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218A - 소재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218A
KR20170006218A KR1020150096810A KR20150096810A KR20170006218A KR 20170006218 A KR20170006218 A KR 20170006218A KR 1020150096810 A KR1020150096810 A KR 1020150096810A KR 20150096810 A KR20150096810 A KR 20150096810A KR 20170006218 A KR20170006218 A KR 2017000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pron
roll
transport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687B1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9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6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롤들; 상기 이송롤들 사이에 위치되는 에이프런부; 및 상기 에이프런부의 적어도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송롤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롤들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소재 가이드 장치는 소재의 선단부가 휘어진 상태이더라도 소재를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유도한다.

Description

소재 가이드 장치{APPARATUS FOR GUIDING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휘어진 소재의 선단부가 이송롤들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기에서 압연된 후판은 이송롤들에 의해 이송되어 교정 공정을 거치게 된다. 교정 공정을 통해 후판은 일정한 평탄도를 갖게 된다.
이송롤들과 열간 교정기 사이에는 에이프런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에이프런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송롤들에 의해 이송되는 후판은 에이프런을 지나 열간 교정기로 이송된다.
한편, 열간 교정되기 위한 후판은 가열된 상태로 이송롤들에 의해 열간 교정기로 유도된다. 이때, 후판의 선단부는 가열된 상태이기에 하측으로 휘어지기도 한다. 또한, 에이프런과 이송롤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가열에 의해 하측으로 휘어진 후판의 선단부는 에이프런과 이송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에이프런은 후판을 유도하기 위하여 이송롤들 사이, 및 이송롤과 열간 교정기 사이에 위치되지만, 하측으로 휘어진 후판의 선단부가 에이프런과 이송롤 사이 또는 에이프런과 열간 교정기 사이에 삽입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이때, 하측으로 휘어져 삽입된 후판으로 인해 압연 공정이 중단되고, 삽입된 후판은 절단되어야 한다. 즉, 후판은 원활하게 열간 교정기에 유도되지 않아, 압연 공정에 따른 후판의 생산성 및 품질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5266호(공개일: 2013년 11월 18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8298호(공개일: 2004년 10월 16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9987호(공개일: 2009년 2월 26일)
본 발명은 소재의 선단부가 휘어진 상태이더라도 소재를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송롤들; 상기 이송롤들 사이에 위치되는 에이프런부; 및 상기 에이프런부의 적어도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송롤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롤들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에이프런부의 선단부 및 후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에이프런부에 인접한 이송롤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에이프런부는, 상기 이송롤들 사이에 위치되어 적어도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이송롤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부; 및 상기 아이들 롤러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롤러 가이드부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롤러 가이드부의 양종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에이프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이송롤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이송롤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롤의 외주면의 곡률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송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소재 가이드 장치는 이송롤들 사이에 선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소재를 유도하여, 소재의 삽입에 따른 이송 중단 및 추후 공정의 지연을 방지하고 생산성 저하 및 소재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재 가이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재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소재가 유도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재 가이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재 가이드 장치(10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재 가이드 장치(100)를 이용하여 소재(S)가 유도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재 가이드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가이드 장치(100)는 에이프런부(101) 및 가이드부(102)를 포함하여, 이송롤(10)들 사이에 위치되어, 이송롤(10)들에 의해 압연롤(20)을 향하여 이송되다가 이송롤(10)들 사이, 및 이송롤(10)과 압연롤(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소재(S)를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재 가이드 장치(100)가 이송롤(10)들 사이에서 2개씩 압연롤(20)의 전측 및 후측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송롤(10)들 사이에서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압연롤(20) 이외의 설비에 대하여 소재(S)를 이송시키는 이송롤(10)들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소재(S)는 슬래브, 강판, 후판 등과 같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에이프런부(101)는 이송롤(10)들 사이에 위치되어, 이송롤(10)들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이때, 에이프런부(101)는 이송롤(10)들 사이를 폐쇄한다. 또한, 에이프런부(101)는 베이스부(111), 아이들 롤러부(113), 롤러 가이드부(115)들, 및 수직 이동부(11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송롤(10)들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베이스부(111)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후술될 가이드부(102)가 연결된다. 여기서, 베이스부(111)의 선단부는 소재(S)가 빠져나가는 부분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11)의 단부이고, 베이스부(111)의 후단부는 선단부의 반대측에 위치된 단부이다.
아이들 롤러부(113)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부(111) 상에서 이송롤(10)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때, 아이들 롤러부(113)은 베이스부(111) 상에 위치되고 이송롤(10)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기 위하여, 이송롤(10)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롤러 가이드부(115)들은 아이들 롤러부(113)의 양종단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아이들 롤러부(113)는 아이들 롤러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롤러 가이드부(115)의 상면은 아이들 롤러부(113)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소재(S)가 하나의 이송롤(10)로부터 다른 하나의 이송롤(10)로 이송될 때, 소재(S)는 아이들 롤러부(113)에 접촉된 상태로 이송되고, 아이들 롤러부(113)는 소재(S)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소재(S)는 에이프런부(101) 상에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에이프런부(101)와의 마찰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롤러 가이드부(115)의 양종단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수직 이동부(117)는 베이스부(1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1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수직 이동부(117)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송롤(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이프런부(101)의 선단부 및 후단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에이프런부(101)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에이프런부(101)의 선단부 및 후단부는 동일한 높이를 이룬다. 도 4에서 에이프런부(101)의 선단부 및 후단부는 우측 및 좌측을 나타낸다.
또한, 소재(S)가 도 4(a)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도되고 소재(S)의 선단부가 하측으로 휘어질 때, 수직 이동부(117)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프런부(101)의 선단부를 상승시킨다. 이로 인해, 소재(S)는 선단부가 에이프런부(101) 또는 이송롤(10)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소재(S)가 반대방향으로 유도되는 경우, 수직 이동부(117)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프런부(101)의 후단부를 상승시켜, 소재(S)가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한다. 즉, 수직 이동부(117)는 소재(S)의 이송방향에 상관없이 선단부가 하측으로 휘어진 소재(S)를 원활하게 유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직 이동부(117)의 작동은 센서(30)에 의해 소재 가이드 장치(100)에 유도되는 소재(S)의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에이프런부(101)의 기울기 변경이 이루어지더라도, 롤러 가이드부(115)의 종단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기에, 롤러 가이드부(115)는 이송롤(10)과의 접촉없이 이송롤(10)과 에이프런부(101)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02)들은 에이프런부(101), 특히 베이스부(111)의 선단부 및 후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에이프런부(111)에 인접한 이송롤(10)에 결합된다. 즉, 가이드부(102)들은 에이프런부(101)와 이송롤(10)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여 소재(S)의 삽입을 방지한다. 이때, 가이드부(102)는 에이프런부(101), 특히 베이스부(111)의 선단부 및 후단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102)들의 형상은 이송롤(10)의 외주면의 곡률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부(102)들이 이송롤(10)에 결합될 때, 가이드부(102)의 하면은 이송롤(1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이다.
한편, 이송롤(10)의 외주면 상에서 이송롤(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이 형성되기도 한다. 가이드홈(11)은 가이드부(102)가 삽입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가이드부(102)는 가이드홈(11)에 삽입되어, 이송롤(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이송롤(10)과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부(102)의 상면은 이송롤(10)의 외주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부(102)는 이송롤(10)의 외주면 상에서 돌출되어 소재(S)와의 접촉으로 인해 소재(S)의 이송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홈(11)이 형성된 이송롤(10)은 이송롤(10)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별도로 추가되는 롤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소재 가이드 장치(100)는 이송롤(10)들 사이에 소재(S)의 휘어진 선단부가 삽입되어 소재(S)의 이송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롤(10)로 인한 선단부가 하측으로 휘어진 소재(S)의 이송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소재 가이드 장치(100)는 소재(S)의 처리 작업 및 이에 따른 이송 중단을 방지하여, 추후 공정의 생산성 저하 및 소재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소재 가이드 장치
10: 이송롤
11: 가이드홈
101: 에이프런부
111: 베이스부
113: 아이들 롤러부
115: 롤러 가이드부
117: 수직 이동부
102: 가이드부

Claims (6)

  1. 이송롤들;
    상기 이송롤들 사이에 위치되는 에이프런부; 및
    상기 에이프런부의 적어도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이송롤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롤들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에이프런부의 선단부 및 후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에이프런부에 인접한 이송롤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부는,
    상기 이송롤들 사이에 위치되어 적어도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이송롤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롤러부; 및
    상기 아이들 롤러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롤러 가이드부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부의 양종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이송롤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롤의 외주면의 곡률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송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가이드 장치.
KR1020150096810A 2015-07-07 2015-07-07 소재 가이드 장치 KR10170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810A KR101705687B1 (ko) 2015-07-07 2015-07-07 소재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810A KR101705687B1 (ko) 2015-07-07 2015-07-07 소재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18A true KR20170006218A (ko) 2017-01-17
KR101705687B1 KR101705687B1 (ko) 2017-02-10

Family

ID=5799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810A KR101705687B1 (ko) 2015-07-07 2015-07-07 소재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517B1 (ko) * 2018-09-06 2019-01-23 한상훈 롤러 가공 공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298A (ko) 2003-04-09 2004-10-16 주식회사 포스코 테이블롤러 에이프런에서의 이송스트립 부상장치
KR20050048780A (ko) * 2003-11-20 2005-05-2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강판 가이드장치
KR20090019987A (ko)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포스코 벤딩 슬라브 안내장치
KR20130125266A (ko)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에이프런 장치
KR101431138B1 (ko) * 2013-07-16 2014-08-19 김영일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용 성형롤러
KR20150074909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에이프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298A (ko) 2003-04-09 2004-10-16 주식회사 포스코 테이블롤러 에이프런에서의 이송스트립 부상장치
KR20050048780A (ko) * 2003-11-20 2005-05-2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강판 가이드장치
KR20090019987A (ko) 2007-08-22 2009-02-26 주식회사 포스코 벤딩 슬라브 안내장치
KR20130125266A (ko)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에이프런 장치
KR101431138B1 (ko) * 2013-07-16 2014-08-19 김영일 로터리 다이 커팅장치용 성형롤러
KR20150074909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에이프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517B1 (ko) * 2018-09-06 2019-01-23 한상훈 롤러 가공 공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687B1 (ko)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3617A (ko)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657047B1 (ko) 스트립 절단장치
KR101705687B1 (ko) 소재 가이드 장치
JP2016108064A (ja) 印刷装置
JP6588842B2 (ja) 長尺物用コンベア装置
KR20170011083A (ko) 소재 가이드 장치
KR101320119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101585800B1 (ko) 이송 테이블의 이송 속도 제어 장치
JP2018070289A5 (ko)
KR20130002439A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JP4980742B2 (ja) 棒材用搬送装置
KR101643921B1 (ko) 소재 터닝이 가능한 사이드가이드 장치
KR20170021504A (ko) 피드롤러유닛
KR101609152B1 (ko) 소재 추출 장치 및 방법
JPH07246401A (ja) フランジを有する形材の圧延装置列
KR101429441B1 (ko) 원단 이송용 편향보정장치
KR20170000225A (ko) 소재 터닝 장치
JP2012196688A (ja) 鋼板剪断設備における鋼板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KR101746966B1 (ko) 스트립 유도장치
JPS5870923A (ja) 連続製造材の矯正方法
KR20130057076A (ko) 에이프론장치
KR101665466B1 (ko) 날판 유도 장치
KR101310830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20020043032A (ko) 소재 이송용 롤러테이블
JP2023161827A (ja) 金属ストリップのセンタ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