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024U - 케이블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024U
KR20170000024U KR2020150004194U KR20150004194U KR20170000024U KR 20170000024 U KR20170000024 U KR 20170000024U KR 2020150004194 U KR2020150004194 U KR 2020150004194U KR 20150004194 U KR20150004194 U KR 20150004194U KR 20170000024 U KR20170000024 U KR 201700000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able
present
fixing mechanism
cab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아라
Original Assignee
(주)에코스킨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스킨팩토리 filed Critical (주)에코스킨팩토리
Priority to KR2020150004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024U/ko
Publication of KR20170000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이나 마우스 선 등 다양한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기구를 위하여,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제1홈과 상기 제1홈에서 이격된 제2홈을 포함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상기 제2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임의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기구{Cable holder}
본 고안은 케이블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고정기구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각종 가전제 품들의 배선등과 같은 케이블을 단정하게 묶어주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산업현장에서의 케이블 정리는 케이블의 접속부분을 보호하는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수리 및 재정비 등을 위한 단정한 정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고정기구는 다수의 케이블이 서로 엉킨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 케이블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케이블의 온전한 접속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한편, 보다 단정한 외관을 갖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케이블 타이는 통상적으로 케이블 등을 정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띠 형상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되며 걸림턱이 고정되는 고정턱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케이블 타이는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가전제품들의 배선 등과 같은 케이블을 단정하게 정리할 수 있기는 하나, 다양한 가전제품들의 케이블들을 모아 묶은 상태로 고정하기 때문에 특정 가전제품에 대한 케이블의 구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케이블 교체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모든 케이블 타이(100)를 해제하여야 하므로 교체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 타이는 일회성의 상품으로 재활용이 안되기 때문에 반친환경적인 제품이고, 특히 케이블의 정리가 완료된 후, 여분의 몸체부를 절단하여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어폰이나 마우스 선 등 다양한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제1홈과 상기 제1홈에서 이격된 제2홈을 포함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상기 제2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임의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제2홈은 입구보다 내부가 넓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2홈에 삽입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와 상기 부착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보다 얇은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는 일면에 점착성재질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는 흡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홈은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이나 마우스 선 등 다양한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기구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는 홀더부재(100), 연결부재(200) 및 부착부재(300)를 포함한다.
홀더부재(100)는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부재(100)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제1홈(110)과, 제1홈(110)에서 이격된 제2홈(121)을 포함한다. 그리고 홀더부재(10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홀더부재(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상과 원기눙 형상이 합쳐진 형태의 몸체(101)를 포함하거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원판 형상의 몸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홀더부재(100)의 몸체(101)는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의 입체도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삼각 또는 사각형 등 다각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몸체(101)는 제1홈(110)에 케이블을 삽입 및 탈거하기 위하여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홈(110)은 홀더부재(100)의 몸체(101)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홈(110)은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더부재(100)의 몸체(10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1홈(110)은 개방된 양단 사이가 개방되거나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홈(110)은 몸체(101)에 길게 파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홈(110)에 삽입된 케이블이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홈(110)은 입구보다 내부가 넓을 수 있다. 특히, 제1홈(110)의 입구는 케이블의 두께보다 좁을 수 있다.
제2홈(121)은 홀더부재(100)의 몸체(101)에 형성되며, 후술할 연결부재(20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제2홈(1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제2홈(1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홈(121)은 입구보다 내부가 넓을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200)는 제2홈(121)에 삽입되는 헤드(210)와, 헤드(210)와 전술한 부착부재(300)를 연결하며 헤드(210)보다 얇은 연결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홈(121)은 몸체(101)의 내부에 형성된 구형의 빈 공간과, 구형의 빈 공간과 몸체(101)의 외부를 연결하는 원 통상의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제2홈(121)의 형상에 대응하여, 구형의 헤드(210)와, 원기둥의 연결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연결부재(200)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홈(121)은 제1홈(110)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홈(110)과 제2홈(121)은 몸체(101)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대편, 즉 대략 180ㅀ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홈(110)과 제2홈(121)은 몸체(101)부의 중심을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룰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00)는 홀더부재(100)에 결합되었을 때 인위적으로 소정의 힘이 가해져야 홀더부재(100)와 분리될 수 있다.
부착부재(300)는 연결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부재(300)는 연결부재(200)의 연결바(220)와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바(220)는 부착부재(300)와 헤드(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재(300)는 홀더부재(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재(300)는 임의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표면은 테이블, 스마트폰 또는 벽면 등 케이블이 지나가는 임의의 물체의 표면일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재(300)는 일면에 점착성재질의 패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재(300)는 연결바(220)와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일면에 구비된 갤패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일면에 연결바(220)가 결합되고, 타면에 갤패드(320)가 구비될 수 있다.
부착부재(300)가 임의의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홀더부재(100)는 임의의 표면에 서 있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블을 임의의 표면상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재(300)는 필요에 따라 점착된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재(100)는 연결부재(200)에 의해 부착부재(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케이블의 연장 방향에 관계없이 부착부재(300)를 임의의 표면에 고정한 다음에, 홀더부재(100)를 케이블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게 회전시켜, 케이블을 홀더부재(100)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향에 관계없이 부착부재(300)를 임의의 표면에 고정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착부재는 흡착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착부재는 갤패드(320) 대신에 흡착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흡착부재가 갤패드(32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흡착판(33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보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흡착판(330)은 외력에 의해 눌러져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간 후, 탄성력에 의해 내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상태가 되어 전술한 임의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블 고정기구는 흡착판(330)에 의해 임의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흡착판(33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갤패드(320)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는 흡착판(330)을 포함하여, 임의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부재(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형상이 다른 제2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홈(122)은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즉, 제2홈(122)은 제1홈(110)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홈(122)은 몸체(101)에 길게 파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홈(122)에 삽입된 케이블이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홈(122)은 입구보다 내부가 넓을 수 있다.
여기서 제2홈(122)은 몸체(101)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홈(11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홀더부재(100)를 연결부재(200) 및 부착부재(300)에서 분리하여 케이블을 감아 휴대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은 이어폰 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는 홀더부재(100), 연결부재(200) 및 부착부재(300)가 결합되었을 때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고, 분리되었을 때 휴대용 케이블 수납도구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기구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를 높힐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홀더부재 101: 몸체
110: 제1홈 121, 122: 제2홈
200: 연결부재 210: 헤드
220: 연결바 300: 부착부재
310: 베이스 플레이트 320: 갤패드
330: 흡착판

Claims (5)

  1.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제1홈과, 상기 제1홈에서 이격된 제2홈을 포함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홀더부재,
    상기 제2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임의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
    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제2홈은 입구보다 내부가 넓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2홈에 삽입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와 상기 부착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보다 얇은 연결바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기구.
  3. 제1항에서,
    상기 부착부재는 일면에 점착성재질의 패드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기구.
  4. 제1항에서,
    상기 부착부재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기구.
  5. 제1항에서,
    상기 제2홈은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 단부가 개방되는, 케이블 고정기구.
KR2020150004194U 2015-06-23 2015-06-23 케이블 고정기구 KR201700000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194U KR20170000024U (ko) 2015-06-23 2015-06-23 케이블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194U KR20170000024U (ko) 2015-06-23 2015-06-23 케이블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24U true KR20170000024U (ko) 2017-01-02

Family

ID=5779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194U KR20170000024U (ko) 2015-06-23 2015-06-23 케이블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02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998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엑스 케이블 홀더
KR102577846B1 (ko) * 2023-06-07 2023-09-13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엑스 케이블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998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엑스 케이블 홀더
KR102577846B1 (ko) * 2023-06-07 2023-09-13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엑스 케이블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08149A1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US20150187460A1 (en) Wire and Cable Management Device
US9544670B2 (en) Covered housing
US20140014787A1 (en) Cable organizer structure
KR20170000024U (ko) 케이블 고정기구
JP2015225935A (ja) 電線固定具
JP2011139435A (ja) ステレオヘッドホン、ステレオヘッドホン用スライダおよびステレオヘッドホンの折り畳み方法
CN205619515U (zh) 空调器及其麦克风组件
JP2014220964A (ja) 電線保護部材、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CN104061368A (zh) 线夹
CN207967603U (zh) 一种配电箱
CN207064838U (zh) 一种软管固定装置
KR200259384Y1 (ko) 전선 고정구
CN206003642U (zh) 一种用于电气自动化设备的脚踏开关
EP3113506B1 (en) Earphone with channel for cord management
US20120306194A1 (en) Pipe connection block
US20160157005A1 (en) Earphone cord management strap
KR20140004185U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커플러
KR101776950B1 (ko) 전선 안내덕트
US10257599B2 (en) Slack and strain control mechanism
US20160029113A1 (en) Wire organizer
JP5988487B2 (ja) アタッチメント、電線カバーの間接取付方法、および電線カバーモジュール
JP3211113U (ja) 案内式電源コネクタ
US20150358713A1 (en) Earbud cable management device
JP2016072944A (ja) イヤホンコード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