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44U - 피팅유닛 - Google Patents

피팅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44U
KR20170003244U KR2020160001263U KR20160001263U KR20170003244U KR 20170003244 U KR20170003244 U KR 20170003244U KR 2020160001263 U KR2020160001263 U KR 2020160001263U KR 20160001263 U KR20160001263 U KR 20160001263U KR 20170003244 U KR20170003244 U KR 201700032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coupling
numeral
fitting unit
nu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188Y1 (ko
Inventor
정용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1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18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1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피팅유닛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파트와, 결합 파트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표면에 기준선이 표시된 표시 파트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결합 파트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 파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팅유닛{Fitting Unit}
본 고안은 피팅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팅유닛을 조립할 경우, 튜브 속에 너트를 넣고, 너트를 몸체부에 체결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으로 몸체부에 너트를 회전시켜 결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성적으로 조여졌음을 인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의 조립방식은 체결이 잘되었는지, 체결이 되지 않았는지를 표면적으로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몸체부와 너트를 서로 결합하고 필요에 의해 이들을 분리한 후에, 다시 이들을 결합할 때도 발생한다.
몸체부와 너트가 제대로 체결이 되지 않을 경우, 튜브 속의 유체가 누수되어 설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부에 대한 너트의 결합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누수 발생을 줄이는 장치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일 과제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몸체부에 대한 너트부의 결합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피팅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몸체부와 너트부의 재조립 시에 이들의 분리 시를 기준으로 몸체부에 대한 너트부의 추가 결합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피팅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피팅유닛의 수명을 예상할 수 있는 피팅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본 고안에 따른 피팅유닛은, 관의 연결 시에 사용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파트와, 결합 파트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표면에 기준선이 표시된 표시 파트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결합 파트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 파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를 포함하며, 너트부의 표면에 결합 파트에 결합될 때의 회전 방향으로, 또는 이의 반대 방향으로 일련의 숫자들이 표시되어, 몸체부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몸체부에 대한 너트부의 결합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너트부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몸체 파트와 몸체 파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일련의 숫자들이 표시된 숫자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몸체 파트의 외측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숫자 파트의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몸체 파트 및 숫자 파트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숫자 파트가 몸체 파트에 결합될 때, 숫자파트의 일련의 숫자들 중의 어느 하나가 기준선을 가리키도록 몸체 파트에 고정되어, 몸체 파트가 회전할 때 몸체 파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숫자 파트는 스테인레스, 동, 플라스틱, 실리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준선을 기준으로, 몸체부에 대한 너트부의 결합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부와 너트부의 재조립 시에 이들의 분리 시를 기준으로 몸체부에 대한 너트부의 추가 결합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피팅유닛의 수명을 예상할 수 있다.
도 1 은 피팅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피팅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숫자파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몸체파트와 숫자파트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피팅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2 는 피팅유닛의 분해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숫자파트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도 1 의 몸체파트와 숫자파트의 분해도이다. 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유닛(10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팅유닛(100)은 튜브(60)를 고정하는 피팅유닛(100)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팅유닛(100)은, 튜브(60) 내부에 수압이 장 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진동에 의해 튜브(60)가 움직일 수 있는데, 이때 튜브(60)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튜브(60) 속의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팅유닛(100)은 기본적으로 몸체부(10)와 너트부(3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부(10)에 대해 살펴본다. 몸체부(10)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파트(11)와, 결합 파트(11)에 인접하게 마련된 표시 파트(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인접하게 마련된다라는 것은 결합 파트(11)의 외면에 표시 파트(20)가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표시 파트(20)의 표면에는 기준선(21)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표시 파트(20)에는 좌우 방향의 연장된 일직선 형태의 기준선(21)이 표시될 수 있다.
너트부(30)에 대해 살펴본다. 너트부(30)는 몸체부(10)의 결합 파트(11)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 파트(11)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측에 나사산(41)이 형성된다.
너트부(30)의 표면에는 결합 파트(11)에 결합될 때의 회전방향, 또는 이의 반대방향으로 일련의 숫자(51)들이 표시된다. 숫자(51)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닌, 알파벳, 그림, 음각, 양각, 점자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너트부(30)의 한 바디에는 숫자(51) 및 결합 파트(11)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숫자(51)가 기재된 일단과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타단이 분리되는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너트부(30)는 몸체 파트(40)와 숫자 파트(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 파트(40)의 내측에는 결합 파트(11)와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 파트(1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41)이 형성될 수 있다. 숫자 파트(50)는 몸체 파트(40)의 일단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일련의 숫자가 시계방향 혹은 반 시계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는 숫자(51)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숫자(51)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닌, 알파벳, 그림, 음각, 양각, 점자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와 몸체 파트(4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숫자 파트(50)는 스테인레스, 동, 플라스틱,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 를 참고한다. 몸체 파트(40)의 끝단에는 턱이 지게 형성되어, 몸체 파트(40)의 외면보다 지름이 작은 안내단(43)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단(43)의 외면에는 돌기(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44)는 숫자 파트(50)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5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숫자 파트(50)가 몸체 파트(40)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일예로, 안내단(43)에 형성된 돌기(44)는 원뿔대 형상의 돌기 형태일 수 있으며, 숫자 파트(50)의 내측에는 자 형태의 안내홈(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44)가 안내홈(54)에 삽입되도록 숫자 파트(50)를 몸체 파트(40)의 안내단(43)에 밀어 넣은 다음에, 몸체 파트(40)에 대해 숫자 파트(50)를 회전시키면 숫자 파트(50)가 몸체 파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의 반대 작업으로 숫자 파트(50)가 몸체 파트(4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숫자 파트(50)가 몸체 파트(40)에 결합되면, 숫자 파트(50)가 몸체 파트(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44)가 안내홈(54)을 따라 삽입된 후 숫자 파트(50)가 회전하면서 몸체 파트(40)와 숫자 파트(50)는 연결될 수 있다.
몸체 파트(40)와 연결된 숫자 파트(50)는 몸체 파트(40)에 결합될 때, 일련의 숫자(51)들 중의 어느 하나가 기준선(21)을 가리키도록 몸체 파트(40)에 고정되어, 몸체 파트(40)가 회전할 때 몸체 파트(4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파트(40)의 돌기(44)보다 숫자 파트(50)의 안내홈(54)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으면, 어느 안내홈(54)에 돌기(44)가 삽입되는가에 따라, 몸체 파트(40)에 숫자 파트(50)가 결합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선택으로, 숫자 파트(50)는 일련의 숫자(51)들 중의 어느 하나가 기준선(21)을 가리키도록 몸체 파트(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후에는 숫자 파트(50)가 몸체 파트(4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몸체부(10)에 대한 너트부(30)의 결합 정도를 매우 용이하게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하, 피팅유닛(100)의 체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튜브(60)에 숫자 파트(50)와 몸체 파트(40)를 삽입한다. 이후에, 몸체 파트(40)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44)를 숫자 파트(50)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홈(54)에 끼워 몸체 파트(40)와 숫자 파트(50)를 연결시킨다. 튜브(60)를 개재한 상태에서 몸체 파트(40)와 숫자 파트(50)를 연결시키는 구성 외에, 몸체 파트(40)와 숫자 파트(50)를 연결시킨 다음에 이들을 튜브(60)에 삽입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후에, 너트부(30)와 몸체부(10)의 결합 파트(11)는 나사산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때 체결을 시작할 때 기준선(21)을 가리키고 있던 숫자 파트(50)의 숫자(51)와, 체결을 끝냈을 때 기준선(21)을 가리키고 있는 숫자 파트(50)의 숫자(51)는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완전한 체결을 위해 일차적으로 작업자가 직접 너트부(30)를 회전시켜 몸체부(10)에 너트부(30)를 결합시킨 다음에, 이차적으로 렌치를 통해 너트부(30)를 추가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때도 렌치에 의한 이차적인 결합을 정량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차적 결합이 완료됐을 때 기준선(21)을 가리키고 있는 숫자 파트(50)의 숫자(51)를 기억한 다음에, 이를 기준으로 다음 또는 그 다음의 숫자(44)가 기준선(21)을 가리킬 때까지 렌치로 너트부(30)를 회전시켜 몸체부(10)와 너트부(30) 사이의 결합을 마무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차적 결합 이후에 어느 숫자 차이만큼 이차적 결합을 행하는 것으로 정한다면, 초보자라도 확실하게 몸체부(10)와 너트부(30) 사이의 결합을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정량화는 재 조립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튜브(60)나 관의 연결을 위해 몸체부(10)와 너트부(30)를 결합한 이후에도 필요에 의해 이들을 다시 분리하고, 다시 조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재조립 시에는 기존 결합 시보다 몸체부(10)와 너트부(30)를 강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분리 전에 기준선(21)을 가리키고 있는 숫자 파트(50)의 숫자(51)를 기억한 다음에, 재조립 시, 기준선(21)을 가리키던 숫자의 다음 또는 그 다음의 숫자가 기준선(21)을 가리킬 때까지 몸체부(10)와 너브투(30)를 다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 시를 기준으로 재조립 시에 어느 숫자 차이만큼 결합을 행하는 것으로 정한다면, 초보자라도 확실하게 몸체부(10)와 너트부(30) 사이의 재결합을 마무리할 수 있다.
일예로, 일차적 결합시, 기준선(21)을 숫자 파트(50)의 숫자 9가 가르킬 경우, 이차적 결합을 위해, 작업자가 렌치로 몸체 파트(40)를 회전시키면, 몸체 파트(40)와 연결된 숫자 파트(50)의 숫자 9는 기준선(21)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기준선(21)을 표시했던 숫자 9는 변경된다. 여기에서 숫자가 변경된다. 라고 함은 기준선(21)을 가리키는 숫자는 9와 같거나, 9보다 큰 숫자가 기준선(21)을 가리킬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숫자 파트(50)에 표시된 숫자에 의하여, 결합 파트(11)에 몸체 파트(40)를 어느 정도 결합시켰는지의 정량적인 조임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조임 위치를 기존의 형태보다 더 조였는지의 확인이 가능해짐으로써, 피팅유닛(100)의 내부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피팃유닛(10)의 수명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시를 기준으로 재조립 시에 어느 숫자 차이만큼 결합을 행하는 것으로 정했는데, 반복되는 재조립으로 인해 그 숫자 차이보다 큰 숫자 차이에서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이때 피팃유닛(10)의 수명이 끝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도 특정 숫자 차이를 정량적으로 결정하여 피팃유닛(10)의 수명을 결정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 전 기준선(21)을 가리키는 숫자 파트(50)의 숫자가 3일 경우, 분리후 재 조립에는 상술한 일차적 결합 이후에 이차적 결합을 행하여 기준선을 가리키는 숫자 파트의 숫자는 3이거나, 3보다 많은 숫자가 기준선을 가리킬 수 있다. 이때, 약 6이상의 숫자가 기준선(21)을 가리킬 경우, 몸체 파트(4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41)이 마모가 되어 수명이 다했음을 작업자는 인지하고 새로운 몸체 파트(40)로 교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체부 11: 결합 파트
20: 표시 파트 21: 기준선
30: 너트부 40: 몸체 파트
41: 나사산 43: 안내단
44: 돌기 50: 숫자파트
51: 숫자 54: 안내홈
60: 튜브 100: 피팅유닛

Claims (5)

  1. 관의 연결 시에 사용되는 피팅유닛으로서,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파트와, 상기 결합 파트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표면에 기준선이 표시된 표시 파트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결합 파트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결합 파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
    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부의 표면에는 상기 결합 파트에 결합될 때의 회전 방향으로, 또는 이의 반대 방향으로 일련의 숫자들이 표시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에 대한 상기 너트부의 결합 정도가 정량적으로 파악되는 피팅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상기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몸체 파트와, 상기 몸체 파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상기 일련의 숫자들이 표시된 숫자 파트를 포함하는 피팅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파트의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숫자 파트의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 파트 및 상기 숫자 파트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팅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파트는 상기 몸체 파트에 결합될 때, 상기 일련의 숫자들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기준선을 가리키도록 상기 몸체 파트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 파트가 회전할 때 상기 몸체 파트와 함께 회전하는 피팅유닛.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파트는 스테인레스, 동, 플라스틱, 실리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된 피팅유닛.
KR2020160001263U 2016-03-09 2016-03-09 피팅유닛 KR200486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263U KR200486188Y1 (ko) 2016-03-09 2016-03-09 피팅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263U KR200486188Y1 (ko) 2016-03-09 2016-03-09 피팅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44U true KR20170003244U (ko) 2017-09-19
KR200486188Y1 KR200486188Y1 (ko) 2018-04-11

Family

ID=6057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263U KR200486188Y1 (ko) 2016-03-09 2016-03-09 피팅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1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668B1 (ko) * 2022-12-19 2023-10-16 (주)우주이엔지 튜브 피팅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803Y1 (ko) * 1997-01-28 2000-01-15 안지용 커플링
KR200226013Y1 (ko) * 2000-12-08 2001-06-01 조금숙 조임각도 제어방식 암수나사
KR200396421Y1 (ko) * 2005-07-08 2005-09-21 남준욱 편심 파이프 이음용 유니언.
JP2008216156A (ja) * 2007-03-07 2008-09-18 Taiyo Nippon Sanso Engineering Corp 管継手の締め付け角度判定方法及び管継手の締め付け角度判定治具
KR20080005468U (ko) * 2007-05-15 2008-11-21 강용희 튜브 피팅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803Y1 (ko) * 1997-01-28 2000-01-15 안지용 커플링
KR200226013Y1 (ko) * 2000-12-08 2001-06-01 조금숙 조임각도 제어방식 암수나사
KR200396421Y1 (ko) * 2005-07-08 2005-09-21 남준욱 편심 파이프 이음용 유니언.
JP2008216156A (ja) * 2007-03-07 2008-09-18 Taiyo Nippon Sanso Engineering Corp 管継手の締め付け角度判定方法及び管継手の締め付け角度判定治具
KR20080005468U (ko) * 2007-05-15 2008-11-21 강용희 튜브 피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668B1 (ko) * 2022-12-19 2023-10-16 (주)우주이엔지 튜브 피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188Y1 (ko)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76307A (zh) 管接头
CN105164456A (zh) 由合成树脂制成的管接头
JP5054956B2 (ja) 管継手
KR20100106421A (ko) 2개의 경질 물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WO2015029815A1 (ja) 管継手
KR20140096976A (ko) 관 접속 장치
CN105714884A (zh) 射流破碎器/曝气器阀芯以及包括所述阀芯的水龙头
KR200486188Y1 (ko) 피팅유닛
CN101799031A (zh) 固定装置
KR101452360B1 (ko)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인지부재를 갖는 관이음 조립체
WO2012077549A1 (ja) ホース接続具及びシャワーホース用継手構造
JP6078857B2 (ja) 管継手
US10428980B2 (en) Sanitary line attachment
US20130088006A1 (en) Torque control cap for hose clamp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KR200489076Y1 (ko) 연결 검증 공구
JP6618741B2 (ja) 合成樹脂製の管継手用ナット、管継手および締め付け工具
CN105972346B (zh) 管接头
EP4042057B1 (en) Device for closing a tube
US20130213195A1 (en) Tool
JP2015048887A (ja) 管継手
US10833430B2 (en) Terminal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to the connection pad of an electrical device, and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including such a terminal
JP2018047546A (ja) パイプ用クランプ
EP2357389B1 (en) Press fitting apparatus having a sealing ring
CN105736756B (zh) 一种三通球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