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774A - 컨버터블 컴퓨팅장치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컴퓨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774A
KR20140128774A KR20130047664A KR20130047664A KR20140128774A KR 20140128774 A KR20140128774 A KR 20140128774A KR 20130047664 A KR20130047664 A KR 20130047664A KR 20130047664 A KR20130047664 A KR 20130047664A KR 20140128774 A KR20140128774 A KR 20140128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ember
cam
hinge
support
us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선
정보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774A/ko
Priority to US14/187,648 priority patent/US9304553B2/en
Publication of KR2014012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Abstract

컨버터블 컴퓨팅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컴퓨팅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제1 몸체; 키보드를 가지는 제2 몸체; 및 일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힌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 시 상기 제2 몸체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몸체의 후단부에 간섭되면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버터블 컴퓨팅장치{CONVERTABLE COMPU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모드를 다양하게 전환할 수 있는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기기 중 태블릿 PC는 단일 본체를 가지며 일면이 터치스크린을 가지며 컴퓨팅 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태블릿 PC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보드를 디스플레이 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가상 키보드의 사용이 기존의 물리적인 키보드에 비하여 터치 에러 등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사용모드에 따라 별도의 물리적인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키보드가 부가된 컨버터블 PC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컨버터블 PC는 태블릿 PC가 물리적인 키보드를 덮은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모드와, 태블릿 PC를 키보드 측으로 선회시켜 사용자가 태블릿 PC에 물리적인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컨버터블 PC는 태블릿 PC의 일측이 키보드가 구비되는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하는데 있어서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태블릿 PC 기능을 하는 제2 몸체가 키보드를 구비한 제1 몸체에 직접 연결되는 부분을 생략함으로써 제2 몸체의 사용 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제2 몸체를 다양한 각도 설정 시 제2 몸체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자세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컨버터블 PC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제1 몸체; 키보드를 가지는 제2 몸체; 및 일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힌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 시 상기 제2 몸체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몸체의 후단부에 간섭되면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컴퓨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지지체를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록킹 및 록킹 해제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록킹 및 록킹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는, 제1 힌지축; 상기 제1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캠부재; 및 상기 제1 힌지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캠부재를 가압 지지하는 상태로 캠 접촉되는 제2 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캠부재가 상기 제2 캠부재에 대하여 록킹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캠부재를 상기 제1 캠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부재는 제1 캠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캠부재는 상기 제1 캠부재 측으로 대향하는 제2 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캠돌기는 상기 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 캠돌기의 선단을 넘어설 때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캠돌기가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 시 상기 제1 캠부재를 록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캠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는 제2 힌지축; 상기 제2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캠부재; 및 상기 제2 힌지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3 캠부재를 가압 지지하는 상태로 캠 접촉되는 제4 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3 캠부재가 상기 제4 캠부재에 대하여 록킹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4 캠부재를 상기 제3 캠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캠부재는 제3 캠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4 캠부재는 상기 제3 캠부재 측으로 대향하는 제4 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캠돌기는 상기 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4 캠돌기의 선단을 넘어설 때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3 캠돌기가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 시 상기 제3 캠부재를 록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3 캠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캠부재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까지 선회하는 동안 상기 제3 캠부재의 선단이 안내되는 캠 경사면과, 상기 캠 경사면에 연장되며 제3 캠부재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캠 연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캠부재는 그 선단이 상기 제4 캠부재의 상기 캠 연장면 중 어느 한 곳에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3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제4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4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몸체에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지지체가 동시에 절첩되는 제1 사용모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는 제2 사용모드; 및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몸체가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키보드 측으로 경사지게 유지되는 제3 사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사용모드로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로부터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몸체가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키보드가 위치하는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유지되는 제4 사용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사용모드 시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네트가 매립되며,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2 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반응하여 인력이 형성되는 제2 마그네트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모드에서 상기 제2 몸체는 타단부의 외곽이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는 양측이 제1 및 제2 지지로드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로드는 각각, 일단이 상기 지지체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로드가 각각 삽입 및 인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로드의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제1 사용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제2 사용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제3 사용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제2 몸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제4 사용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제1 힌지부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힌지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제1 힌지부의 록킹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의 제1 힌지부의 록킹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힌지부의 제2 캠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지지로드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지지체가 A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몸체가 B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힌지부의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10)는 제1 내지 제4 사용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각 사용모드는 하기와 같이 정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사용모드는 제1 몸체(20)에 제2 몸체(30) 및 지지체(40)가 절첩된다. 이 경우, 지지체(40)는 제1 몸체(20)의 수납홈(23)에 수납되고, 제2 몸체(30)는 지지체(40) 및 제1 몸체(20)의 키보드(21)를 함께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사용모드에서는 제1 몸체(20), 제2 몸체(30) 및 지지체(40)가 모두 평행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1 사용모드는 제2 몸체(30)가 가지는 태블릿 PC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사용모드에서는 지지체(40)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1 몸체(20)로부터 이격되며, 제2 몸체(30) 역시 지지체(4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하여 지지체(40)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제2 사용모드에서는 제2 몸체(30)에 의해 은폐되어 있던 키보드(21)가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제2 몸체(30)의 태블릿 PC 기능은 물론, 제1 몸체(20)의 키보드(21)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사용모드에서는 제2 몸체(30)가 제2 사용모드의 자세에서 키보드(21) 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된다. 이 경우, 제2 몸체(30)의 타단부(30b)는 키보드(21)의 일측과 접하는 수납홈(23)의 일부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사용모드에서는 제2 몸체(30)가 제2 사용모드의 자세에서 지지체(40)를 중심으로 키보드(21)의 반대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된다. 이에 따라 키보드(21) 측에 위치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컨버터블 컴퓨팅장치(10)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맞은 편에 배치되는 다른 사용자도 제2 몸체(30)의 태블릿 PC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컨버터블 컴퓨터장치(10)는 제1 몸체(20), 제2 몸체(30), 지지체(40),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 한 쌍의 제1 및 제2 지지로드(71,72), 다수의 제1 및 제2 마그네트(81,83)를 포함한다.
제1 몸체(20)는 크게 키보드(21)가 배치되는 구역과 지지체(40)가 삽입되는 구역으로 구획되며, 지지체(40)가 삽입되는 구역은 지지체(40)의 크기에 대략 대응하는 수납홈(23)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몸체(20)는, 사용자가 제2 몸체(30)를 제1 몸체(2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제2 몸체(30)의 일단부(30a)를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제1 몸체(20)의 선단부에 요홈부(25)가 형성된다.
한편, 제1 몸체(20)는 키보드(21)를 통해 제2 몸체(30)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몸체(30) 역시 제1 몸체(20)의 무선 신호와 페어링 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내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20,30)의 무선통신모듈 간에는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통신규격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몸체(20,30)는 무선통신을 대체하여 지지체(40)를 경유하는 소정의 신호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신호를 송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몸체(20,30)가 각각 지지체(40)에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신호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몸체(20,30) 간 유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몸체(20)는 제1 몸체(20)의 후단부(27)로부터 제1 몸체(20)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체(40)의 일단부(40a)가 선회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몸체(20)와 지지체(40)간 상호 힌지 연결되는 지점이 제1 몸체(20)의 후단부(27)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으로 설정한 것은 제2 몸체(30)와 지지체(40)를 함께 A 방향(도 12 참조)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2 몸체(30)가 지지체(40)에 대하여 B 방향(도 12 참조)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동작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몸체(20)와 지지체(40) 간 연결은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1 몸체(20)에는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의 제1 연결브라켓(52, 도 5 참조)이 체결구(미도시)를 통해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힌지부(50a,50b)는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힌지는 제1 몸체(20)와 지지체(40)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3 이상을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2 몸체(30)는 물리적인 키보드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 방식을 주 입력 방식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태블릿 PC)일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30)는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1)와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액세스할 수 있는 소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외부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과,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30)는 대략 제1 몸체(20)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로 형성되며, 도 1과 같이 제1 몸체(20)에 절첩된 제1 사용모드에서는 제1 몸체(20)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위치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30)는 후면의 대략 중앙부분이 지지체(40)의 타단부(40b)와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중앙부분에는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를 수용하기 위한 힌지하우징(33)이 형성된다. 더욱이 제2 몸체(30)에는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의 제1 연결브라켓(62, 도 5 참조)이 체결구(미도시)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는 본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힌지(50a,50b)와 마찬가지로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힌지(60a,60b)는 제2 몸체(30)와 지지체(40)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3 이상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체(40)는 제1 및 제2 몸체(20,30)를 상호 힌지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와 같은 지지체(40)는 제1 사용모드(도 1 참조)에서 제1 몸체(20)에 대하여 절첩되며 제1 몸체(20)의 수납홈(23)에 수납된다. 또한, 제2 내지 제4 사용모드(도 2, 3 및 7 참조)에서 제1 몸체(2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2 몸체(30)를 지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체(40)는 일단부(40a)에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가 소정 간격으로 수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의 제2 연결브라켓(53)이 체결구(미도시)를 통해 지지체(4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40)는 타단부(40b)에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의 제2 연결브라켓(53)이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지지체(4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40)가 단순히 제2 몸체(3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랩탑 PC나 태블릿 PC와 같이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40)가 제어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는 통상의 유선 방식(예를 들면, 신호 및 전원 케이블 등)을 통해 제1 몸체(20)의 키보드(21) 및 제2 몸체(30)의 디스플레이부(3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몸체(30)는 디스플레이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제2 몸체(30)에 내장된 제어부를 생략하고 디스플레이부(31)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는 제1 몸체(20)에 고정되는 제1 연결브라켓(52)과, 지지체(40)에 고정되는 제2 연결브라켓(53)을 통해 제1 몸체(20)와 지지체(40)를 상호 힌지 연결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는 동축 상에 위치된다.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는 제2 몸체(30)에 고정되는 제1 연결브라켓(62)과, 지지체(40)에 고정되는 제2 연결브라켓(63)을 통해 제2 몸체(30)와 지지체(40)를 상호 힌지 연결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는 동축 상에 위치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와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는 그 구성이 모두 동일하며,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는 제2 캠부재(67)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힌지부(50a)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울러,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의 제2 캠부재(67)는 제1 힌지부(50a)의 제2 캠부재(57)를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힌지부(50a)는 힌지축(51), 제1 연결브라켓(52), 제2 연결브라켓(53), 제1 탄성부재(54), 스톱퍼(55), 제1 캠부재(56), 제2 캠부재(57), 제2 탄성부재(58) 및 조절너트(59)를 포함한다.
힌지축(51)은 힌지축(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고정부(51a), 결합부(51b), 제2 고정부(51c) 및 체결부(51d)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제1 고정부(51a)는 제1 연결브라켓(52)의 결합구멍(52a)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 고정부(51a)는 그 단면이 원형의 상측 및 하측 일부분을 대략 평행하게 커팅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단면은 양측에 서로 대칭하는 곡선이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직선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브라켓(52)의 결합구멍(52a)은 제1 연결브라켓(52)이 힌지축(51)에 대하여 회전을 방지하도록 제1 고정부(51a)에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51b)는 제1 고정부(51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고정부(51a) 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51b)에는 제1 탄성부재(54)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2 고정부(51c)는 제1 고정부(51a)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 고정부(51a)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고정부(51c)에는 순차적으로 제1 와셔(W1), 스톱퍼(55), 제2 연결브라켓(53), 제1 캠부재(56), 제2 캠부재(57), 제2 탄성부재(58) 및 제2 와셔(W2)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 경우, 스톱퍼(55) 및 제2 캠부재(57)는 각각 제2 고정부(51c)가 삽입되는 결합구멍(55a,57a)이 제2 고정부(51c)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스톱퍼(55) 및 제2 캠부재(57)는 힌지축(51)에 대하여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힌지축(51)과 결합된다.
체결부(51d)는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조절너트(59)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하, 상술한 힌지부(50)에 끼워지는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연결브라켓(52)은 일측부가 제1 몸체(20)에 고정되며, 타측부에는 제1 고정부(51a)가 결합되는 결합구멍(52a)이 형성된다. 제1 연결브라켓(52)의 결합구멍(52a)이 제1 고정부(51a)에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됨으로써, 회전축(51)은 제1 연결브라켓(52)에 의해 제1 몸체(20)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제1 연결브라켓(52)은 타측부에 제1 고정홈(52b)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홈(52b)에는 제1 탄성부재(54)의 일단부(54a)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연결브라켓(53)은 일측부가 지지체(40)에 고정되며, 타측부에는 제2 고정부(51c)가 결합되는 결합구멍(53a)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연결브라켓(53)의 결합구멍(53a)은 원형이므로 제2 고정부(51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지지체(40)가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를 중심으로 회전 시 지지체(4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제2 연결브라켓(53)은 타단부에 제1 탄성부재(54)의 타단부(54b)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고정홈(53b)이 형성되고, 제1 캠부재(56)의 결합돌기(56b)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멍(53c)이 형성된다.
제1 탄성부재(54)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54a) 및 타단부(54b)가 각각 서로 다른 부재 즉, 제1 몸체(20)에 고정된 제1 연결브라켓(52)과 지지체(40)에 고정된 제2 연결브라켓(53)에 연결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54)는 제1 사용모드(도 1 참조)에서는 제1 크기의 탄성력을 가지며, 제2 내지 제4 사용모드(도 2, 3, 7 참조)에서는 제2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다. 이 경우 제1 크기의 탄성력은 제2 크기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1 탄성부재(54)는 지지체(40)를 제1 몸체(20)에 대하여 소정 각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스톱퍼(55)는 결합구멍(55a)에 의해 힌지축(5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톱퍼(55)는 힌지축(51)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2 연결브라켓(53)의 회전을 소정 각도로 범위 내로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55b,55c)이 외주에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연결브라켓(53)은 타측부 상/하측에 상기 걸림턱(55b,55c)과 대응하는 걸림돌기(53d)가 각각 형성된다.
제1 캠부재(56)는 힌지축(5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의 결합구멍(56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캠부재(56)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돌기(56b)가 제2 연결브라켓(53)의 결합구멍(53c)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캠부재(56)는 제2 연결브라켓(53)이 힌지축(51)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2 연결브라켓(53)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제1 캠부재(56)는 제2 캠부재(57)에 대향하는 측으로 제1 캠돌기(56c)가 돌출 형성된다. 제1 캠돌기(56c)는 결합구멍(56a)을 중심으로 한 쌍이 대칭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캠돌기(56c)의 외곽을 따라 캠곡선이 형성된다. 제1 캠돌기(56c)의 선단(56d)은 후술하는 제2 캠돌기(57c)의 선단(57d)에 대응하여 록킹 위치 및 록킹 해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위치에서는 지지체(40)가 제1 몸체(20)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아 제1 사용모드에서와 같이 제1 몸체(20)에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록킹 위치(도 10 참조)에서 록킹 해제 위치(도 11 참조)로 전환될 때 지지체(40)는 제1 탄성부재(54)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제1 몸체(2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회동하여 제1 몸체(20)로부터 이격된다.
제2 캠부재(57)는 힌지부(51)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제2 캠부재(57)는 제1 캠부재(56)에 대향하는 측으로 제2 캠돌기(57c)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캠돌기(57c)는 제1 캠부재(56)와 함께 지지체(40)를 제1 몸체(20)에 대하여 회전 동작을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또한, 제2 캠부재(57)는 선단(57d)으로부터 제2 캠부재(57) 측으로 경사진 캠 경사면(57e)이 형성된다. 캠 경사면(57e)의 길이는 지지체(40)가 제1 사용모드와 같이 제1 몸체(20)에 평행한 상태에서 제2 사용모드와 같이 제1 몸체(20)로부터 회전하는 각도까지의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의 제2 캠부재(67)는 제1 힌지부(50a)와 달리 제2 캠부재(67)에 캠 연장면(67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캠 연장면(67f)은 캠 경사면(67e)과 달리 경사 없이 이루어진다. 캠 연장면(67f)은 제2 사용모드(도 2 참조)에서 제3 사용모드(도 3 참조)로 전환 시 제2 몸체(30)를 제1 몸체(20)의 키보드(21)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까지의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캠부재(67)의 선단부(67d)는 제2 탄성부재(68)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1 캠부재(미도시) 측으로 가압된다. 이 가압력에 의해, 제2 몸체(30)는 제2 사용모드에서 키보드(21)측으로 제3 사용모드로 설정되는 각도 범위 내 및 그 역방향으로 소정 각도 선회하여 제4 사용모드로 설정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원하는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58)는 코일스프링으로 제2 캠부재(57)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 캠부재(57)를 제1 캠부재(56) 측으로 가압한다. 이 경우 상술한 록킹 위치에서 제2 탄성부재(58)의 탄성력(가압력)이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비틀림력)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캠부재(56)는 록킹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조절너트(59)는 체결부(51d)에 나사 결합되며, 제2 탄성부재(58)으로 회전 이동시키거나 그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2 탄성부재(58)가 제2 캠부재(57)에 가하는 가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체(40)는 양측이 제1 및 제2 지지로드(71,72)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제1 및 제2 지지로드(71,72)는 제2 사용모드(도 2 참조)에서 지지체(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제2 몸체(30)의 디스플레이부(31)를 터치할 때 발생하는 터치력에 의해 제2 몸체(30)가 흔들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로드(71,72)는 각각, 일단이 제1 몸체(20) 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체(40)에 힌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지지로드(71,72)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지지로드(71)와 제1 지지로드(71)에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지지로드(71)는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힌지돌기(71a)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힌지핀(71b)이 관통 결합된다. 힌지돌기(71a)는 지지체(4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핀(71b)은 제1 지지로드(71)의 타단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제1 몸체(20)의 수납홈(23) 일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75)의 가이드레일(73a,73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75)는 제1 지지로드(71)가 삽입되는 삽입홈(7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사용모드에서는 제1 지지로드(71)가 가이드부재(75)의 삽입홈(73)에 삽입되며, 제1 사용모드에서 제2 사용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지지로드(71)가 삽입홈(73)으로부터 인출됨과 동시에 힌지핀(71b)이 가이드레일(73a,7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75)는 제1 몸체(20)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몸체(2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2에 미설명부호 74는 제2 지지로드(72)가 삽입 및 인출되는 삽입홈이고, 72a는 제2 지지로드(72)의 힌지돌기를 각각 나타낸다.
다수의 제1 마그네트(81)는 간격을 두고 제1 몸체(20)의 후단부(27) 내측에 매립 배치되며(도 4 참조), 다수의 제2 마그네트(83)는 제2 몸체(30)의 타단부(30b) 내측에 매립 배치된다. 이때, 다수의 제1 및 제2 마그네트(81,83)의 배치는 제4 사용모드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수의 제1 및 제2 마그네트(81,83)는 제1 및 제2 몸체(20,30)가 제4 사용모드(도 7 참조)를 유지하도록 제1 몸체(20)의 후단부(27)와 제2 몸체(30)의 타단부(30b)를 상호 자력(인력)을 통해 서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마그네트(81,83) 간 자력은 제1 및 제2 탄성부재(54,58)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아울러, 다수의 제1 마그네트(81)와 제2 마그네트(83) 간에는 제4 사용모드에서 상호 인력이 발생하도록 서로 다른 자극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사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사용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2 몸체(30) 및 지지체(40)의 위치 및 자세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1 사용모드에서 제2 사용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사용모드(도 1 참조)에서 사용자가 제2 몸체(30)의 일단부(30a)를 제1 몸체(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도 14와 같이 지지체(40)가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를 중심으로 하여 A 방향으로 소정 각도 선회한다.
이 경우, 도 1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는 제1 사용모드에서 제1 캠부재(56)의 선단(56d)이 제2 캠부재(57)에 대하여 록킹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가(도 10 참조), 지지체(40)가 A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캠부재(57)의 선단부를 넘어서서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록킹 해제되면 제1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체(40)는 제2 사용모드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한다.
또한, 제2 몸체(30)는 지지체(40)가 A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지지체(40)와 같이 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제2 몸체(30)의 타단부(30b)가 제1 몸체(20)의 후단부(27)의 상면을 따라 후단부(27)의 외측을 향해 슬라이딩 안내된다. 이에 따라 제2 몸체(30)는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를 중심으로 B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의 제1 캠부재(미도시)의 선단은 제2 캠부재(67)의 선단(67d)을 넘어서게 되면서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몸체(30)는 제1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사용모드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제1 몸체(20)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몸체(30)가 A 방향으로 회전 후 곧이어 B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가 제1 몸체(20)의 후단부(27)의 외곽으로부터 제1 몸체(20)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정됨에 따라 제2 몸체(30)의 타단부(30b)가 제1 몸체(20)의 후단부(27)에 자연스럽게 간섭되면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한 쌍의 제1 힌지부(50a,50b)가 록킹 해제 상태로 되어 지지체(40)가 제1 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제1 시점과,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가 록킹 해제 상태로 되어 지지체(40)가 제1 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제2 시점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 및 제2 시점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제1 시점이 제2 시점에 앞서서 이루어진다.
한편, 컨버터블 컴퓨팅장치(10)가 제2 사용모드(도 2 참조)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2 몸체(30)는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의 제2 탄성부재(68)의 탄성력에 의해 그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몸체(30)를 키보드(21) 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거나 그 역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 사용모드(도 3 참조)는 제2 사용모드에서부터 전환될 수 있다. 제3 사용모드는 제2 몸체(30)가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를 기준으로 키보드(21) 측으로 회전시켜 제2 몸체(30)의 일단부(30a)가 수납홈(23)에 안착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2 힌지부(60a,60b)의 제1 탄성부재(미도시)에서 비틀림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제2 탄성부재(68)의 탄성력보다 작기 때문에 제2 몸체(30)는 제3 사용모드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제4 사용모드(도 7 참조) 역시 제2 사용모드에서부터 전환될 수 있다. 제4 사용모드는 제2 몸체(30)가 제3 사용모드로 전환할 때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이 경우 제1 몸체(20)의 후단부(27)에 제2 몸체(30)의 타단부(30b)가 인접하게 되면서 다수의 제1 및 제2 마그네트(81,83)에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제1 몸체(20)의 후단부(27)와 제2 몸체(30)의 타단부(30b)는 서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2 몸체(30)는 제3 사용모드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제1 몸체 30: 제2 몸체
40: 지지체 50a,50b: 제1 힌지부
60a,60b: 제2 힌지부 71: 제1 지지로드
72: 제2 지지로드 81: 제1 마그네트
83: 제2 마그네트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제1 몸체;
    키보드를 가지는 제2 몸체; 및
    일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1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힌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 시 상기 제2 몸체의 일부분이 상기 제2 몸체의 후단부에 간섭되면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컴퓨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지지체를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록킹 및 록킹 해제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지지체에 대하여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제1 힌지축;
    상기 제1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캠부재; 및
    상기 제1 힌지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캠부재를 가압 지지하는 상태로 캠 접촉되는 제2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캠부재가 상기 제2 캠부재에 대하여 록킹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캠부재를 상기 제1 캠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재는 제1 캠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캠부재는 상기 제1 캠부재 측으로 대향하는 제2 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캠돌기는 상기 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2 캠돌기의 선단을 넘어설 때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캠돌기가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 시 상기 제1 캠부재를 록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캠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제2 힌지축;
    상기 제2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캠부재; 및
    상기 제2 힌지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3 캠부재를 가압 지지하는 상태로 캠 접촉되는 제4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3 캠부재가 상기 제4 캠부재에 대하여 록킹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4 캠부재를 상기 제3 캠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캠부재는 제3 캠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4 캠부재는 상기 제3 캠부재 측으로 대향하는 제4 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캠돌기는 상기 록킹 위치에서 상기 제4 캠돌기의 선단을 넘어설 때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3 캠돌기가 록킹 해제 위치로 전환 시 상기 제3 캠부재를 록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3 캠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캠부재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까지 선회하는 동안 상기 제3 캠부재의 선단이 안내되는 캠 경사면과, 상기 캠 경사면에 연장되며 제3 캠부재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캠 연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캠부재는 그 선단이 상기 제4 캠부재의 상기 캠 연장면 중 어느 한 곳에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3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제4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몸체에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지지체가 동시에 절첩되는 제1 사용모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는 제2 사용모드; 및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몸체가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키보드 측으로 경사지게 유지되는 제3 사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사용모드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로부터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유지되며, 상기 제2 몸체가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몸체의 키보드가 위치하는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유지되는 제4 사용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사용모드 시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네트가 매립되며,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2 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반응하여 인력이 형성되는 제2 마그네트가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모드에서 상기 제2 몸체는 타단부의 외곽이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제1 몸체의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양측이 제1 및 제2 지지로드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로드는 각각, 일단이 상기 지지체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로드가 각각 삽입 및 인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로드의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장치.
KR20130047664A 2013-04-29 2013-04-29 컨버터블 컴퓨팅장치 KR20140128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664A KR20140128774A (ko) 2013-04-29 2013-04-29 컨버터블 컴퓨팅장치
US14/187,648 US9304553B2 (en) 2013-04-29 2014-02-24 Convertible compu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664A KR20140128774A (ko) 2013-04-29 2013-04-29 컨버터블 컴퓨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774A true KR20140128774A (ko) 2014-11-06

Family

ID=5178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7664A KR20140128774A (ko) 2013-04-29 2013-04-29 컨버터블 컴퓨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04553B2 (ko)
KR (1) KR20140128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042A (ko) * 2017-11-21 2019-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6181B (zh) * 2011-12-31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终端设备
US9035783B2 (en) * 2012-03-09 2015-05-19 Miselu, Inc. Input/output visualization panel
US10595245B2 (en) * 2013-04-03 2020-03-17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connection switching
WO2015065348A1 (en) * 2013-10-30 2015-05-0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uble-track guided hinge
WO2015147845A1 (en) * 2014-03-28 2015-10-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lapsible hinge assembly
CN107155357B (zh) * 2014-06-27 2020-07-1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可旋转显示构件的计算装置
US10310564B2 (en) * 2014-06-30 2019-06-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nking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member
JP6418550B2 (ja) * 2014-08-15 2018-11-07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アーム装置
TWI585577B (zh) * 2015-05-12 2017-06-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KR20170070737A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딩 장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JP2018029277A (ja) * 2016-08-18 2018-02-2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スタンド装置及びスタンド付き携帯用情報機器
EP3635506A4 (en) 2017-06-06 2021-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DEVICES EQUIPPED WITH A CRUTCH
TWM578813U (zh) * 2017-12-26 2019-06-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D910624S1 (en) 2019-02-28 2021-02-16 Stand Steady Company, Llc Display screen
GB2589480B (en) * 2019-02-28 2023-07-19 Stand Steady Company Llc Attachable display device
US11209869B2 (en) 2019-02-28 2021-12-28 Stand Steady Company, Llc Attachable displays screen for electronic devices
US11531374B2 (en) 2019-02-28 2022-12-20 Stand Steady Company, Llc Attachable display screen for electronic devices
US11447992B2 (en) * 2021-01-20 2022-09-20 Leohab Enterprise Co., Ltd. Pivot device with an interlocking lift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9429E1 (en) * 1990-05-04 2006-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bination laptop and pad computer
KR100284300B1 (ko) * 1998-10-16 2001-03-02 윤종용 휴대형 컴퓨터
US6430038B1 (en) * 2000-04-18 2002-08-06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with articulated mechanism
KR100461180B1 (ko) * 2002-04-12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6903927B2 (en) * 2002-12-17 2005-06-07 Nokia Corporation Convertible mobile computing device
US7277275B2 (en) * 2003-04-09 2007-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puter having adjustable display
KR100541737B1 (ko) * 2003-10-09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6980423B2 (en) * 2003-11-18 2005-12-27 Kabushiki Kaisha Toshiba Tablet interlocking mechanism
KR100534125B1 (ko) * 2003-12-10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JP2005209156A (ja) * 2003-12-25 2005-08-04 Sotec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KR100630956B1 (ko) * 2004-08-1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7239505B2 (en) 2004-10-08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Direct hinge for optimizing conversion
TWI295705B (en) * 2006-07-26 2008-04-11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function of adjusting tilt angle of body and apparatus base thereof
KR101589276B1 (ko) 2009-10-12 2016-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TWI459886B (zh) 2011-03-11 2014-11-01 Quanta Comp Inc 攜帶式電子裝置
KR101207203B1 (ko) 2011-05-16 2012-12-12 (주)쉘라인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US8908364B2 (en) * 2011-11-18 2014-12-09 Wistron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US20130214661A1 (en) * 2012-02-22 2013-08-22 Brian Dale McBroom Folding Tablet Keyboard Case
TWI502312B (zh) * 2012-02-24 2015-10-01 First Dome Corp A lifting device for the movement of auxiliary electronic objec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042A (ko) * 2017-11-21 2019-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03464A1 (ko) * 2017-11-21 2019-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73871B2 (en) 2017-11-21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04553B2 (en) 2016-04-05
US20140321038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8774A (ko) 컨버터블 컴퓨팅장치
EP1480109B1 (en) Swivel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6499927B (zh) 便携式电子、电气设备的配件
JP4063571B2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EP2733568B1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link mechanism of information apparatus
TWI526141B (zh) 電子裝置
US8767383B2 (en) Support assembly and computer device having the same
US11528352B1 (en)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20160128439A1 (en) Adjustable display housing assembly
TW201506584A (zh) 外接式電子裝置及其相關電腦系統
WO2013114503A1 (ja) 情報端末装置
US20070152113A1 (en) Compressed workspace notebook computer
US20140063714A1 (en) Tablet apparatus
CN101998789A (zh) 支撑模组及采用其的便携设备
US11680601B1 (en) Hinge with gear synchronization mechanism
KR101686141B1 (ko) 이축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04199219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7083966A (ja) 電子機器
JP4633849B1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443150B1 (ko) 도킹 스테이션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CN103163942A (zh) 周边装置
KR100549082B1 (ko) 휴대용 컴퓨터
JPH09311736A (ja) 携帯用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の拡張機器
KR20090099699A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465807B1 (ko) 휴대용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