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427A -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427A
KR20090013427A KR1020070077524A KR20070077524A KR20090013427A KR 20090013427 A KR20090013427 A KR 20090013427A KR 1020070077524 A KR1020070077524 A KR 1020070077524A KR 20070077524 A KR20070077524 A KR 20070077524A KR 20090013427 A KR20090013427 A KR 20090013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hinge bracket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트리 filed Critical (주)에이트리
Priority to KR102007007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427A/ko
Publication of KR2009001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10)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40)와; 상기 힌지브라켓(40)에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양측에는 가이드홈(22')이 요입되는 틸팅슬라이드(20)와;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방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5)와; 상기 상부케이스(15)에 장착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22')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80)이 구비되어 상기 틸팅슬라이드(20)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틸팅슬라이드(20)가 상기 힌지브라켓(4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10)에 대한 경사각이 조절되는 이동플레이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케이스(15) 및 하부케이스(10)는 상대이동됨과 동시에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거치구 없이도 사용자의 편의와 필요에 따라 상부케이스(15)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휴대용전자기기, 슬라이드, 경사각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휴대용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전자기기란 예를 들어 MP3플레이어, 휴대폰, 전자사전이나 PMP와 같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소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전자기기는 본체와 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이동하면서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노출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와 디스플레이부의 상대이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힌지를 중심으로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가 회동을 통해 작동되는 폴더타입(folder-type)과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키패드가 노출되는 슬라이드타입(slide-type)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슬라이드타입의 휴대용전자기기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패드를 노출하게 된 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슬라이드타입의 휴대용전자기기는 상기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지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상대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한 각도에서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본체와 이루는 경사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없고,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전자기기 전체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야외나 조명이 강한 실내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시야각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빛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시야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전자기기를 책상과 같은 일정한 장소에 거치하고 오랜 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을 사용자의 시야와 맞추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와; 상기 힌지브라켓에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양측에는 가이드홈이 요입되는 틸팅슬라이드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방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장착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틸팅슬라이드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틸팅슬라이드가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한 경사각이 조절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브라켓와 상기 틸팅슬라이드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각각 관통되고 상기 두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샤프트가 구비되어, 상기 틸팅슬라이드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힌지브라켓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측판 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관통공과 동축으로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틸팅슬라이드에는 상기 제2측판을 향해 개구되어 틸팅볼이 삽입되는 볼안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상기 볼안착홈에 대응되는 틸팅공이 동일 회전반경 상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힌지브라켓이 상기 틸팅슬라이드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틸팅공에는 상기 틸팅볼이 선택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볼안착홈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틸팅볼에 상기 틸팅공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에는 그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슬라이드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 및 틸팅슬라이드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가이드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에는 봉형상의 가이드레일이 삽입된다.
상기 힌지브라켓의 체결공에는 체결구가 조립되어 상기 힌지브라켓이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정된다.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1 및 제2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와셔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상기 틸팅슬라이드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는 고무 또는 우레탄재질로 형성된다.
일단은 상기 틸팅슬라이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틸팅슬라이드 및 상기 힌지브라켓의 상대회전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전자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거치대 없이도 휴대용전자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딩어셈블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될 뿐 아니라, 소정 각도로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환경과 편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어셈블리에 틸팅볼이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의 경사각 조절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탄성력이 전달되므로 휴대용전자기기의 조작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어셈블리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전자기기(1)의 골격은 크게 하부케 이스(10)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케이스(15)가 형성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0)는 상기 휴대용전자기기(1)의 하방에 위치하여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외면에는 이어폰이나 마이크와 같은 보조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플레이부(18)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사용될 스타일러스펜(12)이 구비된다. 물론 이러한 단자(11)나 스타일러스펜(12)은 상부케이스(15)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0)에는 키패드(14)가 구비된다.(도 5b참조) 상기 키패드(14)는 상기 휴대용전자기기(1)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쿼티(qwerty)방식의 키패드(14)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키패드(14)는 사용자의 편의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상방에는 상부케이스(15)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5)는 상기 하부케이스(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 케이스(10,15)가 대략 육면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5)에는 각종 입력버튼(16)이 구비된다. 상기 입력버튼(16)은 상기 키패드(14)와 마찬가지로 상기 휴대용전자기기(1)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입력버튼(16)은 상기 상부케이스(15)에 구비되므로 상기 키패드(14)와 달리, 상기 상부케이스(15)가 상기 하부케이스(10)에 대해 슬라이딩되기 전 상태에서도 입력될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5)에는 디스플레이부(18)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는 일종의 액정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는 다양한 종류의 액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8)를 직접 가압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5)와 하부케이스(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슬라이딩어셈블리(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딩어셈블리는 상기 상부케이스(15)와 하부케이스(10)가 서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어셈블리에는 틸팅슬라이드(20)가 구비된다. 상기 틸팅슬라이드(20)는 대략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7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힌지브라켓(4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양측에는 걸이부(2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22)는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가이드홈(22')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홈(22')은 상기 걸이부(22)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70)의 가이드레일(8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부(22)에는 걸이공(2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23)은 아래에서 설명될 토션스프링(90)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틸팅슬라이드(20)에는 회전부(25)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25)는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힌지브라켓(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25)에는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공(27)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25)에는 볼안착홈(29)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볼안착홈(29)은 아래에서 설명될 틸팅볼(30)과 탄성부재(S)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힌지브라켓(40)의 제2측판(45)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볼안착홈(29)에는 구형상의 틸팅볼(30)이 삽입된다. 상기 틸팅볼(30)은 그 일측은 상기 볼안착홈(29)에 삽입되고, 타측은 힌지브라켓(40)의 제2측판(45)에 형성된 후술할 틸팅공(48)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5)와 하부케이스(10)의 상대경사각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틸팅볼(30)은 다수개의 틸팅공(48) 중 어느 하나에 그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케이스(10,15)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각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볼안착홈(29)에는 탄성부재(S)가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틸팅볼(30)보다 상기 볼안착홈(29)의 상대적으로 깊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틸팅볼(30)에 틸팅공(48)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틸팅볼(30)에 의해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틸팅슬라이드(20)는 힌지브라켓(40)에 연결된다. 상기 틸팅슬라이드(20)는 상기 하부케이스(1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틸팅슬라이드(20)를 하부케이스(1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힌지브라켓(40)의 골격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닥판(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41)에는 도 2에서 보듯이, 다수개의 체결공(h)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h)은 볼트(B)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힌지브라켓(40)을 하부케이스(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체결공(h)의 개수와 위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판(41)의 일측에는 제1측판(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42)은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회전부(25)의 외측면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41)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42)에는 후술할 샤프트(50)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4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측판(42)에도 상기 바닥판(41)과 마찬가지로 체결공(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41)의 타측에는 제2측판(45)이 형성된다. 상기 제2측판(45)은 상기 바닥판(41)으로부터 상기 제1측판(42)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42) 및 제2측판(45) 사이에는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회전부(25)가 안착된다. 즉, 상기 회전부(25)는 상기 두 측판(62,65) 사이에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2측판(45)에는 샤프트(50)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측판(42)의 제1관통공(43)과 동축으로 제2관통공(4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측판(45)에는 틸팅공(48)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공(48)은 상기 틸팅볼(3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케이스(10,15)의 경사각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틸팅공(48)은 상기 회전부(25)의 볼안착홈(29)의 회전반경을 따라 소정 의 각도를 이루면서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틸팅볼(30)이 다수개의 틸팅공(4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두 케이스(10,15)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공(48)은 두 개가 형성되는데, 제1틸팅공(48a)은 상기 틸팅슬라이드(20)가 상기 힌지브라켓(40)에 대해 회전되기 전에 상기 틸팅볼(30)이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2틸팅공(48b)은 틸팅슬라이드(20)가 상기 힌지브라켓(40)에 대해 회전되면 틸팅볼(3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틸팅공(48)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판(42)의 제1관통공(43) 및 상기 회전부(25)의 회전공(27), 그리고 제2측판(45)의 제2관통공(46)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샤프트(50)가 조립된다.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틸팅슬라이드(20)가 상기 힌지브라켓(40)에 대해 상대회전되도록 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샤프트(50)는 상기 힌지브라켓(40) 및 회전부(25)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2개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w는 와셔로, 상기 힌지브라켓(40)과 회전부(25)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부케이스(15)가 틸팅된 상태에서 쉽게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틸팅슬라이드(20)에는 이동플레이트(70)가 연결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5)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5)가 상기 하부케이스(10)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의 선단에는 장착리브(71)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리브(7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의 일측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7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의 모서리에는 장착홈(74)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74)에는 스토퍼(D)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D)는 상기 이동플레이트(70)가 상기 틸팅슬라이드(2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플레이트(7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고, 이동플레이트(70)와 상기 틸팅슬라이드(20)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D)는 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의 양측에는 가이드채널(7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75)은 상기 이동플레이트(70)의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레일(8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물론, 가이드레일(80)이 상기 이동플레이트(7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에는 회피부(76)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피부(7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에 전기적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FPC(flexible printed cable) 등이 디스플레이부(18)와 연결되도록 도피된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채널(75)에는 가이드레일(8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80)은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가이드홈(22')에 의해 감싸지도록 가이드홈(22')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80)은 상기 가이드홈(22')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이동플레이트(70)가 상기 틸팅슬라이드(20)에 대해 자연스럽게 상대이동될 수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80)은 상기 이동플레이트(7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70)에는 토션스프링(90)이 구비된다. 상기 토션스프링(90)은 상기 상부케이스(15)와 하부케이스(10)가 상대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부케이스(15)가 하부케이스(10)에 대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상대이동되면 그 이후에는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고, 반대로 두 케이스(10,1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상대이동되면 이후에는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90)의 일단(91)은 상기 이동플레이트(70)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93)은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걸이부(22)에 형성된 걸이공(23)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95는 상기 토션스프링(90)의 일단을 이동플레이트(7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전자기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슬라이딩되기 전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4a에 도시된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적용된 휴대용전자기기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a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슬라이딩된 상태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도 5a에 도시된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적용된 휴대용전자기기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a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어 셈블리의 경사각이 조절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도 6b에 도시된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적용된 휴대용전자기기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부케이스(15)와 하부케이스(10)가 상대이동 및 틸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 4에는 동작되기 전의 휴대용전자기기(1)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부케이스(15)와 하부케이스(10)가 서로 포개져 상기 키패드(14)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이때는 도 4a에서 보듯이 이동플레이트(70)의 장착리브(71)가 틸팅슬라이드(20)와 힌지브라켓(40)으로부터 최대한 멀어진 상태이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14)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케이스(15)에 외력을 가하여 밀어올리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토션스프링(90)의 탄성력을 어느 정도 극복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15)를 밀어올리면, 상기 상부케이스(15)에 결합된 이동플레이트(70)가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가이드홈(22')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때, 사용자가 어느 정도 상부케이스(15)를 밀어올리면 상기 상부케이스(15)는 상기 토션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70)의 장착리브(71)는 상기 틸팅슬라이드(20) 및 힌지브라켓(40)과 가장 가까운 위치가 되고, 동시에 상기 키패드(14)가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패드(14)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휴대용전자기기(1)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상기 상부케이스(15)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사용 자는 상기 상부케이스(15)가 상기 하부케이스(10)에 대해 완전히 밀어올려진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5)를 파지하고 그 선단을 회전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상부케이스(15)의 선단이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샤프트(50)를 축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틸팅슬라이드(20)와 힌지브라켓(40)은 서로 상대회전된다. 즉, 상기 틸팅슬라이드(20)가 힌지브라켓(40)에 대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힌지브라켓(40)에 연결된 이동플레이트(70) 역시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의 경사각이 변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야각을 확보하여 보다 선명한 각도에서 디스플레이부(18)를 바라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힌지브라켓(40)의 제2측판(45)에 형성된 제1틸팅공(48a)에 삽입되어 있던 틸팅볼(30)은 제2틸팅공(48b)에 삽입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상부케이스(15)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25)의 볼안착홈(29)에 그 일측이 안착되어 있는 틸팅볼(30)의 타측은 상기 틸팅슬라이드(20)의 회전방경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틸팅공(48b)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안착홈(29)에는 탄성부재(S)가 삽입되어 상기 틸팅볼(30)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상부케이스(15)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한 각도로 상부케이스(15)가 회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브라켓(40)과 틸팅슬라이드(20) 사이에 별도의 토션스프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힌지브라켓(40)과 틸팅슬라이드(20) 사이의 회전과정에서 사용자가 어느 정도 상부케이스(15)를 회전시키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40)은 반드시 틸팅슬라이드(20) 양측을 고정하도록 두 개가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슬라이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적용된 휴대용전자기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슬라이딩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적용된 휴대용전자기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딩어셈블리의 경사각이 조절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b는 도 6b에 도시된 슬라이딩어셈블리가 적용된 휴대용전자기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케이스 15: 상부케이스
20: 틸팅슬라이드 30: 틸팅볼
40: 힌지브라켓 70: 이동플레이트
90: 토션스프링

Claims (12)

  1.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와;
    상기 힌지브라켓에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양측에는 가이드홈이 요입되는 틸팅슬라이드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방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장착되고,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틸팅슬라이드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틸팅슬라이드가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한 경사각이 조절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와 상기 틸팅슬라이드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 및 회전공이 각각 관통되고 상기 관통공 및 회전공을 관통하도록 샤프트가 구비되어, 상기 틸팅슬라이드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측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1관통공과 동축으로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슬라이드에는 상기 제2측판을 향해 개구되어 틸팅볼이 삽입되는 볼안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상기 볼안착홈에 대응되는 틸팅공이 동일 회전반경 상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힌지브라켓이 상기 틸팅슬라이드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틸팅공에는 상기 틸팅볼이 선택적으로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안착홈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틸팅볼에 상기 틸팅공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에는 그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슬라이드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 및 틸팅슬라이드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가이드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채널에는 봉형상의 가이드레일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의 체결공에는 체결구가 조립되어 상기 힌지브라켓이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의 제1 및 제2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와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상기 틸팅슬라이드의 이동범위를 제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고무 또는 우레탄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틸팅슬라이드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틸팅슬라이드 및 상기 힌지브라켓의 상대회전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기기.
KR1020070077524A 2007-08-01 2007-08-01 휴대용 전자기기 KR20090013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24A KR20090013427A (ko) 2007-08-01 2007-08-01 휴대용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524A KR20090013427A (ko) 2007-08-01 2007-08-01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427A true KR20090013427A (ko) 2009-02-05

Family

ID=4068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524A KR20090013427A (ko) 2007-08-01 2007-08-01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42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61B1 (ko) * 2008-07-18 2010-07-21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WO2010093117A2 (ko) * 2009-02-12 2010-08-19 주식회사 세이텍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WO2011074857A2 (ko) * 2009-12-18 2011-06-23 주식회사 세네카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WO2011081361A2 (ko) * 2009-12-31 2011-07-07 (주)세이텍 오토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WO2011129530A2 (ko) * 2010-04-15 2011-10-20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11159009A1 (ko) * 2010-06-14 2011-12-22 (주)쉘라인 슬라이딩 및 틸팅 힌지장치
CN102318201A (zh) * 2009-02-12 2012-01-11 三星电子株式会社 倾斜型移动电话滑动模块及利用该滑动模块的终端机支撑台
KR101106145B1 (ko) * 2010-08-16 2012-01-2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오토 틸트 힌지모듈
EP2494770A1 (en) * 2009-10-29 2012-09-05 BYD Company Limited Slid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761B1 (ko) * 2008-07-18 2010-07-21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CN102318201A (zh) * 2009-02-12 2012-01-11 三星电子株式会社 倾斜型移动电话滑动模块及利用该滑动模块的终端机支撑台
WO2010093117A2 (ko) * 2009-02-12 2010-08-19 주식회사 세이텍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WO2010093117A3 (ko) * 2009-02-12 2010-10-07 주식회사 세이텍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CN102318201B (zh) * 2009-02-12 2014-09-24 三星电子株式会社 倾斜型移动电话滑动模块及利用该滑动模块的终端机支撑台
US8238986B2 (en) 2009-02-12 2012-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lt-type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and terminal holder using the same
EP2494770A4 (en) * 2009-10-29 2014-01-01 Byd Co Ltd SLID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EP2494770A1 (en) * 2009-10-29 2012-09-05 BYD Company Limited Slid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WO2011074857A2 (ko) * 2009-12-18 2011-06-23 주식회사 세네카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WO2011074857A3 (ko) * 2009-12-18 2011-10-13 주식회사 세네카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WO2011081361A2 (ko) * 2009-12-31 2011-07-07 (주)세이텍 오토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WO2011081361A3 (ko) * 2009-12-31 2011-10-20 (주)세이텍 오토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WO2011129530A3 (ko) * 2010-04-15 2012-01-05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11129530A2 (ko) * 2010-04-15 2011-10-20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11159009A1 (ko) * 2010-06-14 2011-12-22 (주)쉘라인 슬라이딩 및 틸팅 힌지장치
KR101106145B1 (ko) * 2010-08-16 2012-01-2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오토 틸트 힌지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3427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2168145B1 (ko) 회전 컴포넌트 부착용 힌지 기구
EP3757719B1 (en) Kickstand supporting several device orientations
EP1480109B1 (en) Swivel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5333054B2 (ja) 電子機器
US9600036B2 (en) Hinge device for a portable computer
EP2146488B1 (en) Biaxial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60252471A1 (en) Tilting and sliding mobile device
US20080101003A1 (en) Electronic apparatus
US9668556B2 (en) Adjustable display housing assembly
US2017009052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050063A1 (en) Adjustable table stand and device using the same
US896437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e-tilt operation
KR20140128774A (ko) 컨버터블 컴퓨팅장치
KR20030044092A (ko) 힌지장치
KR20110079560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TWI692791B (zh) 轉樞組件、具有該轉樞組件的可拆卸式鍵盤及組裝該可拆卸式鍵盤的方法
US20120325987A1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JP5473976B2 (ja) タッチペン
US201803598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KR20100040639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탠딩장치
US20110127184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hinge mechanism
US20070086150A1 (en) Rotating and sliding module for a display panel
JP4917517B2 (ja) スライド回転取付ユニット及び携帯電話機
KR101756141B1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