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726A - 제1 플라이휠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는 밀봉 와셔를 포함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 Google Patents

제1 플라이휠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는 밀봉 와셔를 포함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726A
KR20170010726A KR1020160091318A KR20160091318A KR20170010726A KR 20170010726 A KR20170010726 A KR 20170010726A KR 1020160091318 A KR1020160091318 A KR 1020160091318A KR 20160091318 A KR20160091318 A KR 20160091318A KR 20170010726 A KR20170010726 A KR 20170010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wheel
sealing washer
sealing
double damp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암바티스타 란프란코
벤자민 라폴트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7001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16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 F16F15/13185Bol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14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16F15/315Flywheels characterised by their supporting arrangement, e.g. mountings, cages, securing inertia member to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8Inert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0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 고정 부재(17)에 의하여 제2 플라이휠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 각각 상기 고정 부재(17)와 마주보게 마련되는 복수의 오리피스(18)를 포함하는 제1 플라이휠(2);
-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가압되고, 축(X) 둘레에 분포된 복수의 개구부(24, 46, 49), 및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인접하는 2개의 개구부(24, 46, 49)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플러그(25)를 포함하는 밀봉 와셔(19)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개구부(24)가 각각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상기 오리피스(18) 중 하나의 정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플러그(25)가 각각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상기 오리피스(18) 중 하나에 맞물리는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까지 변위할 수 있는, 자동차용 이중 댐핑 플라이휠(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 플라이휠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는 밀봉 와셔를 포함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DOUBLE DAMPING FLYWHEEL COMPRISING A SEALING WASHER CAPABLE OF ENSURING SEALING OF THE PRIMARY FLYWHEEL}
본 발명은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은 일정한 토크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그 실린더들에서 계속해서 일어나는 폭발로 인해 야기되는 불규칙성을 나타낸다. 이들 불규칙성은 기어박스에 전달되어 특히 원치 않는 충격, 소음 및 공해를 유발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션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지 않은 바이브레이션 효과를 감소시키고 자동차의 운전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동차의 일부 트랜스미션에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이 장착된다.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예컨대 문헌 WO20111248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엔진의 크랭크축의 끝에 고정되는 제1 관성 플라이휠,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공축이고 클러치 장치의 반응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제2 관성 플라이휠, 및 상기 제1 플라이휠과 상기 제2 플라이휠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고 불규칙 회전을 완화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라이휠은, 상기 탄성 부재가 수용되는 환형 챔버를 규정하는, 덮개와 바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상기 제2 플라이휠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덮개와 바닥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환형 플레이트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환형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 부재와 협력하는 방사상 지지 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의 고정은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바닥부와 상기 덮개 사이에 상기 환형 플레이트를 미리 수용한 후에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제2 플라이휠을 리벳 체결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바닥부는, 상기 리벳과 대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리벳의 고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리벳의 단부를 변형할 수 있는 스탬핑 도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작동을 해칠 수 있는 물 또는 오염물이 상기 환형 챔버의 내부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오리피스에 플러그를 끼운다. 상기 플러그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각각 프레스에 의해 힘으로 각 오리피스에 끼워진다.
상기 제1 플라이휠의 오리피스에 상기 플러그를 끼우는 조작은 실시하는 것이 비교적 오래 걸려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제작 사이클을 크게 연장시킨다. 또한, 상기 끼움 조작은 프레스에 의해 인가되는 끼움 하중으로 인하여 제1 플라이휠의 변형을 유발하기 쉽다. 요컨대, 상기 제1 플라이휠 및/또는 상기 플러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형상적 결함이 밀봉의 효율을 해치고 상기 제1 플라이휠의 오리피스 안으로 상기 플러그의 신뢰할 수 있는 고정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제2 플라이휠에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설치할 수 있기 위하여 제1 플라이휠에 마련되는 오리피스의 밀봉이 제1 플라이휠을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히 보장되는, 상기한 유형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을 제안하는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 축(X)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동하는 제1 플라이휠 및 제2 플라이휠;
- 상기 축(X) 둘레에 분포된 고정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라이휠에 고정된 플레이트; 및
- 상기 제1 플라이휠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플라이휠과 상기 제2 플라이휠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고 불규칙 회전을 완화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라이휠이, 상기 고정 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고정 부재 중 하나와 마주보게 마련되는 복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이중 댐핑 플라이휠로서,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이,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가압되고, 상기 축(X) 둘레에 분포된 복수의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인접하는 2개의 개구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밀봉 와셔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밀봉 와셔는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상기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어, 상기 개구부가 각각 상기 제1 플라이휠의 상기 오리피스의 정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가압된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플러그가 각각 상기 제1 플라이휠의 상기 오리피스 중 하나에 맞물리는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까지 변위하는 자동자용 이중 댐핑 플라이휠을 제공한다.
따라서, 더 이상 프레스를 이용한 플러그의 끼움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제작 사이클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플러그를 끼우기 위하여 프레스를 이용함으로 인한 제1 플라이휠의 변형 위험이 제거된다.
요컨대, 밀봉의 효율이 제1 플라이휠의 형상적 결함으로 인한 영향을 덜 받게되고 제1 플라이휠의 플러그의 분리 위험이 배제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복수를 가질 수 있다:
- 상기 밀봉 와셔는, 축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 상기 밀봉 와셔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어링면은,
- 상기 밀봉 와셔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제1 베어링면이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제2 베어링면과 협력할 수 있어, 상기 밀봉 와셔가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그리고
- 상기 밀봉 와셔가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제1 베어링면이 상기 제2 베어링면과 협력할 수 없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밀봉 와셔를 그 밀봉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은, 특별한 도구 없이, 예컨대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탄성 부재의 강성 제어 조작 동안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 상기 밀봉 와셔가 그 제1 플라이휠 밀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베어링면은 더 이상 상기 제2 베어링면의 궤적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 상기 밀봉 와셔는 적어도 2개의 제1 베어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상기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제2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제1 베어링면은 각각 제1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2개의 제2 베어링면 중 하나와 협력하고 제2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2개의 제2 베어링면 중 다른 하나와 협력하도록 배치된다.
- 상기 2개의 제1 베어링면 및 상기 2개의 제2 베어링면은, 상기 밀봉 와셔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 결정되는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상기 제2 플라이휠을 부동화할 수 있다.
- 상기 제1 베어링면은, 상기 밀봉 와셔의 개구부 중 하나의 가장자리를 두르고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축방향으로, 즉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바닥부에 대하여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한 에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어링면은, 상기 밀봉 와셔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 와셔의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 상기 제2 플라이휠의 고정 수단은 리벳이고 상기 제2 베어링면은 상기 리벳의 헤드에 의하여 형성된다.
- 상기 밀봉 와셔의 개구부 각각은, 축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1 베어링면을 형성하는 예컨대 반원형의 에지에 의하여 가장자리가 둘러지고, 상기 개구부 각각에 대면하는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의 상대적인 회전 동안 상기 에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베어링면과 협력할 수 있는 제2 베어링면을 형성한다.
- 상기 고정 부재는 패임부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진 상기 플레이트의 레그를 가로질러 통과하고, 상기 밀봉 와셔는 상기 밀봉 와셔가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패임부 중 하나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요소는 상기 제1 베어링면을 형성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제2 베어링면을 형성하는 상기 패임부의 가장자리를 두른다.
- 상기 밀봉 와셔는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배향된 상기 밀봉 와셔의 한 면에 마련된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밀봉 와셔를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로부터 그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까지 변위시킬 수 있는 구동 도구의 로드를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2 플라이휠 및 상기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밀봉 와셔가 그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비티와 마주보는 오리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라이휠 및 상기 플레이트의 오리피스는 상기 구동 도구의 로드를 통과시킬 수 있다.
-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한편으로는 상기 제1 플라이휠에 구비된 환형 에지에 대하여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밀봉 와셔에 대하여 지지되어 상기 밀봉 와셔를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가압하는 탄성 와셔를 추가로 포함한다.
- 상기 탄성 와셔는 상기 밀봉 와셔에 대하여 지지되는 방사상 외측 레그들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들은 상기 탄성 와셔와 상기 밀봉 와셔가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밀봉 와셔에 마련된 수용부 안에 수용된다.
- 상기 밀봉 와셔는 복수의 탄성 탭을 포함하고, 이것의 자유 단부는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마련된 환형 에지에 대하여 지지되어 상기 밀봉 와셔를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가압한다.
- 상기 제1 플라이휠은 바닥부 및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축 배향의 관형부 및 상기 관형부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방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부는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바닥부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밀봉 와셔는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바닥부와 상기 허브의 방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환형 에지 사이에 배치된다.
- 상기 밀봉 와셔는 축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에 반대되는 상기 제1 플라이휠의 한 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 상기 밀봉 와셔는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러그 각각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환형 팽출부를 포함한다.
- 상기 플러그 각각은 상기 밀봉 와셔에 마련된 윈도우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아암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제1 플라이휠의 오리피스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갖고, 상기 밀봉 와셔가 그 밀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플라이휠의 오리피스 안으로 힘으로 끼워진다.
- 상기 제1 플라이휠은, 바닥부, 덮개, 및 상기 바닥부와 상기 덮개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원통부는 윤활제로 채워지는 환형 챔버를 규정하며, 이 안에 상기 탄성 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이것에 고정되는 2개의 밀봉 와셔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밀봉 와셔는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바닥부와 상기 밀봉 와셔 중 하나 사이에 끼워지는 외측 구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밀봉 와셔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유리한데, 이로써 상기 밀봉 와셔와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바닥부 사이에서 마찰을 제한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이중 댐핑 플라이휠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만 주어지는 이하의 본 발명의 복수의 특정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되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상세 사항, 특징 및 이점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부분 단면도로서,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은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로 도시되어 있는 밀봉 와셔를 구비하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부분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상세도로서 이것의 밀봉 와셔가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붙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밀봉 와셔의 정면도,
도 5는 밀봉 와셔의 배면도,
도 6은 도 3의 VI-VI 축을 따른 단면도로서 제2 플라이휠에 대해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부재의 설치 위치에서 밀봉 와셔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VII-VII 축을 따른 단면도로서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는 밀봉 와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2 플라이휠에 대한 플레이트의 고정 부재의 포지셔닝 전의 도 1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단면도,
도 9는 제2 플라이휠에 대한 플레이트의 고정 부재의 포지셔닝 후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단면도로서, 밀봉 와셔는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는 도면,
도 10은 밀봉 와셔가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에 있을 때 밀봉 와셔와 제1 플라이휠 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상세도,
도 11은 밀봉 와셔가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에 있을 때, 제2 실시양태에 따른, 밀봉 와셔와 제1 플라이휠 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상세도,
도 12는 제3 실시양태에 따른 밀봉 와셔의 정면 상세도,
도 13은 제4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단면도로서 밀봉 와셔를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와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는 구동 도구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밀봉 와셔의 정면도,
도 15는 제5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단면도,
도 16은 제6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밀봉 와셔의 정면도,
도 18은 제7 실시양태에 따른 밀봉 와셔의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밀봉 와셔의 탄성 탭 중 하나의 상세도,
도 20은 제8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뒤 4분의 3의 사시도,
도 21은 제9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플레이트 및 밀봉 와셔의 상세도,
도 22는 도 21의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밀봉 와셔의 정면도,
도 23은 제10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부분 단면도,
도 24는 제11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부분 단면도.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명세서에 주어진 정의에 따라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하여 용어 "외측" 및 "내측" 그리고 "축" 및 "방사" 방향을 이용한다. 편의상, "방사" 방향은 "축" 방향을 결정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회전 축(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상기 축으로부터 연장된다. "원주" 방향은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상기 축에 직교하고 상기 방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용어 "외측" 및 "내측"은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상기 회전 축(X)을 기준으로 다른 요소에 대한 한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상기 축에 가까운 요소는 방사 방향으로 주변부에 위치하는 외측 요소에 대한 반대로서 내측 요소라 한다. 한편, 용어 "후방" AR 및 "전방" AV는 축 방향을 따라 다른 요소에 대한 한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의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열기관에 가까이 배치되는 요소는 후방이라 일컬어지고 기어박스에 가까이 배치되는 요소는 전방이라 일컬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의 끝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제1 관성 플라이휠(2), 및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클러치 장치의 반응 플레이트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제2 관성 플라이휠(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제2 플라이휠(3)은 회전 축(X) 주위에서 움직이고, 또한 상기 축(X)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동한다. 상기 제2 플라이휠(3)은 도시된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롤링 베어링과 같은 베어링(4)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라이휠(2) 상에서 센터링되고 회전 가이드된다. 상기 제1 플라이휠(2)은,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중심 베어링(4)을 갖는 방사상 내측의 중심 허브(5) 및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상기 허브(5)는 리벳 체결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고정되는 부가 요소이다. 상기 허브(5)는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중심 베어링(4)를 갖는 관형부(10) 및 상기 관형부(10)의 후단부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부(7)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부(7)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리벳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 플라이휠(2)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의 외측 둘레로부터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도 2에 도시된 원통부(8), 및 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통부(8)의 전단부에 용접되는 도 1에 도시된 환형 덮개(9)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9)는 상기 바닥부(6) 및 상기 원통부(8)와 함께 환형 챔버를 규정하며 이 안에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의 탄성 부재(11)가 수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6) 및 상기 허브(5)는 상기 축(X)의 둘레에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상기 제1 플라이휠(2)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나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오리피스(12, 13)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플라이휠(3)은 또한 상기 크랭크축에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이 설치될 때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 및 상기 허브(5)의 오리피스들(12, 13)과 마주보고 상기 오리피스들(12, 13)에 나사를 도입시킬 수 있게 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오리피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라이휠(2)은 그 외측 둘레에 톱니형 크라운(14)을 구비하여, 시동 장치의 도움으로 상기 제2 플라이휠(3)을 회전 연동시킨다.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은,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고 불규칙 회전을 완화할 수 있는, 도 1에 일부 도시된 탄성 부재(11)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11)는 예컨대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마련되고 상기 축(X)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환형 챔버에 수용되는 커브형 나선 스프링이다. 상기 탄성 부재(11) 각각은 상기 제2 플라이휠(3)과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플레이트(15)의 2개의 지지 레그와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구비된 2개의 지지 시트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구비된 각각의 지지 시트는 예컨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형성된 도 2에 도시된 돌기(16), 및 상기 덮개(9)에 형성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돌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시, 상기 탄성 부재(11) 각각은, 제1 단부에서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구비된 지지 시트에 대하여 지지되고, 제2 단부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5)에 구비된 지지 레그에 대하여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 사이에서 토크 전달을 보장한다.
상기 탄성 부재(11)가 수용되는 상기 환형 챔버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원통부(8)와 상기 탄성 부재(11) 사이의 마찰을 제한하기 위하여, 윤활제, 바람직하게는 그리스로 채워진다. 윤활제가 상기 환형 챔버의 외부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은, 상기 플레이트(15)의 양측에 배치되어 한편으로 상기 플레이트(15)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플레이트(15)와 상기 덮개(9) 사이에서 상기 환형 챔버의 밀봉을 보장하는 밀봉 수단을 갖추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5)는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덮개(9)와 바닥부(6) 사이에서 연장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5)는 상기 복수의 리벳(17)에 의하여 제2 플라이휠(3)에 고정된다. 상기 리벳(17)은 상기 축(X)의 주위에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플라이휠(2), 상기 플레이트(15) 및 상기 탄성 부재(11)를 포함하는 제1 조립체를 먼저 조립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 부재(11) 및 상기 플레이트(15)를 그 원통부(8)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배치한 다음 상기 덮개(9)를 상기 원통부(8)의 전단부에 대하여 용접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플라이휠(3) 및 상기 플레이트(15)를 서로에 대해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2 플라이휠(3)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15)의 리벳 체결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스탬핑 또는 스냅핑 도구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를 통해 상기 리벳(17)의 후단부에 접근하여 상기 리벳(17)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는, 리벳 체결 조작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도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이 그 상대적 휴지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리벳(17)의 정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오리피스(18)를 포함한다.
리벳 체결 조작이 종료되었을 때 상기 오리피스(18)에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에 밀봉 와셔(19)가 장착된다.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허브(5)의 방사부(7)의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지지되어 유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허브(5)의 방사부(7)의 외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환형 에지(21)와 상기 밀봉 와셔(19) 사이에 탄성 와셔(20)가 삽입된다. 상기 환형 에지(21)는, 상기 탄성 와셔(20)를 위한 지지면을 형성하고, 그 자체로 후방을 향해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상기 밀봉 와셔(19)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와셔(20)는 예컨대 "접시스프링"형이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상기 탄성 와셔(20)는 방사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한 복수의 레그(22)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밀봉 와셔(19)에 대하여 지지된다. 상기 레그(22)는 각각 상기 탄성 와셔(20)와 상기 밀봉 와셔(19)를 일체형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밀봉 와셔(19)의 전면에 마련된 수용부(23)에 수용된다. 상기 수용부(23)는 여기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반원형 벽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상기 밀봉 와셔(19)와 상기 탄성 와셔(20)의 레그(22)들 사이의 간극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반원형 벽으로부터 상기 수용부(23)의 내부를 향해 핑거가 연장된다.
상기 밀봉 와셔(19)는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밀봉 와셔(19)는 복수의 원형 개구부(24)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부(24)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의 오리피스(18)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24)는 상기 오리피스(18)의 설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상기 축의 주위에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상기 밀봉 와셔(19)는, 인접하는 2개의 개구부(24)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25)를 또한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25)도 상기 오리피스(18)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25)는 상기 오리피스(18)의 설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상기 축의 주위에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상기 플러그(25)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마련되는 상기 오리피스들(18)의 형태에 상보적인 형태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즉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유리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와셔(20)의 레그(22)는 상기 플러그(25) 각각과 마주보고 축방향 지지를 제공한다.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상기 축(X) 주위에서 회전 연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상기 제2 플라이휠(3)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15)의 리벳 체결 조작 전에, 상기 밀봉 와셔(19)의 각각의 개구부(24)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의 오리피스(18)의 정면에 위치하는,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라 불리는 위치에 상기 밀봉 와셔(19)를 둔다. 따라서, 스탬핑 도구가 상기 오리피스(18)를 통해 도입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벳(17)의 후단부를 변형할 수 있다. 도 7에서, 이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탄성 와셔(20)에 의해 인가되는 축방향 하중의 작용하에 상기 플러그(25)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지지 유지됨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봉 와셔(19)는 또한, 각각의 플러그(25)가 각 오리피스(18)에 맞물리는, 도 1에 도시된,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라 불리는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그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로부터 그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러그(25)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의 정면에 존재하고 이어서 상기 탄성 와셔(20)에 의해 인가되는 축방향 하중이 축방향으로 상기 밀봉 와셔(19)를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닿도록 변위시켜 상기 플러그(25)가 상기 오리피스(18)에 맞물리도록 하는 각도 위치까지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축(X)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회전 연동되어야 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밀봉 와셔(19)는 베어링면들을 구비하며, 이들은,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는, 회전 방향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따른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베어링면들이 상기 플레이트(15)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베어링면들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상대적 회전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한 상기 밀봉 와셔(19)의 각 변위가 가능하여 이것을 그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로부터 그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이 상대적 회전은, 상기 탄성 부재(11)의 강성을 적합하게 하기 위한 제어 조작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플라이휠(3)에 대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상대적 회전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이 상대적 회전은 또한 트랜스미션 체인에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을 설치한 후에 행해질 수 있다. 상기 베어링면들은 또한,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밀봉 와셔(19)의 베어링면들이 상기 플레이트(15)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베어링면들에 지지될 수 없고 그 결과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밀봉 위치에 유지되도록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11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베어링면들은 상기 밀봉 와셔(19)의 각 개구부(24)의 가장자리를 두르고 전방을 향해 돌출한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에지(26)에 의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지(26)의 축방향 치수는,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상대적 회전 동안 각각의 리벳(17)의 헤드가 상기 에지(26) 중 하나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를 향해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상기 밀봉 와셔(19)를 회전 연동시키기에 충분한 치수이다. 그러나, 상기 에지(26)의 축방향 치수는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리벳(17)의 헤드가 상기 에지(26)에 대하여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히 작다.
이러한 베어링면을 갖춘 밀봉 와셔(19)는 또한,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에 있을 때는, 소정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일시적인 부동화를 보장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트랜스미션 체인에 이중 댐핑 플라이휠을 설치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밀봉 와셔(19)의 후면과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의 전면 사이에 밀봉이 실현되는 것이 관찰된다. 이 변형 실시예는, 한편으로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의 있을 수 있는 형상적 결함에서 벗어나 밀봉을 보장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플러그(25)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밀봉 와셔(19)를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로 포지셔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유리하게는 상기 밀봉 와셔(19)의 후면에 후방을 향해 돌출한 도 4에 도시된 원형 팽출부(27)가 구비된다. 상기 원형 팽출부(27) 각각은 각 플러그(25)를 둘러싼다. 이러한 원형 팽출부(27)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가 큰 표면 요철을 갖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밀봉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의 가장자리와 상기 플러그(25) 사이의 접촉 구역에서 밀봉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25)의 치수는 상기 오리피스(18)의 치수보다 약간 크고, 상기 탄성 와셔(20)에 의해 인가되는 축방향 하중은 상기 밀봉 와셔(19)가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각 오리피스(18) 안으로 상기 플러그(25) 각각을 힘으로 끼우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도 12에는,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밀봉 와셔(19)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밀봉 와셔(19)의 구조는 오리피스(18)의 가장자리와 플러그(25) 사이에 밀봉 구역을 실현하는 데에 적용된다. 여기서 플러그(25) 각각은 밀봉 와셔(19)에 마련된 윈도우(28)의 중심에 포지셔닝된다. 각각의 플러그(25)는 4개의 아암(29)에 의해 그 각각의 윈도우(28)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크로스헤드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치는 플러그(25)의 유연성을 증가시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에 대한 상기 플러그(25)의 포지셔닝의 결함시에 또는 온도 증가의 영향하에서 플러그가 팽창 현상을 겪을 때 상기 플러그(25)의 파손 위험을 제한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들의 특징들이 조합된다. 또한,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상기 밀봉 와셔(19)의 후면에 상기 플러그(25) 각각을 둘러싸는 원형 팽출부(27)를 설치하고 상기 플러그(25)의 치수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오리피스(18) 안에 힘으로 맞물리는 치수이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한편으로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가 큰 면 요철을 가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오리피스(18)가 결과적으로 형상적 결함을 가질 수 있더라도 밀봉을 보장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양태는,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와 그 제1 플라이휠 밀봉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밀봉 와셔(19)의 변위가 도 13에 도시된 구동 도구(30)에 의하여 실현된다는 점에서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와 상이하다.
상기 구동 도구(30)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상기 밀봉 와셔(19)를 회전 연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로드(31)(이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구동 도구(30)의 로드(31) 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상기 밀봉 와셔(19)의 전면에 마련된 캐비티(32)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32)는 여기서 상기 플러그(25)의 내부에 마련된다. 즉, 상기 플러그(25)의 오목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5) 및 상기 제2 플라이휠(3)에는, 상기 구동 도구(30)의 로드(31)가 통과할 수 있는, 상기 캐비티(32) 중 하나와 마주보는 오리피스들(33, 34)이 마련된다.
그러므로, 상기 밀봉 와셔(19)를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로부터 그 밀봉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 도구(30)의 로드(31)를 상기 플레이트(15) 및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오리피스들(33, 34)을 통해 도입시켜, 상기 각 로드(31)의 단부가 상기 밀봉 와셔(19)의 캐비티(32) 중 하나에 수용되게 한다. 이어서, 상기 구동 도구(30)가 상기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2 플라이휠(3), 상기 플레이트(15) 및 상기 밀봉 와셔(19)를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회전 연동시킨다. 상기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상기 플러그(25)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의 정면에 있을 때, 상기 탄성 와셔(20)는, 상기 밀봉 와셔(19)를 축방향으로 변위시켜 상기 플러그(25)가 상기 오리피스(18)의 내부에 맞물리도록 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하중을 상기 밀봉 와셔(19)에 인가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을 도시한 것이다. 이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은, 제1 플라이휠(2)이 가요성 플라이휠이라는 점에서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들과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허브(5)와 원통부(8)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는 적어도 일부가 하나 또는 복수의 가요성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플라이휠(2)은 축 방향으로 크랭크축의 여진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은 또한, 제2 플라이휠(3)이 클러치 장치의 반응 플레이트를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오일 이중 클러치의 케이스와 같은 트랜스미션 체인의 한 요소에 구비된 상보적 톱니에 결합되도록 설계되는 톱니를 구비한 허브(35)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들과 상이하다. 이러한 이중 댐핑 플라이휠(1)에는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밀봉 와셔(19) 및 탄성 와셔(20)가 설치된다.
도 16 및 도 17과 관련하여 예시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은, 밀봉 와셔(19)가 윤활유로 채워진 환형 챔버의 밀봉에도 관여한다는 점에서 상기 개시한 실시양태들과 상이하다. 여기서 상기 환형 챔버의 밀봉은 상기 플레이트(15)에, 각각 이것의 양측에서 고정되는 2개의 밀봉 와셔(36, 37)에 의해 보장된다. 상기 2개의 밀봉 와셔(36, 37)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원뿔대형 금속판에 의하여 제작된다. 전방에서, 상기 밀봉 와셔(36)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덮개(9)에 대하여 가압된다. 후방에서, 상기 밀봉 와셔(37)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밀봉 와셔(19)의 방사상 외측 구역(38)에 대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 와셔(19)의 방사상 외측 구역(38)은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가압되는데, 이것은 특히 상기 환형 챔버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밀봉 와셔(19)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밀봉 와셔(37)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 사이의 마찰을 제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상기 밀봉 와셔(37)가 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받으면, 이것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상기 밀봉 와셔(19)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 와셔(37)는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로부터 그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로 이동할 때 이것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축방향 하중을 상기 밀봉 와셔(19)에 인가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밀봉 와셔(19)는, 탄성 탭(39)을 포함하고 이것의 자유 단부(40)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구비된 환형 에지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어 상기 밀봉 와셔(19)를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6 및 도 17의 실시양태의 밀봉 와셔와 상이하다.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상기 탄성 탭(40)은 상기 밀봉 와셔(19)의 방사상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탄성 탭(40)의 개수 및 치수는,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와 그 제1 플라이휠(2) 밀봉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플러그(25)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의 내부에 맞물리도록 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도록 채택된다. 이러한 탄성 탭(39)은 도 1 내지 도 15의 실시양태의 탄성 와셔(20) 또는 도 16의 밀봉 와셔(37)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양태에서,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의 후면에 대하여 배치된다. 상기 밀봉 와셔(19)는 지지 와셔(41)를 통해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유지된다. 상기 지지 와셔(4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리벳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지지 와셔(41)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가압되는 외측 구역(42) 및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와 함께 상기 밀봉 와셔(19)를 감싸는 에지를 형성하는 내측 구역(5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양태들과 같이,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개구부(24), 및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제1 플라이휠(2) 밀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오리피스(18) 안에 맞물리는 플러그(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상기 밀봉 와셔(19)를 가압하는 축방향 하중은 상기 지지 와셔(41)에 의해 인가된다. 상기 밀봉 와셔(19)를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로부터 그 제1 플라이휠(2) 밀봉 위치로 이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25)의 내부에 마련된 캐비티(32) 안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로드를 포함하는 구동 도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 및 도 22에는,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이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15)는 리벳(17) 통과를 위한 오리피스가 마련된 내부를 향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레그(43)를 구비한다. 상기 레그(43)는 각각 2개의 패임부(44)로 가장자리가 둘러져 있다.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에 있을 때 각각 상기한 패임부(44) 중 하나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베어링 요소(45)를 포함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정 부재 설치 위치에서, 각각의 베어링 요소(45)는 인접하는 2개의 레그(43)와 접촉하여 소정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플라이휠(2) 및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일시적인 부동화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양태에 대해서와 같이, 한계값을 초과하는 토크가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 사이에서 전달될 때,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상기 축(X) 주위에서 회전 연동되도록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 사이의 상대적 회전이 일어난다. 이로써, 상기 밀봉 와셔(19)는 그 제1 플라이휠(2) 밀봉 위치까지 변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요소(45)의 축방향 치수는,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밀봉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어링 요소들이 더 이상 상기 플레이트(15)의 궤적 위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치수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플라이휠의 오리피스(18)와 대면하여 위치하는 개구부들은 도 1 내지 도 10의 원형 개구부와 같은 폐쇄 윤곽을 갖는 개구부가 아니라 각각의 플러그(25)의 양측에서 상기 밀봉 와셔(19)에 마련된 패임부(46)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을 도시한다. 이 실시양태에서, 허브(5) 및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는 모노블록이다. 즉, 지지 와셔(47)는 예컨대 리벳 체결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고정되고 환형 에지(48)를 포함하며 이것에 탄성 와셔(20)가 지지되어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상기 밀봉 와셔(19)를 가압한다. 한편, 원뿔대형의 탄성 와셔(20)는 방사상 레그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밀봉 와셔(19)의 중심부(48)에 대하여 지지된다. 상기 플러그(25) 및 상기 개구부(49)는 상기 밀봉 와셔(19)의 방사상 외측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9)는 여기서 반원형이고 상기 밀봉 와셔(19)의 방사상 외측 가장자리에 마련된다.
복수의 특정 실시양태들과 연관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간다면 본 발명은 개시된 수단들의 모든 기술적 등가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은 매우 명백하다.
동사 "포함하다", "가진다" 또는 "구비한다" 및 그 활용 형태들의 사용은 청구범위에 명시된 것과 다른 요소 또는 다른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하나의 요소 또는 하나의 단계에 대한 부정 관사의 사용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이러한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안의 모든 참조 기호는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16)

  1. - 축(X)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동하는 제1 플라이휠(2) 및 제2 플라이휠(3);
    - 상기 축(X) 둘레에 분포된 고정 부재(17)에 의하여 상기 제2 플라이휠(3)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5); 및
    -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플레이트(15)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플라이휠(2)과 상기 제2 플라이휠(3)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고 불규칙 회전을 완화할 수 있는 탄성 부재(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라이휠(2)이, 상기 고정 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고정 부재(17) 중 하나와 마주보게 마련되는 복수의 오리피스(1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이중 댐핑 플라이휠(1)에 있어서,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이,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가압되고, 상기 축(X) 둘레에 분포된 복수의 개구부(24, 46, 49), 및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인접하는 2개의 개구부(24, 46, 49)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플러그(25)를 포함하는 밀봉 와셔(19)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상기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어, 상기 개구부(24, 46, 49)가 각각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상기 오리피스(18)의 정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러그(25)가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가압된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플러그(25)가 각각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상기 오리피스 중 하나(18)에 맞물리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와셔(19)는, 축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15)와 마주보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면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와셔(19)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베어링면(26, 4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베어링면(26, 45)은,
    -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제1 베어링면(26, 45)이 상기 플레이트(15)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제2 베어링면(17, 43)과 협력할 수 있어,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그리고
    -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제1 플라이휠의 밀봉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제1 베어링면(26, 45)이 상기 제2 베어링면(17, 43)과 협력할 수 없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와셔(19)는 적어도 2개의 제1 베어링면(26, 45)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은 상기 플레이트(15)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제2 베어링면(17, 43)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제1 베어링면(26, 45)은 각각 제1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2개의 제2 베어링면(17, 43) 중 하나와 협력하고 제2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2개의 제2 베어링면 중 다른 하나와 협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베어링면(26, 45) 및 상기 2개의 제2 베어링면(17, 43)은,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 결정되는 각도 위치에서 상기 제1 플라이휠에 대하여 상기 제2 플라이휠을 부동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면은, 상기 밀봉 와셔(19)의 개구부(24) 중 하나의 가장자리를 두르고 상기 플레이트(15)를 향해 축방향으로 돌출한 에지(26)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어링면은, 상기 밀봉 와셔(19)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 와셔(19)의 상기 개구부(24)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 부재(1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7)는 패임부(44)에 의해 가장자리가 둘러진 상기 플레이트(15)의 레그(43)를 가로질러 통과하고,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밀봉 와셔가 고정 부재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패임부(44) 중 하나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요소(45)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요소는 상기 제1 베어링면을 형성하고 상기 레그(43)는 상기 제2 베어링면을 형성하는 상기 패임부(44)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플레이트(15)를 향해 배향된 상기 밀봉 와셔(19)의 면에 마련된 캐비티(32)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32)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한 상기 제2 플라이휠(3)의 상대적 회전 동안 상기 밀봉 와셔(19)를 그 고정 부재 설치 위치로부터 그 제1 플라이휠(2)의 밀봉 위치까지 변위시킬 수 있는 구동 도구(30)의 로드(31)를 수용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2 플라이휠(3) 및 상기 플레이트(15)는 각각 상기 밀봉 와셔(19)가 그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비티(32)와 마주보는 오리피스(33, 34)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라이휠(3) 및 상기 플레이트(15)의 상기 오리피스(33, 34)는 상기 구동 도구(30)의 로드(31)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구비된 환형 에지(21)에 대하여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밀봉 와셔(19)에 대하여 지지되어 상기 밀봉 와셔(19)를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가압하는 탄성 와셔(2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셔(20)는 상기 밀봉 와셔(19)에 대하여 지지되는 방사상 외측 레그들(22)을 포함하고, 상기 레그들(22)은 상기 탄성 와셔(20)와 상기 밀봉 와셔(19)가 일체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밀봉 와셔(19)에 마련된 수용부(23)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와셔(19)는 복수의 탄성 탭(39)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탭(39)의 자유 단부(40)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마련된 환형 에지(21)에 대하여 지지되어 상기 밀봉 와셔(19)를 상기 제1 플라이휠(2)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이휠(2)은 바닥부(6) 및 허브(5)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축 배향의 관형부(10) 및 상기 관형부(10)로부터 방사상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방사부(7)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부(7)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밀봉 와셔(19)는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와 상기 허브(5)의 상기 방사부(7)의 외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환형 에지(2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와셔(19)는 축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15)에 반대되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면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러그(25) 각각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환형 팽출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25) 각각은 상기 밀봉 와셔(19)에 마련된 윈도우(28)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아암(29)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이휠(2)은 바닥부(6), 덮개(9) 및 축방향으로 상기 바닥부(6)와 상기 덮개(9)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통부(8)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6), 상기 덮개(9) 및 상기 원통부(8)가 윤활제로 채워진 환형 챔버를 규정하며, 상기 환형 챔버 안에 탄성 부재(11)가 수용되고; 상기 이중 댐핑 플라이휠(1)은 상기 플레이트(15)에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15)의 양측에 배치된 2개의 밀봉 와셔(36, 37)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밀봉 와셔(19)는 상기 제1 플라이휠(2)의 바닥부(6)와 상기 밀봉 와셔 중 하나(37) 사이에 삽입되는 외측 구역(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KR1020160091318A 2015-07-20 2016-07-19 제1 플라이휠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는 밀봉 와셔를 포함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KR20170010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6836A FR3039240B1 (fr) 2015-07-20 2015-07-20 Double volant amortisseur comportant une rondelle d'obturation apte a assurer l'etancheite du volant primaire
FR1556836 2015-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726A true KR20170010726A (ko) 2017-02-01

Family

ID=5460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18A KR20170010726A (ko) 2015-07-20 2016-07-19 제1 플라이휠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는 밀봉 와셔를 포함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170010726A (ko)
CN (1) CN106382333B (ko)
DE (1) DE102016112881A1 (ko)
FR (1) FR3039240B1 (ko)
MX (1) MX20160094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475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20190125723A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듀얼 매스 플라이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5772B1 (fr) * 2017-04-27 2019-04-26 Valeo Embrayages Amortisseur de torsion et vehicule automobile
DE102018105262B4 (de) * 2018-03-07 2023-09-21 Vibracoustic Se Sicherungs- und Zentriermittel sowie eine Schwingungsdämpfungsvorrichtung
IT201800004238A1 (it) * 2018-04-05 2019-10-05 Elemento di manovra che incorpora mezzi di limitazione della coppia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6116B1 (fr) * 1995-06-27 1997-08-08 Valeo Volant amortisseur destine a etre interpose dans un groupe motopropulseu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tancheite
FR2958704B1 (fr) 2010-04-09 2012-05-11 Valeo Embrayages Double volant amortisseur,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1406656B1 (ko) * 2012-12-10 201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DE102013205919A1 (de) * 2013-04-04 2014-10-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rehschwingungsdämpfer
CN203926595U (zh) * 2014-05-03 2014-11-05 上海龙创汽车设计有限公司 双质量飞轮
CN204061720U (zh) * 2014-07-07 2014-12-31 吉林大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防水碟垫的双质量飞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475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20190125723A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듀얼 매스 플라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39240A1 (fr) 2017-01-27
FR3039240B1 (fr) 2017-07-28
CN106382333B (zh) 2020-06-23
CN106382333A (zh) 2017-02-08
DE102016112881A1 (de) 2017-01-26
MX2016009482A (es)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0726A (ko) 제1 플라이휠의 밀봉을 보장할 수 있는 밀봉 와셔를 포함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
JP3624020B2 (ja) 摩擦クラッチと共働するトルク伝達装置
JP6840483B2 (ja) 自動車のトルク伝達装置
JP2004036898A (ja) トルク伝達装置
CN102859230B (zh) 用于机动车的双减震飞轮
KR20150022705A (ko) 진자 댐핑 장치의 설치 방법
JP2017075694A5 (ko)
CN107023587B (zh) 特别地用于机动车辆的扭矩传递设备
RU99123367A (ru)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ции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коленчатого вала с маховиком,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конструкции
KR20170012130A (ko) 진동 댐핑 장치
JP3520502B2 (ja) 同軸のカバーと、基板と、リング体を組立る方法
CN102312951B (zh) 引擎侧盖板直连引擎曲轴的阻尼器组件及具有其的动力系
US20050150734A1 (en) Device for coupling a housing arrangement of a coupling device to a rotor arrangement of an electric machine
US5836216A (en) Flywheel or inertial mass device for a motor vehicle, the flywheel having indentations as toothing of a planetary gear train
KR20050013494A (ko) 회전 진동 댐퍼
CN105927709B (zh) 扭振减振器及用于制造该扭振减振器的方法
JP2000513081A (ja) ほぼ整合する2軸間の弾性連結装置
CN109477545B (zh) 阻尼装置
GB2273333A (en) A torsion damper for a motor vehicle
KR20080085171A (ko) 토크 전달 장치
CN109983262B (zh) 用于燃式发动机的可旋转轴的密封装置
CN110050145B (zh) 扭转阻尼装置
JP5326985B2 (ja) クラッチ機構
US5651441A (en) Clutch module having a cover plate snap-fitted to the flywheel
JP3292617B2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