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945A -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945A
KR20170004945A KR1020160184443A KR20160184443A KR20170004945A KR 20170004945 A KR20170004945 A KR 20170004945A KR 1020160184443 A KR1020160184443 A KR 1020160184443A KR 20160184443 A KR20160184443 A KR 20160184443A KR 20170004945 A KR20170004945 A KR 20170004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razin
alkyl
difluoro
phenyl
methylimidaz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김광록
김욱일
방형태
윤지혜
임환정
허정녕
Original Assignee
에스티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04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이들의 토토머, 이들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탄키라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Novel imidazotriazinone or imidazopyrazino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이들의 토토머, 이들의 입체이성질체 또는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탄키라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 탄키라제(tankyrase)는 촉매적 PARP 도메인(catalytic PARP domain)을 공유하는 17개 멤버로 구성되는 폴리(ADP-리보오스) 중합효소(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단백질 패밀리에 속한다. PARP는 진핵생물에 존재하는, DNA-결합 단백질과 다른 기질 단백질의 폴리(ADP-리보실화)(poly(ADP-ribosylation); PARsylation)을 유발하는, 세포 신호전달 효소 패밀리를 구성한다. PARP는 또한 폴리(ADP-리보오스) 합성효소 또는 폴리(ADP-리보오스) 전이효소(poly(ADP-ribose) transferase; pART)로도 알려져 있다. 일부 PARP는 또한 단일 ADP-리보실-모이어티를 전달한다. 예컨대, 이들 효소는 DNA 손상에 대한 즉각적인 세포 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리방사선(ionizing radiation), 산화 스트레스 및 DNA-결합 항-종양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PARP는 표적 단백질의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타민산 잔기의 카르복실레이트기에 ADP-리보오스 단위를 첨가한다. 상기 폴리(ADP-리보실화)는 ADP-리보오스 단위의 중합체가 가지결합된 복합체의 부착을 통해 수용체 단백질(acceptor protein)의 불활성화를 유발하는 번역후 수식 과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이다. ADP 리보실화는 NAD로부터 표적 단백질의 특정 아미노산 측쇄로 ADP-리보오스 모이어티를 전달하는 번역후 단백질 수식 과정이다(Schreiber et al., 2006, Nature Reviews Cell Biology, 7: 517-528).
PARP 패밀리 단백질은 잠재적인 치료 표적이다. PARP1 및 PARP2는 DNA 손상 반응에서 작용하며, PARP 억제제는 약물 및 방사선 치료에 대해 암세포를 민감하게 한다. 또한, PARP1은 염증, 신경세포사멸 및 허혈을 포함하는 질환에도 관여한다. PARP1과 높은 서열유사성을 공유하는 탄키라제(TNKS1 및 TNKS2) 역시 치료 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초기에 탄키라제는 텔로머라아제(telomerase) 활성에 대한 조절자로 알려졌으며, DNA 손상 반응 및 Wnt 신호전달에 관여한다(Wahlbert et al., 2012, Nat. Biotechnol., 30(3): 283-288).
상기 탄키라제 단백질 패밀리는 85% 아미노산 동일성(identity)을 공유하는 탄키라제 1(tankyrase 1; TNKS1) 및 탄키라제 2(tankyrase 2; TNKS2)로 구성된다. 마우스 탄키라제 1 및/또는 탄키라제 2 결여된 유전자 조작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2종의 탄키라제의 생물학적 기능을 연구하였다. 탄키라제 2 결핍 마우스는 정상적으로 발달하였으며, 텔로미어 길이에서의 변화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글루코스 또는 지방 대사에서 탄키라제 2의 역할을 반영하는 전체 체중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탄키라제 1 결핍 마우스에서도 텔로미어 길이 유지에서 결함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탄키라제 1과 탄키라제 2 모두가 결여된 이중-녹아웃 마우스에서 10 배아일에 배아치사가 관찰되었다(Chiang et al., 2008, PLoS One, 3(7): e2639).
Wnt/β-카테닌 경로의 주된 특징은 β-카테닌 파괴 복합체(β-catenin destruction complex)에 의한 하류 이펙터 β-카테닌의 조절된 단백질가수분해(proteolysis)이다. β-카테닌 파괴 복합체의 주된 구성요소는 선종성결장폴립증(adenomatous polyposis coli; APC), 액신(Axin) 및 GSK3α/β이다. Wnt 경로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세포질 β-카테닌은 분해를 위해 구성적으로 인산화되고 표적화된다. Wnt 자극시, β-카테닌 파괴 복합체는 분리되어 핵내 β-카테닌의 축적 및 Wnt 경로 반응성 유전자의 전사를 유발한다.
상기 Wnt/β-카테닌 경로에 있어서, 탄키라제 억제제는 액신을 안정화 함으로써 β-카테닌 분해를 자극하여 β-카테닌에 의해 매개되는 전사를 선택적으로 억제함이 확인되었다(Huang et al., 2009, Nature, 461(7264): 614-620).
Wnt 단백질의 과발현 또는 β-카테닌 파괴 복합체의 성분에 영향을 주는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따라서 β-카테닌의 안정화를 유발하는, 상기 경로의 부적절한 활성화가 많은 암질환 예컨대, 결장암(colon cancer), 위암(gastric cancer),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유방암(breast cancer),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 흑색종(melanoma),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췌장선암(pancreas adenocarcinoma) 및 전립선암(prostate cancer)에서 관찰되었다(Waaler et al., 2012, Cancer Res., 72(11): 2822-2832). 특히, 종양억제자 APC 절단형 돌연변이가 대장암(colorectal carcinoma)에서 나타나는 가장 주된 유전적 변화이다(Miyaki et al., 1994, Cancer Res., 54: 3011-3020). 또한 액신1 및 액신2 돌연변이가 각각 간암(hepatocarcinoma) 및 대장암을 가진 환자에서 확인되었다(Taniguchi et al., 2002, Oncogene, 21: 4863-4871; Liu et al., 2000, Nat. Genet., 26: 146-147). 이와같은 체세포 돌연변이는 β-카테닌의 Wnt-독립적 안정화 및 β-카테닌-매개된 전사의 구성적 활성화를 유도한다. 또한, 탈조절된(deregulate) Wnt 경로 활성은 골다공증, 골관절염, 다낭성신종(polycystic kidney disease), 폐섬유증, 당뇨병,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혈관질환(vascular disease), 심장질환(cardiac disease), 비종양성 증식성 질환(non-oncogenic proliferative disease) 및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등을 포함하는 상기 암질환 이외에 다른 질환에도 관여한다.
Wnt 신호전달경로의 조절장애를 겨냥하거나 이를 바로잡을 수 있는 치료법은 골밀도결함(bone density defects), 관상동맥질환(coronary disease), 후발성 알츠하이머병(late onset Alzheimer's disease), 가족성 삼출 유리체망막증(familial exudative vitreoretinopathy), 망막혈관형성(retinal angiogenesis), 사무지증(tetramelia), 뮐러관 퇴행 및 남성화(Mullerian-duct regression and virilization), SERKAL 증후군,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퍼만 증후군(Fuhrmann syndrome), 골격 이형성증(skeletal dysplasia), 국소 진피 형성저하증(focal dennal hypoplasia) 및 신경관 결손(neural tube defects)과 같은 조건에 연관된다. 상기 도입부가 암에서 Wnt 신호전달의 관련성에 집중하고 있으나, Wnt 신호전달경로는, 상기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광범위한 인간 질환에 있어서 근본적인 중요성을 가지며 잠재적 영향을 갖는다.
한편, 최근 세포 내 액신 수준이 폴리(ADP-리보오스) 폴리머라제 효소 패밀리 구성원인 탄키라제-1(tankyrase-l) 및 탄키라제-2(또한 PARP5a 및 PARP5b로도 알려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보고되었다(Nature Chemical Biology, 2009, 5: 100; Nature, 2009, 461: 614). 탄키라제 효소는 액신을 폴리-ADP 라이보오스화할 수 있으므로, 이어지는 유비퀴틴화 및 프로테오좀 분해에 대해 상기 단백질을 표시한다. 따라서, 탄키라제 촉매 활성에 대한 억제제 존재시, 액신 단백질 농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파괴 복합체의 농도가 더 높아지고 인산화되지 않은 세포 내 베타-카테닌이 감소하며 Wnt 신호전달이 감소할 것이다. 탄키라제-1 및 -2의 억제제는 탄키라제 단백질의 다른 생물학적 기능(예컨대, 염색체 말단 보호 텔로미어, 인슐린 반응성 및 유사분열시 방추 조립)에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Chang et al., 2005, Biochem . J., 391: 177-184; Chi et al., 2000, J. Biol . Chem ., 275: 38437-38444; Bae et al., 2003, J. Biol. Chem., 278: 5195-5204).
본 발명의 목적은 암 및 과증식성 조건에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고, Wnt 활성을 조절하는 탄키라제 효소는 PARP 패밀리의 구성원이므로, 이들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신규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목적은 상기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이의 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중추신경계 손상(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및 염증성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탄키라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에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C1-6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또는 C1-6 디히드록시알킬;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R4 또는 CO;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02
는 X 및 Y에 따라 결정되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l은 0, 1 또는 2;
R2는 부재, 수소, 히드록시, 시아노 또는 C1-6 알킬;
R3
Figure pat00003
,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 알킬,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C1-3 알킬;
R4는 부재, 수소, 히드록시, C1-6 알킬 또는 아민;
m은 0, 1, 2 또는 3;
n은 0, 1, 2, 3, 4 또는 5;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C1-6 알킬, C2-6 알케닐,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디히드록시알킬, 비치환 또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6 할로알킬, C3-7 사이클로알킬, C1-6 알킬옥소, 시아노, 니트로, 카르복시, C1-6 알콕시카보닐 또는 -Z-(CH2)p-R6;
p는 0, 1, 2, 3, 4, 5 또는 6;
Z는 -O-, -S(O)q-, -NR7-, -CONR7-, -CHR7- 또는 부재;
q는 0, 1 또는 2;
R6은 수소, 시아노, 히드록시, 아지도,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5-10 아릴, 카르복시, C1-6 디히드록시알킬, C1-6 알킬, 비치환된 또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6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S(O)r-R8, -O-(C=O)-R8, -(C=O)-R8, -OR8, -COOR8, -NR9R10 또는 -(C=O)NR9R10;
r은 0, 1 또는 2;
R7은 수소, C1-6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
R8은 수소, C1-6 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아미노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C1-6 알킬옥소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 알킬, C1-6 알콕시,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콕시-C1-3 알킬 또는 -(SO2)-C1-3 알킬;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히드록시, 옥소, C1-6 히드록시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할로알킬, 할로, 시아노, 피라지닐, 히드록시, 옥소, 니트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6 알킬설포닐로 치환될 수 있다.
다른 한 가지 양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이의 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탄키라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는 탄키라제 1 및/또는 탄키라제 2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탄키라제의 과발현 또는 과도한 활성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식 중에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C1-6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또는 C1-6 디히드록시알킬;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R4 또는 CO;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05
는 X 및 Y에 따라 결정되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l은 0, 1 또는 2;
R2는 부재, 수소, 히드록시, 시아노 또는 C1-6 알킬;
R3
Figure pat00006
,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 알킬,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C1-3 알킬;
R4는 부재, 수소, 히드록시, C1-6 알킬 또는 아민;
m은 0, 1, 2 또는 3;
n은 0, 1, 2, 3, 4 또는 5;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C1-6 알킬, C2-6 알케닐,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디히드록시알킬, 비치환 또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6 할로알킬, C3-7 사이클로알킬, C1-6 알킬옥소, 시아노, 니트로, 카르복시, C1-6 알콕시카보닐 또는 -Z-(CH2)p-R6;
p는 0, 1, 2, 3, 4, 5 또는 6;
Z는 -O-, -S(O)q-, -NR7-, -CONR7-, -CHR7- 또는 부재;
q는 0, 1 또는 2;
R6은 수소, 시아노, 히드록시, 아지도,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5-10 아릴, 카르복시, C1-6 디히드록시알킬, C1-6 알킬, 비치환된 또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6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S(O)r-R8, -O-(C=O)-R8, -(C=O)-R8, -OR8, -COOR8, -NR9R10 또는 -(C=O)NR9R10;
r은 0, 1 또는 2;
R7은 수소, C1-6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
R8은 수소, C1-6 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아미노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C1-6 알킬옥소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 알킬, C1-6 알콕시,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콕시-C1-3 알킬 또는 -(SO2)-C1-3 알킬;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히드록시, 옥소, C1-6 히드록시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할로알킬, 할로, 시아노, 피라지닐, 히드록시, 옥소, 니트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6 알킬설포닐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C1-6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또는 C1-6 디히드록시알킬;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CH2;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07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및
l은 1 또는 2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또는 C1-6 알킬;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CH2;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08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l은 1 또는 2;
R2는 부재, 수소 또는 히드록시;
R3
Figure pat00009
또는 헤테로아릴;
R4는 부재 또는 수소;
m은 0;
n은 1, 2 또는 3;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C2-6 알케닐,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디히드록시알킬 또는 -Z-(CH2)p-R6;
p는 0, 1, 2, 3, 또는 5;
Z는 -O-, -NR7- 또는 부재;
R6은 시아노, 히드록시, 아지도,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5-10 아릴, 카르복시, C1-6 디히드록시알킬, 비치환된 또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6 할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S(O)r-R8, -O-(C=O)-R8, -(C=O)-R8, -NR9R10 또는 -(C=O)NR9R10;
r은 2;
R7은 수소;
R8은 수소, C1-6 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아미노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 알킬, C1-3 알콕시-C1-3 알킬 또는 -(SO2)-C1-3 알킬;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히드록시, 아미노, 옥소, C1-6 히드록시알킬 또는 할로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또는 메틸;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CH2;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10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l은 1 또는 2;
R2는 부재, 수소 또는 히드록시;
R3
Figure pat00011
또는 헤테로아릴;
R4는 부재 또는 수소;
m은 0;
n은 1, 2 또는 3;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비닐, 이소프로폭시, 메톡시에틸, 메톡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1,2-디히드록시에틸, 2,3-디히드록시프로필 또는 -Z-(CH2)p-R6;
p는 0, 1, 2, 3, 또는 5;
Z는 -O-, -NR7- 또는 부재;
R6은 시아노, 히드록시, 아지도, 메톡시, 에톡시, 메톡시에틸, C5-10 아릴, 카르복시, 1,2-디히드록시에틸, 1-클로로-3-히드록시이소프로필, 퍼플루오로메틸,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S(O)r-R8, -O-(C=O)-R8, -(C=O)-R8, -NR9R10 또는 -(C=O)NR9R10;
r은 2;
R7은 수소;
R8은 수소, 메틸, 아미노, 메틸아미노 또는 아미노에틸;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또는 메톡시에틸;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메틸, 플루오로, 히드록시, 아미노 또는 옥소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메틸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
상기 헤테로아릴은 테트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딜, 트리아지닐, 피롤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피라지닐, 퓨릴, 티에닐,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다졸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벤조퓨라닐,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또는 아자인돌릴;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디하이드로퓨라닐, 디하이드로피라닐, 디옥사닐, 디티아닐, 디옥솔라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롤리닐, 옥세타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닐, 티오몰포리닐, 디옥소티오몰포리닐, 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디옥소티올라닐, 옥소피페리디닐, 옥소피롤리디닐 또는 옥소옥사졸리디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릴은 페닐
상기 헤테로아릴은 테트라졸릴 또는 이미다졸릴;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옥세타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또는 몰포리닐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옥세타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닐, 4-메틸피페라지닐, 4-메틸-2-옥소피페라지닐, 3-히드록시피롤리디닐, 2-히드록시메틸피롤리디닐, N-메틸피롤리디닐, 4-히드록시피페리디닐, 4-히드록시-4-메틸피페리디닐, 4-아미노피페리디닐, 2-옥소피페리디닐, 2,6-디메틸피페리디닐 또는 4,4-디플루오로피페리디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 2-(4-(2-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 2-(4-(4-(벤질옥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4) 2-(4-(2,6-디플루오로-4-(2-몰포리노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5) 2-(4-(2,6-디플루오로-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6) 2-(4-(4-(2-(디메틸아미노)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7) 2-(4-(2,6-디플루오로-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8) (S)-2-(3,5-디플루오로-4-(4-(7-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2-일)피페라진-1-일)페녹시)에틸 2-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9) 2-(4-(4-(2,3-디히드록시프로폭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0) 2-(4-(2,6-디플루오로-4-(몰포리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1) 2-(4-(2,6-디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2) 2-(4-(2,6-디플루오로-4-(옥세탄-3-일옥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3) 2-(4-(2,6-디플루오로-4-(1-히드록시에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4) 2-(4-(2,6-디플루오로-4-(1-메톡시에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5) 2-(4-(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6) 2-(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7)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8)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틸아미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9)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0) 2-(4-(4-(1,2-디하이드록시에틸)-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1) 2-(4-(4-(2,3-디하이드록시프로필)-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2) 2-(4-(1H-테트라졸-5-일)피페리딘-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3) 7-메틸-2-(4-(2-메틸-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1-일)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4) 2-(4-(2,6-디플루오로-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5) 2-(4-(2,6-디플루오로-4-(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6) 2-(4-(2,6-디플루오로-4-(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7) 2-(4-(4-(비스(2-메톡시에틸)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8) 2-(4-(2,6-디플루오로-4-(2-옥소-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9) 2-(4-(2,6-디플루오로-4-(2-옥소-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0) 2-(4-(2,6-디플루오로-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1,4-디아제판-1-일)-7-메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31) 2-(4-(4-(2-아지도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2) 2-(4-(4-(2-아미노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3) 2-(4-(2,6-디플루오로-4-(2-(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4) 2-(4-(4-(2-(4-아미노피페리딘-1-일)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5) 2-(4-(2,6-디플루오로-4-(2-(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6) 2-(4-(2,6-디플루오로-4-(2-(4-히드록시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7) 6-(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38) 6-(4-(2,6-디플루오로-4-(2-몰포리노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39) 6-(4-(2,6-디플루오로-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0) 6-(4-(4-(2-(디메틸아미노)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1) 6-(4-(2,6-디플루오로-4-(몰포리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2) 6-(4-(2,6-디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3) 6-(4-(2,6-디플루오로-4-(옥세탄-3-일옥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4) 6-(4-(2,6-디플루오로-4-(1-메톡시에틸)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5) 6-(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6) 6-(4-(2,6-디플루오로-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7) 6-(4-(2,6-디플루오로-4-(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또는
48) 6-(4-(2,6-디플루오로-4-(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일련의 반응에 의해 출발물질로서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로부터 중심 모핵이되는 중간체인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를 합성하고, 반응성 클로라이드기를 통한 치환반응에 의해 추가적인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반응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일 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거나 적절히 변경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at00012
먼저,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를 디벤질아민과 반응시켜 아미노피루베이트 유도체(2)를 형성한 후, 아미노구아니딘 바이카보네이트(IUPAC 명; 히드라진카복시미드아미드 바이카보네이트) 또는 2-아미노아세트이미드아미드 바이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각각 트리아지논 고리(2)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수소용해성 제거반응을 통해 상기 생성물로부터 수소첨가에 의한 벤질기 제거반응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생성물은 염산염의 형태로 형성되었다(3). 나아가, 활성 에스테르 화합물과의 반응을 통해 상기 생성물을 아미드화하였다(4).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에스테르 화합물은 C1-7 무수 알칸산(alkanoic anhydride), C2-7 무수 히드록시알칸산, C2-7 무수 디히드록시알칸산, 무수 1,1-디옥소티안-4-카르복시산 또는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피란-4-카르복시산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에스테르 화합물은 C1-7 무수 알칸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생성물은 POCl3에 의한 고리화 반응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핵이 되는 이미다조트리아지논(5)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성물들은 트리아지논 고리 상에 치환된 아미노기를 포함하며, 이들 생성물을 tert-부틸 니트라이트(tert-butyl nitrite; TBN) 존재 하에 염소함유 화합물과 반응시켜 상기 아미노기를 반응성이 높은 클로라이드로 치환할 수 있다. 상기 클로라이드로의 치환반응은 TBN 존재 하에 디클로로메탄을 용매로 하여 피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거나, 1,2-디클로로에탄을 용매로 하여 안티모니 트리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TBN 존재 하에 1,2-디클로로에탄을 용매로 하여 안티모니 트리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수율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클로라이드로 치환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6)에 아민화 반응을 추가로 수행하여 본 발명의 표제 화합물인 이미다조트리아지논 유도체(7)를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민화는 중간체 화합물(6)을 이소프로판올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콜 용매에서 원하는 표제 화합물에 적합한 치환기를 포함하는 아민 화합물 및 DIPEA와 150℃에서 0.5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일련의 반응에 의해 출발물질로서 2,6-디클로로피라진으로부터 중심 모핵이되는 중간체인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를 합성하고, 반응성 클로라이드기를 통한 치환반응에 의해 추가적인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반응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일 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거나 적절히 변경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핵이 되는 중간체(6')를 합성한 후, 당업계에 공지된 하나 이상의 반응을 추가로 수행하여 클로로기를 대신하여 치환기를 도입한다.
예컨대, 상기 클로로기 대신에 도입된 치환기가 아민기인 경우 하기 반응식에 따라 아민화에 이은 탈보호화 반응을 수행하여 상기 중간체 화합물(7')로부터 본 발명의 표제 화합물인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화합물(8')을 수득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바람직하게, 상기 아민화는 상기 중간체를 디옥산 또는 톨루엔 용매에서 원하는 표제 화합물에 적합한 치환기를 포함하는 아민 화합물과의 Buchwald 반응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응은 110℃에서 12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보호화는 10% Pd/C 촉매 하에 메탄올 용매에서 반응시켜 벤질기를 제거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탄키라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탄키라제 1, 탄키라제 2 또는 둘 모두의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중추신경계 손상(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은 머리, 목, 눈, 입, 인후, 식도, 기관지, 후두, 인두, 흉부, 골, 폐, 결장, 직장, 위, 전립선, 방광, 자궁, 자궁경부, 유방, 난소, 고환, 이외의 생식기관, 피부, 갑상선, 혈액, 림프절, 신장, 간, 췌장, 뇌, 중추신경계, 고형종양 또는 혈액전염성 종양 등의 암질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하여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탄키라제 관련 질환은 결장암 및 직장암을 포함하는 대장암, 유방암, 폐암 또는 혈액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가염이 유용하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상기 화합물의 임의의 모든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요오드화수소산(hydroiod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롬화물,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 등이 있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의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화합물과 동등한 탄키라제 1 및/또는 탄키라제 2에 대한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의 염이면 제한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탄키라제 관련 질환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탄키라제 1 및/또는 탄키라제 2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사멸, 증식 및/또는 전이를 조절함으로써 탄키라제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므로, 탄키라제 1 및/또는 탄키라제 2 활성의 이상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75 중량%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 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내, 복강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즈,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kg 당 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게서 탄키라제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상기 탄키라제 관련 질환이 발명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 류(예,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예,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과 결합하여 사용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용어는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예방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유효성분으로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의 공지된 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공지의 약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암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공지된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질환의 치료를 위해 공지된 다른 치료와 병용될 수 있다. 다른 치료에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골수 이식, 줄기-세포 대체치료, 다른 생물학적 치료, 면역치료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항암제의 예시에는 DNA 알킬화제(DNA alkylating agents)로 메클로에타민(mechloethamine), 클로람부칠(chlorambucil),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무스타드(mustard),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 로무스틴(lomustine: CCNU),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부술판(busulfan), 티오테파(thiotepa), 시스플라틴(cisplatin) 및 카보플라틴(carboplatin); 항암 항생제(anti-cancer antibiotics)로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actinomycin D), 독소루비신(doxorubicin: adria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크산트론(mitoxantrone),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마이토마이신 C(mitomycin C) 및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및 식물 알카로이드(plant alkaloids)로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에토포시드(etoposide), 테니포시드(teniposide), 토포테칸(topotecan) 및 이리도테칸(iridotecan)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중간체로서 2- 클로로 -7- 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 -4(3H)-온(I-6)의 제조
하기 반응식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트리아졸로피리미디논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로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5
1.1. 에틸 3-( 디벤질아미노 )-2- 옥소프로파노에이트의 제조
에틸 브로모피루베이트를 디벤질아민과 반응시켜 아미노피루베이트 유도체를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mmol의 브로모피루베이트를 이의 2당량에 상응하는 디벤질아민과 부타논을 용매로 1시간 동안 환류시켜 40%의 수율로 40.254 mmol의 에틸 3-(디벤질아미노)-2-옥소프로파노에이트(중간체 I- 1)를 합성하였다.
1.2. 3-아미노-6-(( 디벤질아미노 ) 메틸 )-1,2,4-트리아진-5(4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로부터 수득한 중간체 I-1을 아미노구아니딘 바이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트리아지논 고리를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체 I-1을 에탄올을 용매로 1.1 당량의 아미노구아니딘 바이카보네이트와 16시간 동안 환류시켜 3-아미노-6-((디벤질아미노)메틸)-1,2,4-트리아진-5(4H)-온을 수득하였다(I-2; 수율 68%).
1.3. 3-아미노-6-( 아미노메틸 )-1,2,4-트리아진-5(4H)-온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수소용해성 제거반응에 의해 상기 제조예 1.2.로부터 수득한 중간체 I-2의 벤질기를 제거하였다. 구체적으로, 2N HCl-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Pd/C(20 wt%)를 촉매로 사용하여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수소를 첨가하였다. 형성된 화합물은 상기 중간체 I-2로부터 아미노기에 치환된 2개의 벤질기가 제거되었으며, 염산염의 형태인 3-아미노-6-(아미노메틸)-1,2,4-트리아진-5(4H)-온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얻어졌다(I-3; 수율 98%).
1.4. N-((3-아미노-5-옥소-4,5- 디하이드로 -1,2,4-트리아진-6-일) 메틸 )아세트아미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으로부터 수득한 중간체 I-3을 활성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켜 아미드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체 I-3을 THF/MeCN/H2O의 1:1:1 혼합용매에서 활성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2당량의 무수 아세트산(acetic anhydride; Ac2O) 및 3당량의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NaHCO3)와 실온에서 7시간 동안 반응시켜 N-((3-아미노-5-옥소-4,5-디하이드로-1,2,4-트리아진-6-일)메틸)아세트아미드(I-4; 수율 71%)를 수득하였다.
1.5. 2-아미노-7- 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 -4(3H)-온의 제조
POCl3에 의한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상기 제조예 1.4.로부터 수득한 중간체 I-4로부터 본 발명의 모핵이 되는 이미다조티라지논 구조를 갖는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득한 중간체 I-4를 1,2-디클로로에탄 용매에서 10당량의 POCl3와 8시간 동안 환류시켜 2-아미노-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5; 수율 77%)을 수득하였다.
1.6. 2- 클로로 -7- 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 -4(3H)-온(I-6)의 제조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치환기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치환기가 도입될 위치의 아미노기를 반응성이 높은 클로라이드로 치환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5.로부터 수득한 중간체 I-5를 1,2-디클로로에탄을 용매로 7당량의 tert-부틸 니트라이트(tert-butyl nitrite; TBN) 및 2당량의 안티모니 트리클로라이드(antimony trichloride; SbCl3)과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 수율 43%)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184.9(M++1).
제조예 2: 1 -(2,6- 디플루오로 -4-치환-페닐)피페라진 염산염(I-2A 내지 I-2E), 4-(2-(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펜옥시)에틸)몰폴린 염산염(I-2F) 및 2-(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펜옥시)-N,N-디메틸에탄-1-아민 염산염(I-2G)의 제조
Figure pat00016
2.1. 5-( 벤질옥시 )-2- 브로모 -1,3- 디플루오로벤젠의 제조
4-브로모-3,5-디플루오로페놀 7 g(33.49 mmol), 벤질 브로마이드 4 ml (40.18 mmol), K2CO3 13.8 g(100.47 mmol)을 DMF 83 ml에 용해시켰다. 50 내지 60℃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EA(200 ml)에 희석시킨 후 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액체로 9.6 g의 표제 화합물(32.09 mmol, 96%)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 7.37 (m, 5H), 6.58 (m, 2H), 5.00 (s, 2H).
2.2. tert -부틸 4-(4-( 벤질옥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마이크로파 반응용 바이알(microwave reaction vial)에 상기 제조예 2.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1 g(3.34 mmol), Boc-피페라진 1.49 g(8.02 mmol), 소디움 tert-부톡사이드 898 mg(9.352 mmol), BINAP 249 mg(0.4 mmol), Pd2(dba)3 122 mg(0.133 mmol) 및 톨루엔 10 ml를 넣은 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30℃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감압 농축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살구색 고체로 459 mg의 표제 화합물(1.13 mmol, 34%)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05.2(M+).
2.3.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 히드록시페닐 )피페라진-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200 mg(0.917 mmol)을 MeOH 2.5 ml에 용해시켰다. 10% Pd/C 40 mg을 넣고 수소기체 하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154 mg 의 표제 화합물(0.489 mmol, 98%)을 수득하였다.
2.4.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2-(피페리딘-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00 mg, 0.954 mmol), 1-(2-클로로에틸)피페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211 mg, 1.145 mmol) 및 K2CO3(527 mg, 3.816 mmol)을 DMF 3 ml에 용해시켰다. 50 내지 60℃로 17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EA(150 ml)에 희석시킨 후 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390 mg의 표제 화합물(0.917 mmol, 수율 96%)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 6.42 (s, 1H), 6.39 (s, 1H), 4.00 (t, J = 6.3 Hz, 2H), 3.51 (t, J = 4.8 Hz, 4H), 3.02 (t, J = 4.5 Hz, 4H), 2.73 (t, J = 6.0 Hz, 2H), 2.47 (t, J = 4.5 Hz, 4H), 1.59(m, 4H), 1.45 (m, 11H).
2.5. 1-(2,6- 디플루오로 -4-(2-(피페리딘-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2.4.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90 mg, 0.917 mmol)을 MC 1 ml 및 MeOH 0.5 ml에 용해시켰다. 4 M-HCl 3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흰색 고체로 390 mg의 표제 화합물(I-2B)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26.2(M+).
2.6. 1-(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톡시 )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과 같은 방법으로 알킬화한 후, 상기 제조예 2.2.와 같은 방법으로 아민화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예 2.5.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I-2A)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72.2(M+).
2.7. 1-(2,6- 디플루오로 -4- 이소프로폭시페닐 )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2.4.와 같은 방법으로 알킬화한 후, 상기 제조예 2.5.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I-2C)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56.3(M+).
2.8. 1-(2,6- 디플루오로 -4-( 옥세탄 -3- 일옥시 )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2.4.와 같은 방법으로 알킬화한 후, 상기 제조예 2.5.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I-2D)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70.3(M+).
2.9. 1-(4-( 벤질옥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2.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의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표제 화합물(I-3E)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04.3(M+).
2.10. 4-(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펜옥시 )에틸) 몰폴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I-2B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2F)를 합성하였다.
LC-MS (ESI, m/z) = 327.4(M+).
2.11. 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펜옥시 )- N,N -디메틸에탄-1- 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I-2B와 유사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2G)를 합성하였다.
LC-MS (ESI, m/z) = 285.3(M+).
제조예 3: 4 -(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벤질 ) 몰포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3.1.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 포르밀페닐 )피페라진-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3,4,5-트리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2 g(12.493 mmol), Boc-피페라진 2.33 g(12.493 mmol) 및 K2CO3 3.45 g(24.986 mmol)을 DMF 4 ml에 용해시켰다. 110 내지 120℃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EA(250 ml)에 희석시킨 후 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 2.7 g의 표제 화합물(8.27 mmol, 수율 66%)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27.1(M+).
3.2.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 몰포리노메틸 )페닐)피페라진-1- 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500 mg, 1.532 mmol), 몰포린(0.27 ml, 3.064 mmol) 및 Ti(i-Pro)4(0.91 ml, 3.064 mmol)를 MeOH 5 ml에 용해시켰다. 상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한 후 0℃로 냉각하였다. NaCNBH3 193 mg(3.064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EA를 이용하여 셀라이트 여과하고 EA(200 ml)에 희석시킨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노란색 액체로 272 mg의 표제 화합물(0.684 mmol, 수율 45%)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98.2(M+).
3.3. 4-(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벤질 ) 몰포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3.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72 mg, 0.684 mmol)로부터 상기 제조예 2.5.와 유사한 방법으로 살구색 고체로 232 mg의 표제 화합물(0.627 mmol, 수율 92%)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98.1(M+).
제조예 4: 1 -(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페닐)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4.1.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1- 히드록시에틸 )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3.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600 mg, 1.839 mmol)을 THF 5 ml에 용해시켰다. -78℃로 냉각한 후 디에틸에테르에 용해시킨 1.6 M MeLi 용액 1.26 ml(2.023 mmo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서서히 상온으로 올리면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EA(40 ml)에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로 503 mg의 표제 화합물(1.469 mmol,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 6.97 (m, 2H), 5.28 (d, J = 4.8 Hz, 1H), 4.65 (m, 1H), 3.41 (t, J = 4.2 Hz, 4H), 3.00 (t, J = 4.5 Hz, 4H), 1.41 (m, 9H), 1.28 (d, J = 6.3 Hz, 3H).
4.2. 1-(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페닐)에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4.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50 mg, 0.730 mmol)을 MC 2 ml에 용해시켰다. 4 M-HCl 4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노란색 고체로 226 mg의 표제 화합물(quant)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43.1(M+).
제조예 5: 1 -(2,6- 디플루오로 -4-(1- 메톡시에틸 )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5.1.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1- 메톡시에틸 )페닐)피페라진-1- 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4.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50 mg, 0.730 mmol)을 THF 2.5 ml에 용해시켰다. 0℃로 냉각한 후 NaH(55% 미네랄 오일) 53 mg(1.095 mmol)을 넣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메틸설페이트 0.08 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서서히 상온으로 올리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EA(40 ml)에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투명한 액체로 294 mg의 표제 화합물(quant)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 6.97 (s, 1H), 6.94 (s, 1H), 4.26 (m, 1H), 3.41 (t, J = 4.5 Hz, 4H), 3.11 (s, 3H), 3.02 (t, J = 4.5 Hz, 4H), 1.28 (d, J = 6.3 Hz, 3H).
5.2. 1-(2,6- 디플루오로 -4-(1- 메톡시에틸 )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5.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94 mg, 0.730 mmol)로부터 상기 제조예 2.5.와 유사한 방법으로 흰색 고체로 198 mg의 표제 화합물(0.673 mmol, 수율 93%)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57.1(M+).
제조예 6: 4 -(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톡시 )페닐)피페리딘-4-올 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6.1.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톡시 )페닐)피페라진-4-히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2-브로모-1,3-디플루오로-5-(2-메톡시에톡시)벤젠 600 mg(2.246 mmol)을 에테르 20 ml에 용해시킨 후 질소 하에 -78℃로 냉각하였다. n-BuLi 2.5 M 헥산 용액 0.98 ml(2.47 mmol)를 10분 동안 적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Boc-피페리돈 537 mg(2.69 mmol)을 에테르 4 ml에 용해시킨 후 20분 동안 적가하였다. 서서히 상온으로 올리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정제수 15 ml를 넣고 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가공되지 않은(crude) 상태의 노란색 액체로 1.01 g의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88.2(M+).
6.2. 4-(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톡시 )페닐)피페리딘-4-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6.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1.01 g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흰색 고체로 37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88.1(M+).
제조예 7: 4 -(1H- 테트라졸 -5-일)피페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7.1. tert -부틸 4-(1H- 테트라졸 -5-일)피페리딘-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tert-부틸 4-시아노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 g(4.75 mmol), 소디움 아자이드 923 mg(14.26 mmol), 암모늄 클로라이드 763 mg(14.26 mmol)을 DMF 9.4 ml에 용해한 후 140℃ 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냉각하고 EA(200 ml)에 희석하였다. 0.5N HCl 수용액과 정제수로 세척한 후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디에틸에테르를 첨가하여 결정을 형성하고 여과(세척: 디에틸에테르)하여 흰색 고체로 764 mg의 표제 화합물(64%)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54.1(M+).
7.2. 4-(1H- 테트라졸 -5-일)피페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제조예 7.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527 mg(2.77 mmol)을 제조예 3.2.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 고체로 527 mg의 표제 화합물(92%)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154.1(M+).
제조예 8 및 9: 3 -(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페닐)프로판-1,2- 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1-(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페닐)에탄-1,2-디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17
8.1. 1-(4-(2,6- 디플루오로 -4- 니트로페닐 )피페라진-1-일)에탄-1-온의 제
3,4,5-트리플루오로 니트로벤젠과 N-아세틸피페라진을 MeCN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고 컬럼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87.2(M+H+).
8.2. 1-(4-(2,6- 디플루오로 -4- 아미노페닐 )피페라진-1-일)에탄-1-온의 제
상기 제조예 8.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로 Pd/C를 이용한 수소화 반응을 수행하여 아민으로 환원시킨 후 컬럼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56.2(M+H+).
8.3. 1-(4-(4- 브로모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에탄-1-온의 제
상기 제조예 8.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이용한 샌드마이어(Sandmeyer) 반응을 통해 아민기를 브로마이드로 치환시켰다. 컬럼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19.0(M+H+).
8.4. 1-(4-(4-알릴-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에탄-1-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8.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과 Pd(PPh3)4, 알릴SnBu3 및 DMF(100℃, 18 h)를 이용한 스틸레 커플링(stille coupling) 반응을 수행하여 상기 제조예 9.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에 알릴기를 도입한 후 컬럼을 통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81.3(M+H+).
8.5. 3-(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페닐)프로판-1,2- 디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A의 제조
상기 제조예 8.4.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OsO4를 이용하여 디히드록실화(dihydroxylation)한 후 N-아세틸기를 산 조건하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A를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73.3(M+).
9.1. 1-(4-(4-비닐-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에탄-1-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8.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과 Pd(PPh3)4, 비닐SnBu3 및 DMF (100℃, 18 h)를 이용한 스틸레 커플링(stille coupling) 반응을 수행하여 비닐기를 도입한 후 컬럼을 통하여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67.3(M+H+).
9.2. 1-(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페닐)에탄-1,2- 디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B의 제조
상기 제조예 9.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OsO4를 이용하여 디히드록실화(dihydroxylation)한 후 N-아세틸기를 산 조건하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B를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59.2(M+H+).
제조예 10: 3 ,5- 디플루오로 -N-(2- 메톡시에틸 )-4-(피페라진-1-일)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10.1.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 니트로페닐 )피페라진-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1,2,3-트리플루오로-5-니트로벤젠 1 g (5.65 mmol)을 ACN 11 ml에 용해시킨 후 Boc-피페라진 2.63 g(14.12 mmol)을 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EA에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정제수로 3회 세척한 후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노란색 고체로 1.93 g의 표제 화합물(quant)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44.1(M+H+).
10.2. tert -부틸 4-(4-아미노-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0.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1.75 g(5.09 mmol)을 MeOH 15 ml에 용해시킨 후 10% Pd/C 500 mg을 가하고 수소기체 하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 건조하여 노란색 고체로 1.57 g의 표제 화합물(98.5%)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14.1(M+H+).
10.3.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틸아미노 )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반응부에 55% NaH 437 mg(10.02 mmol)와 DMF 15 ml를 가한 후 0℃ 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제조예 10.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1.57 g(5.01 mmol)을 DMF에 용해시킨 후 상기 반응부에 30분 동안 서서히 적가하였다. 1-브로모-2-메톡시 에탄 835 mg(6.01 mmol)을 DMF 3 ml에 용해시켜 적가하고 서서히 상온으로 올리며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차가운 정제수를 반응부에 가하고 EA에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정제수로 3회 세척한 후 Na2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노란색 액체로 140 mg의 표제 화합물(8%)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72.2(M+H+).
10.4. 3,5- 디플루오로 -N-(2- 메톡시에틸 )-4-(피페라진-1-일)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0.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140 mg(0.376 mmol)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 고체로 110 mg의 표제 화합물(95%)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272.1(M+H+).
제조예 11: 2 -(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1-(치환-1-일)에탄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A 내지 I-11B), 1-(2,6-디플루오로-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C), 1-(2-(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4-일)페녹시)에틸)-치환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D 및 I-11F), 1-(4-(2-아지도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E), 벤질 1-(2-(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페녹시)에틸)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G)의 제조
Figure pat00018
11.1.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2-옥소-2-( 피롤리딘 -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피롤리딘(377.8 mg, 5.313 mmol)을 THF 2.5 ml에 용해시켰다. THF 2.5 ml에 용해시킨 2-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300 mg, 2.656 mmol)를 0℃에서 5분 동안 적가한 후 15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EA에 희석시키고 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액체로 438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2-클로로-1-(피롤리딘-1-일)에탄온 169 mg(1.145 mmol), 상기 제조예 2.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00 mg, 0.954 mmol) 및 K2CO3(527 mg, 3.816 mmol)을 DMF 3.2 ml에 용해시켰다. 상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고 EA에 희석시킨 후 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흰색 고체로 346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1.2. 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1-( 피롤리딘 -1-일) 탄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A)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tert-부틸 4-(2,6-디플루오로-4-(2-옥소-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336 mg, 0.790 mmol)을 MC 0.5 ml에 용해시켰다. 4 M-HCl 2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흰색 고체로 29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26.1(M+H+).
11.3.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2-옥소-2-(피페리딘-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피페리딘(452.4 mg, 5.313 mmol)을 THF 2.5 ml에 용해시켰다. THF 2.5 ml에 용해시킨 2-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300 mg, 2.656 mmol)를 0℃에서 5분 동안 적가한 후 15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EA에 희석시키고 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액체로 507 mg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2-클로로-1-(피페리딘-1-일)에탄온 154 mg(0.954 mmol), 상기 제조예 2.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50 mg, 0.795 mmol) 및 K2CO3(439.7 mg, 3.181 mmol)을 DMF 2.7 ml에 용해시켰다. 60 내지 6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하여 EA에 희석시킨 후 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흰색 고체로 297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40.2(M+H+).
11.4. 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1-(피페리딘-1-일) 탄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B)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36 mg, 0.790 mmol)을 MC 0.5 ml에 용해시켰다. 4 M-HCl 2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흰색 고체로 243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40.1(M+H+).
11.5. tert -부틸 4-(4-(2-( 벤질옥시 ) 에톡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 g, 3.181 mmol), 벤질-2-브로모에틸에테르(851 mg, 3.818 mmol) 및 K2CO3(1.32 g, 9.544 mmol)을 DMF 6.4 ml에 용해시켰다. 70 내지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EA에 희석시킨 후 포화 NaCl 수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액체로 1.427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49.2(M+H+).
11.6.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2- 히드록시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5.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427 g, 3.181 mmol)을 MeOH 10.6 ml에 용해시켰다. 10% Pd/C 428 mg을 넣고 수소기체 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살구색 고체로 1.14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59.1(M+H+).
11.7.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2-( 토실옥시 )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14 g, 3.181 mmol), 4-메틸벤젤-1-설포닐 클로라이드(909.8 mg, 4.722 mmol), TEA(504.8 mg, 7.953 mmol) 및 DMAP(97.2 mg, 0.057 mmol)을 DCM 10.6 ml에 용해시켰다.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EA로 희석하고 0.5N 염산 수용액 및 포화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흰색 고체로 1.44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13.2(M+H+).
11.8. tert -부틸 4-(2,6- 디플루오로 -4-(2-(4- 메틸피페라진 -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7.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68 mg, 0.718 mmol) 및 1-메틸피페라진(143.8 mg, 1.436 mmol)을 DMF 2.4 ml에 용해시켜 50 내지 6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EA로 희석하고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탈수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노란색 액체로 27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1.9. 1-(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에틸)-4- 메틸피페라진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D)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8.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70 mg, 0.613 mmol)을 MC 0.5 ml에 용해시켰다. 4 M-HCl 2 m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흰색 고체로 253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41.2(M+H+).
11.10. 1-(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에틸)-4- 피롤리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C)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8. 및 11.9.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LC-MS (ESI, m/z) = 312.2(M+H+).
11.11. 1-(4-(2- 아지도에톡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E)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8. 및 11.9.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LC-MS (ESI, m/z) = 284.1(M+H+).
11.12. 1-(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에틸)-4- 메틸피페라진-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F)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8. 및 11.9.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LC-MS (ESI, m/z) = 355.2(M+H+).
11.13. 벤질 1-(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에틸)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I-11G)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8. 및 11.9.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LC-MS (ESI, m/z) = 475.2(M+H+).
제조예 12: 1 -(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에틸) 피롤리딘-3-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2A) 및 1-(2-(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페녹시)에틸)피페리딘-4-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2B)의 제조
Figure pat00019
12.1. tert -부틸 4-(4-(2- 브로모메톡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tert-부틸 4-(2,6-디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3.14 g, 10 mmol)의 MeCN 용액(50 ml)에 1,2-디브로모에탄(3.8 g, 20 mmol) 및 K2CO3(4.2 g, 30 mmol)을 첨가한 후 용액을 12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여과하여 무기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이후 화합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로 3.5 g(수율 85%)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2.2. 1-(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에틸) 피롤리딘 -3-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2A)의 제조
상기 제조예 12.1.로부터 수득한 알킬브로모 화합물(0.42 g, 1 mmol)을 3-히드록시피롤리딘(0.13 g, 1.5 mmol)과 DMF(5 ml) 하에서 Cs2CO3(0.98 g, 3 mmol)와 반응시켜 아민화된 중간체를 수득한 뒤 4 M-HCl을 이용하여 피페리딘의 Boc-그룹을 제거하여 0.3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2.3. 1-(2-(3,5- 디플루오로 -4-(피페라진-1-일) 페녹시 )에틸)피페리딘-4-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I-12B)의 제조
상기 제조예 12.1.로부터 수득한 알킬브로모 화합물을 3-히드록시피롤리딘 대신에 4-히드록시피페리딘과 반응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2.2.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제조예 13: 8 -( 벤질옥시 )-6- 클로로 -3- 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I-13)의 제조
Figure pat00020
13.1. 3,5- 디클로로피라진 -2- 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2,6-디클로로피라진(11.0 g, 73.8 mmol)과 포름아마이드(58.6 ml, 1476 mmol)를 90℃에서 교반하면서 천천히 소디움 퍼설페이트(17.1 g, 71.7 mmol)를 첨가하였다. 2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한 뒤 실온에서 12시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한 후, 이소프로필알콜/클로로포름(1/3)으로 추출하여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70% n-헥산/EtOAc)하여 물질을 분리하고 건조시켜 오일로 3,5-디클로로피라진-2-카르복스아미드(5.06 g, 36%)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 8.87 (s, 1H), 8.15 (s, 1H), 7.99 (s, 1H).
13.2. 3,5- 디클로로피라진 -2- 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5.00 g, 13.3 mmol)을 아세토니트릴(100 ml)에 용해시킨 뒤 POCl3(6.76 ml, 72.3 mmol)를 넣고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20% n-헥산/EtOAc)하여 물질을 분리하고 건조시켜 고체로 3,5-디클로로피라진-2-카르보니트릴(2.94 g, 65%)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 8.63 (s, 1H).
13.3. (3,5- 디클로로피라진 -2-일) 메탄아민의 제조
오토클레이브에 상기 제조예 13.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40 g, 19.5 mmol)과 아세트산(70 ml), Raney-Ni(573 mg, 9.77 mmol)을 넣었다. 수소가스(~100 psi)를 주입하고 5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바로 다음 단계를 진행하였다.
13.4. N-((3,5- 디클로로피라진 -2-일) 메틸 )아세트아미드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3.40 g, 19.1 mmol), 무수 아세트산(3.6 ml, 38.2 mmol), 트리에틸아민(10.6 ml, 76.4 mmol)을 아세토니트릴(100 ml)과 물(20 ml)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포화 탄산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00% EtOAc)하여 물질을 분리하고 건조시켜 흰색 고체로 N-((3,5-디클로로피라진-2-일)메틸)아세트아미드(3.46 g, 83%)를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 8.47 (s, 1H), 6.62 (brs, 1H), 4.66 (d, J = 4.7 Hz, 2H), 2.01 (s, 3H).
13.5. 6,8- 디클로로 -3- 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4.로부터 수득한 화합물(2.50 g, 11.4 mmol)을 아세토니트릴(150 ml)과 DMF(5 ml)에 용해시킨 뒤 POCl3(1.28 ml, 13.7 mmol)를 천천히 적가하여 7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포화 탄산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100% EtOAc)하여 물질을 분리하고 건조시켜 노란색 고체로 6,8-디클로로-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2.24 g, 97%)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 7.83 (s, 1H), 7.64 (s, 1H), 2.67 (s, 3H).
13.6. 8-( 벤질옥시 )-6- 클로로 -3- 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I-13)의 제조
소디움 하이드라이드(161 mg, 4.03 mmol)와 벤질알콜(0.42 ml, 4.03 mmol)을 THF(10 ml)에 용해시켰다. 20분 후 상기 제조예 13.5.로부터 수득한 화합물(740 mg, 3.66 mmol)을 적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80% n-헥산/EtOAc)하여 물질을 분리하고 건조시켜 고체로 표제 화합물 I-13(588 mg, 59%)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 7.86 (m, 1H), 7.47 (m, 2H), 7.36 (m, 4H), 5.51 (s, 2H), 2.53 (s, 3H).
실시예 1: 2 -(4-(2- 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 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마이크로파 반응 바이알(microwave reaction vial)을 에탄올(2 ml)에 용해시킨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중간체 I-6, 28 mg, 0.15 mmol) 및 1-(2-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54 mg, 0.3 mmol), DIPEA(58 mg, 0.45 mmol)로 충전하였다. 상기 바이알을 봉하고 마이크로파에서 150℃로 30분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20/1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로 정제하여 2-(4-(2-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29.1(M++1).
실시예 2: 2 -(4-(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을 제조예 2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1-(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I-2A)과 반응시켜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20.6(M+).
실시예 3: 2 -(4-(4-( 벤질옥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 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2.9.로부터 수득한 1-(4-(벤질옥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I-2E)를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과 반응시켜 2-(4-(4-(벤질옥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 9.31 (s, 1H), 7.74 (s, 1H), 7.41-7.36 (m, 5H), 6.53 (d, J = 9.0 Hz, 2H), 5.00 (s, 2H), 3.61 (bs, 4H), 3.25 (bs, 4H), 2.56 (s, 3H).
실시예 4: 2 -(4-(2,6- 디플루오로 -4-(2- 몰포리노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5 ml 마이크로파 튜브를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50 mg, 0.27 mmol, 1.00 당량), 상기 제조예 2.10.으로부터 수득한 1-(2,6-디플루오로-4-(2-몰포리노에톡시)페닐)피페라진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I-2F; 162 mg, 0.41 mmol, 1.5 당량) 및 DIPEA(174 mg, 1.35 mmol, 5.00 당량)를 에탄올(2.5 ml)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상기 튜브를 봉하고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50℃로 30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아래의 조건에서 CombiFlash Prep-MPLC로 정제하여 2-(4-(2,6-디플루오로-4-(2-몰포리노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컬럼, Silica gel; 이동상, 18분 이내 CH2Cl2:CH3OH=99:1로부터 CH2Cl2:CH3OH=85:15까지 증가; 검출기, UV 254 nm.
LC-MS (ESI, m/z) = 476.3(M++1).
실시예 5: 2 -(4-(2,6- 디플루오로 -4-(2-(피페리딘-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을 상기 제조예 2.5.로부터 수득한 중간체 1-(2,6-디플루오로-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I-2B)와 반응시켜 2-(4-(2,6-디플루오로-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74.3(M++1).
실시예 6: 2 -(4-(4-(2-(디메틸아미노) 에톡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을 제조예 2.11.로부터 수득한 중간체 2-(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펜옥시)-N,N-디메틸에탄-1-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I-2G)와 반응시켜 2-(4-(4-(2-(디메틸아미노)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34.3(M++1).
실시예 7: 2 -(4-(2,6- 디플루오로 -4-(2- 히드록시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단계 1: 상기 제조예 2.3.으로부터 수득한 tert-부틸 4-(2,6-디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를 제조예 2.3.의 방법으로 알킬화하여 tert-부틸 4-(4-(2-벤질옥시-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HCl로 처리하여 탈보호화하였다.
단계 2: 상기 제1단계로부터 생성된 아민(429 mg, 1.11 mmol, 1.11 당량)과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184 mg, 1.0 mmol, 1.00 당량) 및 DIPEA(174 mg, 1.35 mmol, 5.00 당량)를 에탄올(3.0 ml)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상기 튜브를 봉하고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50℃로 30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에서 건조하여 CombiFlash Prep-MPLC(컬럼, Silica gel; 이동상, 18분 이내 CH2Cl2:CH3OH=99:1로부터 CH2Cl2:CH3OH=85:15까지 증가; 검출기, UV 254 nm)로 정제하여 2-(4-(2,6-디플루오로-4-(2-벤질옥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로부터 수득한 2-(4-(2,6-디플루오로-4-(2-벤질옥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105 mg, 0.21 mmol)을 CH2Cl2:CH3OH=1 ml:1 ml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후 10% Pd/C(40 mg)를 첨가하고 수소풍선을 장치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수득한 고체를 MeOH/Et2O로 재결정하여 목적화합물 2-(4-(2,6-디플루오로-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 407.2(M++1).
실시예 8: (S)-2-(3,5- 디플루오로 -4-(4-(7- 메틸 -4-옥소-3,4- 디하이드로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2-일)피페라진-1-일)페녹시)에틸 2-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단계 1: (S)-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24 mg, 0.129 mmol, 1.5 당량), 상기 실시예 7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5-(4-(2,6-디플루오로-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3H-[1,2,3]트리아졸로[4,5-d]피리미딘-7(6H)-온(35 mg, 0.086 mmol, 1 당량), EDC·HCl(49 mg, 0.258 mmol, 3 당량) 및 HOBt(35 mg, 0.258 mmol, 3 당량)를 DCM(2 ml)에 용해시킨 혼합물을 25℃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여물을 DCM/MeOH(30:1)을 이용한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 mg의 (S)-1-2-(3,5-디플루오로-4-(4-(7-히드록시-3-메틸-3H-[1,2,3]트리아졸로[4,5-d]피리미딘-5-일)피페라진-1-일)페녹시)에톡시-1-옥소-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판을 수득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S)-1-2-(3,5-디플루오로-4-(4-(7-히드록시-3-메틸-3H-[1,2,3]트리아졸로[4,5-d]피리미딘-5-일)피페라진-1-일)페녹시)에톡시-1-옥소-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프로판(15 mg, 0.026 mmol)을 DCM(2 ml)에 용해시키고 4 M HCl 용액(디옥산 용액, 104 μL)을 첨가하고 용액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은 진공에서 농축하여 13 mg의 (S)-2-(3,5-디플루오로-4-(4-(7-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2-일)피페라진-1-일)페녹시)에틸 2-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9: 2 -(4-(4-(2,3- 디히드록시프로폭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2.3.으로부터 제조한 tert-부틸 4-(2,6-디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피페라진-1-카보네이트를 글리시딜 벤질 에테르와 LiClO4 존재 하에 아세토니트릴 용액에서 반응시켜 알킬화하였다. 생성된 화합물의 보호기 Boc를 제거하고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과 축합하여 화합물 2-(4-(4-(2-히드록시-3-벤질옥시프로폭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성된 화합물의 디벤질화 반응을 통해 목적 화합물 2-(4-(4-(2,3-디히드록시프로폭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37.2(M++1).
실시예 10: 2 -(4-(2,6- 디플루오로 -4-( 몰포리노메틸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5 ml 튜브를 상기 제조예 3으로부터 수득한 4-(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벤질)몰포린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150 mg, 0.4 mmol, 1.00 당량), DIFA(207 mg, 1.6 mmol, 4.0 당량) 및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75 mg, 0.4 mmol, 1.0 당량)을 에탄올(2 ml)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상기 튜브를 봉하고 마이크로파에서 150℃로 30분간 조사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CombiFlash Prep-MPLC(컬럼, Silica gel; 이동상, 18분 이내 CH2Cl2:CH3OH=99:1로부터 CH2Cl2:CH3OH=85:15까지 증가; 검출기, UV 254 nm)로 정제하여, 2-(4-(2,6-디플루오로-4-(몰포리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46.3(M++1).
실시예 11: 2 -(4-(2,6- 디플루오로 -4-((4- 메틸피페라진 -1-일) 메틸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5 ml 튜브를 상기 제조예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한 1-((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페닐)메틸)-4-메틸피페라진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100 mg, 0.26 mmol, 1.00 당량), DIFA(134 mg, 1.04 mmol, 4.0 당량) 및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48 mg, 0.26 mmol, 1.0 당량)을 에탄올(2 ml)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상기 튜브를 봉하고 마이크로파에서 150℃로 30분간 조사하였다. 상기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CombiFlash Prep-MPLC(컬럼, Silica gel; 이동상, 18분 이내 CH2Cl2:CH3OH=99:1로부터 CH2Cl2:CH3OH=85:15까지 증가; 검출기, UV 254 nm)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로 13 mg의 2-(4-(2,6-디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59.4(M++1).
실시예 12: 2 -(4-(2,6- 디플루오로 -4-( 옥세탄 -3- 일옥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을 제조예 2.8.로부터 수득한 중간체 1-(2,6-디플루오로-4-(옥세탄-3-일옥시)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I-2D)와 반응시켜 2-(4-(2,6-디플루오로-4-(옥세탄-3-일옥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19.3(M++1).
실시예 13: 2 -(4-(2,6- 디플루오로 -4-(1- 히드록시에틸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4로부터 제조한 4-(2,6-디플루오로-4-(1-히드록시에틸)-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83 mg, 0.45 mmol, 1.2 당량)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 2-(4-(2,6-디플루오로-4-(1-히드록시에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91.3(M++1).
실시예 14: 2 -(4-(2,6- 디플루오로 -4-(1- 메톡시에틸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5로부터 제조한 1-(2,6-디플루오로-4-(1-메톡시에틸)페닐)피페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중간체 I-6(68 mg, 0.37 mmol, 1.2 당량)과 축합하여 목적 화합물 2-(4-(2,6-디플루오로-4-(1-메톡시에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05.2(M++1).
실시예 15: 2 -(4-(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 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마이크로파 반응용 바이알을 에탄올(2 ml)에 용해시킨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중간체 I-6, 50 mg, 0.27 mmol), 1-(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07 mg, 0.54 mmol) 및 DIPEA(105 mg, 0.81 mmol)로 충전하였다. 상기 바이알을 봉하고 마이크로파에서 150℃로 30분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20/1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로 정제하여 2-(4-(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47.2(M++1).
실시예 16: 2 -(4-(2,4,6- 트리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 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중간체 I-6, 28 mg, 0.15 mmol)과 1-(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과 반응시켜 2-(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65.2(M++1).
실시예 17: 2 -(4-(2,6- 디플루오르 -4-(2- 메톡시에톡시 )페닐)-4- 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7-메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마이크로파 반응용 바이알을 에탄올(2 ml)에 용해시킨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중간체 I-6), 상기 제조예 6으로부터 수득한 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피레리딘-4-올 및 DIPEA로 충전하였다. 상기 바이알을 봉하고 마이크로파에서 150℃로 30분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20/1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로 정제하여 2-(4-(2,6-디플루오르-4-(2-메톡시에톡시)페닐)-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7-메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36.3(M++1).
실시예 18: 2 -(4-(2,6- 디플루오르 -4-(2- 메톡시에틸아미노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마이크로파 반응용 바이알을 에탄올(2 ml)에 용해시킨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중간체 I-6), 상기 제조예 10으로부터 수득한 3,5-디플루오로-N-(2-메톡시에틸)-4-(피페라진-1-일)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DIPEA로 충전하였다. 상기 바이알을 봉하고 마이크로파에서 150℃로 30분간 가열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20/1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로 정제하여 2-(4-(2,6-디플루오르-4-(2-메톡시에틸아미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20.2(M++1).
실시예 19: 2 -(4-(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틸 )( 메틸 )아미노) 메틸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상기 제조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 N-(3,5-디플로로-4-(피페라진-1-일)벤질)-2-메톡시-N-메틸에탄-1-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48.4(M++1).
실시예 20: 2 -(4-(4-(1,2- 디하이드록시에틸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상기 제조예 9.5.로부터 수득한 1-(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페닐)에탄-1,2-디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4-(4-(1,2-디하이드록시에틸)-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07.2(M++1).
실시예 21: 2 -(4-(4-(2,3- 디하이드록시프로필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상기 제조예 8.5.로부터 수득한 3-(3,5-디플루오로-4-(피페라진-1-일)페닐)프로판-1,2-디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4-(4-(2,3-디하이드록시프로필)-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20.3(M++1).
실시예 22: 2 -(4-(1H- 테트라졸 -5-일)피페리딘-1-일)-7- 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상기 제조예 7.2.로부터 수득한 4-(1H-테트라졸-5-일)피페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2-(4-(1H-테트라졸-5-일)피페리딘-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02.2(M++1).
실시예 23: 7 - 메틸 -2- (4-(2-메틸-2H-테트라졸-5-일) 피페리딘-1-일) 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상기 제조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한 4-(2-메틸-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7-메틸-2-(4-(2-메틸-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1-일)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316.2(M++1).
실시예 24: 2 -(4-(2,6- 디플루오로 -4-(2-( 피롤리딘 -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상기 제조예 11.10.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C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60.2(M++1).
실시예 25: 2 -(4-(2,6- 디플루오로 -4-(2-(4- 메틸피페라진 -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상기 제조예 11.10.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D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89.2(M++1).
실시예 26: 2 -(4-(2,6- 디플루오로 -4-(3-(피페리딘-1-일) 프로폭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tert-부틸 4-(2,6-디플루오로-4-(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히드록시기를 토실화(TsCl, TEA, DMAP 및 DCM)한 후 피페리딘과 치환반응(피페리딘, K2CO3 및 DMF)을 진행하고 탈보호화함으로써 얻어진 아민화합물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88.2(M++1).
실시예 27: 2 -(4-(4-( 비스(2-메톡시에틸)아미노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마이크로파 반응용 바이알에 에탄올(2 ml)에 용해시킨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제조한 2-클로로-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I-6)과 상기 제조예 10에서 부산물로 수득한 3,5-디플루오로-N,N-비스(2-메톡시에틸)-4-(피페라진-1-일)아닐린 및 DIPEA를 넣은 후 상기 바이알을 봉하고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50℃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MC:MeOH=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78.2(M++1).
실시예 28: 2 -(4-(2,6- 디플루오로 -4-(2-옥소-2-(피페리딘-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6과 제조예 11.4.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89.2(M+H+).
실시예 29: 2 -(4-(2,6- 디플루오로 -4-(2-옥소-2-( 피롤리딘 -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6과 제조예 11.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A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73.8(M+H+).
실시예 30: 2 -(4-(2,6- 디플루오로 -4-(2-피페리딘-1-일) 에톡시 )-페닐)-1,4-디아제판-1-일)-7-메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단계 1: 제조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Boc-피페라진 대신에 Boc-디아제판을 사용하여 tert-부틸 4-(4-(벤질옥시)-2,6-디플루오로페닐)디아제판-1-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제조예 2.3. 내지 2.6.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4-(4-(벤질옥시)-2,6-디플루오로페닐)디아제판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6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88.3(M+H+).
실시예 31: 2 -(4-(4-(2- 아지도에톡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6과 제조예 11.1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E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31.7(M+H+).
실시예 32: 2 -(4-(4-(2- 아미노에톡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10% Pd/C를 넣고 수소기체 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06.2(M+H+).
실시예 33: 2 -(4-(2,6- 디플루오로 -4-(2-(4- 메틸 -2- 옥소피페라진 -1-일) 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6과 제조예 11.1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F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503.2(M+H+).
실시예 34: 2 -(4-(4-(2-(4- 아미노피페리딘 -1-일) 에톡시 )-2,6- 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단계 1: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6, 제조예 11.1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G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N-Cbz로 보호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10% Pd/C를 넣고 수소기체 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89.2(M+H+).
실시예 35: 2 -(4-(2,6- 디플루오로 -4-(2-(3- 히드록시피롤리딘 -1-일) 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6과 제조예 12.2.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2A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76.0(M+H+).
실시예 36: 2 -(4-(2,6- 디플루오로 -4-(2-(4- 히드록시피페리딘 -1-일) 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6과 제조예 12.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2B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90.1(M+H+).
실시예 37: 6 -(4-(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단계 1: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195 mg, 0.710 mmol), 제조예 2.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2A(195 mg, 0.852 mmol), 소디움 tert-부톡사이드(204.6 mg, 2.130 mmol), BINAP(44.2 mg, 0.035 mmol), Pd2(dba)3(32.5 mg, 0.133 mmol) 및 톨루엔을 봉해진 튜브에 가한 후, 150℃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냉각한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EA로 희석하여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다. Na2SO4로 건조, 여과 및 감압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104 mg, 0.204 mmol)을 MeOH(0.68 ml) 및 EtOAc(0.2 ml)에 용해시켰다. 10% Pd/C 20 mg을 넣고 수소기체 하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에테르로 여과하여 흰색 고체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20.9(M+H+).
실시예 38: 6 -(4-(2,6- 디플루오로 -4-(2- 몰포리노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2.10.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2F를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75.0(M+H+).
실시예 39: 6 -(4-(2,6- 디플루오로 -4-(2-(피페리딘-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2.5.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2B를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73.1(M+H+).
실시예 40: 6 -(4-(4-(2-(디메틸아미노) 에톡시 )-2,6- 디플루오로페닐 )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2.1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2G를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33.0(M+H+).
실시예 41: 6 -(4-(2,6- 디플루오로 -4-( 몰포리노메틸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3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45.1(M+H+).
실시예 42: 6 -(4-(2,6- 디플루오로 -4-((4- 메틸피페라진 -1-일) 메틸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 화합물을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58.9(M+H+).
실시예 43: 6 -(4-(2,6- 디플루오로 -4-( 옥세탄 -3- 일옥시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2.8.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2D를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17.7(M+H+).
실시예 44: 6 -(4-(2,6- 디플루오로 -4-(1- 메톡시에틸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4로부터 수득한 화합물을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03.9(M+H+).
실시예 45: 6 -(4-(2,6- 디플루오로 -4-(((2- 메톡시에틸 )( 메틸 )아미노) 메틸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 화합물을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47.0(M+H+).
실시예 46: 6 -(4-(2,6- 디플루오로 -4-(2-( 피롤리딘 -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11.10.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C를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59.0(M+H+).
실시예 47: 6 -(4-(2,6- 디플루오로 -4-(2-(4- 메틸피페라진 -1-일) 에톡시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제조예 11.9.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1D를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88.9(M+H+).
실시예 48: 6 -(4-(2,6- 디플루오로 -4-(3-(피페리딘-1-일) 프로폭시 )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3.6.으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I-13과 실시예 26에서 사용한 아민 화합물을 실시예 37과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 487.0(M+H+).
실시예 49: 탄키라제 1에 대한 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48에 따라 합성한 신규 화합물들의 탄키라제 1에 대한 활성을 Trevigen 키트(Cat. No. 4700-096-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폴리 PAR 히스톤 단백질이 코팅된 96-웰 플레이트, 항-PAR 단클론 항체 및 염소 항-마우스 IgG-HRP를 사용하여 ELISA 방식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0X I-PAR 어세이 완충액에 물을 첨가하여 1X로 희석한 후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0 μl씩 넣어 3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상등액을 모두 제거하고 웰 당 1X I-PAR 어세이 완충액 10 μl, 어세이 기질 15 μl를 넣어 혼합한 후 테스트하고자 하는 저해제 즉, 상기 실시예 1 내지 48의 화합물을 50X로 준비하여 1 μl씩 첨가하였다. 10 mUnits/μl 농도의 탄키라제 1 효소를 1X I-PAR 어세이 완충액에 50배 희석하여 각 웰에 25 μl씩 첨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양성 대조군으로, 탄키라제 1 효소 대신 동일한 부피의 1X I-PAR 어세이 완충액을 첨가한 것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PBS에 0.1% 트리톤 X-100을 첨가하여 제조한 PBSX로 200 μl씩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척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PBS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더 세척하였다. 5X 항체 희석액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1배로 희석한 후 1/2000로 희석한 염소 항-마우스 IgG-HRP을 각 웰에 50 μl씩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위와 같이 PBSX와 PBS를 이용한 세척을 각각 2회씩 반복하였다. TACS-사파이어 50 μl를 첨가하고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광하여 10 내지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반응액은 파란 색으로 변하였다. 반응을 멈추기 위하여 0.2N HCl 50 μl를 첨가하면 노란색으로 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50 nm에서 상기 반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이의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25

    식 중에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C1-6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또는 C1-6 디히드록시알킬;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R4 또는 CO;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26
    는 X 및 Y에 따라 결정되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l은 0, 1 또는 2;
    R2는 부재, 수소, 히드록시, 시아노 또는 C1-6 알킬;
    R3
    Figure pat00027
    ,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3 알킬,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릴-C1-3 알킬;
    R4는 부재, 수소, 히드록시, C1-6 알킬 또는 아미노;
    m은 0, 1, 2 또는 3;
    n은 0, 1, 2, 3, 4 또는 5;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C1-6 알킬, C2-6 알케닐,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디히드록시알킬, 비치환 또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6 할로알킬, C3-7 사이클로알킬, C1-6 알킬옥소, 시아노, 니트로, 카르복시, C1-6 알콕시카보닐 또는 -Z-(CH2)p-R6;
    p는 0, 1, 2, 3, 4, 5 또는 6;
    Z는 -O-, -S(O)q-, -NR7-, -CONR7-, -CHR7- 또는 부재;
    q는 0, 1 또는 2;
    R6은 수소, 시아노, 히드록시, 아지도,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5-10 아릴, 카르복시, C1-6 디히드록시알킬, C1-6 알킬, 비치환된 또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6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S(O)r-R8, -O-(C=O)-R8, -(C=O)-R8, -OR8, -COOR8, -NR9R10 또는 -(C=O)NR9R10;
    r은 0, 1 또는 2;
    R7은 수소, C1-6 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
    R8은 수소, C1-6 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아미노알킬, 헤테로사이클릴,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C1-6 알킬옥소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 알킬, C1-6 알콕시, 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킬-C3-6 사이클로알킬, C1-3 알콕시-C1-3 알킬 또는 -(SO2)-C1-3 알킬;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히드록시, 옥소, C1-6 히드록시알킬, 할로, 시아노, 니트로,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3 알콕시-C1-3 알킬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할로알킬, 할로, 시아노, 피라지닐, 히드록시, 옥소, 니트로, 포르밀, C1-6 알킬포르밀, 카르복시, C1-6 알킬카르복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카바모일, C1-6 알킬카바모일, 디(C1-6 알킬)카바모일 또는 C1-6 알킬설포닐로 치환될 수 있음.
  2. 제1항에 있어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C1-6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또는 C1-6 디히드록시알킬;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CH2;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28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및
    l은 1 또는 2인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또는 C1-6 알킬;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CH2;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29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l은 1 또는 2;
    R2는 부재, 수소 또는 히드록시;
    R3
    Figure pat00030
    또는 헤테로아릴;
    R4는 부재 또는 수소;
    m은 0;
    n은 1, 2 또는 3;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C2-6 알케닐,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1-6 히드록시알킬, C1-6 디히드록시알킬 또는 -Z-(CH2)p-R6;
    p는 0, 1, 2, 3, 또는 5;
    Z는 -O-, -NR7- 또는 부재;
    R6은 시아노, 히드록시, 아지도, C1-6 알콕시, C1-3 알콕시C1 -3 알킬, C5-10 아릴, 카르복시, C1-6 디히드록시알킬, 비치환된 또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C1-6 할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S(O)r-R8, -O-(C=O)-R8, -(C=O)-R8, -NR9R10 또는 -(C=O)NR9R10;
    r은 2;
    R7은 수소;
    R8은 수소, C1-6 알킬, C1-6 알콕시, 아미노, C1-6 알킬아미노, C1-6 아미노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릴;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6 알킬, C1-3 알콕시-C1-3 알킬 또는 -(SO2)-C1-3 알킬;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 히드록시, 아미노, 옥소, C1-6 히드록시알킬 또는 할로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C1-6 알킬로 치환된 것인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V는 N 또는 CH;
    R1은 수소 또는 메틸;
    W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CH2;
    Y는 N 또는 C;
    Figure pat00031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
    l은 1 또는 2;
    R2는 부재, 수소 또는 히드록시;
    R3
    Figure pat00032
    또는 헤테로아릴;
    R4는 부재 또는 수소;
    m은 0;
    n은 1, 2 또는 3;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로, 비닐, 이소프로폭시, 메톡시에틸, 메톡시프로필, 히드록시에틸, 1,2-디히드록시에틸, 2,3-디히드록시프로필 또는 -Z-(CH2)p-R6;
    p는 0, 1, 2, 3, 또는 5;
    Z는 -O-, -NR7- 또는 부재;
    R6은 시아노, 히드록시, 아지도, 메톡시, 에톡시, 메톡시에틸, C5-10 아릴, 카르복시, 1,2-디히드록시에틸, 1-클로로-3-히드록시이소프로필, 퍼플루오로메틸,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S(O)r-R8, -O-(C=O)-R8, -(C=O)-R8, -NR9R10 또는 -(C=O)NR9R10;
    r은 2;
    R7은 수소;
    R8은 수소, 메틸, 아미노, 메틸아미노 또는 아미노에틸;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또는 메톡시에틸;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5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질소, 산소, 황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헤테로원소를 포함하는 3원 내지 10원 단일 또는 융합 고리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사이클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메틸, 플루오로, 히드록시, 아미노 또는 옥소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메틸로 치환된 것인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
    상기 헤테로아릴은 테트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딜, 트리아지닐, 피롤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피라지닐, 퓨릴, 티에닐,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퓨라자닐,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다졸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벤조퓨라닐, 벤조이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또는 아자인돌릴;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디하이드로퓨라닐, 디하이드로피라닐, 디옥사닐, 디티아닐, 디옥솔라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롤리닐, 옥세타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닐, 티오몰포리닐, 디옥소티오몰포리닐, 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 디옥소티올라닐, 옥소피페리디닐, 옥소피롤리디닐 또는 옥소옥사졸리디닐인 것인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은 페닐
    상기 헤테로아릴은 테트라졸릴 또는 이미다졸릴;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옥세타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또는 몰포리닐인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사이클릴은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옥세타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닐, 4-메틸피페라지닐, 4-메틸-2-옥소피페라지닐, 3-히드록시피롤리디닐, 2-히드록시메틸피롤리디닐, N-메틸피롤리디닐, 4-히드록시피페리디닐, 4-히드록시-4-메틸피페리디닐, 4-아미노피페리디닐, 2-옥소피페리디닐, 2,6-디메틸피페리디닐 또는 4,4-디플루오로피페리디닐인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1) 2-(4-(2-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 2-(4-(4-(벤질옥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4) 2-(4-(2,6-디플루오로-4-(2-몰포리노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5) 2-(4-(2,6-디플루오로-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6) 2-(4-(4-(2-(디메틸아미노)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7) 2-(4-(2,6-디플루오로-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8) (S)-2-(3,5-디플루오로-4-(4-(7-메틸-4-옥소-3,4-디하이드로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2-일)피페라진-1-일)페녹시)에틸 2-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9) 2-(4-(4-(2,3-디히드록시프로폭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0) 2-(4-(2,6-디플루오로-4-(몰포리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1) 2-(4-(2,6-디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2) 2-(4-(2,6-디플루오로-4-(옥세탄-3-일옥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3) 2-(4-(2,6-디플루오로-4-(1-히드록시에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4) 2-(4-(2,6-디플루오로-4-(1-메톡시에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5) 2-(4-(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6) 2-(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7)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8)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틸아미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19) 2-(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0) 2-(4-(4-(1,2-디하이드록시에틸)-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1) 2-(4-(4-(2,3-디하이드록시프로필)-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2) 2-(4-(1H-테트라졸-5-일)피페리딘-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3) 7-메틸-2-(4-(2-메틸-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1-일)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4) 2-(4-(2,6-디플루오로-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5) 2-(4-(2,6-디플루오로-4-(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6) 2-(4-(2,6-디플루오로-4-(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7) 2-(4-(4-(비스(2-메톡시에틸)아미노)-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8) 2-(4-(2,6-디플루오로-4-(2-옥소-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29) 2-(4-(2,6-디플루오로-4-(2-옥소-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0) 2-(4-(2,6-디플루오로-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1,4-디아제판-1-일)-7-메틸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4(3H)-온,
    31) 2-(4-(4-(2-아지도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2) 2-(4-(4-(2-아미노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3) 2-(4-(2,6-디플루오로-4-(2-(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4) 2-(4-(4-(2-(4-아미노피페리딘-1-일)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5) 2-(4-(2,6-디플루오로-4-(2-(3-히드록시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6) 2-(4-(2,6-디플루오로-4-(2-(4-히드록시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7-메틸이미다조[1,5-f][1,2,4]트리아진-4(3H)-온,
    37) 6-(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38) 6-(4-(2,6-디플루오로-4-(2-몰포리노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39) 6-(4-(2,6-디플루오로-4-(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0) 6-(4-(4-(2-(디메틸아미노)에톡시)-2,6-디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1) 6-(4-(2,6-디플루오로-4-(몰포리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2) 6-(4-(2,6-디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3) 6-(4-(2,6-디플루오로-4-(옥세탄-3-일옥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4) 6-(4-(2,6-디플루오로-4-(1-메톡시에틸)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5) 6-(4-(2,6-디플루오로-4-(((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메틸)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6) 6-(4-(2,6-디플루오로-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47) 6-(4-(2,6-디플루오로-4-(2-(4-메틸피페라진-1-일)에톡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 및
    48) 6-(4-(2,6-디플루오로-4-(3-(피페리딘-1-일)프로폭시)페닐)피페라진-1-일)-3-메틸이미다조[1,5-a]피라진-8(7H)-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이의 토토머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이의 토토머, 이의 입체이성질체 및 혼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중추신경계 손상(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및 염증성 질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탄키라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탄키라제 1, 탄키라제 2 또는 둘 모두를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키라제 관련 질환은 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중추신경계 손상(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및 염증성 질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머리, 목, 눈, 입, 인후, 식도, 기관지, 후두, 인두, 흉부, 골, 폐, 결장, 직장, 대장, 위, 전립선, 방광, 자궁, 자궁경부, 유방, 난소, 고환, 이외의 생식기관, 피부, 갑상선, 혈액, 림프절, 신장, 간, 췌장, 뇌, 중추신경계, 고형종양 및 혈액전염성 종양의 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결장암, 직장암, 대장암, 유방암, 폐암 또는 혈액암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60184443A 2014-07-11 2016-12-30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KR20170004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799 2014-07-11
KR20140087799 2014-07-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68A Division KR20160007347A (ko) 2014-07-11 2015-05-15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45A true KR20170004945A (ko) 2017-01-11

Family

ID=553080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68A KR20160007347A (ko) 2014-07-11 2015-05-15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KR1020160184443A KR20170004945A (ko) 2014-07-11 2016-12-30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68A KR20160007347A (ko) 2014-07-11 2015-05-15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79785B2 (ko)
EP (1) EP3166946A4 (ko)
KR (2) KR20160007347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7077B2 (ja) 2011-07-13 2016-07-27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タンキラーゼ阻害剤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4−ピペリジニル化合物
CN104093720B (zh) 2012-01-26 2017-04-12 H.隆德贝克有限公司 具有咪唑并三嗪酮骨架的pde9抑制剂
ES2585044T3 (es) 2012-03-28 2016-10-03 Merck Patent Gmbh Derivados de pirazinona bicíclicos
EA027628B1 (ru) 2012-05-04 2017-08-31 Мерк Патент Гмбх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ролотриазинона
WO2013182580A1 (en) 2012-06-07 2013-12-12 F. Hoffmann-La Roche Ag Pyrrolopyrimidone and pyrrolopyridone inhibitors of tankyrase
KR20150016406A (ko) 2012-06-07 2015-02-11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탄키라제의 피라졸로피리미돈 및 피라졸로피리돈 억제제
KR20150011838A (ko) 2012-06-20 2015-02-02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탄키라아제 억제제로서의 피롤로피라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79785B2 (en) 2019-01-15
EP3166946A2 (en) 2017-05-17
US20170166572A1 (en) 2017-06-15
KR20160007347A (ko) 2016-01-20
EP3166946A4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4962B1 (ko) 8,9-디하이드로이미다졸[1,2-a]피리미도[5,4-e]피리미딘-5(6H)-케톤계 화합물
DK2497470T3 (en) Imidazotriaziner and imidazopyrimidines as kinase inhibitors
CN110372720B (zh) 一类激酶抑制剂
KR101828187B1 (ko) 신규 축합 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그 염
US9956220B2 (en) Imidazo-pyridazine derivatives as casein kinase 1 δ/ϵ inhibitors
JP2020504747A (ja) 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調製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102388312B1 (ko) 아미노피리미딘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9260435B2 (en) Substituted imidazopyrazines as Akt kinase inhibitors
CN112521369A (zh) 用于抑制fasn的化合物及组合物
USRE48974E1 (en) (5,6-dihydro)pyrimido[4,5-E]indolizines
JP2016503408A (ja)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置換三環式ベンゾイミダゾール
KR20200115583A (ko) Cdk4 및 cdk6 억제제로서의 2h-인다졸 유도체 및 그의 치료 용도
JP6283688B2 (ja) カゼインキナーゼ1d/e阻害剤としての新規なピラゾール置換のイミダゾピラジン
CN114728945B (zh) 3,5-二取代吡唑化合物作为激酶抑制剂及其应用
WO2019011228A1 (zh) 咪唑并[1,2-b]嘧啶并[4,5-d]哒嗪-5(6H)-酮类化合物及其应用
KR20190098266A (ko) 치환된 축합 헤테로아릴기 화합물인 키나제 억제제 및 이의 응용
JP6930060B2 (ja) 新規なジヒドロピラノピリミジノ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Novel dihydropyranopyrimidinone derivatives、and use thereof}
KR101739003B1 (ko) 신규한 트리아졸로피리미디논 또는 트리아졸로피리디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CN111499613A (zh) N-甲酰胺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用途
KR101854117B1 (ko) 1,6-이치환된 인돌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물 내성 및 부작용이 저감된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JP2024510502A (ja) 血漿カリクレインのイミダゾピリジニル阻害剤
KR20170004945A (ko) 신규한 이미다조트리아지논 또는 이미다조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들의 용도
KR102344185B1 (ko) 신규한 Pim 키나아제 억제제 및 이의 용도
CN114026097B (zh) 取代的吡唑并喹唑啉酮化合物及其应用
CN116670134A (zh) 取代的咪唑并[1,5-b]哒嗪化合物作为激酶抑制剂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