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250A - 부직물 웹 - Google Patents

부직물 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250A
KR20160149250A KR1020167032869A KR20167032869A KR20160149250A KR 20160149250 A KR20160149250 A KR 20160149250A KR 1020167032869 A KR1020167032869 A KR 1020167032869A KR 20167032869 A KR20167032869 A KR 20167032869A KR 20160149250 A KR20160149250 A KR 20160149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nonwoven
web
nonwoven web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구라시마
고지 이마이
겐이치 요다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6014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61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covering undersurfaces of vehicles, e.g. wheel hou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8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02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thods, e.g. need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06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welding-together thermoplastic fibres, filaments, or yar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 외장용 흡음 부재로서 사용된 경우 800 ㎐ 내지 1000 ㎐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뛰어난 흡음률을 갖는 부직물 웹(web)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직물 웹은 용융취입된(meltblown) 섬유 및 용융취입된 섬유와 혼입되고(confounded) 적어도 일부 혼입점에서 용융취입된 섬유와 융합되도록 배열된 결합제 섬유를 갖는 부직물을 포함하고, 부직물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400g/m2 내지 1500g/m2이며, 부직물의 굽힘 강도(flexural rigidity)는 2.0 N/50mm 내지 20.0 N/50mm이다.

Description

부직물 웹{NONWOVEN FABRIC WEB}
본 발명은 부직물 웹, 특히 부직물 웹을 이용하는 흡음재에 관한 것이다.
흡음재는 각종 유형의 소음을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 외장용 흡음재는 차량의 내부로 침투하는 차량 외부 소음 (이동 시 생성되는 운행 중 차의 소음)을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이 분야에서 참고문헌으로서 제공되는 문헌의 예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7-261359호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 2009-184296호가 포함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7-261359호에는 주 섬유와 결합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물을 갖는 차량 외장용 흡음재가 개시되며, 여기에서 부직물은 부직물 표면 상에 제공된 분말형 수지를 가열함으로써 형성된 수지 층을 구비하고, 미립자 상태로 잔류하는 분말형 수지 일부를 갖는 이 수지 층은 다공성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9-184296호에서는, 유기 섬유 부직물(A)과 0.5dtex 이하의 섬도를 갖는 유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용융취입된(meltblown) 부직물(B)을 라미네이트(laminate) 및 통합시킴으로써 형성된 복합 부직물로 이루어지는 흡음재가 개시되며, 여기에서 유기 섬유 부직물(A)은 10 내지 90중량%의, 1.1 내지 22dtex의 섬도를 갖는 코어-외피(core-sheath) 구조를 갖는 열-접합 유기 섬유(a) 및 10 내지 90중량%의, 2.2 내지 33dtex의 섬도를 갖는 실질적으로 권축형(crimped-type) 폴리에스테르 단섬유(b)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복합체 부직물은 라미네이트된 유기 섬유 부직물(A)과 용융취입된 부직물(B) 상에서 건조기를 이용한 열처리를 수행하거나 가열된 롤 가공에 의해, 코어-외피 구조를 갖는 열-접합 유기 섬유(a)가 용융되도록 하여 이 유기 섬유 부직물(A)과 용융취입된 부직물(B)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흡음재는 사용 환경, 사용 목적 등에 상응하는 주파수 범위 내에서 높은 흡음률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차량 외장용 흡음재에 사용된 경우, 800 ㎐ 내지 1000 ㎐ 주파수 범위에서의 소리 (예를 들어, 차량 운행 동안 도로 표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 또는 충돌과 같은 도로 소음에서 유래하는 소음)에 대하여 뛰어난 흡음률을 갖는 흡음재 (예를 들어, 부직물 웹이 구비된 흡음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 방식으로서, 용융취입된 섬유 및 용융취입된 섬유와 혼입되고(confounded) 적어도 일부 혼입점에서 용융취입된 섬유와 융합되도록 배열된 결합제 섬유를 갖는 부직물이 구비된 부직물 웹을 제공하며, 이 부직물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400g/m2 내지 1500g/m2이며, 부직물의 굽힘 강도(flexural rigidity)는 2.0 N/50mm 내지 20.0 N/50mm이다.
본 발명으로, 차량 외장용 흡음 부재 (예를 들어, 펜더 라이너(fender liner))에 사용된 경우, 800 ㎐ 내지 1000 ㎐의 주파수 범위 내 소리에 대하여 뛰어난 흡음률을 갖는 부직물 웹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을 구성하는 부직물의 생산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는 펜더 라이너의 장착 위치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선 IVb-IVb를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실시예(working exampel)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부직물 웹에 대한 수직 입사 흡음률 측정 결과를 예시한다.
도 5b는 800 ㎐ 및 1000 ㎐의 주파수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부직물 웹에 대한 수직 입사 흡음률 측정 결과를 예시한다.
도 6a는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부직물 웹에 대한 수직 입사 흡음률 측정 결과를 예시한다.
도 6b는 800 ㎐ 및 1000 ㎐의 주파수에서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부직물 웹에 대한 수직 입사 흡음률 측정 결과를 예시한다.
도 7a는 참조예 1 내지 참조예 5의 부직물 웹에 대한 수직 입사 흡음률 측정 결과를 예시한다.
도 7b는 800 ㎐ 및 1000 ㎐의 주파수에서 참조예 1 내지 참조예 5의 부직물 웹에 대한 수직 입사 흡음률 측정 결과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부직물 웹은 하기의 실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에서, 동일 또는 균등한 부분은 동일한 기호로 표지되고,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융취입된 섬유는, 특히 열가소성 재료를 용융시킴으로써 다이 (금속 몰드)를 통하여 실 형태 (또는 필라멘트 형태)로 성형되는 섬유들 중, 고속 가스(예를 들어, 공기) 흐름 내로의 압출에 의해 좁게 형성된 섬유를 지칭한다. 실 형태 또는 필라멘트 형태로 성형된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는 고속 가스의 흐름에 의해 연신되고, 그 직경이 감소된다. 이들 용융취입된 섬유의 섬유 직경은 약 20마이크로미터 (μm) 미만 또는 약 1 내지 10μm 미만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결합제 섬유는 섬유 연결 (예를 들어, 융합에 의한 연결)을 위한 결합제의 롤을 제공하는 단섬유를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웹은 섬유가 서로 연결 또는 얽혔을 때 형성되는 용품 (예를 들어, 시트)을 지칭한다.
먼저,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0)은 용융취입된 섬유 및 결합제 섬유를 갖는 부직물 (2)의 단일 층으로 이루어진다. 결합제 섬유는 용융취입된 섬유와 혼입되도록 배열되고, 이들 두 섬유는 모두 적어도 일부 혼입점에서 융합된다.
부직물 (2)에서, 다이로부터 용융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주입된 복수의 용융취입된 섬유 (장섬유)와 여러 방향을 면하는 결합제 섬유 (단섬유)가 혼입되고, 이들 두 섬유는 모두 용융취입된 섬유와 결합제 섬유의 적어도 몇몇 교차점에서 융합된다. 부직물 (2)에서, 결합제 섬유와 기타 결합제 섬유 및 용융취입된 섬유와 결합제 섬유 사이의 섬유 간에 융합이 있을 수 있다. 특정 생산 방법이 하기에 설명될 것이지만, 부직물 (2)은, 예를 들어 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주입된 용융취입된 섬유의 흐름에 대하여 결합제 섬유를 취입 및 혼입하여 용융취입된 섬유와 결합제 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후 결합제 섬유가 여러 방향을 면하여 분산된 상태로 웹을 가열 및 가압하여 웹을 압축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제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웹이 가열되는 등의 경우, 용융취입된 섬유와 융합되도록 용융 또는 연화되는 열적 성질을 갖는다. 추가로, 결합제 섬유의 용융 온도 (또는 연화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용융취입된 섬유의 용융 온도 (또는 연화 온도)보다 낮다. 여기에서, 용융 온도는 JIS K7121 (1987)에 따른 "용융 온도"를 지칭하며, 연화 온도는 JIS K7206 (1999)에 따른 "바이캣(Vicat) 연화 온도"를 지칭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0)을 구성하는 부직물 (2)은 400g/m2 내지 1500g/m2로부터의 단위 면적 당 전체 중량 및 2.0N/50mm 내지 20.0N/50mm의 굽힘 강도를 갖는다.
이제,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0)의 생산 방법이 설명된다.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0)은 단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물 (2)을 포함하며, 따라서 부직물 (2)의 생산 방법은 부직물 웹 (10)의 생산 방법에 상응한다.
부직물 (2)은, 용융취입된 섬유 공급을 위한 단위 및 결합제 섬유 공급을 위한 단위를 이용하여 웹 (60)을 제조하고, 이 웹 (60)을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을 구성하는 부직물 (2)의 생산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장치는 하우저(Hauser)의 미국특허 제4,118,531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장치이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압출기 (도시되지 않음) 및 용융 열가소성 재료 (열가소성 수지 등)가 그를 통해 추진되어지는 압출 챔버 (101),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가 그를 통해 압출되어지는 다이 오리피스 (102) 및 가스 (전형적으로 가열된 공기)가 고속으로 그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조정된(coordinated) 가스 오리피스 (103)를 갖는 용융취입 다이 (100)가 구비된 용융취입 장치를 이용하여, 압출기로부터 공급된 용융 수지는 용융취입 다이 (100)로부터 압출되어 용융취입된 섬유 (52)를 형성한다 (용융취입법). 이러한 고속 가스는 압출된 열가소성 재료를 연신시키고 정련한다. 정련된 열가소성 재료 (정련된 섬유)가 누적 장치의 형성 표면으로 이동되면, 열가소성 재료는 응고된다. 정련된 섬유의 종횡비 (길이 대 섬유 직경의 비)는 점진적으로 무한에 접근한다. 용융취입된 섬유는 고속 가스에 의한 정련 시점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섬유의 길이가 반드시 균일하지는 않음이 알려져 있다.
도 2에 예시된 용융취입 장치는, 웬트, 반 에이 (Wente, Van A.)에 의한 "초미세 열가소성 섬유" 또는 해군연구소 (Naval Research Laboratories)의 보고서 제43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두 문헌은 모두 하우저의 미국특허 제4,118,531호에서 인용되어 있다.
웹 (60)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용융취입된 섬유 (52)를, 드럼 표면 상에 섬유가 누적되도록 표면 상에 개방된 미세 구멍을 갖는 스크린 등을 포함한 회전 드럼 (105) 내로 취입하여 생산된다. 이러한 드럼 (105)은 적어도 용융취입 다이 (10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드럼 (105)의 표면은 용융취입 다이 (100)로부터 0.3 내지 1m 또는 0.38 내지 0.64m의 범위 내의 거리로 설정된다. 도 2에, 섬유가 회전 드럼 (105)의 표면 상에 누적되는 예가 예시되어 있지만, 누적의 대상 (누적 장치)은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 등, 또는 복수의 드럼 또는 벨트 컨베이어의 조합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섬유가 누적되는 누적 장치의 표면 (형성 표면)의 뒷면 상에 흡인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용융취입된 섬유 (52)는 이들이 형성 표면 상에 취입됨과 동시에 흡인될 수 있다.
드럼 (105)의 회전 속도 (또는 누적 장치의 작동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용융취입된 섬유 (52)의 주입 속도보다 충분히 더 느린 회전 속도로 설정된다. 드럼 (105)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결과로서 생성된 웹 (60) 및 부직물 (2)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드럼의 회전 속도가 느린 수준으로 설정된 경우, 드럼 표면 상에 누적된 섬유의 양은 증가하고, 이는 단위 면적 당 중량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용융취입된 섬유 (52)를 드럼 (105) 상으로 취입시킴으로써 웹 (60)을 형성하는 경우, 용융취입 장치 위에 배치한 섬유 취입 장치를 이용하여 결합제 섬유 (54)를 웹 (60) 내로 혼합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결합제 섬유 (54)의 혼합은 활송장치 (chute) (108), 드라이브 롤(drive roll) (109), 리커인(lickerin) 롤 (106), 덕트 (duct) (110) 및 공기 공급 덕트 (111)를 갖는 섬유 취입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결합제 섬유 (54)에 대한 원료로서 제공되는 섬유 집합체 (107)는 드라이브 롤 (109)에 의해 활송장치 (108)를 따라 이동된다. 그의 전방 말단이 드라이브 롤 (109)의 하부에 도달하면, 이는 리커인 롤 (106)에 의해 뜯기고, 섬유 집합체 (107)로부터 뜯긴 섬유는 결합제 섬유 (54)로서 덕트 (110)로 공급된다. 리커인 롤 (106)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공기 흐름 또는 공기 공급 덕트 (111)로부터 공급된 공기 흐름이 덕트 (110) 내로 흘러들어가면, 결합제 섬유 (54)는 용융취입 다이 (100)로부터 주입된 용융취입된 섬유 (52)의 흐름에 대하여 취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제 섬유 (54)를 용융취입된 섬유 (52)의 흐름 내로 혼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용융취입된 섬유 (52) 및 결합제 섬유 (54)가 서로 혼합된 웹 (60)이 생산된다. 이는 용융취입된 섬유 (52) 및 결합제 섬유 (54)가 웹 (60)으로 합성되는 상태를 야기한다. 결합제 섬유 (54)의 취입 양 (즉, 결합제 섬유 (54)의 배합비)은 리커인 롤 (106)의 회전 속도, 공기 공급 덕트 (111)로부터의 공기 공급 속도 등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섬유 집합체 (107)는 통상의 섬유 개방(opening) 기기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네트 기(garnet machine)- 즉, 란도-웨버(RANDO-WEBBER)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부직물 (2) (부직물 웹 (10))이, 결과로서 생성된 웹 (60)을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생산된다. 이 시점에서, 용융취입된 섬유 (52) 및 결합제 섬유 (54)는, 그의 접촉점(교차점)에서 융합을 유도하기에 충분하게 가열되며, 웹 (60)의 두께 방향에서 상향 및/또는 하향 방향으로 가압 및 압축된다. 웹 (60)에 대한 가열 및 가압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결과로서 생성된 부직물의 두께 또는 고형도는 조절될 수 있다. 부직물 (2)은 바람직한 형태로 성형된 후에 사용될 수 있지만, 부직물 (2)은 부직물 (2)이 수득된 후 성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설명된 가열 및 가압은 웹 (60)이 바람직한 형태로 성형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가열 온도는 웹 (60)을 구성하는 섬유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지만, 온도는 결합제 섬유 (54)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는 온도 이상이다.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결합제 섬유 (54)가 용융되지만 용융취입된 섬유 (52)는 용융되지 않는 온도가 바람직하다. 코어-외피 구조를 갖는 결합제 섬유가 요청되는 경우, 이들은 외피 부분만이 용융되는 조건 하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가열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램프, 가열기 등을 이용한 웹의 직접 가열 방법, 압축시에 사용된 가압 장치의 프레스(press) 부분의 가열에 의한 압축시 웹의 간접 가열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압 압력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MPa로 설정될 수 있다. 가압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가압 장치, 캘린더 (calender), 압력 롤러 등을 이용하는 가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부직물 (2)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400g/m2 내지 1500g/m2이지만, 바람직하게는 600g/m2 내지 1500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g/m2 내지 1500g/m2, 및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00g/m2 내지 1500g/m2이다. 단위 면적 당 중량을 400g/m2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보통의 굽힘 강도를 갖는 부직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단위 면적 당 중량을 1500g/m2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중간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800 ㎐ 내지 1000 ㎐)에서 흡음률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직물 (2)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용융취입된 섬유 (52) 및 결합제 섬유 (54)의 함량 비, 상기 설명된 부직물 (2)의 생산 방법에서 용융취입된 섬유 (52)의 주입 속도, 결합제 섬유 (54)의 취입 속도, 누적 장치의 작동 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부직물 (2)의 굽힘 강도는 2.0N/50mm 내지 20.0N/50mm이지만, 바람직하게는 3.0N/50mm 내지 20.0N/5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N/50mm 내지 20.0N/50mm, 및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N/50mm 내지 20.0N/50mm이다. 굽힘 강도를 2.0N/50m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부직물 웹이 구비된 흡음재의 흡음률 - 특히, 800 ㎐ 내지 1000 ㎐의 주파수 범위에서의 흡음률을 더욱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굽힘 강도를 15.0N/50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중간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800 ㎐ 내지 1000 ㎐)에서 흡음률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직물 (2)의 굽힘 강도는 용융취입된 섬유 (52) 및 결합제 섬유 (54)의 함량 비 또는 부직물 (2)의 단위 면적 당 중량, 웹 (60)의 압축 가공 등의 제어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굽힘 강도는 JIS K7074 (1998)의 3-점 굽힘 시험 (방법 A)을 기준으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부직물 (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10 mm 이하, 5mm 이하, 또는 3mm 이하일 수 있다. 부직물 (2)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 내인 경우, 본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0)을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는 바람직한 것이다.
부직물 (2)의 고형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또는 40%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직물의 고형도는 부직물의 부피 밀도를 부직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밀도로 나누어 수득된 값 (퍼센트)이며, 부직물의 충전성, 기밀성 [원문 "기밀" (원문 일본어에서의 실수)에서 수정됨], 통기성 등의 지수로서 제공된다. 부직물의 고형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부직물 (2)의 환기 저항은 1000Ns/㎥ 이상, 2000Ns/㎥ 이상, 3000Ns/㎥ 이상, 5000Ns/㎥ 이상, 8000Ns/㎥ 이상, 10,000Ns/㎥ 이상일 수 있다.
부직물 (2)을 구성하는 용융취입된 섬유 (52)의 제공을 위한 수지는 가열시 그것이 용융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용융취입 장치에 의해 용융 및 방적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등이 그러한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및 폴리프로필렌 (PP)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1,4-사이클로헥산 다이메탄올 (PCT), 폴리락트산 (PLA),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수지, 및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것과 같은 기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수지들 중, PBT 또는 PP가 비용,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더욱 낮은 비중을 갖는 PP가 중량 감소의 관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용융취입된 섬유 (52)는 단면 형태, 섬유 직경, 길이 등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용융취입된 섬유 (52)는 약 20μm 미만 및 전형적으로약 1 내지 10μm의 섬유 직경을 가져서, 용융취입된 섬유 (52)를 사용하는 부직물 웹 (10)은 전형적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물로 제조된 흡음재에 비하여, 표면 밀도와 관련하여 섬유의 상대적 수에서의 증가를 보인다. 이는, 부직물 웹 (10)을 관통하는 소리 에너지를 공기 마찰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높은 흡음 특성을 초래한다.
부직물 (2)을 구성하는 결합제 섬유 (54)로서, 그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용융취입된 섬유 (52)를 제공하는 수지의 용융 온도 (또는 연화점 온도)보다 더욱 낮은 용융 온도 (또는 연화점 온도)인 부분을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결합제 섬유 (54)의 상응 부분의 용융 온도 (또는 연화점 온도)가 용융취입된 섬유 (52)의 용융 온도 (또는 연화점 온도)보다 적어도 약 10℃ 낮은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온도는 적어도 약 20℃ 낮을 수 있다. 그러한 부분을 갖는 것은 결합제로서의 기능성을 생성한다. 상기 기재된 용융취입된 섬유 (52)를 제공하기 위한 수지의 예로서 제공된 수지는 결합제 섬유 (54)를 제공하기 위한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용융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 등은 결합제 섬유 (54)의 저용융점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결합제 섬유 (54)는 철저히 균일한 용융점을 갖는 재료일 필요는 없으며, 이들은 적어도 표면에서 낮은 용융 온도 (또는 낮은 연화점 온도)인 부분을 갖는 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 부분만이 낮은 용융 온도 (또는 연화점 온도)를 갖는 코어-외피 구조를 갖는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코어-외피 구조물을 갖는 섬유가 사용된 경우, 용융취입된 섬유 (52)와 혼합된 경우 낮은 용융 온도 (또는 낮은 연화점 온도)를 갖는 결합제 섬유 (54)의 외피 부분만이 용융되고, 코어 부분은 용융취입된 섬유 (52)와 함께 섬유로서 잔류한다.
부직물 (2)을 구성하는 결합제 섬유 (54) (단섬유)는 그 단면 형태, 섬유 직경, 또는 그의 섬유 길이와 관련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펀 섬유를 절단함으로써 생산된 약 10mm 내지 100mm 섬유 길이의 스테이플(staple)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결합제 섬유 (54)의 섬도는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으나, 전형적으로 1데시텍스 (dtex) 내지 100데시텍스의 범위 내이다. 대안적으로, 섬도는 약 2데시텍스 내지 50데시텍스 또는 약 2데시텍스 내지 15데시텍스의 범위 내일 수 있다.
결합제 섬유 (54)의 섬유 길이는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약 10mm 내지 100mm의 범위 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mm 내지 60mm의 범위 내이고, 길이 150mm의 섬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결합제 섬유는 1 내지 10의 범위 또는 약 3 내지 5의 범위 내의 주름 수 당 1cm를 갖도록 권축될 수도 있다.
결합제 섬유 (54)의 함량은, 용융취입된 섬유 (52) 및 결합제 섬유 (54)의 총 양인 100질량부 당,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내지 8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내지 80질량부이다. 결합제 섬유 (54)의 함량을 30질량부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결과로서 생성된 부직물 (2)의 굽힘 강도를 추가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결합제 섬유 (54)의 함량을 85질량부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800 ㎐ 내지 1000 ㎐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뛰어난 흡음률을 유지하면서, 결과로서 생성된 부직물을 구비한 흡음재에 보통의 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제 섬유 (54)의 함량은 부직물 (2)의 생산시에, 결합제 섬유 (54) (즉, 결합제 섬유 (54)의 배합비)의 취입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부직물 (2)은 본 발명의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직물 (2)은 용융취입된 섬유 (52)를 제공하기 위한 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갖는 스테이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0)에는 상기 설명된 구조가 제공되기 때문에, 이는 뛰어난 흡음률을 갖고, 특히 공기 층 및 부직물 웹 (10)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경우 뛰어난 흡음률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이는 800 ㎐ 내지 1000 ㎐의 주파수 범위에서 뛰어난 흡음성을 갖는다. 통상의 흡음재 (예를 들어, 부직물 웹을 구비한 흡음재)는, 재료가 높은 주파수 범위에서 뛰어난 흡음성을 갖더라도, 800 ㎐ 내지 1000 ㎐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낮은 흡음률을 갖는다. 이러한 주파수 범위 내의 소리는 도로 소음의 정점에 상응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0)은 펜더 라이너와 같은 차량 외장 흡음 부품에도 적합하다.
이제,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이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은 상기 설명된 부직물을 복수개 갖는 다층 구조를 갖는 부직물 웹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예시된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1)은 제1 부직물 (4) 및 제2 부직물 (6)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갖는 부직물 웹이다. 제1 부직물 (4) 및 제2 부직물 (6)은 모두 용융취입된 섬유 및 이 용융취입된 섬유와 합성되고 적어도 일부 합성 지점에서 용융취입된 섬유와 융합되도록 배열된 결합제 섬유를 갖지만, 두 부직물은 부직물을 구성하는 섬유의 조성 또는 환기 저항 면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부직물 웹 (11) (2층 부직물)에 대해 측정한 경우, 단위 면적 당 중량은 400g/m2 내지 1500g/m2의 범위 내이며, 굽힘 강도는 2.0N/50mm 내지 20.0N/50mm의 범위 내이다.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1)의 제1 부직물 (4) 및 제2 부직물 (6)은 모두, 제1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0)에 대해 설명된 부직물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여러 방향을 면하는 결합제 섬유 (단섬유)는 용융취입된 섬유 (장섬유)와 합성되어, 두 섬유 모두가 용융취입된 섬유와 결합제 섬유의 교차점들의 적어도 일부에서 융합된 형태의 부직물을 결과로서 생성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1)에서, 제2 부직물 (6)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제1 부직물 (4)의 단위 면적 당 중량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러한 2층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부직물 웹 자체의 더욱 높은 강도 및 흡음 특징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1)은, 제1 부직물 (4) 및 제2 부직물 (6)이 가열 및 가압에 의해 융합된 것, 또는 제1 부직물 (4) 및 제2 부직물 (6)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제1 부직물 (4)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400g/m2 이상 1500g/m2 미만, 600g/m2 이상 1500g/m2 미만, 또는 800g/m2 및 1500g/m2 미만일 수 있다. 단위 면적 당 중량을 400g/m2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결과로서 생성되는 라미네이트 (8)에 보통의 굽힘 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바람직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단위 면적 당 중량을 1500g/m2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라미네이트 (8)가 사용된 경우, 중간 주파수 범위 (예를 들어, 800 ㎐ 내지 1000 ㎐)에서 흡음률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바람직한 것이다.
제2 부직물 (6)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은 0g/m2 초과 및 400g/m2 이하, 50g/m2 초과 및 400g/m2 이하, 200g/m2 초과 및 400g/m2 이하, 또는 300g/m2 초과 및 400g/m2 이하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 (11)에서, 고형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전체 부직물 웹 (11) (2층 부직물)에 대해 측정된 경우, 고형도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또는 40% 이상이다. 추가적으로, 부직물 웹(11)에서, 제1 부직물 (4)의 고형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30% 이상, 40% 이상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부직물 (4)의 고형도를 15%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2층 구조를 갖는 부직물 웹의 더더욱 높은 강도 및 흡음 특성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은, 그 적용에 상응하는 형태로 가공된 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직물 웹은 프레스 성형 장치 등의 몰드(mold) 내에서 가열 및 가압되며, 원하는 성형품이 수득되도록 예정된 형태로 성형된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부직물 웹은 차량 외장용 흡음 부재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직물 웹은 펜더 라이너, 엔진 하부 커버, 또는 차량의 본체 하부 커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부직물 (2)이 차량 외장용 및 특히 자동차 펜더 라이너용 흡음 부재로서 사용된 방식이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펜더 라이너의 장착 위치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펜더 라이너 (타이어 하우징에 상응하는 형태로 성형된 부직물 웹) (200)는, 타이어 하우징 (302)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도록 차 본체 (500) 내부에 형성된 타이어 하우징 (302)에 고정된다 (펜더 (300) 아래 및 타이어 (304) 위).
펜더 라이너 (200)를 타이어 하우징 (302)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 (또는 고정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유 수단 (예를 들어, 클립)이, 타이어 하우징 (302)을 펜더 라이너 (2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타이어 하우징 상에 제공될 수 있거나, 연결 부품 (fitting)에 의해 타이어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구멍이 펜더 라이너 (200)에 제공될 수 있다.
펜더 라이너 (200) 및 타이어 하우징 (302)에 의해 형성된 공간 (210)은 공기 층, 펠트 층 등을 포함하는 흡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층일 수 있다. 흡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층이 제공되는 경우, 이들 층은 펜더 라이너와 일체로 형성되고, 차량 소음 또는 차량 외부 소음 (이동시 생성되는 운행 중 차의 소음, 등)의 차량 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흡음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흡음 구조물은 펜더 라이너와 같은 흡음 층 및 공기 층, 펠트(felt) 층 등을 포함하는 흡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한다. 흡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층이 공기 층인 구조물이 흡음 구조물로서 바람직하다.
흡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 (L1)는 5 내지 40mm일 수 있고, 일 방식에서는, 5 내지 20mm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실시예는 펜더 라이너 (200)를 자동차의 타이어 하우징 (302)에 부착시키기 위한 펜더 라이너 부착 구조물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펜더 라이너 (200)는 타이어 하우징 (302)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 및 부착되며, 펜더 라이너 (200)는 상기 설명된 부직물 웹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된 펜더 라이너 부착 구조물에서, 상기 설명된 부착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펜더 라이너 (200)가 타이어 하우징 (302) 면에 제공된 보유 수단 (예를 들어, 클립)에 의하여 타이어 하우징 (302)에 고정된 경우, 또는 펜더 라이너 (200)가 펜더 라이너 (200) 내에 구멍을 제공하고 타이어 하우징 (302) 상에 그를 맞추어 연결하여 고정되는 경우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기재된 펜더 라이너의 부착 구조물에서, 펜더 라이너 (200) 및 타이어 하우징 (302)에 의해 형성된 공간 (210)은 공기 층, 펠트 층 등을 포함하는 흡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층일 수 있다.
흡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층이 제공되는 경우, 이들 층은 펜더 라이너와 일체로 형성되고, 차량 소음 또는 차량 외부 소음 (이동시 생성되는 운행 중 차의 소음, 등)의 차량 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흡음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공기 층이 제공된 구조물이 흡음 구조물로서 바람직하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실시 형태는 차량 외부 소음의 차량 내로의 침투 방지 방법으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형태는 차량 외부 소음의 차량 내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펜더 라이너는 타이어 하우징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되고, 펜더 라이너는 상기 설명된 부직물 웹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방법에서, 펜더 라이너는 타이어 하우징으로부터 5 내지 40mm 떨어지도록 배치되거나, 타이어 하우징으로부터 5 내지 20mm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경우, 타이어 하우징과 펜더 라이너 간의 분리 거리는 그 평균 값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상기 설명된 부직물 웹이 구비된 펜더 라이너로 이루어지는 흡음재 층 및 공기 층 등을 포함하는 흡음 부재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흡음 구조물이 타이어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 형성되고, 이는 차량 외부 소음의 차량 내로의 침투 방지에 뛰어난 성능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800 ㎐ 내지 1000 ㎐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뛰어난 흡음률을 산출하는데, 이는 도로 소음의 차량 내로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아래에서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선 알로머 리미티드 (Sun Allomer Ltd.) 제조)을 용융취입된 섬유로서 사용하였으며, 섬유 직경 2.9μm를 갖는 용융취입된 섬유를 압출기에 의해 용융취입 다이로부터 단위 면적 당 중량이 137g/m2이 되도록 방적하였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코어 재료로서 갖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외피 재료로서 갖는 코어-외피 구조를 갖는 460g/m2의 결합제 섬유 (4080, 유니티카 리미티드 (Unitika Ltd.) 제조, 섬도: 6.6dtex, 섬유 길이: 32mm)를, 용융취입된 섬유가 방적된 직후 웹과 합쳐지도록 혼합하였으며, 이에 따라 597g/m2의, 단위 면적 당 총 중량 을 갖는 웹을 생산하였다. 이 웹을 137℃ 및 10MPa의 조건 하에서 60초 동안 가열 및 압축하여, 두께 1.8mm의 부직물 (1)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직물 (1)의 단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물 웹을 수득하였다. 용융취입된 섬유의 비중은 0.91g/㎤이었으며, 결합제 섬유의 비중은 1.38g/㎤이었다. 추가적으로, 용융취입된 섬유의 비중은 0.91g/㎤이었으며, 결합제 섬유의 비중은 1.38g/㎤이었다 [원문 오류: 본 문장이 원문에 말 그대로 반복됨].
부직물 (1)의 단위 면적 당 중량, 굽힘 강도, 두께, 부피 밀도, 고형도, 및 환기 저항을 하기 설명된 방법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섬유 직경은 하기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단위 면적 당 중량의 측정]
부직물 (1)의 단위 면적 당 중량 (g/m2)을, 부직물 (1)을 직경 133mm의 원형으로 잘라낸 직물 세 개를 준비하고 각 샘플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단위 면적 당 중량은 세 개의 직물의 평균 값으로부터 결정하였다.
[굽힘 강도의 측정]
부직물 (1)의 굽힘 강도는 JIS K7074 (1998)의 3-점 굽힘 시험 (방법 A)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두께]
부직물 (1)의 두께 (mm)는 ASTM F778-88에 따른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부직물 (1)을 직경 133mm의 원형으로 잘라낸 직물 세 개를 준비하였다. 직경 100mm의 상부 플레이트(plate)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쌍이 구비된 측정 장치를 준비하고, 16g의 추를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하고 올린 후, 샘플을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에 배치하였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1.0cm의 높이로 조절하였으며, 상부 플레이트를 이 높이로부터 움직여서, 그 자체의 중량으로 하부 플레이트 상에 떨어뜨렸다. 이 상태로 3초 대기 후,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거리를 구비된 측미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을 부직물 (1)의 두께로서 사용하였다.
[고형도의 측정]
부직물 (1)의 고형도(%)는 부직물 (1)의 부피 밀도 ρ1를 부직물 (1)을 구성하는 재료의 밀도 ρ2로 나누어 결정된 값을 나타내며,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부직물 (1)의 부피 밀도 ρ1은, 상기 설명된 방법에 의해 결정된 부직물 (1)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상기 설명된 방법에 의해 결정된 부직물 (1)의 두께로 나누어 결정하였다. 추가적으로, 밀도 ρ2는 용융취입된 섬유와 원료 공급자에 의해 제공된 결합제 섬유의 밀도 및 용융취입된 섬유와 결합제 섬유의 배합비로부터 결정하였다.
[환기 저항의 측정]
부직물 (1)의 환기 저항 (Ns/㎥)을 ASTM C 522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부직물 (1)을 직경 5.25인치 (13.33mm)의 원형으로 잘라낸 직물을 준비하였다. 원형으로 잘라낸 부직물 (1)을 샘플 스테이지(stage)에 고정시켰다. 압축 공기를 부직물 (1)의 100 ㎠의 범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공급하였고, 부직물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성된 압력차를 측정하였다.
[수직 입사 흡음률의 측정]
부직물 웹의 흡음률을 ASTM의 E 1050-98을 기준으로 한 2-마이크로폰 방법 ("관, 2 개의 마이크로폰 및 디지탈 주파수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임피던스 및 흡수 (Impedance and Absorption Using A Tube, Two Microphones and A Digital Frequency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범위는 125 ㎐ 내지 1600 ㎐로 설정되었다. 2-마이크로폰 방법은, 2개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음향 임피던스 관 내에서 음압(sound pressure)의 입사 및 반사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소리 흡수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부직물 웹을, 한쪽 말단이 강체 표면으로서 제공되는 음향 임피던스 관 내부에서, 강체 표면으로부터 10mm의 거리에 설정하고 (10mm의 공기 층이 제공됨), 부직물 웹의 강체 표면으로서 제공되는 표면의 면으로서 반대 면의 표면으로부터 음압을 삽입함으로써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섬유 직경의 측정]
용융취입된 섬유의 섬유 직경 (μm)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용융취입된 섬유의 섬유 직경 (μm)은, 부직물 단편의 SEM 현미경 사진의 영상 분석에 의해, 섬유의 "평균 기하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되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1cm × 1cm 시편을 부직물 웹 시편으로부터 잘라내어, 주사 전자 현미경의 샘플 스테이지에 부착시켰다. 샘플 단편을 놓은 샘플 스테이지를 주사 현미경 내로 삽입시키고, 20 ㎸의 가속 전압, 약 15mm의 작동 거리 및 0°의 샘플 경사를 이용하여 저진공 모드에서 그 영상을 관찰하였다. 배율 500x 및 1000x에서 캡쳐된 반영된 전자 영상을 이용하여 기하 직경을 측정하였다. 각 샘플의 전자 현미경 사진에서, 임의로 선택된 5 내지 10개의 용융취입된 섬유에 대해 기하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 값을 "평균 기하 직경"으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가열 및 압축 조건을 표 1에 열거된 함량 비를 달성하도록 적절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직물을 제조하여 부직물 웹을 수득하였다. 결과로서 생성된 부직물 웹의 단위 면적 당 중량, 굽힘 강도, 두께, 부피 밀도, 고형도, 및 환기 저항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부직물 웹의 수직 입사 흡음률도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부직물 웹에 대해 수행된 흡음률 측정 결과를 예시한다.
(실시예 7)
실시예 2에서 수득된 부직물 (2) 및 비교예 2에서 수득된 부직물 (B)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2층 구조의 부직물 웹을 수득하였다. 결과로서 생성된 2층으로 이루어진 부직물 웹의 단위 면적 당 중량, 굽힘 강도, 두께, 부피 밀도, 고형도, 환기 저항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으며, 2층 구조의 부직물 웹의 수직 입사 흡음률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제1 부직물이 음압의 입사 면 상에 있도록 부직물 웹을 배치함으로써 수직 입사 흡음률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표 2]
Figure pct00002
(실시예 8 및 실시예 9)
표 2에 열거된 부직물을 제1 부직물과 제2 부직물로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2층 구조를 갖는 부직물 웹을 수득하였다. 2층으로 이루어진 부직물의 단위 면적 당 중량, 굽힘 강도, 두께, 부피 밀도, 충전 속도 및 환기 저항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으며, 2층 구조의 부직물 웹의 수직 입사 흡음률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부직물 웹 상에서 수행된 수직 입사 흡음률 측정 결과를 예시한다. 제1 부직물이 음압의 입사 면 상에 있도록 부직물 웹을 배치함으로써 수직 입사 흡음률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참조예 1 내지 참조예 5)
참조예로서, 스테이플 섬유 및 결합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물로 이루어지는 펜더 라이너용 흡음재로서 순환된 흡음재 (1) 내지 흡음재 (5)에 대해, 흡음재의 단위 면적 당 중량, 굽힘 강도, 두께, 및 환기 저항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흡음재의 수직 입사 흡음률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수직 입사 흡음률의 측정은 부직물 웹을,
제1 부직물이 음압의 입사 면 상에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수행되었다. 도 7은 참조예 1 내지 참조예 5의 흡음재 상에서 수행된 수직 입사 흡음률 결과를 예시한다.
[표 3]
Figure pct00003
표 3에서, PET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지칭하고, PP는 폴리프로필렌을 지칭하고, SBR은 스티렌-부타다이엔 고무를 지칭한다.

Claims (11)

  1. 용융취입된(meltblown) 섬유; 및
    용융취입된 섬유와 혼입되고(confounded), 적어도 일부 혼입점에서 용융취입된 섬유와 융합되도록 배열된 결합제 섬유를 갖는 부직물이 구비되고,
    부직물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이 400g/m2 내지 1500g/m2이며, 부직물의 굽힘 강도(flexural rigidity)가 2.0N/50mm 내지 20.0N/50mm인 부직물 웹(web).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제 섬유 함량이, 용융취입된 섬유 및 결합제 섬유의 총 양인 100질량부 당, 30질량부 내지 85질량부인 부직물 웹.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5% 이상의 고형도를 갖는 부직물 웹.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직물이 용융취입된 섬유 및 결합제 섬유가 구비된 복수의 부직물의 라미네이트(laminate)인 부직물 웹.
  5. 제4항에 있어서, 부직물이 용융취입된 섬유 및 결합제 섬유가 구비된 제1 및 제2 부직물의 라미네이트이며, 여기에서 제1 부직물은 400g/m2 이상 및 1500g/m2 미만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고, 제2 부직물은 0g/m2 초과 및 400g/m2 이하의 단위 면적 당 중량을 갖는 부직물 웹.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부직물 중 결합제 섬유의 함량이, 제1 부직물을 구성하는 용융취입된 섬유 및 결합제 섬유의 총 양인 100질량부 당, 30질량부 내지 85질량부인 부직물 웹.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외장용 흡음 부재인 부직물 웹.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펜더 라이너(fender liner), 엔진 하부 커버, 또는 본체 하부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부직물 웹.
  9. 본체 내에 장착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물 웹을 포함하는 차량 본체 부품.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물 웹의 생산 방법으로서,
    용융취입된 섬유의 취입 흐름을 공급하는 단계;
    용융취입된 섬유의 흐름에 대하여 결합제 섬유를 취입시켜 용융취입된 섬유의 흐름 내로 결합제 섬유가 혼입되고 결합제 섬유와 용융취입된 섬유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용융취입된 섬유와 결합제 섬유의 혼합물을 웹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웹을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32869A 2014-05-02 2015-04-28 부직물 웹 KR201601492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5431 2014-05-02
JP2014095431A JP6362400B2 (ja) 2014-05-02 2014-05-02 不織布ウェブ
PCT/US2015/027937 WO2015168085A1 (en) 2014-05-02 2015-04-28 Nonwoven fabric we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250A true KR20160149250A (ko) 2016-12-27

Family

ID=5317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869A KR20160149250A (ko) 2014-05-02 2015-04-28 부직물 웹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19276B2 (ko)
EP (1) EP3137665B1 (ko)
JP (1) JP6362400B2 (ko)
KR (1) KR20160149250A (ko)
CN (1) CN106341980B (ko)
CA (1) CA2947611A1 (ko)
MX (1) MX358338B (ko)
TR (1) TR201901847T4 (ko)
WO (1) WO2015168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7709B2 (ja) * 2016-03-11 2021-01-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車両部材
JP6900129B2 (ja) * 2016-03-29 2021-07-07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吸音体
WO2018021319A1 (ja) * 2016-07-27 2018-02-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吸・遮音材用繊維、該繊維の使用、吸・遮音材用繊維の製造方法及び吸・遮音材用繊維成型体
US10607589B2 (en) 2016-11-29 2020-03-31 Milliken & Company Nonwoven composite
US20220396903A1 (en) * 2018-10-16 2022-12-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me-retardant non-woven fibrous webs
EP3937164A4 (en) * 2019-03-07 2022-11-09 Toray Industries, Inc. NON-WOVEN FABRIC FOR SOUND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NON-WOVEN FABRIC FOR SOUND ABSORBING MATERIAL
TW202336308A (zh) * 2021-12-16 2023-09-16 美商貝里國際公司 含再生聚酯之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73648A (en) 1976-08-02 1980-03-18 Edward R. Hauser Web of blended microfibers and crimped bulking fibers
AU6286996A (en) * 1995-06-23 1997-0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attenuating sound, and acoustical insulation therefor
JP3657415B2 (ja) * 1998-01-07 2005-06-08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3613727B2 (ja) * 2001-09-06 2005-01-26 東洋紡績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吸音材
US7476632B2 (en) * 2002-11-15 2009-01-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rous nonwoven web
DE10332172B3 (de) 2003-07-15 2004-10-21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Akustisch wirksame Radhausauskleidung für Fahrzeuge
JP2007083923A (ja) * 2005-09-22 2007-04-05 Toyobo Co Ltd ダッシュインシュレーター
JP4387367B2 (ja) 2006-03-28 2009-12-16 丸昌夏山フエルト株式会社 車両外装用吸音材および該車両外装用吸音材を製造する方法
JP5283886B2 (ja) * 2006-10-25 2013-09-04 トーア紡マテリアル株式会社 防音緩衝材
US7989371B2 (en) * 2007-06-22 2011-08-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ltblown fiber web with staple fibers
EP2176458A1 (en) * 2007-07-30 2010-04-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ous facing material, acoustically attenuating composit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056248B2 (ja) * 2007-08-06 2012-10-24 マツダ株式会社 吸音材を備えた吸音構造
JP5319091B2 (ja) * 2007-08-31 2013-10-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通気抵抗膜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通気抵抗膜を用いた吸音性積層部材
JP2009184296A (ja) 2008-02-08 2009-08-20 Kurashiki Seni Kako Kk 吸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92144B2 (ja) * 2008-05-29 2012-12-05 株式会社ケナテックス 吸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49037A (ja) * 2008-12-25 2010-07-08 Japan Vilene Co Ltd エアフィルタ用濾材
JP2011094261A (ja) * 2009-10-30 2011-05-12 Hirotani:Kk 軽量吸・遮音インシュレーター
ATE552584T1 (de) * 2010-03-09 2012-04-15 Autoneum Technologies Ag Isolierendes autoverkleidungsteil
JP5138000B2 (ja) * 2010-05-18 2013-02-06 株式会社ヒロタニ 車両用フェンダーライナ
JP2012012803A (ja) 2010-06-30 2012-01-19 Lixil Corp 断熱パネル
CN101994213B (zh) 2010-11-26 2012-06-27 天津泰达洁净材料有限公司 一种吸音隔热材料的制备方法及其制品
KR20130116437A (ko) * 2012-03-21 2013-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재활용성이 우수한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CN104321122B (zh) 2012-03-29 2016-08-31 可乐丽股份有限公司 非织造纤维片材及其制造方法、以及过滤器
JP5844339B2 (ja) * 2013-11-25 2016-01-13 株式会社ヒロタニ 車両用防音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901847T4 (tr) 2019-03-21
JP6362400B2 (ja) 2018-07-25
CA2947611A1 (en) 2015-11-05
US10619276B2 (en) 2020-04-14
CN106341980B (zh) 2018-10-12
JP2015212442A (ja) 2015-11-26
MX358338B (es) 2018-08-15
EP3137665B1 (en) 2018-11-28
CN106341980A (zh) 2017-01-18
US20170044699A1 (en) 2017-02-16
EP3137665A1 (en) 2017-03-08
WO2015168085A1 (en) 2015-11-05
MX2016014191A (es)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9250A (ko) 부직물 웹
US10783868B2 (en) Acoustic air flow resistiv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EP3426526B1 (en) Vehicular sound absorbing member
KR102343534B1 (ko) 부직포, 및 이것을 표피재로서 이용한 복합 흡음재
JP6145341B2 (ja) 耐着氷・防音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車両用外装材
KR102351767B1 (ko) 자동차 장비재용 반제품의 제조 방법
CN112277397A (zh) 无纺布层压材料
US20200290310A1 (en) Lightweight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bicomponent fibers
KR20130039363A (ko) 자동차용 흡음재,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자동차용 흡음재가 부착된 자동차 부품의 제조방법
JP2005505445A (ja) 繊維マット、繊維マットより製造される成形片およびその製造法
JP5740199B2 (ja) 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9056190A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及びその用途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5143110B2 (ja) 吸音材
KR102604135B1 (ko) 부직포, 이 부직포의 적층 부직포, 및 이들을 표피재로서 이용한 복합 흡음재
CN107635831B (zh) 防火墙
WO2021235446A1 (ja) 複合吸音材
CA3128362A1 (en) Lightweight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bicomponent fibers
KR20200022899A (ko) 다공성 섬유강화 복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0588090A (zh) 复合板及相应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