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904A -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 - Google Patents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904A
KR20170011904A KR1020150105357A KR20150105357A KR20170011904A KR 20170011904 A KR20170011904 A KR 20170011904A KR 1020150105357 A KR1020150105357 A KR 1020150105357A KR 20150105357 A KR20150105357 A KR 20150105357A KR 20170011904 A KR20170011904 A KR 20170011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dissipation
heat dissipating
electronic device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612B1 (ko
Inventor
윤경화
Original Assignee
윤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화 filed Critical 윤경화
Priority to KR102015010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접촉되어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엔진에 관한 것이다. 방열엔진은 제1 방열부재와, 제2 방열부재와, 제1 종와이어, 및 제2 종와이어를 포함한다. 제1 방열부재는 상부에 제1 결합 홈이 형성되고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방열부와, 제1 방열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 방열부들을 각각 연결해주되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제1 연결부를 구비한다. 제2 방열부재는 제1 방열부재의 일측에 이격배치되며, 상부에 제2 결합 홈이 형성되고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방열부와, 제2 방열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2 방열부들을 각각 연결해주되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제2 연결부 구비한다. 제1 종와이어는 제1 결합 홈에 삽입되며, 전자기기상에 양단이 고정된다. 제2 종와이어는 제2 결합 홈에 삽입되며, 전자기기상에 양단이 고정된다.

Description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Lightweight radiant engin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방열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는 많은 열이 발생한다. 예컨대, 발광다이오드(LED)가 부착된 회로기판, CPU, 냉장고, 보일러 등과 같은 발열기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주지 않으면, 발열기구는 열로 인해 작동 효율이 떨어지거나 심지어는 파손에까지 이르게 된다. 따라서, 발열기구에 접촉된 방열엔진을 구비하여 발열기구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열엔진은 금속 뭉치를 NC선반이나 밀링으로 가공하여 기판상에 복수의 방열 핀을 갖도록 형성하므로, 버려지는 부분이 많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에 방열엔진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방열엔진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므로, 전자기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100541 (2010.09.15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방열엔진을 형성함으로써 가공이 용이하고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열엔진은 제1 방열부재와, 제2 방열부재와, 제1 종와이어, 및 제2 종와이어를 포함한다. 제1 방열부재는 상부에 제1 결합 홈이 형성되고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방열부와, 제1 방열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 방열부들을 각각 연결해주되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제1 연결부를 구비한다. 제2 방열부재는 제1 방열부재의 일측에 이격배치되며, 상부에 제2 결합 홈이 형성되고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방열부와, 제2 방열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2 방열부들을 각각 연결해주되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제2 연결부 구비한다. 제1 종와이어는 제1 결합 홈에 삽입되며, 전자기기상에 양단이 고정된다. 제2 종와이어는 제2 결합 홈에 삽입되며, 전자기기상에 양단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의 프레스 공정을 통해 방열엔진을 형성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며, 종래와 같이 금속 뭉치를 NC선반이나 밀링으로 가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시 버려지는 부분이 없어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방열 핀을 고정하기 위한 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방열엔진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열엔진이 부채와 같이 접힌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변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자기기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성능이 향상된다.
아울러, 와이어만으로 전자기기 상에 방열엔진을 체결하므로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엔진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열엔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열엔진의 상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엔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엔진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열엔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엔진(100)은 제1 방열부재(110)와, 제2 방열부재(120)와, 제1 종와이어(130), 및 제2 종와이어(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열엔진(100)은 발광다이오드(LED)가 부착된 회로기판이나 CPU 등과 같은 전자기기(10)에 접촉되어 전자기기(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방열부재(110)는 제1 방열부(111)와, 제1 연결부(112)를 구비한다.
제1 방열부(111)는 상부에 제1 결합 홈(111a)이 형성되고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제1 방열부(111)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2)는 제1 방열부(111)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 방열부(111)들을 각각 연결해준다. 이때, 제1 연결부(112)는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112)의 폭 크기에 따라 제1 방열부재(110)들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방열부재(110)는 열 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박판을 일정 형태로 절삭 가공한 후 프레싱하게 되면 금속 박판은 부채 형태와 같이 접히게 되어 제1 방열부(111)가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연결부(112)는 제1 방열부(111)의 일측 및 타측에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가 된다.
제2 방열부재(120)는 제1 방열부재(110)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며, 제1 방열부재(110)와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방열부재(120)는 제2 방열부(121)와, 제2 연결부(122)를 구비한다.
제2 방열부(121)는 상부에 제2 결합 홈(121a)이 형성되고,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때, 제2 방열부(121)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2)는 제2 방열부(121)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2 방열부(121)들을 각각 연결해준다. 이때, 제2 연결부(122)는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22)의 폭 크기에 따라 제2 방열부재(120)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방열부재(120)는 제1 방열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열 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금속 박판을 프레스 가공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종와이어(130)는 제1 결합 홈(111a)에 삽입되며, 전자기기(10)상에 양단이 고정된다. 이때, 제1 종와이어(130)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또는 접착수단을 통해 전자기기(10)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열부재(110)가 전자기기(10)의 상부에 안착되면, 제1 종와이어(130)의 일단을 구부려 고리 형상을 만든 후 전자기기(10)의 일측에 안착키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고리에 삽입시켜 전자기기(10)에 결합한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을 제1 결합 홈(111a)에 삽입시킨 후 타단을 구부려 고리 형상을 만든 후 전자기기(10)의 타측에 안착키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고리에 삽입시켜 전자기기(10)에 결합한다. 이때, 전자기기(10)에 제1 방열부재(110)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예시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 용접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종와이어(140)는 제2 결합 홈(121a)에 삽입되며, 전자기기(10)상에 양단이 고정된다. 이때, 제2 종와이어(140)는 제1 종와이어(130)와 마찬가지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또는 접착수단을 통해 전자기기(10)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방열부재(110)와 제2 방열부재(120)의 양측 끝단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고, 내면에 슬롯(113a, 123a)이 형성된 돌출부재(113, 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롯(113a, 123a) 사이의 공간으로 회로기판이나 CPU와 같은 전자기기(10)를 슬라이딩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체결이 용이해지며, 전자기기(1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열엔진(100)은 한번의 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1,2 방열부재(110, 120)를 형성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며, 종래와 같이 금속 뭉치를 NC선반이나 밀링으로 가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시 버려지는 부분이 없어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방열 핀을 고정하기 위한 기판을 필요로하지 않으므로 방열엔진(1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2 방열부재(110, 120)가 부채와 같이 접힌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변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자기기(10)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성능이 향상된다.
아울러, 와이어(130, 140)만으로 전자기기(10) 상에 방열엔진(100)을 체결하므로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열엔진의 상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열부(111)와 상기 제2 방열부(121)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2 방열부(111, 112)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에 따라 단위 면적당 대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엔진(100)은 제1 종와이어(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종와이어(140)에 타단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횡와이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횡와이어(150)에 의해 제1,2 종와이어(130, 140)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1,2 방열부재(110, 120)가 전자기기(1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횡와이어(150)는 일단에 후크(151)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종와이어(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에 고리(152)가 형성되어 있어 제2 종와이어(14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횡와이어(15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자유롭게 구부려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후크(151) 및 고리(15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제1,2 종와이어(130, 140)에 횡와이어(150)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열부재(110)와 제2 방열부재(120) 사이에 배치되고, 횡와이어(150)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전자기기(10)상에 양단이 고정된 제3 종와이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종와이어(160)는 제1,2 종와이어(130, 140)와 같은 방법으로 전자기기(1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3 종와이어(160)가 구비됨에 따라, 제1,2 방열부재(110, 120)를 전자기기(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방열엔진
110.. 제1 방열부재 111.. 제1 방열부
112.. 제1 연결부 120.. 제2 방열부재
121.. 제2 방열부 122.. 제2 연결부
130.. 제1 종와이어 140.. 제2 종와이어
150.. 횡와이어 160.. 제3 종와이어

Claims (5)

  1. 전자기기에 접촉되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엔진에 있어서,
    상부에 제1 결합 홈이 형성되고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방열부와, 상기 제1 방열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열부들을 각각 연결해주되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제1 연결부를 구비한 제1 방열부재;
    상기 제1 방열부재의 일측에 이격배치되며, 상부에 제2 결합 홈이 형성되고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방열부와, 상기 제2 방열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열부들을 각각 연결해주되 좌우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제2 연결부 구비한 제2 방열부재;
    상기 제1 결합 홈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기기상에 양단이 고정된 제1 종와이어; 및
    상기 제2 결합 홈에 삽입되며, 상기 전자기기상에 양단이 고정된 제2 종와이어;
    를 포함하는 방열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와이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종와이어에 타단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횡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엔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재와 제2 방열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횡와이어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상에 양단이 고정된 제3 종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엔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와이어는 일단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종와이어에 연결되고, 타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종와이어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엔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와 상기 제2 방열부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엔진.
KR1020150105357A 2015-07-24 2015-07-24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 KR101707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57A KR101707612B1 (ko) 2015-07-24 2015-07-24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57A KR101707612B1 (ko) 2015-07-24 2015-07-24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904A true KR20170011904A (ko) 2017-02-02
KR101707612B1 KR101707612B1 (ko) 2017-02-16

Family

ID=5815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357A KR101707612B1 (ko) 2015-07-24 2015-07-24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624A (en) * 1994-04-05 1997-01-14 Thermalloy, Inc. Strap spring for heat sink clip assembly
US5870288A (en) * 1997-10-17 1999-02-09 Hoya Tech Co., Ltd. Fixing latch member for heat radiating board of central process unit
KR20000011898A (ko) * 1998-07-23 2000-02-25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아크릴단량체의현탁중합방법
KR200392901Y1 (ko) * 2005-03-29 2005-08-17 이완희 전자부품용 방열블록
KR20100100541A (ko) 2009-03-06 2010-09-15 김영기 방열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작된 방열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624A (en) * 1994-04-05 1997-01-14 Thermalloy, Inc. Strap spring for heat sink clip assembly
US5870288A (en) * 1997-10-17 1999-02-09 Hoya Tech Co., Ltd. Fixing latch member for heat radiating board of central process unit
KR20000011898A (ko) * 1998-07-23 2000-02-25 엘프 아토켐 소시에떼아노님 아크릴단량체의현탁중합방법
KR200392901Y1 (ko) * 2005-03-29 2005-08-17 이완희 전자부품용 방열블록
KR20100100541A (ko) 2009-03-06 2010-09-15 김영기 방열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작된 방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12B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242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US6474407B1 (en) Composite heat sink with high density fins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US960004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etachable auxiliary heat-dissipating module thereof
US7948756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JP5429321B2 (ja) 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そのライトコンポーネント
KR101971550B1 (ko) 섬모를 이용한 방열장치
JP2009170859A (ja) 放熱器の製造方法とその構造
JP2001358482A (ja) 放熱モジュール
US20110226458A1 (en) Modular heat sink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20110290449A1 (en) Cooler device
JP6721930B2 (ja) ヒートシンク及び電子部品パッケージ
US20140345830A1 (en) Dc motor device and dc fan using the same
KR101707612B1 (ko) 경량화된 일체형 방열엔진
KR101600828B1 (ko) 발광다이오드 모듈용 히트싱크
JP6182449B2 (ja) Led照明用放熱装置
US20130306293A1 (en) Extruded matching set radiators
US20130105112A1 (en) Heat sink
JP2015225940A (ja) 半導体装置
JP6295746B2 (ja) 電子機器
KR101937109B1 (ko) 고방열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136471B2 (ja) 照明装置およびヒートシンク
US20160084489A1 (en) Heat sink having heat dissipating fin and lighting device
US9099429B2 (en) Heat sink
JP2016219641A (ja) ヒートシンク及び基地局用筐体
JP3204063U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