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99U - 부착생물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부착생물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99U
KR20170003499U KR2020160006728U KR20160006728U KR20170003499U KR 20170003499 U KR20170003499 U KR 20170003499U KR 2020160006728 U KR2020160006728 U KR 2020160006728U KR 20160006728 U KR20160006728 U KR 20160006728U KR 20170003499 U KR20170003499 U KR 201700034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late
attachment
head cover
fixing device
en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759Y1 (ko
Inventor
김수강
김문관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to KR2020160006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75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부착생물 및 규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부착판이 하나 이상 연결되어 부착판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 유닛 전면에는 헤드커버가, 부착판 유닛 후면에는 엔드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헤드커버와 엔드커버를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지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부착판을 하나 이상 연결할 경우에 설치되는 간격유지 및 연결 장치 없이도, 부착판의 연결과 고정이 가능하여 부착판의 분리 및 조립이 단시간에 가능하고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한 인건비 절감과 생산비용 절감이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착생물 양식장치 {AQUACULTURE APPARATUS FOR ATTACHED ORGANISM}
본 고안은 전복 또는 해삼과 같은 부착생물 양식을 위한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착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공급하는 부착판이 하나 이상 연결되어 부착판 유닛을 형성하고, 부착판 유닛의 전면에는 헤드커버가 후면에는 엔드커버가 설치되며, 헤드커버와 엔드커버를 고정장치가 연결, 고정됨으로써 부착판 유닛을 고정할 수 있는 부착생물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분별한 남획과 연안 해역의 오염 등으로 전복, 소라 등의 복족류와 해삼 등의 해양생물의 자연 채취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이들 해양생물의 양식 기술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특히 해삼과 전복은 고부가가치 어종으로 먹이생물과 특성 등이 유사하여 이종생물 양식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전복은 전복과(Haliotidae), 전복속(Haliotis)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세계적으로 약 1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연안에는 참전복을 비롯하여, 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복, 오분자기 및 마대오분자기 등이 분포한다.
전복의 양식은 전복의 치패를 대량으로 방류하거나, 채롱, 또는 파판 등에 전복의 치패를 부착시켜 수하식 또는 가두리 양식법으로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치패 방류방식은 전복의 생존률이 매우 낮고, 수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채롱에 의한 수하식 또는 가두리 양식방법은 연안해역의 오염으로 인한 백화현상이나 태풍 등에 의한 유실, 또는 패각 주변에 부착하여 생육하는 부착생물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한편, 극피동물문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은 조간대 수심 20m 내외의 내만 바닥이나 연안의 암초 및 자갈밭에 주로 서식하며, 우리나라 전 연안과 일본, 쿠릴, 사할린 등 온대 해역에서 한 대 해역까지 북동태평양 전역에 분포한다. ‘바다의 인삼’으로 불릴 만큼 식감과 영양 면에서 뛰어난 해삼은 최근 중국의 경제 발달로 해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해삼은 수온 15~18℃에서 성장이 왕성하나, 수온이 높은 시기에는 먹이를 거의 먹지 않는다. 따라서 소화관은 퇴화되며, 국내 연안이 고수온기에 접어드는 여름철에 하면기(夏眠期)를 거친다. 이러한 생리학적 특성 외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산란기인 7월 한 달간은 금어기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적인 기후의 변화, 무분별한 채취와 연안해의 오염 등으로 해삼 또한 채취량이 급감함에 따라 해삼의 인공 양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삼 양식은 자연상태의 씨뿌림, 또는 어린 해삼을 육상 수조에서 일정 크기 이상 성장시킨 후, 서해안과 같이 갯벌이 발달하거나, 연안의 축제 시설이 가능한 해역에서 축제 양식 방법으로 실시되고 왔다. 어린 해삼 또는 종묘 양식에 있어서는 수조 내부에 일정한 형상의 플레이트 타입 쉘터를 배치하고, 쉘터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쉘터와 직립되도록 다수의 파판을 설치하여 해삼의 서식처로 사용한다. 또한 해삼은 야행성으로 주간에는 쉘터 하부에서 은둔하다가 야간에는 쉘터 상부 또는 파판으로 올라와 먹이활동을 한다.
이와 같은 전복 등의 복족류 및 해삼과 같은 부착생물은 서식특성이 유사하여 육상양식과 해상양식에 있어서 동일한 구조의 양식장치에 수용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골 또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 프레임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파판을 배치하고 파이프를 매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장치구성은 양식생물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최적화된 구조이다.
*통상의 양식장치를 구성하는 파판은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각 파판과 파판사이에는 간격유지 파이프 및 링과 같은 연결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고 바구니 형태의 틀 내부에 다수개의 파판을 수용함으로써 다수개의 파판이 하나로 연결될 수 있었다.
따라서, 육상양식 과정 중 선별이나 수확을 위해서 양식생물을 부착판에 부착하고 있는 양식생물을 분리하는 경우, 분리하는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양식생물의 스트레스 증가와 인건비의 소요가 증가하게 되고, 양식장치를 이루는 구성장치가 많아 제품 단가 또한 상승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구성장치의 조립이 간단하고 그 구성 장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양식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부착생물 양식을 위한 양식장치에서 선별 또는 수확을 위해 부착판에 부착하고 있는 양식생물을 분리하는 경우, 분리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양식생물의 스트레스 증가와 인건비 소요가 증가하게 되고, 양식장치를 이루는 구성장치가 많아 제품 단가가 상승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부착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부착판이 하나 이상 연결되어 부착판 유닛을 형성하고, 부착판에는 간격유지부가 형성되어 부착판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및 고정이 간결하며, 상기 부착판 유닛 전면에는 헤드커버가 부착판 유닛 후면에는 엔드커버가 설치되어 고정장치를 매개로 연결 및 고정되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부착생물 및 규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부착판이 하나 이상 연결되어 부착판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 유닛 전면에는 헤드커버가, 부착판 유닛 후면에는 엔드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헤드커버와 엔드커버를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부착판을 하나 이상 연결할 경우에 설치되는 간격유지 및 연결 장치 없이도, 부착판의 연결과 고정이 가능하여 부착판의 분리 및 조립이 단시간에 가능하고 작업시간 단축으로 인한 인건비 절감과 생산비용 절감이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부착판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부착판 측면절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헤드커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엔드커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고정장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기존의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나타낸다. 종래의 전복 등의 복족류 및 해삼과 같은 부착생물은 부착이 가능한 판 또는 골구조의 플레이트 타입의 부착판을 연속적으로 배치하고 각 파판과 파판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 파이프 또는 링과 같은 연결 프레임이 설치되어 연결되며, 바구니 형태의 틀 내부에 다수개의 파판을 수용함으로써 다수개의 파판이 하나의 쉘터 양식장치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육상 양식 과정에서 선별이나 수확과정 중 파판과 양식생물을 분리하는 경우, 파판을 조립하고 분리하는 작업시간의 증가로 인해 인건비의 소요가 크고, 양식장치를 이루는 구성장치 또한 다량으로 제품 단가 또한 상승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고 구성요소가 감축 될 수 있는 구조의 양식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이하,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와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부착생물 및 규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부착판(50)이 하나 이상 연결되어 부착판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 유닛 전면에는 헤드커버(10)가, 부착판 유닛 후면에는 엔드커버(20)가 설치되며; 상기 헤드커버와 엔드커버를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장치(6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양식장치를 이루는 구성장치는 성형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해수에 장기간 입식되어도 부식이 거의 없는 폴리에틸렌 (PE; 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 (PP; polypropylene)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양식장치 생산방법은 호퍼에 원료(pellet)을 투입하여 예열과 스크류 회전에 의해 마찰열로 용융시키는 과정, 용융된 원료를 스크류로 고속, 고압으로 성형 가능한 사출 성형틀에 사출하여 금형의 공간에 충진키는 과정, 상기 성형틀 내부에서 사출된 원료를 가압, 냉각, 고화시켜 취출시킴으로써 프레임을 성형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사출성형과정은 간단한 공정을 거치고, 열가소성수지는 비교적 상온에서 장기간 방치하거나, 냉각수에 담구는 과정으로도 냉각 및 고화가 가능하여 장치의 생산이 비교적 간단하고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부착판을 나타낸다. 부착판(50)은 다각형의 판 또는 골 형태로 양식생물과 규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인 부착부(51)와, 부착부 전방 측면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5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부착판은 부착판이 하나 이상 배치되고 이때 단일의 부착판들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적절한데, 이는 전면과 후면에 부착공간을 제공하여 부착면적을 증가시키고, 양식생물이 이동 가능한 공간을 부여하는 한편, 부착판 사이의 유수 흐름이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부착부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 간격유지부가 형성되어 단일의 부착판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시키고 부착판을 연결시킬 수 있다. 간격유지부는 전면부는 협소하고 후면방향으로 프레임부가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돌기구조로 내부는 비어있어 타 부착판에 형성된 간격유지부 상부프레임이 내부로 수용되어 사다리꼴 형태의 돌기구조가 적층되면서 부착판과 부착판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적층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부착판 측면절개도를 나타낸다. 간격 유지부 내부는 비어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부착판의 간격유지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전면방향에는 돌기가 후방부에는 내부공간이 홈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격 유지부의 내부공간에는 후방에 배치되는 부착판의 간격유지부 상부 프레임이 수용되어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 내부공간에는 걸림프레임(53)이 형성되어 부착판과 부착판이 완전히 겹쳐지지 않고 일정거리를 유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단일의 부착판 사이의 이격거리는 간격유지부 돌기 높이와 걸림프레임의 형성 위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간격유지부는 전면부는 협소하고 후면방향으로 프레임부가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전면과 후면의 직경이 동일한 프레임에 비해 유수 흐름에도 부착판의 분리가 되지 않고, 고정력이 우수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도 간격유지부를 끼움고정하는 방법으로 부착판의 고정과 분리가 가능하여 기존의 파이프와 같은 간격조절장치를 분리했던 장치에 비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헤드커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헤드커버(10) 및 엔드커버(20)는 하나 이상의 부착판이 연결된 부착판 유닛의 전면부와 부착판과 후면부 부착판에 각각 설치되고 고정장치(60)를 매개로 연결되어 파판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한편, 유수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헤드커버(10)는 부착판 유닛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부착판 측면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의 다각형 판 구조로 형성되며, 프레임 가장자리 측면에는 고정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고정장치 수용공(31)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커버의 후측면에는 헤드커버 후방에 설치되는 부착판의 간격유지부 상부 프레임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 걸림홈(11)이 형성되어 부착판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에 설치되는 부착판과도 일정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홈의 깊이는 후방에 설치되는 부착판과의 간격거리만큼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엔드커버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엔드커버(20)는 부착판 유닛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헤드커버와 동일한 직경과 구조로 프레임 가장자리 측면에는 고정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고정장치 수용공이 형성되어 헤드프레임과 고정장치를 매개로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엔드 커버의 전측면에는 엔드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는 부착판과 일정거리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간격유지부 내부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간격유지부와 유사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간격유지 돌기(21)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고정장치(60)는 고정장치 수용공에 고정되어 헤드커버와 엔드커버를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형 또는 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고정장치 실시예는 고리형으로 고정장치 수용공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양측부에 형성되고 프레임 길이를 조정이 가능한 조절부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길이 조절은 조절부를 일정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절부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기존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착판을 고정시키고 수용하는 장치는 바구니 또는 틀프레임으로 형성되어 구성장치의 수가 많아 단가가 비싸질 뿐만 아니라 조립에 시간과 수고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단순하게 헤드커버와 엔드커버를 고정장치로 연결시킴으로써 부착판 유닛이 유수흐름에도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고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끈형의 케이블타이를 나타낸다. 케이블타이는 엔드커버와 헤드커버를 연결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가요성(可撓性)의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60a)와, 밴드부 측면에는 요철구조의 돌출부(60b)가 하나 이상, 일방향으로 형성되며, 돌출부의 형성이 완료되는 밴드부 측면을 마감부(60c)가 둘러싸며 이루어진다.
케이블타이로 고정장치가 설치되면, 헤드커버와 엔드커버의 고정장치 수용공은 케이블타이가 관통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형성되고, 고정장치 수용공 내측면에는 돌출부를 걸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밴드부가 수용공의 일방향으로 관통되면 슬라이드 삽입되면서 고정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케이블타이가 고정장치 수용공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타이의 돌출부는 직각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장치 수용공의 걸림턱은 밴드부 삽입방향으로 빗변을 형성하며 그 반대측은 직각변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본 케이블 타이는 삽입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나, 삽입반대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다.
마감부는 고정장치 수용공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고정장치 수용공에 케이블타이가 관통되고 헤드커버와 엔드커버가 유속흐름에도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케이블타이가 삽입방향으로 충분히 당겨지면 고정장치 수용공에 마감부 프레임이 걸림으로써 더 이상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고정을 완료시키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타이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가요성(可撓性)의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60a)와, 밴드부 양 측면에는 요철구조의 돌출부(60b)가 하나 이상, 일방향으로 형성되고 헤드프레임과 엔드프레임의 고정장치 수용공은 요철구조의 돌출부를 고정할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양식장치를 사용 후 세척 또는 새롭게 조립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타이를 가위로 잘라 제거함으로서 부착부와 커버를 분리할 수 있다.
10: 헤드커버 11: 간격유지 걸림홈
20: 엔드커버 21: 간격유지 돌기
31: 고정장치 수용공 50: 부착판
51: 부착부 52: 간격 유지부
53: 걸림 프레임 60: 고정장치
60a: 밴드부 60b:돌출부
60c: 마감부

Claims (1)

  1. 부착성 양식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부착판이 하나 이상 연결되어 부착판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 유닛 전면에는 헤드커버가, 부착판 유닛 후면에는 엔드커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헤드커버와 헤드커버의 측면에는 고정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고정장치 수용공이 형성되어 고정장치를 매개로 헤드커버와 엔드커버를 연결, 고정하며;
    상기 부착판은 다각형의 판 또는 요철을 갖는 골 형태로 양식생물이 부착하는 부착부와, 부착판 전방에는 전면부가 협소하고 후면 방향으로 프레임부가 넓어지는 사다리꼴 돌기구조의 간격유지부가 하나 이상 부착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부착판 후방에는 간격유지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구조 만큼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후방에 배열되는 다른 부착판의 간격유지부를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의 공간 내측에 걸림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커버의 후면에는 부착판의 간격유지부 돌기구조 전면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 걸림홈이 형성되고, 엔드 커버의 전면에는 엔드커버 전방에 설치되는 부착판 후방과 일정거리를 형성하면서 간격유지부 내부로 고정 가능한 간격유지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생물 양식장치
KR2020160006728U 2016-11-18 2016-11-18 부착생물 양식장치 KR200485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28U KR200485759Y1 (ko) 2016-11-18 2016-11-18 부착생물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28U KR200485759Y1 (ko) 2016-11-18 2016-11-18 부착생물 양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534 Division 201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99U true KR20170003499U (ko) 2017-10-12
KR200485759Y1 KR200485759Y1 (ko) 2018-02-19

Family

ID=6040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28U KR200485759Y1 (ko) 2016-11-18 2016-11-18 부착생물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759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634A (ja) * 1994-08-03 1996-04-16 Toyo Terumii Kk 珪藻培養器
KR200176857Y1 (ko) * 1999-10-18 2000-04-15 장종윤 조립식 파판틀
KR200241976Y1 (ko) * 2001-02-20 2001-10-06 박종란 전복치패 양식세트
KR20020023923A (ko) * 2001-12-29 2002-03-29 윤 선 장 개량전복양식기
KR20120006777U (ko) * 2011-03-23 2012-10-05 김대웅 전복치패 양식세트
KR20150000972U (ko) * 2013-08-26 2015-03-06 희 달 유 전복 양식 하우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634A (ja) * 1994-08-03 1996-04-16 Toyo Terumii Kk 珪藻培養器
KR200176857Y1 (ko) * 1999-10-18 2000-04-15 장종윤 조립식 파판틀
KR200241976Y1 (ko) * 2001-02-20 2001-10-06 박종란 전복치패 양식세트
KR20020023923A (ko) * 2001-12-29 2002-03-29 윤 선 장 개량전복양식기
KR20120006777U (ko) * 2011-03-23 2012-10-05 김대웅 전복치패 양식세트
KR20150000972U (ko) * 2013-08-26 2015-03-06 희 달 유 전복 양식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759Y1 (ko) 201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8142B2 (ja) ドジョウ類と水生食用植物との共生養殖栽培方法及び装置
KR102355838B1 (ko) 피양식 생물의 양식 방법 및 그 양식 시설
JP6997791B2 (ja) 人工ナマコリーフを利用したマナマコの海底養殖方法
JP2008514231A (ja) 水生動物を育てるための方法
CN110167342A (zh) 用于限制幼体和/或水生生物的装置、在水生环境中保持并培育它们的系统、方法
KR101108643B1 (ko) 패류 양식을 위한 연승수하식 채묘기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KR101786186B1 (ko) 일체형 부착생물 양식장치
KR101773459B1 (ko) 바다숲 조성장치
KR101724818B1 (ko)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KR200485759Y1 (ko) 부착생물 양식장치
KR101611132B1 (ko) 육상 전복 양식 수조용 먹이 급이 쉘터
CN103798119B (zh) 池塘多功能浮萍培育网箱
JP2003274793A (ja) 蟹類の養殖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311181B1 (ko) 개체굴 양식장치
KR101744553B1 (ko) 해조류 종사 고정용 오각기둥 형상의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CN114051958A (zh) 一种深远海鲍鱼养殖方法
KR102436829B1 (ko)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MURAKOSHI et al. Development of mass seed production techniques for green snail, Turbo marmoratus in Okinawan water
JP7493205B2 (ja) 牡蠣類育成器
JP2006304676A (ja) 海産稚貝の飼育方法
KR101848586B1 (ko) Frp를 이용한 굴 패각 기능을 갖는 굴 채묘 및 양식 방법
JP2001321012A (ja)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洋上水産システム及び洋上水産基地
KR101786187B1 (ko)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