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18B1 -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 Google Patents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418B1
KR102045418B1 KR1020170152266A KR20170152266A KR102045418B1 KR 102045418 B1 KR102045418 B1 KR 102045418B1 KR 1020170152266 A KR1020170152266 A KR 1020170152266A KR 20170152266 A KR20170152266 A KR 20170152266A KR 102045418 B1 KR102045418 B1 KR 10204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ertilizer
opening
side plat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482A (ko
Inventor
김창곤
Original Assignee
김창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곤 filed Critical 김창곤
Priority to KR102017015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4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oscillating distribut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살포범위를 안내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살포방향 조절장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일부에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과 하판 및 측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삽입공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판과 상부와 하판의 하부로 돌출되면, 각 고정돌기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핀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측판이 상판과 하판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판의 한쪽 끝단에 측판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측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의 한쪽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며 개구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개구부로부터 토출되는 비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동패널이 구비되는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FERTILIZER SPREADER EQUIPPED WITH SPRAY DIRECTION REGULATOR}
본 발명은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살포범위를 안내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살포방향 조절장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일부에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과 하판 및 측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삽입공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판과 상부와 하판의 하부로 돌출되면, 각 고정돌기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핀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측판이 상판과 하판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판의 한쪽 끝단에 측판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측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의 한쪽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며 개구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개구부로부터 토출되는 비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동패널이 구비되는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0114958호에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바닥에 유출구를 갖는 원통이 테두리 일부에 조정레버가 형성된 원통고정구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이것이 회전축에 관통되어 살포팬의 상부에서 유출량 조정판에 밀착 지지되도록 결합하되, 조정레버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원통이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며, 상기 원통을 관통하는 회전축에는 제2의 교반스크류를 착설하고, 비료차단판의 상부판에는 호형홈을 형성하여 조정레버의 단부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공개 1998-059151호에 의한 살포 방향 조절장치는 비료탱크의 바닥판에 형성한 비료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된 비료를 고속회전하는 살포팬으로 가격하여 넓은 범위로 살포되도록 한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비료탱크의 바닥판에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와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를 형성하고, 바닥판의 하부에는 바닥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비료유출구를 갖는 살포량조정판을 부착하고 상기 살포량 조정판의 일측으로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암을 형성하여 본체프레임에 부착된 살포량조절레버에 연결시키고, 살포량조정판의 하부에는 바닥판의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2개의 비료유출구와 그 사이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비료유출구가 형성된 방향조정판을 부착하고 방향조정판의 일측에는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암을 형성하며, 비료차단판의 상부에는 방향조정판의 암이 그리는 원호상 3점에 방향선택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방향조정판의 암을 고정하도록 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살포방향조절장치의 각 구성 원리는 고속 회전하는 살포팬 위에 위치한 비료유출구의 위치에 따라 비료차단판과 살포팬 그리고 타격 위치의 작용에 따라 후방으로 향하는 비료의 살포방향이 달라지는 원리에 따른 것으로 전자는 원통에 형성된 비료 유출구의 위치를 달리하고, 후자는 비료 탱크 바닥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살포량조정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 및 방향조정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비료유출위치를 달리하여 살포 방향이 달라지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비료 살포기에 있어서 비료 살포방향 조절을 위해 원통판 또는 방향조정판이 추가되는 구성이고, 그에 따라 비료살포기의 구성이 복잡해져 비용 상승 요인이 되었고, 제조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농민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연장관이나 방향조절판을 사용하지 않고, 비료가 살포되는 방향을 좌우로 원활하게 변경하여 원하는 방향의 위치에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비료살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비료살포방향 조절에 필요한 별도의 연장관이나 방향조절판의 구성을 생략함으로써 비료살포기의 구조를 단순한 구조로 개선하였으며, 그로 인한 재료비, 제작설치비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살포범위를 안내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살포방향 조절장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일부에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과 하판 및 측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삽입공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판과 상부와 하판의 하부로 돌출되면, 각 고정돌기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핀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측판이 상판과 하판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판의 한쪽 끝단에 측판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측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의 한쪽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며 개구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개구부로부터 토출되는 비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동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패널은 장방형의 판형상체로 형성되되, 상단과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내측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공이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위치의 상판과 하판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통해 가이드공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패널은 만곡되어 고정된 측판의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이 활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한쪽면이 만곡된 측판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가 배치된 위치의 상판과 하판의 한쪽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패널은 한쪽 끝단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다른쪽 끝단이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되, 상기 회동패널의 상단과 하단이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안내날개와, 상기 안내날개의 한쪽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된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이 형성된 위치의 상판과 하판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을 통해 안내공에 체결되는 각도조절볼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패널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판이 제1측판과 제2측판으로 분리되어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동패널이 2개의 개구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비료가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를 통해 동시에 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결합되는 측판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료가 살포되는 방향을 좌우로 원활하게 변경하여 원하는 방향의 위치에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료살포방향 조절에 필요한 별도의 연장관이나 방향조절판의 구성을 생략함으로써 비료살포기의 구조를 단순한 구조로 개선하였으며, 그로 인한 재료비, 제작설치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포방향 조절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패널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패널의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패널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패널의 회전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슬라이딩패널과 회동패널이 결합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패널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패널의 회전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포방향 조절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패널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패널의 이동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패널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패널의 회전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슬라이딩패널과 회동패널이 결합된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패널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패널의 회전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100)는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2)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3)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살포범위를 안내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4)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살포방향 조절장치(4)는 상기 살포방향 조절장치(4)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판(11)과 하판(12)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일부에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13)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회전판(3)을 감싸며 결합될 수 있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11)과 하판(12) 및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며 끝단이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구비되는 측판(13)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1)과 하판(12) 및 측판(13)이 상기 회전판(3)을 감싸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판(11)과 하판(12) 모서리를 따라 나란하게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삽입공(111,12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13)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삽입공(111,121)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관통공(132)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핀(15)은 상기 측판(13)을 만곡시켜 고정돌기(131)가 상판과 하판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111,121)에 삽입되어 상판과 하판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면 각 고정돌기(131)에 형성된 관통공(132)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14)는 둥글게 말려서 고정되는 상기 측판(13)의 양쪽 끝단이 서로 떨어져 고정됨에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상판(11)과 하판(12)의 사이에 측판(13)을 둥글게 말아 고정돌기(131)를 삽입공(111,121)에 삽입시킨 후 관통공(132)에 체결핀(15)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함체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둥글게 말려서 고정되는 상기 측판(13)의 양쪽 끝단이 서로 떨어져 고정됨으로써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하우징(10)의 측방 일부가 개방되어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고정돌기(131)에 체결된 복수개의 체결핀(15)을 제거하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상판(11)과 하판(12)으로부터 측판(13)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측판(13)의 배치를 조절하여 결합함으로써 하우징(10)의 측부에 배치되는 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살포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판(13)의 한쪽 끝단에 겹쳐 배치되어 측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패널(20)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패널(20)이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1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개구부(14)가 형성된 위치의 한쪽 상판(11a)과 하판(12a)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공(112,122)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패널(20)은 상기 측판(13)의 한쪽 끝단에 겹쳐 배치되어 측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장방형의 판형상체로 형성되되, 상단과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내측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2)이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4)가 형성된 위치의 상판(11a)과 하판(12a)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공(112,12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12,122)을 통해 가이드공(22)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21)는 슬라이딩패널(20)의 상단과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내측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2)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슬라이딩패널(20)은 만곡되어 고정된 측판(20)의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22)이 활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패널(20)의 한쪽면이 만곡된 측판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볼트(23)는 상기 체결공(112,122)을 통해 가이드공(22)에 체결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체결공(112,122)가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각각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패널(20)은 둥글게 말려서 고정되는 측판(1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나란하게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1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살포방향 조절장치(4)는 상기 측판(13)의 한쪽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며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개구부로(14)부터 토출되는 비료의 방향을 조절하는 회동패널(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개구부(14)가 형성된 위치의 한쪽 상판(11b)과 하판(12b)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16)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패널(30)은 상기 측판(13)의 한쪽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며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패널(30)은 한쪽 끝단이 상기 회전축(16)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다른쪽 끝단이 하우징(10)의 외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패널(30)의 상단과 하단이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안내날개(31)와, 상기 안내날개(31)의 한쪽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된 안내공(32)과, 상기 안내공(32) 형성된 위치의 상판(11c)과 하판(12c)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공(113,12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113,123)을 통해 안내공(32)에 체결되는 각도조절볼트(3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동패널(30)이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하우징(1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공(22)에 체결된 가이드볼트(23)에 의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되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포방향 조절장치(4)는 함체의 형상으로 결합되며 측부에 비료가 토출되는 개구부(14)가 마련된 하우징(10)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4)의 크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조절하는 슬라이딩패널(20)과, 개구부(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되는 회동패널(30)이 함께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최초 하우징(10)의 결합과정에 있어서, 측판(12)의 설치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비료가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부(14)의 방향을 배치하여 하우징(10)을 결합할 수 있으며, 비료가 토출되는 개구부(1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패널(20) 및 토출되는 비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동패널(30)을 더 장착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9와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판(13)이 제1측판(13a)과 제2측판(13b)으로 분리되어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가 마련되고, 상기 회동패널(30)이 2개의 개구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측방향으로 비료가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를 통해 동시에 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판(13)이 상판(11)과 하판(12)의 사이에서 제1측판(13a)와 제2측판(13b)으로 분리되어 고정함으로써,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패널(30)이 2개의 개구부(14a,14b)에 각각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3)에 의해 충격되는 비료가 하우징(10)의 측방향에 마련된 2개의 개구부(14a,14b)를 통해 동시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때 배출되는 비료는 상기 회동패널(30)에 의해 각각 안내되어 살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비료살포기를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측판(12)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비료가 토출되는 개구부(14)의 방향을 임의의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로 각각 배치하며, 각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비료의 살포방향을 조절하는 회동패널(30)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측방향으로 토출되는 비료를 좌측과 우측의 살포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하여 살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의 한쪽에 각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슬라이딩패널(20)이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0: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1: 호퍼 2: 개폐장치
3: 회전판 4: 살포방향 조절장치
10: 하우징 11: 상판
12: 하판 111,121 : 삽입공
112,122 : 체결공 113,123 : 고정공
13: 측판 131: 고정돌기
132: 관통공 15: 체결핀
14: 개구부 16: 회전축
20: 슬라이딩패널 21: 플랜지부
22: 가이드공 23: 가이드볼트
30: 회동패널 31: 안내날개
32: 안내공 33: 각도조절볼트

Claims (8)

  1. 비료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호퍼(1)와, 상기 호퍼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장치(2)와,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어 하부로 배출된 비료를 타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회전판(3)과, 상기 회전판에 의해 살포되는 비료의 살포범위를 안내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4)를 포함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살포방향 조절장치(4)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판(11)과 하판(12) 및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모서리를 따라 만곡되어 배치되되 양쪽 끝단이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일부에 외부로 연통되는 개구부(14)가 구비되도록 배치되는 측판(13)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1)과 하판(12) 및 측판(13)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의 모서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삽입공(111, 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판(13)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기 삽입공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관통공(132)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31)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31)가 상기 상판과 하판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111,121)에 삽입되어 상판과 상부와 하판의 하부로 돌출되면, 각 고정돌기(131)에 형성된 관통공(132)에 체결핀(15)이 끼움 고정되어 상기 측판이 상판과 하판에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판(13)의 한쪽 끝단에 측판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측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패널(20)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13)의 한쪽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며 개구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개구부로(14)부터 토출되는 비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동패널(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패널(20)은 장방형의 판형상체로 형성되되, 상단과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며 내측에 장공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2)이 각각 형성된 플랜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4)가 형성된 위치의 상판(11a)과 하판(12a)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체결공(112,12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12,122)을 통해 가이드공(22)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패널(20)은 만곡되어 고정된 측판(20)의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22)이 활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패널(20)의 한쪽면이 만곡된 측판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4)가 배치된 위치의 상판(11b)과 하판(12b)의 한쪽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16)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패널(30)은 한쪽 끝단이 상기 회전축(16)에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다른쪽 끝단이 하우징(10)의 외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되, 상기 회동패널(30)의 상단과 하단이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안내날개(31)와, 상기 안내날개(31)의 한쪽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장공으로 형성된 안내공(32)과, 상기 안내공(32)이 형성된 위치의 상판(11c)과 하판(12c)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공(113,12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113,123)을 통해 안내공(32)에 체결되는 각도조절볼트(33)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패널(30)이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3)이 제1측판(13a)과 제2측판(13b)으로 분리되어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제1개구부(14a)와 제2개구부(14b)가 마련되고, 상기 회동패널(30)이 2개의 개구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비료가 상기 하우징(10)의 측방향으로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를 통해 동시에 살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KR1020170152266A 2017-11-15 2017-11-15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KR10204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66A KR102045418B1 (ko) 2017-11-15 2017-11-15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66A KR102045418B1 (ko) 2017-11-15 2017-11-15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82A KR20190055482A (ko) 2019-05-23
KR102045418B1 true KR102045418B1 (ko) 2019-11-15

Family

ID=6668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266A KR102045418B1 (ko) 2017-11-15 2017-11-15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64A (ko) * 2020-10-26 2022-05-03 남영석 비료 살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6840B2 (ja) * 1998-03-16 2008-02-13 株式会社タカキタ 肥料散布機
KR20000020020U (ko) * 1999-04-26 2000-11-25 이용호 입제비료 살포기
KR200442894Y1 (ko) * 2007-03-20 2008-12-19 김창곤 비료 차단판
KR101401679B1 (ko) * 2012-05-21 2014-06-02 나종권 비료 살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64A (ko) * 2020-10-26 2022-05-03 남영석 비료 살포기
KR102553551B1 (ko) 2020-10-26 2023-07-07 남영석 비료 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82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679B1 (ko) 비료 살포 장치
KR102147867B1 (ko) 토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KR102045418B1 (ko)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KR101840829B1 (ko) 드론에 장착되는 다목적 살포장치
JP6253144B2 (ja) 肥料散布機
KR20120052480A (ko) 무인헬기용 파종장치
KR20170014165A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CN108886920B (zh) 一种用于圆盘式开沟施肥机的施肥覆土装置
KR20080070944A (ko) 유기질 비료살포기의 비료 살포량 조절장치
KR200459870Y1 (ko) 비료살포기의 전기식 살포량 조절장치
KR100988438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의 비료살포기
KR200457502Y1 (ko) 대용량 비료살포기
JP4555993B2 (ja) 肥料散布機
JP5620237B2 (ja) 肥料散布装置
KR200442894Y1 (ko) 비료 차단판
KR200186249Y1 (ko) 비료의 살포방향제어장치
CN107094404B (zh) 一种播种撒肥一体的自动设备
KR200377621Y1 (ko) 트랙터용 비료 살포기
KR200407854Y1 (ko) 트랙터용 비료 살포기에 설치되는 살포장치
JP3757033B2 (ja) 無線操縦式ヘリコプターに搭載する薬剤散布装置
CN104054441A (zh) 撒肥机排料调节装置
JP5505638B2 (ja) 堆肥散布機
KR200237398Y1 (ko)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KR200180223Y1 (ko) 경운기를이용한비료살포장치의살표량조절장치
JP3910715B2 (ja) 対向回転円板式の肥料散布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