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99A -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99A
KR20170002099A KR1020150092071A KR20150092071A KR20170002099A KR 20170002099 A KR20170002099 A KR 20170002099A KR 1020150092071 A KR1020150092071 A KR 1020150092071A KR 20150092071 A KR20150092071 A KR 20150092071A KR 20170002099 A KR20170002099 A KR 20170002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portable terminal
coffee machine
dro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437B1 (ko
Inventor
홍성철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이즈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즈미디어 filed Critical (주)이즈미디어
Priority to KR102015009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4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머신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휴대용 단말에서 커피 머신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 내리는 방법에 대한 모션 설정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 머신에서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물 낙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Coffee Machin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핸드 드립(hand drip) 방식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머신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커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 전문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 또는 직장에서도 원두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머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 머신은 내부에 원두커피 분말이 충전되는 바스켓, 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탱크, 온수탱크로부터 연장되어 바스켓의 상측에서 원두커피 분말을 향하여 물을 낙하시키는 파이프, 그리고 바스켓의 하측에 배치되어 바스켓에서 추출되어 낙하되는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포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피 머신의 커피추출과정을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온수탱크의 가열수단이 작동한다. 가열수단은 온수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은 파이프를 따라 바스켓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원두커피 분말을 향하여 수직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에는 가열된 물이 점차 충전되고, 커피포트에는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저장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커피 머신은 전원이 인가되면 단순히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원두커피 분말에 수직으로 낙하시켜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만이 수행될 뿐, 핸드 드립 방식과 같이 물의 낙하 방식 또는 커피의 추출 속도 등과 같은 추출방식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획일화된 커피 추출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조할 수 없음은 물론, 커피의 맛과 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핸드 드립 커피의 경우 개인이 혼자서 즐기는 경우도 있으나, 핸드 드립 커피 관련 동호회와 소규모 클래스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서로 간의 레시피를 공유하고 배우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핸드 드립 문화를 더욱 활성화시키면서 자신만의 핸드 드립 커피 레시피를 다른 사람과 편하게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22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동으로 핸드 드립 방식과 동일한 추출방식을 구현하여 누구나 손쉽게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타인과 편리하게 핸드 드립 커피 레시피를 공유할 수 있는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 제어 방법은 휴대용 단말에서 커피 머신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 내리는 방법에 대한 모션 설정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 머신에서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물 낙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모션 설정된 물 내리는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장된 물 내리는 방법을 포함한 커피 추출 조건이 선택되면, 상기 커피 추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커피 머신이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은 상기 휴대용 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낙하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이동 궤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물 내리는 방법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 머신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이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에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의 현재 온도,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낙하된 물의 양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에서 커피 머신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 내리는 방법에 대한 모션 설정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 머신에서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물 낙하 위치를 조절하는 커피 머신을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모션 설정된 물 내리는 방법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 내리는 방법을 포함한 커피 추출 조건이 선택되면 상기 커피 추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하게 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커피 머신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리퍼를 설정 구간 내에서 특정 형상으로 이동시키며, 드리퍼 내부에 충전된 커피 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핸드 드립 방식과 동일한 커피 추출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어려움 없이 손쉽게 제조함은 물론, 사용자의 기호 및 커피 가루의 로스팅 정도에 따라 추출방식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상승되어 사용자의 만족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자동으로 핸드 드립 방식과 동일한 추출방식을 구현하여 누구나 손쉽게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타인과 편리하게 핸드 드립 커피 레시피를 공유할 수 있는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피 머신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출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출부가 형성하는 패턴 중 'W'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낙하 방법 모션 설정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커피 머신에서 물 낙하 패턴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어부에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은 커피 머신(1), 휴대용 단말(40), 통신망(50) 및 서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5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2G, 3G, 4G, LTE 이동 통신망,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위성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도 유선,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휴대용 단말(40)은 커피 머신(1)과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또는 적외선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및 명령을 교환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4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정보 통신 단말로서,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web pad), 스마트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40)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40)은 커피 머신(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커피머신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이 설치될 수 있다. 커피머신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구글 마켓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되어 휴대용 단말(40)에 설치되거나, 휴대용 단말(40)의 제조 판매 시에 기본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커피머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커피머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물 온도, 물 내리는 시간, 물의 양, 물 낙하 패턴, 원두커피 분쇄도, 로스팅 단계 및 원두커피 품종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드립 커피 추출 조건 설정 화면을 휴대용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설정 받을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예시한 드립 커피 추출 조건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물 온도, 물 내리는 시간, 물의 양, 물 낙하 패턴 등은 커피 머신(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건이고, 원두커피 분쇄도, 로스팅 단계 및 원두커피 품종 등은 뒤에서 설명하겠으나 드립 커피 레시피를 공유할 때 다른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커피머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물의 온도, 물의 수위, 각 모터의 속도, 입력된 패턴명령, 추출시간 등 커피 머신(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SNS(Social Network System)를 통해 휴대용 단말(40)에 저장된 다양한 커피 추출 방식에 대한 데이터, 예컨대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40)은 서버(60)에 통신망(50)을 통해 접속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피머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설정받는 것 외에도 사용자가 해당 조건에 따라 만들어진 드립 커피를 마시고 느낀 점 등을 기재할 수 있는 메모란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물론 다른 사용자의 드립 커피 레시피를 이용한 다른 사용자로부터 해당 레시피에 따른 시음 후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시음 후기 기재란을 표시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
서버(60)는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등록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4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드립 커피 추출 조건 설정뿐만 아니라 레시피 작성자의 메모나 다른 사용자로부터 등록된 시음 후기에 대한 정보도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4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레시피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다른 사용자와 서로 레시피 및 해당 레시피에 따른 시음 후기 등을 공유하면서 드립 커피 문화를 즐길 수 있다. 한편 설정에 따라 같은 동호회에 가입한 사용자 또는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들끼리만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공유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전체 사용자에게 레시피를 공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60)는 등록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대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산출된 인기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등록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대한 누적 다운로드 수가 많은 수록 인기도가 높게 산출되게 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해당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대한 추천수가 많은 경우에 인기도가 높게 산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커피 품종에 따라 인기도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인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인기도를 참고하여 타인의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6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63)는 드립 커피 추출 조건 인기도 순위 또는 사용자의 검색 조건(예컨대 커피 품종, 로스팅 단계, 원두커피 분쇄도 등)을 입력받고, 그에 해당하는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데이터베이스(61)로부터 추출하여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40)은 입력 모듈(41), 저장 모듈(43), 통신 모듈(45) 및 제어 모듈(47)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41)은 물 온도, 물 내리는 시간, 물의 양, 물 낙하 패턴, 원두커피 분쇄도, 로스팅 단계 및 원두커피 품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 메뉴를 휴대용 단말(40)의 화면에 표시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입력 모듈(41)은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부가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메모를 입력 받는 메모란 또는 시음기 기재란 등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해당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 모듈(43)은 입력 모듈(41)을 통해 설정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저장 모듈(43)은 서버(6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다른 사용자의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 모듈(43)에 저장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은 휴대용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피 머신(1)을 제어하기 위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매번 입력하지 않고 저장 모듈(43)에 저장된 것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통신 모듈(45)은 커피 머신(1)과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3G, 4G, 와이브로 등의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60)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모듈(45)은 제어 모듈(47)의 제어에 따라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을 커피 머신(1)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모듈(47)은 저장 모듈(43)에 저장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통신 모듈(45)을 제어하여 커피 머신(1)에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이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커피 머신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커피 머신(1)은 기구부(5), 제어부(30), 메모리부(31), 무선 통신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부(5)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제공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따라 커피 가루에 물을 내려 커피를 추출하는 기구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30)는 커피 머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드립 커피 추출 조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기구부(5)를 제어하여 커피 추출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부(31)는 커피 머신(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제공된 제어 명령을 저장하고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5)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또는 적외선 등의 무선으로 드립 커피 추출 조건을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1)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상점, 지하철, 식당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자판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자판기로 구현된 경우는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 투입된 동전 또는 지폐 선별모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30)는 투입된 금액만큼만 기구부(5)가 커피 추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1)은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머신(1)에 관한 것으로서, 기구부(5), 제어부(30), 메모리부(31), 무선 통신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부(5)는 급수부(10), 추출부(20), 이송부(25) 및 저장용기(27)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0)는 가열된 물을 추출부(2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1), 저장탱크(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저장탱크(11)를 가열하는 가열장치(13), 그리고 저장탱크(11)에 연결되어 저장탱크(11)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추출부(20) 측으로 연장되어 추출부(20)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5)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급수부(10)의 저장탱크(11)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컵 형상의 수용체로,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받거나, 일정 주기마다 별도로 분리되어 내부에 소모된 물을 다시 재충전 하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1)는 가열이 용이할 수 있도록 열에 강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저장탱크(11) 내부의 수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가열장치(13)는 저장탱크(11)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저장탱크(11) 내부의 물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장치로, 저장탱크(11)의 외주면을 감싸 저장탱크(11)를 가열하거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저장탱크(11)를 지지함과 동시에, 저장탱크(11)를 가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열장치(13)는 저장탱크(11)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급수관(15)은 저장탱크(11)의 가열된 물을 후술할 추출부(20)에 공급하는 관형의 부재로서, 일측은 상기한 저장탱크(11) 내부의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1)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후술할 추출부(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급수관(15)에는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급수관(15)에 저장탱크(11) 내부에 수용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펌프(미도시) 및 급수관(15)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15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커피 머신(1)은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특정 패턴을 형성하고, 급수부(10)로부터 커피 가루가 충전된 내부로 물을 공급받아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20)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는, 추출부(20)는 상측에 개구된 입구(21a)가 형성되고, 하측에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배출구(21b)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커피 가루가 충전되어 물이 배출되는 급수관(15)의 단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리퍼(drippr)(21), 드리퍼(21)의 하측에 배치되어 드리퍼(2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3), 그리고 플레이트(23)에 결합되어 드리퍼(21) 및 플레이트(23)를 이동시키는 이송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리퍼(21)는 입구(21a)의 형상이 원형이고,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리퍼(21)는 교체가 가능하며, 추출방식에 따라 내부에 필터(미도시)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구조, 또는 내부에 필터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물이 떨어지는 드리퍼(21)의 상측에는 드리퍼(21)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아울러 드리퍼(21)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21b)는 추출방식에 따라 수량, 크기 및 배열이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드리퍼(21)의 배출구(21b)에는 배출구(2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추출 조절 밸브(21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커피 머신(1)은 급수관(15)에 설치된 물 공급 밸브(151)를 통하여 드리퍼(21)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드리퍼(21)의 내부로 낙하되는 물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드리퍼(21)의 배출구(21b)에 설치된 추출 조절 밸브(211)를 통하여 추출시간, 추출속도, 추출 양 등과 같은 추출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물 공급 밸브(151)의 개폐 정도 또는 물을 배출하는 압력 등을 다르게 하여 단위 시간 당 드리퍼(21)으로 낙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트(23)는 드리퍼(21)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연장된 부재를 통해 드리퍼(21)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플레이트(23)는 상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막대형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일측에 드리퍼(21)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송부(25)는 평면상에서 X축 및 Y축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레일형 구조물로서, 양 축 방향으로의 복합적인 이동을 통하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출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출부가 형성하는 패턴 중 'W'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부(25)는 외측에 플레이트(23)가 결합되고, X축 방향으로 플레이트(23)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251), 그리고 외측에 제1 가이드 레일(251)이 결합되고, Y축 방향으로 제1 가이드 레일(25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253)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가이드 레일(251)의 외측에는 플레이트(23)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블록(255)이 설치되고, 제1 가이드 블록(255)의 내측에는 제1 가이드 레일(251)에 접촉되는 제1 이동부재(251a)가 설치되며, 제1 가이드 블록(255)의 외측에는 제1 이동부재(251a)에 연결되어 제1 이동부재(251a)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모터(251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레일(253)의 외측에는 제1 가이드 레일(251)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블록(257)이 설치되고, 제2 가이드 블록(257)의 내측에는 제2 가이드 레일(253)에 접촉되는 제2 이동부재(253a)가 설치되며, 제2 가이드 블록(257)의 외측에는 제2 이동부재(253a)에 연결되어 제2 이동부재(253a)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모터(253b)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 레일(253)에 제1 가이드 레일(251)이 설치되고, 제1 가이드 레일(251)에 제1 가이드 블록(255)이 설치됨으로써, 제1 가이드 블록(255)에 결합되는 플레이트(23)는 X 축 및 Y 축으로의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미리 설정된 구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5)의 단부가 항시 드리퍼(21)의 입구(21a) 상에 배치되는 구간일 수 있다.
즉, 이송부(25)는 플레이트(23) 및 드리퍼(21)를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항시 급수관(15)의 단부 즉, 물이 낙하되는 지점이 드리퍼(2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는 지점으로 플레이트(23) 및 드리퍼(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추출부(20)(드리퍼(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5)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W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일련의 이동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20)는 상기한 W 형상뿐만 아니라, O 형상 및 나선 형상의 패턴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추출부(20)는 상기한 이송부(25)의 이동을 통하여 W 형상, O 형상, 나선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추출부(20)는 액상의 커피가 저장되는 저장용기(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27)는 플레이트(23)의 상부에 배치되어 플레이트(23)와 함께 이동되며, 드리퍼(21)를 통해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커피 머신(1)은 급수부(10) 및 추출부(20)를 지지하고, 급수부(10) 및 추출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될 경우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급수부(10) 및 추출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가열장치(13), 물 공급 밸브(151), 제1 구동모터(151b), 제2 구동모터(253b) 및 추출 조절 밸브(2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과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5)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NFC 등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물의 온도, 드리퍼(21)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 커피의 추출 속도 및 이송부(25)의 구동 패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가열장치(13)의 가열정도와 가열시간 등의 가열조건을 제어하여 저장탱크(11)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급수부(10)에는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펌프(미도시) 및 물 공급 밸브(151)를 제어하여 급수관(15)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드리퍼(21)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 및 물의 공급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추출 조절 밸브(211)를 제어하여 드리퍼(21)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의 양 및 커피의 추출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1 구동모터(251b) 및 제2 구동모터(253b)를 제어하여 드리퍼(21)를 이동시킴으로써, 커피 가루에 낙하되는 물의 패턴을 변경하여 핸드 드립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을 이용하여 제어부(3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제어명령을 입력받은 제어부(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 장치들을 세부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4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정보 통신 단말로서,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40)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40)은 커피 머신(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커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구글 마켓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되어 휴대용 단말(40)에 설치되거나, 휴대용 단말(40)의 제조 판매 시에 기본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에 제어부(30)를 제어할 수 있는 커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부에 제어명령을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40)의 표시창을 통해 커피 머신(1)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을 통하여 물의 온도, 물의 수위, 각 모터의 속도, 입력된 패턴명령, 추출시간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SNS(Social Network System)을 통해 휴대용 단말(40)에 저장된 다양한 커피 추출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반대로 커피 추출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SNS(Social Network System)로부터 휴대용 단말(40)을 통해 제공받아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급수관(15)으로부터 드리퍼(21)로 물을 낙하하는 단계에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을 가지고 모션을 취하여 물 내리는 방법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커피 어플리케이션은 물 내리는 방법에 대한 모션 설정 모드가 선택되면 화면에 물을 내리는 방법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피 어플리케이션은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40)을 기울이거나 움직이는 등의 모션을 취하면 휴대용 단말(40)의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물 낙하 제어 명령을 커피 머신(1)에 전달함으로써 커피 추출을 위해 커피 가루가 충전된 드리퍼(21)로 물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40)에서 커피 머신(1)으로 물 낙하 제어 명령이 바로 전송되지 않고 휴대용 단말(40)의 움직임 및 자세에 정보 형태로 전송되고, 이를 커피 머신(1)에서 해석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휴대용 단말(40)에서 커피 머신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커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S910), 사용자가 커피 어플리케이션 메뉴 중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 내리는 방법에 대한 모션 설정 모드를 선택 받을 수 있다(S920).
모션 설정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S920-N), 화면에 물의 양, 물의 낙하 속도, 물 낙하 패턴 등을 설정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물 낙하 방법을 선택 받을 수 있다(S930).
한편 모션 설정 모드가 선택되면(S920-Y), 도 10(a)에 예시한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40)의 화면에 물을 내리는 방법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I)을 표시할 수 있다(S940). 아이콘(I)은 주전자 모양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휴대용 단말(40)을 어느 방향으로 기울여야 물이 낙하되는지 인식할 수 있는 모양이면 어떤 모양이라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낙하 방법 모션 설정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에서 휴대용 단말(40)의 폭이 긴 방향에 평행하게 주전자 아이콘(I)이 표시되어 있음으로써 도 10(b)나 도 10(c)와 같이 휴대용 단말(40)을 기울이면 물이 낙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주전자 아이콘(I)에서 물이 낙하될 드리퍼 아이콘(D)도 함께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40)을 손에 들고 기울이거나 움직이는 등의 모션을 취하면, 그에 따라 커피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40)의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S950). 휴대용 단말(40)의 움직임 및 자세는 휴대용 단말(4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또는 동작 인식 센서(도시하지 않음)에서 감지되어 커피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피 어플리케이션은 단계(S950)에서 감지되는 휴대용 단말(40)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커피 머신(1)에서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물 낙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커피 머신(1)에 전송할 수 있다(S960).
그러면 커피 머신(1)은 단계(S950)에서 감지되는 휴대용 단말(40)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물 낙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S970). 실시예에 따라 단계(S960)에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대신에 감지된 휴대용 단말(40)의 움직임 및 자세 값을 전송하고, 커피 머신(1)에서 이를 해석하여 물의 양 및 물 낙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모션 설정 모드 종료를 선택할 때까지 단계(S960) 및 단계(S970)는 반복되면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40)을 들고 취하는 모션에 따라 실시간으로 커피 머신(1)에서 물을 낙하되는 방법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40)의 화면에 주전자 모양의 아이콘(I)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40)을 기울이면 물이 드리퍼(21)로 낙하하기 시작하고, 휴대용 단말(40)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물이 낙하되는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물 공급 밸브(151)의 개폐 정도 또는 물을 배출하는 압력 등을 조정하여 물 줄기의 굵기 또는 물이 배출되는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단위 시간 당 드리퍼(21)로 낙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40)을 기울인 시간에 비례하여 드리퍼(21)로 낙하되는 물의 총량이 늘어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40)을 움직이는 궤적에 따라 물 낙하 패턴을 그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커피 머신에서 물 낙하 패턴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40)을 도 11에 예시한 것과 같이 W 형상, O 형상, 나선 형상 등으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커피 머신(1)에서 드리퍼(21)로 낙하되는 물의 낙하 패턴도 W 형상, O 형상, 나선 형상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40)의 화면에 주전자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40)을 기울이면 주전자 모양의 아이콘에서 물이 낙하되는 모양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도 10(b) 및 도 10(c)에 예시한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40)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물 줄기의 굵기가 다르게 휴대용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0(a) 내지 도 10(c)에 예시된 것과 같이 물의 현재 온도, 드리퍼(21)로 낙하된 물의 양 등에 대한 정보도 휴대용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모션 설정 모드 종료를 선택하면(S980-Y), 커피 머신(1) 또는 휴대용 단말(40)의 커피 어플리케이션은 모션 설정 모드 중에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40)을 들고 취한 모션에 따라 설정된 물 내리는 방법을 저장한다(S990).
이후 단계(S990)에서 저장된 물 내리는 방법이 포함된 커피 추출 조건이 선택되면, 커피 머신(1)은 선택된 커피 추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제어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1) 및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제어부에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30)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33)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장치(33)에는 표시창(331)이 형성되어 물의 온도, 물의 수위, 각 모터의 속도, 입력된 패턴명령, 추출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에는 상기한 입력장치(3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이 저장되는 메모리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입력장치(33)를 통해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31)로부터 사전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재실행하여 자신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리퍼(21)를 설정 구간 내에서 특정 형상으로 이동시키며, 드리퍼(21) 내부에 충전된 커피 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핸드 드립 방식과 동일한 커피 추출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어려움 없이 손쉽게 제조함은 물론, 사용자의 기호 및 커피 가루의 로스팅 정도에 따라 추출방식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상승되어 사용자의 만족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커피 머신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커피 머신
40: 휴대용 단말
50: 통신망
60: 서버

Claims (10)

  1. 휴대용 단말에서 커피 머신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 내리는 방법에 대한 모션 설정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 머신에서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물 낙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모션 설정된 물 내리는 방법을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장된 물 내리는 방법을 포함한 커피 추출 조건이 선택되면, 상기 커피 추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커피 머신이 커피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방법.
  3. 제 1 항에서,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은 상기 휴대용 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조절되고,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낙하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이동 궤적에 따라 조절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방법.
  4. 제 1 항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물 내리는 방법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 머신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이 낙하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방법.
  5. 제 4 항에서,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에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의 현재 온도,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낙하된 물의 양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방법.
  6. 휴대용 단말에서 커피 머신의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 내리는 방법에 대한 모션 설정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감지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 머신에서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물 낙하 위치를 조절하는 커피 머신
    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모션 설정된 물 내리는 방법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 내리는 방법을 포함한 커피 추출 조건이 선택되면 상기 커피 추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하게 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커피 머신에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8. 제 6 항에서,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양은 상기 휴대용 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조절되고,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해 낙하되는 물의 낙하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이동 궤적에 따라 조절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9. 제 6 항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화면에 물 내리는 방법을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감지된 휴대용 단말의 움직임 및 자세에 대응하여 상기 커피 머신에서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이 낙하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서,
    상기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에 상기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의 현재 온도, 낙하되는 물의 양 및 낙하된 물의 양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KR1020150092071A 2015-06-29 2015-06-29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KR101696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071A KR101696437B1 (ko) 2015-06-29 2015-06-29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071A KR101696437B1 (ko) 2015-06-29 2015-06-29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99A true KR20170002099A (ko) 2017-01-06
KR101696437B1 KR101696437B1 (ko) 2017-01-16

Family

ID=5783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071A KR101696437B1 (ko) 2015-06-29 2015-06-29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2953A (zh) * 2018-04-11 2018-09-21 重庆市亚特蓝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饮水机
JP2020191035A (ja) * 2019-05-24 2020-11-26 滋洋 今枝 お茶を美味しく提供す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620B1 (ko) * 2018-11-27 2019-06-27 정찬목 다중 드립 커피머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225A (ko) 2009-03-17 2010-09-29 이기범 커피메이커
KR20130035314A (ko) * 2011-09-30 2013-04-09 김형순 모션 장치로 동작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 및 방법, 그리고 모션 장치
KR20130092131A (ko) * 2012-02-10 2013-08-20 박수효 커피드립장치
KR20140087277A (ko) * 2012-12-28 2014-07-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산업용 로봇의 교시가 가능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산업용 로봇의 직관적인 교시방법
KR20150043869A (ko) * 2013-10-15 2015-04-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커피맛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225A (ko) 2009-03-17 2010-09-29 이기범 커피메이커
KR20130035314A (ko) * 2011-09-30 2013-04-09 김형순 모션 장치로 동작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 및 방법, 그리고 모션 장치
KR20130092131A (ko) * 2012-02-10 2013-08-20 박수효 커피드립장치
KR20140087277A (ko) * 2012-12-28 2014-07-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산업용 로봇의 교시가 가능한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산업용 로봇의 직관적인 교시방법
KR20150043869A (ko) * 2013-10-15 2015-04-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커피맛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2953A (zh) * 2018-04-11 2018-09-21 重庆市亚特蓝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饮水机
JP2020191035A (ja) * 2019-05-24 2020-11-26 滋洋 今枝 お茶を美味しく提供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437B1 (ko)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7175A (ko)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US11759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ew process of a coffee maker
US20210186251A1 (en) Portable devices for preparing and transporting brewable beverages
US11832758B2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RU2672432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US94993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brewing and dispensing coffee using customer profiling
KR101696437B1 (ko)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US9154547B2 (en) Methods for brewing coffee
US9072404B2 (en) Method for enabling complex order specifications to a hot beverage brewing system
KR20180083360A (ko) 음료 제조기를 구비한 시스템,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64243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CN109155045A (zh) 通过使用移动电话从自动售货机进行购买的系统和方法
KR101719356B1 (ko) 드립 커피 머신
KR20170025142A (ko) 통합커피머신
KR101654351B1 (ko) 커피 머신
KR20230027208A (ko)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전동 머신
TW202400062A (zh) 自動單份飲料沖泡系統
KR101910862B1 (ko) 정보 안내가 가능한 사이펀 커피 추출기
KR101705873B1 (ko) 통합커피머신
KR20200100520A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을 이용한 자동 드립 커피 제조 방법
KR102450501B1 (ko)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EP4014800A2 (en) Brewing machine
US20240108163A1 (en) Drip coffee maker with two dimensional brew selection interface
TWI811869B (zh) 沖泡機
CN111265111A (zh) 自动泡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