호케이싱(1)과 함께 장치받침대(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료살포관(3)의 교체작업이나 구동유닛(4)의 수리 및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며, 필요시 상기 연결관(7)의 하단부를 하부장착판(2b)의 파이프커넥터(11a) 내측까지 연장시킨 상태에서 해당 부위에 베어링유닛을 추가로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는 앞서 설명되어진 일실시예의 수직관(3a)에도 적용이 가능한 사항이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료살포관(3)을 요구하는 살포방향에 맞추어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하되, 사료살포관(3)의 회전 및 세팅작업을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제어유닛과 연계시켜 사료급이에 필요한 모든 작동을 자동화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사료살포관(3)의 위치(살포방향)를 판단하는 센서기구(S)를 장치받침대(2)상에 배치하고, 해당 센서기구(S)를 사료공급장치의 제어유닛과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현장제어 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원격제어도 가능한 시스템이 되도록 한다.
상기 사료살포기(10)의 센서기구(S)는 도 4와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3a) 또는 연결관(7)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최소 2개(도면상 4개) 이상의 근접센서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 바, 상기 각각의 근접센서는 수직관(3a) 또는 연결관(7)이 중심부를 관통하는 원판 형태의 센서홀더(8) 주연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홀더(8)는 하부장착판(2b)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을 위하여 종동스프라켓(5b)의 하부에 해당하는 수직관(3a) 또는 연결관(7)의 외주면에는 하나의 돌출핀(9a)을 구비하는 원판 형태의 센서작동판(9)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작동판(9)이 수직관(3a) 또는 연결관(7)과 함께 회전하는 과정에서 해당 돌출핀(9a)이 특정 근접센서와 마주보게 되는 위치데이터로 사료살포관(3)의 실질적인 살포 위치를 연산 및 판단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센서기구(S)를 사용하는 대신에 구동모터(5) 자체를 사료살포관(3)의 회전각도 조정이 가능한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로 하여 해당 모터의 작동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센서작동판(9)의 돌출핀(9a)이 사료살포관(3)의 수평관(3b) 또는 경사관(3c)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근접센서는 사료살포기(10) 주변의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의 배치상태와 대응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해당 근접센서로부터 센서작동판(9)의 돌출핀(9a)이 근접하였다는 신호 자체가 특정 가두리그물이나 양식수조에 대한 사료살포용 세팅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ON" 신호가 되는 바, 이러한 방식은 스테핑모터를 이용한 살포위치의 판단 및 조정작업과 비교하여 제어유닛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을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송풍식 사료공급장치만으로도 다수 개의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 내부로의 사료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바, 대표적인 적용례로서 도 10에서와 같이 총 4개의 가두리그물(14)이 "田" 형태의 발판구조물(15)을 베이스로 하여 설치된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13)에 있어, 상기 발판구조물(15)의 중앙측에 사료살포기(10)를 배치하는 한편, 발판구조물(15) 외곽측의 장치발판(15a)상에 송풍식 사료공급장치(12)를 배치한 다음, 사료살포기(10)와 사료공급장치(12)를 사료이송관(11)으로 연결시킨 방식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사료의 투입이 요구되는 가두리그물(14) 방향으로 사료살포관(3)을 회전시켜 놓은 다음, 사료공급장치(12)로부터 사료이송관(11)을 거쳐 사료살포기(10)로 사료를 송풍 공급시킴으로서, 해당 사료 성분이 사료살포관(3)을 거쳐 요구하는 가두리그물(14)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육상 양식장의 경우는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사료살포관(3)의 회전 반경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도면상 4개)의 양식수조(16)를 배치시켜 놓음으로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양식수조(16)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사료살포관(3)의 선단 출구측을 양식수조(16) 내측부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하향 굴곡시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는 가두리그물(14) 또는 양식수조(16)에 대한 사료살포관(3)의 회전 및 세팅작업을 송풍식 사료공급장치(12)의 제어유닛과 연계시켜 급이작업에 필요한 모든 작동을 자동화시킨 경우에는, 현장제어 또는 원격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사료투입이 필요한 곳을 수시로 직접 선택하거나, 지정된 순번에 따라 기설정된 투입량과 횟수에 맞추어 요구하는 시간대에 사료를 공급시킬 수 있는 등, 양식장에 관리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여러 개소에 걸쳐 정확한 급이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육상의 양식장이나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13)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 및 운용이 편리하도록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센서기구(S)의 최적 배치를 통하여 그 조작 역시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사료살포관(3)의 선단 출구측을 하향 경사지게 굴곡시켜 그 크기가 작은 양식수조(16)에도 송풍식 급이작업이 가능하고, 사료살포관(3) 선단 출구의 방향과 각도 역시 현장여건에 맞추어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료의 살포거리와 살포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세팅하여 사료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 합리적인 방식의 급이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양식장에 비치되어 있는 기존의 송풍식 사료공급장치(12)와 손쉽게 연결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해당 사료공급장치(12)와 연계된 정량토출 방식의 급이관리 및 급이작업의 자동화에 최적화된 사료살포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급이작업의 편의성과 능률성 및 경제성을 한층 더 극대화시킴으로서, 양식업자들의 수익 향상과 양식산업의 대외경쟁력 확보 측면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 보호케이싱 1a : 관통구멍 2 : 장치받침대
2a : 상부장착판 2b : 하부장착판 2c : 지지다리
2d : 바닥고정판 3 : 사료살포관 3a : 수직관
3b : 수평관 3c : 경사관 3d : 토출관
3e : 주름관 4 : 구동유닛 4a : 베어링유닛
4b : 로터리허브 5 : 구동모터 5a : 구동스프라켓
5b : 종동스프라켓 5c : 전동체인 6 : 감속기
6a : 구동축 7 : 연결관 8 : 센서홀더
9 : 센서작동판 9a : 돌출핀 10 : 사료살포기
11 : 사료이송관 11a : 파이프커넥터 12 : 사료공급장치
13 : 가두리 양식장 14 : 가두리그물 15 : 발판구조물
15a : 장치발판 16 : 양식수조 S : 센서기구

Claims (14)

  1. 삭제
  2. 사료저장호퍼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블로워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13)의 가두리그물(14) 또는 육상 양식장의 양식수조(16)로 공급시키도록 한 송풍식 사료공급장치(12)의 사료이송관(11) 출구측에 배치되어 가두리그물(14) 또는 양식수조(16)의 내측으로 사료를 흩뿌리도록 한 사료살포기(10)에 있어서,
    상기 사료살포기(10)는, 사료이송관(11)의 출구와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수직관(3a) 부분으로부터 가두리그물(14) 또는 양식수조(16)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수평관(3b) 부분이 연이어진 "¬" 형태의 사료살포관(3)과, 상기 사료살포관(3)을 요구하는 살포 방향에 맞추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4)과, 상기 구동유닛(4)의 지지를 위한 장치받침대(2)와, 상기 장치받침대(2)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호케이싱(1)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케이싱(1)의 상부면 중앙에는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부분이 삽입되는 관통구멍(1a)이 형성되며,
    상기 장치받침대(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부장착판(2a) 및 하부장착판(2b)과, 상기 각각의 장착판(2a)(2b) 외곽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는 지지다리(2c)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하단측은 상부장착판(2a)의 관통구멍(1a)을 거쳐 하부장착판(2b)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사료이송관(11)은 하부장착판(2b)의 바닥면에 조립된 파이프커넥터(11a)에 의하여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하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유닛(4)은 감속기(6)를 구비하는 구동모터(5)와, 상기 감속기(6)의 구동축(6a)을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부분과 연결하는 전동수단을 포함한 상태로 상,하부장착판(2a)(2b)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장착판(2a)에는 수직관(3a) 부분의 축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유닛(4a)이 설치되며,
    상기 전동수단은 감속기(6)의 구동축(6a)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5a)과,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5b)과, 상기 구동스프라켓(5a)을 종동스프라켓(5b)과 연결시키기 위한 전동체인(5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판(2a)에는 베어링유닛(4a)을 개재시킨 상태로 파이프형 로터리허브(4b)가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료살포관(3)의 수직관(3a) 하단측은 로터리허브(4b)의 상단 내측으로 조립 설치되며,
    상기 로터리허브(4b)의 하단 내측에는 하부장착판(2b)의 파이프커넥터(11a)를 거쳐 사료이송관(11)과 연통되는 연결관(7)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종동스프라켓(5b)은 연결관(7)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5)는 사료살포관(3)의 회전각도 조정이 가능한 스테핑모터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모터는 사료공급장치(12)의 제어유닛과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사료살포기(10)와 사료공급장치(12)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스프라켓(5b)의 하부에 해당하는 수직관(3a) 또는 연결관(7)의 외주면에는 하나의 돌출핀(9a)을 구비하는 센서작동판(9)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장착판(2b)의 상부면에는 수직관(3a) 또는 연결관(7)이 중심부를 관통하는 원판 형태의 센서홀더(8)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센서홀더(8)의 주연부에는 센서작동판(9)의 돌출핀(9a)과 근접하여 사료의 살포위치를 판단하는 센서기구(S)로서 최소 2개 이상의 근접센서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핀(9a)은 사료살포관(3)의 수평관(3b)과 평행한 방향이 되고, 상기 근접센서는 사료살포기(10) 주변의 양식수조 또는 가두리그물의 배치상태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사료공급장치(12)의 제어유닛과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사료살포기(10)와 사료공급장치(12)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11.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살포관(3)의 수평관(3b) 선단 출구측은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토출관(3d)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3b)과 토출관(3d)의 연결부위는 소정폭의 주름관(3e)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13.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살포관(3)의 수평관(3b)은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관(3c)이 되고, 상기 경사관(3c)의 선단 출구측은 가두리그물(14) 또는 양식수조(16)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토출관(3d)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관(3c)과 토출관(3d)의 연결부위는 소정폭의 주름관(3e)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KR1020160080893A 2016-06-28 2016-06-28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KR10167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93A KR101677011B1 (ko) 2016-06-28 2016-06-28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93A KR101677011B1 (ko) 2016-06-28 2016-06-28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011B1 true KR101677011B1 (ko) 2016-11-18

Family

ID=5753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893A KR101677011B1 (ko) 2016-06-28 2016-06-28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0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1955A (zh) * 2018-03-07 2018-08-17 湖南文理学院 一种用于水产养殖用远距离饲料投放装置
KR20190035018A (ko) * 2017-09-25 2019-04-03 지엘파워 유한회사 육상 축양장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KR102252877B1 (ko) * 2021-02-01 2021-05-17 금호마린테크(주)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료공급방법
KR20230032038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대일 어류양식장 자동사료급이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79Y2 (ja) * 1991-07-12 1995-03-22 新日本ベンチャーズ株式会社 自動給餌機
KR200358668Y1 (ko) 2004-05-03 2004-08-12 김성근 공압을 이용한 어류양식장 자동먹이공급장치
KR200384353Y1 (ko) 2005-02-18 2005-05-13 주점섭 어류 양식장의 사료 자동 공급장치
KR20050102697A (ko) * 2004-04-21 2005-10-27 임종환 회전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23243B1 (ko) * 2009-04-24 2009-10-27 주식회사 프로봇 급이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양식 시스템
KR20100032086A (ko) * 2008-09-17 2010-03-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료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79Y2 (ja) * 1991-07-12 1995-03-22 新日本ベンチャーズ株式会社 自動給餌機
KR20050102697A (ko) * 2004-04-21 2005-10-27 임종환 회전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58668Y1 (ko) 2004-05-03 2004-08-12 김성근 공압을 이용한 어류양식장 자동먹이공급장치
KR200384353Y1 (ko) 2005-02-18 2005-05-13 주점섭 어류 양식장의 사료 자동 공급장치
KR20100032086A (ko) * 2008-09-17 2010-03-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료 공급 장치
KR100923243B1 (ko) * 2009-04-24 2009-10-27 주식회사 프로봇 급이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양식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18A (ko) * 2017-09-25 2019-04-03 지엘파워 유한회사 육상 축양장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KR102117678B1 (ko) 2017-09-25 2020-06-01 지엘파워 유한회사 어류 양식장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CN108401955A (zh) * 2018-03-07 2018-08-17 湖南文理学院 一种用于水产养殖用远距离饲料投放装置
KR102252877B1 (ko) * 2021-02-01 2021-05-17 금호마린테크(주)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료공급방법
KR20230032038A (ko) *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대일 어류양식장 자동사료급이기
KR102607604B1 (ko) 2021-08-30 2023-11-29 (주)대일 어류양식장 자동사료급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011B1 (ko)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KR101677010B1 (ko)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EP0076663A2 (en) Hog feeder
CN104335949B (zh) 一种养殖池精准投喂装置及投喂方法
CN201238525Y (zh) 干湿自动喂料器
US11839910B2 (en) Insect-based biowaste processing apparatus
CN104756928A (zh) 一种水产养殖用集中式自动投饲增氧方法
US6691640B1 (en) Animal feeder insert with desiccant cavity
CN102318464B (zh) 全自动多功能烟草精量播种机
KR20120041078A (ko) 진동시 풀림없는 정량 조절 장치
KR101693466B1 (ko) 휀스형 사료 및 음수 자동 급이시스템
CN104521390A (zh) 定量施肥装置
CN103478003B (zh) 一种畜禽开食器落料组件
CN105409804B (zh) 养猪场自动给料食槽装置
JPS6156965B2 (ko)
KR102359039B1 (ko)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3276210B2 (ja) 養魚池用給餌機
JPH02207726A (ja) 養魚槽における給餌方法
CN219088144U (zh) 一种适用于对虾养殖车间的自动上料投料系统
CN109618957A (zh) 多点投料式畜牧喂食装置
CN219395878U (zh) 一种定时定量的饲料投放设备
CN205250079U (zh) 养猪场自动给料食槽装置
CN204616804U (zh) 一种3d打印的养殖箱
JPH03130028A (ja) 給餌装置
KR200304702Y1 (ko) 사료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