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03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0030A KR20170000030A KR1020150088412A KR20150088412A KR20170000030A KR 20170000030 A KR20170000030 A KR 20170000030A KR 1020150088412 A KR1020150088412 A KR 1020150088412A KR 20150088412 A KR20150088412 A KR 20150088412A KR 20170000030 A KR20170000030 A KR 20170000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isposed
- print layer
- display panel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87 Silane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99 coating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41 optical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923 CrO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5711 MoO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5 flex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 H01L27/3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 H01L51/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 H01L2227/3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위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데코레이션 필름(decoration film)을 포함하며,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재 필름(base film),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인쇄층(printing layer)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빛샘 현상이 개선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 패널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 주변에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윈도우 패널의 비표시 영역은 인쇄층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그러나, 전반사에 의해 인쇄층에 도달한 빛이 산란되어 빛샘이 시인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빛샘 현상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위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1접착층;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데코레이션 필름(decoration film)을 포함하며,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재 필름(base film),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인쇄층(printing layer)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재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층 상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 하면에 상기 인쇄층을 도포하도록 배치된 단차 보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기판과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 사이에 제2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2접착층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 하면에 배치된 접착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보조층은 상기 제2접착층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제1데코 인쇄층, 및 상기 제1데코 인쇄층 상에 배치된 차광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광 인쇄층은 상기 제2접착층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데코 인쇄층은 백색 인쇄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광 인쇄층은 흑색 인쇄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은 상기 차광 인쇄층과 상기 제1데코 인쇄층 사이에 배치된 제2 데코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데코 인쇄층은 펄 안료를 포함하고 투명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적층된 캡핑층; 및 상기 캡핑층 상에 적층된 박막봉지층(TFE; thin film encapsul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적층되어 상기 윈도우 기판을 향하는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윈도우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판 상에 적층된 터치 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 기판의 상면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빛샘 유발 광의 유입 경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빛샘 현상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윈도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영역에 배치된 표시 패널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만곡된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만곡된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광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광 경로 및 그 두께(T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광 경로 및 그 두께(T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C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D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정도를 비교한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윈도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영역에 배치된 표시 패널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만곡된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만곡된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광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광 경로 및 그 두께(T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광 경로 및 그 두께(T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C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D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정도를 비교한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화소 영역(PX) 및 비화소 영역(NPX)이 정의된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610), 표시 패널(200)과 하우징(610)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 시트(620),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된 윈도우 패널(300), 및 표시 패널(200)과 윈도우 패널(30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500)을 포함한다. 윈도우 패널(300)은 표시 패널(200) 상부에 배치된다.
화소 영역(PX) 주변에 비화소 영역(NPX)이 형성되고, 표시 영역(DA) 주변에 비표시 영역(NDA)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화소 영역(PX)은 윈도우 패널(30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되며, 표시 패널(200)의 비화소 영역(NPX)은 윈도우 패널(300)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610), 표시 패널(200), 윈도우 패널(300), 및 제1 접착층(500)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표시 패널(200)의 화소 영역(PX)은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비화소 영역(NPX)은 영상을 생성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 패널(30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표시 패널(200)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등의 자발광성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및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의 비발광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610)은 표시 패널(200)을 수용한다. 도 1에 표시 패널(2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1개의 부재로 구성된 하우징(610)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610)은 2개 이상의 부재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610)은 표시 패널(200) 이외에 구동 소자가 실장된 회로기판(미도시)을 더 수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미도시)를 더 수용할 수도 있다.
충격 흡수 시트(620)는 표시 패널(200)과 하우징(610)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20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충격 흡수 시트(620)는 외부 충격이 상기 표시 패널(200)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충격 흡수 시트(6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윈도우 패널(300)은 표시 패널(200)에서 영상이 출사되는 쪽에 배치되며, 하우징(610)에 결합되어 하우징(610)과 함께 표시 장치(100)의 외면을 구성한다.
편광판(400)은 표시 패널(200) 상에 배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200)과 제1 접착층(50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편광판(400)이 표시 패널(200)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편광판(400)과 표시 패널(200) 사이에 점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400)은 외부에서 입사된 광(외광)이 표시 패널(200)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편광판(400)에 의해 표시 장치(100)의 표시 성능 저하가 방지되고, 사용자의 시인성이 개선된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표시 패널(200)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패널은 표시 패널(200)과 편광판(400) 사이에, 또는 편광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서 제공된 입력 신호에 따라서 표시 패널(200)은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윈도우 패널(3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하우징(610)과 충격 흡수 시트(620)는 생략되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윈도우 패널(3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윈도우 패널(300)은 표시 패널(20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스크래치(scratch)로부터 표시 패널(200)을 보호한다.
윈도우 패널(300)의 상부 평면은 표시 영역(DA), 표시 영역(DA) 주변에 형성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관찰자에게 제공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흑색으로 인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표시 영역(NDA)은 흑색을 제외한 다양한 색으로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백색으로 인쇄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300)은 윈도우 기판(310), 데코레이션 필름(350), 윈도우 기판(310)과 데코레이션 필름(350)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320), 및 하드 코팅층(370)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기판(310)은 표시 패널(2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윈도우 패널(300)의 평면 영역과 동일하게 윈도우 기판(310)의 평면 영역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형성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윈도우 기판(310)은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0)의 화소 영역(PX)에서 생성된 영상은 표시 영역(DA)에서 윈도우 기판(31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기판(310)은 내충격성을 가지는 플라스틱(plastic) 또는 유리(glass)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 기판(31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플레이트의 꼭지점 부근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310)은 오른쪽 가장자리(311)가 만곡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윈도우 기판(310)은 코너부가 곡선인 형태 또는 왼쪽 가장자리가 만곡된 형태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200)과 마주보는 윈도우 기판(310)의 상면의 비표시 영역(NDA)에 인쇄층(340)이 배치된다. 즉, 비표시 영역(NDA)은 인쇄층(340)이 배치된 영역에 대응되며 표시 영역(DA)은 인쇄층(34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코레이션 필름(350)은 윈도우 기판(310) 상부에 배치된다. 데코레이션 필름(350)과 윈도우 기판(310) 사이에는 제2 접착층(320)이 개재될 수 있다.
데코레이션 필름(350)은 기재 필름(330) 및 기재 필름(330)의 일면에 배치된 인쇄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 필름(330)은 PET 등의 투명한 필름일 수 있다.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인쇄층(340)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기재 필름(33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쇄층(340)은 윈도우 기판(310)과 기재 필름(330)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층(320)과 접촉할 수 있다.
인쇄층(340)은 소정의 색을 갖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 기판(310)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인쇄층(340)의 색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쇄층(340)은 표시 패널(200)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표시 패널(200)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쇄층(340)은 흑색 또는 백색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일 수 있다. 인쇄층(340)이 흑색인 경우, 인쇄층(340)은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340)이 백색인 경우, 인쇄층(340)은 백색 수지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340)은 CrOx 또는 MoOx 등의 불투명 무기 절연 물질이나 블랙 수지 등의 불투명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층(340)은 표시 패널(200) 내부의 빛을 차단하거나 내부 구조를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 및 윈도우 패널(300)의 색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인쇄층(340)은 기재 필름(330)에 인쇄용 조성물을 인쇄한 인쇄층(340)이 형성된 데코레이션 필름(350)을 윈도우 기판(310)에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재 필름(330)에 인쇄층(340)을 형성하는 방식 및 데코레이션 필름(350)이 윈도우 기판(310)의 일면에 배치되는 방식은 전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에 알려진 여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층(340)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쇄층(340)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층 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에는 인쇄층(34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층(340)은 복수의 인쇄층들(341,342,343)을 포함한다. 인쇄층들(341,342,343)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기재 필름(330)의 일면에 배치된 제1 데코 인쇄층(341), 제2 데코 인쇄층(342), 및 차광 인쇄층(343)을 포함한다.
제1 데코 인쇄층(341)은 백색 인쇄층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데코 인쇄층(341)은 흑색을 제외한 다양한 색을 가질 수 있다. 제1 데코 인쇄층(341)은 하나의 층으로 도시되었지만, 서로 동일한 색을 갖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여 보다 더 명확한 색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데코 인쇄층(342)은 투명색을 가지며 반짝이는 특성을 갖는 펄(pearl)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데코 인쇄층(342)은 반짝이는 시각적 효과를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데코 인쇄층(343)은 이 외에도 다양한 질감을 나타내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 인쇄층(343)은 흑색 인쇄층일 수 있다. 흑색을 갖는 차광 인쇄층(343)은 제1 데코 인쇄층(341) 및 제2 데코 인쇄층(343)보다 높은 광 차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는 3개의 인쇄층들(341,342,343)이 예식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보다 많은 인쇄층들이 비표시 영역(NDA)에서 기재 필름(33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재 필름(330)의 타면에는 하드 코팅층(37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370)은 윈도우 기판(310)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고온 처리가 필요 없는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370)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무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370)은 기재 필름(330)의 타면에 배치되어 윈도우 기판(310)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약품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드 코팅층(370) 상에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은 지문방지 코팅층(Anti-Finger coating: AF), 반사방지 코팅층(Anti-Reflection coating: AR), 눈부심방지 코팅층(Anti-glare coating: AG)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functional coating)일 수 있다.
인쇄층(340)은 표시 패널(200)과 윈도우 패널(300)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층(500)과 서로 접촉된다.
제1접착층(500)은 편광판(400)과 윈도우 패널(300) 사이에 제공되며, 표시 패널(200)과 윈도우 패널(300)이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접착층(500)이 표시 패널(200)에서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접착층(500)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접착층(500)은, 점착성을 가지며 광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투명 고분자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500)은 광 조사에 의하여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표시 패널의 한 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A 영역의 어느 한 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도 1의 참조부호 DA, 이하 동일)의 각 화소에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10, 20)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80)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 및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8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영역은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1 기판(101), 제1 기판(101)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 각각에 형성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소자(80),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기판(101)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151)과, 이 게이트 라인(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각 화소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210)는, 제1 전극(211)과, 이 제1 전극(211)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212)과, 이 유기 발광층(212) 상에 형성된 제2 전극(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211)이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애노드)이며, 제2 전극(213)이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캐소드)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제1 전극(211)이 음극이 되고, 제2 전극(213)이 양극이 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층(212)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축전 소자(80)는 절연층(1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유지전극(158, 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절연층(160)은 유전체가 된다. 축전 소자(80)에 축적된 전하와 한 쌍의 유지전극(158, 1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 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되고,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제1 유지전극(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210)의 유기 발광층(212)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1 전극(211)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과 연결된 제1 유지전극(158)에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제2 유지전극(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에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이 드레인 접촉구멍(contact hole)(181)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210)의 제1 전극(21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21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210)가 발광한다.
도 5와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구조를 더욱 설명한다.
본 일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1)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기판(101)은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기판(101) 위에 버퍼층(120)이 배치된다. 버퍼층(120)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버퍼층(120)이 반드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제1 기판(101)의 종류 및 공정 조건 등을 고려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120) 위에 구동 반도체층(132)이 배치된다. 구동 반도체층(132)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135)과, 채널 영역(135)의 양 옆으로 p+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을 포함한다.
구동 반도체층(132) 위에 게이트 절연막(140)이 배치된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구동 게이트 전극(155), 게이트 라인(도 6의 참조부호 151), 제1 유지전극(158)이 배치된다. 이때,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구동 반도체층(132)의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 채널 영역(135)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구동 반도체층(13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영역(136)과 드레인 영역(137)에 불순물을 도핑할 때 채널 영역(135)에 불순물이 도핑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층(160)은 게이트 절연막(140) 상에 구동 게이트 전극(155)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160)은 층간 절연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과 절연층(160)은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136, 137)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을 구비한다.
표시 영역(DA)에 절연층(160) 위에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 데이터 라인(171), 공통 전원 라인(172), 제2 유지전극(178)이 배치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접촉구멍을 통해 구동 반도체층(132)의 소스 영역(136) 및 드레인 영역(137)과 각각 연결된다.
절연층(160) 상에 구동 소스 전극(176), 구동 드레인 전극(177) 등을 덮는 보호막(passivation layer)(180)이 배치된다. 보호막(180)은 평탄화막일 수 있다.
보호막(180)은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드러내는 드레인 접촉구멍(181)을 구비한다. 보호막(180) 위에 제1 전극(211)이 배치되고, 이 제1 전극(211)은 보호막(180)의 드레인 접촉구멍(181)을 통해 구동 드레인 전극(177)에 연결된다.
보호막(180)에 제1 전극(211)을 덮는 화소 정의막(190)이 배치된다. 이 화소 정의막(190)은 제1 전극(211)을 드러내는 개구부(199)를 구비한다. 즉, 제1 전극(211)은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9)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9) 내에서 제1 전극(211) 위에 유기 발광층(212)이 배치되고, 화소 정의막(190) 및 유기 발광층(212) 상에 제2 전극(213)이 배치된다.
제1 전극(211)과 제2 전극(213) 중 어느 하나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반투과형 또는 반사형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11) 및 제2 전극(213)을 형성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전면 발광형, 배면 발광형 또는 양면 발광형이 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212)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13) 위에 캡핑층(23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캡핑층은 유기 발광 소자(210)를 보호하고, 유기 발광층(212)에서 발생된 광이 효율적으로 외부를 향해 방출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캡핑층(230)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250)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251, 253, 255) 및 하나 이상의 유기막(252, 254)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250)은 무기막(251, 253, 255)과 유기막(252, 254)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무기막(251)이 최하부에 배치된다. 즉, 무기막(251)이 유기 발광 소자(210)와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도 6에서 박막 봉지층(250)이 3개의 무기막(251, 253, 255)과 2개의 유기막(252, 254)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봉지층(250)은 10 ㎛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210)상에 박막 봉지층(250)이 배치되는 경우, 제2기판(미도시)이 생략될 수도 있다. 제2기판이 생략되는 경우 표시 패널(200)의 플렉서블 특성이 우수해진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빛샘 현상이 나타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만곡된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만곡된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하우징(610)과 충격 흡수 시트(620)는 생략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0)은 유기 발광 소자(210), 유기 발광 소자(210) 상부에 배치된 캡핑층(230), 및 캡핑층(230) 상부에 배치된 밀봉 기판(201)을 포함한다. 또한, 캡핑층(230)과 밀봉 기판(201) 사이에 공기층(700)이 배치될 수 있다.
밀봉 기판(201)은 유기 발광 소자(210) 등을 외부로부터 밀봉되도록 커버하여 보호한다. 밀봉 기판(201)은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화상이 밀봉 기판(201) 방향으로 구현되는 전면 발광인 경우에 밀봉 기판(201)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된다.
캡핑층(230) 상부에 밀봉 기판(201)이 배치되어 공기층(700)이 형성된 표시 장치의 경우, 저 굴절률을 갖는 공기층(700)과 고 굴절률을 갖는 캡핑층(230)의 계면에 전반사 경계(R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반사 광(r1, r2)이 전반사 경계(R1)에 반사되어 캡핑층(230)과 공기층(700) 사이에 갇혀서 윈도우 패널(300)에 도달하지 않으며, 전반사 광(r1, r2)으로 인한 빛샘이 시인되지 않는다.
반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캡핑층(230) 상에 박막 봉지층(250)이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경우, 전반사 경계(R2)가 윈도우 패널(300)의 표면과 표시 장치의 외부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반사 광(r3, r4)이 전반사 경계(R2)인 윈도우 패널(300)의 표면까지 도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윈도우 기판(310)의 표면까지 도달한 전반사 광(r3)은 전반사 경계(R2)에 의해 가이드(guide)되어 인쇄층(340)에 도달한다. 인쇄층(340)에 도달한 광(r3)은 백색 인쇄층인 제1 데코 인쇄층(341)에 의해 산란 및 출광되어 윈도우 패널(300)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빛샘(L)이 시인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빛샘 개선 효과를 더욱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광 경로 및 도광로(道光路) 두께(T1)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광 경로 및 도광로 두께(T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 기판(310)이 최외곽에 위치하며, 윈도우 기판(310)의 하측에 데코레이션 필름(35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기판(310), 제2 접착층(320), 기재 필름(330), 및 인쇄층(3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반면에,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코레이션 필름(350)이 최외곽에 위치하며, 데코레이션 필름(350)의 하측에 윈도우 기판(31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기재 필름(330), 인쇄층(340), 제2 접착층(320), 및 윈도우 기판(31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 비해 윈도우 기판(310)과 데코레이션 필름(350)이 반전된 구조를 가진다.
도 10 및 도 11에서, 인쇄층(340)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2개의 층, 제1 데코 인쇄층(341) 및 차광 인쇄층(343)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층 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빛샘 유발 경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생성되어 최외곽 광학 계면에서 전반사된다. 다음으로 전반사된 광이 인쇄층에 도달하여 인쇄층에서 산란된다. 마지막으로 산란된 광이 출광되는 경로를 거쳐 빛샘이 시인된다. 여기서, 최외곽 광학 계면과 인쇄층 사이의 거리는 도광로(道光路)의 두께(T)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최외곽 광학 계면은 윈도우 기판(310)의 표면이 되고,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광이 윈도우 기판(310)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되고 인쇄층(340), 구체적으로 제1 데코 인쇄층(341)에 도달한 후 산란되어 출광되는 경로를 거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빛샘 유발 도광로의 두께(T1)는 윈도우 기판(310)의 상부 표면에서 인쇄층(340) 표면까지의 두께의 합과 같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최외곽 광학 계면은 기재 필름(330)의 표면이 되고, 유기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광이 기재 필름(330)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되고 인쇄층(340), 구체적으로 제1 데코 인쇄층(341)에 도달한 후 산란되어 출광되는 경로를 거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에서 빛샘 유발 도광로의 두께(T2)는 기재 필름(330)의 상부 표면에서 인쇄층(340)까지의 두께인, 기재 필름(330)의 두께와 같다.
도 10과 도 11을 비교해 보면,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광로 두께가 작아지고(T1>T2), 최외곽 계면에서 전반사되어 인쇄층(340)에 도달하는 광량이 더 적어짐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빛샘 유발 도광로의 두께(T)가 작아질수록 인쇄층(340)에 도달하는 광량이 적어지고, 그에 따라 산란되어 출광되는 광량도 적어진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각각의 도광로 두께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비교한다.
도 12는 도 10의 C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D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윈도우 기판(310), 제2 접착층(320), 및 기재 필름(330)의 두께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12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도광로의 두께(T1)는 윈도우 기판(310) 두께 550 ㎛, 제2 접착층(320) 두께 25 ㎛, 및 기재 필름(330) 두께 50 ㎛의 합인 625 ㎛이 된다.
도 1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유발 도광로의 두께(T2)는 기재 필름(330) 두께인 50 ㎛이 된다.
도 12와 도 13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광로 두께(T1, 625㎛)에 비해 8% 정도로 감소된 도광로 두께(T2, 50 ㎛)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 기판(310)과 데코레이션 필름(350)의 위치가 반전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인쇄층(340)이 최외곽에 가깝게 배치되어 빛샘 유발 도광로의 두께가 작아지고 인쇄층(340)에 유입되어 산란되는 광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빛샘 현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광학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4(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빛샘을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NDA)에서 빛샘을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인쇄층(340)에 도달하여 산란 및 출광되어 시인되는 빛샘(L1)의 양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b)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인쇄층(340)에서 산란 및 출광되어 시인되는 빛샘(L2)의 양이 상당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래프는 빛샘 발생 영역, 즉 비표시 영역(NDA)의 상측면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 상대 휘도(relative luminance, %)를 측정한 것이다. X축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의 거리(mm)를 나타내며, Y축은 빛샘(상대 휘도, %)을 나타낸다. 도 14에서와 같이, 그래프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측정한 값이고, 그래프 (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측정한 값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최대 빛샘(%)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의 거리 0.55 mm에서 100%인데 비해,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은 약 2%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의 최대 빛샘(%)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의 거리 0 mm에서 17%이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최대 빛샘(%)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83%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 장치의 최대 빛샘 발생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빛샘은 98%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단차 보상층을 더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다른 구성만이 설명되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단차 보상층(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코레이션 필름(350) 하면에 인쇄층(340)을 덮도록 단차 보상층(38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단차 보상층(380)은 표시 영역(DA)에서 기재 필름(330) 하면에 배치되며 비표시 영역(NDA)에서 인쇄층(340)을 덮도록 배치된다.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면(BL)에서 인쇄층(340)의 내측면과 단차 보상층(380)의 측면은 서로 접촉된다.
단차 보상층(380)과 윈도우 기판(310) 사이에 제2 접착층(320)이 배치된다. 단차 보상층(380)과 윈도우 기판(310)은 제2 접착층(320)에 의해 부착된다. 즉, 단차 보상층(380)은 제2 접착층(320)과 서로 접촉된다.
제2 접착층(320)이 데코레이션 필름(350)과 바로 접촉되는 경우, 제2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 부재가 기재 필름(330)의 하면과 인쇄층(340)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경계 영역(BA)에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수직 경계 영역(BA)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접착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수직 경계 영역(BA)에서 접착 불량이 발생되는 이유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인쇄층(340)의 두께에 의해 인쇄층(340)과 기재 필름(330) 간의 단차 때문이다.
단차 보상층(38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면(BL)에서 인쇄층(340)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수직 경계 영역(BA)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수직 경계 영역(BA)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인쇄층(340)에 따른 단차에 의한 불량이 개선될 수 있다.
단차 보상층(380)은 광 경화형 수지인 레진일 수 있다. 레진에 미량 포함된 광 개시제가 광, 예를 들어 자외선(UV)을 받으면 광중합 반응이 개시되어 수지의 주성분인 단량체(monomer)와 올리고머(oligomer)가 순간적으로 중합체(polymer)를 이루어 경화될 수 있다. 단차 보상층(380)은 투명한 광경화형 레진이 바람직하나, 투명하다면 그 종류에 제한은 없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3에서 전술한 표시 장치에 비해 접착 보조층을 더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명세서의 간결성을 위해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접착 보조층(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보조층(322)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인쇄층(340) 상에 배치되고, 접착 보조층(322)은 제2 접착층(320)과 서로 접촉된다. 접착 보조층(322)은 인쇄층(340) 및 제2 접착층(320)의 물질과 공유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인쇄층(340)과 제2 접착층(320)간의 계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 보조층(322)은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고무계 중합체, 광개시제,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UV 등의 광에 의해 경화되며, 인쇄층(340)과 제2 접착층(320)간의 계면 결합에 대한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다. 광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인쇄층(340) 상에 접착 보조층(322)이 용이하게 코팅되도록 접착 보조층(322)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고무계 중합체는 접착 보조층(322)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광개시제는 광에 의해 여기 되어 광경화를 개시하는 역할을 하며, 실란 커플링제는 인쇄층(340) 및 제2 접착층(320)의 물질과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예를 포함할 수 있다.
1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2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80: 축전 소자 101: 제1 기판
120: 버퍼층 131: 스위칭 반도체층
132: 구동 반도체층 135: 채널 영역
136: 소스 영역 137: 드레인 영역
140: 게이트 절연막 151: 게이트 라인
152: 스위칭 게이트 전극 155: 구동 게이트 전극
158: 제1 유지전극 160: 절연층
171: 데이터 라인 172: 공통 전원 라인
173: 스위칭 소스 전극 174: 스위칭 드레인 전극
176: 구동 소스 전극 177: 구동 드레인 전극
178: 제2 유지전극 180: 보호막
181: 드레인 접촉구멍 190: 화소 정의막
199: 개구부 200: 표시 패널
201: 밀봉 기판 210: 유기 발광 소자
211: 제1 전극 212: 유기 발광층
213: 제2 전극 230: 캡핑층
250: 박막 봉지층 300: 윈도우 패널
310: 윈도우 기판 311: 윈도우 가장자리
320: 제2 접착층 322: 접착 보조층
330: 기재 필름 340: 인쇄층
341: 제1 데코 인쇄층 342: 제2 데코 인쇄층
343: 차광 인쇄층 350: 데코레이션 필름
370: 하드 코팅층 380: 단차 보상층
400: 편광판 500: 제1 접착층
610: 하우징 620: 충격 흡수 시트
700: 공기층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PX: 화소 영역 NPX: 비화소 영역
R1, R2: 전반사 경계 r1, r2, r3, r4: 전반사 광
L, L1, L2: 빛샘 T, T1, T2: 도광로 두께
10: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2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80: 축전 소자 101: 제1 기판
120: 버퍼층 131: 스위칭 반도체층
132: 구동 반도체층 135: 채널 영역
136: 소스 영역 137: 드레인 영역
140: 게이트 절연막 151: 게이트 라인
152: 스위칭 게이트 전극 155: 구동 게이트 전극
158: 제1 유지전극 160: 절연층
171: 데이터 라인 172: 공통 전원 라인
173: 스위칭 소스 전극 174: 스위칭 드레인 전극
176: 구동 소스 전극 177: 구동 드레인 전극
178: 제2 유지전극 180: 보호막
181: 드레인 접촉구멍 190: 화소 정의막
199: 개구부 200: 표시 패널
201: 밀봉 기판 210: 유기 발광 소자
211: 제1 전극 212: 유기 발광층
213: 제2 전극 230: 캡핑층
250: 박막 봉지층 300: 윈도우 패널
310: 윈도우 기판 311: 윈도우 가장자리
320: 제2 접착층 322: 접착 보조층
330: 기재 필름 340: 인쇄층
341: 제1 데코 인쇄층 342: 제2 데코 인쇄층
343: 차광 인쇄층 350: 데코레이션 필름
370: 하드 코팅층 380: 단차 보상층
400: 편광판 500: 제1 접착층
610: 하우징 620: 충격 흡수 시트
700: 공기층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PX: 화소 영역 NPX: 비화소 영역
R1, R2: 전반사 경계 r1, r2, r3, r4: 전반사 광
L, L1, L2: 빛샘 T, T1, T2: 도광로 두께
Claims (20)
-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위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1접착층;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데코레이션 필름(decoration film)을 포함하며,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재 필름(base film),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인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 하면에 상기 인쇄층을 도포하도록 배치된 단차 보상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과 상기 데코레이션 필름 사이에 제2접착층이 배치된 표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2접착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하면에 배치된 접착보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보조층은 상기 제2접착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제1데코 인쇄층, 및 상기 제1데코 인쇄층 상에 배치된 차광 인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인쇄층은 상기 제2접착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코 인쇄층은 백색 인쇄층인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인쇄층은 흑색 인쇄층인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차광 인쇄층과 상기 제1데코 인쇄층 사이에 배치된 제2 데코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코 인쇄층은 펄 안료를 포함하고 투명색을 갖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상에 적층된 캡핑층; 및
상기 캡핑층 상에 적층된 박막봉지층(TFE; thin film encapsulation)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적층되어 상기 윈도우 기판을 향하는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윈도우 패널 사이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상에 적층된 터치 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패널인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412A KR102642398B1 (ko) | 2015-06-22 | 2015-06-22 | 표시 장치 |
US15/009,669 US9921414B2 (en) | 2015-06-22 | 2016-01-28 | Display device |
CN201610364915.XA CN106257680B (zh) | 2015-06-22 | 2016-05-30 | 显示设备 |
CN202210942120.8A CN115312674A (zh) | 2015-06-22 | 2016-05-30 | 显示设备 |
KR1020240027202A KR20240031991A (ko) | 2015-06-22 | 2024-02-26 |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412A KR102642398B1 (ko) | 2015-06-22 | 2015-06-22 | 표시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27202A Division KR20240031991A (ko) | 2015-06-22 | 2024-02-26 |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030A true KR20170000030A (ko) | 2017-01-02 |
KR102642398B1 KR102642398B1 (ko) | 2024-02-29 |
Family
ID=575884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412A KR102642398B1 (ko) | 2015-06-22 | 2015-06-22 | 표시 장치 |
KR1020240027202A KR20240031991A (ko) | 2015-06-22 | 2024-02-26 | 표시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27202A KR20240031991A (ko) | 2015-06-22 | 2024-02-26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921414B2 (ko) |
KR (2) | KR102642398B1 (ko) |
CN (2) | CN115312674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31785A1 (ko) * | 2017-01-12 | 2018-07-19 |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KR20190031398A (ko) * | 2017-09-15 | 2019-03-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WO2019146874A1 (ko) * | 2018-01-26 | 2019-08-01 | 삼성에스디아이(주) | 배터리 팩 및 그의 라벨 부착 방법 |
US10620756B2 (en) | 2015-07-13 | 2020-04-1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
US10991769B2 (en) | 2018-10-31 | 2021-04-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having a color filter layer |
US11169629B2 (en) | 2018-09-18 | 2021-11-09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11327609B2 (en) | 2018-04-26 | 2022-05-10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2085797B2 (en) | 2019-10-17 | 2024-09-10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49925B (zh) * | 2015-06-11 | 2017-10-1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
KR102642398B1 (ko) * | 2015-06-22 | 2024-02-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656141B1 (ko) * | 2016-12-23 | 2024-04-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2018116137A (ja) * | 2017-01-18 | 2018-07-26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80098466A (ko) * | 2017-02-25 | 2018-09-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코너가 둥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KR102522575B1 (ko) * | 2017-09-13 | 2023-04-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윈도우 부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US10985344B2 (en) | 2017-10-27 | 2021-04-20 | Applied Materials, Inc. | Flexible cover lens films |
KR20200142594A (ko) | 2018-05-10 | 2020-12-22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교체가능한 커버 렌즈 |
CN112601835A (zh) | 2018-08-14 | 2021-04-02 | 应用材料公司 | 用于柔性覆盖透镜的多层湿法-干法硬涂层 |
KR102715075B1 (ko) | 2018-10-12 | 2024-10-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713989B1 (ko) * | 2018-11-19 | 2024-10-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2659189B1 (ko) * | 2018-11-27 | 2024-04-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EP3739427B1 (en) * | 2019-03-29 | 2022-04-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coating for protecting window |
CN118522220A (zh) | 2019-06-26 | 2024-08-20 | 应用材料公司 | 可折叠显示器的柔性多层覆盖透镜堆叠 |
CN110416432B (zh) | 2019-07-31 | 2021-12-1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oled面板的制备方法、oled面板及oled装置 |
CN111261063B (zh) * | 2020-03-31 | 2021-07-06 |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KR20210138831A (ko) * | 2020-05-12 | 2021-11-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11754870B (zh) * | 2020-06-22 | 2022-05-27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N111740030B (zh) * | 2020-06-30 | 2022-11-08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
WO2023191282A1 (ko) * | 2022-03-29 | 2023-10-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강성을 보강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5381B1 (ko) * | 2009-07-01 | 2010-03-08 | 강용호 | 모바일기기 표시창용 아이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표시창 및 모바일기기 |
KR20100112412A (ko) * | 2009-04-09 | 2010-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WO2013057850A1 (ja) * | 2011-10-20 | 2013-04-25 | 株式会社フジクラ | ディスプレイ装置用加飾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40064349A (ko) * | 2012-11-20 | 2014-05-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발광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
KR20140071093A (ko) * | 2012-12-03 | 2014-06-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KR20140101601A (ko) * | 2013-02-12 | 2014-08-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 표시 장치 |
KR20150027910A (ko) * | 2013-09-04 | 2015-03-13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3117B1 (ko) * | 2007-04-10 | 2009-02-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
KR20100086533A (ko) | 2009-01-23 | 2010-08-02 | 남동식 | 터치스크린 패드의 제조방법 |
KR20100132173A (ko) * | 2009-06-09 | 2010-1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바이스들의 연결 관계 및 배치 상태가 나타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
KR101271521B1 (ko) | 2009-11-23 | 2013-06-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소자 |
KR101662320B1 (ko) * | 2010-04-15 | 2016-10-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중 표면 처리된 사출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142715A (ko) * | 2012-06-20 | 2013-12-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057583B1 (ko) * | 2012-10-08 | 2019-12-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KR20140066452A (ko) * | 2012-11-23 | 2014-06-0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입력 장치 |
TW201426444A (zh) * | 2012-12-27 | 2014-07-01 | Wintek Corp | 觸控顯示裝置 |
KR101536651B1 (ko) | 2013-05-20 | 2015-07-15 | (주)삼원에스티 | 투명 윈도우 제조방법 및 투명 윈도우 |
KR102224824B1 (ko) * | 2014-05-30 | 2021-03-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Ito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
USD769291S1 (en) * | 2014-12-31 | 2016-10-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US9578149B2 (en) * | 2015-02-06 | 2017-02-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with bent area |
KR102416017B1 (ko) * | 2015-06-15 | 2022-07-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642398B1 (ko) * | 2015-06-22 | 2024-02-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342596B1 (ko) * | 2015-06-26 | 2021-12-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410265B1 (ko) * | 2015-07-13 | 2022-06-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
2015
- 2015-06-22 KR KR1020150088412A patent/KR10264239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1-28 US US15/009,669 patent/US9921414B2/en active Active
- 2016-05-30 CN CN202210942120.8A patent/CN115312674A/zh active Pending
- 2016-05-30 CN CN201610364915.XA patent/CN106257680B/zh active Active
-
2024
- 2024-02-26 KR KR1020240027202A patent/KR20240031991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12412A (ko) * | 2009-04-09 | 2010-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0945381B1 (ko) * | 2009-07-01 | 2010-03-08 | 강용호 | 모바일기기 표시창용 아이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표시창 및 모바일기기 |
WO2013057850A1 (ja) * | 2011-10-20 | 2013-04-25 | 株式会社フジクラ | ディスプレイ装置用加飾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40064349A (ko) * | 2012-11-20 | 2014-05-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발광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
KR20140071093A (ko) * | 2012-12-03 | 2014-06-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KR20140101601A (ko) * | 2013-02-12 | 2014-08-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 표시 장치 |
KR20150027910A (ko) * | 2013-09-04 | 2015-03-13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20756B2 (en) | 2015-07-13 | 2020-04-1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
WO2018131785A1 (ko) * | 2017-01-12 | 2018-07-19 |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KR20180083171A (ko) * | 2017-01-12 | 2018-07-20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KR20190031398A (ko) * | 2017-09-15 | 2019-03-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커버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WO2019146874A1 (ko) * | 2018-01-26 | 2019-08-01 | 삼성에스디아이(주) | 배터리 팩 및 그의 라벨 부착 방법 |
KR20190091094A (ko) * | 2018-01-26 | 2019-08-0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및 그의 라벨 부착 방법 |
US11557819B2 (en) | 2018-01-26 | 2023-01-1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and label attaching method thereof |
US11327609B2 (en) | 2018-04-26 | 2022-05-10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1169629B2 (en) | 2018-09-18 | 2021-11-09 | Samsung Display Co., Ltd. |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10991769B2 (en) | 2018-10-31 | 2021-04-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having a color filter layer |
US12085797B2 (en) | 2019-10-17 | 2024-09-10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257680B (zh) | 2022-08-26 |
KR20240031991A (ko) | 2024-03-08 |
US20160372701A1 (en) | 2016-12-22 |
CN115312674A (zh) | 2022-11-08 |
CN106257680A (zh) | 2016-12-28 |
KR102642398B1 (ko) | 2024-02-29 |
US9921414B2 (en) | 2018-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2398B1 (ko) | 표시 장치 | |
KR102342596B1 (ko) | 표시 장치 | |
EP270419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7554251B2 (ja) | 表示装置 | |
KR102416017B1 (ko) | 표시 장치 | |
US20170344053A1 (en) | Display device | |
US9812513B2 (en)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50007872A (ko) | 곡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 |
TW201511951A (zh) | 顯示裝置 | |
KR20160119374A (ko)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JP2010243930A (ja) | 電気光学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 |
KR102488080B1 (ko) | 표시 장치 | |
JP7564084B2 (ja) |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
KR20220126261A (ko)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210081603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10079786A (ko) | 전계 발광 표시 장치 | |
CN218004860U (zh) | 显示面板 | |
JP2016219199A (ja) |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 |
KR20220136186A (ko) | 반도체 장치, 표시장치, 광전변환 장치, 전자기기, 조명 장치, 이동체,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220048884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00031034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