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663U - 욕실용 코너 선반 - Google Patents

욕실용 코너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663U
KR20170002663U KR2020160000264U KR20160000264U KR20170002663U KR 20170002663 U KR20170002663 U KR 20170002663U KR 2020160000264 U KR2020160000264 U KR 2020160000264U KR 20160000264 U KR20160000264 U KR 20160000264U KR 20170002663 U KR20170002663 U KR 20170002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fixed
piece
spac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한
Original Assignee
주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한 filed Critical 주재한
Priority to KR2020160000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663U/ko
Publication of KR20170002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6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용 코너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건이 올려지는 선반 및 선반에 올려진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욕실용 코너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욕실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욕실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통공을 갖춘 수직면을 갖추고, 상기 수직면의 상,하면에 전방을 향하여 절곡시켜 받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춘 수평면을 갖춘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받침부에 올려진 욕실용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된 욕실용 코너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갖추게 되는 수평면의 선단부에 일체로 연장시켜 공간부 내측으로 절곡시켜 공간부내에 삽입되는 받침부를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긴밀하게 눌러주어 수평면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션편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실용 코너 선반{Corner shelf for bathroom}
본 고안은 욕실용 코너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건이 올려지는 선반 및 선반에 올려진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욕실용 코너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용 코너 선반은 욕실의 코너가 되는 모서리에 설치되어 욕실에서 사용되는 욕실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코너 선반은 본 고안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09704호가 소개된바 있다.
상기의 코너 선반은 직각을 유지한 욕실의 벽면에 각각 나선 체결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각각 삽입되는 상태로 끼워지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전면부에 갖추어져 욕실용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벽면에 접하는 상태로 하여 체결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을 갖춘 고정면 상,하면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삽입홈을 갖춘 지지면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받침부의 전면부 양측 부분이 삽입되는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클립을 갖추고, 상기 각각의 고정클립에 양측 끝단부분이 삽입 고정되는 이탈방지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너 선반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단순히 받침부가 끼워지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어 고정부의 삽입간격과 받침부의 두께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받침부가 임의로 빠지게 되는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탈방지부가 단순히 받침부에 삽입되는 고정클립 형상을 유지하고 있어 이 또한 삽입 간격이 맞지 않을 경우 임의로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하여 최근에는 고정부에 나사공을 뚫어 이에 나사를 체결시켜 나사공을 관통한 나사가 받침부를 밀어주도록 하므로서, 고정부와 받침부 사이의 밀착력을 높여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고정부에 나선공을 뚫어주어야 하고, 또한 나사를 구비하여 체결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받침부와 고정부와 이탈방지부를 단순한 끼움 상태에서도 견고하게 끼움 결합되어 사용도중 이들이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하므로서, 받침부에 올려져 있는 욕실용품이 떨어지거나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욕실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욕실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통공을 갖춘 수직면을 갖추고, 상기 수직면의 상,하면에 전방을 향하여 절곡시켜 받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춘 수평면을 갖춘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받침부에 올려진 욕실용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된 욕실용 코너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갖추게 되는 수평면의 선단부에 일체로 연장시켜 공간부 내측으로 절곡시켜 공간부내에 삽입되는 받침부를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긴밀하게 눌러주어 수평면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션편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욕실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욕실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통공을 갖춘 수직면을 갖추고, 상기 수직면의 상,하면에 전방을 향하여 절곡시켜 받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춘 수평면을 갖춘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받침부에 올려진 욕실용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된 욕실용 코너 선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받침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욕실용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편과;
상기 이탈방지편의 후면 양측에 받침부가 삽입되는 상태로 상,하면을 지지하도록 공간부를 갖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중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편 선단부에 연장된 상태에서 자체의 텐션력을 갖춘 텐션편과;
상기 텐션편의 선단부 상면에 받침부에 갖추어진 통공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받침부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이탈방지편과;
상기 이탈방지편 하부에 받침부에 갖추어지 통공을 관통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통공을 관통한 가이드축의 하단부에 갖추어진 요입홈부에 걸려 이탈방지편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멈춤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의 고정편 선단에 연장시켜 주되 내측으로 절곡되는 텐션편을 갖추어 고정부에 갖추어진 공간부내에 삽입되는 받침부에 의해 텐션편이 눌리는 상태가 됨으로서, 상기 텐션편이 항상 눌러주는 텐션력에 의해 받침부가 고정부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탈방지부 또한 이탈방지편 후면 양측에 갖추어진 지지편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내에 받침부를 단순히 삽입시켜 주게 되면 지지편에 연장되어 있는 텐션편 선단부 상면에 갖추어진 걸림돌기가 통공에 끼워져 걸리면서 조립이 완료됨에 따라 코너선반의 조립이 수월함은 물론, 사용도중 임의로 빠지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사용도중 받침부가 빠지거나 이탈방지부가 빠지는 일이 없어 받침부 또는 이에 올려져 있는 욕실용품이 파손 되는 일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이 욕실용 코너선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중 고정부와 받침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도3a는 결합전의 상태도.
도3b는 결합된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중 받침부와 이탈방지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도4a는 결합전의 상태도.
도4b는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이 욕실용 코너선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인 코너 선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인 코너선반(100)은 욕실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200)와, 상기 받침부를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300)와 , 상기 받침부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욕실용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200)는 꼭지점(210)을 기점으로 하여 2면이 직각면(220)을 유지하고, 상기 직각면의 선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반원형의 곡선면(230)을 갖추게 된다.
상기 꼭지점(210)을 기점으로 하여 2면이 직각을 유지하게 됨은, 모서리(1a)를 기점으로 하영 2면이 직각을 유지하고 있는 벽면(1)의 코너 부분에 받침부(200)가 설치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벽면(1)에 접하게 되는 수직면(310)과, 상기 수직면의 상,하면을 기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절곡시켜 받침부(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부(330)를 갖춘 수평면(320)과, 상기 수평면 선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내측을 향하여 절곡시켜 주되 공간부내로 삽입되는 받침부(200)에 눌려 이를 긴밀하게 밀착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자체의 텐션력을 갖춘 텐션편(3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면(310)에는 통공(311)을 갖추어 수직면이 벽면에 접하도록한 상태에서 통공을 통해 나사를 벽면(1)에 나선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고정부(300)가 벽면(1)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텐션편(340)은 상,하면에 위치하고 있는 수평면중 어느 한쪽에만 갖추어질 수도 있고, 양측에 갖추어진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400)는 받침부(200)의 곡선면(230) 전방에 위치하여 욕실용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편(410)과, 상기 이탈방지편의 후면 양측에 받침부(200)가 삽입되는 상태로 상,하면을 지지하도록 공간부(430)를 갖춘 지지편(420)과, 상기 지지편중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편(420) 선단부에 연장된 상태에서 자체의 텐션력을 갖춘 텐션편(440)을 갖추되, 상기 텐션편의 선단부 상면에 받침부에 갖추어진 통공(24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450)를 갖추어 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는 본 고안인 코너선반(100)은 우선, 상기 코너선반(100)이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의 2개의 벽면(1)에 고정부(300)를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준다.
이때, 각면에 설치되는 고정부(300)는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맞추어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벽면(1)에 고정된 고정부(300)에 받침부(200)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로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에 받침부(200)가 삽입되기 전에는 고정부(300)의 수평면(320)에 갖추어져 있는 텐션편(340)이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수평면(320)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받침부(200)가 고정부(300)의 공간부(330)측에 위치하도록 받침부를 공간부내로 밀어주게 되면, 공간부(330)내로 삽입되는 받침부(200에 의해 텐션편(340)이 수평면(320)에 강제로 압착되면서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펼쳐지는 상태가 되면서 받침부(200)가 공간부(330)내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공간부내에 받침부가 삽입되면 강제로 눌린 텐션편(340)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자체의 텐션압력에 의해 수평면(320)과 텐션편(340)에 긴미랗게 밀착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서, 임의로 빠지는 일이 없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200)가 고정부(300)에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받침부(200)의 전면에 이탈방지부(400)를 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서, 이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가 이탈방지편(410) 후면 양측에 갖추어진 지지편(420)에 갖추어진 공간부(430)에 삽입되기 이전에는 지지편의 선단부에 연장되어 있는 텐션편(440)도 수평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0)의 성단부분이 지지편(420) 사이에 갖추어진 공간부(430)내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면 텐션편(440)의 선단부 상면에 갖추어진 걸림돌기(450)가 받침부(200)의 저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450)의 높이만큼 텐편션(440)이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휘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받침부(200)를 공간부(430)내로 밀어주어 텐션편(440) 선단부 상면에 갖추어진 걸림돌기(450)가 받침부(200)에 갖추어진 통공(240)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돌기가 통공내로 삽입됨에 따라 지지편(420)을 기점으로 하여 하부로 휘어져 있던 텐션편(440)이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받침부(20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가 됨에 따라 이탈방지편(410)을 잡아 당겨주더라도 받침부(200)의 통공(240)내에 삽입된 걸림돌기(450)가 걸려있어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이탈방지편(500) 하부에 받침부에 갖추어지 통공(240)을 관통하는 가이드축(510)을 갖추고, 상기 통공을 관통한 가이드축의 하단부에 갖추어진 요입홈부(520)에 멈춤링(530)이 걸리도록 하여 이탈방지편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1:벽면 100:코너선반
200:받침부 300:고정부
310:수직면 320:수평면
330:공간부 340:텐션편
400:이탈방지부 410:이탈방지편
420:지지편 430:공간부
440:텐션편 450:걸림돌기

Claims (3)

  1. 욕실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욕실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통공을 갖춘 수직면을 갖추고, 상기 수직면의 상,하면에 전방을 향하여 절곡시켜 받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춘 수평면을 갖춘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받침부에 올려진 욕실용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된 욕실용 코너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갖추게 되는 수평면의 선단부에 일체로 연장시켜 공간부 내측으로 절곡시켜 공간부내에 삽입되는 받침부를 자체의 텐션력에 의해 긴밀하게 눌러주어 수평면 사이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텐션편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코너 선반.
  2. 욕실용품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와;
    욕실의 벽면에 고정되도록 통공을 갖춘 수직면을 갖추고, 상기 수직면의 상,하면에 전방을 향하여 절곡시켜 받침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춘 수평면을 갖춘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받침부에 올려진 욕실용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된 욕실용 코너 선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받침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욕실용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편과;
    상기 이탈방지편의 후면 양측에 받침부가 삽입되는 상태로 상,하면을 지지하도록 공간부를 갖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중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편 선단부에 연장된 상태에서 자체의 텐션력을 갖춘 텐션편과;
    상기 텐션편의 선단부 상면에 받침부에 갖추어진 통공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코너 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받침부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이탈방지편과;
    상기 이탈방지편 하부에 받침부에 갖추어지 통공을 관통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통공을 관통한 가이드축의 하단부에 갖추어진 요입홈부에 걸려 이탈방지편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멈춤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코너 선반.
KR2020160000264U 2016-01-18 2016-01-18 욕실용 코너 선반 KR201700026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64U KR20170002663U (ko) 2016-01-18 2016-01-18 욕실용 코너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64U KR20170002663U (ko) 2016-01-18 2016-01-18 욕실용 코너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663U true KR20170002663U (ko) 2017-07-26

Family

ID=5939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64U KR20170002663U (ko) 2016-01-18 2016-01-18 욕실용 코너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6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521B1 (ko) * 2019-12-19 2021-06-18 이병열 조립 시공성이 향상된 욕실용 선반
KR20230001072U (ko) 2021-11-19 2023-05-26 황유찬 욕실용 코너선반의 설치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575A (en) * 1987-03-18 1988-08-23 Modulus, Inc. Cantilever shelf support
JPH0655446U (ja) * 1993-01-12 1994-08-02 株式会社熊平製作所 棚板の載置物落下防止機構
JPH10313962A (ja) * 1997-05-19 1998-12-02 Toto Ltd コーナー棚の取付構造
KR200409704Y1 (ko) * 2005-11-24 2006-03-03 주재한 이탈방지대가 구성된 다용도 선반
KR101445760B1 (ko) * 2014-07-11 2014-10-06 우진코리아(주) 욕실용 선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575A (en) * 1987-03-18 1988-08-23 Modulus, Inc. Cantilever shelf support
JPH0655446U (ja) * 1993-01-12 1994-08-02 株式会社熊平製作所 棚板の載置物落下防止機構
JPH10313962A (ja) * 1997-05-19 1998-12-02 Toto Ltd コーナー棚の取付構造
KR200409704Y1 (ko) * 2005-11-24 2006-03-03 주재한 이탈방지대가 구성된 다용도 선반
KR101445760B1 (ko) * 2014-07-11 2014-10-06 우진코리아(주) 욕실용 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521B1 (ko) * 2019-12-19 2021-06-18 이병열 조립 시공성이 향상된 욕실용 선반
KR20230001072U (ko) 2021-11-19 2023-05-26 황유찬 욕실용 코너선반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175B2 (en) Drawer fitting
US20170023051A1 (en) Suction cup device
US20150296982A1 (en) Mounting device for drawer system
US20090261700A1 (en) Positioning device for a drawer
US10184236B2 (en) Kitchen mounting part
TWI489871B (zh) 支撐架插拔組裝結構
KR20170002663U (ko) 욕실용 코너 선반
JP2010068389A (ja) 支持スタンド
KR20110043050A (ko)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레일과 바퀴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함.
JP2011183119A (ja) シャワー保持部材の取付構造
US20140082831A1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 locking a toilet seat
JP4168914B2 (ja) スクリーン
KR100769114B1 (ko) 가구용 선반 설치장치
JP5504918B2 (ja) 浴室用カウンター
JP2010057794A (ja) 化粧棚
JP6770819B2 (ja) キャビネット
KR101606842B1 (ko) 빌트인 가스기구용 고정 스프링판
KR200351804Y1 (ko) 벽걸이 고정구
JP6088935B2 (ja) 棚板固定装置
KR200473975Y1 (ko) 가구용 받침다리
TWI587772B (zh) 扣持裝置
JP5495214B2 (ja) パイプ保持具
KR20140013426A (ko) 냄비 손잡이
JP4419509B2 (ja) 壁取付型キャビネット
JPS62222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