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33A -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0133A KR20170000133A KR1020150088923A KR20150088923A KR20170000133A KR 20170000133 A KR20170000133 A KR 20170000133A KR 1020150088923 A KR1020150088923 A KR 1020150088923A KR 20150088923 A KR20150088923 A KR 20150088923A KR 20170000133 A KR20170000133 A KR 201700001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heat
- food
- present
- removing mois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가 개시된다.
이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는, 음식물이 접촉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상면,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 및 측벽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면을 일체로 갖는 본체부를 가지며, 상면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열 확산판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 위치에는 열기 유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는, 음식물이 접촉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상면,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 및 측벽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면을 일체로 갖는 본체부를 가지며, 상면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열 확산판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 위치에는 열기 유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자와 같은 음식물 내의 수분이 바닥에 모이지 않도록 습기를 제거하는 한편 따듯한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탈리아 전통 음식이라 할 수 있는 피자는 뉴욕시에 있는 이탈리아인 거주지의 피자 가게에서 1905년 처음 선보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 산업화가 진전되어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잡았다.
우리나라에도 88 올림픽 이후 외국계 피자 회사가 진출한 이래 남녀노소가 즐기는 일반 음식이 되었다.
최근에는 오븐에서 굽는 피자 이외에도 전도열과 복사열, 대류열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바삭하게 구워낸 화덕 피자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새로운 외식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화덕 피자는 칼로리와 맛, 영양과 건강까지 생각하는 현대인의 웰빙, 슬로우 푸드로 사랑 받고 있다.
모든 음식은 식재료의 특성과 조리법에 따라 고유의 맛과 풍미를 향유할 수 있으며, 음식을 취식하는 방법과 분위기가 식문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컨대, 피자는 사용되는 식재료의 배합이나 도우의 숙성 정도, 열처리 방법 등에 따라 화학적 맛과 물리적 식감은 물론 시각적인 모양새를 다르게 하여 피자 취식을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유명 피자 회사에서는 주로 오븐을 사용하여 대형 피자를 제조하고, 각종 토핑 재료들을 변화시켜 새로운 피자 제품을 선보이는 반면, 피자 전문점의 경우 피자 도우 사이즈를 줄이고 두께를 얇게 하며 화덕을 이용하여 바삭함을 더하고 기름기를 줄이는 방식으로 피자 제품을 변화시켜 왔다.
오븐이나 화덕에서 구워낸 피자는 뜨거운 상태에서 취식하는 것이 맛과 풍미를 살릴 수 있고 피자의 질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갓 구워낸 피자는 상온에서 금방 온도가 떨어지고 피자가 놓이는 플레이트면에 접한 상태에서 피자 하면에 습기가 맺히는 문제가 있다.
즉, 피자 자체에 함유된 다량의 수분은 피자를 구울 때 도우나 토핑 재료들이 익는데 도움을 주고 피자의 쫀득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피자 표면에 집중될 경우 피자의 바삭함을 방해하여 식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피자 표면의 수분을 빨리 제거하고 바삭함을 유지하기 위해 도우를 얇게 하고 화덕에서 구운 피자가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화덕 피자 역시 손님들에게 제공될 때 피자 플레이트에 피자가 놓이면 피자 하면에 쉽게 습기가 맺히게 되고, 결국 그 수분이 피자 플레이트에 고이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조리된 피자가 손님에게 제공될 때 뜨거운 피자 내부에서 유발되는 수분으로 인해 피자가 눅눅해지고 바삭함이 사라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님에게 제공된 피자의 온도가 장시간 유지되면서 피자 표면의 수분이 쉽게 제거되어 최적의 식감을 부여할 수 있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이 접촉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상면,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 및 측벽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면을 일체로 갖는 본체부를 가지며, 상면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열 확산판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 위치에는 열기 유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는 상면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목하거나 볼록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확산판은, 상면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서 상면의 하부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 확산판은, 스페이서에 의해 본체부의 바닥면에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는, 상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에는 보조 식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각 실시예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된 음식, 예컨대 피자가 손님에게 제공될 때 뜨거운 피자 내부에서 유발되는 수분으로 인해 피자가 눅눅해지고 바삭함이 사라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피자의 온도가 장시간 유지되면서 피자 표면의 수분이나 기름기가 쉽게 제거되어 최적의 식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예를 들어,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는, 음식물이 접촉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상면(20), 상면(20)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44), 및 측벽(44)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면을 일체로 갖는 본체부(40)를 가지며, 상면(20)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열 확산판(50)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 위치에는 열기 유입용 개구부(42)가 형성되어 되어 있다.
또한, 상면(20)에는 상면(20)의 평면(24)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목하거나 볼록한 요철부(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는, 상면(20)과 본체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상면(2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분리하여 도시하였음을 알아야 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상면(20)의 구성에 대해서 일부 강조하여 도시하였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면(20)과 본체부(4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서 가능하며,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용접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20) 및 본체부(4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체부(40) 내부 청소 등을 감안하여 일체형이 아니라 상면(20) 및 본체부(40)가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르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기 유입용 개구부(42, 도 2 참조)의 개구 직경에 별 다른 제한이 없기 때문에, 이 열기 유입용 개구부(42)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20) 및 본체부(40)를 탈착식으로 형성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형성하여도 됨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의 측벽(44)의 높이(d1)는 일정한 길이, 예를 들면, 후술하는 열기 공급원(60, 도 5 참조)이 열기 유입용 개구부(42)에 설치될 때의 열기 공급원(60)의 높이와 열 확산판(50, 도 3 참조)의 설치 높이, 즉 d1 - d2 보다 적어도 더 높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벽(44)의 높이(d1)는 본체부(40)의 내부를 이루는 내부 공간(S) 내에서 후술하는 열기 공급원(6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기가 이 내부 공간(S)에서 충분하게 대류하여 상면(20) 상의 음식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이면 충분하다고 하겠다.
도 1에 따르면, 상면(20)에는 다수의 요철부(22)가 형성되는데, 이들 요철부(22)는 필요에 따라서, 요부(凹部) 또는 철부(凸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요부인 경우에는 요철부(22)의 요부가 비교적 좁게 형성되고, 철부인 경우에는 요철부(22)의 철부가 비교적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상면(20)에 형성되는 요철부(22)는 상면(2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요철부(22)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면(20)은 그 평면(24)이 수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음식물 중의 수분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서, 또는 음식물에 대한 균일한 열 공급을 위해서 상면(20)의 중앙부를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의 "경사지게 형성"이라는 말은, 수평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면(20)의 평면(24)이 양의 각도, 또는 음의 각도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 상면(20) 자체의 경사에 더하여 요철부(22) 역시 일정한 경사를 이룰 수 있을 알아야 한다.
요철부(22)의 경사 역시 이 요철부(22)가 상면(20)의 중앙부를 향해서 양의 각도 또는 음의 각도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요철부(22)는 상면(20)의 가장 자리에서 가장 넓게 형성되고, 상면(20)의 중앙부를 향해서 좁아지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20)의 가장 자리가 넓고 상면(20)의 중앙부를 향해서 좁아지는 마름모 형상 이외에도, 상면(20)의 전체면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되는 다이아몬드 형상, 사각형이나 오각형과 같은 기하학적 형상, 거북등과 같은 형상 등 요철을 형성할 수 있는 상면(20)의 구조이면 충분하다고 하겠다.
일정한 두께를 갖는 상면(20)의 소재는 주물,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 전열(傳熱) 성능이 우수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금속 재질 또는 기타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면(20)의 표면에는 테프론 코팅과 같은 부식 방지 또는 눌어붙음 방지 코팅이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40)의 소재는 상면(20)의 소재와 달리, 열기 공급원(6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원활하게 대류할 수 있을 수 있는 내부 공간(S)을 형성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양철이나 함석판 등과 같은 경제적으로 비교적 저렴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다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40)의 바닥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배수공(46)의 구성을 감안하였을 때, 본체부(40)는 많든 적든 수분 등에 의한 부식에 노출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 일정한 부식 방지 코팅이 더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20)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열 확산판(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열 확산판(50)은 스페이서(52)를 통해서, 상면(20)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 확산판(50)은, 상면(20)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페이서(52)에 의해서 상면(20)의 하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 때, 스페이서(52)의 높이(d2)는, 개구부(26, 도 1)에 추가로 위치할 수 있는 보조 식기(28, 도 3)의 높이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보조 식기(28)의 하단이 길게, 즉 뾰족하게 연장되어 있어서 스페이서(52)의 높이 정도로 연장될 가능성이 있으면, 이 스페이서(52)의 높이는 이를 감안하여 더 길어질 수 있고, 다르게는 보조 식기(28)의 하단이 넓적하게, 즉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페이서(52)의 높이는 이를 감안하여 더 짧아질 수도 있겠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52)의 높이(d2)가 가변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스페이서(52)는 그 높이(d2)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 확산판(50)은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열 확산판을 상면(20)의 하부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열 확산판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열 확산판이 설치되는 중앙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크기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개구부(2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의하면, 상면(20)의 중앙부에 미리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면(20)의 중앙부에는 아무 것도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개구부(26)는,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보조 식기(28)가 더 놓이는 경우에 유리한 구성이며, 따라서 보조 식기(28)가 놓이지 않는다면, 이 개구부(26)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 경우, 개구부(26) 대신에 오히려 볼록부가 형성되거나, 상술한 요철부(22)가 상면(20)의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본체부(40)의 중앙부 하면에는 열기 유입용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열기 유입용 개구부(42)는, 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기 공급원(60)이 설치될 수 있는 개구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기 공급원(60)의 크기나 높이 또한 다양할 수 있으므로, 열기 유입용 개구부(42)의 직경은 충분히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본체부(40)의 바닥부가 음식물을 서비스하는 평면, 예를 들면, 식탁이나 식당 테이블 등의 평면에 밀착하여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직경의 크기는 다소 유동적이어도 무방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만, 열기 유입용 개구부(42)에 열기 공급원(60)이 더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40)의 높이(d1)와 열 확산판(50)을 상면(20)의 하부에 고정 지지하는 스페이서(52)의 높이(d2)는 이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철부(22)가 형성되는데, 이 때, 요철부(22) 상에 놓이게 되는 음식물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물기나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이 요철부(22)에 대응하는 평면(24)에 물 빠짐 또는 기름 빠짐 구멍(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면(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26)로 이들 물이나 기름이 빠지게 할 수도 있지만, 물 빠짐 또는 기름 빠짐이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 상면(20)의 다수 위치에 천공부로서의 물 빠짐 또는 기름 빠짐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물 빠짐 또는 기름 빠짐 구멍은 상면(20)에 균등하게 위치할 수도 있지만, 예컨대, 서비스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물기나 기름기가 많은 경우에는 상면(20)의 중앙부를 향해서 더욱 조밀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 물기나 기름기가 적은 경우에는 상면(20)의 중앙부로부터 가장 자리를 향해서 더욱 조밀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음식물에 따라서 적의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20) 및 본체부(40)는 대략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비스되는 음식물의 취향이나 풍미 등을 감안하여 사각형이나 오각형 또는 팔각형과 같은 다른 기하학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3에 따르면, 보조 식기(28)는, 바람직하게는, 상면(20)의 중앙부에 형성한 개구부(26, 도 1 및 도 2 참조)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도시한 도면만으로 국한되지는 않고, 비대칭적으로, 상면(20)의 중앙부가 아니라 편심된 위치에 놓일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보조 식기(28)는, 서비스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는 바, 피자를 서비스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면, 보조 식기(28)에 퐁듀라고 통칭되는 퐁뒤(fondue)가 보조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자를 보조 식기(28)에 담겨진 퐁듀에 찍어서 취식할 수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
열기 공급원(6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기는 보조 식기(28)로도 전달되어 보조 식기(28) 자체를 가열하게 되면, 이에 의해서 보조 식기(28) 내에 담겨진 퐁뒤 등의 보조 음식이 식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잘 알 것이다.
따라서, 상면(20)에 서비스되는 메인 음식물이 지속적으로 따뜻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보조 식기(28) 내의 보조 음식 역시 지속적으로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어, 음식물을 서비스 중에는 지속적으로 따끈 따끈한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열 확산판(50) 및 스페이서(52)가, 열 확산판(50') 및 스페이서(52')로서 본체부(40)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 확산판(50')은 스페이서('52)에 의해 본체부(40)의 내측 하부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확산판(50')이 본체부(4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도 5에 나타낸 열기 공급원(60)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더욱 빨리 이 열 확산판(60)으로 공급되어, 본체부(40) 내의 내부 공간(S)에서 대류 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나타낸 열 확산판(50)에 의해서도 비교적 원활한 대류 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나, 도 3의 경우에는 스페이서(52)의 높이(d2)가 비교적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52)의 높이(d2)로 인한 제약으로 인해서 대류 작용이 다소 약할 수 있지만, 도 4의 경우, 열 확산판(50')이 본체부(40)의 상대적으로 저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열확산판(50')으로부터 확산되는 열의 효과가 더욱 커진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에서도, 열기 유입용 개구부(42)에, 도 5에 나타내는 열기 공급원(60)이 배치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열기 유입용 개구부(42, 도 2 내지 도 4 참조)를 통해서 열기 공급원(60)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열기 공급원(60)은, 도시한 양초와 같은 파라핀계 연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지속적인 열기 공급의 측면에서는 가스(gas), 예를 들면, LPG, LNG와 같은 가스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전기 히터 또는 등유와 같은 화석 연료를 점화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무연이면서 인체에 무해한 열기 공급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기 공급원(60)이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 내의 내부 공간(S)에는 비교적 고온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S) 내에서의 대류 작용에 의해서 내부 공간(S) 전체가 일정한 고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고온의 열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상면(20)의 하부면으로 공급되고, 전열에 의해서 상면(20)의 상부면에 위치한 서비스 중인 음식물의 바닥으로도 열이 공급되므로, 상면(20)에 위치한 음식물은 장시간 일정한 고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에 의해서, 상면(20)에 서비스되고 있는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물기 또는 기름기 등이 이 음식물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이렇게 음식물의 외부로 배출된 물기나 기름기는, 본체부(40)로 배출되며, 상술한 본체부(40)의 바닥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배수공(46)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수공(46)에 본체부(40)의 바닥부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체부(40) 내부로 배출되는 물기나 기름기가 본체부(40)의 바닥부에 일정 정도 고여 있다가 배출될 수도 있음은 잘 알 것이며, 필요하다면, 외부로 연장되는 호수(미도시) 등의 구성에 의해서 이들 배출되는 물기나 기름기를 일괄적으로 수거할 수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40) 내의 열이 상면(20) 상에 서비스되고 있는 음식물, 및 보조 식기(28)로 양호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과다한 물기나 기름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따끈 따끈하면서도 바삭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취식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는 본체부(40)의 바닥면에 형성한 열기 유입용 개구부(4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외부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열기 유입용 개구부(42)를 통해 전달되는 열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00)의 본체부(40)의 내부 공간(S) 내에서 대류 작용을 통해서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미약한 열기를 이용하더라도 장시간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그 에너지 소모가 크지 않다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40)의 측벽(44)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측벽(44)은 수직이 아니라, 미학적인 관점에서, 내향으로 또는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열기 유입용 개구부(42)에 대해서도, 본체부(40)의 바닥면에 단순하게 개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열기 유입용 개구부(42)의 외부를 따라서, 수직으로 또는 본체부(40)의 측벽(44) 방향으로, 또는 열기 유입용 개구부(42)의 중심으로 향해서 경사진 제 2 측벽(미도시, 도면 부호 없음)이 더 형성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 2 측벽을 형성하는 경우, 열기 공급원(60)으로부터의 열기가 더욱 안정적으로 상면(20)의 하부면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일부 서비스되는 환경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본체부(40) 내로 배출된 물기나 기름기가 이 열기 유입용 개구부(42)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일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설명에 불과한 것으로서, 어떠한 의미로도 이와 같은 설명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로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용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 상면
22 : 요철부
24 : 평면
26 : 개구부
28 : 보조 식기
40 : 본체부
42 : 열기 유입용 개구부
44 : 측벽
46 : 배수공
50 : 열 확산판
50' : 열 확산판
52 : 스페이서
52' : 스페이서
60 : 열기 공급원
S : 내부 공간
d1 : 높이
d2 : 높이
22 : 요철부
24 : 평면
26 : 개구부
28 : 보조 식기
40 : 본체부
42 : 열기 유입용 개구부
44 : 측벽
46 : 배수공
50 : 열 확산판
50' : 열 확산판
52 : 스페이서
52' : 스페이서
60 : 열기 공급원
S : 내부 공간
d1 : 높이
d2 : 높이
Claims (6)
- 음식물이 접촉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상면,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면을 일체로 갖는 본체부를 가지며,
상기 상면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열 확산판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중앙 위치에는 열기 유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는 상기 상면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목하거나 볼록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 확산판은, 상기 상면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해서 상기 상면의 하부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 확산판은,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상기 바닥면에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요철부는, 상기 상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보조 식기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923A KR101771106B1 (ko) | 2015-06-23 | 2015-06-23 |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923A KR101771106B1 (ko) | 2015-06-23 | 2015-06-23 |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133A true KR20170000133A (ko) | 2017-01-02 |
KR101771106B1 KR101771106B1 (ko) | 2017-08-24 |
Family
ID=5781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923A KR101771106B1 (ko) | 2015-06-23 | 2015-06-23 |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110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0661A (ko) | 2004-03-09 | 2005-09-14 | 이호정 | 보온 용기 |
-
2015
- 2015-06-23 KR KR1020150088923A patent/KR1017711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0661A (ko) | 2004-03-09 | 2005-09-14 | 이호정 | 보온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1106B1 (ko) | 2017-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13048B2 (en) | Heat-retaining tray | |
US8869681B2 (en) | Cooking pan with a shelf | |
US9655464B2 (en) | Ventilated tray with riser | |
KR101490601B1 (ko) |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 |
KR101771106B1 (ko) |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
KR101771108B1 (ko) |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
KR100923422B1 (ko) | 직화 조리기용 기름받이 | |
KR200497835Y1 (ko) | 구이용 불판 | |
KR101656070B1 (ko) | 피자용 보온 트레이 | |
JP6297944B2 (ja) | 料理用加熱器付きテーブル | |
KR200471303Y1 (ko) | 석쇠가 포함되는 프라이팬 | |
KR101597761B1 (ko) |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
KR20130098513A (ko) | 다용도 조리기구 | |
US20120006208A1 (en) | Pan | |
KR101551430B1 (ko) | 피자용 그릴 | |
KR101146933B1 (ko) | 간편 조리기 | |
US11051648B2 (en) | Popcorn pot designed to gravitate oil and kernels to the center of heat source | |
KR20090005251U (ko) | 컨베이어식 오븐용 육류구이기 | |
KR200355889Y1 (ko) | 고기 구이용 불판 | |
KR101476056B1 (ko) | 피자 취식용 온열 그리드 | |
KR200353434Y1 (ko) | 고기 안착대가 형성된 솥뚜껑 구이판 | |
TWM466502U (zh) | 一種烤蛤蜊維持平衡的器具(一) | |
CN206491694U (zh) | 一种盛放式火锅锅盆 | |
KR101656067B1 (ko) | 전원공급 기능을 갖는 피자 트레이 | |
KR20110000010U (ko) |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