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356B1 - 드립 커피 머신 - Google Patents

드립 커피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356B1
KR101719356B1 KR1020160164683A KR20160164683A KR101719356B1 KR 101719356 B1 KR101719356 B1 KR 101719356B1 KR 1020160164683 A KR1020160164683 A KR 1020160164683A KR 20160164683 A KR20160164683 A KR 20160164683A KR 101719356 B1 KR101719356 B1 KR 101719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rotation
hot water
rotating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준
서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6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은 분쇄 원두가 담긴 드리퍼 상에 온수를 부어 중력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핸드 드립 방식의 드립 커피 머신에 있어서, 드리퍼를 지면에 수평한 평면상에서 회전시키는 드리퍼 회전 모듈과, 드리퍼 상에 온수를 떨어뜨리는 노즐이 지면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면서 물이 떨어지는 위치를 가변시키는 노즐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립 커피 머신{A drip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핸드 드립 커피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커피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리퍼에 뜨거운 물을 붓는 물 분사 노즐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드리퍼는 이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부 상에 놓이도록 구성됨으로써, 물 분사 노즐과 드리퍼가 다양한 위치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커피 추출 방식의 하나인 핸드 드립은 중력의 원리를 이용해 뜨거운 물을 천천히 부어 추출하는 방식으로, 물의 온도와 양, 물줄기의 굵기, 물 붓기 시간, 물 붓기 간격, 물 붓기 궤적 등을 조절하여 맛과 향이 다른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방식이다. 도1은 핸드 드립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 물품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면, 핸드 드립에는 분쇄 원두(B)가 담기는 드리퍼(D)와, 드리퍼(D)로부터 추출되는 커피(C)를 담아 저장하는 드립서버(S)가 사용된다. 드리퍼(D)는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바닥면에는 추출되는 커피가 통과될 수 있도록 홀(H)이 형성되어 있다. 드리퍼(D) 안쪽에는 필터(F)가 개재되어 분쇄 원두(B)는 드리퍼(D) 내에 남고 추출되는 커피만 통과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드립포트(P)에 뜨거운 물을 담아 드리퍼(D) 위에 부어 주어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커피를 추출하는 동안 사용자는 드립포트(P)를 이용해 물줄기 굵기, 물 붓기 시간, 물 붓기 간격, 물 붓기 모양 등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핸드 드립 방식은 커피를 내리는 사람마다 맛과 향이 다른 특색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전문점에서 제공되는 에스프레소 커피는 압력을 이용해 빠르게 추출하는 방식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반면에 고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원두의 좋지 않은 성분이 함께 추출되고 쓴맛이 강한 커피가 추출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하여, 핸드 드립은 중력을 이용하여 서서히 추출하는 방식으로 부드러운 맛을 지니며, 커피 원두 고유의 신맛과 단맛 등 맛과 향이 살아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핸드 드립 방식은 커피 고유의 맛과 향을 갖게 하고 커피를 내리는 사람마다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추출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커피 전문점을 통해 대중화되지는 못하고 있는데, 이는 커피 추출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숙련된 바리스타가 아니면 커피 맛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추출 방식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맛과 향이 우수한 핸드 드립 커피를 대중화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맛과 향이 풍부한 핸드 드립 커피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드립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의 온도, 물 붓기 시간, 물 붓기 횟수, 물 붓는 유량 등을 규격화 하여 맛과 향이 동일한 핸드 드립 커피를 반복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드립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 붓기 궤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드립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레시피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드립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은 분쇄 원두가 담긴 드리퍼 상에 온수를 부어 중력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핸드 드립 방식의 드립 커피 머신에 있어서, 드리퍼를 지면에 수평한 평면상에서 회전시키는 드리퍼 회전 모듈과, 드리퍼 상에 온수를 떨어뜨리는 노즐이 지면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면서 물이 떨어지는 위치를 가변시키는 노즐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 모듈은 상기 노즐의 위치 가변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 모터와,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몸체와 함께 일체로 회전 운동하는 회동 케이스와, 상기 회동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모터축을 고정하는 모터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회동 케이스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 모듈은 상기 회동 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 블록과, 상기 회동 블록이 소정의 가동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회전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의 수신 신호 변화에 따라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동 케이스에는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인 한 쌍의 회전축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 케이스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모터축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의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회전축의 중공부로는 상기 노즐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 배관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드리퍼 회전 모듈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립서버를 받쳐주는 받침 그릴과, 상기 받침 그릴의 하부에서 상기 받침 그릴에서 떨어지는 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리퍼 회전 모터와, 상기 드리퍼 회전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해 소정의 기어비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드리퍼 회전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립 커피 머신은 커피를 추출할 온수를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온수 공급 배관과, 상기 온수 공급 배관을 통한 온수 공급을 제어하는 온수 공급 제어 밸브와, 상기 온수 공급 제어 밸브, 상기 드리퍼 회전 모듈, 상기 노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 레시피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립 커피 머신은 사용자로부터 레시피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은 상기 물탱크로부터 커피 원두가 담긴 드리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 배관과, 커피 원두가 담기는 드리퍼 및 드리퍼 아래에 놓여 드리퍼에서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드립서버가 거치되며, 드리퍼로 떨어지는 물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드리퍼를 회전 시키는 드리퍼 회전 모듈과, 상기 온수 공급 배관의 단부에 마련되며, 회전 하는 드리퍼 위에서 물이 떨어지는 위치를 드리퍼의 직경방향으로 가변시키는 노즐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립 커피 머신은 상기 온수 공급 배관의 단부에 마련되어 드리퍼로의 온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온수 공급 제어 밸브와, 상기 온수 공급 제어 밸브의 전방에서 상기 온수 공급 배관 내의 물을 가열하는 보조 히터와, 상기 온수 공급 제어 밸브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온수 공급 배관을 지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 모듈은 드리퍼 상에 온수를 떨어뜨리는 노즐의 위치 가변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 모터와,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몸체와 함께 일체로 회전 운동하는 회동 케이스와, 상기 회동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모터축을 고정하는 모터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회동 케이스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은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위한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한 레시피에 의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커피 전문 매장을 통한 핸드 드립 커피 대중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레시피를 입력하여 그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 수요자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은 드리퍼를 회전 시키는 드리퍼 회전 모듈과,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 모듈의 상대적인 운동 조합에 의해 다양한 궤적의 물 붓기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추출되는 커피의 맛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핸드 드립 커피 추출에 사용되는 구성품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기구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드립 커피 머신의 일부를 A-A'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
도5는 드리퍼 회전 방향 A와 온수의 낙수 위치의 변화 방향 B를 도시한 개념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노즐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6의 B-B'선에 따라 자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노즐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회동 케이스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회동 케이스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에 있어서 노즐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른 회동 케이스의 위치를 표시한 측면도.
도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드리퍼 회전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1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드리퍼 회전 모듈 일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을 이용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16 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의 입력부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각각은,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는 모두 전자 장치이며, 서로 다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제어 모듈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방식은 분쇄 원두에 뜨거운 물을 부어 중력을 이용해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는 종래 사용자가 드립포트를 이용해 손으로 온수를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을 이용해 온수를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은 커피 추출에 사용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를 포함한다. 물탱크(10)는 수 내지 수십 리터(L)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물탱크(10)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급수 배관(1)이 연결된다. 급수 배관(1)에는 물의 급수 여부와 급수되는 물의 유속을 조절하기 위한 급수 제어 밸브(2)가 설치된다. 급수 제어 밸브(2)는 전기적인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탱크(10)에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1)와, 물탱크(10) 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12), 저장되어 있는 물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13)가 구비된다. 또한, 물탱크(10)에는 저장되어 있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5)가 구성된다. 물탱크(10)로 급수된 물은 히터(15)에 의해 가열되어 드립 커피 추출에 사용된다. 물탱크(10) 내의 물은 약 85 ~ 95℃(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10)의 다른 일측에는 가열된 온수를 드리퍼(D)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 배관(3)이 연결된다. 온수 공급 배관(3)의 끝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온수 공급 여부와 공급되는 온수의 유속을 제어하기 위한 온수 공급 제어 밸브(4)가 구성된다. 온수 공급 제어 밸브(4)는 전기적인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온수 공급 배관(3)은 온수 공급 제어 밸브(4)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전단부(3a)와 후단부(3b)로 구분된다. 즉, 물탱크(10)와 온수 공급 제어 밸브(4)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인 전단부(3a)와 온수 공급 제어 밸브(4) 이후 그 단부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인 후단부(3b)로 이루어진다. 이 후단부(3b)의 길이가 길면 온수가 이를 지나면서 온도가 내려갈 수 있고, 후단부(3b) 내에 온수가 남아 드리퍼(D)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워 질 수 있다. 따라서 후단부(3b)의 길이는 가능한 짧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수 공급 배관(3)의 후단부(3b)에는 이를 지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5)가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센서(5)는 온수 공급 제어 밸브(4)의 직후방("후방"은 온수 흐름상 하류측을 의미함)에 설치되어 있으나, 설치를 위한 공간적인 제약 등 설치 여건에 따라서는 이와 달리 온수 공급 제어 밸브(4)의 바로 직전방("전방"은 온수 흐름상 상류측을 의미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온수 공급 배관(3)의 전단부(3a)에는 보조히터(6)가 구성된다. 보조히터(6)는 전단부(3a)를 흘러 온 온수를 다시 가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히터(6)는 온수 공급 제어 밸브(4)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나, 설치 여건에 따라서는 온수 공급 제어 밸브(4)의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단부(3a)의 단열이 잘 되어 있거나 전단부(3a)의 길이가 1미터 내외로 짧게 구성되면 온수 공급 배관(3)을 흐르는 온수의 온도 강하 정도가 작아지므로 보조히터(6)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은 전술한 온도센서(5, 11), 압력센서(12), 수위센서(13)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급수 제어 밸브(2), 온수 공급 제어 밸브(3), 보조히터(6), 히터(15)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도14 참조). 제어부(20)는 드립 커피 머신(100)을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제어하여 커피를 추출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은 온수 공급 배관(3)에서의 온수 흐름을 일으키는 펌프가 포함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100)의 기구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표기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여 X축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 Y축 방향을 오른쪽 그 반대 방향을 왼쪽, Z축 방향을 위쪽 그 반대 방향을 아래쪽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방향 설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드립 커피 머신(100)은 내부에 적재 공간을 갖는 테이블(7)과 테이블(7)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케이스부(8)를 포함한다. 테이블(7)의 상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물탱크(10)는 테이블(7) 내에 설치되고, 온수 공급 배관(3)은 케이스부(8)에 내장된 상태로 테이블(7) 위쪽으로 노출된다. 케이스부(8)는 테이블(7)의 윗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부(8a)와, 기둥부(8a)의 상단에서 다시 수평하게 연장되는 헤드부(8b)를 포함한다. 헤드부(8b)의 하부에는 드리퍼(D) 및 드립서버(S)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V)이 형성되고, 헤드부(8b)의 저면으로는 전술한 온수 공급 배관(3)의 단부가 드리퍼(D)를 향해 배치된다.
드립서버(S)가 놓이는 테이블(7) 상면부에는 드리퍼 회전 모듈(40)이 구성된다. 커피 추출시 드리퍼(D)가 드립서버(S)에 올려진 상태에서 드립서버(S)는 드리퍼 회전 모듈(40)에 놓이게 되고, 드리퍼 회전 모듈(40)은 드리퍼(D)와 드립서버(S)를 일체로 회전시키게 된다. 커피 추출을 위해 드리퍼(D)에 온수가 부어질 때 드리퍼(D)가 회전하면서 분쇄된 원두는 고르게 적셔진다. 드리퍼 회전 모듈(40)의 세부 구성은 후술한다.
한편, 헤드부(8b)의 단부에는 드리퍼(D)로 떨어지는 물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노즐 모듈(30)이 구성된다. 노즐 모듈(30)은 온수가 떨어 지는 위치를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5는 전술한 드리퍼 회전 모듈(40)에 의해 드리퍼(D)가 회전되는 방향 A와 노즐 모듈(30)에서 떨어지는 온수의 낙수 위치의 변화 방향 B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드리퍼(D)는 수평면(X-Y평면)상에서 회전하고, 온수가 떨어지는 위치는 전후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드리퍼(D)의 회전과 낙수 위치의 변화를 조합하면 드리퍼(D) 위의 전체 영역에 어디든 온수가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합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 가지 모양의 물 붓기 궤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음은 노즐 모듈(3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노즐 모듈(30)은 온수 공급 배관(3)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드리퍼(D)로 떨어지는 물의 낙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변경시켜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노즐 모듈(30)은 전술한 케이스부(8) 내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고정 케이스(31, 32)와 고정 케이스(31, 32)의 안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케이스(35, 36)를 포함한다. 고정 케이스(31, 32)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형상을 가지며, 위치에 따라 상부 고정 케이스(31)와 하부 고정 케이스(32)로 구분된다. 상부 고정 케이스(31)와 하부 고정 케이스(32)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동 케이스(35, 36)는 그 좌우 양측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회전축(35a, 35b)을 포함한다. 회전축(35a, 35b)은 그 위치에 따라 좌측 회전축(35a)과 우측 회전축(35b)으로 구분된다. 회전축(35a, 35b)은 고정 케이스(31, 32)의 좌우 양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전축(35a, 35b)의 외주면에는 회동 운동이 용이하도록 마찰을 저감하는 베어링(33a, 33b)이 설치된다. 베어링(33a, 33b)은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좌측 베어링(33a)과 우측 베어링(33b)으로 구분된다. 베어링(33a, 33b)은 미끄럼 베어링 또는 부쉬(bush)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고정 케이스(32)의 양측면에는 좌측/우측 베어링(33a, 33b)의 하반부를 각각 수용하는 거치홈(32a, 32b)이 형성된다. 상부 고정 케이스(31)의 양측면에도 좌측/우측 베어링(33a, 33b)의 상반부를 각각 수용하는 거치홈(31a, 31b)이 형성된다. 상부 고정 케이스(31)와 하부 고정 케이스(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측 베어링(33a)은 좌측 거치홈들(31a, 32a)에 의해 둘러싸여 고정된다. 좌측 베어링(33a)의 외주면에는 고정 케이스(31, 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홈(33ao)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 가지로 우측 베어링(33b)도 우측 거치홈들(31b, 32b)에 의해 둘러싸여 고정되고, 우측 베어링(33b)의 외주면에도 고정 케이스(31, 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홈(33bo)이 형성되어 있다.
도9 및 도10을 함께 참조하면, 회동 케이스(35, 36)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회동 케이스(35, 36)는 그 아래 부분을 막음하는 하부 회동 케이스(36)와, 전면, 후면, 양측면 및 상면을 이루는 상부 회동 케이스(35)로 구성된다. 전술한 회전축(35a, 35b)은 이 상부 회동 케이스(35)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하부 회동 케이스(36)에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즐(36a)이 구성된다. 전술한 온수 공급 배관(3)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는 이 노즐(36a)을 통해 드리퍼(D)상의 소정의 위치로 떨어진다. 노즐(36a)의 상단에는 온수 공급 배관(3)과의 연결을 위한 엘보우(36b)가 구성된다. 온수 공급 배관(3)은 상부 회동 케이스(35)의 좌측 회전축(35a)의 중공부를 통해 회동 케이스(35, 36) 내부로 삽입되어 엘보우(36b)에 연결된다. 회동 케이스(35, 36)의 내부에는 노즐(36a)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 모터(37)와, 이 노즐 구동 모터(37)를 상부 회동 케이스(35)의 안쪽에 고정하는 모터 고정 브라켓(34)이 내장된다. 노즐 구동 모터(37)는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다. 노즐 구동 모터(37)는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요소에 의해 모터 고정 브라켓(34)의 모터 고정홀(34a)에 결합된다. 모터 고정 브라켓(34)은 그 상부에 형성된 케이스 고정홀(34b)을 통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요소에 의해 상부 회동 케이스(35)의 상면부 내측에 결합된다. 노즐 구동 모터(37)가 모터 고정 브라켓(34)를 매개로 하여 상부 회동 케이스(35)의 안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노즐 구동 모터(37)의 모터축(37a)은 전술한 우측 회전축(35b)의 안쪽 중공부에 삽입된다(도7 참조). 상부 회동 케이스(35)의 하부에는 하부 회동 케이스(36)가 결합되고, 노즐(36a)은 아래쪽으로 노출된다. 하부 회동 케이스(36)는 그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하에서 모터축(37a)은 모터축 고정 홀더(38)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모터축(37a)는 테이블(7) 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Y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노즐 구동 모터(37)가 작동되면 모터축(37a)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영구 자석 및 코일 등이 내장되어 있는 몸체(37b)가 모터축(37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몸체(37a)와 결합되어 있는 회동 케이스(35, 36) 및 노즐(36a)도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36a)의 단부는 모터축(37a)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좀 더 명확하게는 노즐(36a)은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X-Z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노즐(36a)의 단부는 X축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고, 이에 의해 노즐(36a)로부터 드리퍼(D)로 떨어지는 물의 위치도 변경된다. 다시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모터축 고정 홀더(38)는 상부 일부가 절개된 원판 형태의 바디부(38a)와, 상기 바디부(38a)의 일측면 중앙에서 연장되는 모터축 고정부(38b)를 갖는다. 모터축 고정부(38b)에는 그 중앙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모터축 고정홀(38c)이 형성되고 전술한 모터축(37a)은 모터축 고정홀(38c)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모터축(37a)은 고정이 용이하도록 그 원통형의 외주면 일부가 절개된 형태(예를 들어, D컷 가공된)를 가지며(도10 참조), 모터축 고정홀(38c)도 모터축(37a) 단부에 형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모터축 고정 홀더(38)는 그 바디부(38a)를 통해 상부 고정 케이스(31)의 우측면 바깥쪽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요소에 의해 결합된다. 하부 고정 케이스(32)의 저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노즐(36a)이 관통되는 노즐 삽입홀(32c)이 형성된다. 노즐(36a)은 이 노즐 삽입홀(32c) 내에서 회동 운동 한다.
다시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상부 회동 케이스(35)의 우측면 바깥에는 상부 회동 케이스(35)와 함께 회동 거동하는 회동 블록(35c)이 결합된다. 회동 블록(35c)은 노즐 구동 모터(37)의 모터축(37a)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모양의 바디부(35co)와 바디부(35co)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날개부(35cw)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고정 케이스(31)의 우측면에는 바디부(35co)가 관통되는 가이드홀(31c)이 형성된다(도7 및 도8 참조). 가이드홀(31c)도 노즐 구동 모터(37)의 모터축(37a)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회동 케이스(35, 36)가 회동 거동할 때 회동 블록(35c)의 바디부(35co)는 가이드홀(31c)에 삽입된 상태로 일체로 거동한다.
상부 고정 케이스(31)의 우측 바깥 상부에는 전술한 회동 블록(35c) 날개부(35cw)의 위치를 감지하는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가 구성된다(도6 내지 도8 참조).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의 하부에는 날개부(35cw)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날개부 수용 홈(39a)이 형성된다.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는 날개부(35cw)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는 엔코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는 날개부(35cw)가 수용홈(39a)의 소정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하고, 날개부(35cw)가 수용홈(39a)의 소정 위치를 벗어나면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20)는 하이(high) 신호 수신 시 마다 노즐 구동 모터(37)의 회전 방향을 바꾸어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1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에 있어서 노즐 모듈(30)의 노즐 구동 모터(37)는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 구동 모터(37)가 도11의 (a) 및 (c) 위치를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 도11의 (b)와 같이 날개부(35cw)가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에 걸쳐져 있는 상태에서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는 로우(low)신호를 출력하다가, 도11의 (a) 또는 (c)와 같이 날개부(35cw)가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의 소정 위치를 벗어나면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는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하이(high) 신호 감지 시 노즐 구동 모터(37)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노즐 구동 모터(37)가 도11의 (a) 및 (c)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드리퍼 회전 모듈(4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드리퍼 회전 모듈(40)은 테이블(7)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드립서버(S)를 받쳐주는 받침 그릴(41)과 받침 드릴(41)의 하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공간을 형성하는 받침판(42)을 포함한다. 받침 그릴(41)로는 물이나 커피가 떨어 질 수 있는데, 받침 그릴(41)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그 위에 떨어진 물이나 커피는 받침판(42)으로 흘러 내린다. 받침판(42)은 물, 커피 등을 임시 저장한다. 사용자는 받침판(42)을 수시로 비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판(42)의 하부에는 그 중앙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회전축(43)이 구성된다. 받침판(42)은 회전축(43)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43)의 옆으로는 회전축(43)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리퍼 회전 모터(44)가 구성된다. 회전축(43)과 드리퍼 회전 모터(44)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기어비를 갖는 제1 및 제2기어(45a, 45b)가 구성되어 드리퍼 회전 모터(44)의 회전력이 회전축(43)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기어 전동 방식 이외에 다른 전동 방식, 예를 들면 벨트-풀리 방식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회전축(43)은 이를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 브라켓(46)을 매개로 하여 테이블(7) 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드리퍼 회전 모터(44)는 이를 지지하는 모터 고정 브라켓(47)에 결합되고, 모터 고정 브라켓(47)은 다시 회전축 지지 브라켓(46)상에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머신(100)은 드리퍼(D)를 수평면 상에서 회전시키는 드리퍼 회전 모듈(40)과, 드리퍼(D)의 위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36a)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노즐(36a)을 회전시키는 노즐 모듈(30)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의 물 붓기 궤적을 다양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을 이용하면 규격화된 레시피의 핸드 드립 커피를 반복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은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 레시피가 기록된 저장부(51)를 포함한다. 저장부(51)는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시피 정보가 저장된다.
레시피에 포함되는 정보는 커피 추출에 사용될 온수의 온도, 커피 추출에 사용할 물의 양, 물 붓기 시 물의 유속, 물 붓기 횟수, 각 물 붓기 횟수당 물 붓기 시간, 각 물 붓기 횟수 사이의 휴지기(pause) 시간, 물 붓기 궤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 붓기 궤적에 관한 정보는 좀 더 상세하게는 노즐의 위치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와, 드리퍼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저장부(51)로부터 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레시피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0)는 온도센서(5, 11), 압력센서(12), 수위 센서(13), 회전 위치 감지 센서(39)로부터 온도, 압력, 수위 및 노즐(36a)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급수 제어 밸브(2), 온수 공급 제어 밸브(4), 보조 히터(6), 히터(15), 노즐 구동 모터(37), 드리퍼 회전 모터(44)등을 제어하여 해당 레시피에 따른 커피를 추출한다.
저장부(51)에 저장된 레시피는 드립 커피 머신(100)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기본 레시피(A, B, C…)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레시피(A, B, 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2)를 갖는다. 제어부(20)는 입력부(52)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레시피 생성하여 저장부(51)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51)는 저장된 하나 이상의 레시피 중에서 커피 추출시 사용될 레시피를 프라이머리 레시피로 설정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16 내지 도18은 이러한 입력부(52)를 구성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도이다. 도16을 참조하면, 입력부(52)는 사용자로부터 커피 추출에 소요될 전체적인 “추출 시간”과, 커피 추출시 사용할 온수의 “온도” 및 물탱크의 “온도”에 관한 조건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도17을 참조하면, 입력부(52)는 사용자로부터 커피를 추출할 온수 붓기 회수(1~5회차)에 관한 정보 및 각 회차별 추출 시간(“O차추출”)과 각 회차 사이에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도18을 참조하면, 입력부(52)는 드리퍼 회전 모터(44)의 “회전 속도”에 관한 정보와, 노즐 구동 모터(37)에 의한 노즐(36a)의 이동 속도(“쎄타축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을 이용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로부터 커피 추출을 위한 레시피에 대한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레시피 입력 여부 판단 단계(S10)가 수행된다. 사용자는 드립 커피 머신(100)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기본 레시피 이외에 본인이 원하는 레시피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입력부(5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레시피에 관한 입력이 있는지 모니터링 한다.
사용자로부터 레시피에 관한 입력이 있을 경우, 이를 저장부(51)에 저장하는 레시피 업데이트 단계(S20)가 수행된다. 제어부(20)는 입력부(52)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레시피를 저장부(51)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레시피를 커피 추출을 위한 프라이머리 레시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로부터 커피 추출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커피 추출 명령 입력 여부 판단 단계(S30)가 수행된다.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52)를 통해 커피 추출 명령에 대한 입력 여부를 모니터링 하여, 커피 추출 명령이 있을 경우 저장부(51)에 프라이머리 레시피로 설정된 레시피에 따라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커피 추출 단계(S40)를 수행한다. 사용자의 커피 추출 명령이 없으면 다시 사용자 레시피 입력 여부 판단 단계(S10)로 돌아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은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위한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한 레시피에 의한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커피 전문 매장을 통한 핸드 드립 커피 대중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레시피를 입력하여 그에 따른 핸드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 수요자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드립 커피 머신(100)은 드리퍼를 회전 시키는 드리퍼 회전 모듈과,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 모듈의 상대적인 운동 조합에 의해 다양한 궤적의 물 붓기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추출되는 커피의 맛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급수 배관
2 : 급수 제어 밸브
3 : 온수 공급 배관
4 : 온수 공급 제어 밸브
5 : 온도센서
6 : 보조히터
7 : 테이블
8 : 케이스부
10 : 물탱크
11 : 온도센서
12 : 압력센서
13 : 수위센서
15 : 히터
20 : 제어부
30 : 노즐 모듈
31 : 상부 고정 케이스
32 : 하부 고정 케이스
33a, 33b : 베어링
34 : 모터 고정 브라켓
35 : 상부 회동 케이스
36 : 하부 회동 케이스
37 : 노즐 구동 모터
38 : 모터축 고정 홀더
39 : 회전 위치 감지 센서
40 : 드리퍼 회전 모듈
41 : 받침 그릴
42 : 받침판
43 : 회전축
44 : 드리퍼 회전 모터
46 : 회전축 지지 브라켓
47 : 모터 고정 브라켓
51 : 저장부
52 : 입력부
S10 : 사용자 레시피 입력 여부 판단 단계
S20 : 레시피 업데이트 단계
S30 : 커피 추출 명령 입력 여부 판단 단계
S40 : 커피 추출 단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분쇄 원두가 담긴 드리퍼 상에 온수를 부어 중력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핸드 드립 방식의 드립 커피 머신에 있어서,
    드리퍼를 지면에 수평한 평면상에서 회전시키는 드리퍼 회전 모듈과,
    드리퍼 상에 온수를 떨어뜨리는 노즐이 지면에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면서 물이 떨어지는 위치를 가변시키는 노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모듈은 상기 노즐의 위치 가변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 모터와,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몸체와 함께 일체로 회전 운동하는 회동 케이스와, 상기 회동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 케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모터축을 고정하는 모터 고정 브라켓과, 상기 회동 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 블록과, 상기 회동 블록이 소정의 가동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회전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의 수신 신호 변화에 따라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회동 케이스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드립 커피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케이스에는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인 한 쌍의 회전축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 케이스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구동 모터의 모터축은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의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회전축의 중공부로는 상기 노즐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 배관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드립 커피 머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리퍼 회전 모듈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립서버를 받쳐주는 받침 그릴과,
    상기 받침 그릴의 하부에서 상기 받침 그릴에서 떨어지는 물을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드리퍼 회전 모터와,
    상기 드리퍼 회전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해 소정의 기어비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드리퍼 회전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드립 커피 머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 커피 머신은
    커피를 추출할 온수를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온수 공급 배관과,
    상기 온수 공급 배관을 통한 온수 공급을 제어하는 온수 공급 제어 밸브와,
    핸드 드립 커피 추출을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로 구성된 레시피가 저장된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레시피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드립 커피 머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64683A 2016-12-05 2016-12-05 드립 커피 머신 KR10171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83A KR101719356B1 (ko) 2016-12-05 2016-12-05 드립 커피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83A KR101719356B1 (ko) 2016-12-05 2016-12-05 드립 커피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356B1 true KR101719356B1 (ko) 2017-03-23

Family

ID=5849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683A KR101719356B1 (ko) 2016-12-05 2016-12-05 드립 커피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35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743B1 (ko) * 2018-07-06 2018-12-11 (주)드립플랜 온수 유량 제어 기능을 갖는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KR101934343B1 (ko) 2018-04-27 2019-01-02 (주)피앤디시스템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CN110250911A (zh) * 2019-07-18 2019-09-20 深圳市热气球咖啡科技有限公司 用于咖啡萃取机的锥摆式出水机构及其矫正方法
KR102064243B1 (ko) * 2019-02-18 2020-02-11 주식회사 노블트리 자동 드립 커피 머신
KR102162881B1 (ko) * 2020-06-11 2020-10-07 (주)한터테크놀러지 드립 커피 머신 및 그에 사용되는 액체 토출 디바이스
KR102203755B1 (ko) * 2020-05-07 2021-01-15 (주)한터테크놀러지 드립 커피 머신 및 그에 사용되는 액체 토출 디바이스
KR102208767B1 (ko) * 2020-08-20 2021-01-28 주식회사 제이에이티 커피 드립 장치
CN113616078A (zh) * 2020-05-07 2021-11-09 韩正机械设备 一种滴滤式咖啡机及使用其的喷液装置
KR102379138B1 (ko) 2020-11-03 2022-03-25 이강훈 교반력을 이용한 커피음료 브루잉 추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292A (ko) * 2007-09-12 2009-03-17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20130092131A (ko) * 2012-02-10 2013-08-20 박수효 커피드립장치
KR101661455B1 (ko) * 2015-09-24 2016-09-30 정재웅 드립식 커피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292A (ko) * 2007-09-12 2009-03-17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20130092131A (ko) * 2012-02-10 2013-08-20 박수효 커피드립장치
KR101661455B1 (ko) * 2015-09-24 2016-09-30 정재웅 드립식 커피 제조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343B1 (ko) 2018-04-27 2019-01-02 (주)피앤디시스템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KR101927743B1 (ko) * 2018-07-06 2018-12-11 (주)드립플랜 온수 유량 제어 기능을 갖는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WO2020009391A1 (ko) * 2018-07-06 2020-01-09 주식회사 드립플랜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KR102064243B1 (ko) * 2019-02-18 2020-02-11 주식회사 노블트리 자동 드립 커피 머신
WO2020171469A1 (ko) * 2019-02-18 2020-08-27 주식회사 노블트리 자동 드립 커피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드립 커피 제조 방법
CN110250911A (zh) * 2019-07-18 2019-09-20 深圳市热气球咖啡科技有限公司 用于咖啡萃取机的锥摆式出水机构及其矫正方法
KR102203755B1 (ko) * 2020-05-07 2021-01-15 (주)한터테크놀러지 드립 커피 머신 및 그에 사용되는 액체 토출 디바이스
CN113616078A (zh) * 2020-05-07 2021-11-09 韩正机械设备 一种滴滤式咖啡机及使用其的喷液装置
US11857105B2 (en) 2020-05-07 2024-01-02 Hanter Technology Co., Ltd. Drip coffee machine and liquid discharge device used therefor
KR102162881B1 (ko) * 2020-06-11 2020-10-07 (주)한터테크놀러지 드립 커피 머신 및 그에 사용되는 액체 토출 디바이스
KR102208767B1 (ko) * 2020-08-20 2021-01-28 주식회사 제이에이티 커피 드립 장치
KR102379138B1 (ko) 2020-11-03 2022-03-25 이강훈 교반력을 이용한 커피음료 브루잉 추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356B1 (ko) 드립 커피 머신
US9867495B2 (en) Auto coffee drip apparatus
CA2769423C (en) Capsul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by centrifugation
KR101693261B1 (ko)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US9687108B2 (en) Beverage machine cartridge holder with damped movement
US8658232B2 (en) Capsul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by centrifugation
JP2013502954A5 (ko)
AU2015261133B2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for hot and cold beverages
KR101927743B1 (ko) 온수 유량 제어 기능을 갖는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AU2019349140B2 (en) Cold brewed coffee system in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160216020A1 (en) Automated Ice Cube Makers with Interchangeable Trays for Making Stylized Ice Cubes
KR101719358B1 (ko) 드립 커피 머신
KR20170025142A (ko) 통합커피머신
JP2008113972A (ja) コーヒー抽出機
US20230284820A1 (en) Single-serving coffee pod and single-serving beverage brewer system
JP3214593U (ja) コーヒーメーカー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486419Y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 공급용기
KR101705873B1 (ko) 통합커피머신
KR20190124850A (ko)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및 핸드 드립 커피 추출 방법
US20220175182A1 (en) Br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