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42U -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 Google Patents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42U
KR20170003042U KR2020160000923U KR20160000923U KR20170003042U KR 20170003042 U KR20170003042 U KR 20170003042U KR 2020160000923 U KR2020160000923 U KR 2020160000923U KR 20160000923 U KR20160000923 U KR 20160000923U KR 20170003042 U KR20170003042 U KR 20170003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guard
operation lever
upper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609Y1 (ko
Inventor
최병남
구현식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2020160000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0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지게차의 차체와 마스트 조립체 사이의 발판에 탑승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조작레버(12)와, 차체(10)의 상부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30)와,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레그(40)와, 상기 레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70)와, 상기 한 쌍의 레그(40)를 연결하는 발판(40a)과, 상기 마스트 조립체(70)의 전방에 구비되는 캐리지(80)와, 상기 캐리지(80)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90)와, 상기 레그(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륜(50)과, 상기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륜(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치타입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10)의 상부 전방에, 작업자가 상기 발판(40a)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조작레버(12)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작레버 가드부재(1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Control Lever Guard Member for Reach Type Folklift}
본 고안은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에 지게차 조작레버 가드부재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차체와 마스트 사이의 공간에서 지게차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실내 작업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하물을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시킬 때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마스트 조립체가 승강 작용만 하는 표준형 지게차와, 마스트 조립체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리치타입(Reach Type) 지게차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한 표준형 지게차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과,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차체의 후방에는 작업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캐리지는 리프트 체인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가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표준형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전륜 구동, 후륜 조향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리치타입 지게차는, 상기한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지게차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레그(Leg)를 구비하고 있고 있다.
상기한 리치타입 지게차는, 일반적으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후륜 구동, 후륜 조향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차체의 후방에서 서서 지게차를 운전한다.
도 1은 이러한 리치타입 지게차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리치타입 지게차는,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10)의 상부 에 구비되는 다수의 조작레버(12)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조작레버(12)는, 지게차의 구동 및 조향, 레그(40)의 전/후진, 캐리지(80)의 승/하강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지게차의 운전시, 상기 차체(10)의 후방 또는 일측에 선 상태에서 지게차의 각종 조작레버(12)들을 조작한다.
또한, 상기 차체(10)의 상부 전방에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부에는 오버헤드 가드(30)가 구비된다.
상기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30)는 차체(10)에 탑승하여 운전하는 운전자를 낙하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차체(10)의 하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는 한 쌍의 레그(Leg)(40)가 구비되고, 상기 양쪽의 레그(40)의 사이에는 발판(40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체(10)의 하부에는 후륜(60)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레그(40)의 전방에는 한 쌍의 전륜(5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그(40)는, 차체(10)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삽입되어 있다가 필요 시 조작레버(12)의 조작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그(40)의 선단 상부에는 마스트 조립체(70)가 수직으로 구비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7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과,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80)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지(80)는 하역작업시 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통상 리프트 체인(도시 생략)에 의해 상하로 승강한다.
상기 캐리지(80)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90)가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리치타입 지게차에서 하역 작업을 할 경우, 운전자는 차체(10)의 후방에서 조작레버(12)를 조작하게 된다.
이렇게 차체(10)의 후방에서 지게차를 운전하게 되면, 전방에 설치된 마스트 조립체(70) 및 캐지리(80)에 의해 시야가 매우 좁아지게 된다.
한편, 표준형 지게차에서도 마스트 조립체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지만, 표준형 지게차의 운전석은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높게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치타입 지게차에서와 같은 시인성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리치타입 지게차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운전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의 후방에서 지게차를 조작하지 않고, 차체(10)의 전방과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의 발판(40a)에 서서 지게차를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지상에서 하물의 정리작업을 하면서 지게차를 운전할 경우, 차체(10)의 후방까지 가지 않고 차체(10)와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의 발판(40a)에 탑승하여 조작레버(12)를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운전자가 차체(10)의 전방과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의 발판(40a)에 서서 조작레버(12)를 조작할 경우, 지게차의 구동 및 조향레버, 캐리지의 승/하강 레버만을 조작한다면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레그(40)의 후방이동 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운전자가 차체(10)와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마스트 조립체(7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체(10)와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에 끼이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159161호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00-0015151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지게차의 차체와 마스트 조립체 사이의 발판에 탑승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차체와 마스트 조립체 사이의 발판에 탑승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끼임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조작레버와, 차체의 상부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와,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가 전/후진하는 한 쌍의 레그와, 상기 레그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레그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발판과, 상기 마스트 조립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레그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륜과, 상기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치타입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부 전방에, 작업자가 상기 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차체의 상부에 구비된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작레버 가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 가드부재는, 다수의 가로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배치된 형태로서,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정면가드와, 차체의 양 측면 전방에 설치되는 측면가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면가드 및 양측의 측면가드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 및 차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면가드와 양측의 측면가드는,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수직 프레임 및 차체의 상부에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면가드와 측면가드를 형성하는 각 가로부재 사이의 간격(d)은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면가드와 측면가드의 높이(H1)는 조작레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에 의하면, 운전자가 지게차의 차체와 마스트 조립체 사이의 발판에 탑승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리치타입 지게차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조작레버 가드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레버 가드부재를 설치하면서도 전방의 시야가 감소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치타입 지게차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리치타입 지게차에서 작업자가 발판에 서서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작레버 가드부재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조작레버(12)와, 차체(10)의 상부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30)와,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가 전/후진하는 한 쌍의 레그(40)와, 상기 레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70)와, 상기 한 쌍의 레그(40)를 서로 연결하는 발판(40a)과, 상기 마스트 조립체(70)의 전방에 구비되는 캐리지(80)와, 상기 캐리지(80)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90)와, 상기 레그(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륜(50)과, 상기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륜(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리치타입 지게차의 일반적은 구성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본 고안의 특징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차체(10)와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에 구비된 발판(40a)에 탑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조작레버(12)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작레버 가드부재(100)는, 다수의 가로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배치된 형태로서, 차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정면가드(110)와, 차체(10)의 양 측면 전방에 설치되는 측면가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면가드(110) 및 양측의 측면가드(1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20) 및 차체(10)의 상부에 조립되거나,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수직 프레임(20) 및 차체(10)의 상부에 각각 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드부재(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홀(100a) 및 차체(1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100b)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드부재(100)는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수직 프레임(20) 및 차체(10)의 상부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로부재의 높이(h1)는 5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가로부재의 높이(h1)가 5cm를 초과하게 되면 전방의 시야를 많이 가리게 되어 하역작업에 지장을 주게 되고, 5cm 이하일 경우에는 가로부재를 촘촘히 배치하여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각 가로부재는, 단면이 평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라운드 바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면가드(110)와 측면가드(120)를 형성하는 각 가로부재 사이의 간격(d)은 3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손등의 두께를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각 가로부재 사이의 간격이 3cm를 초과하게 되면 그 틈새로 손을 넣어 조작레버(12)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각 가로부재 사이의 간격이 3cm 이하가 되면, 전방의 시야가 많이 가려져 작업에 지장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정면가드(110)와 측면가드(120)의 높이(H1)는 조작레버(12)의 높이 보다 15cm ~ 25cm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면가드(110)와 측면가드(120)의 높이(H1)가 조작레버(12)의 높이보다 25cm를 초과하면 전방의 시야를 많이 가리게 되고, 15cm 이하가 되면 상부로 손을 넣어 조작레버(12)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측면가드(120)의 수평방향 길이는 30cm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업자가 측면을 통해 조작레버(12)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3에는 조작레버 가드부재가 수직 프레임(20) 사이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조작레버 가드부재는 조작레버(12) 부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리치타입 지게차는, 전방으로 레그(40) 및 마스트 조립체(70)가 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체(10)의 후방에서 조작레버(12)를 조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레그(40) 사이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발판(40a)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리치타입 지게차에서는, 운전자가 차체(10)의 후방에서 지게차를 운전하지 않고, 차체(10)와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에 구비된 상기 발판(40a)에 서서 지게차를 운전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운전자가 단독으로 하물의 하역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지상에서 하물의 정리작업을 한 후, 작업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차체(10)의 후방까지 가지 않고, 상기 발판(40a)에 탑승하여 지게차를 운전하는 경우가 있다.
운전자가 상기 발판(40a) 탑승하여 운전할 때, 지게차의 구동 및 조향 레버나 캐리지의 승/하강 조작레버만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운전자가 상기 발판(40a) 탑승한 상태에서 부주의로 레그(40)의 후진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차체(10)는 정지된 상태에서 레그(40)의 상부에 구비된 마스트 조립체(70)가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체(10)와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에 끼게 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가 차체(10)와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의 발판(40a)에 탑승한 상태에서는 조작레버(12)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였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자가 차체(10)와 마스트 조립체(70) 사이의 발판(40a)에 탑승하여 지게차를 구동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리치타입 지게차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끼임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기존의 리치타입 지게차에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차체 12: 조작레버
20: 수직 프레임 30: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40: 레그(Leg) 40a: 발판
50: 전륜 60: 후륜
70: 마스트(Mast) 졸립체 80: 캐리지(Carriage)
90: 포크(Folk) 100: 가드부재
100a: 볼트홀 100b: 브라켓(Bracket)
110: 정면가드 120: 측면가드

Claims (6)

  1.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조작레버(12)와, 차체(10)의 상부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30)와,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레그(40)와, 상기 레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70)와, 상기 한 쌍의 레그(40) 사이에 구비되는 발판(40a)과, 상기 마스트 조립체(70)의 전방에 구비되는 캐리지(80)와, 상기 캐리지(80)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90)와, 상기 레그(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륜(50)과, 상기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륜(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치타입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10)의 상부 전방에, 작업자가 상기 발판(40a)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조작레버(12)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작레버 가드부재(1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 가드부재(100)는,
    다수의 가로부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배치된 형태로서, 차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정면가드(110)와, 차체(10)의 양 측면 전방에 설치되는 측면가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가드(110) 및 양측의 측면가드(1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20) 및 차체(10)의 상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가드(110)와 양측의 측면가드(120)는,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수직 프레임(20) 및 차체(10)의 상부에 각각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가드(110)와 측면가드(120)를 형성하는 각 가로부재 사이의 간격(d)은 3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가드(110)와 측면가드(120)의 높이(H1)는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조작레버(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KR2020160000923U 2016-02-22 2016-02-22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KR200484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923U KR200484609Y1 (ko) 2016-02-22 2016-02-22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923U KR200484609Y1 (ko) 2016-02-22 2016-02-22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42U true KR20170003042U (ko) 2017-08-30
KR200484609Y1 KR200484609Y1 (ko) 2017-09-28

Family

ID=6057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923U KR200484609Y1 (ko) 2016-02-22 2016-02-22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0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161Y1 (en) 1997-12-30 1999-10-15 Daewoo Heavy Ind Co Ltd Leech type fork lift truck
KR20000015151A (ko) 1998-08-27 2000-03-15 서평원 4진 위상 편이 키잉 변조기
JP2001106490A (ja) * 1999-10-07 2001-04-17 Nippon Yusoki Co Ltd キャビン付きフォークリフトの結露防止装置
JP2005298180A (ja) * 2004-04-14 2005-10-27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161Y1 (en) 1997-12-30 1999-10-15 Daewoo Heavy Ind Co Ltd Leech type fork lift truck
KR20000015151A (ko) 1998-08-27 2000-03-15 서평원 4진 위상 편이 키잉 변조기
JP2001106490A (ja) * 1999-10-07 2001-04-17 Nippon Yusoki Co Ltd キャビン付きフォークリフトの結露防止装置
JP2005298180A (ja) * 2004-04-14 2005-10-27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609Y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6387B (zh) 用于在车辆上使用的伸缩组件
US2875852A (en) Power driven material handling trucks
US10793408B2 (en) Stand-up riding type cargo handling vehicle
JP2018039578A (ja) フォークリフトおよびパレット
JP2007091423A (ja) フォークリフトおよびパレットロック装置
JP2006321598A (ja) 三方向スタッキングトラック
KR200484609Y1 (ko)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KR102299046B1 (ko)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KR20140005809U (ko) 지게차
KR20150000898U (ko) 지게차
JP2021172483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30132031A (ko) 시야 확보가 가능한 지게차 마스트 구조
JP5435603B1 (ja) ピッキングリフト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該転落防止装置を備えたピッキングリフト
JP5713173B2 (ja) 物品搬送設備
JPH07223707A (ja) 自動倉庫の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5268252B2 (ja) ローリフトトラック
JP2014148310A (ja) 貨物用ラック
JP5459732B2 (ja)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
CN217297169U (zh) 一种适用于载重工业车辆的行走装置和一种载重工业车辆
JPH10147499A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油圧装置
KR101890438B1 (ko) 지게차용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
JP2006103926A (ja) フォークリフト
JP4822388B2 (ja) フォークリフト
US20050254934A1 (en) Lifting forks
KR20080059738A (ko) 지게차의 캐리지 추락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