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849A -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 Google Patents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849A
KR20190041849A KR1020170133584A KR20170133584A KR20190041849A KR 20190041849 A KR20190041849 A KR 20190041849A KR 1020170133584 A KR1020170133584 A KR 1020170133584A KR 20170133584 A KR20170133584 A KR 20170133584A KR 20190041849 A KR20190041849 A KR 20190041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module
power termina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천
박유진
Original Assignee
김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천 filed Critical 김희천
Priority to KR102017013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849A/ko
Publication of KR2019004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25Extensions; Auxiliary handle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다륜 사이클 핸들바의 구조 변경 없이, 연결몸체부와 기능모듈부, 블랙박스모듈부 등을 조합하여 핸들바에 장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즐거운 라이딩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HANDLE MODULE FOR MULTIWHEEL CYCLE}
본 발명은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현대의 교통문제 및 환경오염을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이동수단이라는 점에서 점차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자전거 전용도로 등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는 공간적인 공급 역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자전거 전용도로 뿐만 아니라, 자전거의 이동수단 이외에 안전에 따른 장치 및 부속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자전거는 진행방향을 예고하는 어떠한 장치도 법규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도의 보행자 및 도로의 자동차 운전자는 자전거가 급하게 진행방향 변경시 크고 작은 접촉 사고 또는 대형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야간 주행시 안전 운행의 문제도 대두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6098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833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2665호 등에는 자전거의 방향 지시등을 자전거에 부착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문헌들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자전거 운전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들이 많고, 또한 자전거의 방향 지시등으로서의 실용성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기존 다륜 사이클 핸들바의 구조 변경 없이, 연결몸체부와 기능모듈부, 블랙박스모듈부 등을 조합하여 핸들바에 장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즐거운 라이딩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핸들바의 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전원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연결몸체부; 및 일측이 커넥터부에 결합되되, 결합시 제1전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원단자부가 형성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되는 방향지시등 또는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스피커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핸들바의 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전원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연결몸체부; 및 일측이 커넥터부에 결합되되, 결합시 제1전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원단자부가 형성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다륜 사이클 핸들바의 구조 변경 없이, 연결몸체부와 기능모듈부, 블랙박스모듈부 등을 조합하여 핸들바에 장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즐거운 라이딩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핸들바에 장착된 연결몸체부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방향지시등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핸들바에 장착된 연결몸체부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방향지시등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100)은, 핸들바(101)의 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전원공급부(401)가 구비된 하우징부(201)와, 하우징부(201)의 단부에 형성되되 전원공급부(40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전원단자부(203)가 형성된 커넥터부(103)를 포함하는 연결몸체부(205); 및 일측이 커넥터부(103)에 결합되되, 결합시 제1전원단자부(203)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원단자부(301)가 형성되며,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되는 방향지시등(105) 또는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스피커부(10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모듈부(1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결몸체부(205)는 하우징부(201)와 커넥터부(103)를 포함한다.
하우징부(201)는 핸들바(101)의 단부에 결합된다.
일예로, 하우징부(20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부(201)의 내측에는 전원공급부(401)가 구비된다.
즉, 하우징부(201)는 전원공급부(401)가 내측에 수납되는 케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401)는 일예로, 건전지, 충전지 등의 배터리로 제공된다.
커넥터부(103)는 하우징부(201)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부(103)는, 하우징부(201)의 내측에 구비된 전원공급부(40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전원단자부(2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전원단자부(203)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103)는, 전원공급부(401)의 잔여전류량을 표시하는 표시등(111)을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등(111)은 일예로, 다수개의 LE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401)가 완충상태일 때 다수개의 LED가 모두 점등되고, 전원공급부(401)의 잔여전류량이 감소할수록 다수개의 LED 중 일부가 소등되어서, 사용자가 전원공급부(401)의 잔여전류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기능모듈부(109)는, 일측이 커넥터부(103)에 결합된다.
이 때, 기능모듈부(109)와 커넥터부(103)의 결합구조의 일예로, 먼저, 커넥터부(103)에 오목하게 함몰된 연결홈(207)이 형성되고, 이 연결홈(207)의 둘레면에 커넥터부(103)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홈(209)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209)과 연통되는 가이드홈(211)이 연결홈(207)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기능모듈부(109)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연결부(303)가 형성되고, 이 돌출연결부(303)의 둘레면에 결합돌기(305)가 형성되어서, 결합돌기(305)가 삽입홈(209)에 삽입된 후 가이드홈(211)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기능모듈부(109)와 커넥터부(103)가 결속된다.
이 때, 가이드홈(211)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13)이 형성되어서, 결합돌기(305)가 걸림턱(213)을 타고 넘어감에 따라 기능모듈부(109)와 커넥터부(103)가 더욱 견고히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물론, 결합돌기(305)가 걸림턱(213)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결합돌기(305)는 돌출연결부(303)로부터 출몰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된다.
한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209)과 가이드홈(211) 및 결합돌기(305)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능모듈부(109)는, 커넥터부(103)에 결합시, 커넥터부(103)의 제1전원단자부(203)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원단자부(301)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연결몸체부(205)의 하우징부(201) 내측에 구비된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류)이, 제1전원단자부(203)와 제2전원단자부(301)를 통해 기능모듈부(109)로 공급된다.
한편, 기능모듈부(109)는,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되는 방향지시등(105) 또는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스피커부(10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면들에서는 기능모듈부(109)에 방향지시등(105)과 스피커부(107)가 모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방향지시등(105)은, 일예로, 복수개의 조명등이 화살표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이 화살표 형상이 복수개 나란히 형성되어, 각 화살표 형상이 순차적으로 점등/소멸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기능모듈부(109)는 타측에 제2전원단자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단자부(215)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100)은, 일측이 기능모듈부(109)의 타측에 결합되되, 결합시 기능모듈부(109)의 제3전원단자부(215)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4전원단자부(307)가 형성되며,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촬영부(113)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모듈부(115);를 더 포함한다.
블랙박스모듈부(115)는 기능모듈부(109)의 타측에 결합되는데, 블랙박스모듈부(115)에는 제4전원단자부(307)가 형성되어 있어서, 블랙박스모듈부(115)가 기능모듈부(109)와 결합되었을 때, 전원공급부(4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블랙박스모듈부(115)와 기능모듈부(109)의 결합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기능모듈부(109)와 커넥터부(103) 사이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번호 중, 217은 삽입홈, 219는 가이드홈, 221는 걸림턱이고, 309는 돌출연결부, 311은 결합돌기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이 기능모듈부(109)의 타측에 결합되는 커버부(801);를 더 포함한다.
즉,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800)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모듈부(109)의 타측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부(801)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능모듈부(109)와 커버부(801)의 결합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기능모듈부(109)와 커넥터부(103) 사이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번호 중 901은 단자보호부, 903은 돌출연결부, 905는 결합돌기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600)은, 핸들바(101)의 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전원공급부(401)가 구비된 하우징부(201)와, 하우징부(201)의 단부에 형성되되 전원공급부(40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전원단자부(203)가 형성된 커넥터부(103)를 포함하는 연결몸체부(205); 및 일측이 커넥터부(103)에 결합되되, 결합시 제1전원단자부(203)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원단자부(701)가 형성되며,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촬영부(601)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모듈부(6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블랙박스모듈부(603)는, 타측에 제2전원단자부(7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단자부(60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600)은, 일측이 블랙박스모듈부(603)의 타측에 결합되되, 결합시 제3전원단자부(605)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4전원단자부(703)가 형성되며,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되는 방향지시등(607) 또는 전원공급부(40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스피커부(6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모듈부(6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600)은, 앞에서 설명한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100) 대비, 블랙박스모듈부(603)의 일측이 연결몸체부(205)에 결합되는 구조, 기능모듈부(611)가 블랙박스모듈부(603)의 타측에 결합되는 구조, 블랙박스모듈부(603)의 타측에 기능모듈부(611)의 결합돌기(311)가 체결되기 위한 삽입홈(613), 가이드홈(615), 걸림턱(617)이 형성된 구조 등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다륜 사이클 핸들바의 구조 변경 없이, 연결몸체부와 기능모듈부, 블랙박스모듈부 등을 조합하여 핸들바에 장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즐거운 라이딩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101 : 핸들바
103 : 커넥터부
105 : 방향지시등
107 : 스피커부
109 : 기능모듈부
111 : 표시등
113 : 촬영부
115 : 블랙박스모듈부
201 : 하우징부
203 : 제1전원단자부
205 : 연결몸체부
207 : 연결홈
209 : 삽입홈
211 : 가이드홈
213 : 걸림턱
215 : 제3전원단자부
217 : 삽입홈
219 : 가이드홈
221 : 걸림턱
301 : 제2전원단자부
303 : 돌출연결부
305 : 결합돌기
307 : 제4전원단자부
309 : 돌출연결부
311 : 결합돌기
401 : 전원공급부
600 :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601 : 촬영부
603 : 블랙박스모듈부
605 : 제3전원단자부
607 : 방향지시등
609 : 스피커부
611 : 기능모듈부
613 : 삽입홈
615 : 가이드홈
617 : 걸림턱
701 : 제2전원단자부
703 : 제4전원단자부
705 : 결합돌기
800 :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801 : 커버부
901 : 단자보호부
903 : 돌출연결부
905 : 결합돌기

Claims (7)

  1. 핸들바의 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전원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연결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되, 결합시 상기 제1전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원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되는 방향지시등 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스피커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여전류량을 표시하는 표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듈부는,
    타측에 상기 제2전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기능모듈부의 타측에 결합되되, 결합시 상기 제3전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4전원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5. 핸들바의 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전원공급부가 구비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전원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연결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커넥터부에 결합되되, 결합시 상기 제1전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원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블랙박스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모듈부는,
    타측에 상기 제2전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블랙박스모듈부의 타측에 결합되되, 결합시 상기 제3전원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4전원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되는 방향지시등 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스피커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KR1020170133584A 2017-10-13 2017-10-13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KR20190041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84A KR20190041849A (ko) 2017-10-13 2017-10-13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84A KR20190041849A (ko) 2017-10-13 2017-10-13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849A true KR20190041849A (ko) 2019-04-23

Family

ID=6628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584A KR20190041849A (ko) 2017-10-13 2017-10-13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18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14383A1 (en) Bicycle light
TWM512525U (zh) 具有警示用led面板之汽車急救電源
US20180327040A1 (en) Bicycle with Integral Electrical Generator
EP1664619B1 (en) Vehicle charger/flashlight
KR20190041849A (ko) 다륜 사이클의 핸들모듈
CN201344453Y (zh) 多功能自行车发电照明装置
TWM373312U (en) Electricity generator for bike
CN102891269A (zh) 一种电池盒
US20060152939A1 (en) Illuminating device capable of being a vehicle headlight and a flashlight
EP3722657B1 (en) Handheld led lamp
WO2012162729A1 (en) Vehicle passing guide for bicycles
CN203857283U (zh) 一种带有报警器的手电筒
TW202208220A (zh) 手把燈及其與連接件之組合
TWM395626U (en) Rack structure with solar panel module
CN204150157U (zh) 一种自行车脚踏尾灯
EP4286262A2 (en) Handlebar grip set
CN201307426Y (zh) 带led的u盘
TWI600568B (zh) 單車用警示燈具
AU2014100785A4 (en) Bar signal light structure
KR101009948B1 (ko) 자전거용 신호 및 안전 표시등
KR101469153B1 (ko) 탈착형 무선 스위칭 손잡이를 갖는 휴대용 탐조등
CN209882159U (zh) 一种电动车尾牌灯
TWM431073U (en) Bidirectional light-emitting illumination device for wheel rim
CN212277567U (zh) 双电阻解码线组
KR200486081Y1 (ko) 생활형 방수랜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