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950B1 - 전선 안내덕트 - Google Patents

전선 안내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950B1
KR101776950B1 KR1020150101748A KR20150101748A KR101776950B1 KR 101776950 B1 KR101776950 B1 KR 101776950B1 KR 1020150101748 A KR1020150101748 A KR 1020150101748A KR 20150101748 A KR20150101748 A KR 20150101748A KR 101776950 B1 KR101776950 B1 KR 10177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ct
guide duct
variab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529A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5010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9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전선 안내덕트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선 안내덕트는: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되고, 굴절 가능한 안내덕트부와, 안내덕트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안내덕트부가 굴절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방향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안내덕트{WIRE DUCT}
본 발명은 전선 안내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용 가구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제품의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전선 안내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책상에는 사무자동화 추세에 따라 컴퓨터나 프린터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를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비치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전원선의 배선처리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의 책상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전원선의 특정 배선수단이 결여되어 있었던 관계로 책상의 배면측으로 전원선을 늘어뜨려 놓고 있는 것이 고작이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선이 걸리지 않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전선덕트를 사용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300076호 (200.12.23, 고안의 명칭 :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무용 가구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제품의 전선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굴절되는 구조에 의해 배선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고정할 수 있는 전선 안내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는: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되고, 굴절 가능한 안내덕트부와, 상기 안내덕트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안내덕트부가 굴절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방향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덕트부는 복수개의 단위덕트 및 상기 단위덕트 상호 간에 회동되어 굴절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단위덕트의 일측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축 및 상기 단위덕트의 타측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위덕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고정물에 접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피고정물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덕트에는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의 폭만큼 절개된 입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방향변경부는 상기 단위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가변브라켓 및 상기 가변브라켓과 상기 피고정물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변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고정물을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체결부재는 자력에 의해 상기 피고정물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브라켓은 상기 단위덕트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덕트부의 타측 단부에는 하중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는 각종 전자제품의 전선이 안내덕트부에 내부에 수용되어 정리될 수 있어 깔끔한 정리가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덕트부가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위덕트로 이루어져 전선의 배선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덕트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전선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고, 유입구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리브에 의해 전선의 의도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덕트에 착탈되며, 피고정물에 고정되어 안내덕트부의 굴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내방향변경부가 구비되어 전선의 안내방향, 사무용 가구의 위치 및 주변환경 등에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안내방향가변부를 보인 요부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안내방향가변부를 보인 요부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100)는, 안내덕트부(110), 고정부(120) 및 안내방향변경부(130)를 포함한다.
안내덕트부(110)는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되고, 굴절 가능하다. 보다 자세하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덕트부(110)는 복수개의 단위덕트(112) 및 단위덕트(112) 상호 간에 회동되어 굴절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115)를 포함한다.
단위덕트(112)는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을 지나는 전선을 안내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힌지부(115)는 단위덕트(112)의 일측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축(116) 및 단위덕트(112)의 타측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힌지축(116)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117)을 포함한다.
힌지축(116)과 힌지공(117)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덕트(112)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므로써, 각각의 단위덕트(112)를 일정간격 이격시킴으로써, 굴절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이처럼 힌지부(115)를 이용하여 단위덕트(112)의 연결에 의해 안내덕트부(11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단위덕트(112)에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선의 폭만큼 절개 형성된 입구부(1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은 단위덕트(112)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부(113)를 통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입구부(113)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114)가 형성된다.
고정부(120)는 안내덕트부(11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피고정물에 결합된다. 고정부(120)는 단위덕트(11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고정물에 접하는 고정브라켓(122) 및 고정브라켓(122)과 피고정물을 결합하는 체결부재(124)를 포함한다. 즉, 고정브라켓(122)은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단위덕트(112)의 힌지축(116)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고정물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124)를 나사로 하여 피고정물과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피고정물에 고정브라켓(122)을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안내방향변경부(130)는 안내덕트부(110)가 굴절되어 안내되게 한다. 즉, 안내방향변경부(130)는 안내덕트부(110)의 굴절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안내방향변경부(130)는 단위덕트(11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가변브라켓(132) 및 가변브라켓(132)과 피고정물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변체결부재(134)를 포함한다.
가변브라켓(132)은 단위덕트(11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브라켓(132)은 단위덕트(112)의 일면을 감싸는 후크(133)가 돌출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굴곡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를 설정하고, 가변브라켓(132)을 결합시킨 후 가변체결부재(134)(124)에 의해 피고정물에 고정함으로써, 안내덕트부(110)의 굴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피고정물은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가변체결부재(134)는 자력에 의해 피고정물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체결부재(134)를 스틸에 부착되는 자석으로 도시하지만 피고정물이 스틸이 아닐 경우, 피고정물과 가변브라켓(132)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벨크로파스너, 똑딱단추 등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안내덕트부(110)의 타측 단부에는 하중플레이트(140)가 구비된다. 이는 안내덕트(100)는 하중플레이트(140)의 하중에 의해 직선으로 드리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중플레이트(140)의 결합은 타측 단부의 단위덕트(112)에 고정브라켓(122)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100)의 설치를 살펴보면, 전선의 안내방향과 길이를 고려하여 단위덕트(112)를 연결하여 길이를 설정한다. 이는 단위덕트(112)를 상호 힌지부(115)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연결하여 요구되는 길이로 설정하고, 최외측의 단위덕트(112)에 각각 고정브라켓(122)과 하중플레이트(140)를 결합한다(도 2참고).
그리고, 고정브라켓(122)은 피고정물인 책상의 저면에 체결부재(124)에 의해 고정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한 상태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22)에 의해 안내덕트부(110)가 책상의 저면에 고정되고, 하중플레이트(140)의 하중에 의해 안대덕트부가 직선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이다. 이때, 하중플레이트(140)는 바닥면에 접하여 하중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책상의 상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기기의 전선들은 단위덕트(112)의 입구부(113)를 통해 각각의 단위덕트(112)의 내부로 수용되어 정리될 수 있다. 입구부(113)의 내측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리브(114)가 형성되어 의도되지 않은 전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선의 안내방향, 책상의 위치 및 주변환경에 의해 전선의 안내방향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방향변경부(130)에 의해 안내덕트부(110)를 굴절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안내덕트부(110)의 굴절부위에 위치된 단위덕트(112)에 가변브라켓(132)을 후크(133)에 의해 결합한 후 단위덕트(112)를 가변체결부재(134)에 의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물에 부착함으로써, 안내덕트부(110)를 굴절시켜 전선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피고정물은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가변체결부재(134)(124)는 자석으로 이루어지져 부착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안내덕트에 의하면, 각종 전자제품의 전선이 안내덕트부에 내부에 수용되어 정리될 수 있어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고, 안내덕트부가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위덕트로 이루어져 전선의 배선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안내방향변경부에 의해 전선의 안내방향, 사무용 가구의 위치 및 주변환경 등에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선 안내덕트 110 : 안내덕트부
112 : 단위덕트 113 : 입구부
114 : 이탈방지리브 115 : 힌지부
116 : 힌지축 117 : 힌지공
120 : 고정부 122 : 고정브라켓
124 : 체결부재 130 : 안내방향변경부
132 : 가변브라켓 133 : 후크
134 : 가변체결부재 140 : 하중플레이트

Claims (9)

  1.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이 구비되고, 굴절 가능한 안내덕트부; 상기 안내덕트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안내덕트부가 굴절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방향변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덕트부는, 복수개의 단위덕트; 및 상기 단위덕트 상호 간에 회동되어 굴절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방향변경부는, 상기 단위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가변브라켓;
    상기 가변브라켓과 상기 피고정물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변체결부재; 및
    상기 가변브라켓을 상기 단위덕트에 착탈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브라켓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위덕트의 일면을 감싸는 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안내덕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단위덕트의 일측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축; 및
    상기 단위덕트의 타측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안내덕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위덕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고정물에 접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피고정물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안내덕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덕트에는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의 폭만큼 절개된 입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안내덕트.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물을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체결부재는 자력에 의해 상기 피고정물에 부착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안내덕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브라켓은 상기 단위덕트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안내덕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덕트부의 타측 단부에는 하중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안내덕트.
KR1020150101748A 2015-07-17 2015-07-17 전선 안내덕트 KR10177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48A KR101776950B1 (ko) 2015-07-17 2015-07-17 전선 안내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748A KR101776950B1 (ko) 2015-07-17 2015-07-17 전선 안내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529A KR20170009529A (ko) 2017-01-25
KR101776950B1 true KR101776950B1 (ko) 2017-09-08

Family

ID=5799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748A KR101776950B1 (ko) 2015-07-17 2015-07-17 전선 안내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9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42B1 (ko) * 2009-06-19 2010-01-06 장근대 전선안내덕트
KR200460373Y1 (ko) * 2011-09-21 2012-05-21 (주)유피스 전선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42B1 (ko) * 2009-06-19 2010-01-06 장근대 전선안내덕트
KR200460373Y1 (ko) * 2011-09-21 2012-05-21 (주)유피스 전선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529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559B2 (en) Wire-reeling type desk
KR101776950B1 (ko) 전선 안내덕트
US9666980B2 (en) Electrical power strip housing
CN106764271A (zh) 显示装置
KR100935342B1 (ko) 전선안내덕트
US20130206446A1 (en) Cord Organizer System
KR200384336Y1 (ko) 책상용 배선덕트
US11058020B2 (en) Wall mount device
JP5901583B2 (ja) エネルギー計測装置
JP2011078257A (ja) かんたん配線カバー
KR20170000024U (ko) 케이블 고정기구
JP6176574B2 (ja) 床用配線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床用配線器具
CN206515756U (zh) 一种服务器理线装置
US8497007B2 (en) Protective sheathing apparatus
KR200460068Y1 (ko) 디스플레이 스탠드용 케이블 클램프
KR20130003614U (ko) 배선덕트가 형성된 책상
KR101794415B1 (ko) 책상용 전선캡 및 이를 갖는 책상
KR101689756B1 (ko) 케이블 정리용 조립식 홀더
JP6176575B2 (ja) 床用配線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床用配線器具
KR20150002851U (ko) 전선 정리용 클립
KR20140081017A (ko) 양면테이프가 달린 멀티탭 전선 정리함
KR200293672Y1 (ko) 케이블 배선을 위한 금속재 책상의 뒷판 구조
KR101847124B1 (ko) 자유 벤딩 브라켓
JP2018074037A (ja) 情報分電盤用箱体
KR200344178Y1 (ko) 사무용 가구의 전선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