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347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347B1
KR101936347B1 KR1020110132026A KR20110132026A KR101936347B1 KR 101936347 B1 KR101936347 B1 KR 101936347B1 KR 1020110132026 A KR1020110132026 A KR 1020110132026A KR 20110132026 A KR20110132026 A KR 20110132026A KR 101936347 B1 KR101936347 B1 KR 10193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dhesion
shielding layer
adhesion substr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254A (ko
Inventor
민지운
이상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3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합착 기판; 상기 합착 기판 내의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합착 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및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 형성된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외장 케이스를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미감이 증진됨과 더불어 외장 케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영역에 차광층을 형성함으로써 광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변부에서의 광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미감이 증진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동작 전압이 낮아 소비 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는 등의 이점으로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우주선, 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응용분야가 넓고 다양하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무게와 부피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응답속도나 화질 등에 있어서도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현재 품질 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 이외에 수요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로서,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서 두께의 최소화 및 미감 증진 면에서 한계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상부 기판(10), 하부 기판(20), 구동부(30), 가이드 프레임(41), 지지 케이스(42), 백라이트 유닛(50), 하부 커버(61), 및 상부 커버(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기판(10)과 하부 기판(20)은 씰런트(sealant)에 의해 합착되어 있고, 양 기판(10, 20) 사이에는 액정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 기판(10)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 및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기판(20) 상에는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하부 기판(20) 상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부 기판(20) 상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기판(20)의 일측 주변부는 상기 상부 기판(10)의 일측 주변부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길게 연장된 하부 기판(20)의 일측 주변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은 합착 기판(10, 20) 및 백라이트 유닛(50)의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지지 케이스(42)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50)을 지지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은 광원(51), 도광판(52), 광학 시트(53), 및 반사판(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커버(61) 및 상부 커버(62)는 전술한 모든 구성들을 감싸면서 액정표시장치의 커버로 기능한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62)는 상부 기판(10)의 상면 주변부, 특히, 4면 모두의 주변부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부(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또한 상기 상부 기판(10)의 주변부에서 광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 커버(62)가 상기 상부 기판(10)의 4면 모두의 주변부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4면 모두에 단차가 발생하고, 액정표시장치의 4면 모두의 베젤(Bezel)의 폭이 증가 되는 등 액정표시장치의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주변부에서의 광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단차 발생을 줄이고 베젤 폭도 줄일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합착 기판; 상기 합착 기판 내의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합착 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및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 형성된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외장 케이스를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미감이 증진될 수 있고, 외장 케이스가 적용되지 않은 영역에 차광층을 형성함으로써 광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차광층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부 기판(100), 하부 기판(200), 구동부(300), 지지 부재(400), 백라이트 유닛(500), 결합 부재(600), 및 차광층(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기판(100)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기판(200)과 마주하는 상기 상부 기판(100)의 하면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가 형성되고, 상기 블랙 매트릭스 사이에 컬러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200)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기판(100)과 마주하는 상기 하부 기판(200)의 상면 상에는, 서로 교차배열되어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스위칭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화소 영역 각각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기판(100)은 컬러 필터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기판(20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기판(100)과 하부 기판(200)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액정층을 사이에 둔 상부 기판(100)과 하부 기판(200)은 씰런트(sealant)에 의해 밀봉되어 합착 기판(100, 20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 기판(100)의 상면 상에는 상부 편광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판(200)의 하면 상에는 하부 편광판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편광판과 하부 편광판의 조합에 의해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인 하부 기판(200) 상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동시킨다. 상기 하부 기판(200)의 상면 상에 상기 구동부(300)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300)가 연결되는 합착 기판(100, 200)의 일측 영역에서, 상기 상부 기판(100)은 상기 하부 기판(200) 보다 그 길이가 짧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동부(300)는 회로 필름(310) 및 인쇄회로기판(PCB)(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로 필름(310)은 상기 하부 기판(200)의 상면 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부 기판(200)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패드 또는 데이터 패드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로 필름(310) 상에는 게이트 및 데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칩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은 상기 회로 필름(310)을 통해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각종 신호를 인가하며, 이를 위해서, 인쇄회로기판(320) 상에는 타이밍 제어부, 각종 전원 회로, 또는 메모리 소자 등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400)는 상기 합착 기판(100, 200) 및 백라이트 유닛(500)을 지지하면서 액정표시장치의 외부 커버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부재(400)는 브라켓(bracket)(405), 세트 커버(410), 가이드 프레임(420), 및 지지 케이스(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5)은 상기 합착 기판(100, 200),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기판(200)의 주변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405)은 소정의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수용홈 내에 상기 세트 커버(410)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세트 커버(4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여유 공간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합착 기판(100, 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세트 커버(410)는 액정표시장치의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일측은 상기 브라켓(405)의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세트 커버(410)가 액정표시장치의 하면 일부에만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기 세트 커버(410)가 액정표시장치의 하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420)은 상기 브라켓(405)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케이스(43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지지 케이스(43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전술한 세트 커버(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합착 기판(100, 200)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420)과 지지 케이스(430)에 의해서 그 위치가 안내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하부 전체 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직접 상기 합착 기판(100, 200) 쪽으로 전달하는 직하형 방식과, 상기 합차 기판(100, 200)의 하부 일측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도광판을 통해 상기 합착 기판(100, 200) 쪽으로 전달하는 에지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직하형 방식 또는 에지형 방식 어느 것이나 적용가능하다. 즉, 도면에는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500)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광원(510), 도광판(520), 광학 시트(530), 및 반사판(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원(510)은 상기 도광판(52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5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도광판(520)으로 입사된 후 상기 합착 기판(100, 200) 쪽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이와 같은 광원(510)으로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형광 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520)은 상기 광원(510)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를 상기 합착 기판(100, 200) 쪽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광 경로 변경을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광판(520)에는 다양한 형태의 홈 또는 돌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 시트(530)는 상기 도광판(520) 위에 형성되어 광을 균일하게 합착 기판(100, 20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판(540)은 상기 도광판(520) 아래에 형성되어 도광판(520) 아래로 누설되는 광을 상부쪽으로 반사시켜 광효율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 부재(600)는 상기 합착 기판(100, 200)과 지지 부재(4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부재(600)는 상기 합착 기판(100, 200)과 상기 브라켓(405)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을 상기 브라켓(405)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이 상부 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결합 부재(600)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700)은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주변부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층(700)은 상기 구동부(300)가 연결되어 있는 합착 기판(100, 200)의 일측 주변부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구동부(300)가 연결되지 않은 합착 기판(100, 200)의 타측 주변부에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300)가 연결된 합착 기판(100, 200)의 일측 주변부에는 상기 구동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 케이스(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외부 케이스에 의해서 광 누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상기 차광층(700)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0)가 연결되지 않은 액정표시장치의 3면 상에는 합착 기판(100, 200)이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로 노출된 합착 기판(100, 200)의 3면 주변부에 상기 차광층(7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광층(700)은 합착 기판(100, 200)의 상면 상에 형성된 제1 차광층(710) 및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측면 상에 형성된 제2 차광층(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광층(710)은 상기 상부 기판(100)의 상면 주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차광층(720)은 상기 상부 기판(100)과 상기 하부 기판(200)의 측면에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 차광층(720)은 상기 상부 기판(100)의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차광층(700)은 패드(Pad)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상기 차광층(700)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우선,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수용홈(810)을 구비한 플레이트(800)를 준비한다.
다음,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수용홈(810) 내에 차광물질(700a)을 도포한다.
다음, 도 3c에서 알 수 있듯이, 소정의 패드(900)를 하강시켜 상기 패드(900)에 상기 차광물질(700a)을 전사시킨다.
다음, 도 3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차광물질(700a)이 전사된 패드(900)를 상승시킨다.
다음, 도 3e 및 도 3f에서 알 수 있듯이, 합착 기판(100, 200)의 주변부로 상기 차광물질(900a)이 전사된 패드(900)를 하강시켜, 상기 차광물질(900a)을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주변부에 전사시킨 후, 상기 패드(900)를 상승시킨다.
그리하면,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상면에 제1 차광층(710)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측면 상에 제2 차광층(720)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부 기판(100), 하부 기판(200), 구동부(300), 지지 부재(400), 백라이트 유닛(500), 결합 부재(600), 및 차광층(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기판(100)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기판(200)과 마주하는 상기 상부 기판(100)의 하면 상에는,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기판(100)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300)가 상기 상부 기판(100)의 하면 상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구동부(300)가 액정표시장치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결국, 노출되는 구동부를 가리기 위해서 상기 상부 기판(100)의 상면 상에 별도의 외장 케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고,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4면 전체에서 단차가 완전히 제거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전면(前面)이 하나의 구조물로 인식되는 미적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기판(100)의 하면 상에 상기 구동부(300)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300)가 연결되는 합착 기판(100, 200)의 일측 영역에서, 상기 하부 기판(200)은 상기 상부 기판(100) 보다 그 길이가 짧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기판(100)의 하면 상에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광이 상기 상부 기판(100)을 통해 입사된 후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서 반사되어 화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 광이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서 반사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기판(100) 상에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동일한 패턴으로 반사방지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은 상기 상부 기판(100)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상부 기판(100)의 하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기판(200)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기판(100)과 마주하는 상기 하부 기판(200)의 상면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층 및 컬러필터층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기판(200)은 컬러 필터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인 상부 기판(100)의 하면 상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300)는 상기 상부 기판(100)의 하면 상에 부착되는 회로 필름(310) 및 상기 회로 필름(310)과 연결된 인쇄회로기판(PCB)(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부재(400)는 합착 기판(100, 200) 및 백라이트 유닛(500)을 지지하면서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부재(400)는 세트 커버(410), 가이드 프레임(420), 및 지지 케이스(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트 커버(410)는 액정표시장치의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액정표시장치의 하면 및 측면 커버역할을 한다.
상기 세트 커버(410)는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세트 커버(410)가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4면에서 베젤(Bezel)이 완전히 제거됨으로써 미감이 더욱더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트 커버(410)가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측면과 접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전면(前面)이 합착 기판(100, 200)만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4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케이스(43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지지 케이스(43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전술한 세트 커버(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합착 기판(100, 200)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420)과 지지 케이스(430)에 의해서 그 위치가 안내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광원(510), 도광판(520), 광학 시트(530), 및 반사판(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 부재(600)는 상기 합착 기판(100, 200)과 지지 부재(4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부재(600)는 상기 합착 기판(100, 20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4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합착 기판(100, 200)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420)에 결합시킨다.
상기 차광층(700)은 합착 기판(100, 200)의 주변부에서 광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착 기판(100, 200)의 상면 주변부에 형성된 제1 차광층(710) 및 합착 기판(100, 200)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차광층(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광층(700)은 액정표시장치의 4면 전체에 형성된다. 즉, 전술한 도 2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도 4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합착 기판(100, 200)의 상면 상에 별도의 외장 케이스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합착 기판(100, 200)의 4면 모두가 외부로 노출되고,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합착 기판(100, 200)의 4면 주변부에 광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7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부(300)가 형성된 합착 기판(100, 200)의 일측 영역에서는, 상기 제2 차광층(720)이 하부 기판(200)의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부 기판(100)의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상부 기판(100)의 모서리를 변형시켜 상부 기판(100)의 모서리에 차광층(700)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기판(100)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100a)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도 4의 경우는 상부 기판(100)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에 따라, 도 3a 내지 도 3f에 따른 인쇄 공정을 수행할 때 상기 모서리에 차광층(700)이 인쇄되지 않아 그 영역에서 광이 누설될 가능성 있다.
그에 반하여, 도 5의 경우는 상부 기판(100)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100a)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a 내지 도 3f에 따른 인쇄 공정을 수행할 때 상기 모서리(100a)에 제3 차광층(730)이 용이하게 인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미감이 증진되면서도 주변부에서의 광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4면 전체에 외장 케이스를 형성한 종래의 구조를 제외한 어떠한 액정표시장치에도 적용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액정표시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외장 케이스를 적용하지 않아 상기 일측에 합착 기판이 노출되어 있고, 노출된 합착 기판의 일측 주변부에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한다.
100: 상부 기판 200: 하부 기판
300: 구동부 310: 회로 필름
320: 인쇄회로기판 400: 지지 부재
405: 브라켓 410: 세트 커버
420: 가이드 프레임 430: 지지 케이스
500: 백라이트 유닛 600: 결합 부재
700: 차광층 710, 720, 730: 제1, 제2, 제3 차광층

Claims (10)

  1.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합착 기판;
    상기 합착 기판 내의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합착 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 형성된 차광층; 및
    상기 합착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합착 기판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합착 기판에 의하여 가려지며,
    상기 구동부가 연결되어 있는 합착 기판의 일측 영역에서 상기 하부 기판은 상기 상부 기판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 기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합착 기판의 상면 주변부에 형성된 제1 차광층 및 상기 합착 기판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차광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의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모서리에 제3 차광층이 추가로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구동부가 연결되어 있는 합착 기판의 일측 주변부에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패드 인쇄 방법에 의해서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 인쇄된,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합착 기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합착 기판과 지지 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일측 상면에는 상기 합착 기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합착 기판의 일측 주변부에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8.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합착 기판;
    상기 합착 기판 내의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합착 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합착 기판의 주변부에 형성된 차광층; 및
    상기 합착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합착 기판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합착 기판에 의하여 가려지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기판의 주변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합착 기판을 지지하고, 소정의 수용홈을 구비하는 브라켓; 및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세트 커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구동부가 연결되어 있는 합착 기판의 일측 주변부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구동부가 연결되지 않은 합착 기판의 타측 주변부에는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은 상기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부 기판의 상면 상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가 연결되어 있는 합착 기판의 일측 영역에서 상기 상부 기판은 상기 하부 기판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KR1020110132026A 2011-12-09 2011-12-09 액정표시장치 KR101936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026A KR101936347B1 (ko) 2011-12-09 2011-12-09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026A KR101936347B1 (ko) 2011-12-09 2011-12-09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254A KR20130065254A (ko) 2013-06-19
KR101936347B1 true KR101936347B1 (ko) 2019-01-09

Family

ID=4886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026A KR101936347B1 (ko) 2011-12-09 2011-12-09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94B1 (ko) * 2013-10-25 2015-04-07 (주)넥스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463390B1 (ko) * 2013-12-19 2014-1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520826B1 (ko) * 2018-03-28 2023-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9351B1 (ko) * 2018-12-21 2020-03-16 세메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608754B1 (ko) 2019-04-17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5303A (ja) * 2007-09-20 2009-04-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0256662A (ja) * 2009-04-27 2010-11-1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5303A (ja) * 2007-09-20 2009-04-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0256662A (ja) * 2009-04-27 2010-11-1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254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573B1 (ko) 액정표시장치
US10606135B2 (en) Liquid crystal panel,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10983373B2 (en) Display device
KR1018788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46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72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333727B2 (ja) 電気光学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56594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30263488A1 (en)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6616448B2 (ja) 表示装置
KR20160065668A (ko) 액정표시장치
KR10193634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255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8344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885109B1 (ko)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6863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2347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7772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8584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85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6720A (ko)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소자
KR1019535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9663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259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87664A1 (zh) 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