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65U - 담뱃갑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담뱃갑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65U
KR20170004065U KR2020160002805U KR20160002805U KR20170004065U KR 20170004065 U KR20170004065 U KR 20170004065U KR 2020160002805 U KR2020160002805 U KR 2020160002805U KR 20160002805 U KR20160002805 U KR 20160002805U KR 20170004065 U KR20170004065 U KR 201700040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lid
cigarette
opening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2020160002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065U/ko
Publication of KR20170004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23/00Cases for tobacco, snuff, or chewing tobacco
    • A24F23/02Tobacco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separate interfitting hinge elements fix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 resp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담뱃갑 표면에 인쇄된 불쾌한 사진 및 문구의 노출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덮개의 개방이 용이함으로써 흡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소지 중에 덮개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차단됨으로써 담배가루 유출로 인한 의복, 소지품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담뱃갑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담뱃갑용 케이스{cigarette pack case}
본 고안은 담뱃갑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뱃갑 표면에 인쇄된 불쾌한 사진 및 문구의 노출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덮개의 개방이 용이함으로써 흡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소지 중에 덮개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차단됨으로써 담배가루 유출로 인한 의복, 소지품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담뱃갑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담배로 인한 유해성이 널리 알려짐에 따라 흡연자의 금연 시도가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나, 담배는 그 중독성 및 습관성이 상당하므로 여전히 상당수의 인구가 흡연을 즐기고 있다.
한편, 담뱃갑에는 틈새가 있는바, 담뱃갑 자체를 소지하는 경우, 틈새를 통해 담배가루가 유출되므로 이로 인해 의복, 소지품 등이 오염되었던바, 일부 흡연자의 경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0854호(공개일 : 2016. 03. 11.)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담뱃갑용 케이스에 담뱃갑을 수납하여 보관하고 있다.
담뱃갑용 케이스는, 담뱃갑을 수용하도록 된 몸체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는바, 덮개로써 몸체의 개방을 차단함에 따라 담뱃갑으로부터 담배가루의 유출이 차단되므로 담뱃갑 자체를 소지하는 것에 비해 의복 및 소지품 등을 말끔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뱃갑 표면에 인쇄된 불쾌한 사진 및 문구의 노출을 차단하므로 담뱃갑 자체를 소지할 때 따르는 불쾌감을 덜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담뱃갑용 케이스의 대다수는 담배 인출 이전 및 이후로 덮개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눌러야만 했으므로 흡연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담뱃갑용 케이스의 대다수는 소지 중에 덮개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므로 소지 중에 담배가루 유출로 인한 의복, 소지품 등의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덮개의 개방이 용이함으로써 흡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지 중에 덮개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차단됨으로써 담배가루 유출로 인한 의복, 소지품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담뱃갑용 케이스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담뱃갑용 케이스에서 덮개의 개방이 불편함으로 인하여 흡연에 번거로움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담뱃갑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담뱃갑용 케이스에서 덮개의 의도하지 않게 개방됨에 따른 담배가루 유출로 인하여 의복, 소지품 등의 오염이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담뱃갑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통해 담뱃갑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담뱃갑이 수용되는 상기 공간의 상부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 상기 몸체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상에서 하강함에 따라 상기 덮개를 잠금 상태로부터 개방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담뱃갑은 상단부가 제거되어 내부의 담배 상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수용된다.
상기 몸체는, 상기 가동부재의 이탈을 차단하는 이탈 방지편; 상기 가동부재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이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자동 개방된다.
상기 덮개는 양측의 하단 각각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코일형 스프링이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됨에 따라 자동 상승한다.
상기 코일형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동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이탈 방지편 및 스토퍼를 수용하는 개방구가 형성된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구는 하단부의 개방 폭이 상단부의 개방 폭에 비해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단부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단 및 하단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통해 담뱃갑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담뱃갑이 수용되는 상기 공간의 상부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 상기 몸체 전면에 전후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상에서 후방측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덮개를 잠금 상태로부터 개방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담뱃갑은 상단부가 제거되어 내부의 담배 상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수용된다.
상기 몸체는, 상기 가동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편; 상기 안착편 중앙부를 관통하는 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이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자동 개방된다.
상기 덮개는 전방 선단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선단이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동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코일형 스프링이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자동 전진한다.
상기 코일형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몸체에 밀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동부재에 밀착된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통공과 마주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는, 몸체 전면에 마련되는 가동부재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덮개가 간단히 개방되는바, 덮개 개방에 따르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어 흡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는 사용자 의도에 의한 가동부재 하강시 또는 누름시에만 덮개가 개방되는바, 덮개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차단되므로 담뱃갑 소지 중 담배가루의 유출로 인한 의복, 소지품 등의 오염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에서 덮개의 개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에서 덮개의 잠금 유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에서 덮개의 개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에서 덮개의 잠금 유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담뱃갑(100)용 케이스(A)는, 몸체(10)와, 덮개(20)와, 가동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 공간(11)을 통해 담뱃갑(100)을 수용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는 이탈 방지편(12) 및 스토퍼(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편(12)은 그 양측 단부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가동부재(30)의 연결플레이트(31)에 형성된 개방구(31a)의 양측 단부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이탈 방지편(12)에 의해 상기 몸체(10)상에서 상기 가동부재(3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3)는 그 하단이 상기 연결플레이트(31)에 형성되는 상기 개방구(31a)의 내하부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스토퍼(13)에 의해 상기 몸체(10)상에서 상기 가동부재(30)의 상승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기 내부 공간(11)에 수용되는 상기 담뱃갑(100)은 상단부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상에서 상기 덮개(20)가 개방되면 상기 담뱃갑(100)에 수납된 담배(110) 상단이 즉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흡연시 상기 담배(110)의 인출이 용이해진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몸체(10)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담뱃갑(100)이 수용되는 상기 내부 공간(11)의 상부 개방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기 덮개(20)는 토션 스프링(2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20)의 잠금이 해제될 때 상기 토션 스프링(21)이 수축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상기 덮개(20)가 상측으로 회동하며 자동 개방된다.
이때, 상기 토션 스프링(21)은 상기 덮개(20)와 상기 몸체(10)를 연결하는 회전축(도면부호 미표시)상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토션 스프링(21)에 의해 상기 덮개(20)가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는 양측의 하단 각각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22)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연결플레이트(31)의 걸림턱(31b)에 걸림에 따라 상기 덮개(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가동부재(30)는, 상기 몸체(10)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10)상에서 하강함에 따라 상기 덮개(20)를 잠금 상태로부터 개방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가동부재(30)는 코일형 스프링(3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하강을 위해 상기 가동부재(30)에 미치던 외력이 해제될 때 상기 코일형 스프링(32)이 신장상태로부터 수축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30)가 자동 상승된다.
이때, 상기 코일형 스프링(32)은, 일단이 상기 몸체(10)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동부재(30),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플레이트(31)에 고정되므로 상기 코일형 스프링(32)이 신장상태로부터 수축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30)가 자동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30)는 상기 몸체(10)의 상기 이탈 방지편(12) 및 상기 스토퍼(13)를 수용하는 상기 개방구(31a)가 형성된 상기 연결플레이트(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방구(31a)는 하단부의 개방 폭이 상단부의 개방 폭에 비해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하단부의 개방 부위를 통해 상기 이탈 방지편(12)의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플레이트(31)는 상단부 양측에 상기 걸림턱(3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31b)에 상기 덮개(20)의 상기 돌기(22)가 걸림에 따라 상기 덮개(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31b)은 상단 및 하단이 경사면(도면부호 미표시)으로 형성됨으로써 개방 상태의 상기 덮개(20)를 하부로 누를 때 상기 덮개(20)의 상기 돌기(22)가 상기 걸림턱(31b)의 상측 상기 경사면을 거쳐 하측 상기 경사면에 걸림에 따라 상기 덮개(20)가 잠금 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가동부재(30)를 하강시킬 때 상기 걸림턱(31b)이 하부로 이동하며 하측 상기 경사면이 상기 덮개(20)의 상기 돌기(22)를 벗어남에 따라 상기 덮개(20)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며 개방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A')는, 몸체(10')와, 덮개(20')와, 가동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가동부재(30')가 안착되는 안착편(14); 상기 안착편(14) 중앙부를 관통하는 통공(15);을 포함할 뿐 이전에 설명한 상기 몸체(10)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기 내부 공간(11)에 수용되는 상기 담뱃갑(100) 또한 상단부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상에서 상기 덮개(20')가 개방되면 상기 담뱃갑(100)에 수납된 상기 담배(110) 상단이 즉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흡연시 상기 담배(110)의 인출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20')는 전방 선단으로부터 하부로 이어지는 돌기(22')를 포함할 뿐 위에서 설명한 상기 덮개(20)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돌기(22')는 선단이 쐐기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쐐기형의 상기 돌기(22') 선단이 상기 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15)에 걸림에 따라 상기 덮개(2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가동부재(30')는, 상기 몸체(10') 전면에 전후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10')상에서 후방측, 다시 말해 상기 몸체(10') 내부측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덮개(20')를 잠금 상태로부터 개방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가동부재(30')는 코일형 스프링(3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후방측으로의 유동을 위해 상기 가동부재(30)에 미치던 외력이 해제될 때 상기 코일형 스프링(32')이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30')가 자동 전진된다.
이때, 상기 코일형 스프링(32')은, 일단이 상기 몸체(10')에 밀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동부재(30')에 밀착되므로 상기 코일형 스프링(32')이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30')가 자동 전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30')는 상기 몸체(10')의 상기 통공(15)과 마주하는 돌출부(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30')가 후방측, 즉 상기 몸체(10) 내부측으로 유동할 때 상기 돌출부(33) 또한 후방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통공(15) 내부로 삽입되는바, 이에 의해 상기 통공(15)에 걸려있던 상기 덮개(20')의 상기 돌기(22') 선단이 상기 통공(15) 외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덮개(20')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되며 개방된다.
본 고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A, A')의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10, 10')는 내부 공간(11)을 구비하는바, 도 4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1)을 통해 상기 담뱃갑(100)의 수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몸체(10, 10')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덮개(20, 1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담뱃갑(100) 소지중 담배가루 유출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20, 20')는 잠금 상태 유지가 가능한바, 상기 덮개(20, 2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담뱃갑(100) 소지중 담배가루 유출이 방지된다.
즉,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20, 20')는 양측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돌기(22) 또는 전방 선단에서 하부로 이어지는 상기 돌기(22')를 포함하는바, 도 6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의 상기 덮개(20, 20')를 눌러 상기 몸체(10, 10') 상단을 덮게 되면 상기 돌기(22, 22')가 상기 가동부재(30)의 상기 연결플레이트(31) 상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31b) 또는 상기 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15)에 걸리게 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덮개(20, 20')가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담뱃갑(100) 소지에 앞서 상기 덮개(20, 20')의 잠금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차후 상기 담뱃갑(100) 소지중에 담배가루 유출이 방지되므로 담배가루 유출로 인한 중에 의복, 소지품 등의 오염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흡연시에는 상기 덮개(20, 20')를 개방한 후 상기 몸체(10, 10') 내부로부터 상기 담배(110)을 인출해야만 하므로 상기 덮개(20, 20') 개방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기 가동부재(30, 30')는, 승강 가능하거나, 전후 유동이 가능한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30)를 하부로 눌러 상기 연결플레이트(31) 상단부 양측의 상기 걸림턱(31b)이 상기 덮개(20) 양측 하단의 상기 돌기(22)를 벗어나도록 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30')를 후방측으로 눌러 상기 돌출부(33)로써 상기 몸체(10')의 상기 통공(15)에 걸린 상기 덮개(20') 전방 선단의 상기 돌기(22')를 상기 통공(15)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면 상기 덮개(20. 20')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기 토션 스프링(21)의 신장에 의해 상부로 회동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덮개(20, 20')가 간단히 개방된다.
따라서, 흡연에 앞서 상기 덮개(20, 20')를 하부로 누르거나 후방으로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몸체(10, 10') 내부로부터 상기 담배(110) 인출이 가능해지므로 흡연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하부로 눌리거나 후방으로 눌린 상기 가동부재(30, 30')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해제될 때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32)이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함에 따라 자동으로 상승하거나, 상기 코일형 스프링(32')이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자동으로 전진하므로 상기 가동부재(30, 30')의 복귀에 따르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담뱃갑용 케이스(A, A')는, 상기 몸체(10, 10') 전면에 마련되는 상기 가동부재(30, 30')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덮개(20, 20')가 간단히 개방되는바, 상기 덮개(20, 20') 개방에 따르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어 흡연이 용이해질 수 있고, 사용자 의도에 의한 상기 가동부재(30, 30') 하강시 또는 누름시에만 상기 덮개(20, 20')가 개방되는바, 상기 덮개(20, 20')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차단되므로 상기 담뱃갑(100) 소지 중 담배가루의 유출로 인한 의복, 소지품 등의 오염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몸체 11 : 내부 공간
12 : 이탈 방지편 13 : 스토퍼
14 : 안착편 15 : 통공
20, 20' : 덮개 21 : 토션 스프링
22, 22' : 돌기 30, 30' : 가동부재
31 : 연결플레이트 31a : 개방구
31b : 걸림턱 32, 32' : 코일형 스프링
33 : 돌출부 100 : 담뱃갑
110 : 담배 A, A' : 담뱃갑용 케이스

Claims (12)

  1. 내부 공간을 통해 담뱃갑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담뱃갑이 수용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
    상기 몸체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상에서 하강함에 따라 상기 덮개를 잠금 상태로부터 개방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뱃갑은 상단부가 제거되어 내부의 담배 상단이 노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가동부재의 이탈을 차단하는 이탈 방지편; 상기 가동부재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이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자동 개방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양측의 하단 각각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코일형 스프링이 신장 상태로부터 수축됨에 따라 자동 상승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동부재에 고정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이탈 방지편 및 스토퍼를 수용하는 개방구가 형성된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하단부의 개방 폭이 상단부의 개방 폭에 비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단부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단 및 하단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12. 내부 공간을 통해 담뱃갑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담뱃갑이 수용되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
    상기 몸체 전면에 전후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상에서 후방측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덮개를 잠금 상태로부터 개방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담뱃갑용 케이스.
KR2020160002805U 2016-05-23 2016-05-23 담뱃갑용 케이스 KR201700040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05U KR20170004065U (ko) 2016-05-23 2016-05-23 담뱃갑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05U KR20170004065U (ko) 2016-05-23 2016-05-23 담뱃갑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65U true KR20170004065U (ko) 2017-12-01

Family

ID=6125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805U KR20170004065U (ko) 2016-05-23 2016-05-23 담뱃갑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0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104B1 (ko) * 2019-10-21 2020-07-29 주식회사 제이에프티 전자담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104B1 (ko) * 2019-10-21 2020-07-29 주식회사 제이에프티 전자담배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7881B2 (ja) 蓋付き容器
KR101642179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BE1001581A3 (fr) Recipient de mise au rebut d'objets pointus.
JP4449725B2 (ja) 片開きボトル
JP5078105B2 (ja) 蓋付き容器
JP2011093544A (ja) 飲料容器の二重ロック構造
AU2002342561A1 (en) Container for cigarette and cigarillo packs
KR20170004065U (ko) 담뱃갑용 케이스
JP2017007742A5 (ko)
JP6031982B2 (ja) ボタン付き容器
JP3206564U (ja) 収容ケース
JP3152973U (ja) ランドセルのダルマ座金具
FR3075727A1 (fr) Couvercle pour fermer une ouverture dans une paroi
JP7193214B2 (ja) ロック機構付き箱型容器
JP4721215B2 (ja) 蓋体付き容器
JP3986774B2 (ja) 補助蓋付き安全キャップ
JP3643768B2 (ja) 機器の蓋取付け構造
KR200485040Y1 (ko) 바지 포켓의 이탈방지 구조
CN211511138U (zh) 一种能够锁定的收纳凳
JP2989174B1 (ja) 携帯用灰皿
FR2617813A1 (fr) Recipient de mise au rebut d'objets pointus
KR200478614Y1 (ko) 파지한 손으로 개방이 용이한 잠금장치를 구비한 서류가방
JP3602651B2 (ja) ティシュペーパ類収納容器
JPS6018169Y2 (ja) コンパクト等の容器の開閉機構
JPH0910031A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