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351B1 - 커피 머신 - Google Patents

커피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351B1
KR101654351B1 KR1020140181488A KR20140181488A KR101654351B1 KR 101654351 B1 KR101654351 B1 KR 101654351B1 KR 1020140181488 A KR1020140181488 A KR 1020140181488A KR 20140181488 A KR20140181488 A KR 20140181488A KR 101654351 B1 KR101654351 B1 KR 101654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water supply
uni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106A (ko
Inventor
홍성철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이즈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즈미디어 filed Critical (주)이즈미디어
Priority to KR102014018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은 일일정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부,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특정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급수부로부터 커피 가루가 충전된 내부로 상기 물을 공급받아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추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리퍼를 설정 구간 내에서 특정 형상으로 이동시키며, 드리퍼 내부에 충전된 커피 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핸드 드립 방식과 동일한 커피 추출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어려움 없이 손쉽게 제조함은 물론, 사용자의 기호 및 커피 가루의 로스팅 정도에 따라 추출방식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상승되어 사용자의 만족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머신{Coffee machine}
본 발명은 핸드 드립(hand drip) 방식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커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 전문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 또는 직장에서도 원두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머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 머신은 내부에 원두커피 분말이 충전되는 바스켓, 가열수단이 구비된 온수탱크, 온수탱크로부터 연장되어 바스켓의 상측에서 원두커피 분말을 향하여 물을 낙하시키는 파이프, 그리고 바스켓의 하측에 배치되어 바스켓에서 추출되어 낙하되는 커피가 저장되는 커피포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피 머신의 커피추출과정을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온수탱크의 가열수단이 작동한다. 가열수단은 온수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은 파이프를 따라 바스켓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원두커피 분말을 향하여 수직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스켓에는 가열된 물이 점차 충전되고, 커피포트에는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저장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커피 머신은 전원이 인가되면 단순히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원두커피 분말에 수직으로 낙하시켜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만이 수행될 뿐, 핸드 드립 방식과 같이 물의 낙하 방식 또는 커피의 추출 속도 등과 같은 추출방식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획일화된 커피 추출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조할 수 없음은 물론, 커피의 맛과 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22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동으로 핸드 드립 방식과 동일한 추출방식을 구현하여 누구나 손쉽게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은 일정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부,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특정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급수부로부터 커피 가루가 충전된 내부로 상기 물을 공급받아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추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는 내부에 상기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추출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추출부에 선택적으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측에 개구된 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커피 가루가 충전되어 상기 물이 배출되는 상기 급수관의 단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리퍼, 상기 드리퍼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리퍼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드리퍼 및 상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추출 조절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외측에 상기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X축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 그리고 외측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고, Y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는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블록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접촉되는 제1 이동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블록의 외측에는 상기 제1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블록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접촉되는 제2 이동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블록의 외측에는 상기 제2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은 상기 급수관의 단부가 항시 상기 드리퍼의 입구 상에 배치되는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W 형상, O 형상, 나선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 시 상기 가열장치의 온/오프, 상기 물 공급 밸브의 개폐량, 상기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속도, 그리고 상기 추출 조절 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무선 통신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액상의 커피가 저장되는 저장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휴대용 단말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리퍼를 설정 구간 내에서 특정 형상으로 이동시키며, 드리퍼 내부에 충전된 커피 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핸드 드립 방식과 동일한 커피 추출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어려움 없이 손쉽게 제조함은 물론, 사용자의 기호 및 커피 가루의 로스팅 정도에 따라 추출방식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상승되어 사용자의 만족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출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출부가 형성하는 패턴 중 ‘W’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어부에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1)(이하 ‘커피 머신(1)’이라 함)은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커피 머신(1)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부(10)를 포함한다.
급수부(10)는 가열된 물을 후술할 추출부(2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1), 저장탱크(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저장탱크(11)를 가열하는 가열장치(13), 그리고 저장탱크(11)에 연결되어 저장탱크(11)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추출부(20) 측으로 연장되어 추출부(20)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5)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급수부(10)의 저장탱크(11)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컵 형상의 수용체로, 외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받거나, 일정 주기마다 별도로 분리되어 내부에 소모된 물을 다시 재충전 하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1)는 가열이 용이할 수 있도록 열에 강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저장탱크(11) 내부의 수위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가열장치(13)는 저장탱크(11)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저장탱크(11) 내부의 물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장치로, 저장탱크(11)의 외주면을 감싸 저장탱크(11)를 가열하거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저장탱크(11)를 지지함과 동시에, 저장탱크(11)를 가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열장치(13)는 저장탱크(11)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급수관(15)은 저장탱크(11)의 가열된 물을 후술할 추출부(20)에 공급하는 관형의 부재로서, 일측은 상기한 저장탱크(11) 내부의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1)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단부가 후술할 추출부(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급수관(15)에는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급수관(15)에 저장탱크(11) 내부에 수용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펌프(미도시) 및 급수관(15)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15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커피 머신(1)은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직선운동을 수행하여 특정 패턴을 형성하고, 급수부(10)로부터 커피 가루가 충전된 내부로 물을 공급받아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20)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는, 추출부(20)는 상측에 개구된 입구(21a)가 형성되고, 하측에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배출구(21b)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커피 가루가 충전되어 물이 배출되는 급수관(15)의 단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리퍼(dripper)(21), 드리퍼(21)의 하측에 배치되어 드리퍼(2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3), 그리고 플레이트(23)에 결합되어 드리퍼(21) 및 플레이트(23)를 이동시키는 이송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리퍼(21)는 입구(21a)의 형상이 원형이고,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리퍼(21)는 교체가 가능하며, 추출방식에 따라 내부에 필터(미도시)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구조, 또는 내부에 필터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물이 떨어지는 드리퍼(21)의 상측에는 드리퍼(21)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아울러 드리퍼(21)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21b)는 추출방식에 따라 수량, 크기 및 배열이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드리퍼(21)의 배출구(21b)에는 배출구(2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추출 조절 밸브(21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커피 머신(1)은 급수관(15)에 설치된 물 공급 밸브(151)를 통하여 드리퍼(21)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드리퍼(21)의 내부로 낙하되는 물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드리퍼(21)의 배출구(21b)에 설치된 추출 조절 밸브(211)를 통하여 추출시간, 추출속도, 추출 양 등과 같은 추출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플레이트(23)는 드리퍼(21)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연장된 부재를 통해 드리퍼(21)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플레이트(23)는 상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막대형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일측에 드리퍼(21)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송부(25)는 평면상에서 X축 및 Y축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레일형 구조물로서, 양 축 방향으로의 복합적인 이동을 통하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출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의 추출부가 형성하는 패턴 중 ‘W’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부(25)는 외측에 플레이트(23)가 결합되고, X축 방향으로 플레이트(23)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251), 그리고 외측에 제1 가이드 레일(251)이 결합되고, Y축 방향으로 제1 가이드 레일(25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253)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가이드 레일(251)의 외측에는 플레이트(23)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블록(255)이 설치되고, 제1 가이드 블록(255)의 내측에는 제1 가이드 레일(251)에 접촉되는 제1 이동부재(251a)가 설치되며, 제1 가이드 블록(255)의 외측에는 제1 이동부재(251a)에 연결되어 제1 이동부재(251a)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모터(251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 레일(253)의 외측에는 제1 가이드 레일(251)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블록(257)이 설치되고, 제2 가이드 블록(257)의 내측에는 제2 가이드 레일(253)에 접촉되는 제2 이동부재(253a)가 설치되며, 제2 가이드 블록(257)의 외측에는 제2 이동부재(253a)에 연결되어 제2 이동부재(253a)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모터(253b)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 레일(253)에 제1 가이드 레일(251)이 설치되고, 제1 가이드 레일(251)에 제1 가이드 블록(255)이 설치됨으로써, 제1 가이드 블록(255)에 결합되는 플레이트(23)는 X 축 및 Y 축으로의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미리 설정된 구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5)의 단부가 항시 드리퍼(21)의 입구(21a) 상에 배치되는 구간일 수 있다.
즉, 이송부(25)는 플레이트(23) 및 드리퍼(21)를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항시 급수관(15)의 단부 즉, 물이 낙하되는 지점이 드리퍼(2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는 지점으로 플레이트(23) 및 드리퍼(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추출부(20)(드리퍼(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5)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W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일련의 이동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20)는 상기한 W 형상뿐만 아니라, O 형상 및 나선 형상의 패턴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추출부(20)는 상기한 이송부(25)의 이동을 통하여 W 형상, O 형상, 나선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추출부(20)는 액상의 커피가 저장되는 저장용기(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27)는 플레이트(23)의 상부에 배치되어 플레이트(23)와 함께 이동되며, 드리퍼(21)를 통해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커피 머신(1)은 급수부(10) 및 추출부(20)를 지지하고, 급수부(10) 및 추출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될 경우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급수부(10) 및 추출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가열장치(13), 물 공급 밸브(151), 제1 구동모터(151b), 제2 구동모터(253b) 및 추출 조절 밸브(2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과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무선 통신수단(35)을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수단(35)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NFC 등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물의 온도, 드리퍼(21)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 커피의 추출 속도 및 이송부(25)의 구동 패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가열장치(13)의 가열정도와 가열시간 등의 가열조건을 제어하여 저장탱크(11)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급수부(10)에는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펌프(미도시) 및 물 공급 밸브(151)를 제어하여 급수관(15)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드리퍼(21)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 및 물의 공급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추출 조절 밸브(211)를 제어하여 드리퍼(21)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의 양 및 커피의 추출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30)는 휴대용 단말(4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1 구동모터(251b) 및 제2 구동모터(253b)를 제어하여 드리퍼(21)를 이동시킴으로써, 커피 가루에 낙하되는 물의 패턴을 변경하여 핸드 드립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을 이용하여 제어부(3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제어명령을 입력받은 제어부(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 장치들을 세부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4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정보 통신 단말로서,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40)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40)은 커피 머신(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앱 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구글 마켓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되어 휴대용 단말(40)에 설치되거나, 휴대용 단말(40)의 제조 판매 시에 기본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에 제어부(30)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제어명령을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40)의 표시창을 통해 커피 머신(1)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을 통하여 물의 온도, 물의 수위, 각 모터의 속도, 입력된 패턴명령, 추출시간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SNS(Social Network System)을 통해 휴대용 단말(40)에 저장된 다양한 커피 추출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반대로 커피 추출 방식에 대한 데이터를 SNS(Social Network System)로부터 휴대용 단말(40)을 통해 제공받아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제어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1) 및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에 입력장치가 더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0)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33)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력장치(33)에는 표시창(331)이 형성되어 물의 온도, 물의 수위, 각 모터의 속도, 입력된 패턴명령, 추출시간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에는 상기한 입력장치(3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이 저장되는 메모리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40)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에도, 입력장치(33)를 통해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31)로부터 사전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재실행하여 자신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드리퍼(21)를 설정 구간 내에서 특정 형상으로 이동시키며, 드리퍼(21) 내부에 충전된 커피 가루에 물을 공급하여 핸드 드립 방식과 동일한 커피 추출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핸드 드립 방식의 커피를 어려움 없이 손쉽게 제조함은 물론, 사용자의 기호 및 커피 가루의 로스팅 정도에 따라 추출방식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다양한 맛의 커피를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상승되어 사용자의 만족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커피 머신
10. 급수부
11. 저장탱크
13. 가열장치
15. 급수관 151. 물 공급 밸브
20. 추출부
21. 드리퍼
21a. 입구 21b. 배출구
211. 추출 조절 밸브
23. 플레이트
25. 이송부
251. 제1 가이드 레일
251a. 제1 이동부재 251b. 제1 구동모터
253. 제2 가이드 레일
253a. 제2 이동부재 253b. 제2 구동모터
255, 제1 가이드 블록 257, 제2 가이드 블록
27. 저장용기
30. 제어부
31. 메모리부 33. 입력장치
331. 표시창
35. 무선 통신수단
40. 휴대용 단말

Claims (15)

  1.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부(10),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특정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급수부(10)로부터 커피 가루가 충전된 내부로 물을 공급받아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부(20), 그리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급수부(10) 및 상기 추출부(2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1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1),
    상기 저장탱크(11)를 가열하는 가열장치(13),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1)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추출부(20)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추출부(20)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5)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20)는
    상측에 개구된 입구(21a)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액상의 커피가 배출되는 배출구(21b)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커피 가루가 충전되어 물이 배출되는 상기 급수관(15)의 단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리퍼(21),
    상기 드리퍼(2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리퍼(2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3),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3)에 결합되어 상기 드리퍼(21) 및 상기 플레이트(23)를 이동시키는 이송부(25)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25)는
    외측에 상기 플레이트(23)가 결합되고, X축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23)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일(251), 그리고
    외측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51)이 결합되고, Y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5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일(253)을 포함하는 커피 머신.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급수관(15)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관(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151)가 더 설치되는 커피 머신.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배출구(21b)에는
    상기 배출구(2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추출 조절 밸브(211)가 설치되는 커피 머신.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51)의 외측에는 상기 플레이트(23)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블록(255)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블록(255)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51)에 접촉되는 제1 이동부재(251a)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블록(255)의 외측에는 상기 제1 이동부재(251a)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251a)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모터(251b)가 설치되는 커피 머신.
  8. 제7항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53)의 외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51)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 블록(257)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블록(257)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53)에 접촉되는 제2 이동부재(253a)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블록(257)의 외측에는 상기 제2 이동부재(253a)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부재(253a)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모터(253b)가 설치되는 커피 머신.
  9. 제1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은
    상기 급수관(15)의 단부가 항시 상기 드리퍼(21)의 입구 상에 배치되는 구간인 커피 머신.
  10. 제8항에서,
    상기 추출부(20)는
    W 형상, O 형상, 나선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는 커피 머신.
  11. 제8항에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 시 상기 가열장치(13)의 온/오프, 상기 급수관(15)으로부터 상기 드리퍼(21)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 및 물의 공급시간, 상기 제1 구동모터(251b) 및 상기 제2 구동모터(253b)의 구동속도, 그리고 상기 드리퍼(21)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의 추출시간, 추출속도 및 추출 양을 제어하는 커피 머신.
  1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어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1) 및 무선 통신수단(35)을 더 포함하는 커피 머신.
  13.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33)를 더 포함하는 커피 머신.
  14. 제1항에서,
    상기 추출부(20)는 커피가 저장되는 저장용기(27)를 더 포함하는 커피 머신.
  1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명령은 휴대용 단말(4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커피 머신.
KR1020140181488A 2014-12-16 2014-12-16 커피 머신 KR101654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488A KR101654351B1 (ko) 2014-12-16 2014-12-16 커피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488A KR101654351B1 (ko) 2014-12-16 2014-12-16 커피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06A KR20160073106A (ko) 2016-06-24
KR101654351B1 true KR101654351B1 (ko) 2016-09-05

Family

ID=5634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488A KR101654351B1 (ko) 2014-12-16 2014-12-16 커피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795B1 (ko) * 2022-04-04 2022-11-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및 커피음료 제조장치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750B1 (ko) * 2018-03-28 2020-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바리스타 커피로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48B1 (ko) * 2007-09-12 2009-05-1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WO2010071297A2 (ko) * 2008-12-15 2010-06-24 Ahn Seung Dae 커피드립장치
KR101113912B1 (ko) 2009-03-17 2012-02-22 이기범 커피메이커
KR20090075650A (ko) * 2009-06-08 2009-07-0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20120050684A (ko) * 2010-11-11 2012-05-21 마원준 핸드드립 커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커피드립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795B1 (ko) * 2022-04-04 2022-11-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및 커피음료 제조장치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06A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7175A (ko)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KR101468906B1 (ko) 자동 커피 드립장치
US9066623B2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CN112167982A (zh) 滴滤咖啡制作装置
KR101896838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CN102946775A (zh) 人体工学分配器界面
KR102064243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JP2015530882A5 (ko)
KR101564317B1 (ko) 드립커피 제조장치
US9949591B2 (en) Pour over coffee maker system
KR101927743B1 (ko) 온수 유량 제어 기능을 갖는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KR101654351B1 (ko) 커피 머신
KR101392410B1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US9930989B2 (en) Apparatus for brewing beverages
CN106037486B (zh) 用于制备热饮料的机器
KR101696437B1 (ko)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US109326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beverages
JP2023531614A (ja) コーヒーを調製するための電気的動力供給マシン
JP2007151672A (ja) 飲料抽出装置
US20220304502A1 (en) Beverage machine heated water source with horizontal heating coil
US10080462B2 (en) Sprayhead for a coffee brewing machine
KR101705873B1 (ko) 통합커피머신
KR20200100520A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을 이용한 자동 드립 커피 제조 방법
KR102450501B1 (ko)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KR102090824B1 (ko) 핸드드립 머신과 이를 이용한 핸드드립 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