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829B1 -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829B1
KR102436829B1 KR1020200121463A KR20200121463A KR102436829B1 KR 102436829 B1 KR102436829 B1 KR 102436829B1 KR 1020200121463 A KR1020200121463 A KR 1020200121463A KR 20200121463 A KR20200121463 A KR 20200121463A KR 102436829 B1 KR102436829 B1 KR 10243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attachment member
attached
oysters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977A (ko
Inventor
박송범
Original Assignee
박송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송범 filed Critical 박송범
Priority to KR102020012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8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5Baske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 치패가 부착되어 생육하는 장치로서,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120);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2부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착부재는 소정 시간 경과하면 물에 녹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착부재는 굴 치패가 부착하여 생육하는 것으로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굴 치패가 자동으로 양식장 바닥으로 떨어지고, 바닥으로 떨어진 굴은 특성상 다시는 어떤 곳에도 부착하지 않게 되어 개체굴로 성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cultivation device for individual oyster with water-soluble material}
본 발명은 개체굴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체굴을 양식하기 위하여 굴 치패가 부착되는 부착부재를 물에 녹는 재질로 하고 물에 녹는 부착부재에 모래나 조개껍질을 부착하여 만든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 치패는 보통 부착패각이라 불리는 고형물질에 정착하도록 되며 부착치패나 종묘용 굴(seed oyster)로 알려져 있는 정착된 유생들은 상품 크기로 자랄 때까지 이들을 양식하는 양식장으로 보내어진다. 종래 굴 치패는 속이 비어 있는 굴 껍데기나 진주 조개의 껍데기와 같은 씨조개(종패)에 부착시켜서 그것들을 밧줄과 원줄에 매달아 다시 바다로 빠뜨리는 수하식 등으로 양식하였다가 성장하면 수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종래 연승 수하식 양성기는 복수개의 부자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켜 어미줄에 끼운 다음 어미줄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닻줄의 닻을 해저에 꽂아 고정하고, 해수면과 나란하게 떠있는 어미줄에 일정 간격으로 수하연을 매달아, 수하연에 끼워진 굴껍질, 가리비 껍질 또는 굴 패각 모양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패각에 부착된 종패를 양성하도록 하는 양성기이다. 종래 뗏목식 양성기는 복수개의 횡간과 종간을 적정 간격으로 교차시켜 만든 뗏목에 부자를 부착하여 해수면에 띄워 놓고, 횡간 및 종간에 종횡 방향으로 다수 개의 수하연을 매달아, 각 수하연에 끼워진 굴껍질 등으로 만든 패각에 부착된 종패를 양성하는 양성기이다.
종패가 부착된 굴껍질 등 패각을 연승 수하식 양식기나 뗏목 수하식 양성기등으로 양식을 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패각에 다수 개의 종패가 부착되어 덩어리 형태로 굴이 성장하기 때문에, 양성 후에 각 굴을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분리과정에서 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바다에서 굴 치패(종패)의 양성을 목적으로 제안된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942767호(개체굴 양식용 수평망식 구조물)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281028호(굴 양식용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자연상태에서 굴은 덩어리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바위 등에 이미 부착되어 자라난 패각 위에 다음 해에 다른 유생(어린 굴 종자)이 부착되어 자라게 될 경우, 다른 굴이 자라는 자리가 움푹 들어가는 등 모양이 변형된다.
그리고, 개체굴 양식방법으로 특허10-1402670호가 있는데, 이 기술은 종사를 이용한 채묘방법으로 부착후 일정 크기가 되면 종사에서 굴을 하나씩 떼어내야 하는데, 이렇게 굴을 하나씩 떼어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개체 굴 양식과정 중에서 일정 수준으로 성장한 굴을 떼어내는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하였다.
굴은 유생 상태에서 부착되어 성장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덩어리로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굴 치패는 부착되어 생활하던 곳에서 떨어지면 다시는 다른 곳에 부착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굴의 특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개체 굴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굴이 부착되는 부재에서 치패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양식장 수조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를 그물망으로 감싼 상태로 바다에서 가두리 형태로 양식을 할 수 있게 하여 개체굴 생산능력을 증대시키고 생산과정을 간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굴 치패가 부착되어 생육하는 장치로서,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120);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2부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착부재는 소정 시간 경과하면 물에 녹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착부재는 굴 치패가 부착하여 생육하는 것으로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부착부재는 모래 또는 조개껍질 또는 굴껍질 또는 다른 재질일 수 있고, 상기 몸체부를 수용하여 바닷속에 배치되는 가두리 그물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를 수용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상기 홀더 내에서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부착부재이 녹으면 굴 치패는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굴 치패가 부착되어 생육하는 장치로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 물에 녹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부착부재(120); 및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2부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착부재는 굴 치패가 부착하여 생육하는 것으로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2부착부재는 모래 또는 조개껍질 또는 굴껍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개체굴이 부착되는 몸체부 자체가 녹게 하거나 또는 몸체부에서 굴이 부착하는 부분인 표면을 물에 녹는 소재로 함으로써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굴 치패가 자동으로 양식장 바닥으로 떨어지고, 바닥으로 떨어진 굴은 특성상 다시는 부착하지 않게 되어 개체굴로 성장하게 된다.
또한, 몸체부는 그 소재가 녹는 시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개체 굴이 일정 수준으로 성장한 후에 몸체부의 소재가 녹도록 하면, 양식장 수조가 아닌 바닷속에서 직접 치패를 육성하는 굴 양식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체굴 양식장치의 일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개체굴 양식장치를 그물망으로 감싼 형상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개체굴 양식장치를 홀더에 수용한 형상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개체굴 양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이며,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개체굴 양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체굴 양식장치의 일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개체굴 양식장치를 그물망으로 감싼 형상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개체굴 양식장치를 홀더에 수용한 형상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개체굴 양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굴 유생은 어느 정도 성장하다가 부착시기가 되면 미리 준비해 놓은 부착판(굴 유생이 부착하여 성장하는 판이며, 부착기 채묘판 이라고도 하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부착부재라고도 함)가 들어 있는 양식장 수조에 투입되어 부착된다. 즉, 부착시기가 된 굴 치패를 양식장에 넣으면 굴 유생은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 치패가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굴 유생이 부착되는 부재인 부착부재를 물에 녹는 재질과 함께 모래나 조개껍질 등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 내지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개체굴 양식장치는 굴 치패가 부착되어 생육하는 장치로서, 몸체 형상을 이루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120)와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2부착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부착부재(120)는 상기 몸체부의 면에 전체적으로 부착되는 부재로서 물 속에 투입되어 소정 시간 경과하면 물에 녹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부착부재(130)는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붙어 있는 것으로 굴 치패는 제2부착부재에 부착하여 생육하게 된다.
제2부착부재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모래 알맹이나 조개껍질 또는 굴껍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굴 치패가 부착하여 생육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할 것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몸체부(110)의 예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판 형상만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띠 형상이나 줄 형상이나 밧줄형상 또는 그물망 형상까지도 몸체부가 될 수 있는 형태이다. 즉, 본 발명은 개체굴이 붙어서 성장하는 부재이면 몸체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굴 유생(패류 종자, 굴종자, 200)은 상기 제2부착부재(모래, 조개껍질 등)에 부착하여 일정 크기로 생장하게 된다(도 3).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1부착부재(120)는 물 속에 투입되어 소정 시간 경과하면 물에 녹는 소재이기 때문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부착부재가 녹게 되고 결과적으로 굴 유생은 상기 몸체부인 부착기에 부착 생육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굴 치패가 양식장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도 4).
굴은 특성상 바닥으로 떨어지면 두 번 다시는 어떤 물체에도 붙는 능력이 없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한 것이다. 바닥에 떨어진 굴 치패(치패)은 수거해서 다른 용기(채롱, 그물망)에 담아서 바닷물 등에서 양식하면 개체굴로 성장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치가 그물망(150)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제1 및 제2부착부재 등을 그물망 내부에 수용하여 바닷속에 배치되는 가두리 그물망 형태로 양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 치패가 양식장 바닥으로 떨어지고 떨어진 굴 치패를 그물망에 담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발휘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개체굴 양식장치는, 상기 몸체부를 홀더(300)에 수용한 모습이다. 즉, 양식장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진 홀더(300)와 상기 홀더에 수용되고 굴 치패가 부착하여 생육하는 상기 몸체부(110)와 제1 및 제2부착부재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도 상기 제1부착부재가 물 속에서 녹으면 굴 치패가 아래로 떨어지는 원리는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몸체부를 수용하는 홀더(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상기 홀더 내에서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하면에 제1부착부재와 제2부착부재가 도포되고, 제2부착부재에 굴 종자가 부착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부착부재가 녹으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굴 치패는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굴 치패는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몸체부(110)의 상면에 위치하는 굴 치패(200)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면에 그대로 부착되지는 않으면서 상면에 위치하게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굴 치패(200)은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것은 양식장 바닥으로 너무 많은 굴 치패가 떨어지면 멸실될 염려가 있으므로 바닥으로 떨어지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바닥에 떨어진 개체굴은 바다로 이동하게 되고, 바닷물 속에서 완전한 개체굴로 성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일정 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물에 녹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바닷물 속에서 녹는 시간을 굴 치패가 성장하는 속도를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굴 치패가 일정 크기로 성장하면 몸체부(부착기)에서 떼어내서 바닷속으로 옮겨서 성장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몸체부에서 떼어내야 할 시점에 맞추어서 상기 소재가 녹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기간은 대략 한달에서 두달 정도로 하는 것이 굴의 생장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물에 녹는 소재인 제1부착부재는 하나의 예로서 물에 녹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생분해성으로 친환경적인 플라스틱인 것이 좋다. 제1부착부재인 플라스틱을 상기 몸체부(110)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부착부재의 녹는 시간 조절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물에 녹는 제1부착부재의 표면에 매우 얇은 막을 입혀서 물에 의해 녹는 시간이 지연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제1부착부재의 두께를 크게 하거나 제1부착부재 자체를 다른 이물질과 혼합하여 제조하는 방법 등으로 바닷물 속에서 녹는 속도를 굴 치패의 성장 속도를 고려하여 맞추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개체굴 양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장치에서 몸체부(110)에 해당하는 부분을 생략한 형태이다. 즉, 굴 치패가 부착되어 생육하는 장치로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 물에 녹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부착부재(120)와,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2부착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부착부재는 굴 치패가 부착하여 생육하는 것으로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2부착부재는 모래 또는 조개껍질 또는 굴껍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을 보면 제1부착부재가 녹아서 없어지고, 모래 등에 부착된 굴 치패만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2부착부재(130)는 제1부착부재(120)의 표면에 별도의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도 9 참조), 상기 제2부착부재(130)가 제1부착부재(120)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도 11 참조). 즉, 제2부착부재(130)가 제1부착부재(120)에 붙어있는 구조로서 제2부착부재의 일부가 제1부착부재 내부에 함몰되고 다른 일부는 제1부착부재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제2부착부재의 외부로 돌출된 일부에 굴 치패가 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에 녹는 소재인 제1부착부재(120)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도 있으나 줄이나 로프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부착 단계부터 굴 치패를 바닷속에서 양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 과정을 종래의 경우와 비교해 보면, 종래의 경우 부착 단계의 굴 치패를 양식장에서 키우고 이후 바다로 옮겨야 하였는데 비해 본 발명은 양식에 소요되는 과정과 노력이 대폭 감소하여 편리하게 된다.

Claims (6)

  1. 굴 치패가 부착되어 생육하는 장치로서,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120); 및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2부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착부재는 소정 시간 경과하면 물에 녹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착부재는 굴 치패가 부착하여 생육하는 것으로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착부재(130)는 모래 또는 조개껍질 또는 굴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수용하여 바닷속에 배치되는 가두리 그물망(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수용하는 홀더(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식장치.
  5. 굴 치패가 부착되어 생육하는 장치로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 물에 녹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부착부재(120); 및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제2부착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착부재는 굴 치패가 부착하여 생육하는 것으로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기 제1부착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착부재는 모래 또는 조개껍질 또는 굴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식장치.
KR1020200121463A 2020-09-21 2020-09-21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KR10243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63A KR102436829B1 (ko) 2020-09-21 2020-09-21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63A KR102436829B1 (ko) 2020-09-21 2020-09-21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977A KR20220038977A (ko) 2022-03-29
KR102436829B1 true KR102436829B1 (ko) 2022-08-25

Family

ID=8099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463A KR102436829B1 (ko) 2020-09-21 2020-09-21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518A (ja) 2003-10-03 2005-04-28 Meiwa Kasei Kk 養殖用生き物の種付け材料保持用樹脂スペーサーパイプ
JP2011024535A (ja) 2009-07-29 2011-02-10 Taiheiyo Cement Corp 貝類の種苗採取方法
KR101182654B1 (ko) * 2012-05-11 2012-09-14 주식회사태성씨앤디 해양수산물 채묘대용 양식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883A (ja) * 1994-08-09 1996-02-27 Suzuki Motor Corp 貝類育成具
JPH10155386A (ja) * 1996-11-28 1998-06-16 Toyo Puroto:Kk 牡蛎養殖用基体および集合基体
KR20130037071A (ko) * 2011-10-05 2013-04-15 오원 친환경 인공어초
KR20160108847A (ko) * 2015-03-09 2016-09-21 미르하이텍 주식회사 부착식 어패류 치패 부착기재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90031739A (ko) * 2017-09-18 2019-03-27 양홍모 굴 양식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518A (ja) 2003-10-03 2005-04-28 Meiwa Kasei Kk 養殖用生き物の種付け材料保持用樹脂スペーサーパイプ
JP2011024535A (ja) 2009-07-29 2011-02-10 Taiheiyo Cement Corp 貝類の種苗採取方法
KR101182654B1 (ko) * 2012-05-11 2012-09-14 주식회사태성씨앤디 해양수산물 채묘대용 양식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977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58049B (zh) 被养殖生物的养殖方法及其养殖设施
JP2010148521A (ja) 付着性海生動物の培養
US5144907A (en) Scallop aquaculture
CN101049093A (zh) 北方海区滩涂及浅海牡蛎单体养殖方法
JP4711807B2 (ja) 海藻種苗の生産方法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JPH09289841A (ja) アワビ類の栽培方法
KR102311181B1 (ko) 개체굴 양식장치
KR102436829B1 (ko) 수용성 소재를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CN101743919A (zh) 底栖水产品沉礁养殖方法及装置
JP4915946B2 (ja) 海藻類の増殖方法
KR101806085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CN110447579A (zh) 一种适于亲螺培育及采卵孵化的装置和方法
JP6550601B2 (ja) カキの採苗器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JP2008113649A (ja) アサリ及びハマグリ等の潜砂性二枚貝の養殖方法
CN107711655A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网箱及养殖方法
CN210929166U (zh) 原塘直放抱卵虾繁育青虾虾苗的网箱装置
KR101523463B1 (ko) 그물망 수하식 굴 양식방법
CN107211932A (zh) 一种鲍鱼苗种培育方法
JP2798382B2 (ja) 貝類養殖用海草植生シート
JP4626921B2 (ja) 育成部材の取り扱い方法
KR101889652B1 (ko) 굴 양식 장치 및 양식 방법
KR20220038976A (ko) 표면 코팅을 이용한 개체굴 양식장치
KR20190002814U (ko)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