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501B1 -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501B1
KR102450501B1 KR1020220056977A KR20220056977A KR102450501B1 KR 102450501 B1 KR102450501 B1 KR 102450501B1 KR 1020220056977 A KR1020220056977 A KR 1020220056977A KR 20220056977 A KR20220056977 A KR 20220056977A KR 102450501 B1 KR102450501 B1 KR 10245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pipe
open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희
Original Assignee
한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희 filed Critical 한동희
Priority to KR102022005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저장 또는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모듈 및 상기 파이프 모듈의 상기 파이프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물을 직수로 출수하거나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되는 출수 모듈을 포함하는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FOR COFFEE BREW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에서 사용하는 온수기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정수기의 경우 출수 형태가 빠른 직수 형태를 사용한다. 이는 컵이나 용기에 물을 받기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에서는 항상 온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온수기의 사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에 핸드 드립 커피 문화가 확산되면서, 드립 커피 장비들도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드립 커피 장비들은 커피 드립퍼 위에 물을 천천히 골고루 나누어 부어주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커피를 추출하는 장비이다.
드립 커피 장비는 온수기와 별도의 장비로서, 별도의 구매 비용이 발생하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소가 한정적인 매장에서 사용하기에는 공간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하나의 장치에서 직수 출수와 드립 커피용 출수가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드립 커피용 출수 시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고,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장치에서 컵이나 용기에 물을 받을 때는 직수형으로 빠르게 물이 출수되고, 드립 커피 추출 시에는 물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파이프 모듈의 개폐 시간과 대기 시간을 조절하여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는 물을 저장 또는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모듈 및 상기 파이프 모듈의 상기 파이프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물을 직수로 출수하거나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되는 출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모듈은, 제1 파이프 모듈 및 제2 파이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 모듈은, 일단이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출수 모듈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에 장착되어, 상기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파이프 모듈은, 상기 제1 파이프와 이격되어 위치하되, 일단이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출수 모듈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에 장착되어, 상기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수 모듈은, 상기 물을 일시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가 관통하는 상부 홀들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는, 하단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파이프가 통과되는 직수 홀 및 상기 직수 홀의 주변부에 위치되며, 상기 용기에 일시적으로 담아지는 물을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미세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 시간과 대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추출 모드가 온수 출수인 경우, 상기 제1 밸브로 상기 제1 밸브를 제1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추출 모드가 핸드 드립 추출인 경우, 상기 제1 밸브로 상기 제1 밸브를 제2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2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개폐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밸브로 상기 제2 밸브를 제3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3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개폐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밸브로 상기 제2 밸브를 제1 대기 시간만큼 대기하도록 하는 제4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출수 제어 방법은,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추출 모드가 온수 출수인 경우, 제1 밸브로 상기 제1 밸브를 제1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추출 모드가 핸드 드립 추출인 경우, 상기 제1 밸브로 상기 제1 밸브를 제2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2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개폐 시간 이후에, 제2 밸브로 상기 제2 밸브를 제3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3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개폐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밸브로 상기 제2 밸브를 제1 대기 시간만큼 대기하도록 하는 제4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여러 측면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에서 컵이나 용기에 물을 받을 때는 직수형으로 빠르게 물이 출수되고, 드립 커피 추출 시에는 물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온수기와 드립 커피 장비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 절감과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출수 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출수 모듈의 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출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에서 물을 드롭의 형태(W1)로 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물을 직수(W2)로 출수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10)는 물 공급부(100), 파이프 모듈(200), 출수 모듈(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10)는 하단에 위치한 드립퍼 또는 컵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써,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에서 컵이나 용기에 물을 받을 때는 직수형으로 빠르게 물이 출수되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립 커피 추출 시에는 물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온수기와 드립 커피 장비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모듈(200)의 개폐 시간과 대기 시간을 조절하여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을 조절하고,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다.
물 공급부(100)는 물을 저장 또는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후술할 파이프 모듈(200)을 통해 물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 공급부(100)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온수 탱크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바로 출수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 공급부(100)는 원형, 사각형 등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력에 의해서 바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고, 펌핑 압력에 의해 물 공급부(100) 내의 물을 파이프 모듈(200)를 통해 출수 모듈(300)로 공급할 수 있다.
파이프 모듈(200)은 물 공급부(100)에 연결되며,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모듈(200)은 제1 파이프 모듈(210) 및 제2 파이프 모듈(220)을 포함한다.
먼저, 제1 파이프 모듈(210)은, 제1 파이프(211) 및 제1 밸브(212)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211)는 일단이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출수 모듈(300)의 중앙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제1 파이프(211)는 후술할 출수 모듈(300)의 용기부(3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에서 컵이나 용기에 물을 빠르게 직수로 출수하게 되는 경우 물은 제1 파이프(211)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출수 모듈(300)의 중앙을 관통하므로, 하단에 위치한 드립퍼(21)의 중앙에 물을 출수하는 경우, 물은 제1 파이프(211)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제1 밸브(212)는 제1 파이프에 장착되어,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개폐한다.
예를 들어, 제1 밸브(212)를 개방하면, 제1 파이프(211)를 통해 물이 출수 모듈(300)을 관통하게 된다.
제2 파이프 모듈(220)은, 제2 파이프(221) 및 제2 밸브(222)를 포함한다.
제2 파이프(221)는 제1 파이프와 이격되어 위치하되, 일단이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출수 모듈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파이프(221)는 출수 모듈(300)의 상단을 관통하며, 물을 출수 모듈(300)에 담을 수 있도록 제2 파이프(221)의 일단이 출수 모듈(300)의 공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을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 물은 제2 파이프(221)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제2 밸브(222)는 제2 파이프(221)에 장착되어,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개폐한다.
예를 들어, 제2 밸브(222)를 개방하면, 제2 파이프(221)를 통해 물이 출수 모듈(300)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출수 모듈(300)에 물이 채워지면서, 출수 모듈(300)의 하단에 위치한 복수의 미세 홀들을 통해 물이 드롭의 형태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밸브(212) 및 제2 밸브(222)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솔레노이드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오리피스(Orifice)가 있는 밸브 몸체에 두 개의 부품이 결합된 것이며, 수동밸브를 대신하여 원격제어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오리피스를 통한 유체의 흐름은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흐를 때 또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자기 코일의 움직임에 의하여 열리거나 닫히며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밸브 및 제2 밸브의 개폐 시간과 대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밸브(212)와 제2 밸브(222)는 각각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출수 모듈(300)은 파이프 모듈의 파이프 하단에 위치하며, 물을 직수로 출수하거나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된다.
출수 모듈(300)은 용기부(310)를 포함하며, 용기부(310)에 일시적으로 담긴 물이 하단의 드립퍼(21)로 출수된다.
출수 모듈(300)은 하기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에 기초하여, 제1 밸브 및 제2 밸브의 개폐 시간과 대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10)는 하단에 위치하는 드립퍼(21)와 컵(22)을 포함하는 핸드 드립 세트(2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출수 모듈(300)의 하단에 위치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는 광을 수, 발신할 수 있는 광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드 드립 세트(20)가 놓여지는 위치 확인구를 통하여 위치 인식부에서의 광성분의 수신 여부로 핸드 드립 세트(2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출수 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10)의 출수 모듈(300)은 용기부(310) 및 커버(320)를 포함한다.
출수 모듈(300)은 파이프 모듈의 파이프 하단에 위치하며, 물을 직수로 출수하거나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된다.
용기부(310)는 물을 일시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용기부(310)의 하단부(330)는 하단의 중앙에 위치되며, 제1 파이프가 통과되는 직수 홀(331) 및 직수 홀(331)의 주변부에 위치되며, 용기에 일시적으로 담아지는 물을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미세 홀들(332a, 332b)을 포함한다.
커버(320)는 용기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관통하는 상부 홀들(321, 322)을 포함한다.
용기부(310)는 커버(320)에 조립되는 구조로써, 내측에 O링 등의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용기부(31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커버(320)는 제1 파이프(211)가 관통하는 제1 상부 홀(321) 및 제2 파이프(221)가 관통하는 제2 상부 홀(3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파이프(211)가 관통하는 제1 상부 홀(321)이 커버(320)의 중앙에 위치하고, 제2 상부 홀(322)은 중앙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제1 파이프(211)는 제1 상부 홀(321)을 통해 출수 모듈(300)의 상단을 관통하고, 직수 홀(331)을 통해 하단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물을 직수로 출수하게 되는 경우 물은 제1 파이프(211)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출수 모듈(300)의 중앙을 관통하므로, 하단에 위치한 드립퍼 또는 컵의 중앙에 물을 출수하는 경우, 물은 제1 파이프(211)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파이프(221)는 제2 상부 홀(322)을 통해 출수 모듈(300)의 상단을 관통하며, 물을 출수 모듈(300)에 담을 수 있도록 제2 파이프(221)의 일단이 출수 모듈(300)의 공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을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 물은 제2 파이프(221)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제2 파이프(221)를 통해 물이 출수 모듈(300)에 채워지게 되면, 출수 모듈(300)의 하단에 위치한 복수의 미세 홀들(332a, 332b)을 통해 물이 드롭의 형태로 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출수 모듈의 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 공급부(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출수 모듈 (300)의 하단부(330)는 하단의 중앙에 위치되며, 제1 파이프가 통과되는 직수 홀(331) 및 직수 홀(331)의 주변부에 위치되며, 용기에 일시적으로 담아지는 물을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미세 홀들(332a, 332b, 332c, 332d)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미세 홀들(332a, 332b, 332c, 332d)은 직수 홀(331)을 중심으로 나선형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제어부(400)는 입력부(410),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43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사용자(30)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30)는 제1 밸브와 제2 밸브를 각각 동작 시킬 수 있는 별도의 버튼을 이용하여 드립 커피를 추출할 때와 물을 받을 때 각각의 버튼을 이용할 수 있고, 드립 커피를 추출 시 미리 마련된 설정 모드를 별도의 디스플레이 창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터치와 같은 입력을 통해 입력부(410)로 추출 모드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버튼마다 밸브의 개폐 시간과 대기시간을 세팅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추출 모드의 세팅이 가능하며, 핸드 드립의 경우 물을 조금씩 나누어 떨어뜨리는 기능이 가능하고 여러 개의 추출 모드를 저장하여 다양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에 기초하여, 제1 밸브 및 제2 밸브의 개폐 시간과 대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추출 모드가 온수 출수인 경우, 제1 밸브로 제1 밸브를 제1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폐 시간은 물의 양에 따라, 소, 중, 대로 구분하여 각각의 개폐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물의 양에 따라 개폐 시간을 다르게 하여 제어 메시지를 제1 밸브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추출 모드가 핸드 드립 추출인 경우, 제1 밸브로 제1 밸브를 제2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2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개폐 시간 이후에, 제2 밸브로 제2 밸브를 제3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3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개폐 시간 이후에, 제2 밸브로 제2 밸브를 제1 대기 시간만큼 대기하도록 하는 제4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핸드 드립 추출의 경우, 개폐 시간과 대기 시간의 설정을 통해 다양한 맛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추출 모드 작동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는 제1 밸브로 기 설정된 시간 후에 15~25㎖의 물을 출수하도록 제2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제2 밸브로 30~50㎖의 물을 출수하도록 제3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3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밸브가 15~25㎖의 물을 출수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제2 제어 메시지를 소정의 시간차를 두어 복수 회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밸브를 이용하여 출수 모듈에 물이 담긴 후에는, 물이 떨어질 때까지 대기 시간을 두도록 하기 위해, 제2 밸브로 제2 밸브를 제1 대기 시간만큼 대기하도록 하는 제4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밸브와 제2 밸브를 동시에 제어하면서 핸드 드립 세트 위의 중앙과 중앙 주변에 골고루 물을 떨어뜨리면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사용자(30)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를 저장하며, 추출 모드에 따른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출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출수 제어 방법은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단계 S110에서 제어부(400)가 외부의 사용자(30)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다.
단계 S120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30)에게 다양한 추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30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30)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를 입력 받게 되면, 단계 S210에서 선택된 추출 모드에 기초하여 제1 밸브 및 제2 밸브의 개폐 시간 및 대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 S220에서 제1 밸브(212)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계 S230에서 제2 밸브(222)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추출 모드가 온수 출수인 경우, 단계 S220에서 제1 밸브(212)로 제1 밸브를 제1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선택된 추출 모드가 핸드 드립 추출인 경우, 단계 S220에서 제1 밸브(212)로 제1 밸브를 제2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2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개폐 시간 이후에, 단계 S230에서 제2 밸브(222)로 제2 밸브를 제3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3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제3 개폐 시간 이후에, 제2 밸브로 제2 밸브를 제1 대기 시간만큼 대기하도록 하는 제4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310에서 제어부(400)는 제1 밸브(212)와 제2 밸브(222)로부터 구동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고, 단계 S410에서 구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의 출수 제어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100: 물 공급부
200: 파이프 모듈
300: 출수 모듈
400: 제어부

Claims (10)

  1. 물을 저장 또는 공급할 수 있는 물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파이프 모듈; 및
    상기 파이프 모듈의 상기 파이프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물을 직수로 출수하거나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되는 출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모듈은, 일단이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출수 모듈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에 장착되어, 상기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는 제1 파이프 모듈; 및
    상기 제1 파이프와 이격되어 위치하되, 일단이 상기 물 공급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출수 모듈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는 제2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에 장착되어, 상기 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제2 파이프 모듈을 포함하는 온수 출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모듈은,
    상기 물을 일시적으로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가 관통하는 상부 홀들을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는,
    하단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파이프가 통과되는 직수 홀; 및
    상기 직수 홀의 주변부에 위치되며, 상기 용기에 일시적으로 담아지는 물을 드롭의 형태로 떨어뜨리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미세 홀들을 포함하는 온수 출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의 개폐 시간과 대기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온수 출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추출 모드가 온수 출수인 경우, 상기 제1 밸브로 상기 제1 밸브를 제1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출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추출 모드가 핸드 드립 추출인 경우, 상기 제1 밸브로 상기 제1 밸브를 제2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2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개폐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밸브로 상기 제2 밸브를 제3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3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출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개폐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밸브로 상기 제2 밸브를 제1 대기 시간만큼 대기하도록 하는 제4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출수 장치.
  9.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출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추출 모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추출 모드가 온수 출수인 경우, 제1 밸브로 상기 제1 밸브를 제1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1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추출 모드가 핸드 드립 추출인 경우, 상기 제1 밸브로 상기 제1 밸브를 제2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2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개폐 시간 이후에, 제2 밸브로 상기 제2 밸브를 제3 개폐 시간만큼 열도록 하는 제3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개폐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밸브로 상기 제2 밸브를 제1 대기 시간만큼 대기하도록 하는 제4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수 제어 방법.
  10. 삭제
KR1020220056977A 2022-05-10 2022-05-10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KR10245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77A KR102450501B1 (ko) 2022-05-10 2022-05-10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77A KR102450501B1 (ko) 2022-05-10 2022-05-10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501B1 true KR102450501B1 (ko) 2022-10-04

Family

ID=8360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977A KR102450501B1 (ko) 2022-05-10 2022-05-10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5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48B1 (ko) * 2007-09-12 2009-05-1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20100069611A (ko) * 2008-12-15 2010-06-24 안승대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KR20170095523A (ko) * 2016-02-15 2017-08-23 (주)비섹전자 자동 커피 드립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48B1 (ko) * 2007-09-12 2009-05-1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20100069611A (ko) * 2008-12-15 2010-06-24 안승대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KR20170095523A (ko) * 2016-02-15 2017-08-23 (주)비섹전자 자동 커피 드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73305B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inlet arrangement
US7225728B2 (en) Brewing apparatus with pre-infusion and pulse brewing
US3292527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from prefabricated cartridges and aliquid
US9638461B2 (en) Method for operating a refrigerator appliance
EP3853534B1 (en) Cold brewed coffee system in a refrigerator appliance
JP5276752B1 (ja) 飲料抽出装置
KR102450501B1 (ko) 커피 추출용 온수 출수 장치 및 이의 출수 제어 방법
KR20170099359A (ko)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EP3459405A1 (en) Coffe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CA3074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rew parameters during dispensing
KR101696437B1 (ko) 커피 머신 제어 시스템
KR20120117529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US20220330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 ice brewing
US20220304502A1 (en) Beverage machine heated water source with horizontal heating coil
KR101654351B1 (ko) 커피 머신
JP4155195B2 (ja) 飲料抽出装置
JP4033064B2 (ja) 飲料抽出装置
KR101942286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JP4238345B2 (ja) 飲料抽出装置
JP2002360435A (ja) コーヒー飲料抽出装置
US20220400888A1 (en) Electric Espresso Coffee Machine Equipped and Conceived to Also Dispense American Coffee
KR101892487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JP2009089791A (ja) 給茶機
JP2005078552A (ja) 飲料抽出装置
KR20230020855A (ko) 온수 정량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