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47U - 컨베이어 종동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종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47U
KR20170003047U KR2020160000938U KR20160000938U KR20170003047U KR 20170003047 U KR20170003047 U KR 20170003047U KR 2020160000938 U KR2020160000938 U KR 2020160000938U KR 20160000938 U KR20160000938 U KR 20160000938U KR 20170003047 U KR20170003047 U KR 201700030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hain link
frame
shaft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2020160000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047U/ko
Publication of KR20170003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89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8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컨베이어 레일에 설치되며, 체인 링크로부터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있어서, 체인 링크가 접촉되며, 체인 링크로부터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부; 상기 풀리부가 설치되는 종동축부; 및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며, 상기 종동축부가 설치되며, 체인 링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컨베이어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서,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자중이 대폭적으로 감소 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종동장치{DRIVEN APPARATUS FOR CONVEYOR}
본 고안은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컨베이어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부를 합성수지재로 마련함으로써, 자중이 대폭적으로 감소 되며,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구동시 소음이 감소 되는 등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컨디션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란, 공장 내에서의 부품의 운반 등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단순한 운반장치로만이 아니고 작업원과 결합시켜 움직이는 작업대로도 사용되어, 공장 내에서의 대량생산방식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에는 벨트 타입, 나사 타입, 체인 타입, 플라스틱 체인 타입 등이 있다. 벨트 컨베이어는 고무, 직물, 철망,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순환시켜서 그 위에 제품을 올려 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이며, 나사 컨베이어는 원통형 또는 단면의 아래쪽 반이 반원형인 물통 모양의 외곽 속에 나사를 넣고, 이 나사를 회전시켜서 제품을 나사의 날개에 따라 이동시키는 장치이며, 체인 컨베이어는 체인에 제품을 안착시킨 다음, 체인에 맞물리는 기어의 힘으로 체인을 이동시켜 제품을 운반하는 장치이며, 플라스틱 체인 컨베이어는 플라스틱으로 마련되는 체인 링크를 복수개로 상호 연결시켜 기어에 맞물린 다음, 기어의 힘으로 복수개의 체인 링크를 이동시켜 체인 링크의 상면에 안착된 제품을 운반하는 장치이다.
상술한 플라스틱 체인 컨베이어는 기어(스프라킷) 및 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설치되는 컨베이어 구동부와, 풀리가 설치되는 컨베이어 종동부와, 컨베이어 구동부 및 컨베이어 종동부에 각각 연결되는 컨베이어 레일과, 기어에 맞물리며 풀리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체인 링크로 구성된다.
종래의 컨베이어 종동부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로 마련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종동부는 자중이 매우 크며, 이에 따라, 종래의 컨베이어 종동부를 이용하는 경우, 컨베이어 종동부와 결합되는 컨베이어 레일이 컨베이어 종동부의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 종동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중이 크기 때문에, 컨베이어 종동부를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컨베이어 종동부를 컨베이어 레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노동력이 많이 투여될 뿐만 아니라 분리, 교체시 작업자의 안전에도 큰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컨베이어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부를 합성수지재로 마련함으로써, 자중이 대폭적으로 감소 되며,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구동시 소음이 감소 되는 등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컨디션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컨베이어 종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컨베이어 레일에 설치되며, 체인 링크로부터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있어서, 체인 링크가 접촉되며, 체인 링크로부터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부; 상기 풀리부가 설치되는 종동축부; 및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며, 상기 종동축부가 설치되며, 체인 링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컨베이어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체인 링크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인 링크가 이동하는 함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공간은, 상기 프레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공간은, 상기 프레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종동축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제1연결축과, 상기 제1연결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축과 상기 종동축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연결축과, 상기 제1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축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자중이 대폭적으로 감소 된다. 이에 의해서, 레일의 변형이 방지되며,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교체작업이 용이 해지며, 교체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구동시 소음이 감소 되는 등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컨디션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측면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배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프레임부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체인 링크를 장착한 것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체인 링크를 장착한 것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체인 링크를 장착한 것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평면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측면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배면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프레임부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체인 링크를 장착한 것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체인 링크를 장착한 것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체인 링크를 장착한 것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100)는 풀리부(110)와 종동축부(120)와 프레임부(130)와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풀리부(110)는 체인 링크(c)로부터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써, 체인 링크(c)가 접촉된다. 이러한 풀리부(110)는 본체(111)와 접촉부재(112)를 포함한다.
본체(111)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종동축부(120)가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11)의 원주면에는 후술하는 접촉부재(1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접촉부재(112)는 상술한 본체(111)의 원주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동력에 의해 체인 링크(c)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되도록 일면에 체인 링크(c)가 권취된다. 이러한 접촉부재(112)는 본체(111)의 너비와 같은 너비로 마련될 수 있으나, 풀리부(110)의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접촉부재(112)는 본체(111)의 너비 보다 더 작은 너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종동축부(120)는 풀리부(110)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풀리부(110)가 아이들(Idle)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프레임부(130)에 고정된다. 상술한 종동축부(120)와 풀리부(110)에 의해서, 체인 링크(c)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100)를 경유하여 컨베이어 구동장치 측으로 다시 이동된다.
프레임부(130)는 상술한 종동축부(120)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체인 링크(c)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컨베이어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30)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된다. 종래의 프레임부(130)는 금속재로 마련되었으므로 자중이 매우 커서, 이러한 종래의 프레임부(130)를 이용하는 경우 프레임부(130)와 연결되는 컨베이어 레일이 프레임부(130)의 자중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컨베이어 종동부를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종래의 프레임부(130)를 컨베이어 레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노동력이 많이 투여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에도 큰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30)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되기 때문에, 종래의 금속재로 마련되는 프레임부(130)에 비해서 자중이 매우 작다. 따라서,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프레임부(130)에 의하면, 컨베이어 레일이 변형이 저감되며, 유지 및 보수시에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프레임부(130)는 풀리부(110)의 직경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가지는 부분과 풀리부(110)의 직경보다 더 좁은 너비를 가지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풀리부(110)의 직경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가지는 부분은 풀리부(110)가 설치되는 부분이며, 풀리부(110)의 직경보다 더 좁은 너비를 가지는 부분은 컨베이어 레일과 연결되는 측의 부분이다. 이러한 프레임부(130)의 형상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좁은 너비를 가지는 컨베이어 레일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부(130) 및 컨베이어 레일 제작시에 단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부(130)는 후술하는 연결바(143)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g)을 형성한다. 이러한 삽입홈(g)은 연결바(143)에 인가되는 모멘트 하중에 따라 길이가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레임부(130) 전체 길이의 1/2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부(130)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함몰공간(s) 구비한다. 이러한 함몰공간(s)에는 체인 링크(c)의 단부가 삽입된다. 컨베이어 구동장치가 동작하여 체인 링크(c)를 이동시키면, 체인 링크(c)가 함몰공간(s)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프레임부(130) 중 외부에 배치된 프레임부(130)에는 체인 링크(c)의 단부가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 배치된 프레임부(130)에 형성된 함몰공간(s)은 프레임부(130)의 자중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레임부(130)의 외면에는 커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는 금속재로 마련되되, 프레임부(130)의 두께 보다 더 얇은 두께로 마련되어 프레임부(130)의 일측면 전체가 커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30)는 자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마련되었기 때문에, 프레임부(130)의 외측면이 작업자와의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되기가 쉽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재로 마련되는 커버부에 의하면,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프레임부(130)가 파손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연결부(140)는 컨베이어 레일과 프레임부(130)를 연결하는 것으로써 프레임부(130)에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부(140)는 제1연결축(141)과 제2연결축(142)과 연결바(143)를 포함한다.
제1연결축(141)은 상술한 종동축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써, 프레임부(130)에 설치된다. 제2연결축(142)은 제1연결축(141)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써, 제1연결축(141)과 종동축부(120) 사이에 설치된다. 연결바(143)는 제1연결축(141)과 제2연결축(142)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프레임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프레임부(130)에 형성되는 삽입홈(g)에 삽입된다. 또한, 연결바(143)에는 연결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홀과 연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바(143)와 컨베이어 레일이 결합되므로써, 프레임부(130)가 컨베이어 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100)의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경우, 프레임부(130)를 컨베이어 레일에서 분리해야 하는데, 이때, 상술한 체결부재(미도시)를 제거하면, 프레임부(130)가 컨베이어 레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30)의 상면은 체인 링크(c)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해야 하므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30)가 복수개인 경우, 제1연결축(141)과 제2연결축(142)은 복수개의 프레임부(130)를 상호 연결하여, 복수개의 프레임부(130)가 하나의 모듈로 고정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30)는 체인 링크(c)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해야 하므로, 복수개의 프레임부(130) 사이의 간격은 체인 링크(c)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연결축(141)과 제2연결축(142)과 연결바(143)를 포함하는 연결부(140)에 의하면, 프레임부(130)가 컨베이어 레일에 효과적으로 탈부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인 링크(c)의 너비에 대응하는 프레임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풀리부(110)와 종동축부(120)와 프레임부(130)와 연결부(14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100)에 의하면,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자중이 대폭적으로 감소 된다. 이에 의해서, 레일의 변형이 방지되며, 컨베이어 종동장치의 교체작업이 용이 해지며, 작업자의 안전이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종동장치
110 : 풀리부 111 : 본체
112 : 접촉부재 120 : 종동축부
130 : 프레임부 140 : 연결부
141 : 제1연결축 142 : 제2연결축
143 : 연결바
g : 삽입홈 s : 함몰공간
c : 체인 링크

Claims (5)

  1. 컨베이어 레일에 설치되며, 체인 링크로부터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에 있어서,
    체인 링크가 접촉되며, 체인 링크로부터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부;
    상기 풀리부가 설치되는 종동축부; 및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며, 상기 종동축부가 설치되며, 체인 링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컨베이어 레일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체인 링크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인 링크가 이동하는 함몰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함몰공간은,
    상기 프레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함몰공간은,
    상기 프레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종동축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제1연결축과, 상기 제1연결축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축과 상기 종동축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연결축과, 상기 제1연결축과 상기 제2연결축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종동장치.
KR2020160000938U 2016-02-22 2016-02-22 컨베이어 종동장치 KR201700030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938U KR20170003047U (ko) 2016-02-22 2016-02-22 컨베이어 종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938U KR20170003047U (ko) 2016-02-22 2016-02-22 컨베이어 종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47U true KR20170003047U (ko) 2017-08-30

Family

ID=6062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938U KR20170003047U (ko) 2016-02-22 2016-02-22 컨베이어 종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04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4768A (zh) * 2018-08-28 2018-12-11 佛山市加德纳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输送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4768A (zh) * 2018-08-28 2018-12-11 佛山市加德纳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输送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1307A (en) Conveyor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214444B2 (en) Drive device, drive element and conveying-cart drive
EP0450759A1 (en) Roller conveyor
US7594572B2 (en) Conveying line with a driving roller
KR101430158B1 (ko) 케이블 이송 장치
KR20170003047U (ko) 컨베이어 종동장치
KR20130088824A (ko) 케이블에 케이블그로밋을 끼우는 장치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CN100493763C (zh) 钢带自动送料机
KR20170003046U (ko) 컨베이어 구동장치
CN213770117U (zh) 一种皮带输送机
JP3605588B2 (ja) 横送り搬送装置
JP6234416B2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
KR101120030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CN213444945U (zh) 一种过渡装置以及设有该过渡装置的输送线
KR200483153Y1 (ko) 단차가 형성되는 컨베이어 체인 링크
CN208265147U (zh) 一种用于轻质圆柱状工件的输送装置
KR100612966B1 (ko) 컨베이어용 스프로켓
KR101111549B1 (ko) 커팅벨트를 제거한 방식의 만두피 커팅기
KR200387380Y1 (ko) 소형부품의 이송배출장치
KR20090006367U (ko) 롤러컨베이어
CN210594155U (zh) 凸轮盖自动式精准分料机构
JP2006273539A (ja) フリーフローコンベア装置
CN217375911U (zh) 一种重载型输送机构
CN106000760A (zh) 一种全自动数控横留缝涂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