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846B1 - 케이블 홀더 - Google Patents
케이블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7846B1 KR102577846B1 KR1020230072821A KR20230072821A KR102577846B1 KR 102577846 B1 KR102577846 B1 KR 102577846B1 KR 1020230072821 A KR1020230072821 A KR 1020230072821A KR 20230072821 A KR20230072821 A KR 20230072821A KR 102577846 B1 KR102577846 B1 KR 1025778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base
- connection
- coupling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5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면의 반대편인 하면에 연결되어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고,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될 수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컴퓨터 주변기기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컴퓨터 주변기기의 케이블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홀더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키보드와 함께 대표적인 컴퓨터의 주변기기로써, 모니터의 화면에 출력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러한 마우스는 케이블을 갖는 유선 마우스, 케이블을 갖지 않는 무선 마우스 등으로 나뉘어진다.
유선 마우스는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은 마우스의 전면부에 위치되어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고, 2개 내지 3개의 버튼들은 마우스의 전면부 상면에 위치된다. 또한, 마우스의 하면에는 볼 또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가 위치된다.
특히, 유선 마우스에서 케이블은 1m 내지 1.2m의 길이를 가지면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고, 마우스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면서 늘어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와 컴퓨터 본체가 책상 또는 테이블 상에 위치되는 경우, 케이블은 고정되지 않는 상태에서 책상 또는 테이블에 접촉되기도 하고,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기도 한다. 이러한 상태로 마우스가 장시간 동안 사용되면,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기도 한다. 특히, e스포츠, 온라인 게임, 그래픽 작업 등과 같이 민감한 마우스의 감도가 필요한 경우, 마우스는 케이블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오작동되기도 하여, 만족스럽지 않는 작업 결과가 유발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케이스 홀더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 주변기기, 특히, 마우스의 케이블과 다른 물품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케이블 홀더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우스가 움직일 때 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소시키고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케이블 홀더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우스를 증가된 움직임 범위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케이블 홀더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면의 반대편인 하면에 연결되어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고,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될 수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원통 형상의 연결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연결 공간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원 형상의 연결 개구가 형성되며, 연결 공간의 상단 부분에는 연결 공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판 형상의 커버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 및 각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호 간에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몸체의 외주면 상단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베이스 보조체를 포함하되, 베이스 몸체의 상면과 베이스 보조체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중공을 갖는 볼 베어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 공간에 수용되는 회전 유도체; 및 베이스 몸체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베이스 몸체의 하면에 위치되어 회전 몸체에 연결되고, 몸체부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되, 연결 몸체는 베이스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의 상면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한 쌍의 연결 유도체가 돌출 형성되며, 연결 유도체는 연결 개구를 통해 회전 유도체의 중공에 삽입되어 회전 도체에 결합되고, 연결 몸체의 상면은 베이스 몸체의 하면에 접촉되며, 연결 몸체는 연결 유도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에는 연결 몸체의 외주면 하단 부분을 관통하도록 결합 공간이 형성되고, 연결 몸체의 하면에는 결합 공간에 연결되도록 결합 공간을 따라 결합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부는, 결합 공간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되도록 양종단면을 관통한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장착 공간을 따라 장착 공간에 연결되도록 장착 개구가 형성된 장착 몸체; 장착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외주면에서 장착 개구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 몸체; 및 각각 장착 몸체의 외주면에서 결합 유도체의 양측면을 연결하도록 장착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 한 쌍의 결합 보조체를 포함하되, 장착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이 결합 공간에 삽입될 때, 결합 몸체는 결합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결합 보조체는 결합 공간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케이블이 장착 개구를 통과할 때, 장착 개구의 폭이 증가하도록 몸체부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커버 공간에 삽입되어 커버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는 베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회전 유도체가 연결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베이스 커버는 커버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어 회전 유도체의 상측에 위치되며, 각각의 베이스 보조체의 상면에는 판 형상으로 보조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보조 공간은 커버 공간에 연결되며, 보조 공간의 하면은 커버 공간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베이스 커버가 커버 공간의 하면에 위치될 때, 베이스 커버의 상면은 보조 공간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홀더는,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접착성을 갖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베이스부가 설치부에 의해 모니터의 하측 부분에 고정되며, 케이블이 몸체부를 관통하고, 몸체부가 연결부에 결합되어, 케이블은 모니터가 설치된 물품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거나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홀더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케이블 홀더가 마우스의 케이블과 다른 물품의 접촉을 최소화되도록 한다.
(2) 마우스가 움직일 때 케이블 홀더는 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3) 케이블 홀더는 마우스를 증가된 이동 범위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를 모니터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를 모니터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100)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100)를 모니터(10)에 설치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홀더(100)는 베이스부(101), 연결부(102), 몸체부(103) 및 설치부(104)를 포함하되,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10)에 부착되고,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면서 책상 또는 테이블에 위치되어 사용되는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컴퓨터 주변기기의 케이블(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케이블 홀더(100)는 상대적으로 많은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마우스의 케이블(2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케이블(20)을 모니터(10)가 위치되는 책상 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부(101)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10)에 위치되어 책상 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1)의 상면은 모니터(10), 특히 모니터(10)의 하측 부분에 접촉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1)는 베이스 몸체(111), 베이스 보조체(113) 및 베이스 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1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연결 공간(110), 연결 개구(111') 및 커버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공간(110)은 베이스 몸체(111)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몸체(111)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개구(111')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몸체(11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어, 베이스 몸체(111)의 하면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개구(111')의 내경은 연결 공간(11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커버 공간(111")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베이스 몸체(111)에서 연결 공간(110)의 상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공간(111")의 내경은 연결 공간(11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베이스 보조체(1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베이스 보조체(113)는 상호 간에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 몸체(111)의 외주면 상단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이스 보조체(113)들은 베이스 몸체(111)를 기준으로 대칭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몸체(111)의 상면과 베이스 보조체(113)들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보조체(113) 각각의 상면에는 보조 공간(113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공간(113')은 베이스 보조체(113)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공간(1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공간(113')의 하면은 커버 공간(111")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115)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공간(110)을 폐쇄하도록 베이스 몸체(111)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커버(115)는 커버 공간(111")에 삽입되어 커버 공간(111")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커버(115)의 상면은 베이스 몸체(111)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보조 공간(113')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01)의 상면에는 커버 공간(111") 및 보조 공간(113')을 연결하여 조합한 고정 공간(101')이 형성되고, 고정 공간(101')의 하면은 베이스 커버(115)와 보조 공간(113')의 하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02)는 베이스부(101)의 상면의 반대편인 하면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102)는 베이스부(101)의 베이스 몸체(111)의 하면에 위치되고 베이스 몸체(11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2)는 회전 유도체(121) 및 연결 몸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유도체(121)는 중공(121')을 갖는 볼 베어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 공간(110)에 수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유도체(121)는 연결 공간(110)의 하면 상에 위치되고, 중공(121')은 연결 개구(111")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커버(115)가 커버 공간(111")에 위치되어 연결 공간(110)을 폐쇄할 때, 회전 유도체(121)는 연결 공간(110)에 수용된 상태로 베이스 커버(115)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유도체(121)는 볼 베어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외륜 부분, 내륜 부분 및 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유도체(121)의 내륜 부분 및 외륜 부분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이한 내경을 갖는다. 회전 유도체(121)의 내륜 부분은 회전 유도체(121)의 외륜 부분의 내측에서 회전 유도체(121)의 외륜 부분과 동일한 중심에 위치되고, 중공(12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유도체(121)의 볼(ball) 부분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회전 유도체(121)의 외륜 부분과 내륜 부분 사이에서 회전 유도체(121)의 외륜 부분 및 내륜 부분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유도체(121)가 연결 공간(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 유도체(121)의 외륜 부분은 연결 공간(11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회전 유도체(121)의 내륜 부분은 연결 공간(110)에서 회전될 수 있다.
연결 몸체(123)는 베이스 몸체(111)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회전 유도체(121)에 연결되어 베이스 몸체(111)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몸체(123)는 회전 유도체(121)와 조합하여 베이스 몸체(11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될 몸체부(103)는 연결 몸체(123)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23)에는 결합 공간(123'), 결합 개구(123") 및 연결 유도체(123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공간(123')은 연결 몸체(123)의 외주면 하단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20)은 결합 공간(123')에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결합 개구(123")는 연결 몸체(123)의 하면에서 결합 공간(123')에 대응하는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결합 공간(123')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결합 개구(123")는 결합 공간(123')의 양종단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20)은 결합 개구(123")를 통과하여 결합 공간(123')에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결합 개구(123")를 통과할 때 연결 몸체(123)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 유도체(123a)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연결 몸체(12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유도체(123a)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대칭으로 위치될 수 있고, 각각 회전 유도체(121)의 중공(121')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유도체(121)가 베이스 몸체(111)의 연결 공간(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연결 유도체(123a)는 연결 개구(111')를 통과하여 회전 유도체(121)의 중공(121')에 삽입되어 회전 유도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유도체(123a)가 회전 유도체(121)에 결합될 때, 연결 몸체(123)의 상면은 베이스 몸체(11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몸체(123)는 연결 유도체(123a)를 축으로 하여 연결 유도체(123a)와 함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유도체(121)의 내륜 부분도 회전될 수 있다.
몸체부(103)는 연결부(102)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되, 연결부(102)의 연결 몸체(123)에 형성된 결합 공간(123') 및 결합 개구(123")에 삽입되어 연결 몸체(12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20)은 몸체부(103)에 삽입되어 몸체부(103)를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20)이 몸체부(103)를 관통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부(103)는 결합 공간(123')에 삽입되어 연결부(102)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03)는 고무, 실리콘(silicone)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3)는 장착 몸체(131), 결합 유도체(133) 및 결합 보조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몸체(131)는 결합 공간(123')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몸체(131)의 제 1 종단 부분은 결합 공간(12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몸체(131)는 결합 공간(123')을 따른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몸체(131)에는 장착 공간(131') 및 장착 개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공간(131')은 장착 몸체(131)의 양종단면을 관통하도록 장착 몸체(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 몸체(131)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장착 공간(131')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장착 공간(13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장착 개구(131")는 장착 몸체(131)의 외주면에서 장착 공간(131')을 따라 형성되고 장착 공간(131')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장착 개구(131")는 장착 공간(131')의 양종단면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장착 개구(131")를 통과한 이후에 장착 공간(131')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결합 유도체(133)는 장착 몸체(131)의 제 1 종단 부분의 외주면에서 장착 개구(131")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유도체(133)는 장착 몸체(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 몸체(131)에 위치될 수 있다.
장착 몸체(131)의 제 1 종단 부분이 결합 공간(123')에 삽입될 때, 결합 유도체(133)는 결합 개구(12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유도체(133)의 양측면은 결합 개구(123")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고, 장착 개구(131")의 일부는 결합 공간(123')의 내측면과 마주하여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유도체(133)의 폭은 결합 개구(123")의 폭보다 크고, 결합 유도체(133)는 결합 개구(123")에 삽입되어 압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착 몸체(131)는 결합 공간(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결합 보조체(135)는 장착 몸체(131)의 외주면에서 결합 유도체(133)의 양측면을 연결하도록 장착 몸체(13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유도체(133)는 장착 몸체(131)의 외측면에서 결합 보조체(135)보다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몸체(131)의 제 1 종단 부분이 결합 공간(123')에 삽입될 때, 결합 보조체(135)는 결합 공간(123')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착 몸체(131)의 제 1 종단 부분은 결합 공간(123')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결합 유도체(133)도 결합 개구(123")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결합 보조체(13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 몸체(131)의 제 1 종단 부분이 결합 공간(123')에 삽입될 때, 결합 보조체(135)들은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 공간(123')에 위치되어, 결합 공간(123')의 종단면을 폐쇄하면서 연결 몸체(123)의 외주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공간(123')의 내측면에는 결합 돌기(123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돌기(123b)는 결합 공간(123')의 양종단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 보조체(135)들이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 공간(123')에 위치될 때, 결합 돌기(123b)는 한 쌍의 결합 보조체(135)들 사이에 위치되고 결합 보조체(135)들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착 몸체(131)의 제 1 종단 부분은 결합 공간(123')에 삽입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설치부(104)는 접착성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설치부(104)가 모니터(10)의 하측 부분에 위치될 때, 설치부(104)는 접착성으로 인해 모니터(10)의 하측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1)는 설치부(104)에 의해 모니터(10)의 하측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몸체부(103)는 연결부(102)에 결합된 상태에서 모니터(10)의 하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블(20)은 몸체부(103)를 관통한 상태에서 모니터(10)의 하측 부분에 위치되어 모니터(10)가 위치된 책상 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설치부(104)는 커버 공간(111")과 보조 공간(113')을 조합한 고정 공간(101')에 삽입되어 베이스 커버(115)와 보조 공간(113')의 하면에 걸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홀더(100)는 케이블(20)을 모니터(10)가 설치된 책상 또는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20)은 케이블 홀더(100)에 의해 책상 또는 테이블을 비롯한 다른 물품에 접촉되지 않아 다른 물품과의 접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케이블 홀더(100)는 케이블(20)에 연결된 컴퓨터의 주변기기, 특히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른 케이블(20)과 모니터(10)가 설치된 책상, 테이블 등과 같은 다른 물품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케이블 홀더(100)가 모니터(10)의 하측 부분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케이블(20)은 몸체부(103)를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부(103)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2)는 베이스부(101)의 하면에 베이스부(10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 케이블(20)은 연결부(102)에 결합된 몸체부(103)를 관통한 상태에서 베이스부(101)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마우스가 움직일 때, 케이블(20)에 작용하는 장력은 감소될 수 있고 베이스부(101)에 가해지는 힘도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케이블 홀더(100)는 모니터(10)의 하측 부분 등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마우스의 움직임 범위를 증가시켜 마우스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케이블 홀더
101: 베이스부
102: 연결부
103: 몸체부
104: 설치부
101: 베이스부
102: 연결부
103: 몸체부
104: 설치부
Claims (10)
-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면의 반대편인 하면에 연결되어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고,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될 수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베이스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원통 형상의 연결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연결 공간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원 형상의 연결 개구가 형성되며, 연결 공간의 상단 부분에는 연결 공간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판 형상의 커버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 및
각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호 간에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몸체의 외주면 상단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베이스 보조체를 포함하고,
베이스 몸체의 상면과 베이스 보조체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중공을 갖는 볼 베어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 공간에 수용되는 회전 유도체; 및
베이스 몸체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베이스 몸체의 하면에 위치되어 회전 몸체에 연결되고, 몸체부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되,
연결 몸체는 베이스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 제3항에 있어서,
연결 몸체의 상면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한 쌍의 연결 유도체가 돌출 형성되며,
연결 유도체는 연결 개구를 통해 회전 유도체의 중공에 삽입되어 회전 도체에 결합되고, 연결 몸체의 상면은 베이스 몸체의 하면에 접촉되며, 연결 몸체는 연결 유도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 제3항에 있어서,
연결 몸체에는 연결 몸체의 외주면 하단 부분을 관통하도록 결합 공간이 형성되고, 연결 몸체의 하면에는 결합 공간에 연결되도록 결합 공간을 따라 결합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부는,
결합 공간을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되도록 양종단면을 관통한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장착 공간을 따라 장착 공간에 연결되도록 장착 개구가 형성된 장착 몸체;
장착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의 외주면에서 장착 개구의 반대편에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 몸체; 및
각각 장착 몸체의 외주면에서 결합 유도체의 양측면을 연결하도록 장착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호 간에 이격된 한 쌍의 결합 보조체를 포함하되,
장착 몸체의 제 1 종단 부분이 결합 공간에 삽입될 때, 결합 몸체는 결합 개구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결합 보조체는 결합 공간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 제5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케이블이 장착 개구를 통과할 때, 장착 개구의 폭이 증가하도록 몸체부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커버 공간에 삽입되어 커버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는 베이스 커버를 더 포함하고,
회전 유도체가 연결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베이스 커버는 커버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어 회전 유도체의 상측에 위치되며,
각각의 베이스 보조체의 상면에는 판 형상으로 보조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보조 공간은 커버 공간에 연결되며, 보조 공간의 하면은 커버 공간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베이스 커버가 커버 공간의 하면에 위치될 때, 베이스 커버의 상면은 보조 공간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홀더는,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접착성을 갖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되,
베이스부가 설치부에 의해 모니터의 하측 부분에 고정되며,
케이블이 몸체부를 관통하고, 몸체부가 연결부에 결합되어, 케이블은 모니터가 설치된 물품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거나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홀더.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2821A KR102577846B1 (ko) | 2023-06-07 | 2023-06-07 | 케이블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2821A KR102577846B1 (ko) | 2023-06-07 | 2023-06-07 | 케이블 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7846B1 true KR102577846B1 (ko) | 2023-09-13 |
Family
ID=8802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2821A KR102577846B1 (ko) | 2023-06-07 | 2023-06-07 | 케이블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784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0024U (ko) * | 2015-06-23 | 2017-01-02 | (주)에코스킨팩토리 | 케이블 고정기구 |
KR101801899B1 (ko) * | 2015-10-30 | 2017-11-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케이블 보호 장치 |
JP2020005866A (ja) * | 2018-07-06 | 2020-01-16 | 地方独立行政法人神奈川県立産業技術総合研究所 | 医療用把持装置 |
JP2022028121A (ja) * | 2020-08-03 | 2022-02-16 | コクヨ株式会社 | ケーブルホルダ |
KR102487568B1 (ko) * | 2021-02-22 | 2023-01-11 |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엑스 | 케이블 홀더 |
-
2023
- 2023-06-07 KR KR1020230072821A patent/KR1025778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0024U (ko) * | 2015-06-23 | 2017-01-02 | (주)에코스킨팩토리 | 케이블 고정기구 |
KR101801899B1 (ko) * | 2015-10-30 | 2017-11-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케이블 보호 장치 |
JP2020005866A (ja) * | 2018-07-06 | 2020-01-16 | 地方独立行政法人神奈川県立産業技術総合研究所 | 医療用把持装置 |
JP2022028121A (ja) * | 2020-08-03 | 2022-02-16 | コクヨ株式会社 | ケーブルホルダ |
KR102487568B1 (ko) * | 2021-02-22 | 2023-01-11 | 주식회사 에이플러스엑스 | 케이블 홀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74322B2 (en) |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JP5215383B2 (ja) | マウス | |
KR890002617Y1 (ko) | X-y방향 입력장치 | |
EP0464266A2 (en) |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apparatus | |
KR100204945B1 (ko) | 분리형 키보드와 이 분리형 키보드를 사용한 컴퓨터 | |
US20120312946A1 (en) | Support device | |
KR960042442A (ko) | 배치 변환 가능한 주변 입력 장치 | |
TW201321236A (zh) | 夾持組件及應用該夾持組件之支撐裝置 | |
JP2004504666A (ja) | 位置決め装置 | |
CA2516593A1 (en) | Mechanical arm with spring counterbalance | |
KR102577846B1 (ko) | 케이블 홀더 | |
KR20090013427A (ko) | 휴대용 전자기기 | |
US8511861B2 (en) | Table lamp and rotary joint thereof | |
KR102487568B1 (ko) | 케이블 홀더 | |
JP2017067700A (ja) | 座標測定装置 | |
US20170017269A1 (en) | Docking device | |
US6147314A (en) | Button pivot bar | |
US6328267B1 (en) | Arm support and pad for mouse using the same | |
US7984823B2 (en) | Apparatus for positioning flipping cover relative to base and casing utilizing the same | |
KR101847828B1 (ko) | 터치펜 | |
AU2008283191B2 (en) | Mouse and stay thereof | |
KR101398133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 |
KR100873131B1 (ko) | 모니터 스탠드 | |
JPH10146322A (ja) | 頸動脈波検出装置 | |
JP2013039188A (ja) | アタッチメント及び内視鏡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