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094A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094A
KR20120089094A KR1020110010237A KR20110010237A KR20120089094A KR 20120089094 A KR20120089094 A KR 20120089094A KR 1020110010237 A KR1020110010237 A KR 1020110010237A KR 20110010237 A KR20110010237 A KR 20110010237A KR 20120089094 A KR20120089094 A KR 20120089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deodorant
astragalus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764B1 (ko
Inventor
이영미
안지영
김준호
권세욱
김대기
이강수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7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이소발릭산(Isovaleric acid)의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상기 오미자 추출물에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이소발릭산의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발한 억제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부작용의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안전성도 인정되어,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소취 효과가 인정된다할 것이다.

Description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여성들이 사용하는 제품이라고 생각되던 화장품은 오늘날에는 단순한 아름다움의 표현 도구만이 아닌 생활용품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산업의 발전에 따라 화장품에 대한 고급화와 다양화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특별한 효과나 효능을 기대하는 ‘기능성’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인정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미백제품, 피부의 피부보습에 도움을 주는 피부보습 제품 및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은 미용 효과뿐만 아니라 신체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주고, 예방 및 치료 작용을 하는 화장품으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화장품 전체 매출에서 기능성 화장품의 매출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면서, 인체에 미치는 새로운 효능 성분을 모색하고, 이를 피부에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인구고령화 추세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 현상 및 경제 발전에 따른 삶의 질의 향상에 따라, 최근에는 인체 또는 인체의 특정 부위의 냄새를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생활습관 및 식습관의 변화에 의해 체취가 강해지는 경향으로 인해,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특정 부위의 체취나 악취 등의 냄새를 제거 또는 억제하기 위한 제품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땀이 많이 나고, 체취가 강하여지는 여름철의 경우에는, 제품에 대한 사용량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그러나,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 및 수요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기능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람은 인종이나 체질에 따라 다양한 체취가 발생하는데 한선과 피지선이 많은 머리, 겨드랑이, 손바닥과 발바닥 같은 특정 부위에서 악취를 풍기는 물질이 주로 발생한다. 인체의 한선은 에크린선과 아포크린선이 있고, 아포크린선에서 분비되는 땀은 밀크 형태로 단백질, 지질, 지방산, 콜레스테롤, 글루코오스, 암모니아, 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렇게 분비된 땀은 그 자체로는 강한 취기를 내지 않지만, 각질층에 서식하는 각종 피부상재균들이 각질을 분해하면서 이상증식을 나타내고, 이 과정에서 땀에 포함된 단백질을 분해하여, ‘이소발릭산(Isovaleric acid)’을 만드는데 이것이 악취의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체취 또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품은 ‘이소발릭산’의 생성을 최대한 억제하고, 땀의 분비를 제한하며, 피부상재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현재까지 보고되어 있거나 시판되고 있는 체취 감소 또는 억제용 제품이나 데오드란트(deodorant)와 같은 소취용 화장품은 주로 땀 분비를 억제하여 인체 특정 부위의 냄새를 제거 또는 억제하는 제품이다.
상기와 같은 제품 중에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은 주로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 등의 합성화학물질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어 안전성 및 피부에 대한 자극과 관련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특히, 현재 유통되는 상당수의 데오드란트 제품에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가 1종 이상 검출되었다고 보도되어, 그 안전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상기 검출된 프탈레이트는 보고된 바에 의하면, 디부틸 프탈레이트(DBP),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DEHP), 디에틸 프탈레이트(DEP)와 같은 환경호르몬은 장기간 사용했을 때 인체에 치명적인 위협을 가할 수 있는 물질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발한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렴작용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알루미늄화합물, 일 예로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또는 알란토인디히드록시알루미늄과 p-페놀설폰산아연 등이 이용된다. 또한, 피부상재균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염화벤잘코늄, 트리클로산(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치람(thiram) 등의 살균제가 이용된다.
이러한 화학물질 또는 합성화학물질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인 안전성이나 부작용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추세는 친환경 열풍과 맞물려 주로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천연물질 소재에 집중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상기한 미백, 주름예방, 항산화 등과 관련된 노화방지 또는 UV 차단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과 관련된 부분에 집중되어 있을 뿐, 소취 효과와 관련해서는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소취효과 및 제한효과가 우수한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성이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지지 아니한 천연물질 유래인 천연물 추출물의 기능성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오미자 추출물이 이소발릭산(Isovaleric acid)의 생성을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오미자 추출물과 황기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이소발릭산의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발한 억제 효과에서도 뛰어난 효능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부소맥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와 발한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과을 확인하였고, 추가로 상기 오미자 추출물과 황기 추출물에 페파민트 정유를 첨가하는 경우, 항균활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유효성분의 대상이 되는 추출물은 식품 첨가물로 사용될 수 있는 천연물질로부터 제조된 것이므로 부작용이나 내성에 대한 문제되지 아니하여 화장품 관련 산업에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검토되어, 이로부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유효성분"은 피부 상태에 적용하여 예방, 개선 또는 보완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및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및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조성물로 세정제(detergents) 및 화장제(cosmetics)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데오드란트(deodorant)는 소취용 화장품으로 땀 분비를 억제하여 인체 특정 부위의 냄새를 제거 또는 억제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하며, 제한 및 소취 기능을 가진 제품(Antiperspirant and Deodorants)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소취는 신체의 불쾌취 또는 악취를 억제 또는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고, 제한은 신체에서 땀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한국과 중국이 주산지로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 목질등본 식물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의 과실, 구체적으로 성숙한 과실을 의미한다. 상기 오미자는 다섯 가지의 맛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 약재로 자주 사용되었고, 민간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식용되었다.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로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높이 약 40 cm 내지 70 cm까지 자라고, 전체에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있다. 열매는 11월에 결실하며,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북동부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사익 황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기의 지하부, 더 바람직하게는 황기의 뿌리일 수 있다.
상기 부소맥(Triticum aestivum L.)은 벼과에 속한 일년생 또는 이년생 초본의 열매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벼과에 속하는 초본인 밀의 익지 않아 물에 뜨는 종자를 말린 것일 수 있다. 밀의 완숙된 열매(소맥)와 구분하여 부소맥이라 한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예로 오미자의 열매의 분쇄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기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예로 황기의 뿌리의 건조물 또는 분쇄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소맥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예로 부소맥(종자)의 건조물 또는 분쇄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상기 알코올 희석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피나콜 등의 2가 알코올인 글리콜 또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1가 알코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코올 희석수는 1가 알코올 또는 2가 알코올을 10%(v/v) 내지 99.9%(v/v)로 물에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인 물은 화장품에 사용될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것이므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제거하지 않고 곧바로 화장품에 첨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추출과정은 일예로, 80℃ 내지 120℃, 또는 90℃ 내지 110℃, 또는 95℃ 내지 105℃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12시간 또는 30분 내지 6시간 또는 1시간 내지 4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의 경우, 이소발릭산의 생성 억제 효과 및 발한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상기 오미자 추출물에 황기 추출물을 첨가하는 경우 다른 종류의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에 비하여 오히려 오미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에 비하여 이소발릭산의 생성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고, 발한 억제 효과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페파민트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도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과도한 발한, 피부 상재균의 번식 및 이소발릭산의 생성을 모두 억제할 수 잇다는 점에서 화장품에 소취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오미자 추출물에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 또는 오미자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소취 기능과 관련하여, 피부상재균의 번식 억제를 위해 페파민트(Mentha piperita) 정유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파민트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박하라고도 하며, 여름에서 가을까지 흰색 또는 보라색 수상화가 핀다. 상기 페파민트 정유는 주로 잎에 많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페파민트의 줄기 및/또는 잎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은 기름 등을 의미하며, 페파민트 에센셜 오일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페파민트 정유를 더욱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페파민트 정유는 상기 페파민트를 재료로 하여, 통상의 식물 정유, 구체적으로 허브 식물의 정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생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그 조성에 따라 발한 억제 효과 및 피부상재균, 구체적으로 바실러스 속 균주(Bacillus sp.)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여 소취 효과가 뛰어나고, 주로 식용으로 사용되는 천연물질 유래의 물질이므로 저자극적이며 안전하다는 점에서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인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취 목적의 화장료 조성물로 응용될 수 있고, 소취 목적으로 피부에 적용된다는 목적을 전제로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30중량% 또는 0.001 내지 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미자 추출물의 함량은 피부보습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최소치 이상의 함량이어야 하나, 피부자극 여부 및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 이내에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포함되는 다른 유효성분인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은 각각 오미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 내지 12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페파민트 정유의 경우에는 오미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유효성분의 함량 및 추가 성분의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연고,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또는 면도용 화장품 등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의 예로는 파운데이션,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이 있을 수 있고,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 오미자 추출물 또는 오미자 추출물과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분인 추출물에 추가로 페파민트 정유를 포함하는 것 외에, 추가로 소취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나 물성 개선을 위한 부형제, 희석제 등의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또는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 유지 성분,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알코올,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또는 정제수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타이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이외의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 일 예로 스프레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프레이,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리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및 팩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제형이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이소발릭산 생성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오미자 추출물에 황기 추출물을 함께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소발릭산 생성억제 효과, 발한 억제 효과 및 항균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예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던 천연물질인 오미자, 황기 또는 부소맥 등으로부터 제조된 것이므로 안전성도 보장되고, 부작용 등의 문제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서 산업적으로 그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소취용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효성분 특히, 소취효과가 우수한 추출물 및 추출물의 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4종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대상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 Sc),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Am), 백출(Atractylodes japonica KOIDZ, Aj) 및 부소맥(Triticum aestivum L., Ta)으로, 상기 오미자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장수에서 생산된 오미자의 과실(fruit)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황기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제천에서 생산된 황기의 뿌리(root)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부소맥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에서 생산된 부소맥의 씨앗(seed)를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백출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에서 생산된 백출의 뿌리(root)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추가로,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의 항균 활성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페파민트(Mentha piperita L.) 천연 에센셜 오일(오스트레일리아산, (주)아로마허브원, 대한민국)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제조는 상시 구입한 각각의 식물의 부위를 건조시킨 후, 마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 식물의 분말에 대해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미자, 부소맥 및 황기는 각 식물 분쇄물(분말) 100 g에 물(정제수) 1 L를 가하여 2시간 동안 100℃에서 열수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조추출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고, 감압농축을 수행하였다. 감압농축 후, 추출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80℃에서 3시간 동결건조를 수행하여서, 고형의 분말 상태인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하기 실시예의 실험에 사용전까지 냉동고를 이용하여 -20℃에서 보관하였다.
또한, 상기 백출은 분쇄물(분말) 100 g에 80% 에탄올 수용액 1 L를 가하고, 1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조추출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고, 감압농축을 수행하였다. 감압농축 후, 추출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80℃에서 3시간 동결건조를 수행하여서, 고형의 분말 상태인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하기 실시예의 실험에 사용전까지 냉동고를 이용하여 -20℃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각 추출물의 혼합사용에 의한 상승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추출물에 대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우선, 2가지 약재를 결합한 혼합시료로, 오미자와 백출의 혼합물, 오미자와 황기의 혼합물, 오미자와 부소맥의 혼합물을 제조하였고, 3가지 약재를 결합한 복합시료로, 오미자, 백출 및 황기의 혼합물, 오미자, 백출 및 부소맥의 혼합물, 오미자, 황기 및 부소맥의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4가지 약재를 결합한 복합시료로 오미자, 백출, 황기 및 부소맥의 혼합물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항균 효과와 관련하여, 상기 추출물과 페파민트 정유 즉, 페파민트 에센셜 오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우선 1가지 약재와 정유를 혼합한 복합시료로, 오미자와 페파민트의 혼합물을 제조하였고, 2가지 약재와 정유를 혼합한 복합시료로, 오미자 및 백출과 페파민트의 혼합물, 오미자 및 부소맥과 페파민트의 혼합물 및 오미자 및 황기와 페파민트의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3가지 약재와 정유를 혼합한 복합시료로, 오미자, 황기 및 백출과 페파민트의 혼합물과 오미자, 백출 및 부소맥과 페파민트의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4가지 약재와 정유를 혼합한 복합시료로, 오미자, 백출, 황기 및 부소맥과 페파민트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조성물의 소취 효과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조성물의 소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한억제 효과, 이소발릭산의 생성 억제 효과 및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1;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조성물의 발한억제 효과 확인
체취와 관련하여, 체취 또는 악취의 원인이 되는 땀의 과도한 발생을 차단하기 위하여, 즉 발한을 억제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조성물의 발한억제 효과를 실험동물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수컷 ICR계 5주령 마우스로((주) 샘타코 BIO KOREA, 대한민국)를 이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22±2℃의 온도조건, 상대습도 60±5%의 습도조건 및 12시간 주기의 명암을 유지시킨 주광조건으로 사욕하면,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적응기간 동안, 고형사료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시켰다. 상기 실험동물은 동일한 조건에서 적응시킨 후, 각 실험군마다 5마리씩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과 관련하여, 상기 실험동물이 발한이 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험 시작과 함께 실험을 수행한 마우스 케이지의 주변 온도를 여름 평균기온과 유사한 30℃가 되도록 조절하고, 실험종료까지 상기 온도를 유지시켰다.
실험 수행을 위한 시료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혼합물에 사용된 추출물의 종류, 조성 및 농도별로 제조하였고, 상기 시료 제조를 위해 사용된 용매는 2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 중 단일 시료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각의 식물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고농도 시료의 경우에는 10 mg/kg(추출물/실험동물의 무게)의 비율로 제조하였고, 저농도 시료의 경우에는 1 mg/kg(추출물/실험동물의 무게)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실험동물의 평균 무게가 20 g이어서, 실제 고농도 시료의 경우에는 0.2 mg을 사용하였고, 저농도 시료의 경우에는 0.02 mg을 사용하였다. 복합시료의 경우에는 혼합되는 추출물을 동일한 함량으로 사용하였고, 동일한 함량으로 혼합된 추출물의 전체 양이 상기와 같이 고농도의 경우에는 10 mg/kg(추출물의 혼합물/실험동물의 무게)의 비율로 제조하였고, 저농도 시료의 경우에는 1 mg/kg(추출물의 혼합물/실험동물의 무게)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료는 1일 동안 총 3회 도포하는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적용시켰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 1마리당 1회 50 uL씩 1일 총 150 uL의 시료를 도포하였다. 실험동물인 마우스의 경우 발바닥에 한선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료의 도포는 발바닥에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가 담기 튜브에 실험동물의 오른쪽 뒷발 전체를 30초간 담그어, 발바닥에 충분한 시료가 스며들 수 있도록 하였고, 그 후 시료가 흘러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드라이어기의 약한 바람을 이용하여 1분 이상 충분히 바람을 쏘여주어, 시료가 발바닥에서 모두 마를 수 있도록 처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료물의 도포는 3시간 간격으로 하루 3회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을 이용한 발한 억제 여부는 상기 3번째 시료를 도포한 후, 1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시료를 도포한 실험동물의 오른쪽 발바닥과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실험동물의 왼쪽 발바닥에서 수분, 탄력, 유분, 모공 및 주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인 피부진단기 aramoTS (aram HUVIS,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수분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중, 단일시료를 도포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혼합시료를 도포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억제율(inhibition rate, %)은 시료의 용매인 에탄올만을 도포한 실험동물의 왼쪽 발바닥의 평균값(20% ethanol)에 대한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시료와 관련하여, 10의 경우 10 mg/kg를 도포한 것(고농도 시료)을 의미하고, 1의 경우 1 mg/kg을 도포한 것(저농도 시료)을 의미한다.
시료(추출물 종류 및 사용량) sweat rate 저해율(inhibition, %)
20% ethanol 47.52 0
Sc 10 46.00 3.18
Sc 1 48.27 null
Am 10 41.59 12.48
Am 1 44.71 5.92
Aj 10 47.47 0.11
Aj 1 48.93 null
Ta 10 41.51 12.65
Ta 1 43.08 9.34
Mp 10 48.28 null
Mp 1 47.72 null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기 및 부소맥에서 가장 우수한 발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오미자도 발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추출물 종류 및 사용량) sweat rate 저해율(inhibition, %)
20% ethanol 47.52 0
Sc + Aj 10 44.60 5.40
Sc + Aj 1 46.90 0.61
Sc + Am 10 42.19 10.51
Sc + Am 1 42.92 8.93
Sc + Ta 10 45.52 3.44
Sc + Ta 1 45.89 2.66
Sc + Aj + Am 10 40.44 14.21
Sc + Aj + Am 1 42.30 10.28
Sc + Aj + Ta 10 42.93 8.94
Sc + Aj + Ta 1 45.78 2.89
Sc + Am + Ta 10 38.96 17.35
Sc + Am + Ta 1 43.33 8.08
Sc + Aj + Am + Ta 10 38.30 18.76
Sc + Aj + Am + Ta 1 44.50 5.4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미자와 황기의 혼합 추출물, 오미자, 백출 및 황기의 혼합 추출물, 오미자, 황기 및 부소맥의 혼합 추출물, 오미자, 백출, 황기 및 부소맥의 혼합 추출물이 우수한 발한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오미자, 백출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과 오미자 및 부소맥의 혼합 추출물의 경우에는 발한 억제 효과가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부소맥 자체의 발한 억제 효과 보다 오히려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오미자와 황기가 포함된 혼합 추출물에서 모두 우수한 발한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효과는 고농도와 저농도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오미자, 황기 및 부소맥의 혼합 추출물에서도 유의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조성물의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
체취와 관련하여, 땀 등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로부터 생성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 이소발릭산(Isovaleric acid)이 보고 되어 있다.
상기 악취의 원인물질인 이소발릭산의 생성은 이소발릭산의 생성 메카니즘과 관련하여, Isovaleryl CoA의 전구물질인 α-ketoisocaproic acid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L-Leucine에서 α-ketoisocaproic acid의 변환을 유도하는 Leucine dehydrogenase를 억제함으로써 차단시킬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사실로부터, 단순히 발한을 억제하는 것만으로는 소취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한계가 있으므로, 악취의 원인물질인 이소발릭산의 생성 억제 효과 즉, 류신 디하이드로지나제(Leucine dehydrogenase)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수행을 위한 시료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혼합물에 사용된 추출물의 종류, 조성 및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중 단일 시료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각의 식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고, 복합시료의 경우에는 혼합되는 추출물을 동일한 함량으로 혼합한 복합시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료의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는 류신 디하이드로지나제에 대한 효소 활성 저해 효과로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류신 디하이드로지나제 2.5 U/mL를 100 mmol/L glycine buffer(pH 9.5)에 희석하여 10 uL를 준비하고, 상기 시료를 10.0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상기 시료를 처리한 후, 250 mmol/L glycine buffer(pH 10.5) 0.75 mL, 60 mmol/L L-leucine 0.5 mL, 100 mmol NAD+ 49 uL 및 정제수 171 uL를 넣고 반응시켰다. 반응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흡광도에서의 변화를 이용하여, 발생한 NADH의 양을 통해 효소 활성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 나타낸 효소 활성은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을 100%로 할 때 비교 활성으로 나타내었고, 비교군으로 효소억제제로 알려진 공지물질 즉, Aluminium chlorohydrate를 시료 대신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의 결과는 총 3회 처리를 반복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시료(추출물 종류, 10 mg/ml) 효소활성(%)
무처리군 100
Sc 84.82
Am 85.06
Aj 100
Ta 88.38
Sc + Am 75.25
Sc + Aj 100
Sc + Ta 84.83
Sc + Am + Aj 93.24
Sc + Am + Ta 85.36
Sc + Aj + Ta 100
Sc + Am + Aj + Ta 10 100
Aluminium chlorohydrate 47.75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출에서는 류신 디하이드로지나제에 대한 효소 활성 저해 효과 즉,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단일 추출물의 경우 오미자 추출물과 황기 추출물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혼합 추출물의 경우에 오미자 추출물과 황기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에서 가장 우수한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오미자 추출물과 부소맥 추출물의 경우에도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고,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에서도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3;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조성물의 항균 효과 확인
체취와 관련하여, 체취 발생 원인균인 피부상재균의 번식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에서 발한 억제 효과 및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조성물의 항균 효과를 피부상재균과 관련된 공시 균주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공시 균주로는 Bacillus subtilis subsp. spizizenii KACC 14394를 기탁기관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이용하였다. 상기 분양받은 균주는 분양받은 균주의 배양배지는 Nutrient agar & broth(Difco, USA)를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를 상기 각 균주에 사용된 배지로 제조한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37℃에서 3일간 배양한 후, 상기 배지로 제조된 고체배지에 각각의 균주를 도말하고,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배양된 단일 집락(colony)를 백금이로 취하여, 상기 각각 균에 적합한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한 후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항균활성은 paper disc법 및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paper disc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상기 배양한 균주를 상기 균주에 적합한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17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배양액 100 uL를 각 균주에 적합한 상기 고체배지에 균일하게 도말하고, 이 배지 위에 1 mg/ml, 5 mg/ml, 10 mg/ml 및 20 mg/ml의 농도로 제조한 각 시료를 40 uL씩 흡수시킨 8 mm의 paper disc를 올려 놓은 후, 37℃에서 15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disc 주위에 나타난 투명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추출물 종류) 저해환(inhibition diameter, mm) MIC(mg/mL)
for inoculate
106 CFU/mL
1
(mg/mL)
5
(mg/mL)
10
(mg/mL)
20
(mg/mL)
Sc - 9 13 16 2.5
Am - - - - -
Aj - - - - -
Ta - - - - -
Mp 9 12 14 16 0.5
Sc + Am 9 10 13 14 2.5
Sc + Ta - 9 13 14 5.0
Sc + Mp 9 12 14 16 1.0
Sc + Am + Mp - 9 12 16 1.0
Sc + Ta + Mp - 9 13 16 2.5
Sc + Am + Ta - 9 12 16 1.0
Sc + Am + Ta + Mp - 9 12 16 1.0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기, 백출 및 부소맥의 경우 항균 활성이 거의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오미자 추출물의 경우에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고, 페파민트 정유의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페파민트와 혼합한 경우, 오미자 추출물과 페파민트를 혼합하거나, 오미자 추출물과 황기 추출물의 혼합 시료와 혼합한 경우,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과 페파민트를 혼합하는 경우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페파민트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만을 혼합한 경우에 우수한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상기 항균 효과에 의해 피부 상재균인 Bacillus subtilis subsp. spizizenii의 생육이 억제되어, 소취효과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오미자 추출물은 다른 식물 추출물에 비하여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오미자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오미자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이소발릭산 생성 억제효과 및 발한 억제 효과의 측면에서도 가장 우수하고, 페파민트 정유와 함께 사용할 경우에도 항균 효과의 유지란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여, 상기 오미자 추출물 또는, 오미자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 또는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은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나아가 신체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체취나 악취를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 및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제조예
제조예 1: 세안제(클렌징 폼)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세안제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N-아실클루타민산 나트륨
글리세린
PEG-400
프로필렌 글리콜
POE(15)올레일알코올 에테르
라우린 유도체
메틸 파라벤
EDTA-4Na
향료
바셀린
10
10
20
10.0
15.0
10.0
3.0
2.0
0.2
0.03
0.2
to 100
제조예 2: 피부 외용 연고 제조
하기 표 6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디에틸 세바케이트
경납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벤조산 나트륨
바셀린
10
5
8
5
6
적량
to 100
제조예 3: 화장료(크림) 제조
하기 표 7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스테아린산
세탄올
피이지-20 소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미네랄 오일
트리옥타노에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카보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정제수
10
10
1.0
2.0
1.0
1.0
10.0
5.0
0.5
0.2
5.0
3.0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4: 화장료(유연화장수) 제조
하기 표 8의 조성(단위: 중량%)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부소맥 추출물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색소
정제수
10
5
5
10.0
1.0
2
5.0
6.0
적량
적량
to 100

Claims (10)

  1.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추출물 및 부소맥(Triticum aestivum)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및 부소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페파민트(Mentha piperita) 정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페파민트(Mentha piperita) 정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이소발릭산(Isovaleric acid)의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이소발릭산(Isovaleric acid)의 생성 억제 효과 및 발한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은 데오드란트(deodora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10237A 2011-02-01 2011-02-01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37A KR101217764B1 (ko) 2011-02-01 2011-02-01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37A KR101217764B1 (ko) 2011-02-01 2011-02-01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094A true KR20120089094A (ko) 2012-08-09
KR101217764B1 KR101217764B1 (ko) 2013-01-02

Family

ID=4687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237A KR101217764B1 (ko) 2011-02-01 2011-02-01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462A (ko) 2015-07-27 2017-02-07 주식회사 에코마인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19055D0 (en) * 2000-08-03 2000-09-27 Unilever Plc Antiperspirant and deodorant products and methods for their use
KR100394577B1 (ko) * 2000-11-16 2003-08-09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오미자 종자 기능성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51444B1 (ko) * 2001-10-19 2004-10-0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7420B1 (ko) * 2006-08-28 2007-05-11 주식회사 한빛코리아 알러지와 무좀균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462A (ko) 2015-07-27 2017-02-07 주식회사 에코마인 세신 및 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보습, 항산화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764B1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3623B2 (ja) 化粧料
JP2019034899A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2602542B1 (ko) 대마와 피부유래 유산균의 발효 기술에 의한 스포츠용 화장품 개발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16B1 (ko) 피부보습,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성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0251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665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복합균주를 활용한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7084A (ko)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 및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3180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KR10121776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184942A (ja) 抗酸化剤及びdna損傷抑制剤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449136B1 (ko)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CN109966191A (zh) 一种金露梅花提取物及其新应用
KR102151042B1 (ko)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JP2021172593A (ja) 皮膚外用剤
KR101871577B1 (ko)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489114B1 (ko) 발효 두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4616A (ko) 흑효모 발효 작약꽃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451745B1 (ko) 청소년 체취 억제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86131B1 (ko) 두피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0886B1 (ko) 냉풍 재배 인삼의 뿌리 발효물을 함유하는 전초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