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740Y1 -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740Y1
KR200460740Y1 KR20090011735U KR20090011735U KR200460740Y1 KR 200460740 Y1 KR200460740 Y1 KR 200460740Y1 KR 20090011735 U KR20090011735 U KR 20090011735U KR 20090011735 U KR20090011735 U KR 20090011735U KR 200460740 Y1 KR200460740 Y1 KR 200460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spreading
connecting hole
plate
adju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1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567U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20090011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4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 A01C15/124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with adjustable shutters or sl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료 살포기에서 살포 방향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살포 방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깔때기 모양의 호퍼(20)의 바닥부(23)에는 제1비료유출구(21)(22)가 형성되어 있고, 살포량조정판(50)은 그 외경이 호퍼(20)의 바닥부(23) 외경보다 크고, 제2비료유출구(51)(52)가 천공되어 있고, 테두리에 제1연결공(53)과 제2연결공(54)과 제3연결공(5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공(53)과 제2연결공(54)과 제3연결공(55) 중 어느 한 연결공을 선정하여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를 연결함으로써 제1비료유출구(21)(22)에 대한 제2비료유출구(51)(52)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시켜 살포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료살포기, 살포방향조절

Description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SPREADING DIRECTION CONTROL DEVICE IN SPREADER}
본 고안은 호퍼 바닥부에 형성된 비료 배출구의 위치를 변화시켜 살포방향을 조절하는 살포 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나의 유출량 조정판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유출량 조정판의 조정레버에 연결된 커넥팅로드의 결합위치를 변환함으로써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0115958호에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유출구(12)를 갖는 원통(11)이 테두리 일부에 조정레버(14)가 형성된 원통고정구(13)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이것이 회전축(5)에 관통되어 살포팬(4)의 상부에서 유출량 조정판(7)에 밀착 지지되도록 결합하되, 조정레버(14)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원통이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며, 상기 원통을 관통하는 회전축(5)에는 제2의 교반스크류(15)를 착설하고, 비료차단판의 상부판에는 호형홈을 형성하여 조정레버(14)의 단부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공개 1998-059501호에 의한 살포 방향 조절장치는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비료탱크(1)의 바닥판(2)에 형성한 비료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된 비료를 고속회전하는 살포팬(3)으로 가격하여 넓은 범위로 살포되도록 한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비료탱크(1)의 바닥판(2)에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a)와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비료유출구(2b)를 형성하고, 바닥판(2)의 하부에는 바닥판에 형성된 비료유출구(2b)와 일치하는 비료유출구(4a)(4b)를 갖는 살포량조정판(4)을 부착하고 상기 살포량 조정판(4)의 일측으로 살포기 측방으로 향하는 암(4c)을 형성하여 본체프레임(f)에 부착된 살포량조절레버(5)에 연결시키고, 살포량조정판(4)의 하부에는 바닥판의 비료유출구와 일치하는 2개의 비료유출구(6a)(6b)와 그 사이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비료유출구(6c)가 형성된 방향조정판(6)을 부착하고 방향조정판(6)의 일측에는 살포기 전방으로 향하는 암(6d)을 형성하며, 비료차단판(7)의 상부에는 방향조정판(6)의 암(6d)이 그리는 원호상 3점에 방향선택홈(8)을 형성하여 여기에 방향조정판의 암을 고정하도록 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살포방향조절장치의 각 구성 원리는 고속 회전하는 살포팬 위에 위치한 비료유출구의 위치에 따라 비료차단판과 살포팬 그리고 타격 위치의 작용에 따라 후방으로 향하는 비료의 살포방향이 달라지는 원리에 따른 것으로 전자는 원통에 형성된 비료 유출구의 위치를 달리하고, 후자는 비료 탱크 바닥에 형성된 비료유출구 (2a)(2b)와, 살포량조정판(4)에 형성된 비료유출구(4a)(4b) 및 방향조정 판(6)에 형성된 비료유출구(6a)(6b)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비료유출위치를 달리하여 살포 방향이 달라지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비료 살포기에 있어서 비료 살포방향 조절을 위해 원통판 또는 방향조정판(6)이 추가되는 구성이고, 그에 따라 비료살포기의 구성이 복잡해져 비용 상승 요인이 되었고, 제조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농민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비료 살포 방향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원통판이나 방향조정판을 사용하지 않고, 살포량조정판의 구조를 변경하여 살포량조정판이 직접살포량을 조절하는 고유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살포 방향을 좌우로 원활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방향의 위치에 비료를 살포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료살포방향조절에 필요한 상기의 원통판이나 방향조정판 구성을 생략함으로써 비료살포기의 구조를 단순한 구조로 개선하였으며, 생략된 구성에 의하여 재료비, 제작설치비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바닥부는 제1비료유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주동축이 트랙터의 PTO축에 연결되고 종동축은 상기 호퍼 바닥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호퍼 하부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기어박스와, 호퍼바닥부에 형성된 제1 비료유출구에 대응하는 제2비료유출구가 설치된 살포량조정판과, 상기 살포량조정판을 회전시켜 제1비료유출구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한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와, 상기 종동축에 결합된 살포팬으로 구성된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살포량조정판의 크기는 호퍼의 바닥부 외경보다 크고, 상기 살포량조정판 테두리는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과 제3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과 제3연결공 중 어느 한 연결공을 선정하여 그 연결공에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를 연결하여 살포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를 제시한다.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과 제3연결공은 연결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각기 기준 연결공과 그 좌우측에 보조 연결공을 다수개 설치하여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의 연결 위치를 조절하여 제1비료유출구와 제2비료유출구가 대응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축 상에 지지되는 살포량조정판과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면 호퍼 바닥에 형성된 제1비료유출구와 살포량조정판에 형성된 제2비료유출구가 만나는 위치가 변경되고, 변경된 상태에서 비료의 유출량이 조정됨으로써 살포량조정판에 의해 살포량 조절과 살포 방향 변경이 가능하고, 원통판 또는 방향조정판이 불필요하며, 적은 비용으로 살포방향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 공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구조의 비료살포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을 트랙터에 장착 사용하여 트랙터의 PTO축으로 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비료살포기에 적용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비료 살포기는 3점링크연결구(11)가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부(23)는 제1비료유출구(21)(22)가 형성된 호퍼(20)와, 호퍼(20) 바닥부(23)에 형성된 제1비료유출구(21)(22)에 대응하는 제2비료유출구(51)(52)가 설치된 살포량조정판(50)과, 상기 살포량조정판(50)을 회전시켜 제1비료유출구(21)(22)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한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와, 상기 살포량조정판(50) 하부 종동축(32)에 결합된 살포팬(80)과, 비료 살포시 전방으로 살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살포팬(80)을 감싸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된 비료차단판(10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서, 살포량조정판(50)의 크기는 호퍼(20)의 바닥부 외경보다 크고, 상기 살포량조정판(50) 테두리는 제1연결공(53)과 제2연결공(54)과 제3연결공(55)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공(53)과 제2연결공(54)과 제3연결공(55) 중 어느 한 연결공을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에 연결하여 살포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제1비료유출구(21)(22)는 호퍼(20)의 바닥부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2개 형성하고, 살포량조정판(50)의 제2비료유출구(51)(52)는 제1비료유출구(21)(22)에 대응하도록 2개 형성한다.
호퍼(20) 바닥에 형성한 2개의 제1비료유출구(21)(22)는 각기 80°~ 110°의 각도(x)로 이격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살포량조정판(50)에 형성된 제2비료유출구(51)(52) 또한 80°~ 110°의 각도로 이격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96°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살포량조정판(50)의 외경은 호퍼(20)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호퍼(20) 바닥부 외경보다 5~20mm 크게 형성한다.
살포량조정판(50)의 테두리에 형성된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공(53), 제2연결공(54), 제3연결공(55)은 대략 80°~ 110°각도간격이 유지되고, 어느 한 연결공에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를 연결하였을 때 제1비료유출구(21)(22)와 제2비료유출구(51)(52)가 다음과 같은 조합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비료를 살포한다.
도 3a는 (21)과 (51)이 일치하고, (22)와 (52)가 일치 ⇒ 개방
도 3b는 (21)과 (52)가 일치 ⇒ 개방
도 3c는 (22)와 (51)이 일치 ⇒ 개방
상기한 제1연결공(53), 제2연결공(54) 또는 제3연결공(55)은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의 연결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기준 연결공과 그 좌ㆍ우에 형성한 보조 연결공 2개로 구성하여 설치 상태에서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와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어느 한 연결공에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를 연결할 경우 살포방향 식별용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고,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손쉽게 살포방향을 식별하기 위한 야광판 또는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살포량조정판(50)은 종동축(32)이 관통된 원통형 스페이서(60)에 결합되어 종동축(32)과 이격된 상태에서 스페이서(60)를 축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스페이서(6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1비료유출구(21)(22)와 제2비료유출구(51)(52)의 교합 상태를 조절하여 비료 살포량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는 프레임(10)에 설치한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나 전기모터로 구성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부착 설치된 레버(71)와 상기 레버(71)의 작동간(72)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살포량조정판(50)의 제1연결공(53), 제2연결공(54) 또는 제3연결공(55) 중 어느 한 곳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73)로 구성할 수 있다.
살포팬(80)은 기어박스(30)의 종동축(32)에 결합된 원형판(81)과 상기 원형판(81)에 결합된 복수의 날개(82)로 이루어지는 원판 디스크 살포팬이 적용되고, 고속회전에 의해 비료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는 비료를 가격하여 넓은 범위로 확산 살포되도록 작용한다.
기어박스(30)는 살포팬(80) 및 교반날개(40) 구동을 위한 동력을 트랙터의 PTO축으로 부터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 주동축(31)이 트랙터의 PTO축에 연결됨으로 써 동력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비료 살포 방향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상으로 보아 제1비료유출구(21)(22)는 상부에 위치하고, 제2비료유출구(51)(52)는 하부에 위치하며, 제1,2비료유출구의 하부에 살포팬(80)이 위치하고, 비료차단판(100) 및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의 커넥팅로드(73)를 각기 표시하여 제1연결공(53), 제2연결공(54), 제3연결공(55)과 커넥팅로드(73)의 결합 관계 따라 개방되는 제1비료유출구(21)(22)를 투명(
Figure 112011095321196-utm00001
)하게 표시하며, 닫혀지는 비료유출구를 농묵(
Figure 112011095321196-utm00002
)으로 표시하여 감추어지는 제2비료유출구(51)(52)는 은선으로 표시하여 개방되는 제1비료유출구(21)(22)와 살포 방향간의 관계를 각기 표시하였다.
도 3a는 제2연결공(54)에 커넥팅로드(73)를 연결한 상태로서 최대 개방 상태에서 제1비료유출구(21)는 제2비료유출구(51)와 일치하여 개방되고, 제1비료유출구 (22)는 제2비료유출구(52)과 일치하여 제1비료유출구(21)(22)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로 비료 유출이 이루어진다. 그 상태에서 살포량 조절 레버(71)를 작동하면 작동간(72) 및 커넥팅로드(73)가 움직여 제2비료유출구가 제1비료유출구와 점차 어긋나 그만큼 제1비료유출구의 개방량이 줄어들고 살포량이 감소되며, 어느 순간에 이르면 완전히 닫혀져 살포가 정지된다.
제1비료유출구(21)(22)를 통한 비료 유출은 살포팬(8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진행방향(화살표시)의 후방 전면으로 비료 살포가 이루어진다.
도 3b는 제3연결공(55)에 커넥팅로드(73)를 연결한 상태로서 최대 개방 상태에서 제1비료유출구(21)는 제2비료유출구(52)과 일치하여 개방되고, 제1비료유출구 (22)는 닫혀져 결국 제1비료유출구(21)를 통하여 비료 유출이 이루어진다.
제1비료유출구(21)를 통한 비료 유출은 살포팬(8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진행방향(화살표시)의 진행방향을 보고 섰을 때 후방 우측 방향으로 약간 꺽인 상태로 비료 살포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3c는 제1연결공(53)에 커넥팅로드(73)를 연결한 상태로서 최대 개방 상태에서 제1비료유출구(22)는 제2비료유출구(51)과 일치하여 개방되고, 제1비료유출구 (21)는 닫혀져 결국 제1비료유출구(22)를 통하여 비료 유출이 이루어진다.
제1비료유출구(22)를 통한 비료 유출은 살포팬(8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진행방향(화살표시)의 진행방향을 보고 섰을 때 후방 좌 방향으로 많이 치우친 상태로 비료살포가 이루어져 우 측편에 인접토지가 있거나 시비 대상이 아닌 작물이 심어져 있는 경우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살포방향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1비료유출구와 제2비료유출구의 개폐량은 커넥팅로드(73)에 연결된 레버(71)의 조작에 의해 조절됨으로 결국 비료 살포량조절이 비료 살포량조정판(50)과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살포량조정판(50)의 제1연결공(53), 제2연결공(54), 제3연결공(55)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와 결합함으로써 제1비료유출구에 대한 제2비료유출구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어 호퍼(20)에 형성된 제1비료유출구와 살포량조정판(50)에 형성된 제2비료유출구가 만나 개방되 는 위치가 변경되고, 변경된 상태에서 비료의 유출량이 조정됨으로써 살포량조정판(50)에 의해 살포량 조절과 살포방향 변경이 가능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적은 비용으로 살포방향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비료 살포기에 본 고안을 적용한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 단면 구조도
도 3a, 도 3b, 도 3c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도
도 4, 5 는 종래의 비료살포 방향 조절장치의 구성도
*. 주요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3점링크연결구
20 : 호퍼 21,22 : 제1비료유출구
23 : 바닥부 30 : 기어박스
31 : 주동축 32 : 종동축
40 : 교반날개 50 : 살포량조정판
51,52 : 제2비료유출구 53 : 제1연결공
54 : 제2연결공 55 : 제3연결공
60 : 스페이서 70 :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
71 : 레버 72 : 작동간
73 : 커넥팅로드 80 : 살포팬
81 : 원형판 82 : 날개
100 : 비료차단판

Claims (3)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고 제1비료유출구(21)(22)가 구비된 호퍼(20)와, 주동축(31)이 트랙터의 PTO축에 연결되고 종동축(32)은 상기 호퍼(20) 하부 프레임(10)에 설치된 기어박스(30)와, 제2비료유출구(51)(52)가 설치된 살포량조정판(50)과, 제1비료유출구(21)(22)의 개폐량 조절을 위한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와, 상기 살포량조정판(50) 하부에 결합된 살포팬(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료살포기에 있어서,
    살포량조정판(50)은 그 외경이 호퍼(20)의 바닥부 외경보다 크고 상기 살포량조정판(50) 테두리에 제1연결공(53)과 제2연결공(54)과 제3연결공(5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공(53)과 제2연결공(54)과 제3연결공(55) 중 어느 하나와 살포량조정판구동장치(70)를 연결함으로써 살포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연결공(53), 제2연결공(54), 제3연결공(55)은 각각의 연결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기준 연결공과 그 좌ㆍ우측에 보조 연결공을 다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연결공(53), 제2연결공(54), 제3연결공(55)에 살포방향 식별용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고,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살포방향을 식별하기 위한 야광판 또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KR20090011735U 2009-09-07 2009-09-07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KR200460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735U KR200460740Y1 (ko) 2009-09-07 2009-09-07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735U KR200460740Y1 (ko) 2009-09-07 2009-09-07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67U KR20110002567U (ko) 2011-03-15
KR200460740Y1 true KR200460740Y1 (ko) 2012-06-08

Family

ID=4420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1735U KR200460740Y1 (ko) 2009-09-07 2009-09-07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5924A1 (ko) * 2016-05-10 2017-11-16 김완수 트랙터용 견인식 다목적 비료살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43Y1 (ko) * 2011-09-30 2013-11-25 김완수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전기식 비료살포기
KR200470908Y1 (ko) * 2012-03-07 2014-01-16 김완수 증속장치가 결합된 팬돌러 비료살포기
CN109729799B (zh) * 2019-03-20 2023-09-22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一种施肥机
CN110226389B (zh) * 2019-07-26 2021-05-07 张亦军 一种戈壁滩人工造林用辅助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49Y1 (ko) 2000-01-18 2000-06-15 김종규 비료의 살포방향제어장치
KR200315259Y1 (ko) 2003-03-11 2003-06-02 한기봉 비료 살포 장치
KR100661100B1 (ko) 2005-12-23 2006-12-26 (주)아이메카텍 비료 살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49Y1 (ko) 2000-01-18 2000-06-15 김종규 비료의 살포방향제어장치
KR200315259Y1 (ko) 2003-03-11 2003-06-02 한기봉 비료 살포 장치
KR100661100B1 (ko) 2005-12-23 2006-12-26 (주)아이메카텍 비료 살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5924A1 (ko) * 2016-05-10 2017-11-16 김완수 트랙터용 견인식 다목적 비료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67U (ko)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740Y1 (ko) 비료 살포기의 살포방향 조절장치
US8307771B2 (en) Row clutch device for planting implement
US11273834B2 (en) Work management system and work management method
KR102195618B1 (ko) 흙 막힘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복토 멀칭 장치
US11479115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generator and working machine
JP2007209260A (ja) 水田作業機
KR101992462B1 (ko) 줄뿌림 비료살포기
KR100911444B1 (ko) 유기질 비료살포기의 비료 살포량 조절장치
KR200470909Y1 (ko) 비료살포기의 살포량 정밀 조절 장치
KR200457502Y1 (ko) 대용량 비료살포기
KR200410477Y1 (ko) 비료살포기의 구동장치
CN203951802U (zh) 撒肥机排料调节装置
CN213719574U (zh) 一种植物保护杀虫用农药喷洒装置
CN110402623B (zh) 一种带机械除草功能的施肥施药车
CN201369913Y (zh) 水稻播种机的点穴播种机构
CN104054441A (zh) 撒肥机排料调节装置
JP4555993B2 (ja) 肥料散布機
CN101496467A (zh) 水稻点穴式播种机
KR200237398Y1 (ko) 트랙터용 비료살포기
CN210694902U (zh) 一种施肥施药车
CN215683352U (zh) 小型农业机械浇灌装置和灌溉系统
KR102622248B1 (ko) 고랑성형 비료살포기
KR200350394Y1 (ko) 트랙터 부착형 작판 정지기의 로터리 높낮이 조절장치
CN211630763U (zh) 一种施料混翻装置
CN211481884U (zh) 小型微耕施肥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