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65A -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65A
KR20170003365A KR1020150182363A KR20150182363A KR20170003365A KR 20170003365 A KR20170003365 A KR 20170003365A KR 1020150182363 A KR1020150182363 A KR 1020150182363A KR 20150182363 A KR20150182363 A KR 20150182363A KR 20170003365 A KR20170003365 A KR 20170003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housing
light emitt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432B1 (ko
Inventor
오인근
Original Assignee
오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근 filed Critical 오인근
Publication of KR20170003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2J6/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W2101/02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이 개시된다. 상기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은 한쪽 끝단이 열린 투광성의 관(tubular)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커버와 입사된 빛을 산란시키도록 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내에 장착되는 산란부재 및 상기 산란부재와 대면하는 일측에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산란부재로 광을 조사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Safety lamp for handle of vehicl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수단의 핸들에 장착 가능한 핸들용 안전등에 대한 것이다.
친환경, 에너지 절감, 건강 등을 목적으로 자전거의 가치가 새롭게 발견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연간 1억2천만대 이상의 자전거 시장이 형성될 정도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출퇴근용이 아닌 건강한 삶의 요소로 일상에서의 자전거 사용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자전거이지만, 자전거를 타고 도로를 주행할 때면 항상 주변으로부터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는, 1)자전거의 진로를 파악하지 못한 주위의 자동차 또는 사람들이 자전거가 오게 되면 자전거가 어느 방향으로 향해 가는지를 모르고 판단을 잘못해 접촉사고가 일어나는 경우와, 2)야간에 보행자가 자전거의 폭을 인지하지 못하여 추돌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등이 있다.
한편, 상술한 1)의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69940호에는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는 각각의 구성들이 자전거의 프레임상에 분산되게 설치되는 구조로써, 방향지시장치를 자전거에 설치하는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이 자전거 핸들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도 조사되기 때문에, 자전거 옆을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9940호(2011.09.27.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운송수단을 야간에 운행시 보행자 또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운송수단의 위치를 인지시키고, 운송 수단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여, 보행자 또는 자동차와 운송수단의 추돌로 인한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안전등에서 발산되는 광이 운송수단의 측면을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하우징이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어 운송수단의 핸들에 탈부착이 쉽고, 다양한 색상이 입혀짐으로써 주간에도 보행자나 자동차 운전자가 운송수단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은 한쪽 끝단이 열린 투광성의 관(tubular)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커버; 입사된 빛을 산란시키도록 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내에 장착되는 산란부재; 및 상기 산란부재와 대면하는 일측에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산란부재로 광을 발산하는 몸체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산란부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고, 장착된 상기 산란부재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몸체부가 기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고, 결합된 상기 몸체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커버의 제 2 가이드홈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전기적인 회로가 설치된 전방덮개부; 상기 전방덮개부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 상기 발광부재가 연결된 상기 전방덮개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일정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판; 상기 전방덮개부의 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스위치; 상기 전방덮개부의 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후방에 결합되어 배터리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차단하는 후방덮개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는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운송수단의 핸들이 상기 커버 및 상기 몸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와 상기 몸체부가 결합된 길이의 두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가요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은 사용자가 운송수단을 야간에 운행시 보행자 또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운송수단의 위치를 인지시키고, 운송수단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여, 보행자 또는 자동차와 운송수단의 추돌로 인한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등에서 발산되는 광이 운송수단의 측면을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이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어 운송수단의 핸들에 탈부착이 쉽고, 다양한 색상이 입혀짐으로써 주간에도 보행자나 자동차 운전자가 운송수단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돔 형태의 산란부재 및 발광부재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일정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판을 구비하여 모든 방향으로 광이 일정하게 조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홈 및 제 2 가이드홈 기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안전등을 조립할 때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 운송수단의 핸들에 부착시 무리한 힘에 의해 몸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발광부재 및 전방덮개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 및 몸체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발광부재 및 전방덮개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 및 몸체부가 결합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은, 하우징(100), 커버(200), 산란부재(300) 및 몸체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한쪽 끝단이 열린 관(tubula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한쪽 끝단이 열린 형상이고, 운송수단의 핸들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하우징(100)의 길이는 상기 커버(200)와 상기 몸체부(400)가 결합한 길이의 두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운송수단의 핸들과 상기 하우징(100)이 결합하기 위한 길이를 상기 커버(200)와 상기 몸체부(400)가 결합한 길이만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확보된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는 운송수단의 핸들과 결합 시에 필요한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00)의 길이를 상기 커버(200)와 상기 몸체부(400)가 결합한 길이의 두배 길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0)이 운송수단의 핸들과 충분한 결합력이 유지되는 길이라면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는 좀 더 짧거나 좀 더 길어도 무방하다.
하우징(100)은 투광성이 있는 가요성의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투광성이 있는 가요성의 소재로서 실리콘이 적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0)이 운송수단의 핸들과 결합하고 이러한 결합을 유지하는 기능과 내부에 장착되는 커버(200) 및 몸체부(40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투광성이 있는 가요성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투광성이 있는 가요성 소재로 실리콘이 사용되는 경우, 다양한 색깔의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주간에도 보행자나 자동차 운전자가 운송수단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투광성이 있는 가요성 소재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산되는 광을 모두 통과시킬 정도의 투광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은 열린 끝단의 직경이 운송수단의 핸들 직경과 동일하나, 상기 커버(200) 및 상기 몸체부(400)가 장착되는 막힌 끝단의 직경은 운송수단의 핸들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100)은 직선의 관 형태가 아니고 중간에 굴곡이 진 관 형태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100)에 형성된 굴곡(110A, 110B)이 운송수단의 핸들이 작은 직경을 가진 막힌 끝단 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수단의 핸들은 기 설정된 위치를 넘어설 수 없고, 기 설정된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굴곡(110A, 110B)은 운송수단의 핸들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커버(200) 및 상기 몸체부(4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을 운송수단의 핸들에 부착시 무리한 힘에 의해 상기 커버(200) 및 상기 몸체부(4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200)가 장착되는 상기 하우징(100)의 막힌 한쪽 끝단의 중앙 부분은 빛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야간에 운송수단의 옆을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장착된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막힌 한쪽 끝단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밀접하게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커버(200)의 형태는 곡률반경, 지름 및 두께 등이 고려되어 제작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버(200)는 제 1 가이드홈(210) 및 제 2 가이드홈(220A, 220B)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홈(210)은 후술하는 산란부재(300)가 상기 커버(200) 내부에 기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고,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홈(210)은 상기 커버(2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산란부재(300)의 장착면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가이드홈(210)은 빛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제작되어 야간에 운송수단의 옆을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홈(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내부 중심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200)의 내부 중심에 요철부가 형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가이드홈(220A, 220B)은 후술하는 몸체부(400)의 전방덮개부(410)가 상기 커버(2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몸체부(400)의 전방덮개부(4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이드홈(220A, 220B)은 상기 커버(200)와 결합하는 몸체부(400)의 전방덮개부(410)에 형성된 돌출부(411A, 411B)와 결합되기 위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가이드홈(220A, 22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가 후술하는 몸체부(400)의 전방덮개부(410)와 결합하는 부분에 180도의 각을 이루어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가이드홈(220A, 220B)이 수행하는 기능을 만족한다면 1개 또는 3개 이상의 제 2 가이드홈(220A, 220B)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가이드홈(220A, 220B)은 몸체부(400)의 전방덮개부(410)와 페어링(pairing)되도록 형성된다.
산란부재(300)는 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산란부재(300)로 입사된 빛을 산란시킨다.
산란부재(300)의 일면은 돔 형태이고 타면은 상기 커버(200)의 제 1 가이드홈(210)에 형성된 장착면의 형태에 맞추어 장착 할 수 있는 형태이다.
산란부재(300)의 일면은 입사된 빛을 모든 방향으로 일정하게 산란시키기 위하여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사된 빛을 모든 방향으로 일정하게 산란시키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산란부재(300)의 타면인 상기 커버(200)의 제 1 가이드홈(210)에 형성된 장착면의 형태와 동일한 면은 빛을 통과시키지 않는 면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야간에 운송수단의 옆을 지나가는 보행자 또는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400)는 상기 산란부재(300)와 대면하는 일측에 상기 커버(200)와 결합하며, 상기 산란부재(300)로 광을 발산한다.
몸체부(400)는 전방덮개부(410), 발광부재(420), 반사판(430), 스위치(440), 배터리(450) 및 후방덮개부(460)를 포함한다.
전방덮개부(410)는 상기 커버(200)의 제 2 가이드홈(220A, 220B)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돌출부(411A, 411B)가 형성되고, 전기적인 회로가 설치된다.
전방덮개부(410)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이 적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강도 이상이고, 전기적인 회로가 설치 가능한 평면 형태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전방덮개부(4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제 2 가이드홈(220A, 220B)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돌출부(411A, 411B)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11A, 411B)는 상기 커버(200)에 형성된 제 2 가이드홈(220A, 220B)과 결합하는 부분에 180도의 각을 이루어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돌출부(411A, 411B)가 수행하는 기능을 만족한다면 1개 또는 3개 이상의 돌출부(411A, 411B)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411A, 411B)는 상기 제 2 가이드홈(220A, 220B)과 페어링(pairing)되도록 형성된다.
발광부재(420)는 상기 전방덮개부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광부재(420)는 발광다이오드가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 광도 이상의 광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전방덮개부(410)에 장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실시 예에 따라, 발광부재(420)는 밤과 낮의 외부에서 인식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이상이 상기 전방덮개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발광부재(420)가 교대로 점멸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사판(430)은 상기 발광부재(420)가 연결된 상기 전방덮개부(4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재(42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일정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반사판(430)은 도 1, 도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덮개부(410)와는 별도의 판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전방덮개부(410)에 필름 형태로 부착되는 형태로도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사판(430)은 발광부재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상기 산란부재(300)에서 산란될 때, 상기 커버(200)의 외곽 방향으로 광이 일정하게 조사되도록 광을 반사한다.
스위치(440)는 상기 전방덮개부(410)의 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420)의 온/오프를 수행한다.
스위치(44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누름 행위에 따라 켜짐/꺼짐을 반복하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누름 행위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420)의 "점멸-켜짐-꺼짐" 작동이 순차적으로 행해지는 스위치(44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처럼 스위치(44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420)의 다양한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은 사용자가 운송수단을 이동시키면서 한 쪽 손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방향 지시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400)는 상기 스위치(440)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400) 내부의 전기적인 연결을 변화시키기 위한 동작 제어부(4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40)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4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비록 상기 몸체부(400)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돌출 형성되나, 상기 하우징(100)은 가요성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100)의 외곽에서 상기 스위치(440)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450)는 상기 전방덮개부(410)의 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전지 또는 건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45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나 배터리(450)의 개수는 장착된 상기 발광부재(420)의 개수,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의 사용시간 등을 고려하여 유동적일 수 있다.
후방덮개부(460)는 상기 배터리(45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450)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차단한다.
후방덮개부(46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400)의 후방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덮개부(460)를 열고 상기 몸체부(400) 내의 상기 배터리(450)를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커버
210 : 제 1 가이드홈
220A, 220B : 제 2 가이드홈
300 : 발광부재
400 : 몸체부
410 : 전방덮개부
420 : 발광부재
430 : 반사판
440 : 스위치
441 : 제어부
450 : 배터리
460 : 후방덮개부

Claims (7)

  1. 한쪽 끝단이 열린 투광성의 관(tubular)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커버;
    입사된 빛을 산란시키도록 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내에 장착되는 산란부재; 및
    상기 산란부재와 대면하는 일측에 상기 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산란부재로 광을 발산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산란부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고, 장착된 상기 산란부재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는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몸체부가 기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고, 결합된 상기 몸체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커버의 제 2 가이드홈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전기적인 회로가 설치된 전방덮개부;
    상기 전방덮개부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
    상기 발광부재가 연결된 상기 전방덮개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일정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판;
    상기 전방덮개부의 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의 온/오프를 수행하는 스위치;
    상기 전방덮개부의 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후방에 결합되어 배터리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차단하는 후방덮개부;를 포함하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발광다이오드인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운송수단의 핸들이 상기 커버 및 상기 몸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굴곡이 형성된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와 상기 몸체부가 결합 된 길이의 두 배 길이로 형성되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소재는 가요성 소재인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KR1020150182363A 2015-06-30 2015-12-18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KR101726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767 2015-06-30
KR20150092767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65A true KR20170003365A (ko) 2017-01-09
KR101726432B1 KR101726432B1 (ko) 2017-04-13

Family

ID=5781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363A KR101726432B1 (ko) 2015-06-30 2015-12-18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4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184A (ja) * 2000-04-18 2001-10-23 Tsuyoshi Katayama 車幅灯兼方向指示器
JP3146255U (ja) * 2008-08-29 2008-11-06 汪文旭 発光グリップ
KR101069940B1 (ko) 2010-04-07 2011-10-05 이호형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255B2 (ja) * 1993-06-30 2001-03-1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微小寸法測定方法
JP3193015B2 (ja) * 1999-03-03 2001-07-30 株式会社アテックス ベ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4184A (ja) * 2000-04-18 2001-10-23 Tsuyoshi Katayama 車幅灯兼方向指示器
JP3146255U (ja) * 2008-08-29 2008-11-06 汪文旭 発光グリップ
KR101069940B1 (ko) 2010-04-07 2011-10-05 이호형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432B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1450B1 (en) Illuminated door handle
JP6392800B2 (ja) ドアハンドル
KR101882719B1 (ko)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TW201913356A (zh) 顯示裝置
KR101726432B1 (ko) 운송수단의 핸들용 안전등
US20160169470A1 (en) Compact Lighting System With LEDs
JP6766789B2 (ja) バック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438083Y1 (ko)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US8350171B2 (en) Function switch on handle of motorcycle
TWI727878B (zh) 手把燈及其與連接件之組合
KR200488305Y1 (ko) 다기능 신호봉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KR101730526B1 (ko) 휴대용 경광봉
CN216916126U (zh) 一种自行车灯
JP2013004320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JP2019043529A (ja) 車両用表示操作装置および自転車
KR101252246B1 (ko)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의 방향표시 및 안전 램프
KR200413486Y1 (ko) 차량용 엘이디램프 표시등
CN207587195U (zh) 直角拐弯路口车辆提醒装置
KR101932730B1 (ko) 긴급안전표시판
TWI600568B (zh) 單車用警示燈具
KR200406757Y1 (ko)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조명장치
JP6512149B2 (ja) 照明装置
JP3176192U (ja) 自転車用照明装置
KR20190041849A (ko)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