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599A -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및 수부재용 커버 - Google Patents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및 수부재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599A
KR20170003599A KR1020167033440A KR20167033440A KR20170003599A KR 20170003599 A KR20170003599 A KR 20170003599A KR 1020167033440 A KR1020167033440 A KR 1020167033440A KR 20167033440 A KR20167033440 A KR 20167033440A KR 20170003599 A KR20170003599 A KR 2017000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over
connector
connector body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311B1 (ko
Inventor
다다시 오키야마
히데토시 가토
마사히코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95348A external-priority patent/JP63408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05316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241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6300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66993A1/ja
Publication of KR2017000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5Rigid ampoules, e.g. glass 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1Inlet or outlet ports with connection retaining means, e.g. thread or snap-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7Inlet or outlet ports with friction fit, e.g. connecting tubes directly to a protruding 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44Separating means having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5Connecting means having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65Connecting means having aligning and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A61M39/18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 connection under sterile conditions, i.e. sterile do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27Quick-acting type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2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with a septum present in the conn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1)는, 용기(180)의 입구(183)를 밀봉하는 마개체(186)에 천자할 수 있는 천자침(20)과, 천자침(20)에 형성된 유로(21)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는 커버(90)를 구비한다. 천자침(20)은 커버(90)를 관통하여 마개체(186)를 천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천자침(20)은 커넥터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90)는 슬라이더(50)에 유지되어 있다. 슬라이더(90)는,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천자침(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50)는, 용기(180)의 입구의 플랜지(182)에 걸어 맞춤 가능한 클로(claw)(66, 7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및 수부재용 커버{DRUG CONTAINER CONNECTOR AND MALE MEMBER COVER}
본 발명은, 바이알병과 같은 밀폐된 의약품용 용기에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암(雌)부재에 삽입(천자(穿刺)를 포함한다)되는 수(雄)부재에 장착할 수 있는 수부재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바이알병과 같은 밀폐된 의약품용 용기 내에는, 일반적으로, 분말형상의 약제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 바이알병 내에 용해액을 주입하고 약제를 용해하여 약액을 얻은 후, 상기 약액을 바이알병으로부터 취출한다. 취출된 약액은, 일반적으로 약액 백(bag)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바이알병에 수용된 약제가, 예를 들면 항암제와 같이 극약으로 지정된 약제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위험한 약제를 포함하는 약액이 누출되어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부착되거나, 그 증기를 작업자가 흡인하는 사태는 회피해야 한다. 따라서, 바이알병 내의 약제를 용해하여, 그 약액을 약액 백에 이송하는 상기의 일련의 작업은, 약액이 누출될 가능성이 낮은 「폐쇄계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폐쇄계의 디바이스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디바이스(특허문헌 1에서는 이것을 「의료용 커넥터」라고 칭하고 있다)는, 바이알병 및 약액 백이 각각 접속되는 2개의 커넥터와, 시린지가 접속되는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디바이스는, 또한, 바이알병, 약액 백, 시린지 간의 유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콕을 구비하고 있다. 디바이스에, 바이알병, 약액 백, 시린지를 접속한다. 약액 백에는, 당초는 약제를 용해하기 위한 용해액이 저장되어 있다. 콕을 조작하여 유로를 적당히 스위칭함으로써, 약액 백 내의 용해액을 시린지를 통하여 바이알병에 이송하고, 바이알병 내의 약제를 용해하여 약액을 얻고, 그 후, 바이알병 내의 약액을 시린지를 통하여 약액 백에 이송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바이알병을 새로운 바이알병으로 교환하여 동일한 조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필요한 수 및 종류의 바이알병 내의 약제를 용해하여 얻은 약액을 공통된 약액 백 내에 저류할 수 있다.
바이알병의 입구(개구)는, 일반적으로 마개체(고무마개)로 밀봉되어 있다. 상기의 디바이스의 바이알병이 접속되는 커넥터는, 이 마개체에 천자하는, 예리한 선단을 구비한 천자침을 구비한다. 바이알병과 커넥터를 분리한 후, 천자침의 유로 내에 잔존하는 약액이 천자침의 상기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로부터 외계로 누출되는 일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암부재(니들리스 포트(NEEDLE-LESS PORT))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수부재(메일 루어(MALE LUER))를 덮는, 가요성을 가지는 커버(쉴드)가 기재되어 있다. 커버는, 압축 변형 가능한 벨로스 형상의 외주벽과, 외주벽의 일단에 설치된, 수부재의 선단이 삽입되는 머리부와, 외주벽의 타단에 설치된 기초부를 구비한다. 커버의 기초부는, 수부재를 유지하는 기대에 고정된다. 암부재는, 직선 형상의 슬릿(절입(切入))이 형성된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격벽 부재(일반적으로 「세프탐」이라고 불린다)를 구비한다. 수부재와 암부재를 접속할 때에는, 수부재는, 커버를 관통하고, 또한 세프탐의 슬릿에 삽입된다. 이 때, 커버의 외주벽은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수부재를 암부재로부터 분리하면, 커버의 외주벽은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여, 수부재를 덮는다.
특허문헌 2의 커버를 상기의 디바이스의 천자침에 적용함으로써, 바이알병과 커넥터를 분리한 후에 약액이 천자침으로부터 외계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국제 공개 제2013/161979호 팜플렛 일본국 특허공개 2012-254142호 공보
그런데, 실제로 특허문헌 2의 커버를 특허문헌 1의 디바이스의 천자침에 적용하면, 바이알병과 커넥터를 분리한 후에, 커버의 외주벽이 즉시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천자침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가 외계에 노출되므로, 상기 개구로부터 유로 내에 잔존하는 약액이 누출되어 버린다.
특허문헌 2에는, 커버의 외주벽이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커버의 머리부의 선단에, 암부재와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 형상을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바이알병은, 커버의 걸어 맞춤 형상이 걸어 맞춰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2의 커버는, 천자침을 마개체에 천자했을 때의 마개체에 대한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커버와 마개체의 밀착성이 양호하지 않으면 그 후, 커버와 마개체를 분리했을 때, 커버 및 마개체의 표면에 다량의 약액이 부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바이알병으로 대표되는 용기의 마개체에 천자하는 천자침을 커버로 덮은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와 용기를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커버와 암부재(예를 들면 마개체)와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커버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커버 및 암부재의 각 표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이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는,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는 마개체에 천자할 수 있는 천자침과, 상기 천자침에 형성된 액체가 흐르는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천자침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마개체를 천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천자침은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는 슬라이더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용기의 입구의 플랜지에 걸어 맞춤 가능한 클로(claw)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수부재용 커버는, 수부재의 액체가 흐르는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고, 상기 수부재가 암부재에 삽입될 때 상기 수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수부재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시일(seal) 영역과, 상기 시일 영역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된 가변형 영역과, 상기 수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가변형 영역의 선단에 설치된 슬릿과, 상기 커버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변형 영역은, 상기 시일 영역에 비해,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압축 변형 및 신장 변형이 용이하다. 상기 커버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이격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역 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시일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에 의하면, 천자침이 설치된 커넥터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가, 커버를 유지하고, 또, 용기의 플랜지에 걸어 맞춤 가능한 클로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천자침을 마개체로부터 뽑으면, 천자침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외계에 노출시키지 않고 커버로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와 용기를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부재용 커버는, 시일 영역보다 선단측에, 비교적 용이하게 압축 변형 및 신장 변형할 수 있는 가변형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는, 시일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변형 영역은, 암부재의 변형이나 외형 치수의 상이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커버와 암부재의 밀착성은 양호하다. 암부재에 밀착한 커버는, 암부재를 통한 약액이 누출을 방지한다.
또, 커버가 암부재로부터 이격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가변 영역 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가변형 영역이 압축/신장하면, 밀폐 공간 내의 기압이 변화한다. 밀폐 공간 내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슬릿을 통해서 약액을 밀폐 공간 내에 흡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본 발명의 수부재용 커버에 의하면, 커버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커버 및 암부재의 각 표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부재용 커버를, 커넥터에 설치된 수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의하면, 커버와 암부재의 밀착성은 양호하므로, 커넥터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커버 및 암부재의 각 표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하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하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버의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b는,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a는,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b는,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천자침의 선단 및 이것을 덮는 커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의 전측의 개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의 후측의 개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를 바이알병에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가 장착되는 바이알병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클로가 바이알병의 플랜지에 걸어 맞춰진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클로가 바이알병의 플랜지에 걸어 맞춰진 직후의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의 후측의 개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천자침이 바이알병의 마개체를 천자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천자침이 바이알병의 마개체를 천자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23은, 슬라이더가 중간 정지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확대 사시단면도이다.
도 24는, 슬라이더가 중간 정지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슬라이더가 중간 정지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26은, 슬라이더가 중간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릴리스 버튼을 밀어넣음으로써 중간 스토퍼와 정지 돌기의 충돌이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낸 확대 사시단면도이다.
도 27은, 슬라이더가 커넥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슬라이더가 커넥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클로가 바이알병에 장착한 캡의 외주면을 슬라이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수부재용 커버의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수부재용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커넥터의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4는, 초기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커넥터의, 천자침의 선단 및 이것을 덮는 커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는,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는 마개체에 천자할 수 있는 천자침과, 상기 천자침에 형성된 액체가 흐르는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천자침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마개체를 천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천자침은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는 슬라이더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용기의 입구의 플랜지에 걸어 맞춤 가능한 클로를 구비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는,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의 선단이 상기 마개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가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는 한, 천자침을 마개체로부터 뽑으면, 천자침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는, 외계에 노출되지 않고 커버 내에 확실히 수납된다. 따라서, 커넥터와 용기를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가, 상기 클로와 상기 플랜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와 플랜지의 걸어 맞춤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어 버리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클로가 형성된, 외향(즉, 천자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이 가능한 파지 암과, 상기 파지 암의 굽힘 변형을 제한하는 상기 커넥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잠금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에 의한 잠금 상태 및 비잠금 상태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위치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천자침을 마개체에 천자하는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더를 커넥터 본체를 향해 이동시키는데 연동하여, 잠금 기구가 비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로 스위칭되지 않음으로써, 클로와 플랜지의 걸어 맞춤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어 버리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잠금 기구는 기능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자침이 마개체를 천자한 천자 상태로부터 용기를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 커넥터와 용기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와 용기의 분리 작업이 간단화되어, 비숙련자에게도 분리 작업의 이해가 용이하다.
상기 잠금 기구가 기능하지 않는 비잠금 위치를 향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비잠금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더 인출될 수 없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는 중간 정지 위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와 용기를 분리하는 작업은,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 때문에, 마개체의 천자침이 천자하고 있던 구멍이 닫히기 위한 시간이, 확실히 확보된다. 따라서, 그 후, 커버를 마개체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약액이 마개체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릴리스 버튼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릴리스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슬라이더를 비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커넥터와 용기를 분리하는 작업은,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확실히 정지된다. 이 때문에, 마개체의 천자침이 천자하고 있던 구멍이 닫히기 위한 시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그 후, 커버를 마개체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약액이 마개체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가 기능하지 않는 비잠금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가 위치할 때, 상기 천자침의 상기 개구는 상기 커버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가 비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 클로와 플랜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도,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로부터 약액이 외계로 누출되는 사태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를 용기의 플랜지에 걸어 맞추게 하기 위한 압축력을, 슬라이더가 아닌 커넥터 본체에 인가해도, 슬라이더는 커넥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커넥터를 용기에 장착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슬라이더와 커넥터 본체를 잘못해서 분리해 버리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에 걸어 맞춰진 용기를 커넥터 본체를 향해 이동시켜, 천자침을 마개체에 천자할 수 있다. 또, 천자침이 마개체를 천자한 상태로부터, 클로에 걸어 맞춰진 용기를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천자침을 마개체로부터 뽑을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에 상기 마개체의 상측 끝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접촉 돌기와, 상기 접촉 돌기가 형성된, 외향(즉, 천자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이 가능한 슬라이드 규제 암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로와 접촉 돌기로, 용기의 플랜지 및 마개체를 협지할 수 있다. 또, 접촉 돌기가 굽힘 변형 가능한 슬라이드 규제 암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는 플랜지 및 마개체의 치수의 허용 범위가 확대된다.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 상기 슬라이드 규제 암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충돌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드 규제 암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충돌하지 않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되어,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가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에는, 커넥터 본체에 용기로 향하는 압축력을 인가하여 클로를 플랜지에 걸어 맞추게 할 수 있으며, 일단, 클로가 플랜지에 걸어 맞춰지면, 커넥터 본체에 용기로 향하는 압축력을 인가하여 천자침을 마개체에 천자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에 용기로 향하는 압축력을 간단히 인가하는 것 만으로, 클로가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는 상태로부터, 천자침이 마개체를 천자한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기의 상기 마개체에 접촉하는 끝가장자리는,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는 플랜지 및 마개체의 치수의 허용 범위가 확대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선단에 상기 천자침이 관통할 수 있는 슬릿과, 상기 천자침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시일 영역과, 상기 시일 영역에 대해 상기 선단측에 배치된 가변형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변형 영역은, 상기 시일 영역에 비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른 압축 변형 및 신장 변형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변형 영역은 마개체의 변형에 추종하여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클로가 용기의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는 한, 슬라이더의 커넥터 본체에 대한 위치에 상관없이, 커버의 선단이 마개체에 밀착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와 마개체를 분리한 후에, 커버의 선단이나 마개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 치수가 다양하게 상이한 용기에 대해서도, 외계로 누출되는 약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 상기 가변 영역 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밀폐된 공간 내에, 약액을 저류할 수 있다. 이것은, 외계로 누출되는 약액의 양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상기 천자침이 상기 마개체를 관통하고 있을 때, 상기 밀폐된 공간은 축소 또는 소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소 또는 소실된 공간은, 그 후, 천자침을 마개체로부터 뽑고, 또한, 클로와 플랜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면, 초기 형상으로 복귀한다. 이 복귀 과정에서, 상기 공간 내에 음압이 발생한다. 음압은, 커버의 선단과 마개체의 사이의 약액을 슬릿을 통해서 상기 공간 내에 흡인한다. 따라서, 커버와 마개체를 분리한 후에, 커버의 선단이나 마개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를 상기 슬라이더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시일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에 대한 시일 영역의,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위치는, 슬라이더의 커넥터 본체에 대한 위치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천자침을 마개체로부터 뽑으면, 천자침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는, 외계에 노출되지 않고 커버로 확실히 덮인다. 이 때문에, 커넥터와 바이알병을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천자침에 의해 관통되는 선단에는, 상기 마개체를 향해 돌출한 볼록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버의 선단과 마개체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용기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걸어 맞춤 형상을 설치하지 않아도, 천자침을 마개체로부터 뽑으면, 천자침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는, 외계에 노출되지 않고 커버로 덮인다. 따라서, 걸어 맞춤 형상이 걸어 맞춰지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용기에 대해서도,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항상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직선 형상의 절입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가변형 영역을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슬릿의 시일성이 향상되므로, 가변 영역 내의 밀폐 공간 내에 수납된 약액이 슬릿을 통해서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그 결과, 커넥터와 용기를 분리한 후에 커버의 표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상기 측벽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천자침이 슬릿을 관통했을 때에, 측벽이나 커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측벽을 설치한 것에 의한, 천자침이 슬릿을 관통할 때의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기 천자침 둘레의 회전 방향 위치를 규정하도록,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커버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슬릿의 길이 방향이 한 쌍의 측벽이 대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커버를 슬라이더에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커버측의 끼워맞춤 형상은, 시일 영역에 설치된 유지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측의 끼워맞춤 형상은, 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기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부재용 커버는, 수부재(예를 들면 천자침)의 액체가 흐르는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고, 상기 수부재가 암부재(예를 들면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는 마개체)에 삽입될 때 상기 수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수부재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시일 영역과, 상기 시일 영역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된 가변형 영역과, 상기 수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가변형 영역의 선단에 설치된 슬릿과, 상기 커버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변형 영역은, 상기 시일 영역에 비해,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압축 변형 및 신장 변형이 용이하다. 상기 커버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이격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역 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시일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수부재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가 암부재에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밀폐된 공간은 축소 또는 소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부재가 암부재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커버가 초기 상태의 형상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과정에서, 밀폐 공간 내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밀폐 공간 내의 음압은, 슬릿을 통해서 커버와 암부재의 사이의 약액을 밀폐 공간 내에 흡인한다. 따라서, 커버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커버 및 암부재의 각 표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외면의 상기 슬릿이 설치된 위치에, 암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커버의 선단과 암부재의 밀착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커버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커버 및 암부재의 각 표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암부재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형상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의해, 암부재의 사양에 따라 걸어 맞춤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커버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커버는, 상기 걸어 맞춤 형상과 걸어 맞춰질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지 않는 암부재(예를 들면 바이알병)에 대해서도, 커버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커버 및 암부재의 각 표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암부재에 삽입할 수 있는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의 액체가 흐르는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한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부재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암부재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의 본 발명의 수부재용 커버일 수 있다.
상기 수부재는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의 상기 유지부는 슬라이더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암부재에 걸어 맞춤 가능한 클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부재를 암부재로부터 뽑으면, 수부재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외계에 노출시키지 않고 커버로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커넥터는, 상기 클로가 상기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의 선단이 상기 암부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가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는 한, 수부재를 암부재로부터 뽑으면, 수부재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는, 외계에 노출되지 않고 커버 내에 확실히 수납된다. 따라서, 커넥터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커넥터가, 상기 클로와 상기 암부재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와 암부재의 걸어 맞춤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어 버리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클로가 형성된, 외향(즉, 수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이 가능한 파지 암과, 상기 파지 암의 굽힘 변형을 제한하는 상기 커넥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잠금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에 의한 잠금 상태 및 비잠금 상태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위치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수부재를 암부재에 삽입하는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더를 커넥터 본체를 향해 이동시키는데 연동하여, 잠금 기구가 비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로 스위칭되지 않음으로써, 클로와 암부재의 걸어 맞춤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어 버리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잠금 기구는 기능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부재가 암부재에 삽입된 상태(삽입 상태)로부터 암부재를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 커넥터와 암부재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와 암부재의 분리 작업이 간단화되어, 비숙련자에게도 분리 작업의 이해가 용이하다.
상기 잠금 기구가 기능하지 않는 비잠금 위치를 향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비잠금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더 인출할 수 없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는 중간 정지 위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와 암부재를 분리하는 작업은,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 때문에, 암부재의 수부재가 삽입되어 있던 구멍이 닫히기 위한 시간이, 확실히 확보된다. 따라서, 그 후, 커버를 암부재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약액이 암부재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릴리스 버튼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릴리스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슬라이더를 비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커넥터와 암부재를 분리하는 작업은,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확실히 정지된다. 이 때문에, 암부재의 수부재가 삽입되어 있던 구멍이 닫히기 위한 시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그 후, 커버를 암부재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약액이 암부재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가 기능하지 않는 비잠금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가 위치할 때, 상기 수부재의 상기 개구는 상기 커버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가 비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 클로와 암부재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도,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로부터 약액이 외계로 누출되는 사태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상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를 암부재에 걸어 맞추게 하기 위한 압축력을, 슬라이더가 아닌 커넥터 본체에 인가해도, 슬라이더는 커넥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커넥터를 암부재에 장착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슬라이더와 커넥터 본체를 잘못해서 분리해 버리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에 걸어 맞춰진 암부재를 커넥터 본체를 향해 이동시켜, 수부재를 암부재에 삽입할 수 있다. 또, 수부재가 암부재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클로에 걸어 맞춰진 암부재를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부재를 암부재로부터 뽑을 수 있다.
상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클로가 상기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에 상기 암부재의 상측 끝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접촉 돌기와, 상기 접촉 돌기가 형성된, 외향(즉, 수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이 가능한 슬라이드 규제 암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로와 접촉 돌기로, 암부재를 협지할 수 있다. 또, 접촉 돌기가 굽힘 변형 가능한 슬라이드 규제 암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는 암부재의 치수의 허용 범위가 확대된다.
상기 클로가 상기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 상기 슬라이드 규제 암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충돌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로가 상기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드 규제 암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충돌하지 않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되어,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클로가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에는, 커넥터 본체에 암부재로 향하는 압축력을 인가하여 클로를 암부재에 걸어 맞추게 할 수 있으며, 일단, 클로가 암부재에 걸어 맞춰지면, 커넥터 본체에 암부재로 향하는 압축력을 인가하여 수부재를 암부재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에 암부재로 향하는 압축력을 간단히 인가하는 것 만으로, 클로가 암부재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는 상태로부터, 수부재가 암부재에 삽입된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기의 상기 암부재에 접촉하는 끝가장자리는,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는 암부재의 치수의 허용 범위가 확대된다.
상기 암부재가 바이알병이어도 된다. 또, 상기 수부재가, 상기 바이알병의 입구를 밀봉하는 마개체에 천자할 수 있는 예리한 선단을 구비한 천자침이어도 된다. 바이알병에는, 외계로 누출되면 위험한 약제가 수용되어 있는 일이 있다. 상기의 커넥터에 의하면 약액의 외계로의 누출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바람직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된다.
상기 슬릿은 직선 형상의 절입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가변형 영역을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슬릿의 시일성이 향상되므로, 밀폐 공간 내에 수납된 약액이 슬릿을 통해서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그 결과, 커넥터와 암부재를 분리한 후에 커버의 표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더 줄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상기 측벽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부재가 슬릿을 관통했을 때에, 측벽이나 커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측벽을 설치한 것에 의한, 수부재가 슬릿을 관통할 때의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커넥터는, 상기 커버의 상기 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의 상기 수부재 둘레의 회전 방향 위치를 규정하도록, 상기 유지부 및 상기 유지기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릿의 길이 방향이 한 쌍의 측벽이 대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커버를 유지기에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부재 만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1. 커넥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이하, 간단히 「커넥터」라고 한다)(1)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넥터(1)는, 커넥터 본체(10), 슬라이더(50), 커버(또는 쉴드)(90)로 구성된다. 일점 쇄선(1a)은, 커넥터(1)의 중심축이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심축(1a)과 평행한 축을 Z축으로 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설정한다.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고, Z축의 화살표가 향한 측을 「상」측, 그 반대측을 「하」측이라고 한다. Z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한다. Y축의 화살표가 향한 측을 「전」측, 그 반대측을 「후」측이라고 한다. 중심축(1a)에 직교하는 직선을 따르는 방향을 「반경 방향」 또는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중심축(1a)의 둘레를 회전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축(1a)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외」측 이라고 하고, 중심축(1a)에 가까워지는 측을 「내」측이라고 한다.
커넥터(1)는,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 바이알병이 접속되는 「제2 커넥터(200)」(특허문헌 1의 도 11~도 14 참조)와 치환하여, 특허문헌 1의 디바이스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폐쇄계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커넥터(1) 중, 바이알병과의 접속에 관련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이외의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1.1. 커넥터 본체
도 2a는, 커넥터 본체(10)의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b는, 그 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커넥터 본체(10)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b는, 그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커넥터 본체(10)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 도 4b는, 그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넥터 본체(10)의 하면도이다. 도 4a, 도 4b의 단면은, 중심축(1a) 및 Y축을 포함한다.
도 3a, 도 3b, 도 4a, 도 4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는, 바이알병(용기)(180)의 마개체(186)(후술하는 도 17, 도 18 참조)에 천자하는 천자침(「병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0)을 구비하고 있다. 천자침(20)은, 평면에서 본 형상이 대략 원형인 천판(11)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천자침(20)은 중심축(1a)과 동일축에 배치되어 있다.
천자침(20)은, 봉형상의 부재이며, 예리한 선단(20t)을 형성하기 위해 대략 원뿔면(테이퍼면)의 외면을 가지는 원뿔부(25)와, 원뿔부(25)와 천판(11)을 연결하는 기둥 형상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기둥 형상부(26)의 외주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단, 천자침(20)의 외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둥 형상부(26)가, 원뿔부(25)에 가까워짐에 따라 그 외경이 조금 작아지는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혹은, 원뿔부(25)와 기둥 형상부(26)가 명확하게 구별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천자침(20)의 외주면은, 선단(20t)으로부터 천판(11)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완만하게 변화하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자침(20) 내에는, 그 길이 방향(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한 2개의 유로(21, 22)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로(21)는, 액체가 흐르는 액체 유로이며, 유로(22)는, 기체가 흐르는 기체 유로이다. 액체 유로(21)는, 선단(20t)측에 있어서, 가로구멍(21a)과 연통하고 있다. 가로구멍(21a)은, 반경 방향을 따라 전측을 향해 연장되며, 기둥 형상부(26)의 외주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다. 가로구멍(21a)의 기둥 형상부(26)에서의 개구는,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를 구성한다. 기체 유로(22)는, 선단(20t)측에 있어서, 원뿔부(25)의 외주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다. 액체 유로(21) 및 기체 유로(22)는, 천판(11)을 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천판(11)보다 위에 설치된, 원통면 상의 내주면을 가지는 관 형상부(13)에 이르고 있다.
천자침(20)을 둘러싸도록, 외통(12)이 천판(11)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외통(12)은, 천자침(20)과 동일한 축의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외통(1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개구(31, 4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1)와 개구(41)는, 천자침(20)에 대해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a, 도 4a, 도 4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측의 개구(3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른 양측 끝가장자리로부터, 한 쌍의 가이드 돌기(32)가 개구(31) 내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3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하단은 정지단(33)에서 종단하고 있다. 가이드 돌기(32)는, 외통(12)의 외주면에 대해, 미소하게 천자침(20)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정지단(33)보다 미소하게 윗쪽의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돌기(32)로부터 개구(31) 내를 향해 한 쌍의 정지 돌기(35)가 돌출되어 있다. 정지 돌기(35)의 반경 방향의 두께(치수)는, 정지 돌기(35)의 하측 부분(35a)에서 상대적으로 얇다. 정지 돌기(35)의 내측면(천자침(20)에 대향하는 면)에는, 이 정지 돌기(35)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하측의 박육(薄肉)부(35a)보다 상측에, 위로 감에 따라 천자침(2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경사면(35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 도 4a, 도 4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후측의 개구(41)에 있어서도, 상하 방향을 따른 양측 끝가장자리로부터, 한 쌍의 가이드 돌기(42)가 개구(41) 내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2)는, 외통(12)의 외주면에 대해, 미소하게 천자침(20)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42)로부터 개구(41) 내를 향해 한 쌍의 정지 돌기(45)가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2)의 하단과 정지 돌기(45)의 하단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일치하며, 함께 정지단(43)을 구성하고 있다. 정지 돌기(35)와 상이하게, 정지 돌기(45)의 반경 방향의 두께(치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정지 돌기(45)의 내측면(천자침(20)에 대향하는 면)에는, 정지 돌기(35)의 경사면(35b)과 동일한 경사면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외통(12)의 내주면에, 4개의 홈(17)이, 외통(12)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2개의 홈(17)은 개구(31)를 둘레 방향으로 끼고 배치되며, 다른 2개의 홈(17)은, 개구(41)를 둘레 방향으로 끼고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이러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1.2. 슬라이더
도 6a는, 슬라이더(50)의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b는, 그 후방 상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a는, 슬라이더(50)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b는, 그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슬라이더(50)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 도 8b는, 그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슬라이더(50)의 하면도이다. 도 8a, 도 8b의 단면은, 중심축(1a) 및 Y축을 포함한다.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도 8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0)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구한, 중심축(1a)과 동일축의 중공의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50) 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유지기(58)가 중심축(1a)과 동일축에 설치되어 있다. 유지기(58)는, 슬라이더(50)의 상단 근방의 위치에, X축 방향에 평행한 유지 바(59)를 통하여 슬라이더(5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50)의 대략 원통면 형상을 가지는 측면에는, 한 쌍의 개구(61, 7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61)와 개구(71)는, 중심축(1a)에 대해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개구(61)는 전측에 배치되고, 개구(71)는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개구(61, 71)에 있어서, 개구(61, 71)의 하측 끝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슬라이드 규제 암(이하, 간단히 「규제 암」이라고 한다)(62, 72)이 연장되어 있다. 규제 암(62, 72)은, 그 상단의 머리부(63, 73)를 자유단으로 하는 캔틸레버 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규제 암(62, 72)은, 머리부(63, 73)가 반경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변위하도록,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다. 규제 암(62, 72)은, 그 머리부(63, 73)가 둘레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한 대략 「T」자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7a, 도 7b, 도 8a, 도 8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규제 암(62, 72)의 내면(중심축(1a)에 대향하는 면)의 상단 근방의 위치로부터, 접촉 돌기(64, 74)가 중심축(1a)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접촉 돌기(64, 74)는, 아래로 감에 따라 중심축(1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중심축(1a)에 대해 경사진 끝가장자리(64a, 74a)를 구비한다.
규제 암(62)을 둘레 방향으로 끼우도록, 개구(61)의 상측 끝가장자리 근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한 쌍의 파지 암(65)이 연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규제 암(72)을 둘레 방향으로 끼우도록, 개구(71)의 상측 끝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해 한 쌍의 파지 암(75)이 연장되어 있다. 파지 암(65, 75)은, 그 하단을 자유단으로 하는 캔틸레버 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파지 암(65, 75)은, 그 하단(자유단)이 반경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변위하도록,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다. 파지 암(65, 75)의 외면(중심축(1a)과는 반대측의 면)의 하단 근방의 위치로부터, 잠금 돌기(67, 77)가 반경 방향을 대략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a, 도 7b, 도 8a, 도 8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파지 암(65, 75)의 내면(중심축(1a)에 대향하는 면)의 하단 근방의 위치로부터, 클로(66, 76)가 중심축(1a)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클로(66, 76)의 각각에는, 그 선단(중심축(1a)에 가장 가까운 개소)(66t, 76t)보다 하측에, 선단(66t, 76t)으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짐에 따라 중심축(1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66s, 76s)이 형성되어 있다.
도 6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전측의 개구(61)의 상측의 끝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프론트 어퍼 프레임(68)의 둘레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 릴리스 버튼(52)이 반경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릴리스 버튼(52)의 양측면(반경 방향에 대략 평행한 면)에는, 중간 스토퍼(53) 및 빠짐 방지 돌기(54)가 돌출되어 있다. 빠짐 방지 돌기(54)는, 반경 방향을 대략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 스토퍼(53)는 빠짐 방지 돌기(54)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프론트 어퍼 프레임(68)의 반경 방향의 치수(두께)는, 비교적 얇다. 따라서, 릴리스 버튼(52)을 반경 방향을 따라 내향으로(중심축(1a)을 향해) 누르면, 릴리스 버튼(52)이 중심축(1a)에 가까워지도록, 프론트 어퍼 프레임(68)은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프론트 어퍼 프레임(68) 및 파지 암(65) 중 한쪽의 변형에 의해 다른쪽이 변위하지 않도록, 프론트 어퍼 프레임(68)과 파지 암(65)의 상단(고정단)은 슬릿(69)을 통하여 이격하고 있다(도 6a, 도 6b 참조).
도 6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후측의 개구(71)의 상측의 끝가장자리를 구성하는 리어 어퍼 프레임(78)의 둘레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로부터, 빠짐 방지 돌기(55)가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빠짐 방지 돌기(55)는,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더(50)는,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50)는, 이러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1.3. 커버
도 10a는, 커버(90)의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b는, 커버(90)의 단면도이다. 커버(90)는, 중심축(1a)에 대해 임의의 회전 각도에 대해서 대칭성(이른바 회전 등방성)을 가지고 있다(단, 슬릿(95)을 제외한다).
커버(90)는, 가요성(유연성)을 가지며, 외력을 가하면 변형되며 또한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즉시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는 고무 형상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이른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커버(90)는,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도 10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커버(90)에는, 중심축(1a)을 따른 내강(內腔)(91)이 형성되어 있다. 내강(91)은, 커버(90)의 상단면에 개구하고 있다. 커버(90)는, 상측(기단측)에 시일 영역(92)을, 하측(선단측)에 가변형 영역(93)을, 서로 인접해서 구비하고 있다.
시일 영역(92)에는, 초기 상태(후술하는 도 13, 도 14 참조)에 있어서 천자침(20)이 삽입된다. 시일 영역(92)에서의 내강(91)의 내주면은, 천자침(20)의 외주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시일 영역(92)에서의 내강(91)의 내주면이, 천자침(20)의 외주면(특히 가로구멍(21a)의 근방 영역)에 액밀 및 기밀하게 밀착하도록, 시일 영역(92)에서의 내경은, 천자침(20)의 외경보다 미소하게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형 영역(93)은, 중심축(1a)을 따라 내경이 증대하고 그 후 감소하는, 내주면의 단면 형상이 대략 마름모꼴인 가동부(93a)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가동부(93a)는 1개뿐이지만, 동일한 대략 마름모꼴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가동부(93a)가 중심축(1a)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변형 영역(93)은, 가동부(93a)에 인접해서 그 하측에, 하측에서 내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뿔면 형상을 가지는 안내부(93b)를 구비한다. 단, 안내부(93b)는 생략할 수 있다.
커버(90)의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하측일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외경은, 시일 영역(92)보다 가변형 영역(93)에 있어서 대체로 작다. 또한, 가변형 영역(93)은, 대략 벨로스 형상에 근사한 내주면 형상을 가지는 가동부(93a)를 구비한다. 이들 때문에, 커버(90)의 기계적 강도는, 시일 영역(92)보다 가변형 영역(93)에 있어서 대체로 작다. 따라서, 가변형 영역(93)은, 시일 영역(92)에 비해, 비교적 용이하게 상하 방향을 따라 압축 변형 및 신장 변형할 수 있다.
가변형 영역(93)의 하단면(97)은, 하방을 향해 돌출한 볼록면이다. 볼록면(97)의 형상은, 임의이며, 원뿔면, 구면, 돔형상의 매끄러운 비구면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슬릿(95)이 커버(90)의 선단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슬릿(95)은, 그 하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마이너스)자 형상인 직선 형상의 절입이다. 천자침(20)이 슬릿(95)을 관통하고 있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슬릿(95)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끝가장자리(립)는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95)은, 볼록면(97)의 꼭대기부, 및, 내강(91)의 최심부(즉, 안내부(93b)의 최심부)를 통과한다.
커버(90)의 최대 외경을 가지는 유지부(98)는, 슬라이더(50)의 유지기(58)에 끼워 넣어진다(후술하는 도 13, 도 14 참조). 유지부(98)는, 시일 영역(92) 상에 설치되어 있다.
1.4. 초기 상태의 커넥터
도 11a는, 커넥터(1)의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b는, 커넥터(1)의 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a는, 커넥터(1)의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b는, 커넥터(1)의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커넥터(1)의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커버(90)는, 그 유지부(98)를 유지기(58)에 끼워 넣음으로써, 슬라이더(50)에 유지된다. 슬라이더(50)는, 커넥터 본체(10)의 외통(12) 내에, 아래로부터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 1에 관련된 커넥터(1)가 조립된다. 도 11a, 도 11b, 도 12a, 도 12b, 도 13에 나타내는 커넥터(1)는, 아직 바이알병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 커넥터(1)의 이 상태를 「초기 상태」라고 한다. 초기 상태에 있는 커넥터(1)에 있어서,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위치를 「초기 위치」라고 한다.
도 1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자침(20)의 선단(20t)을 포함하는 부분이, 커버(90)로 덮여 있다. 도 14에, 이것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천자침(20)이, 커버(90)의 내강(91)의 시일 영역(92) 내에 삽입되어 있다. 커버(90)의 내강(91)의 내주면은 천자침(20)의 외주면에 밀착한다. 이에 의해, 시일 영역(92)에 있어서, 내강(91)의 내주면과 천자침(20)의 외주면 사이에, 액밀 및 기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또, 시일 영역(92)에 있어서, 내강(91)의 내주면은, 천자침(2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액체 유로(21)와 연통한 가로구멍(21a)의 개구(바람직하게는, 또한 기체 유로(22)의 개구)를 액밀 및 기밀하게 막는다.
천자침(20)의 선단(20t)은, 커버(90)의 내강(91)의 최심부에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가변형 영역(93)에는 천자침(20)이 실질적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가변형 영역(93)의 내강(91) 내에, 공간(99)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 영역(92)에서는 내강(91)의 내주면이 천자침(20)의 외주면에 밀착한다. 또, 슬릿(95)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끝가장자리(립)는 접촉하여 닫혀져 있다. 따라서, 공간(99)은, 바람직하게는 액밀 및 기밀하게 시일된 밀폐 공간이다. 밀폐 공간(99)은, 약액을 저류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5는, 커넥터 본체(10)의 전측의 개구(31)를 본 확대 사시도이다. 슬라이더(50)의 릴리스 버튼(52)이 개구(31) 내에 끼워 넣어져, 그 선단이 커넥터 본체(10)의 외통(12)의 외주면으로부터 미소하게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개구(31) 내에, 슬라이더(50)의 전측의 규제 암(62)의 상단의 머리부(63)가 보인다. 머리부(63)는, 개구(31) 내에 돌출한 커넥터 본체(10)의 가이드 돌기(32)의 하단의 정지단(33)에, 상하 방향으로 접촉해 있다.
슬라이더(50)의 릴리스 버튼(5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빠짐 방지 돌기(54)는, 개구(31) 내에 돌출한 정지 돌기(35)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슬라이더(50)의 릴리스 버튼(5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중간 스토퍼(53)(도 6a 참조)는, 정지 돌기(35)의 박육부(35a)(도 4b 참조)의 내측면(천자침(20)에 대향하는 면)에 대향하고 있다.
도 16은, 커넥터 본체(10)의 후측의 개구(41)를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와 마찬가지로, 개구(41) 내에, 슬라이더(50)의 후측의 규제 암(72)의 상단의 머리부(73)가 보인다. 머리부(73)는, 개구(41) 내에 돌출한 커넥터 본체(10)의 가이드 돌기(42)의 하단 및 정지 돌기(45)의 하단에 공통된 정지단(43)에, 상하 방향으로 접촉해 있다.
슬라이더(50)의 리어 어퍼 프레임(78)으로부터 돌출한 빠짐 방지 돌기(55)는, 개구(41) 내에 돌출한 정지 돌기(45)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0)의 규제 암(62, 72)의 머리부(63, 73)의 상면은, 커넥터 본체(10)의 정지단(33, 43)에 상하 방향으로 접촉해 있다. 따라서,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50)와 커넥터 본체(10)에 상하 방향의 압축력을 인가해도, 규제 암(62, 72)의 머리부(63, 73)와 정지단(33, 43)이 충돌하므로,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 내에 삽입할 수는 없다.
또, 슬라이더(50)의 빠짐 방지 돌기(54, 55)의 하측에, 커넥터 본체(10)의 정지 돌기(35, 45)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50)와 커넥터 본체(10)에 상하 방향의 인장력을 인가해도, 빠짐 방지 돌기(54, 55)와 정지 돌기(35, 45)가 충돌하므로,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인출할 수는 없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50)와 커넥터 본체(10)를 잘못해서 분리해 버린다는 오조작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바이알병(18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슬라이더(50)는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상하 방향(천자침(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쪽 및 아래쪽 중 어느 쪽으로도 이동할 수 없다.
도 12a, 도 12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0)의 파지 암(65, 75)의 외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 잠금 돌기(67, 77)는, 커넥터 본체(10)의 외통(12)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2. 커넥터의 사용 방법
본 실시형태 1의 커넥터(1)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약품용 용기로서의 바이알병(180)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2.1. 바이알병의 구성
도 18은, 바이알병(180)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바이알병(180)은, 병 본체(181)의 상단의 플랜지(182)로 둘러싸인 입구(개구)(183)에, 플랜지(182)와 대략 동일 외경을 가지는 마개체(고무마개)(186)를 끼워 넣어 상기 입구(183)를 기밀 및 액밀하게 밀봉한 밀폐 용기이다. 플랜지(182)의 외주면은, 그 바로 아래의 부분(잘록한 부분)(184)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대략 원통면이다. 따라서, 플랜지(182)와 잘록한 부분(184) 사이에는, 양자의 외경차에 의거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186)가 병 본체(181)의 입구(183)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체(186) 및 플랜지(182)에 캡(188)이 장착되어 있다. 캡(188)은,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 수지 등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마개체(186) 및 플랜지(182)에 밀착하고 있다. 캡(188)의 하단은, 플랜지(182)의 대략 원통면인 외주면보다 하측에까지 이르고 있다. 캡(188)의 상단은, 마개체(186)의 상면에까지 이르고 있다. 마개체(186)의 상면의 중앙의 영역은, 캡(188)에 설치된 원형의 개구(188a)를 통하여 외계에 노출되어 있다(도 17 참조).
마개체(186) 및 플랜지(182)의 각 외주면은, 대략 동일 직경의 원통면이다. 따라서, 이들에 장착된 캡(188)의 외주면(188c)도 대략 원통면이다. 캡(188)의 외주면(188c)의 상단을 상측 끝가장자리(188b)라고 하며, 또, 상기 외주면(188c)의 하단을 하측 끝가장자리(188d)라고 한다.
바이알병(180)은 캡(188)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측 끝가장자리(188b), 하측 끝가장자리(188d), 외주면(188c)은, 마개체(186) 또는 플랜지(182)의 대응하는 개소를 의미한다.
바이알병(180) 내에는, 분말형상의 약제(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다.
2.2. 커넥터의 장착
커넥터(1)는, 바이알병(180)에 이하와 같이 하여 장착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알병(180)의 마개체(186)에, 초기 상태의 커넥터(1)를 대향시킨다. 그리고, 커넥터(1)의 슬라이더(50) 내에 캡(188)을 삽입하고, 커넥터(1)를 바이알병(180)을 향해 누른다. 슬라이더(50)의 파지 암(65, 75)으로부터 돌출한 클로(66, 76)의 선단(66t, 76t)(도 7a, 도 7b, 도 8a, 도 8b 참조)을 따른 내접원의 직경은, 바이알병(180)의 캡(188)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클로(66, 76)의 경사면(66s, 76s)(도 7a, 도 7b, 도 8a, 도 8b 참조)이, 캡(188)의 상측 끝가장자리(188b)(도 18 참조)에 충돌한다. 커넥터(1)를 바이알병(180)을 향해 누름에 따라, 클로(66, 76)가 외향으로 변위하도록 파지 암(65, 75)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된다. 파지 암(65, 75)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잠금 돌기(67, 77)는, 커넥터 본체(10)의 외통(12)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파지 암(65, 75)이 외향으로 탄성 굽힘 변형해도, 잠금 돌기(67, 77)는 커넥터 본체(10)에 충돌하지 않는다. 클로(66, 76)의 선단(66t, 76t)은, 캡(188)의 상측 끝가장자리(188b)를 통과한 후, 캡(188)의 외주면(188c)(도 18 참조) 상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클로(66, 76)의 선단(66t, 76t)이, 캡(188)의 하측 끝가장자리(188d)(도 18 참조)를 넘으면, 파지 암(65, 75)이 탄성 회복하고, 클로(66, 76)는 잘록한 부분(184)에 끼워 넣어져, 클로(66, 76)와 플랜지(182)가 걸어 맞춰진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1)를 바이알병(180)에 장착할 수 있다.
클로(66, 76)가 외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것, 및, 클로(66, 76)가 경사면(66s, 76s)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상기와 같이 커넥터(1)를 바이알병(180)을 향해 간단히 밀어넣는 것 만으로, 클로(66, 76)를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 커넥터(1)를 바이알병(180)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의 바이알병(180)에 대한 장착의 작업성은 양호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슬라이더(50)와 커넥터 본체(10)는 천자침(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 이동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클로(66, 76)를 플랜지(182)에 걸어 맞추기 위한 하향의 압축력을, 슬라이더(50)가 아닌 커넥터 본체(10)에 인가해도, 슬라이더(50)는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이동하는 일은 없다. 이 점에 있어서도, 커넥터(1)의 바이알병(180)에 대한 장착의 작업성은 양호하다.
도 19는, 클로(66, 76)(도 19에서는 보이지 않음)가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슬라이더(50)에 유지된 커버(90)의 하단(선단)의 볼록면(97)이, 캡(188)의 개구(188a) 내에 노출한 마개체(186)의 상면에 접촉해 있다. 마개체(186)는, 볼록면(97)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압력을 받아, 미소하게 하방으로 변형되어 있다. 천자침(20)은, 아직, 커버(90) 및 마개체(186)를 관통하고 있지 않다. 도 19에서는, 커버(90)는 실질적으로 변형하고 있지 않지만, 커버(90)의 가변형 영역(93)(도 10b, 도 14 참조)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해도 된다.
마개체(186)나 플랜지(182), 캡(188)의 외형 치수의 차이 등에 의해, 마개체(186)의 상면의 상하 방향의 위치(높이)가 바이알병(180)마다 상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개체(186)의 변형량에 더하여, 커버(90)의 가변형 영역(93)의 상하 방향의 압축 변형량이 적당히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치수가 상이한 바이알병(180)에 대해서도, 커버(90)의 볼록면(97)과 마개체(186)의 상면을 양호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7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로(66, 76)가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지기 직전에, 슬라이더(50)의 규제 암(62, 72)의 접촉 돌기(64, 74)의 끝가장자리(64a, 74a)(도 7a, 도 7b, 도 8a, 도 8b 참조)가 캡(188)의 상측 끝가장자리(188b)(도 18 참조)에 충돌한다. 따라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로(66, 76)가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지면, 접촉 돌기(64, 74)가 외향으로 변위하도록 규제 암(62, 72)이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된다. 슬라이더(50)의 클로(66, 76)와 접촉 돌기(64, 74)가 캡(188)을 상하 방향으로 협지한다. 따라서, 바이알병(180)에 대해 슬라이더(50)가 위치 결정된다.
접촉 돌기(64, 74)의 캡(188)에 접촉하는 끝가장자리(64a, 74a)(도 7a, 도 7b, 도 8a, 도 8b 참조)는,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마개체(186)나 플랜지(182)의 외형 치수의 차이 등에 의해, 캡(188)의 상측 끝가장자리(188b)와 하측 끝가장자리(188d)의 거리나 외주면(188c)의 외경이 바이알병(180)마다 상이해도, 상기 상이에 따라, 상측 끝가장자리(188b)가 접촉하는 끝가장자리(64a, 74a) 상의 위치가 변화하거나, 또는, 규제 암(62, 72)의 굽힘 변형량이 변화한다. 따라서, 커넥터(1)를 장착할 수 있는 캡(188)의 치수의 허용 범위는 넓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에 있는 커넥터(1)의, 커넥터 본체(10)의 후측의 개구(41)를 본 확대 사시도이다. 개구(41) 내에, 슬라이더(50)의 후측의 규제 암(72)의 상단의 머리부(73)가 보인다. 규제 암(72)이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하고 있으므로, 머리부(73)가 외향으로 변위하고 있다. 도 16과 비교하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머리부(73)는, 커넥터 본체(10)의 가이드 돌기(42)의 하단의 정지단(43)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커넥터 본체(10)의 전측의 개구(31) 내에 있어서도(도 15 참조), 규제 암(62)이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된 결과, 그 머리부(63)는 커넥터 본체(10)의 가이드 돌기(32)의 하단의 정지단(33)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50)의 클로(66, 76)가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지면, 규제 암(62, 72)이 탄성 굽힘 변형되어, 그 상단의 머리부(63, 73)와 커넥터 본체(10)의 정지단(33, 43)의 충돌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10) 및 바이알병(180)에, 서로를 접근시키는 상하 방향의 압축력을 인가하면, 바이알병(180)과 슬라이더(50)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일정한 채로, 슬라이더(50) 및 바이알병(180)을 커넥터 본체(10) 내에 진입시킬 수 있다.
2.3. 천자침의 천자
도 19의 상태로부터, 커넥터 본체(10)를 바이알병(180)을 향해 누른다. 바이알병(180)을 유지한 슬라이더(50)는, 커넥터 본체(10) 내에 수납되도록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이동한다.
슬라이더(50)의 규제 암(62, 72)의 접촉 돌기(64, 74)는 캡(188)의 상측 끝가장자리(188b)에 충돌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10)와 바이알병(180)에 상하 방향의 압축력을 인가해도, 바이알병(180)과 슬라이더(50)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고,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이동한다.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이동하기 전, 슬라이더(50)의 릴리스 버튼(5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중간 스토퍼(53)(도 6a 참조)는, 커넥터 본체(10)의 정지 돌기(35)의 박육부(35a)(도 4b 참조)의 내측면에 대향하고 있다.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이동하기 시작하면, 슬라이더(50)의 중간 스토퍼(53)는, 커넥터 본체(10)의 정지 돌기(35)의 경사면(35b)(도 4b 참조) 상을 슬라이딩한다. 이 때, 릴리스 버튼(52)이 내향으로 이동하도록 프론트 어퍼 프레임(68)이 미소하게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된다. 중간 스토퍼(53)가 경사면(35b)의 상단을 통과하여 정지 돌기(35)보다 위로 이동하면, 프론트 어퍼 프레임(68)이 탄성 회복하고, 릴리스 버튼(52)은, 외향으로 미소하게 변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이동할 때, 슬라이더(50)의 릴리스 버튼(5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중간 스토퍼(53)(도 6a 참조)는, 커넥터 본체(10)의 개구(31) 내에 돌출한 한 쌍의 가이드 돌기(32)의 선단면(가이드 돌기(32)의 상대방의 가이드 돌기(32)에 대향하는 면) 상을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더(50)의 규제 암(62, 72)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한 머리부(63, 73)는, 커넥터 본체(10)의 개구(31, 41) 내에 돌출한 가이드 돌기(32, 42)(도 4a, 도 4b 참조)의 외측면 상을 슬라이딩한다. 또, 슬라이더(50)의 파지 암(65, 75)의 외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 잠금 돌기(67, 77)는, 커넥터 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7) 내에 수납된다(도 12a, 도 12b 참조).
도 19의 상태로부터,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 내에 진입하면, 커넥터 본체(10)에 설치된 천자침(20)은, 슬라이더(50)에 유지된 커버(90) 및 바이알병(180)에 대해 하방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천자침(20)은, 커버(90)의 선단의 슬릿(95)에 도달하고, 이것을 관통한다. 계속해서, 바이알병(180)의 마개체(186)를 천자하고, 이것을 관통한다. 커버(90)의 내강(91)에 설치된 안내부(93b)(도 10b 참조)는, 천자침(20)의 선단(20t)을 슬릿(95)에 안내하도록 기능한다.
도 21은,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 내에 가장 깊게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그 사시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자침(20)은, 커버(90)의 선단(하단)에 형성된 슬릿(95)을 관통하고, 또한, 마개체(186)도 관통하고 있다. 천자침(20)이 커버(90) 및 마개체(186)를 관통할 때, 커버(90) 및 마개체(186)는 천자침(20)으로부터 하향의 힘을 받는다. 따라서, 마개체(186)는, 천자침(20)에 관통됨으로써, 병 본체(181)의 측으로 크게 변형하고 있다. 커버(90)도, 볼록면(97)이 마개체(186)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초기의 형상(도 10a, 도 10b, 도 14 참조)이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하방을 향해 크게 변형하고 있다. 커버(90)의 유지부(98)는 슬라이더(50)의 유지기(58)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유지부(98)와 바이알병(180)의 상하 방향 거리는, 천자침(20)이 천자하기 전(도 19)과 후(도 22)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마개체(186)의 변형에 추종하여, 커버(90)의 가변형 영역(93)(도 10a, 도 14 참조)이 하방으로 신장된다. 가변형 영역(93) 내에 형성되어 있던 밀폐 공간(99)(도 14 참조)은, 거의 완전하게 소실되어 있다.
천자침(20)의 액체 유로(21) 및 기체 유로(22)에 연통한 선단(20t)측의 각 개구는, 바이알병(180) 내에 노출되어 있다. 이 상태로, 액체 유로(21) 및 가로구멍(21a)을 통하여, 바이알병(180) 내에 액체(예를 들면 용해액)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또, 바이알병(180) 내의 액체(예를 들면 약제를 용해하여 얻은 약액)를 바이알병(180) 밖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바이알병(180)에 대해 액체가 출입할 때에, 기체 유로(22)를 통하여 공기가 바이알병(180)에 대해 출입한다. 이에 의해, 바이알병(180) 내의 기압의 변동을 저감하고, 액체의 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1, 도 22에 나타내는, 천자침(20)이 마개체(186)를 천자한 상태를 「천자 상태」라고 한다. 천자 상태일 때의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위치를 「천자 위치」라고 한다.
2.4. 천자침의 뽑기
천자침(20)을 통하여 바이알병(180)에 대해 액체의 출입을 행한 후, 천자침(20)을 마개체(186)로부터 뽑는다. 즉, 도 21, 도 22에 나타내는 천자 상태로부터, 커넥터 본체(10)와 바이알병(180)을 서로 떼어 놓도록 상하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슬라이더(50)의 클로(66, 76)가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져 있다. 따라서, 바이알병(180)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바이알병(180)과 함께 슬라이더(50)도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인출된다. 이 과정에서 슬라이더(50)와 바이알병(180)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커버(90)와 바이알병(180)의 상대적 위치 관계도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슬라이더(50)의 파지 암(65, 75)의 클로(66, 76)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잠금 돌기(67, 77)가 돌출되어 있다. 잠금 돌기(67, 77)는, 커넥터 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7) 내에 수납되어 있다. 잠금 돌기(67, 77)가 홈(17)의 저면에 충돌하기 때문에, 클로(66, 76)가 외향으로 변위하도록 파지 암(65, 75)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할 수 없다. 따라서, 바이알병(180)과 커넥터 본체(10)를 서로 떼어 놓도록 잡아당겨도,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풀어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커넥터 본체(10)는, 잠금 돌기(67, 77)를 포함하는 파지 암(65, 75)에 충돌함으로써, 파지 암(65, 75)이 외향으로 굽힘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클로(66, 76)가 형성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파지 암(65, 75)과, 파지 암(65, 75)의 굽힘 변형을 제한하는 커넥터 본체(10)는,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구성한다. 커넥터(1)가 잠금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천자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10)와 바이알병(180)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천자침(20)의 뽑기 조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뽑기 조작의 도중에,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풀어지는 오조작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파지 암(65, 75)의 외측면에 잠금 돌기(67, 77)가 돌출되어 있지만, 잠금 돌기(67, 77)를 생략해도, 커넥터 본체(10)가 파지 암(65, 75)의 굽힘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0)의 릴리스 버튼(5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중간 스토퍼(53)는, 커넥터 본체(10)의 전측의 개구(31) 내에 돌출한 정지 돌기(35)의 상단에 충돌한다. 중간 스토퍼(53)와 정지 돌기(35)가 충돌하면,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더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는 없다.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더 인출될 수 없게 되는,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위치를 「중간 정지 위치」라고 한다.
도 24는 슬라이더(50)가 중간 정지 위치에 있는 커넥터(1)의 사시도, 도 25는 그 사시단면도이다.
도 2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0)가 중간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50)의 파지 암(65)의 외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 잠금 돌기(67)(도 6a 참조)는, 커넥터 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7) 내에 수납된 채이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후측의 파지 암(75)으로부터 돌출한 잠금 돌기(77)(도 6b 참조)도, 마찬가지로 커넥터 본체(10)의 홈(17) 내에 수납된 채이다. 따라서, 상술한 잠금 기구는,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도 기능하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자침(20)은 마개체(186)로부터 거의 뽑혀 있다. 천자침(20)의 선단(20t)은, 커버(90)의 슬릿(95)(도 10b 참조) 내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90)의 하단의 볼록면(97)은, 마개체(186)의 상면에 밀착하여, 마개체(186)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마개체(186)는, 커버(90)의 볼록면(97)으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마개체(186)의 천자침(20)이 천자하고 있던 개소가 하방으로 변형되어 있다. 커버(90)의 가변형 영역(93)은 초기 상태(도 14 참조)에 비해 미소하게 하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가변형 영역(93) 내에 형성되어 있던 밀폐 공간(99)(도 14 참조)은, 여전히 거의 확인할 수 없다.
슬라이더(50)가 중간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도 23~도 25)에 있어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스 버튼(52)을 내측을 향해 밀어넣는다. 도 26을 도 23과 비교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릴리스 버튼(52)을 누르면, 릴리스 버튼(52)을 유지하는 프론트 어퍼 프레임(68)이 탄성 변형하여, 릴리스 버튼(52) 및 그 양측면의 중간 스토퍼(53)가 내향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중간 스토퍼(53)와 정지 돌기(35)의 충돌이 해제된다. 그 결과, 슬라이더(50)는,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릴리스 버튼(52)을 누르면서 바이알병(180)을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바이알병(180)과 이것에 장착된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더 인출할 수 있다. 슬라이더(50)의 빠짐 방지 돌기(54, 55)(도 6a, 도 6b 참조)가 커넥터 본체(10)의 정지 돌기(35, 45)(도 2a, 도 2b 참조)에 충돌할 때까지, 바이알병(180) 및 슬라이더(50)를 인출할 수 있다.
도 27은, 바이알병(180) 및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최대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그 사시단면도이다.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바이알병(180) 및 슬라이더(50)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커넥터(1)를 바이알병(180)에 장착한 직후의 상태(도 19)와 동일하다.
도 27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0)의 파지 암(65, 75)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잠금 돌기(67, 77)(도 27에서는 잠금 돌기(77)는 보이지 않음)는, 커넥터 본체(10)의 외통(12)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파지 암(65, 75)은 외향으로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하다. 즉,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는, 기능하고 있지 않다.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잠금 기구가 기능하고 있지 않는,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위치를 「비잠금 위치」라고 한다.
도 28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자침(20)은 커버(90)의 시일 영역(92) 내에 수납되어 있다. 천자침(20)의 가로구멍(21a)의 개구(바람직하게는, 또한 기체 유로(22)의 개구)는, 커버(90)의 내강(91)(도 10b 참조)의 내주면에 의해 막혀 있다. 커버(90) 및 마개체(186)의 형상은, 도 19와 개략 동일하다. 커버(90)의 하단(선단)의 볼록면(97)이 마개체(186)에 접촉해 있다. 마개체(186)는, 볼록면(97)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는 압력을 받아, 미소하게 하방으로 변형되어 있다. 커버(90)의 가변형 영역(93) 내에는 밀폐 공간(99)이 복원되어 있다. 도 28에서는, 커버(90)는 실질적으로 변형하고 있지 않지만, 커버(90)의 가변형 영역(93)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해도 된다. 또, 가변형 영역(93)이 압축 변형됨으로써, 밀폐 공간(99)도 압축되어, 그 용적이 초기 상태(도 13, 도 14 참조)보다 작아져 있어도 된다.
2.5. 커넥터와 바이알병의 분리
슬라이더(50)가 비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도 27, 도 28)로부터, 바이알병(180)을 커넥터(1)에 대해 하방을 향해 잡아당긴다.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에는 슬라이더(50)의 클로(66, 76)가 걸어 맞춰져 있다. 클로(66, 76)가 형성된 파지 암(65, 75)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 잠금 돌기(67, 77)는, 외통(12)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파지 암(65, 75)은 외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할 수 있다. 바이알병(180)이 잡아당겨짐으로써, 클로(66, 76)는 플랜지(182)의 하측의 경사진 원뿔면을 따라 외향으로 이동한다.
도 29는, 클로(66, 76)가 바이알병(180)의 캡(188)의 하측 끝가장자리(188d)를 넘어, 캡(188)의 외주면(188c)(도 18 참조)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상태의 사시단면도이다. 도 30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커버(90)가 바이알병(180)의 마개체(186)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커버(90) 및 마개체(186)는, 모두 초기 상태(도 13, 도 17 참조)로 복귀하고 있다. 슬라이더(50)의 규제 암(62, 72)의 접촉 돌기(64, 74)는 캡(188)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규제 암(62, 72)은, 내향을 향해 이동하여 초기 상태의 위치로 복귀하고 있다. 그 결과,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초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규제 암(62, 72)의 머리부(63, 73)와 정지단(33, 43)이 상하 방향으로 충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비잠금 위치(도 27, 도 28 참조)에 도달하면, 슬라이더(50)의 빠짐 방지 돌기(54, 55)(도 6a, 도 6b 참조)가 커넥터 본체(10)의 정지 돌기(35, 45)(도 2a, 도 2b 참조)에 충돌한다. 따라서, 도 29, 도 30에 나타내는 커넥터(1)와 바이알병(180)의 분리 작업에서는, 슬라이더(50)가 아닌 커넥터 본체(10)에 인장력을 인가해도, 커넥터 본체(10)와 슬라이더(50)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커넥터(1)와 바이알병(18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바이알병(180)을 커넥터(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커넥터(1)에 새로운 바이알병(180)을 접속하고, 상기의 조작을 반복한다. 그 후, 위험한 약제에 접한 사용이 끝난 커넥터(1)는 폐기된다.
3. 작용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1의 커넥터(1)는, 천자침(20)의 유로(21, 22)와 연통한 선단(20t)측의 개구를 덮는 커버(90)를 구비한다. 천자침(20)은 커넥터 본체(10)에 설치되며, 커버(90)는 슬라이더(50)에 유지되어 있다. 슬라이더(50)는, 커넥터 본체(10)와는 별개의 부품이며,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천자침(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50)는,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지는 클로(66, 76)를 구비한다. 따라서, 일단, 슬라이더(50)의 클로(66, 76)를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에 걸어 맞추게 하면, 그 후,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해제될 때까지 동안, 커버(90)와 바이알병(180)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이러한 커버(90) 및 바이알병(180)에 대해 천자침(20)이 이동한다.
상술한 특허문헌 2의 커버는, 수부재를 유지하는 기대에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커버는 수부재와 일체적으로 변위한다. 이러한 커버를 바이알병의 마개체에 천자하는 천자침에 적용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천자침을 마개체로부터 뽑으면, 이것과 동시에 커버는 마개체로부터 분리된다. 커버가 천자침과 함께 이동하므로, 예를 들면 천자침을 마개체로부터 빠르게 뽑으면, 커버가 즉시 초기 형상으로 복귀할 수 없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천자침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가 커버로 덮일 때까지 동안에, 천자침의 유로의 상기 개구로부터 약액이 외계로 누출되어 버린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에서는, 클로(66, 76)가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져 있는 한, 커버(90)의 위치는, 마개체(186)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변이다. 따라서, 천자침(20)을 마개체(186)로부터 뽑을 때, 커버(90)는 천자침(20)에 대해 확실히 이동한다. 이 결과, 마개체(186)로부터 뽑힌 천자침(20)의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즉, 가로구멍(21a)의 개구)를 외계에 노출시키지 않고 커버(90)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마개체(186)로부터 뽑힌 천자침(20)이 커버(90)로 덮이지 않기 때문에,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로부터 약액이 누출된다는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저감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1)에 의하면, 커넥터(1)와 바이알병(180)을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2의 커버의 선단에는, 암부재와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 형상이 형성되어 있었다. 걸어 맞춤 형상은, 수부재가 암부재로부터 뽑혀, 커버 내에 수납된 후에, 커버가 암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의도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천자침(20)을 마개체(186)로부터 뽑을 때, 커버(90)의 마개체(186)에 대한 위치는 실질적으로 불변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커버(90)에는, 특허문헌 2의 커버에 설치된 걸어 맞춤 형상과 동일한, 바이알병(180)에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 형상은 불필요하다. 원래, 바이알병(180)은, 특허문헌 2의 커버의 걸어 맞춤 형상이 걸어 맞춤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에서는, 사양이 상이한 복수의 암부재에 걸어 맞춤 형상을 걸어 맞추게 하기 위해서는, 암부재의 사양에 따라 걸어 맞춤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커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90)에는, 이러한 걸어 맞춤 형상이 불필요하므로, 암부재의 사양에 따라 복수 종류의 커버(90)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걸어 맞춤 형상이 걸어 맞춰지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바이알병(180)에 대해서도,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클로(66, 76)가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져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90)의 선단의 볼록면(97)이 마개체(186)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클로(66, 76)가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져 있는 한, 천자침(20)을 마개체(186)로부터 뽑은 후여도, 커버(90)의 볼록면(97)은 마개체(186)에 계속 접촉하는다. 이 때문에, 마개체(186)로부터 뽑힌 천자침(20)의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를, 외계에 노출시키지 않고 커버(90) 내에 확실히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와 바이알병(180)을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마개체(186)의 천자침(20)이 천자하고 있던 구멍은, 천자침(20)을 뽑은 직후에는 아직 완전하게 막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약액이 외계로 누출되어 버리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이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자침(20)을 마개체(186)로부터 뽑아도, 클로(66, 76)가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져 있는 한, 커버(90)의 볼록면(97)이 마개체(186)에 계속 밀착한다. 마개체(186)의 천자침(20)이 천자하고 있던 구멍은, 마개체(186) 자신의 자기 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멍이 막혀질 때까지의 잠시 동안, 이 볼록면(97)이 밀착함으로써 막혀진다. 따라서, 그 후, 커버(90)를 마개체(186)로부터 분리해도, 약액이 마개체(186)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가 설치된다. 잠금 기구가 기능한 「잠금 상태」에서는,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와 클로(66, 76)의 걸어 맞춤을 해제할 수 없다. 잠금 기구가 기능하지 않는 「비잠금 상태」에서는,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에 클로(66, 76)를 걸어 맞추게 할 수 있으며, 또, 플랜지(182)와 클로(66, 76)의 걸어 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 상태와 비잠금 상태는,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천자침(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위치에 따라 스위칭된다. 이에 의해, 천자침(20)을 마개체(186)에 천자하는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더(50) 및 바이알병(180)을 커넥터 본체(10) 내에 진입시키는데 연동하여, 잠금 기구는 비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동으로 잠금 상태로 스위칭하는 수고가 불필요하다. 잠금 기구의 비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의 스위칭이, 잊혀지지 않고, 확실히 행해진다. 예를 들면, 천자 상태(도 22 참조)에 있어서,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지 않으면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을 해제되어 버려, 바이알병(180)을 커넥터(1)로부터 분리해 버리는 오조작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천자침(20)의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로부터 약액이 외계로 누출되어 버린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위치에 따라 잠금 상태와 비잠금 상태가 스위칭되므로, 잠금 기구가 잠금 상태로 스위칭되지 않음으로써, 상기의 오조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안전성이 향상된다.
잠금 기구가 비잠금 상태가 되는,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위치를 「비잠금 위치」라고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50)가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일 때, 즉, (1) 「초기 상태」(도 11a, 도 11b, 도 12a, 도 12b, 도 13), (2) 바이알병(180)에 클로(66, 76)가 걸어 맞춰진 직후의 상태(도 19), 및, (3) 중간 정지 위치를 넘어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인출한 상태(도 27, 도 28)일 때의 슬라이더(50)의 위치가 비잠금 위치에 해당한다.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최대로 인출함으로써, 잠금 상태로부터 비잠금 상태로 스위칭되므로, 천자 상태(도 21, 도 22)로부터 바이알병(180)을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 커넥터(1)와 바이알병(180)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 이른다. 따라서, 커넥터(1)와 바이알병(180)의 분리 작업이 간단화되어, 비숙련자에게도 분리 작업의 이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50)가 비잠금 위치에 있을 때, 천자침(20)의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는, 커버(90)로 덮인다. 따라서, 슬라이더(50)가 비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도,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로부터 약액이 외계로 누출되는 사태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천자 상태(도 21, 도 22)로부터 슬라이더(50)를 비잠금 위치(도 27, 도 28)를 향해 커넥터 본체(10)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슬라이더(50)가 비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것보다도 전에, 「중간 정지 위치」가 설치되어 있다(도 23~도 25). 중간 정지 위치에서는, 슬라이더(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더 인출될 수 없도록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다. 작업자는, 슬라이더가 중간 정지 위치에 이르면, 릴리스 버튼(52)을 누르고,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이동의 규제를 해제해야 한다(도 26 참조). 그렇게 함으로써, 슬라이더(50)를 비잠금 위치에까지 더 이동시킬 수 있다. 비잠금 위치에서 클로(66, 76)와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면, 커버(90)와 마개체(186)가 분리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1)를 바이알병(180)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중간 정지 위치에서는, 천자침(20)은 실질적으로 마개체(186)로부터 뽑혀 있지만, 커버(90)와 마개체(186)는 밀착하고 있다(도 25 참조).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릴리스 버튼(52)이 눌려 분리 작업이 재개할 때까지의 시간 내에, 마개체(186)의 천자침(20)이 천자하고 있던 구멍은, 마개체(186) 자신의 자기 복원력에 의해 막혀진다. 즉, 중간 정지 위치를 설치함으로써, 마개체(186)의 천자침(20)이 천자하고 있던 구멍이 닫히기 위한 시간이, 확실히 확보된다. 따라서, 그 후, 커버(90)를 마개체(186)로부터 분리했을 때에, 약액이 마개체(186)로부터 누출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90)는, 시일 영역(92)보다 선단측에, 비교적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가변형 영역(93)을 구비하고 있다. 초기 상태(도 13, 도 14)에서는, 가변형 영역(93) 내에는 밀폐 공간(99)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 공간(99)은, 천자침(20)이 마개체(186)를 천자한 천자 상태(도 22)에서는 축소(바람직하게는 소실)되지만, 그 후, 슬라이더(50)가 비잠금 위치에 이르면 복원하기 시작하여(도 28), 커버(90)가 마개체(186)로부터 분리되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도 30). 밀폐 공간(99)이, 이와 같이, 축소 또는 실질적으로 소실된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의 형상으로 복귀할 때까지의 과정에서, 밀폐 공간(99) 내에는 음압이 발생한다. 밀폐 공간(99)에 대해 상측의 시일 영역(92)에서는 커버(90)의 내강(91)의 내주면은 천자침(20)의 외주면에 액밀 및 기밀하게 밀착하고 있다. 따라서, 밀폐 공간(99) 내의 음압은, 슬릿(95)을 통해서 커버(90)의 볼록면(97)과 마개체(186) 사이의 약액을 밀폐 공간(99) 내에 흡인한다. 예를 들면, 마개체(186)를 천자하고 있던 천자침(20)을 마개체(186)로부터 뽑을 때, 바이알병(180) 내의 약액이 천자침(2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마개체(186) 밖으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 천자침(20)을 마개체(186)로부터 뽑은 직후에, 천자침(20)이 천자하고 있던 구멍을 통하여 약액이 마개체(186) 밖으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만일 약액이 이와 같이 마개체(186)를 통과하여 마개체(186)와 커버(90)의 볼록면(97) 사이에 누출되었다고 해도, 상기 약액은, 밀폐 공간(99)에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밀폐 공간(99) 내에 흡인된다. 따라서, 커버(90)와 마개체(186)를 분리한 후에, 커버(90)의 볼록면(97)이나 마개체(186)의 외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천자 상태(도 22)에 있어서 밀폐 공간(99)은 완전하게 소실될 필요는 없다. 천자 상태(도 22)에 있어서 밀폐 공간(99)은 축소될 뿐이어도, 그 후, 초기 상태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밀폐 공간(99) 내에 음압이 발생하므로,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커버(90)의 가변형 영역(93)은, 시일 영역(92)에 비해, 상하 방향을 따른 압축/신장이 비교적 용이하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50)가 초기 위치, 천자 위치, 중간 정지 위치, 비잠금 위치 등 중 어느 위치에 있어도, 가변형 영역(93)은 마개체(186)의 변형에 추종하여 변형된다. 따라서, 커버(90)의 볼록면(97)과 마개체(186)의 밀착 상태는, 클로(66, 76)가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져 있는 한 확실히 계속 유지된다. 이 때문에, 밀폐 공간(99) 내에 발생하는 상기의 음압이 의도하지 않게 상압으로 돌아오는 일은 없다. 또, 마개체(186)의 천자침(20)이 천자하고 있던 구멍을 통해서 약액이 외계로 누출되는 것을, 커버(90)의 볼록면(97)이 방지한다. 따라서, 가변형 영역(93)이 압축/신장이 비교적 용이한 것은, 커버(90)와 마개체(186)를 분리한 후에, 커버(90)의 볼록면(97)이나 마개체(186)의 외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바이알병(180)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마개체(186)나 플랜지(182)의 상하 방향 치수의 차이 등에 의해, 커넥터(1)를 바이알병(180)에 장착했을 때의 마개체(186)의 상면의 높이가 상이한 일이 있다. 가변형 영역(93)의 압축/신장량은, 마개체(186)의 상면의 이 높이의 차이에 따라 적당히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치수가 다양하게 상이한 바이알병(180)에 대해서도, 커버(90)의 볼록면(97)과 마개체(186)는 항상 밀착되고, 또, 밀폐 공간(99) 내에 상기의 음압을 확실히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영역(93)이 압축/신장이 비교적 용이한 것은, 치수가 다양하게 상이한 바이알병(180)에 대해서도, 외계로 누출되는 약액의 양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더(50)에 유지되는 유지부(98)는, 시일 영역(92)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90)는, 유지부(98)와 시일 영역(92) 사이에, 압축/신장이 가능한 영역을 실질적으로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시일 영역(92)의 유지부(98)에 대한 상하 방향 위치는,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위치에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불변이다. 이 때문에, 천자침(20)을 마개체(186)로부터 뽑을 때, 커버(90)의 시일 영역(92)은, 슬라이더(50) 및 바이알병(180)과 일체적으로, 천자침(20)에 대해 이동한다. 이 결과, 마개체(186)로부터 뽑힌 천자침(20)의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를 외계에 노출시키지 않고 커버(90) 내에 수납하고, 시일 영역(92)에서 액체 유로(21)의 개구를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1)와 바이알병(180)을 분리한 후에,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 유지부(98)가 시일 영역(9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클로(66, 76)를 플랜지(182)에 걸어 맞춘 상태에서는, 시일 영역(92)보다 선단측에 배치된 가변형 영역(93)이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커버(90)의 볼록면(97)과 마개체(186)가 밀착한다. 이 때문에, 커버(90)와 마개체(186)를 분리한 후에, 커버(90)의 볼록면(97)이나 마개체(186)의 외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커버(90)의 유지부(98)는 유지기(58)로 직경 방향으로 압축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98)는 시일 영역(92)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직경 방향의 압축력은, 시일 영역(92)에서 커버(90)와 천자침(20)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밀폐 공간(99) 내의 음압의 발생에 유리하다. 따라서, 커버(90)와 마개체(186)를 분리한 후에, 커버(90)의 볼록면(97)이나 마개체(186)의 외면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더 줄일 수 있다. 또, 액체 유로(21)의 선단(20t)측의 개구의 밀봉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따라서, 약액의 외계로의 누출을 더 줄일 수 있다.
4. 각종 변경 실시형태
상기의 실시형태 1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 1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자침(2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가로구멍(21a)은, 중심축(1a)에 대해 직각으로(즉,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중심축(1a)에 대해 경사하는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기체 유로(22)에도, 가로구멍(21a)과 동일한 가로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가로구멍(21a)을 생략하고, 기체 유로(22)와 마찬가지로, 액체 유로(21)가 중심축(1a)을 따라 연장되며, 원뿔부(25)의 외주면에서 개구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초기 상태에서는, 액체 유로(21)의 개구가 커버(90)의 시일 영역(92)에 있어서 내강(91)의 내주면에서 막아지도록, 내강(91)의 내주면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스 버튼(52)을, 슬라이더(50)의 리어 어퍼 프레임(78)에도 설치할 수 있다. 즉, 전측의 개구(31, 61) 및 그 근방의 구성과, 후측의 개구(41, 61) 및 그 근방의 구성을, 개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50)가 중간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전후의 릴리스 버튼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슬라이더(50)를 비잠금 위치까지 더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커넥터 본체(10)에 있어서, 후측의 개구(41)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더(50)의 후측의 규제 암(72)을 생략할 수 있다.
플랜지(182)에 걸어 맞춰지는 클로의 수는, 상기의 실시형태 1과 같이 4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보다 많아도, 혹은, 적어도 된다.
슬라이더(50)의 중간 정지 위치를 생략하고, 슬라이더(50)를 천자 위치로부터 비잠금 위치까지, 슬라이더(50)의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이동을 도중에 정지시키지 않고 이동 가능해도 된다.
잠금 기구를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면, 파지 암(65, 75)의 굽힘 강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잠금 기구가 없어도, 클로(66, 76)와 바이알병(180)의 플랜지(182)의 걸어 맞춤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은 가능하다.
커버(90)의 형상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가변형 영역(93)에 형성되는 가동부(93a)의 형상은, 임의이다. 가변형 영역(93)은, 압축/신장이 용이해지도록, 그 외경 및 내경이 상하 방향을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벨로스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유지부(98)는, 커버(90)의 최대 외경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고, 슬라이더(50)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변형 영역(93)은 시일 영역(92)과 접해서 서로 이웃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가변형 영역(93)과 시일 영역(92) 사이에, 가변형 영역(93)에 비해 압축 변형 및 신장 변형이 상대적으로 곤란하고, 또한, 초기 상태(도 14 참조)에 있어서 천자침(20)의 외주면에 밀착하지 않는 영역(중간 영역)이 존재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 1의 커넥터(1)는, 특허문헌 1의 「제2 커넥터(200)」(특허문헌 1의 도 11~도 14 참조)와 치환하여, 특허문헌 1의 폐쇄계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커넥터는, 특허문헌 1의 폐쇄계 디바이스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0)의 천판(11)보다 상측의 구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커넥터(2)는, 주로 커버 및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기에 관해서 실시형태 1의 커넥터(1)와 상이하다. 이하에, 실시형태 1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 2의 커넥터(2)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커넥터(2)를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 1의 커넥터(1)를 구성하는 부재 또는 요소에 대응하는 부재 또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수부재용 커버(이하, 간단히 「커버」라고 한다)(290)의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 도 31b는, 커버(290)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의 커버(90)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 2의 커버(290)는, 상측(기단측)에 시일 영역(92)을, 하측(선단측)에 가변형 영역(93)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커버(29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98)가 시일 영역(92)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커버(90)와 상이하게, 커버(290)의 유지부(98)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제1 오목부(298a) 및 한 쌍의 제2 오목부(298b)가 형성되어 있다.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한 쌍의 제1 오목부(298a)는, 직선 형상의 슬릿(95)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끝가장자리(립)(95a)가 대향하는 방향에 대향하고, 한 쌍의 제2 오목부(298b)는 한 쌍의 끝가장자리(95a)가 대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제1 오목부(298a) 및 제2 오목부(298b)는, 모두 유지부(98)의 외주면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절입이다. 제1 오목부(298a)는 원통면 형상의 내면을 가지며, 제2 오목부(298b)는 평면 형상이다.
본 실시형태 2의 커버(290)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의 커버(90)와 동일하다.
도 32a는, 본 실시형태 2에 관련된 커넥터(2)를 구성하는 슬라이더(250)의 위로부터 본 사시도, 도 32b는 슬라이더(250)의 단면도이다. 도 32b의 단면은, 커넥터(2)의 중심축(1a) 및 Y축을 포함한다. 슬라이더(25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유지기(258)를 구비한다. 유지기(258)는, 중심축(1a)과 동일축이 되도록, X축 방향에 평행한 유지 바(59)를 통하여 슬라이더(25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볼록부(258a) 및 한 쌍의 제2 볼록부(258b)(도 32b에서는 한쪽의 제2 볼록부(258b) 만이 나타나 있다)가, 유지기(258)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축(1a)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볼록부(258a)는 Y축 방향에 대향하고, 한 쌍의 제2 볼록부(258b)는 X축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제1 볼록부(258a)는, 커버(290)의 제1 오목부(298a)(도 31a 참조)와 끼워맞춰지도록, 중심축(1a)과 평행으로 연장된 원통면 형상을 가지는 돌기이다. 제2 볼록부(258b)는, 커버(290)의 제2 오목부(298b)(도 31a 참조)와 끼워맞춰지도록, YZ면에 평행한 평면을 가진다.
유지기(258)의 하단으로부터, 한 쌍의 측벽(257)이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257)은, Y축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257)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은, 커버(290)의 가변형 영역(93)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벽(257)의 선단(하단)(257a)은, 중심축(1a)과 동일축의 원호를 거의 따르고 있다. 한 쌍의 측벽(257)의 선단(257a) 간의, 한 쌍의 측벽(257)이 대향하는 방향(Y축 방향)을 따른 최대 내치수(D5)(도 32b 참조)는, 커버(290)의 볼록면(97)을 둘러싸는 통형상부(96)의 외경(D9)(도 31a 참조)보다 미소하게 작다. 측벽(257)은, 그 상단(유지기(258)의 하단에 접속된 부분)을 고정단으로 하고, 선단(257a)을 자유단으로 하는 캔틸레버 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측벽(257)은, 그 선단(자유단)(257a)이 중심축(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Y축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다.
커버(290)는, 유지기(258)의 상방을 향한 개구로부터 유지기(258) 내에 수납된다. 커버(290)를 구비한 슬라이더(250)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커넥터 본체(210) 내에 삽입되어, 본 실시형태 2의 커넥터(2)가 조립된다. 도 33은, 초기 상태에 있는 커넥터(2)의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4는, 초기 상태에 있는 커넥터(2)의 천자침(20)의 선단(20t) 및 이것을 덮는 커버(29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커버(290)가 유지기(258)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커버(290)는 유지기(258)에 고정된다. 고정하는 방법은, 제한은 없지만, 접착제를 부여하는 방법, 유지기(258)의 상단을 가열하여 커버(290)의 상면에 덮이도록 절곡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90)의 유지부(98)에는 한 쌍의 제1 오목부(298a) 및 한 쌍의 제2 오목부(298b)가 형성되며(도 31a 참조), 슬라이더(250)의 유지기(258)에는 한 쌍의 제1 볼록부(258a) 및 한 쌍의 제2 볼록부(258b)가 형성되어 있다(도 32a, 도 32b 참조). 유지부(98)가 유지기(258) 내에 수납되었을 때, 제1 오목부(298a)와 제1 볼록부(258a)가 끼워맞춰지고, 제2 오목부(298b)와 제2 볼록부(258b)가 끼워맞춰진다. 이 때문에, 유지기(258)에 대한 커버(290)의 중심축(1a) 둘레의 회전 방향 위치가 규정된다. 즉, 도 3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슬릿(95)의 길이 방향이 한 쌍의 측벽(257)이 대향하는 방향(Y축 방향)에 직교하도록, 커버(290)는 유지기(258)에 유지된다.
측벽(257)의 선단(257a)은, 커버(290)의 가변형 영역(93)에 설치된 통형상부(96)에 대향한다. 측벽(257)의 선단(257a)보다 하측에 커버(290)의 통형상부(96) 및 볼록면(97)이 돌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257)의 선단(257a) 간의 Y축 방향을 따른 최대 내치수(D5)는, 커버(290)의 통형상부(96)의 외경(D9)보다 미소하게 작다. 따라서, 도 34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257)의 선단(257a)은, 커버(290)의 통형상부(96)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한다. 한 쌍의 측벽(257)이 대향하는 방향은, 슬릿(95)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끝가장자리(95a)가 대향하는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측벽(257)의 선단(257a)의 압축력은, 슬릿(95)의 한 쌍의 끝가장자리(95a)를 서로 밀착시키도록 작용한다.
커넥터(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의 커넥터(1)와 동일하며, 실시형태 1의 커넥터(1)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2의 커넥터(2)에서는, 측벽(257)(특히 그 선단(257a))이 슬릿(95)의 한 쌍의 끝가장자리(95a)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슬릿(95)의 시일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측벽(257)을 가지지 않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1)에서는, 한 번 슬릿(95)에 천자침(20)을 관통시킨 후에는, 슬릿(95)의 시일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천자침(20)을 뽑은 후의 슬릿(95)의 시일성(즉, 리시일성)의 향상에 특히 유리하다.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도, 커버(290)의 가변형 영역(93) 내의 밀폐 공간(99)은, 천자 상태(도 22 참조)에서 최소가 되고, 그 후, 커버(290)가 바이알병(180)의 마개체(186)로부터 분리되면 초기 상태(도 34)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 밀폐 공간(99) 내에 음압이 발생하므로, 슬릿(95)을 통해서 커버(290)와 마개체(186) 사이의 약액이 밀폐 공간(99) 내에 흡인된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측벽(257)이, 슬릿(95)의 리시일성을 향상시키므로, 밀폐 공간(99) 내에 수납된 약액이 슬릿(95)을 통해서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커버(290)와 마개체(186)가 분리된 후에, 커버(290)의 볼록면(97)에 부착되는 약액의 양을 실시형태 1에 비해 줄일 수 있다.
측벽(257)의 선단(257a)이, 커버(290)의 통형상부(96)를 국소적으로 압축하므로, 슬릿(95)의 시일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측벽(257)은 캔틸레버 지지 구조를 가지며,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벽(257)은, 커버(290)(특히 통형상부(96))의 외경의 변화에 추종하여 굽힘 변형된다.
예를 들면, 천자침(20)이 슬릿(95)을 관통함으로써 커버(290)의 통형상부(96)가 확경(擴經)했을 때에는, 서로 대향하는 측벽(257)의 선단(257a)이 상대방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각 측벽(257)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된다. 이 때문에, 측벽(257)이 소성 변형하거나 파손되는 일은 없다. 또, 커버(290)가 천자침(20)과 측벽(257)의 선단(257a)에서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어 파손되어 버리는 일도 없다. 또한, 측벽(257)을 설치한 것에 의한, 천자침(20)이 슬릿(95)을 관통할 때의 저항의 증가는 미소하다.
그 후, 슬릿(95)을 관통하고 있던 천자침(20)이 시일 영역(92) 내에 수납되면, 통형상부(96)는 초기 상태로 축경하고, 측벽(257)도 이것에 추종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도 34 참조). 측벽(257)의 선단(257a)은 통형상부(96)를 항상 압축하고 있으므로, 천자침(20)이 슬릿(95)으로부터 빠르게 뽑혀도, 측벽(257)은 통형상부(96)를 즉시 축경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릿(95)을 통해서 약액이 외계로 누출될 가능성은 낮다.
천자침(20)을 슬릿(95)에 반복해서 빼고 끼워도, 측벽(257)의 기능이 손상되는 일은 없고, 이 때문에, 슬릿(95)의 리시일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커버(290) 및 유지기(258)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오목부(298a, 298b) 및 볼록부(258a, 258b))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290)를 슬라이더(250)에 장착할 때에, 커버(290)를 슬라이더(250)에 대해 중심축(1a) 둘레의 회전 방향으로 위치 맞춤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 커넥터(2)의 사용 중에, 커버(290)가 슬라이더(250)에 대해 중심축(1a) 둘레로 회전해 버리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측벽(257)은, 항상 슬릿(95)의 한 쌍의 끝가장자리(95a)를 서로 밀착시키도록 커버(290)를 압축한다. 따라서, 슬릿(95)이 우수한 시일성(리시일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버(290) 및 유지기(258)에 설치되는 끼워맞춤 형상이나 그 수는, 본 실시형태 2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끼워맞춤 형상은, 상기의 예와 같은 볼록부와 오목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지부(98)의 외주면 및 유지기(258)의 내주면을,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예를 들면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등인, 서로 끼워맞춰지는 기둥 형상면으로 함으로써 끼워맞춤 형상을 구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도, 슬라이더(250)에 설치된 클로(66, 67)가 바이알병(180)에 걸어 맞춰져 있는 한, 천자침(20)이 마개체(186)를 관통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커버(290)의 마개체(186)에 대한 위치는 일정하다. 이 때문에, 측벽(257)을 슬릿(95)의 근방에까지 연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측벽(257)의 선단(257a)은, 커버(290)의 가변형 영역(93)에 설치된 통형상부(96)에 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측벽(257)의 선단(257a)을 슬릿(95)의 근방에 배치해도, 측벽(257)이 바이알병(180)의 마개체(186)에 충돌하는 일은 없다. 본 실시형태 2에 나타낸 측벽(257)은, 커버(290)가 장착된 슬라이더(250)가, 천자침(20)이 설치된 커넥터 본체(210)에 대해 이동 가능한 커넥터(2)에 적용한 경우에, 슬릿(95)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특히 현저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측벽(257)의 선단(257a)의 형상은, 상기의 예와 같이 원호 형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슬릿(95)의 길이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한 직선 형상이어도 된다.
측벽(257)의 선단(257a)보다 상측의 부분은, 커버(290)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커버(290)로부터 이격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은, 본 실시형태 2에도 적용된다.
상기의 실시형태 1, 2에서는, 암부재가 바이알병(180)이며, 수부재가, 바이알병(180)의 마개체(186)에 천자할 수 있는 예리한 선단을 구비한 천자침(20)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부재가, 직선 형상의 슬릿(절입)이 형성된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격벽 부재를 구비하는 니들리스 포트여도 된다. 또, 수부재가, 상기 격벽 부재의 슬릿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메일 루어여도 된다. 이 경우, 메일 루어에는, 액체가 흐르는 단일의 유로 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커버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메일 루어의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는 것이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이용 분야는, 제한은 없지만, 위험한 약제를 취급하는 의료 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2 커넥터(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a 커넥터의 중심축
10, 210 커넥터 본체 20 천자침
20t 천자침의 선단 21 액체 유로
21a 액체 유로의 가로구멍 22 기체 유로
50, 250 슬라이더 52 릴리스 버튼
62, 72 규제 암(슬라이드 규제 암)
64, 74 접촉 돌기 64a, 74a 접촉 돌기의 끝가장자리
65, 75 파지 암 66, 76 클로
90, 290 커버 92 시일 영역
93 가변형 영역 95 슬릿
95a 슬릿의 끝가장자리(립) 97 커버의 선단(볼록면)
98 유지부 99 밀폐 공간
180 바이알병(용기) 182 플랜지
183 바이알병의 입구 186 마개체
188b 마개체(캡)의 상측 끝가장자리 257 측벽
257a 측벽의 선단 258 유지기
258a, 258b 볼록부(끼워맞춤 형상) 298a, 298b 오목부(끼워맞춤 형상)

Claims (24)

  1.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는 마개체에 천자(穿刺)할 수 있는 천자침과, 상기 천자침에 형성된 액체가 흐르는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천자침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마개체를 천자하도록 구성된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로서,
    상기 천자침은 커넥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는 슬라이더에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용기의 입구의 플랜지에 걸어 맞춤 가능한 클로(claw)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의 선단이 상기 마개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로와 상기 플랜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하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클로가 형성된, 외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이 가능한 파지 암과, 상기 파지 암의 굽힘 변형을 제한하는 상기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에 의한 잠금 상태 및 비잠금 상태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위치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잠금 기구는 기능하지 않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가 기능하지 않는 비잠금 위치를 향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비잠금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다시 인출할 수 없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는 중간 정지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이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릴리스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가 기능하지 않는 비잠금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가 위치할 때, 상기 천자침의 상기 개구는 상기 커버로 덮이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에 상기 마개체의 상측 끝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접촉 돌기와, 상기 접촉 돌기가 형성된, 외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이 가능한 슬라이드 규제 암을 구비하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 상기 슬라이드 규제 암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충돌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며,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을 때, 상기 슬라이드 규제 암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충돌하지 않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의 상기 마개체에 접촉하는 끝가장자리는,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선단에 상기 천자침이 관통할 수 있는 슬릿과, 상기 천자침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시일(seal) 영역과, 상기 시일 영역에 대해 상기 선단측에 배치된 가변형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형 영역은, 상기 시일 영역에 비해, 상기 천자침의 길이 방향을 따른 압축 변형 및 신장 변형이 용이한,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클로가 상기 용기의 상기 플랜지에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 때, 상기 가변 영역 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천자침이 상기 마개체를 관통하고 있을 때, 상기 밀폐된 공간은 축소 또는 소실되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를 상기 슬라이더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시일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천자침에 의해 관통되는 선단에는, 상기 마개체를 향해 돌출한 볼록면이 형성되어 있는,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용기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21.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직선 형상의 절입(切入)이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끝가장자리가 서로 밀착하도록, 상기 가변형 영역을 압축하는, 커넥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간격이 확대되도록, 상기 측벽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커넥터.
  23.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천자침 둘레의 회전 방향 위치를 규정하도록,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커버에 서로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24. 수(雄)부재의 액체가 흐르는 유로의 선단측의 개구를 덮고, 상기 수부재가 암(雌)부재에 삽입될 때 상기 수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된 수부재용 커버로서,
    상기 수부재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시일 영역과, 상기 시일 영역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된 가변형 영역과, 상기 수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가변형 영역의 선단에 설치된 슬릿과, 상기 커버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형 영역은, 상기 시일 영역에 비해, 상기 수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압축 변형 및 신장 변형이 용이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암부재로부터 이격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영역 내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시일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재용 커버.
KR1020167033440A 2014-05-02 2015-04-30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및 수부재용 커버 KR102433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5348A JP6340898B2 (ja) 2014-05-02 2014-05-02 医薬品容器用コネクタ
JPJP-P-2014-095348 2014-05-02
JPJP-P-2014-095349 2014-05-02
JP2014095349 2014-05-02
JP2015005316A JP6582412B2 (ja) 2014-05-02 2015-01-14 コネクタ
JPJP-P-2015-005316 2015-01-14
PCT/JP2015/063005 WO2015166993A1 (ja) 2014-05-02 2015-04-30 医薬品容器用コネクタ及びオス部材用カ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599A true KR20170003599A (ko) 2017-01-09
KR102433311B1 KR102433311B1 (ko) 2022-08-17

Family

ID=5781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440A KR102433311B1 (ko) 2014-05-02 2015-04-30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및 수부재용 커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96068B2 (ko)
EP (1) EP3138551A4 (ko)
KR (1) KR102433311B1 (ko)
CN (1) CN106456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7300B2 (en) 2006-04-12 2009-06-16 Icu Medical, Inc. Vial adaptor for regulating pressure
WO2013025946A1 (en) 2011-08-18 2013-02-21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AU2013204180B2 (en) * 2012-03-22 2016-07-21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US9089475B2 (en) 2013-01-23 2015-07-28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WO2015009746A2 (en) 2013-07-19 2015-01-22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fluid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IL243108B (en) 2015-12-22 2018-08-30 Kriheli Marino Part of a friend
JP2019503256A (ja) 2016-01-29 2019-02-07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圧力調節バイアルアダプタ
CA3020972A1 (en) * 2016-05-26 2017-11-30 Medtronic Minimed, Inc. Systems for set connector assembly with lock
US10086133B2 (en) 2016-05-26 2018-10-02 Medtronic Minimed, Inc. Systems for set connector assembly with lock
US10086134B2 (en) 2016-05-26 2018-10-02 Medtronic Minimed, Inc. Systems for set connector assembly with lock
US9968737B2 (en) 2016-05-26 2018-05-15 Medtronic Minimed, Inc. Systems for set connector assembly with lock
BR102016016091B1 (pt) * 2016-07-11 2019-05-14 Norival Caetano Válvula com mecanismo abre-e-fecha para bolsa utilizada para acondicionamento, reconstituição e/ou diluição de produtos de uso injetável
WO2018024092A1 (zh) * 2016-08-03 2018-02-08 山东新华安得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密闭式流体转移装置及一种密闭式流体转移方法
CA3037577A1 (en) * 2016-09-30 2018-04-05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CN107261237B (zh) * 2017-07-01 2018-05-15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具有消毒和加热功能的腹膜透析管连接装置
WO2019021985A1 (ja) 2017-07-25 2019-01-3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薬液調製装置
CN109620720B (zh) * 2018-12-29 2024-08-20 上海新千盈实业有限公司 一种输液包装盖及其生产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9250A2 (en) * 1996-09-17 1998-03-18 Becton Dickinson France S.A. An improved vial connector assembly for a medicament container
JPH11253558A (ja) * 1998-01-20 1999-09-21 Bracco Internatl Bv 自在継手、自在継手―医療容器組立て品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0126307A (ja) * 1998-07-20 2000-05-09 Bracco Internatl Bv 多数回使用可能な自在継手
JP2009536085A (ja) * 2006-05-04 2009-10-08 インドゥストリー・ボルラ・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通気式注入アクセス装置
JP2012254142A (ja) 2011-06-08 2012-12-27 Jms Co Ltd オス部材
WO2013161979A1 (ja) 2012-04-26 2013-10-3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73370B (it) * 1984-02-24 1987-06-24 Erba Farmitali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collegare una siringa alla imboccatura di un flacone contenente un farmaco o di un tubicino per l'erogazione del farmaco della siringa
US6019750A (en) 1997-12-04 2000-02-01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with seal
WO2006063504A1 (fr) * 2004-12-16 2006-06-22 Zhongshan Botai Pharmaceutic Instruments Co., Ltd. Melangeur a usage medical pour l’administration de medicaments
CA2652206C (en) * 2006-05-25 2014-02-11 Bayer Healthcare Llc Reconstitution device
JP4812593B2 (ja) 2006-10-31 2011-11-09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スプレーヘッド及びそれを備えたスプレー容器
EP2139442B1 (en) * 2007-04-23 2014-04-02 Plastme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mination-free transfer of a hazardous drug
US8287513B2 (en) * 2007-09-11 2012-10-16 Carmel Pharma Ab Piercing member protection device
JP5625895B2 (ja) * 2010-12-27 2014-11-1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オス部材カバー及びカバー付きオス部材
JP2012135419A (ja) * 2010-12-27 2012-07-19 Brother Ind Ltd ミシン
JP5956427B2 (ja) 2011-03-24 2016-07-27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オス型コネクタ、メス型コネクタおよび分離方法
JP6128121B2 (ja) 2012-05-23 2017-05-17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容器
CA2785130A1 (en) * 2012-08-09 2014-02-09 Duoject Medical Systems Inc. Reconstitution device
CN104703573B (zh) * 2012-09-13 2016-06-08 麦迪麦珀医疗工程有限公司 伸缩式母药瓶转接器
JP6222512B2 (ja) 2012-10-16 2017-11-0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穿刺針アダプタ
WO2014104027A1 (ja) * 2012-12-28 2014-07-03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バイアルシールド
TR201810164T4 (tr) * 2013-02-07 2018-08-27 Equashield Medical Ltd Kapalı ilaç aktarım sistemindeki ilerlemeler.
JP6284219B2 (ja) 2013-09-27 2018-02-28 テルモ株式会社 バイアルアダプ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9250A2 (en) * 1996-09-17 1998-03-18 Becton Dickinson France S.A. An improved vial connector assembly for a medicament container
JPH11253558A (ja) * 1998-01-20 1999-09-21 Bracco Internatl Bv 自在継手、自在継手―医療容器組立て品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0126307A (ja) * 1998-07-20 2000-05-09 Bracco Internatl Bv 多数回使用可能な自在継手
JP2009536085A (ja) * 2006-05-04 2009-10-08 インドゥストリー・ボルラ・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通気式注入アクセス装置
JP2012254142A (ja) 2011-06-08 2012-12-27 Jms Co Ltd オス部材
WO2013161979A1 (ja) 2012-04-26 2013-10-3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27820A1 (en) 2017-02-02
US10596068B2 (en) 2020-03-24
CN106456443A (zh) 2017-02-22
CN106456443B (zh) 2020-03-06
EP3138551A4 (en) 2018-04-25
EP3138551A1 (en) 2017-03-08
KR102433311B1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599A (ko) 의약품 용기용 커넥터 및 수부재용 커버
JP6340898B2 (ja) 医薬品容器用コネクタ
JP6390910B2 (ja) バイアルシールド
WO2015166993A1 (ja) 医薬品容器用コネクタ及びオス部材用カバー
US9345643B2 (en) Medical connector
JP6069936B2 (ja) 輸液セット
EP2837403B1 (en) Male connector equipped with lock mechanism
JP5693461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9775979B2 (en) Male connector equipped with lock mechanism
JP2017221440A (ja) 空気吸引用キャップ
JP2018007719A (ja) オスコネクタ
WO2013141137A1 (ja) カバー付き瓶針
WO2019026796A1 (ja) アダプタ組立体
JP5411729B2 (ja) 薬剤投与具
JP6284219B2 (ja) バイアルアダプタ
JP2016054805A (ja) 容器カバー
WO2019225604A1 (ja) レバーロック式オスコネクタ
WO2013150956A1 (ja) オス部材用フード及びオスコネクタ
JP6582412B2 (ja) コネクタ
JP2017153729A (ja) フィルタ組立品及びフィルタ
JP6318691B2 (ja) 医療用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