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501U -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501U
KR19980059501U KR2019980013336U KR19980013336U KR19980059501U KR 19980059501 U KR19980059501 U KR 19980059501U KR 2019980013336 U KR2019980013336 U KR 2019980013336U KR 19980013336 U KR19980013336 U KR 19980013336U KR 19980059501 U KR19980059501 U KR 199800595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plate
spreader
spread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2019980013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501U/ko
Publication of KR199800595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501U/ko

Links

Landscapes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료유출구의 위치를 위치를 조정하여 비료의 낙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서 비료의 살포방향을 조절하도록한 살포방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살포량의 정확히 조절하면서 살포방향을 조절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료탱크(1) 바닥판(2)에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a)와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b)를 형성하고, 바닥판(2)의 하부에는 바닥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비료유출구(4a)(4b)를 갖는 살포량조정판(4)을 부착하고 살포량 조정판의 일측으로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암(4c)을 형성하여 본체프레임(f)에 부착된 살포량조절레버(5)에 연결시키고, 살포량조정판(4)의 하부에는 바닥판의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2개의 비료유출구(6a)(6b)와 그 사이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비료유출구(6c)가 형성된 방향조정판(6)을 부착하고 방향조정판의 일측에는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암(6d)을 형성하며, 비료차단판(7)의 상부에는 방향조정판의 암(6d)이 그리는 원호상 3점에 방향선택홈(8)을 형성하여 여기에 방향조정판의 암을 고정하도록 한 구성의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조절장치를 제시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살포방향조정판의 위치를 조정하여 줌으로서 정확한 살포량의 조절상태에서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본 고안은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비료유출구의 위치를 위치를 조정하여 비료의 낙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서 비료의 살포방향을 조절하도록한 살포방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료살포기는 호퍼에 채워진 비료가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될 때 회전하는 살포팬으로 가격하여 넓은 범위로 확산 살포되도록 한 장치이며, 살포방향조절장치는 비료살포기의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제한하여 살포되도록 하는 장치로 인접작물과의 경계부나 토지 경계부에서 인위적으로 살포방향을 제한함으로서 잘못 시비됨으로서 오는 작물피해를 방지하고 비료의 낭비를 줄일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살포방향 조절장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제115958호로 제시된 살포방향조절장치를 들 수 있는 데 이것은 비료탱크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의 하부에 별도의 원통을 부착하고 상기 원통에 비료유출구를 형성하여 원통을 일정각도로 회전되게 함으로서 비료의 낙하 위치에 따라 살포방향이 변화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살포방향조절장치는 원통 내부에 제2교반스크류를 설치하여야 함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비료탱크로부터 빠져나온 비료를 원통으로 받은 후 다시 유출시키는 구성으로 됨으로서 유출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료탱크의 바닥에 접하도록 유출량조정판이 부착되고 유출량 조정판이 비료탱크에 형성된 유출구의 개폐량을 변화시킴으로서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유출량 조정판에 의해 량이 조절된 비료가 일단 원통에 채워진 상태로 재 유출되기 때문에 유출량의 조절이 즉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에 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살포방향조절장치를 개선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함으로서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고, 유출량 조절의 정확성을 유지한 상태로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 구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를 새로이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비료탱크 바닥판에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와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를 형성하고, 바닥판의 하부에는 살포팬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살포량조정판 및 살포방향조정판을 부착하고 살포량 조정판에는 2개의 비료유출구를 형성하고, 살포방향조정판에는 3개의 비료유출구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 살포방향조정판의 각도조절에 따라 바닥판에 형성된 비료 유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비료의 유출위치를 변화시켜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살포방향조절장치를 새로이 제시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3은 방향조절판의 배치상태를 보인 평면 상태도
도4a 내지 도4c는 호퍼바닥판,살포량조절판 및 방향조절판의 변화에 따른 살포방향의 변화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비료탱크 2.바닥판 2a,2b,4a,4b,6a,6b,6c.비료유출구
3.살포팬 4.살포량조정판 4c,6d.암
5.살포량조절레버 6.방향조정판 7.비료차단판
8.방향선택홈 9.살포팬축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비료살포기의 구성도이며, 도3은 비료유출구와 살포팬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비료탱크(1)의 바닥판(2)에 형성한 비료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된 비료를 고속회전하는 살포팬(3)으로 가격하여 넓은 범위로 살포되도록 한 비료살포기에 적용되는 살포방향 조절장치로서, 비료탱크(1) 바닥판(2)에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a)와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b)를 형성하고, 바닥판(2)의 하부에는 바닥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비료유출구(4a)(4b)를 갖는 살포량조정판(4)을 부착하고 살포량 조정판의 일측으로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암(4c)을 형성하여 본체프레임(f)에 부착된 살포량조절레버(5)에 연결시키고, 살포량조정판(4)의 하부에는 바닥판의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2개의 비료유출구(6a)(6b)와 그 사이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비료유출구(6c)가 형성된 방향조정판(6)을 부착하고 방향조정판의 일측에는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암(6d)을 형성하며, 비료차단판(7)의 상부에는 방향조정판의 암(6d)이 그리는 원호상 3점에 방향선택홈(8)을 형성하여 여기에 방향조정판의 암을 고정하도록 한 구성의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조절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에서 비료탱크(1)의 바닥판(2),살포량 조정판(4) 및 살포방향조정판(6)에 각기 형성되는 비료유출구(2a)(2b)(4a)(4b)(6a)(6b)(6c)는 각기 동일한 형상으로 살포팬(3)의 축공(10)을 중심으로 콘 형태로 천공한 것이며,비료가 유출되는 통로를 구성한다.
비료탱크(1)의 바닥판(2)에 형성된 비료유출구(2a)(2b)중 측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b)는 전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a)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120。 범위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비료탱크와 일체로 형성됨으로 비료유출구의 위치가 고정된다.
살포량 조정판(4) 및 방향조정판(6)은 살포팬축(9)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비료탱크의 바닥판(2) 바로 하부에 살포방향조정판(6)을 먼저 설치하고 살포방향조정판 하부에 살포량조정판(4)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도 있다.
살포량 조정판(4)는 그에 결합된 살포량 조절레버(5)의 조작에 따라 대략 60。 범위에서 각 변화 하고, 방향조정판(6)은 비료차단판(7)에 형성된 방향 선택홈(8)의 선택위치에 따라 대략 120 。 범위로 각변화하여 비료유출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살포량의 조절 및 살포방향의 조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비료유출구의 위치에 따른 살포방향의 변화 상태를 도4a 내지 도4c 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살포방향조정판의 암(6d)을 방향선택홈(8)의 A위치에 고정하면(도 4a) 비료유출구6c 와 비료유출구2b 만이 일치하여 비료통로를 만들고 다른 비료유출구는 서로 어긋나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 상태에서 유출량조정판의 동작에 따라 상기 비료유출구2b의 개폐크기가 조정된 상태의 비료가 비료유출구 2b를 통하여 a위치에서만 배출된다.
고속회전하는 살포팬(3)에 부딪힌 비료는 대략 스파이어럴(spiral) 형태로 분산 살포가 이루어 짐으로 a위치에서 배출된 비료는 대략 m방향(살포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우측방향)으로 살포가 이루어 지게 된다.
살포방향조정판의 암(6d)를 대략 120。회전시켜 방향선택홈 C위치에 고정시키면 (도4b) 비료유출구2a와 6c만이 일치하고 다른 비료유출구는 서로 어긋나 폐쇄되어 비료유출구2a를 통하여 b위치로만 비료가 배출되고, 그에 따라 살포팬에 부딪힌 비료는 n 방향으로 만 (즉,살포기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측방향) 비료살포가 이루어 지게 된다.
살포방향조정판의 암(6d)를 방향선택홈 B위치에 고정시키면(도4c) 비료유출구2a와 6a 및 2b 와 6b가 일치되어 비료유출구2a 및 2b를 통하여 a 와 b 위치에서 동시에 비료가 배출되고, 그에 따라 살포팬에 부딪힌 비료는 m과 n 방향으로 폭넓게 살포되어 비표살포기의 후방 전역에 걸쳐 살포기 가능하게 된다.
이때 비료차단판은 살포기의 전방으로 살포되려고 하는 비료를 차단시켜 살포방향을 굴절시켜 줌으로 차단판에 부딪힌 비료는 차단판의 측벽면을 타고 가속되어 후방으로 살포된다.
이상에서 살포량 조정판은 유출통로가 확보된 상태의 비료유출구를 개폐시켜 줌으로서 유출량,즉 살포량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고, 살포방향 조정판은 비료탱크 바닥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서 배출되는 비료의 낙하 위치를 변화시켜 살포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5는 트랙터(13)에 비료살포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살포방향조정판의 위치에 따라 살포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 또는 우방향으로 살포할 수 잇음을 보인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살포량조절레버(5)와 살포량조정판(4)의 암(4d)를 연결하는 로드를 표시한 것이며, 12은 트랙터(13)의 PTO 축(15)에 연결되어 살포팬을 구동시키는 기어박스,14는 비료살포기를 연결하는 링크를 표시한 것으로 기어박스 대신 유압모터에 의한 살포팬 구동시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살포방향조정판에 의해 유출되는 비료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평상시에는 전방향으로의 비료살포작업을 행하고, 필요시에는 살포기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 또는 우방향으로 선택하여 살포할 수 있으며, 살포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살포방향의 조절이 이루어져 정확한 살포량의 조절이 가능할 뿐 만 아니라 구성이 단순하고 정확한 작동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비료탱크(1)의 바닥판(2)에 형성한 비료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된 비료를 고속회전하는 살포팬(3)으로 가격하여 넓은 범위로 살포되도록 한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비료탱크(1) 바닥판(2)에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a)와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b)를 형성하고, 바닥판(2)의 하부에는 바닥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비료유출구(4a)(4b)를 갖는 살포량조정판(4)을 부착하고 살포량 조정판의 일측으로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암(4c)을 형성하여 본체프레임(f)에 부착된 살포량조절레버(5)에 연결시키고, 살포량조정판(4)의 하부에는 바닥판의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2개의 비료유출구(6a)(6b)와 그 사이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비료유출구(6c)가 형성된 방향조정판(6)을 부착하고 방향조정판의 일측에는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암(6d)을 형성하며, 비료차단판(7)의 상부에는 방향조정판의 암(6d)이 그리는 원호상 3점에 방향선택홈(8)을 형성하여 여기에 방향조정판의 암을 고정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조절장치.
KR2019980013336U 1998-07-13 1998-07-13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KR199800595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336U KR19980059501U (ko) 1998-07-13 1998-07-13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336U KR19980059501U (ko) 1998-07-13 1998-07-13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501U true KR19980059501U (ko) 1998-10-26

Family

ID=6951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336U KR19980059501U (ko) 1998-07-13 1998-07-13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50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527B1 (ko) * 2012-12-14 2013-07-15 정길동 비료살포기
KR200470043Y1 (ko) * 2011-09-30 2013-11-25 김완수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전기식 비료살포기
KR200470908Y1 (ko) * 2012-03-07 2014-01-16 김완수 증속장치가 결합된 팬돌러 비료살포기
KR20220055064A (ko) 2020-10-26 2022-05-03 남영석 비료 살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43Y1 (ko) * 2011-09-30 2013-11-25 김완수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전기식 비료살포기
KR200470908Y1 (ko) * 2012-03-07 2014-01-16 김완수 증속장치가 결합된 팬돌러 비료살포기
KR101283527B1 (ko) * 2012-12-14 2013-07-15 정길동 비료살포기
KR20220055064A (ko) 2020-10-26 2022-05-03 남영석 비료 살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6246A (en) Spreading apparatus
US6406368B1 (en) Straw and chaff spreader with spread to the rear
JP6253144B2 (ja) 肥料散布機
KR19980059501U (ko)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KR101283527B1 (ko) 비료살포기
KR200460740Y1 (ko)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KR200470909Y1 (ko) 비료살포기의 살포량 정밀 조절 장치
KR102154988B1 (ko) 균일살포를 위한 트랙터 속도 감응형 변량시비시스템
KR200442894Y1 (ko) 비료 차단판
KR200457502Y1 (ko) 대용량 비료살포기
JP2013172733A (ja) 肥料散布機
JP2004229633A (ja) 肥料散布機
JP2018069110A (ja) スピードスプレーヤの薬液散布機構
KR102045418B1 (ko)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KR200237398Y1 (ko)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KR0115958Y1 (ko) 트랙터용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KR200196600Y1 (ko) 더블 비료살포기
JPH0533002B2 (ko)
KR200159612Y1 (ko) 비료 살포기의 비료 휘날림 방지장치
JP2598302Y2 (ja) 肥料散布機
CN109874423A (zh) 一种追肥机
KR200273956Y1 (ko) 논둑 비료살포방지장치
JP3543472B2 (ja) 田植機装備用の薬剤散布装置
KR100464589B1 (ko) 분체살포기능을 가지는 방제장치
JP2001269025A (ja) 肥料散布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