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881A -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881A
KR20160148881A KR1020150085644A KR20150085644A KR20160148881A KR 20160148881 A KR20160148881 A KR 20160148881A KR 1020150085644 A KR1020150085644 A KR 1020150085644A KR 20150085644 A KR20150085644 A KR 20150085644A KR 20160148881 A KR20160148881 A KR 20160148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unit
suppor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휘경
송성원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881A/ko
Priority to US14/935,919 priority patent/US11122173B2/en
Priority to CN201680005545.9A priority patent/CN107111376A/zh
Priority to PCT/KR2016/002184 priority patent/WO2016204379A1/en
Priority to EP16811792.7A priority patent/EP3218787A4/en
Publication of KR2016014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8Output means providing an audible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93Particular location of the interface or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전자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본체 일부에 연결되는 베이스부;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지부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진동하는 햅틱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나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다양한 설정 상태 및 프린팅 상태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터치 입력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피드백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로 전달되는 것은 물론, 도 1과 같이 힌지 아암(5)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3)로까지 전달된다. 이와 같이 진동이 전달되는 영역이 디스플레이부 장치(7)는 물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3)로까지 확대되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7)의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면서 인지할 수 있는 진동이 미미하므로 자신의 터치 입력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명확하게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행한 터치 입력에 대한 피드백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동의 세기를 높여야 하므로 더 큰 용량의 액추에이터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액추에이터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내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7)의 크기 역시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그 크기가 클수록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반응 속도가 크기가 작은 액추에이터에 비해 느린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반응 시점이 터치 입력 시점보다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시점과 액추에이터의 반응 시점 간의 간격이 길어지게 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미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인 경우가 많아 는 터치 입력에 대하여 진동을 통한 피드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소형 진동자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진동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일부에 연결되는 베이스부;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지부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후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단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측단부가 상기 테두리부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자의 주파수는 상기 지지부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의 후면을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4변에 대응하는 사각 폐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4변 중 적어도 2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화상형성장치, 의료용 장비 및 산업용 장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일부에 연결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의 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다수의 지지부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베이스부의 후방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가 진동에 의해 베이스부측으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가 베이스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이드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베이스부를 생략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B-B 선을 따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부가 베이스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부 진동 시 도 8에 표시된 C 부분의 지지부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베이스부의 후방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표시된 D-D 선을 따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부 진동 시 도 14에 표시된 E 부분의 지지부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진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진동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지지하며, 힌지 아암(5, 도 1 참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3)의 일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적절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부(110)는 후방 하우징(120)과, 다수의 체결나사(121)를 통해 후방 하우징(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하우징(120)은 후면에 힌지 아암(5)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123)이 형성되고, 후면의 주변을 따라 체결나사(121)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125)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후방 하우징(120)은 측부를 따라 테두리부(127)가 형성된다. 테두리부(127)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측단부를 감싼다. 이 경우, 테두리부(127)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진동할 때 디스플레이부(150)의 측단부와 마찰하지 않도록 테두리부(127)의 내측면은 디스플레이부(150)의 측단부와 소정 간격을 두도록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측단부가 테두리부(127)의 내측면과 마찰 또는 충돌함에 따라 진동의 세기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의 진동을 간섭할 수 있는 요인을 줄임으로써, 진동자(170)의 진동이 베이스부(1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부(150)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소형 진동자(170)를 사용하더라도 진동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30)는 다수의 체결나사(121)를 통해 후방 하우징(120)의 전면에 고정되며, 주변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나사(121)가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구멍(131)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3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후방에 배치되며, 다수의 고정나사(133)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5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13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지지부(160)가 지지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디스플레이부(150)가 진동 시 지지 플레이트(130)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0)의 후면과 소정 간격을 두도록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고정나사(133)는 헤드에 형성된 플렌지(134, 도 5 참조)가 지지 플레이트(130)의 후면 중 일부(삽입구멍(135)의 주변부)에 간섭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가 지지 플레이트(13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스크린(151)과, 터치 스크린(151)의 후면에 고정되는 프레임(155)과, 프레임(155)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51)은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각종 설정 정보나 프린팅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5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 신호에 따라 진동자(170)를 동작시켜 터치 스크린(151)에 터치 입력이 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부(150)를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터치 입력(신체의 일부 또는 별도의 터치 펜을 터치 스크린(151)의 소정 영역 접촉함으로써 명령을 입력하는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0)가 진동함에 따라 자신의 터치 입력이 정확하게 이루어졌음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프레임(155)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151)에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 폐루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155)은 전면이 터치 스크린(151)의 후면에 고정되며, 후면에는 지지부(160)가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155)은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을 통해 지지부(1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5)은 후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나사(133)가 체결되는 다수의 보스(156)가 형성된다. 다수의 보스(156)는 지지 플레이트(130)의 다수의 삽입구멍(135)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보스(156)가 다수의 삽입구멍(135)에 삽입됨에 따라 진동자(17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지지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즉, 지지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한다.
지지부(160)는 프레임(155)의 후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60)는 프레임(155)의 후면 상측에 1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2개씩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지지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155)의 상/하측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60)는 일단부(161)가 프레임(155)의 내측변(159)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163)가 일단부(161) 보다 지지 플레이트(130) 측으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160)의 일단부(161)와 타단부(163)는 서로 간의 높이 차로 인해 프레임(155)과 지지 플레이트(130)를 소정 간격(d1)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지지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지지 플레이트(130)의 간격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30)에 지지되는 탄력이 달라진다. 즉, 디스플레이부(150)와 지지 플레이트(130)의 간격이 좁을수록 지지부(160)에 발생하는 탄력은 점차 증대된다. 이러한 지지부(160)의 탄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0)는 진동자(170)에 의해 발생한 진동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160)는 작은 진동(진동자(170)의 출력이 작을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50)를 위치 변위 시킬 수 있고, 진동자(17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변형되었을 때 자체 탄성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에 따라 진동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0)는 지지부(160) 외의 디스플레이부(150)의 나머지 부분이 다른 구조물과 완전 이격되는 경우, 지지부(160)의 탄력에 의해 작은 힘에도 진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0)와 베이스부(110) 간 연결을 위한 구조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접촉될 수도 있다.
진동자(170)는 소형 또는 초소형 액추에이터로서 도 3과 같이 프레임(155)의 후면 상,하,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브라켓(157)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진동자(170)의 주파수는 지지부(160)가 갖는 고유진동수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진동자(170)의 주파수와 지지부(160)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는 경우, 진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0)가 요동할 때 진폭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의 터치 스크린(151)에 터치 입력을 행하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터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자(170)를 구동시킨다.
지지부(16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3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150)는 진동자(170)의 구동에 의해 도 7과 같이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다수의 보스(156)가 삽입구멍(135)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간섭되므로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진동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었다가 탄력에 의해 다시 복원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0)가 베이스부(110) 측으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6과 같이 지지 플레이트(130)는 고정나사(133)의 플랜지(134)와 소정 간격(d2)으로 이격되고, 다시 디스플레이부(150)가 베이스부(110)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5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30)는 고정나사(133)의 플랜지(134)와 접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수직 방향으로 요동하는 과정에서 지지부(16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디스플레이부(150) 주변의 구조물 즉, 베이스부(110)에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0)의 진동이 베이스부(110)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10)에 간섭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의 진동이 약화되는 것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0)와 베이스부(110) 간 연결을 위한 구조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접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반응(진동)이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형 또는 초소형 진동자(17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베이스부(210), 베이스부(2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진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진동자(2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힌지 아암(5, 도 1 참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3)의 일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적절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부(210)는 후방 하우징(220)과, 지지 플레이트(230)와, 지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 하우징(220), 지지 플레이트(230) 지지 프레임(240)은 다수의 체결나사(221)를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후방 하우징(220)은 후면에 힌지 아암(5)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225)이 형성되고, 후면의 주변을 따라 다수의 체결나사(221)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223)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230)는 후방 하우징(220)과 지지 프레임(240)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부(21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50)의 후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30)은 주변을 따라 다수의 체결나사(221)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231)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240)은 디스플레이부(250)의 후방에 배치되며, 대략 디스플레이부(250) 외곽에 대응하는 사각 폐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4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리브 형상의 내측단부(242)에 다수의 결합구멍(241)과, 다수의 장착부(245)와, 다수의 스냅결합돌기(243)와, 테두리부(249)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결합구멍(241)은 지지 프레임(240)의 내측단부(242)의 좌우 측에 각각 한 쌍씩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다수의 결합구멍(241)에는 지지부(256)의 결합돌기(256b)가 분리 가능하도록 스냅 결합된다. 이 경우, 다수의 결합구멍(241)은 디스플레이부(250)가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256)의 결합돌기(256b)가 결합구멍(241)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결합구멍(241)의 내측은 도 11과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돌기(256b)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수의 장착부(245)는 다수의 가이드부재(260)의 장착홈(261)이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부재(260)가 장착부(26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록킹돌기(246)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록킹돌기(246)는 가이드부재(260)에 마련된 한 쌍의 록킹홈(26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수의 스냅결합돌기(243)는 지지 프레임(240)의 내측단부(242)의 상하 측에 각각 한 쌍씩 대칭으로 배치된다. 다수의 스냅결합돌기(243)는 디스플레이부(250)의 프레임(255)에 형성된 다수의 스냅결합돌기(257)와 각각 스냅 결합한다. 서로 스냅 결합된 다수의 스냅결합돌기(243,257)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간섭하지 않으며, 동시에 지지 프레임(240)과 프레임(255)이 상호 수직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 구조를 갖는다.
테두리부(249)는 베이스부(210)와 디스플레이부(250)가 상호 결합하면(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50)는 베이스부(210)에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를 둘러싸게 된다. 이 경우, 테두리부(249)는 디스플레이부(250)가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때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와 마찰 또는 충돌하지 않도록 테두리부(249)의 내측면은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와 소정 간격(d3, 도 11 참조)을 두도록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가 테두리부(249)의 내측면과 마찰 또는 충돌함에 따라 진동의 세기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0)의 진동을 간섭할 수 있는 요인을 줄임으로써, 진동자(270)의 진동이 베이스부(2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부(250)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소형 진동자(270)를 사용하더라도 진동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공차 등의 이유로 테두리부(249)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 간의 간격(d3)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디스플레이부(2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 시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가 테두리부(249)의 내측면과 마찰 또는 충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테두리부(249)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 사이에 도 11과 같이 완충부재(280)를 배치할 수 있다.
완충부재(28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 시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가 테두리부(249)의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터치 스크린(251)과, 터치 스크린(251)의 후면에 고정되는 프레임(255)과, 프레임(255)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5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151)과 동일하므로 터치 스크린(251)의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255)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251)에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 폐루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255)은 전면이 터치 스크린(251)의 후면에 고정되며, 후면에는 지지부(256)가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255)은 가요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을 통해 지지부(256)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255)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베이스부(210)의 지지 프레임(240)과 연결 시 별도의 고정나사 없이 지지부(256)를 통해서만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부(256)는 지지돌기(256a) 및 결합돌기(256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56)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 시 좌측으로의 제1 변형위치(L1)와 우측으로의 제2 변형위치(R1)로 반복적으로 변형된다.
지지돌기(256a)는 양단이 관통구멍(258)의 주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지지돌기(256a)의 상단에는 지지돌기(256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돌기(256b)가 형성된다.
지지돌기(256a)와 결합돌기(256b)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요동하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와 함께 결합돌기(256b)가 지지 프레임(240)의 결합구멍(241)에 결합된다. 이 경우, 결합돌기(256b)는 결합구멍(2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구멍(241) 내에서만 습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는 수평 방향으로의 요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재(260)는 디스플레이부(2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부재(260)는 도 8과 같이 프레임(255)의 내주변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가이드 하도록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60)는 도 9와 같이 슬롯 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장착홈(261)과 슬라이딩홈(265)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재(260)는 장착홈(261)에 지지 프레임(240)의 장착부(245)에 삽입될 때 장착부(245)의 한 쌍의 록킹돌기(246)가 스냅 결합되는 한 쌍의 록킹홈(263)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홈(265)에는 프레임(255)의 슬라이딩부(259)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50)의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259)의 폭(W2)은 슬라이딩홈(265)의 폭(W1) 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259)의 폭(W2)은 디스플레이부(250)의 측단부와 테두리부(249)의 내측면 간의 간격(d3)을 함께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자(270)는 소형 또는 초소형 액추에이터로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진동자(270)는 도 8과 같이 프레임(255)의 후면 상하 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된 브라켓(255a)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또한, 진동자(270)의 주파수는 지지부(256)가 갖는 고유진동수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진동자(270)의 주파수와 지지부(256)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는 경우, 진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50)가 요동할 때 진폭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진동자(270)가 구동하는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진동자(270)의 구동에 의해 도 13과 같이 베이스부(2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는 도 11과 같이 가이드부재(260)에 프레임(255)이 수직 방향으로 간섭되므로 지지 프레임(24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부(256)는 디스플레이부(250)의 진동에 따라 도 12와 같이 탄력에 의해 제1 변형위치(L1) 및 제2 변형위치(R1)로 반복하여 변형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는 과정에서 지지부(16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디스플레이부(250) 주변의 구조물 즉, 베이스부(210)에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250)의 진동이 베이스부(210)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210)에 간섭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0)의 진동이 약화되는 문제와 소음 발생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 역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반응(진동)이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소형 또는 초소형 진동자(27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350)가 베이스부(3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베이스부(310), 베이스부(3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50)를 진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진동자(37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베이스부(210)와 마찬가지로 후방 하우징(320)과, 지지 플레이트(330)와, 지지 프레임(34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다수의 체결나사(321)를 통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후방 하우징(32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후방 하우징(210)과 동일한 구조로이루어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플레이트(330)는 후방 하우징(320)과 지지 프레임(340)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부(31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0)의 후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30)는 주변을 따라 다수의 체결나사(321)가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331)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330)는 다수의 지지부(356)의 고정돌기(356d)가 각각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구멍(333)이 형성된다. 다수의 고정구멍(333)은 지지 플레이트(33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340)은 디스플레이부(350)의 후방에 배치되며, 대략 디스플레이부(350) 외곽에 대응하는 사각 폐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4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리브 형상의 내측단부(341)에 다수의 요홈(342)과, 다수의 스냅결합돌기(343)와, 테두리부(349)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요홈(342)은 지지 프레임(340)의 내측단부(341)의 좌우 측에 각각 한 쌍씩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다수의 요홈(342)은 지지 프레임(340)이 프레임(355)에 연결될 때 도 15와 같이 지지부(356)의 일부분이 지지 프레임(34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다수의 스냅결합돌기(343)는 지지 프레임(340)의 내측단부(341)의 상하 측에 각각 한 쌍씩 대칭으로 배치된다. 다수의 스냅결합돌기(343)는 디스플레이부(350)의 프레임(355)에 형성된 다수의 스냅결합돌기(357)와 각각 스냅 결합한다. 다수의 스냅결합돌기(343,357)는 디스플레이부(3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간섭하지 않으며, 동시에 지지 프레임(340)과 프레임(355)이 상호 수직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 구조를 갖는다.
테두리부(349)는 베이스부(310)와 디스플레이부(350)가 상호 결합하면(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50)는 베이스부(310)에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350)의 측단부를 둘러싸게 된다.
이 경우, 테두리부(349)는 디스플레이부(350)가 베이스부(3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때 디스플레이부(350)의 측단부와 마찰 또는 충돌하지 않도록 테두리부(349)의 내측면은 디스플레이부(350)의 측단부와 소정 간격(d4, 도 16 참조)을 두도록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부(350)의 측단부가 테두리부(349)의 내측면과 마찰 또는 충돌함에 따라 진동의 세기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50)와 베이스부(310) 간 연결을 위한 구조는 디스플레이부(350)와 접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0)의 진동을 간섭할 수 있는 요인을 줄임으로써, 진동자(370)의 진동이 베이스부(3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부(350)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소형 진동자(270)를 사용하더라도 진동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공차 등의 이유로 테두리부(349)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부(350)의 측단부 간의 간격(d4)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디스플레이부(3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 시 디스플레이부(350)의 측단부가 테두리부(349)의 내측면과 마찰 또는 충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테두리부(349)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부(350)의 측단부 사이에 도 16과 같이 완충부재(380)를 배치할 수 있다.
완충부재(380)는 디스플레이부(3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 시 디스플레이부(350)의 측단부가 테두리부(349)의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터치 스크린(351)과, 터치 스크린(351)의 후면에 고정되는 프레임(355)과, 프레임(355)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5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151,251)과 동일하므로 터치 스크린(351)의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355)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351)에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 폐루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355)은 전면이 터치 스크린(351)의 후면에 고정되며, 후면에는 지지부(356)가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355)은 가요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을 통해 지지부(356)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부(356)는 지지돌기(356a), 연결부(356b), 아암부(356c) 및 고정돌기(356d)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55)은 지지부(356)에 대응하는 일부분에 관통홈(351a)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홈(351a)은 디스플레이부(3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할 때 프레임(355)에 대한 지지부(356)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이 경우, 지지부(356)는 디스플레이부(350)가 수평 방향으로 요동 시 좌측으로의 제3 변형위치(L2)와 우측으로의 제4 변형위치(R2)로 반복적으로 변형된다.
지지돌기(356a)는 양단이 관통홈(351a)의 주변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지지돌기(356a)의 상단에는 연결부(356b)가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356b)는 일측으로부터 아암부(356c)가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고, 아암부(356c)의 선단에는 고정돌기(356d)가 형성된다. 고정돌기(356d)는 지지 플레이트(330)를 향해 아암부(356c)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아암부(356c)의 길이는 고정돌기(356d)가 지지 플레이트(330)의 고정구멍(333)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자(370)는 소형 또는 초소형 액추에이터로서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진동자(370)는 도 15와 같이 프레임(355)의 후면 상하 측에 각각 간격을 두고 2개씩 형성된 브라켓(355a)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또한, 진동자(370)의 개수는 2이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자(370)의 주파수는 지지부(356)가 갖는 고유진동수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진동자(370)의 주파수와 지지부(356)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는 경우, 진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50)가 요동할 때 진폭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진동자(370)가 구동하는 경우,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350)가 베이스부(3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경우 지지부(356)는 디스플레이부(350)의 진동에 따라 도 17과 같이 탄력에 의해 제3 변형위치(L2) 및 제4 변형위치(R2)로 반복하여 변형된다.
디스플레이부(350)는 상기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요동하는 과정에서 지지부(356)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디스플레이부(350) 주변의 구조물 즉, 베이스부(310)에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350)의 진동이 베이스부(310)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310)에 간섭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0)의 진동이 약화되는 문제와 소음 발생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 역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0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반응(진동)이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형 또는 초소형 진동자(37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00,300)는 화상형성장치(1)에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에 제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의료용 장비, 산업용 장비 및 가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장비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00,300)는 소정의 장비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블렛 PC와 마찬가지로 단일 제품의 포터블 기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00,300)가 포터블 기기로 사용될 경우, 베이스부(110,210,310)의 후방 하우징(120,220,320)의 고정홈(123,225,325)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210,310: 베이스부 120,220,320: 후방하우징
130,230,330: 지지 플레이트 150,250,350: 디스플레이부
151,251,351: 터치 스크린 155,255,366: 프레임
160,256,356: 지지부 170,270,370: 진동자
240,340: 지지 프레임

Claims (23)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본체 일부에 연결되는 베이스부;
    터치 입력을 수신하며,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지부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후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서로 마주하는 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선단에 형성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단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측단부가 상기 테두리부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주파수는 상기 지지부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의 후면을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4변에 대응하는 사각 폐루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4변 중 적어도 2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화상형성장치, 의료용 장비 및 산업용 장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일부에 연결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의 후면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다수의 지지부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다수의 지지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50085644A 2015-06-17 2015-06-17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KR20160148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644A KR20160148881A (ko) 2015-06-17 2015-06-17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US14/935,919 US11122173B2 (en) 2015-06-17 2015-11-0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tructurally isolated vibrating user interface
CN201680005545.9A CN107111376A (zh) 2015-06-17 2016-03-04 图像形成设备和电子装置
PCT/KR2016/002184 WO2016204379A1 (en) 2015-06-17 2016-03-0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16811792.7A EP3218787A4 (en) 2015-06-17 2016-03-0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644A KR20160148881A (ko) 2015-06-17 2015-06-17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881A true KR20160148881A (ko) 2016-12-27

Family

ID=5754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644A KR20160148881A (ko) 2015-06-17 2015-06-17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22173B2 (ko)
EP (1) EP3218787A4 (ko)
KR (1) KR20160148881A (ko)
CN (1) CN107111376A (ko)
WO (1) WO2016204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2186B2 (ja) * 2015-08-11 2017-11-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155805B2 (ja) * 2018-09-21 2022-10-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210011306A (ko) * 2019-07-22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1661227S (ko) * 2019-11-20 2020-06-08
JP1658433S (ja) * 2019-12-26 2020-04-27 デジタル複合機
JP1717260S (ko) * 2020-04-27 2022-06-14
JP1717261S (ko) * 2020-04-27 2022-06-14
DE112021002548T5 (de) * 2020-04-28 2023-03-16 Nippon Seiki Co., Ltd. Bedienungsvorrichtung
JP7405701B2 (ja) * 2020-06-09 2023-12-2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USD952031S1 (en) * 2020-09-17 2022-05-17 Fujifilm Corporation Combination copier, scanner, printer
USD951346S1 (en) * 2020-09-17 2022-05-10 Fujifilm Corporation Combination copier, scanner, printer
USD967249S1 (en) * 2020-12-04 2022-10-18 Fujifilm Corporation Combination copier, scanner, printer
USD952032S1 (en) * 2020-12-04 2022-05-17 Fujifilm Corporation Combination copier, scanner, printer
USD952033S1 (en) * 2020-12-04 2022-05-17 Fujifilm Corporation Combination copier, scanner, printer
JP1709430S (ja) * 2021-07-27 2022-03-10 プリンター
JP1711931S (ja) * 2021-10-19 2022-04-06 印刷機
USD1015422S1 (en) * 2022-04-04 2024-02-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function printer
USD1013031S1 (en) * 2022-05-20 2024-01-30 Kyocera Corporation Inkjet printer
USD1013032S1 (en) * 2022-05-20 2024-01-30 Kyocera Corporation Inkjet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710B2 (ja) * 1997-08-04 2000-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ネルを支持する支持構造、およびパネルと該パネルを支持する支持構造を有するパネル装置、および該パネル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056528B2 (ja) * 2005-02-03 2008-03-0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電子機器
JP5125152B2 (ja) 2007-03-05 2013-01-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083510B2 (ja) 2007-03-19 2012-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US8508486B2 (en) 2007-10-01 2013-08-13 Immersion Corporation Directional haptic effects for a handheld device
CN101636053B (zh) 2008-07-25 2012-01-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US7999660B2 (en) * 2008-10-10 2011-08-16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with suspension interface for localized haptic response
US8884747B2 (en) 2010-04-22 2014-11-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aptic feedback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576188B2 (en) * 2010-10-14 2013-11-05 Lexmark International, Inc. Haptic based user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054605B2 (en) 2010-11-19 2015-06-09 Hysonic. Co., Ltd. Haptic modul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KR101171163B1 (ko) 2011-03-31 2012-08-06 주식회사 하이소닉 햅틱 액츄에이터
US20130335211A1 (en) * 2011-02-24 2013-12-19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O2013027374A1 (ja) * 2011-08-19 2013-02-2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343179B1 (ja) * 2011-10-19 2013-11-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288147B1 (ko) * 2011-11-16 2013-07-18 삼성전기주식회사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JP2013161384A (ja) 2012-02-08 2013-08-19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KR20140000906A (ko) * 2012-06-26 2014-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US9466783B2 (en) * 2012-07-26 2016-10-11 Immersion Corporation Suspension element having integrated piezo material for providing haptic effects to a touch screen
US9436341B2 (en) 2012-12-21 2016-09-06 Johnson Electric S.A. Haptic feedback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1376A (zh) 2017-08-29
EP3218787A1 (en) 2017-09-20
US11122173B2 (en) 2021-09-14
WO2016204379A1 (en) 2016-12-22
EP3218787A4 (en) 2018-03-28
US20160373597A1 (en)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8881A (ko)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US9912217B2 (en) Vibration motor
US10141824B2 (en) Vibration motor
CN105703596A (zh) 一种线性电机
KR101350543B1 (ko)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휴대용 전자기기
KR20110118079A (ko) 액츄에이터 모듈,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전자 장치
US20190163294A1 (en) Touchpad module
US10355572B2 (en) Vibration motor
US20040017351A1 (en) Device to control an electronic or computer system utilizing a fluid flow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97056B2 (en) Vibration motor
CN113556006B (zh) 振动马达
CN107959397B (zh) 防止接触构件共振的振动马达和电子设备
CN210721417U (zh) 触控反馈装置及电子设备
CN113991914B (zh) 振动马达
US10148148B2 (en) Vibration motor
WO2020241513A1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2264328B1 (ko)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3794349A (zh) 振动马达
KR20210112563A (ko) 탄성 사출 프레임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자
CN113396532A (zh) 振子支承构造、振动马达以及电子设备
CN112540692A (zh) 触控操作装置
US10211714B2 (en) Vibration motor
JP2022169878A (ja) 入力装置
KR102226311B1 (ko)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80083987A (ko) 진동 발생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