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109B1 -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109B1
KR101885109B1 KR1020120039410A KR20120039410A KR101885109B1 KR 101885109 B1 KR101885109 B1 KR 101885109B1 KR 1020120039410 A KR1020120039410 A KR 1020120039410A KR 20120039410 A KR20120039410 A KR 20120039410A KR 101885109 B1 KR101885109 B1 KR 10188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layer
display panel
polarizing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748A (ko
Inventor
김동명
장창수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10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4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liphatic or olefinic chains, e.g. poly N-vinylcarbazol, PVC or PTF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625Polyvinyl alchoh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표시영역 및 상기 주 표시영역 외곽의 주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편광필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기판의 하면 상에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편광필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에서 외부 광이 게이트 배선 또는 데이터 배선 등에서 반사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께가 얇고 미감이 증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창기 디스플레이 장치인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대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게와 부피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응답속도나 화질 등에 있어서도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현재 품질 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 이외에 수요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즉,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서 두께의 최소화 및 미감 증진 면에서 한계가 있는데,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계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패널 구동부(20), 및 외장 케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하부 기판(12) 및 상부 기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기판(12) 상에는 화소 영역을 정의하도록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교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기판(14)은 상기 하부 기판(12)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 기판(12) 상에 형성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기판(12)의 일측 주변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하부 기판(12)의 일측 주변영역에는 상기 상부 기판(14)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패널 구동부(20)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하부 기판(12)의 일측 주변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외장 케이스(3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주변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구동부(20)가 상기 하부 기판(12)의 일측 주변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패널 구동부(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상기 외장 케이스(30)가 적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외장 케이스(30)는 상기 패널 구동부(20)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주변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며, 구조적 특성상 상기 외장 케이스(30)는 상기 상부 기판(14)의 위쪽에 형성되는데, 그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우선, 상기 외장 케이스(30)가 상기 상부 기판(14)의 위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만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30)가 상기 상부 기판(14)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에 단차가 발생하여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30)는 상기 패널 구동부(20)의 노출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외장 케이스(30)의 폭이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의 폭이 증가 되어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두께가 최소화되고 미감이 증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요오드가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VA : poly vinyl alcohol)으로 형성된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따라 사전에 설정된 폭으로 형성되어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상기 편광층의 상면에 형성된 제 1보호층 및 상기 편광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 2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재필름에 요오드를 염착하고, 요오드가 염착된 상기 기재필름을 연신하여 요오드를 배향하여 편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열처리하여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주 표시영역 및 상기 주 표시영역 외곽의 주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기판의 하면 상에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편광필름은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열처리하여 형성된 차단부, 상기 편광층의 상면에 형성된 제 1보호층, 및 상기 편광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 2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널 구동부가 상부 기판의 하면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패널 구동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서, 종래와 같이 패널 구동부를 가리기 위해서 상부 기판의 상면 상에 별도의 외장 케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 단차가 제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이 하나의 구조물로 인식되는 미적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이 완전히 생략되거나 베젤이 형성되더라도 그 폭이 매우 작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전체적인 미감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에서 외부 광이 게이트 배선 또는 데이터 배선 등에서 반사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화상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편광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 패널 구동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주(main) 표시영역 및 상기 주 표시영역 외곽의 주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편광필름(130, 도 3a 참조)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편광필름(130, 도 3a 참조)은 차광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주 표시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동영상 등과 같은 주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주변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주변부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 영역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주변영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동영상과 같은 주 화면은 표시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서, 회사 로고 등과 같은 광고, 채널 정보, 시간 정보, 음량 정보, 또는 자막 등과 같은 보조 화면이 표시될 수는 있다. 즉, 상기 주변영역에는 보조 화면을 표시하는 보조 표시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변영역은 상기 주 표시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주변영역, 우측 주변영역, 상측 주변영역, 및 하측 주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주변영역 중에서 일부 주변영역에는 패드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가 형성되는 영역이다. 도면에는 상기 패드영역이 하측 주변영역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광부(150)는 상부 편광필름(130, 도 3a 참조)의 테두리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주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광부(150)는 상부 편광필름(130, 도 3a 참조)의 편광층을 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상기 차광부(150)가 상부 편광필름(130, 도 3a 참조)의 4방향의 테두리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 좌측 주변영역, 우측 주변영역, 상측 주변영역, 및 하측 주변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영역,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패드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회로 필름(210)과 인쇄회로기판(PCB)(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로 필름(210)은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패드영역에 부착되어 있고, 이와 같은 복수 개의 회로 필름(210)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로 필름(210) 상에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와 같은 칩(chip)이 형성되어 COF(chip on film)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칩(chip)이 형성되어 COG(chip on glass)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회로 필름(210)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쇄회로기판(220) 상에는 타이밍 제어부, 각종 전원 회로, 또는 메모리 소자 등이 실장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회로 필름(210)이 펼쳐진 상태로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회로 필름(210)이 굽어진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영역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단면도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각각은 도 2의 I-I라인의 단면에 해당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패널 구동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기판(110), 하부 기판(120), 상부 편광필름(130), 하부 편광필름(140), 및 차광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는 씰런트(sealant)에 의해 밀봉된 액정층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액정패널인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 기판(110)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기판(120)과 마주하는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는, 서로 교차배열되어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스위칭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화소 영역 각각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 상기 상부 기판(110)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200)가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패널 구동부(20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前面)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다.
결국, 종래와 같이 노출되는 패널 구동부(200)를 가리기 위해서 상기 상부 기판(110)의 상면 상에 별도의 외장 케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 단차가 제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이 하나의 구조물로 인식되는 미적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 상기 패널 구동부(200)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기판(120)은 상기 패널 구동부(200)가 연결되는 패드 영역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패드영역이 구비된 하측 주변영역에서는 상기 상부 기판(110)이 상기 하부 기판(120)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패드영역이 구비된 하측 주변영역 이외의 상측 주변영역에서는 상기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의 끝단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패드영역이 구비된 하측 주변영역 이외의 상측 주변영역에서도 상기 상부 기판(110)이 상기 하부 기판(120)보다 길게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패널 구동부(200),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로필름(210)이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끝단까지 부착됨으로써, 패드 영역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끝단까지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3b 및 도 3c에서 알 수 있듯이, 패널 구동부(200),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로필름(210)이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끝단까지 부착되지는 않음으로써, 패드 영역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끝단까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회로 필름(210)이 1회 굽어진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2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3c에서 알 수 있듯이, 회로 필름(210)이 2회 굽어진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2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부 편광필름(130)은 상부 기판(110)의 상면 상에 형성되며, 편광층(131), 상기 편광층(131) 상면에 형성된 제 1보호층(133), 및 상기 편광층(131) 하면에 형성된 제 2보호층(135)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131)은 폴리비닐알콜(PVA : poly vinyl alcohol)을 포함는 기재필름에 요오드를 배향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2보호층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 Triacetyl Cellulo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편광필름(130)은 테두리 영역,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주변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차광부(150)를 포함한다.
차광부(150)는 편광층(131)을 사전에 설정된 공정조건(온도 및 시간)으로 가열하여 형성한다. 편광층(131)에 포함된 요오드는상기 공정조건에서 특성이 변화하여 색상 및 투과도가 변화하므로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차광부(150)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정조건은 100℃ 에서 30분 이상 가열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오드의 특성 변화로 편광층(131)의 광 투과도를 낮출 수 있는 온도 및 가열시간을 포함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편광필름(130) 상에는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적용되는 리타더 필름(Retarder film)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리타더 필름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리타더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리타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편광필름(140)은 하부 기판(120)의 하면에 형성되며, 일정한 방향의 진동면을 가진 광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광은 흡수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각각은 도 2의 I-I라인의 단면에 해당한다. 이하, 각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지지 부재(300), 백라이트 유닛(400), 및 결합 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기판(110), 하부 기판(120), 상부 편광필름(130), 하부 편광필름(140), 차광부(150), 및 상기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편광필름(130)은 상기 상부 기판(110)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편광필름(140)은 상기 하부 기판(12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편광필름과 하부 편광필름(140)의 조합에 의해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술한 도 3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회로 필름(210)과 인쇄회로기판(PCB)(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패널 구동부(200)도 전술한 도 3a에 도시한 패널 구동부(200)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및 백라이트 유닛(400)을 지지하면서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세트 커버(310),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트 커버(310)는 노트북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면 및 측면 커버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세트 커버(310)는 플레이트(312) 및 상기 플레이트(31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31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면 커버역할을 하고, 상기 측벽(314)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커버 역할을 한다. 상기 측벽(3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측벽(314)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을 구성하게 되어 베젤 폭이 종래 대비 매우 줄어들게 된다. 이때, 상기 측벽(314)의 높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높이와 일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트 커버(310)는 상기 플레이트(312) 및 측벽(314)의 조합에 의해서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게 되고, 이와 같은 수용공간 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가이드 프레임(320), 지지 케이스(330), 및 백라이트 유닛(400)이 수용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은 제1 지지부(322) 및 제1 안내부(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부(32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면, 특히 상기 하부 기판(120)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안내부(324)는 상기 제1 지지부(322)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 케이스(330)와 더불어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한다. 또한, 양면 접착제 등에 의해서, 상기 제1 안내부(324)에 상기 패널 구동부(200)의 인쇄회로기판(PCB)(22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케이스(33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 케이스(330)는 제2 지지부(332) 및 제2 안내부(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지지부(332)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안내부(334)는 상기 제2 지지부(332)에서 연장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지지 케이스(330)는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균일하게 전달하여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에서는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방열기구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케이스(330)를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경우, 백라이트 유닛(4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지지 케이스(330)를 통해 전달되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 케이스(33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전술한 세트 커버(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300)를 구성하는 세트 커버(310),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들 사이의 결합, 즉, 세트 커버(310)와 가이드 프레임(320) 사이의 결합, 세트 커버(310)와 지지 케이스(330) 사이의 결합, 또는 가이드 프레임(320)과 지지 케이스(330) 사이의 결합은 양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홈과 돌출물을 이용한 후크(hook) 결합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볼드와 너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320)과 지지 케이스(330)에 의해서 그 위치가 안내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전체 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전달하는 직하형 방식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일측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도광판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전달하는 에지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직하형 방식 또는 에지형 방식 어느 것이나 적용가능하다. 즉, 도면에는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400)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광원(410), 도광판(420), 광학 시트(430), 및 반사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원(410)은 상기 도광판(42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4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도광판(420)으로 입사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이와 같은 광원(410)으로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형광 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20)은 상기 광원(410)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광 경로 변경을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광판(420)에는 다양한 형태의 홈 또는 돌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 시트(430)는 상기 도광판(420) 위에 형성되어 광을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판(440)은 상기 도광판(420) 아래에 형성되어 도광판(420) 아래로 누설되는 광을 상부쪽으로 반사시켜 광효율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 부재(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지지 부재(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부재(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상부 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결합 부재(500)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편광필름(140)을 상기 결합 부재(500)가 형성되는 영역에는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즉, 상기 결합 부재(500)가 상기 하부 기판(12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의 제1 지지부(322) 사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 부재(500)가 추가됨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지지 부재(300), 백라이트 유닛(400), 및 결합 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기판(110), 하부 기판(120), 상부 편광필름(130), 하부 편광필름(140), 차광부(150), 및 상기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술한 도 3b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회로 필름(210)과 인쇄회로기판(PCB)(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패널 구동부(200)도 전술한 도 3b에 도시한 패널 구동부(200)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300)는 세트 커버(310),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지지 부재(300)는 상기 세트 커버(310)의 구성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a에 도시한 지지 부재(300)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세트 커버(310)는 플레이트(312) 및 상기 플레이트(312)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측벽(3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접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패드영역이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주변영역에는 하부 기판(120)보다 상부 기판(110)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측벽(3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기판(11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물론, 패드영역이 구비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주변영역에는 하부 기판(120)과 상부 기판(110)의 끝단이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측벽(3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기판(12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다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패드영역이 구비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주변영역에서도 하부 기판(120)보다 상부 기판(110)이 연장될 수 있고, 그 경우, 상기 측벽(3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기판(11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 4b에 따른 구조의 경우, 상기 측벽(314)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이 완전히 제거됨으로써 미감이 더욱더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314)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접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만으로 구성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광원(410), 도광판(420), 광학 시트(430), 및 반사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400)은 전술한 도 4a에 도시한 백라이트 유닛(400)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 부재(500)도 전술한 도 4a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c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부(200), 지지 부재(300), 백라이트 유닛(400), 및 결합 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기판(110), 하부 기판(120), 상부 편광필름(130), 하부 편광필름(140), 차광부(150), 및 상기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술한 도 3c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200)는 회로 필름(210)과 인쇄회로기판(PCB)(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패널 구동부(200)도 전술한 도 3c에 도시한 패널 구동부(200)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300)는 세트 커버(310), 가이드 프레임(320), 및 지지 케이스(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지지 부재(300)는 세트 커버(310) 및 가이드 프레임(320)의 구성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a에 도시한 지지 부재(300)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세트 커버(310)는 플레이트(312) 및 측벽(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측벽(31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과 접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320)은 제1 지지부(322)와 제1 안내부(324)에 더하여 제3 지지부(326)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지지부(326)는 상기 패널 구동부(200)의 인쇄회로기판(PCB)(2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 및 결합 부재(500)의 구성은 전술한 도 4a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는 서로 교차배열되어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스위칭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화소 영역 각각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다음,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상부 기판의 하면에 하부 기판을 대향 합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상부 기판(110)과 하부 기판(120) 사이에는 씰런트(sealant)에 의해 밀봉된 액정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 상기 상부 기판(110)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널 구동부(200)가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패널 구동부(20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前面)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다.
결국, 종래와 같이 노출되는 패널 구동부(200)를 가리기 위해서 상기 상부 기판(110)의 상면 상에 별도의 외장 케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감소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 단차가 제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前面)이 하나의 구조물로 인식되는 미적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 상기 패널 구동부(200)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기판(120)은 상기 패널 구동부(200)가 연결되는 패드 영역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패드영역이 구비된 하측 주변영역에서는 상기 상부 기판(110)이 상기 하부 기판(120)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다.
다음, 도 5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상부 기판(110)의 상면 상에 외부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부(150)를 포함하는 상부 편광필름(130)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편광필름(130)은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열처리하여 형성된 차단부, 상기 편광층의 상면에 형성된 제 1보호층, 및 상기 편광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 2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편광필름(130) 상에는 리타더 필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타더 필름은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적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리타더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리타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부(150)는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가열하여 형성되며, 외부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광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표시영역 외곽의 주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편광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편광필름(130)은 편광층(131), 상기 편광층(131) 상면에 형성된 제 1보호층(133), 및 상기 편광층(131) 하면에 형성된 제 2보호층(1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편광필름(130)은 테두리에 형성된 차광부(150)를 포함한다.
편광층(131)은 폴리비닐알콜(PVA : 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기재필름에 요오드를 배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 1보호층 및 제 2보호층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 Triacetyl Cellulose)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차광부(150)는 상기 편광층(131)의 테두리를 따라 사전에 설정된 폭으로 형성되어 빛을 차단한다. 차광부(150)는 상부 편광필름(130)의 테두리부,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주변영역(도 2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광부(150)는 상기 편광층(131)의 테두리를 열처리(바람직하게는 100℃ 이상)하여 요오드가 개질되도록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열처리로 인하여 요오드가 가진 성질이 변화하여 검은색으로 변화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기판(110)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광이 상기 상부 기판(110)을 통해 입사된 후 상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에서 반사됨으로써 화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차광부(150)는 상기와 같이 외부 광이 상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에서 반사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기판(11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의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리타더 필름(137)은 상기 상부 편광필름(13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리타더 필름(137)은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적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리타더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리타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부(150)를 상기 편광층(131)의 테두리에 포함되게 형성하면, 차광부(150)를 위한 별도의 층을 형성하여 차광부(150)를 삽입하는 것에 비하여, 상부 편광필름(13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리트 필름(discrete film)을 부착할 때에 비하여, 부착공차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검은 색 잉크를 사용하여 롤 프린팅(Roll printing)하는 것에 비하여 공정 단순화, 공정시간 단축, 장비 사용 감소, 프린팅된 잉크 틈새에 발생하는 라인성 기포 불량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필름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공정 순서도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우선, 기재필름에 요오드를 염착하고, 요오드가 염착된 상기 기재필름을 연신하여 요오드를 배향하여 편광층을 형성한다(S500).
이를 편광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비닐알콜(PVA : 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을 수세하고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하여 요오드를 염착한다. 요오드가 염착된 기재필름을 연신롤러로 연신하여 염착된 요오드를 배향한다. 요오드가 배향된 기재필름을 건조시킨다.
다음,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열처리하여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형성한다(S510).
상기 차광부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에서 30분 이상 가열하는 공정조건에서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가열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열처리 과정에 의해서 기재필름에 배향된 요오드가 화학반응을 하여 그 성질이 개질되어 검은 색으로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 광을 흡수하여 빛이 반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차광부는 편광층의 테두리에 사전에 설정된 폭으로 형성하는데, 상기 차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차광부의 폭 역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편광층 상에 형성된 가림판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편광층을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림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 표시영역을 가리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판을 편광층에 올려놓고 가열하면 상기 가림판에 의해 가려진 부분은 열처리가 진행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만이 열처리되어 차광부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편광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보호층을 부착하여 편광필름을 형성한다(S520).
상기 보호층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 Triacetyl Cellulos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110: 상부 기판
120: 하부 기판 130: 상부 편광필름
140: 하부 편광필름 150: 차광부
200: 패널 구동부 210: 회로 필름
220: 인쇄회로기판 300: 지지 부재
310: 세트 커버 312: 플레이트
314: 측벽 320: 가이드 프레임
322: 제1 지지부 324: 제1 안내부
326: 제3 지지부 330: 지지 케이스
332: 제2 지지부 334: 제2 안내부
400: 백라이트 유닛 410: 광원
420: 도광판 430: 광학시트
440: 반사판 500: 결합 부재

Claims (10)

  1. 요오드가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VA: poly vinyl alcohol)로 형성된 편광층;
    상기 편광층과 동일층에서,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따라 사전에 설정된 폭으로 형성되어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상기 편광층의 상면에 형성된 제 1보호층 및 상기 편광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 2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열처리하여 요오드가 개질되도록 하여 형성된, 편광필름.
  3. 기재필름에 요오드를 염착하고, 요오드가 염착된 상기 기재필름을 연신하여 요오드를 배향하여 편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열처리하여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상기 편광층과 동일층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100℃ 이상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편광필름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편광층 상에 형성된 가림판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편광층을 열처리하여 형성하는, 편광필름 제조방법.
  6. 주 표시영역 및 상기 주 표시영역 외곽의 주변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편광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판의 하면 상에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편광필름은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테두리를 열처리하여 상기 편광층과 동일층에 형성된 차광부, 상기 편광층의 상면에 형성된 제 1보호층, 및 상기 편광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 2보호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변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요오드를 배향하여 형성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편광층의 요오드를 사전에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폴리비닐알콜(PVA: 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기재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2보호층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se)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편광필름 상에 형성된 리타더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타더 필름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리타더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1 리타더 패턴 사이마다 형성된 복수의 제 2리타더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39410A 2012-04-16 2012-04-16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85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410A KR101885109B1 (ko) 2012-04-16 2012-04-16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410A KR101885109B1 (ko) 2012-04-16 2012-04-16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48A KR20130116748A (ko) 2013-10-24
KR101885109B1 true KR101885109B1 (ko) 2018-08-03

Family

ID=4963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410A KR101885109B1 (ko) 2012-04-16 2012-04-16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1505B2 (en) 2019-04-01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for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400B1 (ko) 2014-09-02 2021-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17401B (zh) 2015-10-20 2021-02-01 南韓商東友精細化工有限公司 整合有偏光板之窗口基板、及製備該窗口基板之方法
KR102031220B1 (ko) * 2015-11-17 2019-10-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윈도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7726B1 (ko) * 2016-04-12 2019-04-10 (주)넥스디스플레이 편광시트를 이용하여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7062A (ja) * 2005-06-27 2008-12-25 住友化学株式会社 二色性ゲスト−ホスト偏光子
JP2012027259A (ja) * 2010-07-23 2012-02-09 Jx Nippon Oil & Energy Corp 偏光解消フィルム及び偏光解消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1913A (ja) * 1993-11-30 1995-06-16 Sharp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
JP3187306B2 (ja) * 1995-10-31 2001-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透過型液晶表示装置
KR20080088935A (ko) * 2007-03-30 2008-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7062A (ja) * 2005-06-27 2008-12-25 住友化学株式会社 二色性ゲスト−ホスト偏光子
JP2012027259A (ja) * 2010-07-23 2012-02-09 Jx Nippon Oil & Energy Corp 偏光解消フィルム及び偏光解消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1505B2 (en) 2019-04-01 2023-02-14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for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48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8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00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72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87573B1 (ko) 액정표시장치
US904670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429988B (zh) 液晶顯示裝置
KR1024291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85109B1 (ko) 편광필름, 편광필름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55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1165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28693A (ko) 액정표시장치
KR101936347B1 (ko) 액정표시장치
TWI547733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966863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584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643633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面板的制程方法
KR102211702B1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350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35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2347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060059A (ko) 접착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7802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269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35113A (ko) 액정 표시장치
KR201700373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