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193A -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193A
KR20190050193A KR1020170145492A KR20170145492A KR20190050193A KR 20190050193 A KR20190050193 A KR 20190050193A KR 1020170145492 A KR1020170145492 A KR 1020170145492A KR 20170145492 A KR20170145492 A KR 20170145492A KR 20190050193 A KR20190050193 A KR 2019005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fermented
skin
cosmetic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594B1 (ko
Inventor
강경원
홍재화
김재영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14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초산균, 바실러스균 및 아스퍼질러스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으로 발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피부 보습 항상성을 유지하며 피부에 거의 자극을 주지 않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FERMENTATIVE EXTRACT OF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본 발명은 발효 양배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보습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주요한 장벽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처, 감염, 수분 손실과 자외선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자외선 등은 피부에 손상을 입혀 피부 노화를 유도하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서 피부 분야의 연구에서는 자외선과 피부와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를 많이 진행하고 있다.
피부 보습은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함과 동시에 내측의 수분을 막는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수분 장벽 기능을 위하여 피부의 표피층에서는 분화되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발달하게 된다. 구조적으로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의 세포간 지질들은 몰타르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건조한 피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실내난방 및 대기 오염 등으로 인해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피부 보습제로 다가 알코올, 당류가 일반적인 보습제로서 화장료에 배합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피부에 끈적임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고, 피부에 충분한 보습효과를 주지 못하며, 또한 지적인 보습 효과를 주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습도가 매우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외부로부터 수분을 끌어와 피부가 끈적이고, 겨울에는 외부 대기의 습도가 낮아 오히려 피부에서 수분을 끌어당겨 오히려 피부가 건조해지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사람의 피부는 상대 습도에 아주 민감하며 통상적으로 상대 습도가 40 내지 70%일 때 쾌적한 느낌을 갖는다. 상대 습도는 공기 1 m3 속에 들어있는 수증기량과 같은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의 비를 %로 나타낸 값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 아주 습하며, 겨울철에는 상대 습도가 낮아 대기가 매우 건조하다. 사람의 피부 또한 계절의 변화 및 습도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고온 다습하여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불쾌감이 증가하고, 건조한 겨울철에는 상대 습도가 낮아 입술이나 피부 또한 건조해져 갈라지거나 때로는 호흡의 곤란을 느끼기도 한다. 이는 상대 습도가 높을 때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해 끈적이게 되고, 반대로 상대 습도가 낮으면 피부의 수분이 증발해 건조해 지는 것이다. 특히, 상대 습도가 낮을 때 피부의 건조함은 당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화장료 조성물들은 피부의 건조함을 극복하기 위해 오일, 당, 폴리올 등 다양한 보습제를 이용하여 피부의 건조 함을 개선하고자 노력해 왔다. 예컨대, 피부 구성 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등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피부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억제하거나 피부 표면에서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이 강한 당, 폴리올 등을 이용해 피부 수분 보유 능력을 강화해 피부의 보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그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어렵고,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불쾌감을 주어 상대 습도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24180호는 사과, 당근, 무, 양배추 등을 혼합 발효시킨 식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계절의 변화 및 상대습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피부의 보습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고 또한 그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켜주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양배추를 발효시켜 피부에 도포하였을 경우 상대습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 습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보습력을 부여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초산균, 바실러스균 및 아스퍼질러스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으로 발효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데우스(Schizosaccharomyces ellipsoideus) 및 사카라미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테르무스 테르모모필루스(Thermus thermophill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산균은 아세토박터 자일리넘(Acetobacter xylinum),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Acetobacterpasteurianus), 및 아세토박터 한세니(Acetobacter hanseni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실러스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케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바실러스 메가테륨(Bacillus megaterium), 및 바실러스 메센테리커스(Bacillus mesenteric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스퍼질러스균은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 및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피부 보습 항상성을 유지하며 피부에 거의 자극을 주지 않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 수분 손실량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 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으며, 보습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에 속하는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는 항산화, 항균 또는 항암 등의 생리활성이 밝혀져 있으며, 다양한 임상실험을 통해 그 효능 및 효과가 검증된 바 있다.
특히, 양배추를 위시한 겨자과 채소류의 액포에는 이차 대사산물인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축적되어 있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미로시나제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이소티오시아네이트계, 니트릴계, 인돌계 등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들이 갖는 생리, 영양 또는 활성에 대한 연구가 어느 정도 진행된 부분은 있지만, 이의 피부 보습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양배추는 양배추의 모든 부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양배추를 발효하여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양배추를 바람직하게 효모, 유산균, 초산균, 바실러스균 및 아스퍼질러스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으로 발효한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데우스(Schizosaccharomyces ellipsoideus) 및 사카라미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테르무스 테르모필루스(Thermus thermophill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초산균은 아세토박터 속의 미생물들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세토박터 자일리넘(Acetobacter xylinum),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Acetobacter pasteurianus), 및 아세토박터 한세니(Acetobacter hanseni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실러스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케포미스(Bacillus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륨(Bacillus megaterium), 및 바실러스 메센테리커스(Bacillus mesenteric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스퍼질러스균은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 및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액으로는 발효액 자체, 발효액의 건조물, 발효액의 여과물, 발효액의 원심분리물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정제물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한다. 발효 양배추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에 대하여 0.0001 내지 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0 중량%일 수 있다. 발효 양배추 추출물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보습 효과에 다소 미흡한 문제점이 있고, 발효 양배추 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50 중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 피부 민감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a) 양배추를 발효에 적당하도록 분말화하거나 추출하는 등의 준비 단계;
b) 상기 a)단계의 결과물에 효모균, 유산균, 초산균, 바실러스균 및 아스퍼질러스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발효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c) 상기 b)단계의 상기 발효물을 저온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단계에서는 상기 식물들을 발효에 적당하도록 분말화하거나, 또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기 식물들을 발효에 적당하도록 추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 또는 추출물은 정제수와 혼합하여 발효에 사용할 수 있다. 추출물 제조는 예를 들어, 증류수, 탄소수 1 내지 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건조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판되는 양배추를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 내지 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환류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 내지 100℃로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식물들의 추출물을 추출한다. 그 다음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이상씩 더 추출한 후 추출액들을 합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나 분무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b) 단계에서는 a)단계의 결과물을 고압 멸균한 후 효모균, 유산균, 초산균, 바실러스균 또는 아스퍼질러스균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을 접종한다. 그 다음 발효조에서 20 내지 40℃, pH 4 내지 7 조건에서, 7일 내지 28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효물은 진공멸균 한 뒤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얻는다. 상기 발효에 걸리는 시간은 발효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식물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발효 조건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내용이 상기 예시된 발효 온도, 배양액의 pH 및 발효 시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 단계에서는 b)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5 내지 20℃, 75 내지 85%의 습도 조건에서, 10 내지 3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숙성에 걸리는 시간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은 발효 양배추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및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밀크 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워시, 클렌징 오일, 마스크 및 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에스테르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카보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양배추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도움 주는 화장료이며, 피부에 대한 자극이 낮으므로 뛰어난 피부 안전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제조예에 상세히 명시되어 있다.
이하,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조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제조예에서 사용되는 부, %, 비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에 해당한다.
[ 제조예 ] 발효 양배추 추출물의 제조
세척하여 음건한 양배추를 분쇄한 후 100g/L가 되도록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건조추출물을 고압 멸균 후 5g에 발효균주를 접종하였다. 발효균주는, 제조예 1은 효모균에 속하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으로, 제조예 2는 유산균에 속하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으로, 제조예 3 및 4는 효모균에 속하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과 유산균에 속하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을 1:1로, 제조예 5는 아스퍼질러스에 속하는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으로, 제조예 6은 바실러스균에 속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으로, 제조예 7 및 8은 아스퍼질러스에 속하는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와 바실러스균에 속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1:1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발효조에서 30℃, pH 5 조건에서 14일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 후 발효액을 85℃에서 진공멸균한 뒤 원심분리하여 발효균을 1차 제거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한 발효물을 15℃, 80% 습도 조건에서 20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 비교제조예 ] 양배추 용매 추출물의 제조
비교제조예 2 및 3은 양배추 용매 추출물이다. 양배추 용매 추출물은 세절하여 음건한 양배추 100g을 70% (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각각의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발효 양배추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실험
상기에서 제조한 발효 양배추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TT 분석법을 통하여 독성여부를 확인하였다. MTT(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검정은 세포의 성장을 알아보는 방법 중 하나이다. MTT 검정은 살아있는 세포에서 수용성의 노란색 테트라졸륨 염 MTT을 청자색의 비수용성인 포르마잔 결정(formazan crystal)으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이용하는 검사법이다. 그리고, 세포 생존율이 95% 이상일 경우 세포에 안정하기 때문에, 적정 사용농도를 확인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다. 케라티노사이트를 48-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105 cells/well로 접종하여 1.0㎖의 DMEM (Dulbecco Minimum Essential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당 1.0%의 제조예 및 제조예를 처리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플레이트는 0.5 ㎎/㎖ MTT 용액 (시그마, 미합중국)을 첨가한 후 4시간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1.0㎖의 DMSO 용액으로 세포를 용해하였고 그 반응액을 엘리사 리더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의 식 1에 따라 세포의 증식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1
양배추/발효양배추 추출물
함량
세포 증식율 (%)
비교제조예 # 1 무첨가 100.0
비교제조예 # 2 양배추 추출물(10.0 중량%) 101.2
비교제조예 # 3 양배추 추출물 (20.0 중량%) 101.7
제조예 # 1 발효 양배추 추출물 (10.0 중량%)
/효모균 발효
101.3
제조예 # 2 발효 양배추 추출물 (10.0 중량%)
/유산균 발효
101.4
제조예 # 3 발효 양배추 추출물 (10.0 중량%)
/ 효모균+유산균 발효
101.8
제조예 # 4 발효 양배추 추출물 (20.0 중량%)
/ 효모균+유산균 발효
101.7
제조예 # 5 발효 양배추 추출물 (10.0 중량%)
/ 아스퍼질러스
102.2
제조예 # 6 발효 양배추 추출물 (10.0 중량%)
/ 바실러스균
103.2
제조예 # 7 발효 양배추 추출물 (10.0 중량%)
/ 아스퍼질러스+바실러스균 발효
102.3
제조예 # 8 발효 양배추 추출물 (20.0 중량%)
/ 아스퍼질러스+바실러스균 발효
104.2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케라티노사이트에 대하여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모두 100% 이상), 이러한 결과로서, 본 발명의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세포 독성에 대해서 상당히 안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분류 원료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A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디포타시움글리시리네이트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디소디움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디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B상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스쿠알란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폴리옥시에칠렌 히드록시카스터오일 1.1 1.1 1.1 1.1 1.1 1.1 1.1 1.1 1.1 1.1 1.1
소디움피이에이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C상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발효 양배추 추출물
(제조예)
- - - 제조예 1
10.0
제조예 2
10.0
제조예 3
10.0
제조예 4
20.0
제조예 5
10.0
제조예 6
10.0
제조예 7
10.0
제조예 8
20.0
양배추 용매 추출물
(비교제조예)
- 10.0 20.0 - - - - - - - -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실험예 2] 발효 양배추 추출물에 따른 보습 측정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 녀 26명에게 비교예 1 내지 3및 실시예 1 내지 8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주간 하박 내측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도포 개시 전, 도포 후 2주, 4주 경과한 시점에서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경표피 수분 손실량(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조건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TEWL 측정 방법>
원리: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량을 온도와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한다.
1. 환경조건: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측정자와 피검자 외에 최소한의 인원만 남긴다(가급적 공기의흐름을 차단함).
2. TEWL 프로브(probe)를 피검자의 측정부위에 올려놓는다.
3. 프로브를 측정부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피부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가볍게 올려놓고 지면과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4.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의 TEWL 수치가 일정해지는 값을 측정한다. (보통 1~3분 소요)
5. 프로브의 손잡이는 가급적 멀리 잡아서 측정자의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6. 면적당 시간당 증발하는 수분량(g/m2 /h)을 계산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배추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2 및 3은 수분 증발량에서 특이적인 효능/효과를 보여 주지 못하고 있으나, 발효 양배추 추출물인 실시예 1 내지 8에서는 4주간 사용하였을 때 충분한 유의차를 나타냈다. 또한, 효모균과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발효 양배추 추출물(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아스퍼질러스 균과 바실러스 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양배추 추출물(실시예 5 내지 8)이 동일 함량을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에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보습 효과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HaCaT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IL- 분비 억제 효과
24 웰 플레이트에 HaCaT 케라티노사이트(German Cancer Research Institute, Germany)를 2×105 cells/well의 밀도로 10% FBS가 첨가된 D0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으로 접종하여 가습화 된 37℃, 5% CO2 배양기에서 1일 배양하였다. 무혈청(Serum-free) DMEM으로 교환한 후 비교제조예 1 내지 3과, 제조예 1 내지 8의 시료를 모두 100ppm으로 처리하여 1일 배양하고 SDS(sodium dodecyl sulfate, Sigma)을 처리하여 4시간 더 배양하였다. 4시간 후 배양액 일부를 취해서 IL-1α 정량과 단백질 정량에 사용하였다. IL-1α 정량은 엔도젠사의 human IL-1α 키트를 사용하여 kit의 IL-1α 정량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시그마사의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키트로 정량한 IL-1α를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여 단위 단백질당 IL-1α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피부자극완화 물질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Ketopropen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SDS 처리를 통하여 피부에 발생할 수 있는 홍반을 일으킬 수 있는 IL-1α의 생합성을 본 것으로서 피부 세포에 SDS만 처리했을 때의 IL-1α의 양을 100으로 정하였을 때의 각 시료들의 IL-1α의 생성량을 구한 후 이것을 백분율화한 것이다. 최종적인 IL-1α생성율(%)은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2
시료 IL-1α
SDS만 처리 100.00
비교제조예 # 1 92.41 ± 1.67
비교제조예 # 3 91.93 ± 5.40
제조예 # 1 91.50 ± 4.80
제조예 # 2 88.22 ± 5.10
제조예 # 3 86.32 ± 3.60
제조예 # 4 85.28 ± 3.66
제조예 # 5 83.33 ± 3.66
제조예 # 6 81.22 ± 3.30
제조예 # 7 80.30 ± 3.06
제조예 # 8 75.22 ± 3.30
KETOPROPEN 63.15 ± 7.96
상기 표 3의 결과에 따르면, 양배추 용매 추출물과 다르게, 발효 양배추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SDS 처리 후의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IL-1α분비량이 타 시료들보다 상당량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 양배추 추출물에 함유된 자극 완화 성분이 IL-1α의 생성량을 줄여 줌으로써 피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홍반 등의 트러블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Claims (8)

  1.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양배추 추출물은 효모, 유산균, 초산균, 바실러스균 및 아스퍼질러스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균으로 발효된 것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데우스(Schizosaccharomyces ellipsoideus) 및 사카라미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컨퓨서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및 테르무스 테르모모필루스(Thermus thermophill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산균은 아세토박터 자일리넘(Acetobacter xylinum),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Acetobacterpasteurianus), 및 아세토박터 한세니(Acetobacter hanseni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케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바실러스 메가테륨(Bacillus megaterium), 및 바실러스 메센테리커스(Bacillus mesenteric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퍼질러스균은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 및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5492A 2017-11-02 2017-11-02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2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92A KR102042594B1 (ko) 2017-11-02 2017-11-02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92A KR102042594B1 (ko) 2017-11-02 2017-11-02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93A true KR20190050193A (ko) 2019-05-10
KR102042594B1 KR102042594B1 (ko) 2019-11-11

Family

ID=6658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492A KR102042594B1 (ko) 2017-11-02 2017-11-02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8917A (zh) * 2019-08-30 2021-03-05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卷心菜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058361A (ko) * 2020-10-30 2022-05-09 (주)리윤바이오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796052A (zh) * 2022-05-11 2022-07-29 广州清淞泉生物科技有限公司 保湿组合物、保湿精华及其制备方法
KR102524935B1 (ko) * 2022-07-06 2023-04-26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j2k-19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025A (ko) * 2011-08-30 2013-03-08 양재찬 식물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KR20130085012A (ko) * 2012-01-18 2013-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025A (ko) * 2011-08-30 2013-03-08 양재찬 식물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KR20130085012A (ko) * 2012-01-18 2013-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8917A (zh) * 2019-08-30 2021-03-05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卷心菜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058361A (ko) * 2020-10-30 2022-05-09 (주)리윤바이오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796052A (zh) * 2022-05-11 2022-07-29 广州清淞泉生物科技有限公司 保湿组合物、保湿精华及其制备方法
CN114796052B (zh) * 2022-05-11 2023-12-29 百肽德医药生物科技(广东)有限公司 保湿组合物、保湿精华及其制备方法
KR102524935B1 (ko) * 2022-07-06 2023-04-26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j2k-19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594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0193A (ko) 발효 양배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7353B1 (ko) 오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5874B1 (ko) 강황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3534A (ko)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6049A (ko) 파극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4298A (ko) 발효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5522B1 (ko) 발효 만주자작나무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1590B1 (ko) 유리딘 함량이 증가된 적채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9723B1 (ko) 황금연꽃바나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1953B1 (ko) 안젤리카 추출물 및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3956B1 (ko) 그린 토마토 뽕나무버섯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3A (ko)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129B1 (ko)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6678A (ko) 참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방법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