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25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259A
KR20170010259A KR1020150101660A KR20150101660A KR20170010259A KR 20170010259 A KR20170010259 A KR 20170010259A KR 1020150101660 A KR1020150101660 A KR 1020150101660A KR 20150101660 A KR20150101660 A KR 20150101660A KR 20170010259 A KR20170010259 A KR 20170010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guide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632B1 (ko
Inventor
신성의
이정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632B1/ko
Priority to CN201610561401.3A priority patent/CN106353904B/zh
Priority to US15/211,778 priority patent/US9958718B2/en
Publication of KR2017001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259A/ko
Priority to US15/928,838 priority patent/US104592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02F2001/133311
    • G02F2001/133328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이드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탄성 레진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께가 얇고 미감이 증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창기 디스플레이 장치인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대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액정디스플레이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게와 부피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응답속도나 화질 등에 있어서도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현재 품질 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 이외에 수요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로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서 두께의 최소화 및 미감 증진 면에서 한계가 있는데,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계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패널 구동부(20), 및 케이스(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하부 기판(12) 및 상부 기판(14)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2) 상에는 화소 영역을 정의하도록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교차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기판(14)은 하부 기판(12)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부 기판(12) 상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하부 기판(12)의 일측 주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서, 하부 기판(12)의 일측 주변 영역에는 상부 기판(14)이 형성되지 않는다.
패널 구동부(20)는 외부로 노출된 하부 기판(12)의 일측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케이스(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주변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구동부(20)가 하부 기판(12)의 일측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구동부(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케이스(30)가 적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케이스(30)는 패널 구동부(20)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주변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며, 구조적 특성상 케이스(30)는 상부 기판(14)의 위쪽에 형성되는데, 그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우선, 케이스(30)가 상부 기판(14)의 위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만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30)가 상부 기판(14)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에 단차가 발생하여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30)는 패널 구동부(20)의 노출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케이스(30)의 폭이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의 폭이 증가 되어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두께가 최소화되고 미감이 증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이드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탄성 레진이 구비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 전극이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각각의 측면에서 패드의 일 측면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연성 회로 필름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각각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기 패드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제2 기판보다 연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베젤 영역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베젤 영역에 단차 발생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전극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각각의 측면에서 신호 패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서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상기 신호 패드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제2 기판보다 연장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이드 본딩 방식으로 상기 신호 패드와 상기 연결 전극을 연결시켜 종래에 비하여 베젤 영역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신호 패드가 제1 라인, 제2 라인 및 제3 라인으로 구성되어 컨택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사이드 본딩 컨택 구조를 적용하면서도 전기적 연결 성능 및 물리적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본딩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베젤을 줄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시 외부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시킬 수 있어 영상을 부드럽게 표시함으로써,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에 친수성 박막을 형성하고, 결합 부재로서 탄성 레진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매주 좁게 설계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이드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II-II 선에 따른 사이드 본딩 컨택 구조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A방향에서 바라본 사이드 본딩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타일 형태로 배치하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의 II-II 선에 따른 사이드 본딩 컨택 구조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A방향에서 바라본 사이드 본딩 컨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기판(1100), 제 2 기판(1200), 연성 회로 필름(1400) 및 인쇄 회로 기판(1500, PC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100)과 제 2 기판(1200)은 서로 합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과 인쇄 회로 기판(1500)은 패널 구동부를 구성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A)과 비표시 영역이 패드 영역(PA)을 포함한다. 패드 영역(PA)은 액티브 영역(A/A)의 외곽에 배치되어 있다. 패드 영역(PA)에는 복수의 신호 패드(1110)가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신호 패드(1110)는 멀티 레이어 구조를 갖는다. 패드 영역(PA)에는 각각의 신호 패드(1110)의 멀티 레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컨택부(11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1500)은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0)과 상기 제 2 기판(1200)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 1 기판(1100)과 상기 제 2 기판(1200)은 크기가 동일한 4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이 부착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1100)의 일단과 상기 제 2 기판(1200)의 일단이 서로 일치한다.
상기 제 1 기판(1100)이 상기 제 2 기판(1200)보다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은 상기 제 1 기판(1100)의 상면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측면, 예로서 아래 측면에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1400)과 인쇄 회로 기판(1500)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하나의 측면, 예로서 좌측 면에 다른 하나의 연성 회로 필름(1400)과 인쇄 회로 기판(1500)이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기판(1100)과 상기 제 2 기판(1200)은 서로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기판(1100)과 상기 제 2 기판(1200)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0)의 일단과 상기 제 2 기판(1200)의 일단이 서로 일치하고, 상기 제 1 기판(1100)의 타단과 상기 제 2 기판(1200)의 타단이 서로 일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기판(1100)과 상기 제 2 기판(1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 상기 제 1 기판(1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픽셀 전극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기판(120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와 컬러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기판(1100)과 상기 제 2 기판(1200)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TN(Twisted Nematic) 모드, IPS(In-Plane Switching)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또는 FS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기판(1100)과 제 2 기판(1200)의 구성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 상기 제 1 기판(1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양극, 발광층 및 음극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1200)은 밀봉(encapsulation)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기판(1100) 상에는 배선(1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1120)의 끝단에는 신호 패드(11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선(1120)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또는 공통 전압 배선 등의 신호 배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배선(1120)은 정전기 방전 배선 등의 비 신호 배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신호 패드(1110) 각각은 멀티 레이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패드(1110)는 제 1 라인(1112) 및 제 2 라인(1116)으로 구성된다. 제 1 라인(1112)과 제 2 라인(1116) 사이에는 제 1 절연막(1113) 및 제 2 절연막(1115)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절연막(1113)은 무기물(예로서,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의 게이트 절연막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절연막(1115)은 유기물(예로서, 포토아크릴)의 보호막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라인(1112)는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라인(1112)은 400~500㎚의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라인(1116)은 20~40㎚의 두께(D2)를 가질 수 있다. 제 1 라인(1112)과 제 2 라인(1116)은 제 1 컨택홀(CNT1)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선(1120)과 상기 신호 패드(11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 예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1120)은 상기 신호 패드(1110)의 제 1 라인(1112)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라인(1112)과 일체(one body)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신호 패드(1110)를 구성하는 하나의 라인이 상기 배선(1120)과 동일한 층에서 일체(one body)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상기 배선(1120)은 게이트 절연막 위에 구비된 데이터 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 패드(1110)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 아래에 구비된 데이터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구비된 컨택홀(1미도시)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패드가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 패드(1110)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기판(1100)의 일단과 상기 제 2 기판(1200)의 일단이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연성 회로 필름(1400)이 상기 신호 패드(1110)의 상면에 연결되지 않고, 본 발명의 연성 회로 필름(1400)은 상기 신호 패드(1110)의 일 측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에 연결되는 상기 신호 패드(1110)의 일 측면의 넓이가 상대적으로 상면의 넓이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신호 패드(1110)와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과의 연결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신호 패드(1110)와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의 연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신호 패드(1110)를 제 1 라인(1112) 및 제 2 라인(1116)으로 이루어진 멀티 레이어로 구성하여 상기 신호 패드(1110)와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이 연결되는 면적을 넓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신호 패드(1110)와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의 연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신호 패드(1110)의 일 측면에 연결 전극(1300)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복수개의 신호 패드(1110)와 복수개의 연결 전극(1300)은 서로 일대일 대응하면서 연결된다. 즉, 1개의 신호 패드(1110)와 1개의 연결 전극(1300)은 서로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신호 패드(1110)와 연결되는 연결 전극(1300)은 상기 제 1 기판(1100)과 제 2 기판(1200)의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전극(1300)은 상기 신호 패드(111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판(1100) 및 상기 제 2 기판(1200) 각각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신호 패드(1110)의 일 측면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전극(1300)은 도전성이 우수한 은(Ag)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 전극(1300)에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을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 전극(1300)과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 사이에 접착층(135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1350)은 그 내부에 도전볼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도전볼을 통해서 상기 연결 전극(1300)과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은 상기 제 1 기판(1100)의 상면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 1 기판(1100) 및 제 2 기판(1200)의 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은 사이드 본딩(Side Bonding) 방식으로 상기 제 1 기판(1100) 및 제 2 기판(120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에는 인쇄 회로 기판(1500)이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 상에 구동 집적 회로와 같은 칩(chip)이 형성되어 COF(chip on film) 구조를 이룰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 상에는 리드(lead) 배선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배선은 상기 접착층(1350)의 도전볼을 통해서 상기 연결 전극(13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1500)은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각종 신호를 인가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인쇄 회로 기판(1500) 상에는 타이밍 제어부, 각종 전원 회로, 또는 메모리 소자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전극(1300) 및 상기 제 1 기판(1100)과 제 2 기판(1200)의 측면 상에는 접착층(1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1350) 내에는 복수개의 도전볼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1350)은 상기 제 1 기판(1100)의 측면 및 상기 제 2 기판(1200)의 측면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도전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전극(1300)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도전볼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연결 전극(1300)들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접착층(1350) 상에는 연성 회로 필름(14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층(1350)과 마주하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의 표면상에는 리드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 배선은 상기 도전볼을 통해서 상기 연결 전극(1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도전볼의 일 측은 상기 연결 전극(1300)과 접촉하고 상기 도전볼의 타측은 상기 리드 배선과 접촉한다.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 상에는 인쇄 회로 기판(150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패드(1110)가 상기 연결 전극(1300), 상기 도전볼 및 상기 리드 배선을 통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1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패드(1110)가 제 1 라인(1112) 및 제 2 라인(1116)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 전극(1300)과의 컨택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패드(1110)와 상기 연결 전극(1300)의 전기적 연결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리적이 접착력도 매우 우수함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의 가공에 의한 접속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전극(1300)이 상기 제 1 기판(1100)과 제 2 기판(1200) 각각의 측면에서 신호 패드(111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1400)이 상기 제 1 기판(1100)과 상기 제 2 기판(1200)의 측면에서 상기 연결 전극(1300)에 부착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상기 신호 패드(1110)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기판(1100)을 상기 제 2 기판(1200)보다 연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베젤 영역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0)과 제 2 기판(1200)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베젤 영역에 단차 발생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신호 패드(1110)가 제 1 라인(1112) 및 제 2 라인(1116)으로 구성되어 컨택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사이드 본딩 컨택 구조를 적용하면서도 전기적 연결 성능 및 물리적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된 것으로 가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지지 부재(300), 백라이트 유닛(400), 및 결합 부재(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기판(110), 상부 편광판(112), 하부 기판(120), 하부 편광판(122), 및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를 포함한다.
상부 편광판(112)은 상부 기판(110)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 편광판(122)은 하부 기판(12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편광판(112)과 하부 편광판(122)의 조합에 의해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편광판(112) 상에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적용되는 리타더 필름(Retarder film)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패널 구동부(200)는 회로 필름(210)과 인쇄 회로 기판(PCB)(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널 구동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본딩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에서 본딩된다.
지지 부재(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및 백라이트 유닛(400)을 지지하면서 외부 커버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300)는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를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320)은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 프레임(320)은 제 1 지지부(322) 및 제 2 측벽(324)를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320)의 제 2 측벽(324) 및 제 1 지지부(322)의 재질은 폴리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SUS, EG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프레임(320)의 재질이 알루미늄 6063(Al 6063) 재질로 구성될 경우, 경량성과 경제성이 우수하고 방열 성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20)의 재질로 알루미늄6063 재질을 선택한 경우, 계면 특성상 높은 표면적 확보가 가능하여 결합 부재(500)의 도포 면적이 증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가이드 프레임(320)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프레임(320)의 재질로서 알루미늄6063 이 이염될 경우 오히려 결합 부재(500)의 접착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320)에 대한 결합 부재(500)의 접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 1 지지부(322)의 상부에 친수성 박막(5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 1 지지부(322)의 표면에 대하여 NaOH(aq) 클리닝을 적용한 다음, 표면을 친수성으로 처리한다.
제 1 지지부(32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면, 특히 하부 기판(120)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제 2 측벽(324)는 제 1 지지부(322)에서 연장되어 지지 케이스(330)와 더불어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한다. 이러한 제 1 지지부(3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50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친수성 박막(510)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부(322)는 양면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제 2 측벽(324)에 패널 구동부(200)의 인쇄 회로 기판(PCB)(22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지지부(32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로우 베젤 설계를 위하여 폭이 매우 좁아진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 부재(500)는 제 1 지지부(322)의 상부면 전체에 도포됨으로써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지지 케이스(330)는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백라이트 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지지 케이스(330)는 제 2 지지부(332) 및 제 3 측벽(334)를 포함한다.
제 2 지지부(332)는 백라이트 유닛(400)의 하면을 지지하고, 제 3 측벽(334)는 제 2 지지부(332)에서 연장되어 백라이트 유닛(40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한다.
지지 케이스(330)는 또한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균일하게 전달하여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400)에서는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방열 기구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케이스(330)를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경우,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지지 케이스(330)를 통해 전달되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지지 케이스(33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300)를 구성하는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들 사이의 결합은 양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홈과 돌출물을 이용한 후크(hook) 결합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00)를 구성하는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들 사이의 결합은 볼드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프레임(320)과 지지 케이스(330)에 의해서 위치가 안내된다.
백라이트 유닛(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전체 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전달하는 직하형 방식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일측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도광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전달하는 에지형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400)은, 광원(410), 도광판(420), 광학 시트(430), 및 반사판(440)을 포함한다.
광원(410)은 도광판(42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광원(410)에서 방출된 광은 도광판(420)으로 입사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이와 같은 광원(410)으로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형광 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광판(420)은 광원(410)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를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광 경로 변경을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광판(420)에는 다양한 형태의 홈 또는 돌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광학 시트(430)는 도광판(420) 위에 형성되어 광을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판(440)은 도광판(420) 아래에 형성되어 도광판(420) 아래로 누설되는 광을 상부쪽으로 반사시켜 광효율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지지 부재(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가이드 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가이드 프레임(320)에 결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상부 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결합 부재(500)는 액상 접착제로서 탄성 레진이 이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보더리스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베젤 영역의 폭이 매우 좁아질 경우 종래 기술에서 결합 부재로서 널리 사용되었던 폼 패드(foam pad) 테이프나, 아크릴 테이프는 부착 면적이 협소해 신뢰성이 낮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20)의 제 1 지지부(322)에 친수성 박막(510)을 마련한 다음, 액상 접착체를 도포한 다음 경화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지지 부재(300)를 결합시킨다.
한편, 제 1 지지부(322)는 친수성 박막(510)의 도포 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친수성 박막(510)의 도포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액상 접착제가 친수성 박막(510) 표면에 더욱 많이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젤 영역의 폭이 매우 좁아지더라도 결합 부재(50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지지 부재(300) 간을 잘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편광판(122)은 결합 부재(500)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결합 부재(500)가 추가됨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결합 부재(500)가 하부 기판(120)과 가이드 프레임(320)의 제 1 지지부(322) 사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결합 부재(500)가 추가됨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320)의 친수성 표면 처리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의 재질은 폴리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SUS, EGI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액상 접착제(탄성 레진)를 이용한 기판 합착시 접착력은 EGI, 폴리 카보네이트, SUS, 알루미늄 순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베젤 사이즈가 매우 좁은 설계 조건에서도 기판의 합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가이드 프레임의 재질을 알루미늄 6063으로 이용한다. 대신에, 알루미늄 6063 재질과 액상 접착제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친수성 박막(51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친수성 박막(510)을 형성시 NaOH(aq) 세정으로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에 -OH 성분을 부여한다. 이때, 친수성 박막(510)은 상기 NaOH 성분이 5wt % 이하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친수성 박막(510)을 형성하는 방법은 NaOH(aq) 세정 방법 외에도, 오염된 표면을 세정할 수 있는 Plazma 처리 등 종래에 알려진 친수성 표면 개질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이로써 achoring 효과를 높여 넓은 표면적을 확보한다.
표면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화학적 표면 처리로 NaOH 수용액의 처리 뿐 아니라 비극성 표면에 극성 부여 및 세정할 수 있는 Plazma 처리 등 일반적인 친수성 표면 개질 방법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이로써 achoring 효과를 높여 넓은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산소(O)와 같은 전기 음성도가 높은 성분을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에 부여하는 공정을 통해서도 친수성 박막(51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패널 구동부가 상부 기판의 하면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패널 구동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서, 종래와 같이 패널 구동부를 가리기 위해서 상부 기판의 상면 상에 별도의 케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 단차가 제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이 하나의 구조물로 인식되는 미적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에 친수성 박막을 형성하고, 결합 부재로서 탄성 레진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매주 좁게 설계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이드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백라이트 유닛(400)이 직하형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달라진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바텀(331)과, 커버 바텀(331)의 테두리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 프레임(320)과, 가이드 프레임(320)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비한다.
커버 바텀(331)은 백라이트 유닛(400)을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를 케이싱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버 바텀(331)은 백라이트 유닛(400)의 광원부(411, 412)가 적재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 영역에서 절곡되어 가이드 프레임(320)과 체결되는 측벽을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320)은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320)은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측벽의 상부면에서 친수성 박막(5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은 친수성 박막(510)의 도포 면적(또는 형성 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박막(510) 상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가이드 프레임(320)에 부착시키기 위한 결합 부재(500)가 위치한다. 결합 부재(500)는 액상 접착제로서 탄성 레진이 이용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400)은 광원부(411, 412)와, 반사 시트(413)와, 확산판(414)과, 복수개의 광학 시트(416)를 포함한다.
커버 바텀(331) 상에 적재되는 광원부(411, 412)와, 커버 바텀(331)의 바닥면과 가이드 프레임(320)의 측벽 안쪽면에 위치하는 반사 시트(413)와, 가이드 프레임(3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광원부(411, 41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에 위치하는 확산판(414)과, 상기 확산판(414) 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광학 시트(416)를 포함한다.
광원부(411, 412)는 커버 바텀(331) 상에 적재된다. 이러한 광원부(411, 412)는 인쇄 회로 기판(412)과, 인쇄 회로 기판(412) 상에 실장되어 광을 출사하는 복수개의 LED(411)를 포함한다.
반사 시트(413)는 커버 바텀(331)의 바닥면과 가이드 프레임(320)의 측벽 안쪽면에 위치하여 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커버 바텀(331)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반사 시트(413)는 광원부(411, 412)를 노출시키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414)은 가이드 프레임(3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광원부(411, 41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확산판(414)은 가이드 프레임(320)의 측벽에 마련된 단턱부(5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프레임(320)의 측벽은 확산판(414)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단턱(511)과, 상기 제 1 단턱(511)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친수성 박막(510)이 도포되는 제 2 단턱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2 단턱의 폭은 제 1 단턱의 폭보다 더 좁게 설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타일 형태로 배치하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4개(DP1~DP4)를 2 × 2의 타일 형태로 배치하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2000)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DP1~DP4)를 조합하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2000)를 구성하는 경우,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DP1~DP4)의 베젤이 증가하면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미감이 떨어진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들(DP1~DP4)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영상이 부드럽게 표시되지 못해 표시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본딩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베젤을 줄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2000)에 적용 시 외부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들(DP1~DP4)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시킬 수 있어 영상을 부드럽게 표시함으로써,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2000)의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연결 전극이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각각의 측면에서 패드의 일 측면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연성 회로 필름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각각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기 패드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제2 기판보다 연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베젤 영역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베젤 영역에 단차 발생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전극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각각의 측면에서 신호 패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서 상기 연결 전극에 부착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상기 신호 패드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기판을 상기 제2 기판보다 연장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이드 본딩 방식으로 상기 신호 패드와 상기 연결 전극을 연결시켜 종래에 비하여 베젤 영역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신호 패드가 제1 라인, 제2 라인 및 제3 라인으로 구성되어 컨택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사이드 본딩 컨택 구조를 적용하면서도 전기적 연결 성능 및 물리적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본딩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베젤을 줄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시 외부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시킬 수 있어 영상을 부드럽게 표시함으로써,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의 표면에 친수성 박막을 형성하고, 결합 부재로서 탄성 레진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매주 좁게 설계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이드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110: 상부 기판
111: 게이트 배선 112: 상부 편광판
113: 데이터 배선 114: 게이트 절연막
115a, 115b: 제 1, 제 2 반사 방지층 120: 하부 기판
122: 하부 편광판 200: 패널 구동부
210: 회로 필름 220: 인쇄 회로 기판
400: 백라이트 유닛 410: 광원
420: 도광판 430: 광학시트
440: 반사판 500: 결합 부재

Claims (8)

  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프레임 형태를 갖는 측벽;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마련된 탄성 레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레진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친수성 박막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은 경사면을 갖고,
    상기 친수성 박막은 상기 경사면까지 연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지지부의 재질은
    폴리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SUS, EG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지지부의 재질은 알루미늄 6063(Al 6063) 재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박막은 NaOH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박막은 상기 NaOH 성분이 5wt % 이하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박막은 실리카 겔이 첨가물로 포함되며, 상기 실리카 겔은 상기 친수성 박막 내에 칙소트로픽 인덱스(Thixotropic index 4)이상의 레진의 범위로 함유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1660A 2015-07-17 2015-07-1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660A KR102304632B1 (ko) 2015-07-17 2015-07-17 디스플레이 장치
CN201610561401.3A CN106353904B (zh) 2015-07-17 2016-07-15 显示装置
US15/211,778 US9958718B2 (en) 2015-07-17 2016-07-15 Display device
US15/928,838 US10459269B2 (en) 2015-07-17 2018-03-2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660A KR102304632B1 (ko) 2015-07-17 2015-07-1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259A true KR20170010259A (ko) 2017-01-26
KR102304632B1 KR102304632B1 (ko) 2021-09-24

Family

ID=5777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660A KR102304632B1 (ko) 2015-07-17 2015-07-1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958718B2 (ko)
KR (1) KR102304632B1 (ko)
CN (1) CN10635390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189A (ko) * 2017-11-17 2019-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2265222A1 (ko) * 2021-06-15 2022-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632B1 (ko) * 2015-07-17 2021-09-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60096A (ja) * 2016-10-06 2018-04-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02576B1 (ko) * 2017-02-02 202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123435B2 (en) 2017-02-02 2018-11-06 Lg Electronics Inc.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610281B (zh) * 2017-03-09 2018-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102473541B1 (ko) 2017-04-25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121854A (zh) * 2017-06-19 2017-09-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9102758B (zh) * 2017-06-20 2021-08-17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343734B1 (ko) 2017-07-12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7238964B (zh) * 2017-08-02 2020-05-0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无边框液晶面板及其制作方法以及液晶模组
CN109426018A (zh) * 2017-08-22 2019-03-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拼接屏
KR102413716B1 (ko) 2017-09-25 2022-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KR102464097B1 (ko) * 2017-12-28 2022-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614371B (zh) * 2018-04-03 2021-07-27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993347B2 (en) 2018-11-20 2021-04-27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tiled electronic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599722B1 (ko) * 2018-12-28 2023-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KR20200095627A (ko) * 2019-01-31 2020-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01556A (ko) 2019-02-19 2020-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16559A (ko) * 2019-04-01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14871A (ko) * 2019-05-28 2022-02-07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WI715149B (zh) * 2019-08-14 2021-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10568671B (zh) * 2019-08-14 2021-05-0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0544427A (zh) * 2019-09-30 2019-12-0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主体及拼接式智能交互平板
CN110850648B (zh) * 2019-10-29 2022-05-3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2882266A (zh) * 2019-11-29 2021-06-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和车载显示装置
US11296130B2 (en) * 2020-02-28 2022-04-0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Side-bonding structure of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737520B (zh) * 2020-08-14 2021-08-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N112014987A (zh) * 2020-09-03 2020-12-0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拼接显示器
CN112817174A (zh) * 2021-02-22 2021-05-1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拼接屏及显示装置
CN113629107B (zh) * 2021-07-19 2023-08-2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作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939A (ko) * 1999-10-19 2001-05-15 가나이 쓰토무 액정표시장치
KR20130027113A (ko) * 2011-09-07 2013-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30104400A (ko) * 2012-03-14 201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68280A (zh) * 2003-03-28 2006-05-03 富士胶片株式会社 偏振片及其制备方法,和图象显示装置
JP2005215358A (ja) * 2004-01-30 2005-08-11 Citizen Watch Co Ltd 液晶光学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5271575B2 (ja) * 2007-03-20 2013-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1636689A (zh) * 2007-03-20 2010-01-27 富士通株式会社 层叠型显示元件及其制造方法
JP4979767B2 (ja) 2007-04-26 2012-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CN101339341B (zh) * 2007-07-06 2011-08-24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及使用其的液晶显示装置
KR20110055089A (ko) * 2009-11-19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WO2011158556A1 (ja) * 2010-06-15 2011-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2224735A (ja) * 2011-04-19 2012-11-15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820034B1 (ko) 2011-09-29 2018-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2819158B (zh) 2012-08-10 2015-08-12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CN104603681A (zh) * 2012-09-06 2015-05-06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US8994042B2 (en) * 2013-05-20 2015-03-31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230752B1 (ko) * 2013-12-20 2021-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6347946B2 (ja) * 2013-12-26 2018-06-2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32166B1 (ko) * 2014-03-06 2021-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68966B1 (ko) * 2014-04-02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393517B2 (ja) * 2014-05-09 2018-09-1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親油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物品
KR102304632B1 (ko) * 2015-07-17 2021-09-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939A (ko) * 1999-10-19 2001-05-15 가나이 쓰토무 액정표시장치
KR20130027113A (ko) * 2011-09-07 2013-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30104400A (ko) * 2012-03-14 2013-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189A (ko) * 2017-11-17 2019-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2265222A1 (ko) * 2021-06-15 2022-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53904B (zh) 2020-09-08
KR102304632B1 (ko) 2021-09-24
US10459269B2 (en) 2019-10-29
US20180210271A1 (en) 2018-07-26
US20170017108A1 (en) 2017-01-19
US9958718B2 (en) 2018-05-01
CN106353904A (zh)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6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5659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8757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9372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508687B2 (en) Display device
US9146583B2 (en) Display device
JP6235227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20130021201A (ko) 액정표시장치
KR101797001B1 (ko) 이방성 도전필름,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모듈
KR10193634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420788B1 (ko) 표시장치
US20150370120A1 (en) Display device with heat dissipating chassis
JP2007127962A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147110A (ko) 표시 장치
KR20170077721A (ko) 액정 표시 장치
JP5013524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92347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83068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892586B1 (ko) 평판표시장치모듈
KR20150069145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663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59339A (ja) 液晶表示装置
KR1019535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22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396463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