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462A -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462A
KR20170013462A KR1020150105891A KR20150105891A KR20170013462A KR 20170013462 A KR20170013462 A KR 20170013462A KR 1020150105891 A KR1020150105891 A KR 1020150105891A KR 20150105891 A KR20150105891 A KR 20150105891A KR 20170013462 A KR20170013462 A KR 20170013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kin
bar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449B1 (ko
Inventor
문외숙
문진남
문영란
박규림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마인
Priority to KR102015010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4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신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신체노화로 인한 신진대사 능력의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노넨알데하이드가 피부 모공을 막아 유해균과 함께 부패하게 되어 발생하는 불쾌한 체취를 제거하고, 피부 내에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피부 상재 유해균의 증식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세신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며, 선택적으로는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며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가 있는 마 추출물을 더욱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항균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ASARUM AND CHINESE DIOSCOREA HAVING DEODORIZING, MOISTURIZING,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EFFECT}
본 발명은 세신 추출물, 선택적으로는 세신 추출물과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노화로 인한 신진대사 능력의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노넨알데하이드가 피부 모공을 막아 유해균과 함께 부패하게 되어 발생하는 불쾌한 체취를 제거하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며, 피부 내에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피부 상재 유해균의 증식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세신 추출물, 선택적으로는 마 추출물을 더욱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항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취에는 에크린땀(eccrine sweat), 아포크린땀(apocrine sweat), 피지, 오염물 등이 관여하며,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유발 원인 및 냄새가 다르다는 특이성을 갖는다.
체취는 피부의 발한(땀)과 그에 대한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한 불쾌한 냄새로서, 사람의 체취는 죽은 각질 및 땀 등의 분비물을 이용한 세균의 증식 활동을 통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이러한 세균의 전형적인 네 가지 계통은 방선균, 후벽균, 프로테오박테리아 및 박테로이데테스 계통으로 밝혀져 있다.
피부에서 피지분비가 일어나는 영역인 이마와 등 위쪽은 가장 다양한 서식지로서, 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아와 포도상구균 계열이 발견된다. 한편, 서혜부 영역 및 겨드랑이를 포함하는 촉촉한 피부 부위는 일반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 종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취 중 가장 많은 고민을 야기하는 액취는 무취인 아포크린땀이 겨드랑이 상재균 및 액취 원인균의 작용에 의한 분해에 의해 생성된다. 냄새와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보고는 많이 있지만, 그 중 친유성 디프테로이드(Lipophilic diphtheroid)나 큰 콜로니 디프테로이드(Large colony diphtheroid)에 의해 악취가 발생한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와 같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휘발성의 악취 물질이 발생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저급 지방산인 카프로인산(caproic acid), 카프릴린산(caprylic acid), 이소길초산(isovaleric acid), 부트린산(butric acid)), 암모니아, 아민, 인돌(indole), 멀캅탄(mercaptan), 황화수소, 포스핀(phosphine), 스테로이드류 등이 관여하고, 특히 저급 지방산 중 이소길초산, 스테로이드류 중 5알파-안드로스트-16-엔-3알파-올(5α-androst-16-en-3α-ol)과 5알파-안드로스트-16-엔-3알파-온(5α-androst-16-en-3α-one)이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몸냄새와 노인냄새는 피지와 땀샘분비물 그리고 아포크린 땀샘의 이상현상과 노화가 원인이다. 사람은 40대에 들어서면 특유의 중년냄새가 생기며 노년으로 가면 노인냄새가 생긴다. 한창 젊은 나이에는 겨드랑이의 암내가 생기는 가하면 젊은 여성이 출산 후 음모에서 쉰내가 생기는 경우도 있으며, 젊은 남성들의 사타구니에서도 상한 체취가 발생하기도 하는 등 몸냄새의 징후는 여러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모든 몸냄새의 원인은 피부의 피지와 땀샘, 땀구멍의 역할에서 직접적으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즉, 땀샘은 아포크린 땀샘과 에크린땀샘이 있으며 몸냄새, 노인냄새 등은 아포크린 땀샘과 분비물 그리고 그 분비물이 일으키는 여러 가지 작용으로 간추릴 수 있다. 인체의 피지에는 미량의 스쿠알란,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왁스에스테르,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팔미드 오렌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태아에서부터는 엄마 뱃속에서 엄마의 탯줄로부터 여러 성장인자와 필요한 호르몬 등을 공급 받기 때문에 피지 또한 생산력은 거의 없지만 7세가 되면 피지를 만들기 시작하며 10세에 이르면 최고조에 달한다. 20세가 되면 반대로 아주 조금씩 줄어들어 30세가 되면 20세 때의 20~30%까지 줄어든다. 이렇게 생성되는 피지는 대사 기능이 원활하고 건강할 때는 피부를 윤기있게 하고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 대사 기능이 저하되고 피지 분비 조절도 적절치 못하게 되며 피지의 성분 또한 다르게 변화한다. 즉 신진대사가 활발하고 왕성할 때는 체내의 배출 대사 또한 원활하나, 그렇지 못 할 때 몸속에 갇혀있는 피지의 팔미트 올레인산 부분이 과산화 지질로 산화되며, 이 산화된 물질이 바로 불포화 지방산인 알데하이드 노네랄이다.
노인냄새의 주요원인은 노화이며, 인체의 신진대사가 원활하지않아 노폐물질이 많이 만들어지고, 불포화 지방산이 분해되면서 노넨알데하이드(Nonen aldehyde, C9H16O)가 생기면 악취가 난다. 특히 땀샘, 겨드랑이, 성기 주변 등 분비선이 모여 있는 곳은 더욱 문제가 된다. 이러한 노인냄새는 가족이나 이웃에 불쾌감을 줌으로써, 자식이나 손자들로부터 고립감과 위화감을 조성하게 되어 심한 우울증을 초래할 수도 있고, 요양원에서의 단체생활에서는 특유한 악취로 인하여 두통과 식욕감소, 수면장애 등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노인들은 주름, 피부건조증, 피부처짐, 특유의 노인냄새 등과 같은 피부문제로 고민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인 냄새는 신체노화로 인해 신진대사 능력이 감소되면서 노폐물의 분해, 배출이 활발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노넨알데하이드가 피부로 배출될 때 피부 모공을 막아 공기 중 유해균과 함께 부패하게 되는데 이것이 노인 냄새로 변화되는 것이다.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랄을 제거하고 피부상재 부패균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화장료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청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최근 펴낸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 산업분석보고서 에 따르면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는 2010년 33조원에서 2020년에는 125조원으로 10년 새 4배 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피부 건조증은 피부에서 생성되는 피부 지질 성분의 생성 저하로 인해 피부가 건조해지고 이로 인해 가려움증이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피부건조 및 가려움증의 완화 내지 경감 화장품은 노인들의 피부 트러블 문제를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품목이 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사업 분야를 실버산업으로 불러왔지만, 소비력을 갖춘 고령층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실버라는 단어가 시니어로 확장되고 있으며, 현재의 40~50대가 노인층으로 진입하는 2020년 경에는 이들의 자산규모는 현재의 노인층보다 휠씬 클 것임과 아울러,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여력을 갖게 됨에 따라 건강상태나 피부 타입에 부합하는 시니어 전용으로 특화된 소취 제품의 필요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용 소취제는 겨드랑이 냄새(액취), 발냄새(족취), 땀냄새, 요취 등의 음부 냄새와 같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체취를 제거하거나 예방하는 제품을 말하며, 에어로졸형, 펌프형, 롤온형, 스틱형, 분말형,과립형, 액상형 및 젤형 등 다양한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소취제가 악취를 제거하는 원리는 크게 다음 4가지로 분류된다.
(1) 물리적 소취법: 환기, 확산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거나,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등의 다공성 물질을 사용하여 악취를 흡착하는 방법.
(2) 감각적 소취법: 방향성 물질(향료)에 의해 악취를 차단하는 방법.
(3)화학적 소취법: 소취제를 악취 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중화반응, 부가반응, 축합반응, 산화반응 등으로 무취화시키는 방법.
(4)생물학적 소취법: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살균하거나 부패를 방지하는 등 악취 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막는 방법.
상기의 4가지 소취법은 모두 소취를 완벽하게 제거하지는 못하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 적용하여 왔다.
종래, 이와 같은 소취제의 제한된 사용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식물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다각적이고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와 관련된 주요 선행기술로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89094호의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65926호의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19646호의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한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체취 발생 억제 효능이 우수한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모두는 실제 체취 방지에 있어 그 효과가 한정되고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89094호(2012.08.09.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65926호(2007.06.27.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19646호(2010.02.1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신체노화로 인한 신진대사 능력의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노넨알데하이드가 피부 모공을 막아 유해균과 함께 부패하게 되어 발생하는 불쾌한 체취를 효과적으로 소취할 수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피부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피부 상재 유해균의 증식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항균성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음가 아울러 항산화성을 지녀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가 있는 피부 보습 및 항산화 효과를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은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세신이 쥐방울덩굴과의 민족두리풀(Asiasarum heterotropoides F. Maekawa var. mandshuricum F. Maekawa) 또는 족두리풀(Asiasarum sieboldi F. Maekawa)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고, 메틸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세신 추출물은 압력 200~300bar 및 온도 45~55℃ 추출 조건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세신 추출물은 보조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한 세신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 중량기준으로 0.1~5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이 보습성 부여를 위한 마(Dioscorea Batatas Decaisne) 또는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전 중량기준으로 0.1~25중량%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마 또는 참마 추출물은 뮤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수, 바디미스트, 샤워젤,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신체노화로 인한 신진대사 능력의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노넨알데하이드가 피부 모공을 막아 유해균과 함께 부패하게 되어 발생하는 불쾌한 체취를 효과적으로 소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피부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피부 상재 유해균의 증식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항균성을 지니며,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함은 물론, 항산화성을 지녀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가 있는 피부 보습 및 항산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실험예 5에서 실시예 6의 정류의 시간 경과별 소취율 변화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5에서 실시예 6의 정유의 시간 경과별 암모니아 농도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6에서 소취 바디 보습제의 독성 시험 평가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7에서 피부 수분 변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7에서 피부 수분도 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6c는 실험예 7에서 Epsilon E100의 센서에 접촉된 피부표면의 수분량을 Epsilon(ε)값으로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한 이미지로서, 각각 사용전, 사용 직후 및, 4주 사용후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특히 노인용 소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한 세신은 쥐방울덩굴과의 민족두리풀(Asiasarum heterotropoides F. Maekawa var. mandshuricum F. Maekawa) 또는 족두리풀(Asiasarum sieboldi F. Maekawa)의 뿌리 및 뿌리줄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취 화장료 조성물은 메틸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한 세신 추출물은 압력 200~300bar 및 온도 45~55℃ 추출 조건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한 세신 추출물은 보조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세신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 중량기준으로 0.1~50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이 보습성 부여를 위한 마(Dioscorea Batatas Decaisne) 또는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전 중량기준으로 0.1~25중량%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마 또는 참마 추출물은 뮤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수, 바디미스트, 샤워젤,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0: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세신추출물의 제조
가. 200bar에서 온도 변화: 45℃,50℃,55℃
나. 50℃에서 압력변화: 250bar,300bar
다. 에탄올(보조용매 사용 여부)
시료건조 온도 : 40℃, 1~2시간
분쇄 조건 : 710㎛ 이하
세신 건조 시료(180g)를 500mL 스테인리스강 추출용기에 담았다. 얇은 탈지면을 추출용기의 바닥에 배치시키고, 캡으로 밀봉하기 전에 다른 탈지면을 시료의 위에 두었다.
CO2는 고압펌프(MIlroyal, Milton Roy, USA)로 추출용기에 원하는 압력까지 일정한 압력으로 유입되었고, 배압 조절기는 CO2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추출 용기의 온도는 워터배스로 조절하였으며, 유속 및 장치를 통과하는 가스는 가스 유량계(시나가와, 도쿄,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00bar/45℃(실시예 1), 200bar/50℃(실시예 2), 200bar/55℃(실시예 3) 및 250bar/50℃(실시예 4), 300bar/50℃(실시예 5)의 조건으로 보조 용매의 사용 없이2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하였고, 10분 간격으로 추출 오일은 유리로 된 분리용기에 모으고, 추출이 끝난 후 무게를 쟀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위와는 별개로, 보조용매로서 에탄올을 Lab alliance series isocratic pump(Scientific system Inc., science park Rd, state college, USA)를 통해 유속은 1mL/min로 주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는 각 조건에 따라 200bar/45℃(실시예 6), 200bar/50℃(실시예 7), 200bar/55℃(실시예 8) 및 250bar/50℃(실시예 9), 300bar/50℃(실시예 10)으로 하였다.
상기한 SC-CO2 추출 및 SC-CO2 + 에탄올 추출 후, 용기에 남아있는 잔유물은 추가 사용 및 분석하기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CO2의 유량은 모든 추출 조건에서 약 27g/min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물 제조
추출은 네 가지 용매로서 에탄올(비교예 1), 헥산(비교예 2), 아세톤(비교예 3), 에탄올과 헥산의 혼합액(비교예 4)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유기용매 추출은 50g의 세신 건조 시료를 300mL의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12시간동안 50℃에서 교반시켜 진행하였으며, 추출 후 필터페이퍼를 이용해 추출잔류를 걸러내고, 회전 감압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N-1100, Tokyo, Japan)을 통해 45℃에서 증발시켰다. 걸러낸 잔류는 드라이오븐에서 40℃의 조건으로 6시간 동안 건조되었으며, 잔류 및 오일은 사용하기 전 -30℃에서 보관하였다.
시험예 1:
(1)항산화 활성의 평가 1
실시예 1 내지 10과 비교예 1 내지 4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iliauskas et al.(2004), Saha et al.(2004), Cai et al.(2006)에 게재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3.9mL의 에탄올성 DPPH(60)은 추출 오일 0.1mL과 에탄올(control)에 각각 혼합되었으며, 이 혼합물들은 상온조건의 암실에서 30분간 보관한 후 UV-spectrophotometer(UVmii 1240, Shimadzu Co., Japan)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 오일과 control의 흡광도 측정은 3번 반복되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1-(As/Ac)]%
여기서 As는 517nm에서 추출 오일의 흡광도이며, Ac는 517nm에서 대조(control)의 흡광도이다.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세신 추출물 DPPH 라디칼 소거 효과(%)
실시예 1(SC-CO2 200bar/45℃) 83.56
실시예 2(SC-CO2 200bar/50℃) 87.09
실시예 3(SC-CO2 200bar/55℃) 88.15
실시예 4(SC-CO2 250bar/50℃) 87.75
실시예 5(SC-CO2 300bar/50℃) 83.98
실시예 6(SC-CO2 + Ethanol 200bar/45℃) 78.67
실시예 7(SC-CO2 + Ethanol 200bar/50℃) 84.45
실시예 8(SC-CO2 + Ethanol 200bar/55℃) 85.9
실시예 9(SC-CO2 + Ethanol 250bar/50℃) 85.78
실시예 10(SC-CO2 + Ethanol 300bar/50℃) 83.96
비교예 1(Ethanol) 85.28
비교예 2(Acetone) 86.98
비교예 3(Hexane) 83.16
비교예 4(Hexane + Ethanol) 90.04
(2)항산화 활성의 평가 2
실시예 1 내지 10과 비교예 1 내지 4의 항산화 활성을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Cai et al.(2006), Guimaret al.(2007), Surveswaran et al.(2007)의 방법을 따라 진행되었다.
ABTS+ 라디컬 용액은 7mM ABTS+ 용액 10mL와 2.45mM의 과황산칼륨 용액 10mL을 갈색병에 섞어서 만들었다. 이 ABTS+ 라디컬 용액은 어두운 파란색이 될 때 까지 상온조건의 암실에서 12-16시간동안 보관했다. ABTS+ 라디컬 용액은 사용하기 전에 734nm에서 흡광도가 0.70가 될 때 까지 변성알코올에 희석했다.
ABTS+ 라디칼 용액 3.9mL를 0.1mL 추출 오일 혹은 에탄올(control)과 혼합하고, 6분간 상온조건의 암실에서 보관했다.
그리고 나서, UV-spectrophotometer (UVmii 1240, Shimadzu Co., Japan)를 이용하여 734nm에서 앞서 언급한 용액들과 에탄올(blank)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3번 반복하여 진행되었고,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률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1- (As/Ac)] x 100
여기서, As는 갈조류 추출물의 517nm에서 흡광도이며, Ac는 통제집단의 517nm에서 흡광도이다.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세신 추출물 ABTS 라디칼 소거 효과(%)
실시예 1(SC-CO2 200bar/45℃) 89.56
실시예 2(SC-CO2 200bar/50℃) 90.47
실시예 3(SC-CO2 200bar/55℃) 90.67
실시예 4(C-CO2 250bar/50℃) 88.45
실시예 5(SC-CO2 300bar/50℃) 84.78
실시예 6(SC-CO2 + Ethanol 200bar/45℃) 88.58
실시예 7(SC-CO2 + Ethanol 200bar/50℃) 90.81
실시예 8(SC-CO2 + Ethanol 200bar/55℃) 88.67
실시예 9(SC-CO2 + Ethanol 250bar/50℃) 90.11
실시예 10(SC-CO2 + Ethanol 300bar/50℃) 89.24
비교예 1(Ethanol) 90.8
비교예 2(Acetone) 87.95
비교예 3(Hexane) 88.5
비교예 4(Hexane + Ethanol) 95.6
(3) 총 페놀화합물의 정량
실시예 1 내지 10과 비교예 1 내지 4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을 Folin-Denis법(1959)을 Li et al.과 Wong et al.에 따라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해 10배로 희석한 오일 1mL과 탈염수를 이용해 10배 희석한 Folin-Ciocalteu 시약(FCR) 1mL를 섞고, 4분 후 7.5%(w/v) 탄산나트륨 용액 800를 혼합액에 넣었다. 그리고 나서 5초간 강하게 혼합한 후, 상온인 암실에서 2시간동안 보관했다. Blank는 1mL 탈염수로 대체하여 준비하였다. 혼합물의 흡광도는 UV-spectrophotometer(UVmii 1240, Shimadzu Co., Japan)를 이용하여 765nm에서 측정되었으며, 모든 측정은 3번 반복되었다. 갈산은 표준곡선의 검량선으로 사용되었다.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며, 단위는 mg/g(추출오일)이다.
세신 추출물 TPC
실시예 1(SC-CO2 200bar/45℃) 16.12
실시예 2(SC-CO2 200bar/50℃) 18.96
실시예 3(SC-CO2 200bar/55℃) 17.56
실시예 4(SC-CO2 250bar/50℃) 18.01
실시예 5(SC-CO2 300bar/50℃) 17.7
실시예 6(SC-CO2 + Ethanol 200bar/45℃) 15.42
실시예 7(SC-CO2 + Ethanol 200bar/50℃) 18.61
실시예 8(SC-CO2 + Ethanol 200bar/55℃) 17.32
실시예 9(SC-CO2 + Ethanol 250bar/50℃) 17.7
실시예 10(SC-CO2 + Ethanol 300bar/50℃) 16.45
비교예 1(Ethanol) 18.8
비교예 2(Acetone) 19.67
비교예 3(Hexane) 22.45
비교예 4(Hexane + Ethanol) 24.1
(4) 총 플라보노이드화합물의 정량
실시예 1 내지 10과 비교예 1 내지 4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Karadeniz et al.과 Ozsoy et al.에 게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25mL 증류수를 0.25mL 추출 오일에 넣고 5%(w/v) 질산나트륨 용액 75mL를 첨가했다. 혼합물을 6분간 방치한 후 10% 염화알루미늄 용액 150를 넣고 다시 5분간 방치한 후 1M 수산화나트륨용액 0.5mL와 탈염수 275를 넣었다. 이 혼합물은 5초간 강하게 혼합되며 UV-spectrophotometer(UVmii 1240, Shimadzu Co., Japan)을 이용하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3번 반복되었으며, Blank는 0.25mL 추출오일 대신 0.25mL의 에탄올로 준비되었으며, 카테킨은 표준곡선의 검량선을 위해 사용되었다.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며, 단위는 mg/g(추출 오일)이다.
세신 추출물 TFC
실시예 1(SC-CO2 200bar/45℃) 1.26
실시예 2(SC-CO2 200bar/50℃) 4.56
실시예 3(SC-CO2 200bar/55℃) 4.3
실시예 4(SC-CO2 250bar/50℃) 4.39
실시예 5(SC-CO2 300bar/50℃) 4.21
실시예 6(SC-CO2 + Ethanol 200bar/45℃) 4.1
실시예 7(SC-CO2 + Ethanol 200bar/50℃) 4.5
실시예 8(SC-CO2 + Ethanol 200bar/55℃) 4.43
실시예 9(SC-CO2 + Ethanol 250bar/50℃) 4.35
실시예 10(SC-CO2 + Ethanol 300bar/50℃) 4.19
비교예 1(Ethanol) 3.7
비교예 2(Acetone) 4.77
비교예 3(Hexane) 4.34
비교예 4(Hexane + Ethanol) 5.9
(5) 추출수율의 비교
회수율(g(%))

실시예 1 내지 5

SC-CO2
200bar/45 5.43(3.02)
200bar/50 5.582(3.10)
200bar/55 4.68(2.60)
250bar/50 5.601(3.11)
300bar/50 4.647(2.58)

실시예 6 내지 10

SC-CO2 + Ethanol
200bar/45 6.295(3.50)
200bar/50 6.91(3.84)
200bar/55 5.422(3.01)
250bar/50 7.08(3.93)
300bar/50 6.337(3.52)

비교예 1 내지 4
유기용매
Ethanol 2.276(5.69)
Acetone 1.386(3.47)
Hexane 1.016(2.54)
Hexane+Ethanol 1.011(2.53)
(6) 지방산 함량 비교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용융 실리카 모세관 컬럼(길이 : 100m, 직경 0.25mm, 필름길이 : 0.2㎛)가 장착된 6890 Agilent Tecnologies (Wilmington, DE, USA) gas chromatograph와 Supelco(Bellefonte, PA, USA)가 사용되었다.
시료를 GC를 이용해 분석하기 전에 시료는 AOCS(1998)의 추천 관례와 공식적인 방법을 따라 메틸에스터로 준비되었고, 이동상으로 사용되는 헬륨의 유속은 1.0mL/minute였다. 설정된 오븐의 온도는 3분간 130℃를 유지하는 것으로 시작해 4/minute의 속도로 240℃까지 증가시키고 240℃에 도달하면 10분간 그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었다. 주입기와 탐지기 온도는 250℃였다. 지방산메틸에스터는 표준 지방산메틸에스터 혼합액(SupelcoTM, USA)로 머무름 시간을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낸다.
Fatty acid composition 실시예 1-5
SC-CO 2 (bar/℃)
실시예 6-10
SC-CO 2 + Ethanol(bar/℃)
200/45 200/50 200/55 250/50 300/50 200/45 200/50 200/55 250/50 300/50
Myristic acid(C14:0) 16.72 22.75 17.40 23.11 23.22 22.74 20.78 23.76 21.95 21.29
Pentadecanoic acid(C15:0) 8.99 8.08 6.85 13.61 13.05 12.97 8.15 9.26 9.66 7.98
cis-10-Pentadecenoic acid(C15:1) 8.87 6.14 7.24 4.84 5.57 5.56 6.52 5.71 6.23 6.14
Palmitoleic acid(C16:1) 20.54 25.95 24.54 27.62 22.94 23.60 25.03 27.49 24.70 25.17
cis-10-Heptadecenoic acid(C17:1) 4.73 3.24 4.22 2.26 2.61 2.40 3.52 2.99 3.35 3.47
Stearic acid(C18:0) 4.02 5.78 5.51 8.21 7.43 7.38 6.08 7.32 7.03 6.56
Elaidic acid(C18:In9t) 6.82 4.23 5.43 3.22 3.64 3.35 5.39 3.67 4.26 4.46
Oleic acid(C18:In9c)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Linoleic acid(C18:2n6c) 26.09 21.10 24.35 15.22 19.14 19.63 21.62 17.56 19.98 21.95
cis-11,14-eicosadienoic acid + behenic acid(C20:1) 3.22 2.73 4.45 1.91 2.40 2.36 2.90 2.25 2.84 2.97
Polyunsaturated fatty acid(PUFA) 26.09 21.10 24.35 15.22 19.14 19.63 21.62 17.56 19.98 21.95
Monounsaturated fatty acid(MUFA) 44.18 42.28 45.89 39.85 37.17 37.28 43.36 42.10 41.38 42.22
Saturated fatty acid(SFA) 29.73 36.62 29.76 44.93 43.69 43.09 35.01 40.34 38.64 35.83
(7) 산가, 과산화물가 비교
산가(Acid value, AV)를 측정하기 위해 AOCS에 의해 연구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이용하였다. 시료 1g을 에테르와 에탄올이 1:1(v/v)비율로 섞인 용액 100mL에 용해시키고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서 3방울 첨가하였다. 혼합물은 0.1N 에탄올성 KOH용액에 의해 적정되었다. AV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Acid value(AV) = 56.11 x A x F/S
여기서, A는 에탄올성 KOH용액의 적정량(mL)이며, F는 에탄올성 KOH factor의 농도, S는 오일의 양(g), 56.11은 KOH의 몰질량이다.
과산화물가(Peroxide value, POV)는 AOCS 방법 Cd8-53에 따라 샘플의 양을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g을 아세트산과 클로로폼이 3:2 비율로 섞인 용액 6mL에 용해시키고, 포화 요오드화칼륨용액 0.1mL를 혼합용액에 넣고 1분간 조금씩 흔들어주면서 방치했다. 이 용액은 0.1N의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요오드의 노란색이 거의 없어질 때까지 적정하였다. 그리고 0.4mL의 전분지시약용액을 클로로폼 층에서 요오드를 추출하기 위해 흔들어 추가하고, 다시 푸른색이 없어질 때 까지 적정하였다. blank 또한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POVs는 과산화물/1000g 시료를 미리당량을 나타내었다.
Peroxide value(POV)=
Figure pat00001
여기서 A는 샘플의 적정량(mL)이고, B는 blank의 적정량(mL)이며, N은 티오황산나트륨용액의 노르말농도, W는 샘플의 양(g)이다.
결과를 하기의 표 7에 나타낸다.
Solvent Pressure
(bar)
Temperature
(℃)
Acid Value
(mgKOH/g)
Peroxide Value
(meq/Kg)

실시예 6-10
SC-CO2
+ Ethanol
200 45 2.18 8.34
200 50 3.57 8.37
200 55 3.83 9.47
250 50 3.51 8.37
300 50 3.45 7.82

실시예 1-5
SC-CO2
200 45 2.65 9.23
200 50 4.51 9.55
200 55 4.72 9.74
250 50 4.48 9.18
300 50 4.47 8.93
비교예 1(Ethanol) 상압 50 5.86 9.59
비교예 2(Acetone) 6.19 10.2
비교예 3(Hexane) 6.32 10.51
비교예 4(Hexane + Ethanol) 5.85 9.08
(8) Chemical composition 함량 비교
GC/MS분석은 Bruker 320-MS series의 TQ mass spectrometer가 부착된 BURKER 450-GC series gas chromatograph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세관 컬럼은 BR-5ms(30m x 0.25mm i.d; 필름두께 0.25㎛)였다. 주입하는 샘플의 양과 GC/MS 파라미터는 같았다. 오일 내 구성요소들은 그들의 머무름시간으로 확인하였으며(Wiley 275L, Mainlib, nistri library), 화합물의 양은 다른 correction factor없이 GC 피크 면적을 이용하여 계산 후 결정하였다.
(bar/℃) Eu Di Sa ME My Pe TI Be DM Li Id Id Se
실시예 6-10
SC-CO2
+ Ethanol
200/45 0.82 5.45 8.63 35.86 1.18 5.29 2.47 3.37 2.53 4.01 8.78 3.80 17.80
200/50 0.75 12.76 11.29 36.82 0.67 3.97 7.25 2.27 1.74 1.85 6.22 1.99 12.40
200/55 0.92 7.06 11.23 36.54 1.92 7.09 4.64 2.63 2.15 1.39 5.18 2.33 16.93
250/50 0.82 6.48 9.76 36.87 1.23 3.78 5.44 2.83 2.28 2.47 6.31 3.06 18.67
300/50 0.72 5.56 9.07 35.36 1.03 4.16 5.54 2.92 2.34 3.20 8.59 3.50 18.03
실시예 1-5
SC-CO2
200/45 0.66 6.15 9.16 36.09 1.00 4.59 5.05 2.60 2.12 1.58 7.85 4.08 19.06
200/50 0.64 4.74 9.20 37.63 1.27 5.11 3.68 3.45 2.68 1.93 8.96 4.08 16.65
200/55 0.79 4.81 10.88 37.17 1.12 4.26 5.81 2.89 2.30 3.93 11.29 3.66 11.09
250/50 0.71 4.49 9.39 37.59 1.47 5.57 3.50 3.05 2.6 2.02 8.67 4.09 17.00
300/50 0.56 3.63 8.56 35.88 1.01 5.06 3.01 2.84 2.03 2.04 9.59 3.69 22.10
비교예
1-4
유기
용매
Ethanol 1.29 10.21 13.37 33.92 0.00 5.01 5.92 1.89 1.70 2.97 6.52 3.00 14.21
Acetone 1.58 11.32 14.64 33.19 0.86 7.75 4.71 2.32 1.92 2.95 4.69 3.01 11.05
Hexane 1.58 11.18 14.66 33.25 0.87 7.76 4.71 2.32 1.73 2.96 6.33 3.02 9.60
Hexane+
Ethanol
1.14 9.15 12.91 34.00 0.00 5.16 5.41 2.28 2.18 3.26 6.36 2.63 15.52
(Eu: Eucarvone, Di: 3,5-Dimethoxytoluene, Sa: Safrol, ME: Methyl eugenol, My: Myristicine, Pe: Pentadecane, TI: Trans-Isocroweacin, Be: 3,4-Benzocyclodec-3-ene-1, 5-diyn-7-one, DM: 4,6-dimethoxy-6-methylphthalide, Li: Linoleic acid, Id: N-Isobutyl-(2E,4Z,8Z,10E)-dodecatetraenamide, Se: sesamin)
(9) 항균활성 비교
피부 병원체 5가지 박테리아(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 35494,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KCCM 41661, Micrococcus luteus KCCM 11211, Corynebacterium jeikeium KCCM 41661 and Corynebacterium xerosis KCCM 40941)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든 미생물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지급받았으며, 항균활성은 한천확산법(Merilisa et al.(2013))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McFarland 표준물질 No.0.5는 미생물의 현탁액 준비를 위해 사용되었고, 박테리아 현탁액의 탁도는 McFarland 표준시약을 따라 조절하였다. 정확한 박테리아 현탁액의 탁도는 분광계를 이용해 625nm에서 측정되었으며, 각 박테리아 구조의 세포 밀도는 대략 107CFUmL-1였다.
영양한천(Sigma Aldrich, USA)은 S.epidermidisM. luteus에 사용되었고, 섬유소를 제거한 양의 피 5%가 첨가된 트립신 대두 한천은 C.jeikeium을 위해 사용되었고, 뇌심장침출액 한천(Sigma Aldrich, USA)은 C.xerosis을 위해, 보강된 방추형 배지(Oxoid CM 149)는 P. freudenreichii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모든 배지는 121℃에서 15분간 살균되었다. 한천을 유리 페트리디쉬에 붓고, 살균된 탈지면을 이용해 박테리아 현탁액을 넓게 도포하였다.
그리고나서 다른 농도로 희석된 추출오일 및 메틸 유제놀이 함유된 페이퍼디스크를 한천의 표면에 얹었으며, 이 때, control로서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하였다. 이것을 37℃에서 밤새 배양하고, 항균활성은 깨끗한 부위의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3번 반복하였다.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MIC는 Silva JKR et al.(2014)의 방법을 따라 측정되었으며,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이용하여 오일을 다른 농도로 희석하였고, MIC는 낮은 농도의 시료에서도 박테리아가 눈에 띄게 자라는지에 대해 고려하는 방법이다. 양성 항균활성은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억제의 측정가능한 영역의 존재로 규명된다. MIC는 살균된 한천 plate에 MIC 혼탁액을 도포하고 계대 배양함으로써 결정하였다.
(bar/℃) S.epidermidis M.luteus C.jeikeium C.xerosis P.freudenreichii

실시예 6-10

SC-CO2
+ Ethanol
200/45 DIZ 20 30 20 18 20
MIC 20.96 15.95 13.80 23.15 35.10
200/50 DIZ 22 38 32 20 25
MIC 17.33 10.53 20.00 18.94 30.47
200/55 DIZ 22 38 32 17 25
MIC 17.80 11.53 21.00 19.78 30.10
250/50 DIZ 20 30 19 18 18
MIC 19.26 19.86 35.52 26.10 45.90
300/50 DIZ 15 28 16 10 16
MIC 19.26 19.74 35.52 26.10 45.90

실시예 1-5

SC-CO2
200/45 DIZ 18 32 24 15 22
MIC 17.30 17.11 20.48 23.89 36.54
200/50 DIZ 23 38 31 21 25
MIC 20.16 10.05 11.5 22.78 15.2
200/55 DIZ 21 30 22 18 23
MIC 20.00 12.92 15.5 21.79 16.2
250/50 DIZ 18 32 22 16 21
MIC 25.51 14.47 14.84 23.62 17.74
300/50 DIZ 16 30 20 14 20
MIC 22.10 15.58 17.67 21.00 18.45

비교예 1-4


유기용매
Ethanol DIZ 16 20 18 15 17
MIC 27.75 20.03 28.14 26.90 20.84
Acetone DIZ 20 32 24 18 21
MIC 20.21 17.18 19.95 24.78 20.01
Hexane DIZ 18 30 20 16 20
MIC 22.76 18.81 20.90 25.92 18.95
Hexane+Ethanol DIZ 26 38 35 24 28
MIC 16.61 12.55 15.02 18.46 15.12
실험예 2: 오일 상부 공간 영역 중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C분석에 사용될 시료들은 대용량 head space vial에 준비되었다. 모든 추출 오일 5mL는 250mL의 amber vial(Supelco Inc., Bellefonte, PA, USA)에 주입되었다. 그 vial들을 PTEE 셉텀(QMX Laboratories Ltd., Essx, UK)으로 막고 휘발성 화합물들의 활성화를 위해 오븐에서 50℃로 10분간 가열했다. 시료는 상온에서 30분간 평형시켰으며 상부 가스들을 진공 펌프 및 질량 유량 제어기(AALBORG Instrument and Controls Inc., Orangeburg, NY, USA)를 사용해 삼중층 흡착 튜브에 흡수시켰다. 휘발성 화합물들은 GC-MS (GCMS-QP2010, Shimadzu Co., Kyot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냈으며, 죄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실시예 1-5와 실시예 6-10, 그리고 비교예 1-4이며, 단위는 %이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실험예 3: 오일 중 메틸유제놀의 HPLC 분석
추출 오일 내 메틸유제놀(Methyl eugenol)의 함량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Waters 600E system controller(milford, USA)에 484 UV/VIS 탐지기와 XTerra 역상 C18 컬럼(5, 4.6, Waters, Ireland)가 부착된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 가지 이동식 등용 흐름(45% 물, 35% 아세토나이트릴, 20% 메탄올)을 이용하여 용출시켰다. 유속은 1mL/minute였으며, 221nm에서 검출되었다.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얻은 검정곡선을 통해 얻은 식으로 Methyl eugenol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냈으며, 단위는 mg/g(추출 오일)이다.
세신 추출물 Methyl Eugenol
실시예 1(SC-CO2 200bar/45℃) 168.21
실시예 2(SC-CO2 200bar/50℃) 178.93
실시예 3(SC-CO2 200bar/55℃) 170.04
실시예 4(SC-CO2 250bar/50℃) 162.15
실시예 5(SC-CO2 300bar/50℃) 138.00
실시예 6(SC-CO2 + Ethanol 200bar/45℃) 163.12
실시예 7(SC-CO2 + Ethanol 200bar/50℃) 166.67
실시예 8(SC-CO2 + Ethanol 200bar/55℃) 154.19
실시예 9(SC-CO2 + Ethanol 250bar/50℃) 153.97
실시예 10(SC-CO2 + Ethanol 300bar/50℃) 145.00
비교예 1(Ethanol) 102.19
비교예 2(Acetone) 160.22
비교예 3(Hexane) 141.15
비교예 4(Hexane + Ethanol) 132.45
실험예 4: 오일 중 사프롤에 대한 HPLC 분석
추출 오일 내 Safrole의 함량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Waters 600E system controller(milford, USA)에 484 UV/VIS 탐지기와 XTerra 역상 C18 컬럼(5, 4.6, Waters, Ireland)가 부착된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등용 흐름에서의 이동상은 메탄올:물(73:27)이었으며 유속은 1mL/minute었고, 282nm에서 검출되었다.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얻은 검정곡선을 통해 얻은 식으로 safrol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의 표 12에 나타내으며, 단위는 mg/g(추출 오일)이다.
세신 추출물 Safrole
실시예 1(SC-CO2 200bar/45℃) 12.47
실시예 2(SC-CO2 200bar/50℃) 12.35
실시예 3(SC-CO2 200bar/55℃) 13.38
실시예 4(SC-CO2 250bar/50℃) 12.80
실시예 5(SC-CO2 300bar/50℃) 13.43
실시예 6(SC-CO2 + Ethanol 200bar/45℃) 9.88
실시예 7(SC-CO2 + Ethanol 200bar/50℃) 9.93
실시예 8(SC-CO2 + Ethanol 200bar/55℃) 10.52
실시예 9(SC-CO2 + Ethanol 250bar/50℃) 11.41
실시예 10(SC-CO2 + Ethanol 300bar/50℃) 11.64
비교예 1(Ethanol) 14.67
비교예 2(Acetone) 14.97
비교예 3(Hexane) 10.94
비교예 4(Hexane + Ethanol) 13.57
다양한 추출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의 황산화 활성, 총 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수율, 추출물 내 메틸유제놀(methyl eugenol)의 함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보조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한 용매, 그리고 200bar, 50℃ 조건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험예 5: 소취력
암모니아(Ammonia)를 대상으로 세신 CO2 초임계 추출 정유를 이용하여 가스 검지관법으로 소취율을 도출하였다.
이 실험 과정에서 악취 별 초기 농도를 매 실험마다 일정하게 유지시켜 검지관의 측정 범위 내에서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해 악취물질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악취 발생 1분후 실시예 6의 정유 40㎕을 주입하고 10분 간격으로 30분까지 가스검지기(GV-100S, Gastec, Japan)를 이용해 잔류가스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은 후드 CLE-101-04 안에서 진행되었고, 온도와 습도의 조건은 23~27도, 40~55%로 설정하였다.
소취율(%) = {블랭크중 농도 - 시료가스 농도}/블랭크중 농도 x 100
측정 결과, 약 10분 경과 후 소취율은 약 80%에 달했으며, 약 30분 경과후에는 거의 100%에 도달하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소취율에 대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한편 도 2는 실시예 6의 정유에 의한 시간 경과별 암모니아 농도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의 결과에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CO2 초임계 추출 정유는 노인들의 지린내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의 제거능이 소량으로도 소취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1 : 마추출물의 제조
마(Dioscorea)를 건조하여 분쇄 후 파우더로 사용하였다. 분쇄된 마를 정제수와 1:3의 중량비율로 혼합시킨 후 20℃에서 24시간동안 방치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어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상등액의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등액을 각각 1 ml 씩 튜브에 소분하여 건조 오븐 중에서 용매를 건조 시킨 후 건조 전과 건조 후의 무게를 비교하여 표 13에 나타내었고, 추출물 용매의 비율로 하여 고형분 함량을 12%로 계산하였다.
NO 튜브 중량(g) (A) 용매 제거후 중량(g) (B) B-A (g)
1 1.01 1.098 0.088
2 1.01 1.097 0.087
3 1.014 1.093 0.079
4 1.007 1.094 0.087
5 1.01 1.081 0.071
평균 1.0102 1.0926 0.0824
제형예 1: 보습제의 제조
하기의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성 및 조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소취 바디 보습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6의 정유 15
실시예 11의 마 추출물 5.0
글리세린 10
카보머 0.4
락틱애씨드 0.7
잔탄검 0.1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스테아록시에테르 0.1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1
보존제 적량
정제수 to 100
실험예 6 : 소취 바디 보습제 세포 독성 확인
96웰 세포배양 플레이트(well cell culture plate)에 1x104 cells/well 농도의 섬유아세포 10% 송치 혈청(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 배양액으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시료가 농도별로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하여 48시간 배양하고, 시료는 소취 바디 보습제를 정밀하게 무게 측정 후 DMSO 에 희석하였고, 처리 농도는 0, 3.125, 6.25, 12.5, 25, 50, 100, 200 g/ml의 농도로 DMEM 배지에 혼합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EZ-CYTOX 시약을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Cell Viability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무처리군의 흡광도)*100으로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취 바디 보습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아 바디 보습제의 독성은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실험예 7: 소취 바디 보습제 임상평가(피부수분도)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취 바디 보습제의 보습개선 평가를 위해 Epsilon E100을 적용하였다. Epsilon E100은 센서에 접촉된 피부표면의 수분을 Epsilon(ε)값으로 산정하며, 피부 수분량이 높을수록 이미지 결과물의 명도가 증가하여 파란색 부분이 백색에 가깝게 변화되어 나타난다.
22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시험기간인 4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오른쪽 팔 세정 후 소취 바디 보습제를 손에 동일한 양으로 덜어내어 오른쪽 전완부위(3.0cm2)에 고르게 펴발라 흡수시켰다.
이에 대한 피부 수분도 측정은 사용 전, 사용 직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피부 수분도 측정을 나타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며, 사용 전을 기준으로 한 피부 수분도 개선율을 나타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개선율(%)=
Figure pat00005
피부수분이 소취 바디 보습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284.01%, 4주 사용 후 71.57%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고, 소취 바디 보습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4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소취 바디 보습제는 보습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험부위에서 피부이상인 홍반(Erythema), 부종(Edema), 인설생성(Scailing), 가려움(Itching), 자통(Stinging), 작열감(Burning), 뻣뻣함(Tightness), 따끔거림(Pricking)의 여부를 관찰하고 피부이상반응이 나타날시 등급을 표시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2주 후 4주 후 2주 후 4주 후
홍반 0 0 자통 0 0
부종 0 0 작열감 0 0
인설생성 0 0 뻣뻣함 0 0
가려움 0 0 따끔거림 0 0
피부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용 전, 사용 직후, 4주 사용 후의 피부 수분도의 명도 변화(ε)를 각각 도 6a 내지 6c에 나타내며, 본 발명에 따른 소취 바디 보습제는 피부보습도 개선에 도움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8)

  1.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신이 쥐방울덩굴과의 민족두리풀(Asiasarum heterotropoides F. Maekawa var. mandshuricum F. Maekawa) 또는 족두리풀(Asiasarum sieboldi F. Maekawa)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고, 메틸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신 추출물이 압력 200~300bar 및 온도 45~55℃ 추출 조건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인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신 추출물이 보조용매로서 에탄올을 이용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인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신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전 중량기준으로 0.1~50중량% 포함되어 있는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이 보습성 부여를 위한 마(Dioscorea Batatas Decaisne) 또는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전 중량기준으로 0.1~25중량% 더욱 포함하는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 또는 참마 추출물이 뮤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수, 바디미스트, 샤워젤,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제형인 세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05891A 2015-07-27 2015-07-27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KR10182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891A KR101824449B1 (ko) 2015-07-27 2015-07-27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891A KR101824449B1 (ko) 2015-07-27 2015-07-27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462A true KR20170013462A (ko) 2017-02-07
KR101824449B1 KR101824449B1 (ko) 2018-02-02

Family

ID=5810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891A KR101824449B1 (ko) 2015-07-27 2015-07-27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28B1 (ko) 2017-10-16 2019-03-12 (주)바이오시엠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450B1 (ko) 2020-05-29 2021-1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코리네박테리움 제이케이움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115313A (ko) 2021-02-10 2022-08-17 엠제이 주식회사 곰솔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 및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25973B1 (ko) 2022-04-18 2022-07-29 (주)에데니끄 항균 및 소취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926A (ko) 2005-07-13 2007-06-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00019646A (ko) 2008-08-11 2010-02-19 (주) 그린솔루션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한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9094A (ko) 2011-02-01 2012-08-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926A (ko) 2005-07-13 2007-06-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00019646A (ko) 2008-08-11 2010-02-19 (주) 그린솔루션 목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한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9094A (ko) 2011-02-01 2012-08-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28B1 (ko) 2017-10-16 2019-03-12 (주)바이오시엠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449B1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449B1 (ko)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KR101955111B1 (ko) 밀배아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진정 외용제 조성물
KR101948246B1 (ko) 피부 미용수기 필터용 비드 조성물 및 이를 구비한 미용수기
JP2014073976A (ja) 消臭剤,抗菌剤、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JP4918225B2 (ja) 揮発性ステロイド生成抑制用デオドラント剤、揮発性ステロイド生成抑制用デオドラント製剤、繊維防臭剤、および繊維デオドラント処理方法
JP5926199B2 (ja) ウーロン茶抽出物及び/又は甜茶抽出物を含む加齢臭抑制剤
KR101850313B1 (ko) 국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052198A5 (ko)
KR20190050193A (ko)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9491B1 (ko) 어성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5324370B2 (ja) 消臭剤及び消臭剤の製造方法
CA3047162A1 (en) Terminalia ferdinandiana leaf extract and products containing extract of terminalia ferdinandiana leaf
JP2011512814A (ja) 天然物の塩漬け発酵方法及びその発酵抽出物
JP6025442B2 (ja) ジケトン作用抑制剤
JP4249862B2 (ja) 消臭剤
JP2011162457A (ja) 植物発酵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料
KR20110085664A (ko) 노인 악취 제거를 위한 천연식물추출 배합 조성물
JP2005132825A (ja) デオドラント剤および該デオドラント剤を含む製剤
KR102236391B1 (ko)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20130109445A (ko)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7837A (ko) 커피박 및 커피콩 분말 발효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비누 조성물
KR20200064384A (ko) 약쑥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1470389B1 (ko) 체취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285425A (ja) 抗菌剤及び消臭剤
JP6586506B1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