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06A -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06A
KR20140000906A KR1020120068623A KR20120068623A KR20140000906A KR 20140000906 A KR20140000906 A KR 20140000906A KR 1020120068623 A KR1020120068623 A KR 1020120068623A KR 20120068623 A KR20120068623 A KR 20120068623A KR 20140000906 A KR20140000906 A KR 20140000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opper
bracket
electronic devic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유동
서호성
이영민
이은화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906A/ko
Priority to US13/922,986 priority patent/US20130342484A1/en
Publication of KR2014000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기에 있어서, 표시부 브라켓; 상기 표시부 브라켓 전면에 제공되고, 버튼 입력을 위한 터치를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제공되고,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촉각(haptic) 신호를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패널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 지지된 상태의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HAVING FLOATING PANEL}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햅틱 피드백을 실제 버튼감과 유사하도록 패널을 전자기기의 몸체에서 플로우팅되도록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책 등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기기들을 일컫는다.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용이한 휴대성 및 기기에 탑재된 다양한 기능들로 인해 이동 시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용도나, 시대적 흐름 또는 소비자의 요구 등에 따라 폼팩터(form factor)가 다양화되며,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바 타입의 다양한 기능이 함유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풀터치화면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등을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와 함께 실제의 버튼을 만지거나 누른 것과 같은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하는 개념 이외에도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의 직관적 경험을 반영하고, 피드백을 좀더 다양화하는 개념을 포함하는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가 많이 채용되고 있는 것이다. '햅틱' 이란 물체를 만질 때, 사람의 핑커 팁(손가락 끝이나 스타일러스 팬 등)으로 느낄 수 있는 촉각적 감각으로서, 피부가 물체 표면에 닿아서 느끼는 촉감 피드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5714호(공개일: 2011.07.06, 발명의 명칭: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그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6017호(등록일: 2011.06.27, 발명의 명칭: 햅틱 피드백 엑츄에이터,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전자장치)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패널을 터치하는 경우 제공되는 햅틱 피드백은 전자기기 손으로 잡고 있는 경우, 충분한 진동력을 제공하여 햅틱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으나, 전자기기를 바닥에 내려놓고 사용하는 경우, 그 진동력이 너무 약해,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패널을 전자기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유동되게 고정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미국등록특허US7999660호(등록일: 2011.08.16, 발명의 명칭: Electronic device with suspension interface for localized haptic response)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동되는 패널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의 경우, 패널이 본체에 고정되는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해, 전자기기의 안정성 예컨데, 전자기기의 낙하와 같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전자기기에서 패널이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의 전자기기의 신뢰성에 한계가 있으며, 충분한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구비된 패널에 접촉 발생에 따른 햅틱 피드백이 제공되는 경우, 패널로의 햅틱 피드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패널을 떠 있는 상태에서 진동되게 함은 유동된 상태의 패널이 전자기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낙하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도 기구적 안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표시부 브라켓; 상기 표시부 브라켓 전면에 제공되고, 버튼 입력을 위한 터치를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제공되고,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촉각(haptic) 신호를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패널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 지지된 상태의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패널의 주변둘레를 따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측으로 돌출 절곡되는 제1걸림플레이트;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주변둘레를 따라 상기 패널 측으로 돌출 절곡되며, 상기 제1 걸림플레이트에 걸려 맞물리되, 상기 패널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된 공간을 가지며 맞물리는 제2걸림플레이트; 및 상기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플로우팅에 따른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패널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걸림플레이트는 상기 패널의 하면에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플레이트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상면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패널을 플로우팅 시키도록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로우팅 되는 상기 패널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는 포론, 폼 또는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표시부 브라켓; 상기 표시부 브라켓 전면에 제공되고, 버튼 입력을 위한 터치를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제공되고,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촉각(haptic) 신호를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패널의 진동 시 진동되는 변위 공간을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패널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진동되는 상기 패널의 변위 공간을 제한하며, 상기 패널의 플로우팅 시 상기 패널의 이탈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패널의 변위 공간 및 상기 패널의 이탈을 제한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패널의 하면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부 브라켓 측으로 복수개의 탄성판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주변둘레에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패널의 주변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는 스토퍼 결합면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주변 둘레에는 상기 스토퍼가 배치되는 배치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치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표시부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 결합면에 체결되게 개구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는 제1개구부와, 제1개구부와 이격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일측은 상기 제1개구부에, 상기 스토퍼의 타측은 제2개구부에 결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하측면에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 결합면에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판에 의해 플로우팅 된 상기 패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2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토퍼 결합면에 체결되는 제1, 2몸체부; 및 상기 제1, 2몸체부 사이에서 절곡 연장되는 중앙 몸체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2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패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2 판스프링; 및 상기 중앙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 측으로 돌출되는 중앙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몸체부의 각각 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을 통해 상기 주변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부재에 고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치면에는 상기 스프링을 커버하며 상기 표시부 브라켓과 결합되는 브라켓 스토퍼가 더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 측의 상기 배치면에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 스토퍼가 체결되는 체결 개구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 결합면에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 고정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풀 화면을 형성하는 패널이 전자기기의 표시부 브라켓에서 떠있는 유동상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진동되게 제공됨으로써, 패널의 접촉에 따른 햅틱 피드백이 전자기기의 몸체 측보다는 패널로 강하게 제공되고, 사용자에게 국지적으로 진동이 강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이 전자기기에서 떠있는 유동상태의 패널을 전자기기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패널의 진동시 변위되는 공간을 제한함으로써, 패널이 전자기기의 표시부 브라켓에 유동된 상태로 구비됨은 물론 유동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패널로 제공되는 햅틱 피드백을 최대한으로 제공함은 물론 낙하 등과 같은 충격이 가해져도 패널이 전자기기의 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서, 패널이 탄성 지지부에 의해 지지 및 플로우팅 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에서 패널에 접촉이 발생하여 액츄에이터가 구동됨으로써, 패널이 전자기기의 몸체에서 최대로 유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서,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스토퍼와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구성들이 조립된 상태의 중앙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구성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일단면의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스토퍼 부재 중 탄성 샤시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4에서 탄성 샤시부를 기준으로 탄성 샤시부의 일면에는 패널이, 타면에는 표시부 브라켓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에서 A부분 확대도로서, 스토퍼 부재 중 스토퍼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서 도 8에 개시된 스토퍼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배치면에 고정된 스토퍼 상에 스토퍼 브라켓에 배치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패널을 몸체에서 떠있는 유동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은 물론 액츄에이터에 따른 패널의 진동 시에도 제한된 변위 내에서 패널이 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진동되도록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1과 도 2는 후술하는 패널이 표시부 브라켓에서 떠 있는 유동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은 물론 진동 시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도 3 내지 도 10은 도 1및 도 2의 구조를 가지기 위한 기본 기능은 같으나 구성물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10을 간략하게 보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널을 플로우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은 물론 진동시 변위를 제한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동일한 것이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서, 패널이 탄성 지지부에 의해 지지 및 플로우팅 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이며,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에서 패널에 접촉이 발생하여 액츄에이터가 구동됨으로써, 패널이 전자기기의 몸체에서 최대로 유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100)는 크게 몸체(101)와 패널(120)을 포함하며, 세부적으로 표시부 브라켓(110)과, 패널(120), 액츄에이터(130), 탄성부재(140) 및 스토퍼(150)를 포함한다.
표시부 브라켓(110)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패널(120), 구체적으로는 엘씨디 패널(122)과 터치스크린 패널(121) 및 도시하진 않았으나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며, 몸체(101)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패널(120)은 엘씨디 패널(122)과, 터치스크린 패널(121)로 구성되어, 몸체(101) 전면, 즉 표시부 브라켓(1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패널(120)은 전자기기(100)의 몸체(101) 전면에 풀 화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널(120)은 터치스크린 패널(121)에 의해 버튼이나 데이터 등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손이나 입력기,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팬 등이 접촉을 감지하며, 엘씨디 패널(122)에 의해 입력된 버튼 정보나 데이터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패널(120)은 후술하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몸체(101), 구체적으로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뜬 상태로 몸체(101)의 수직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패널(120)이 몸체(101)에 뜬 상태 즉, 플로우팅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30)가 구동되면,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뜬 상태의 패널(120)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유동된다. 이때, 유동된 상태의 패널(120)은 탄성부재(140) 및 스토퍼(15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진동 시, 일정한 변위에서만 진동될 수 있도록 변위 공간(D)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에 따라 패널(120)은 정해진 변위 공간(D) 내에서만 상하방향(본 실시예에서 상하방향이라 함은 패널(120)의 수직방향을 일컫는다.) 진동되어, 패널(120)의 접촉 상태의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게 된다.
액츄에이터(130)는 버튼 입력 즉, 패널(120)에 감지되는 접촉에 따라 패널(120)에 진동과 같은 촉각(haptic) 신호를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130)는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유동된 상태로 제공되는 패널(1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액츄에이터(130)에 의한 진동이 전자기기(100)의 몸체(101)가 아닌 패널(120)로 모두 제공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140)와 스토퍼(150)는 패널(120)을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떠 있는 유동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함은 물론 패널(120)이 액츄에이터(130)에 의해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상하로 진동되는 경우, 유동된 상태의 패널(1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진동되게 변위 공간(D)을 확보함은 물론 진동되는 변위를 제한하는 구성이다.
우선, 탄성부재(140)에 대해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탄성부재(140)는 패널(120)과 표시부 브라켓(110) 사이에 제공되는 구성물로서, 패널(120)을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물이다. 복수개의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40)가 패널(120)을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액츄에이터(130)에 의해 패널(120)이 표시부 브라켓(110)의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경우, 탄성부재(140)는 패널(120)을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유동된 상태에서 진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40)는 예를 들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이나, 스프링과 같은 구성이나, 도 3 내지 도 10 도시된 구성물과 같이, 복수개의 판 스프링 등의 탄성판(212)이 구비된 탄성 샤시부(210)와 같은 구성물이 패널(120)의 하부 전체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0 설명한다.
다음으로 탄성부재(140)와 함께 패널(120)이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떠 있는 상태 및 진동 시의 변위 공간(D)을 가지도록 구성된 스토퍼(15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토퍼(150)의 가장 큰 기능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떠 있도록 구성된 패널(120)을 전자기기(100)의 몸체(10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유동된 상태의 패널(120)에 충격이 가해져도 유동된 상태의 패널(120)이 용이하게 몸체(10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더불어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으로, 유동된 상태의 패널(120)에 진동이 발생됨으로써 패널(120)이 표시부 브라켓(110)의 상, 하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패널(120)을 표시부 브라켓(110)에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변위 공간(D)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변위를 제한하는 구성물이다.
이러한 스토퍼(150)는 제1걸림플레이트(151)와 제2걸림플레이트(152) 및 탄성체(153)를 포함한다. 제1걸림플레이트(151)는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패널(120)의 하측으로 패널(120)의 주변 둘레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걸림플레이트(151)는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돌출 절곡되되, 패널(120)의 주변둘레 하면으로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2걸림플레이트(152)는 제1걸림플레이트(151)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후크 결합과 같이 맞물리는 구성이다. 즉, 제2걸림플레이트(152)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주변둘레를 따라 패널(120) 측으로 돌출 절곡되며, 제1걸림플레이트(151)와 맞물려 패널(120)의 수직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절곡된 단부의 제1걸림플레이트(151)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변위 공간(D)을 가지며 맞물린다. 이러한 제2걸림플레이트(152)는 'L'자 형상의 제1걸림플레이트(151)에 맞물리도록 표시부 브라켓(110)의 상면에서 상기 패널(120)측으로 연장 절곡되는 'ㄱ'자 형상을 갖는다. 즉, 패널(120)이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에 의해 전자기기(100)의 몸체(101) 상측으로 들여 올려지는 경우, 제1걸림플레이트(151)와 제2걸림플레이트(152)의 변위 공간(D)이 줄어들고(D->D'), 패널(120)은 상승한다. 이때 후술하는 제1,2걸림플레이트(151, 152) 사이의 탄성체(153)의 복원력이 발생하고 원 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패널(120)은 일정한 변위 공간(D) 내에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스토퍼(150) 중 제1걸림플레이트(151)는 패널의 하측에 제공되고, 나머지 하나인 제2걸림플레이트(152)는 표시부 브라켓(1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도록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대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추후 도 3 내지 도 10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져 변위 공간을 형성하며, 안정적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걸림플레이트(151)와 제2걸림플레이트(152)가 맞물린 상태의 변위 공간(D) 내에는 탄성체(153)가 포함된다. 탄성체(153)는, 유동된 상태의 패널(120)이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제1걸림플레이트(151)와 제2걸림플레이트(152)의 변위 공간(D)이 좁아지는 경우, 제2걸림플레이트(152)가 원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함은 물론 패널(120)의 진동에 따른 제1걸림플레이트(151)와 제2걸림플레이트(152)의 대면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탄성체(153)는 포론, 폼 또는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 걸림플레이트(151, 152) 사이에서 제1,2걸림플레이트(151, 15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에서,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스토퍼와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도 1,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전자기기(100)는 크게 몸체(101)와 패널(120)을 포함하며, 세부적으로 표시부 브라켓(110)과, 패널(120), 액츄에이터(130) 및 스토퍼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 2에서 차이점이 있는 부분은 스토퍼 부재(200) 및 스토퍼 부재(200)의 구성에 의해 표시부 브라켓(110)가 차이점이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패널(120)과, 액츄에이터(130)의 구성은 도 1 및 2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기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설명 전, 본 발명의 전자기기(100)의 구성 설명 순서는 조립되는 구성물의 순서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기기(100)의 구성은 패널(120), 표시부 브라켓(110), 액츄에이터(130) 그리고 스토퍼 부재(200) 구체적으로 탄성 샤시부(210) 및 스토퍼(220)로 구성되고, 이에 대한 배치 순서는, 패널(120)의 하측면에 후술하는 스토퍼 부재(200) 중 탄성 샤시부(210)가 배치되고, 탄성 샤시부(210) 하측면에 표시부 브라켓(110)이 놓이고, 이 상태에서 스토퍼 부재(200) 중 스토퍼(220)가 체결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의 조립 순서 즉, 스토퍼 부재(200)중 탄성 샤시부(210), 표시부 브라켓(110) 및 스토퍼 부재(200) 중 스토퍼(220)의 순서로 설명을 한다.
도 4는 도 3의 구성들이 조립된 상태의 중앙부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3의 구성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일단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200)는 패널(120)을 표시부 브라켓(110)의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패널(120)의 진동 시 변위 공간(D)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토퍼 부재(200)는 탄성 샤시부(210)와, 스토퍼(220)를 포함한다. 탄성 샤시부(210)는 패널(120)과 표시부 브라켓(110) 사이에 제공되고, 패널(120)을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도 6은 도 3에서 스토퍼 부재 중 탄성 샤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성 샤시부(210)는 플레이트(211)와 스토퍼 결합면(213)으로 나뉠 수 있다. 플레이트(211)는 패널(120)의 하면과 표시부 브라켓(110) 사이에 제공되는 구성으로, 패널(120)과 거의 유사한 사이즈로 패널(120)과 표시부 브라켓(110)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211)에는 복수개의 탄성판(212), 예를 들어 판 스프링과 같은 구성물이 플레이트(211)에 일체형으로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돌출 구성된다. 플레이트(211) 면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된 탄성판(212)은 패널(120)을 몸체(101)에서, 구체적으로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떠있는 상태, 즉 유동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패널(120)을 탄성 지지한다. 더불어, 패널(120)의 하측면에 결합된 플레이트(211)에는 액츄에이터(130)가 설치되어,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에 따라 탄성판(212)이 진동되면서 탄성판(212)의 진동이 패널(120)로 바로 전달되고, 패널(120)이 유동된 상태에 제공됨으로써, 진동이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이러한, 플레이트(211)의 주변둘레에는 후술하는 스토퍼(220)가 결합되는 스토퍼 결합면(213)이 형성된다. 스토퍼 결합면(213)에는 후술하는 스토퍼(220)의 체결홀(223)을 관통한 체결부재(300)가 결합되는 결합홀(213a)이 형성된다. 또한 스토퍼 결합면(213)에는 스토퍼(220)가 관통 결합되도록 스토퍼 결합면(213)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 고정폴(214)이 구비된다. 수직 고정폴(214)은 스토퍼(220)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도록 스토퍼(220)가 끼워지는 구성이다. 특히, 수직 고정폴(214)은 스토퍼(220)의 구성 중 탄성체(222)의 단부 측에 고정되어, 탄성체(222)의 탄성력에 의한 수직 방향 이동은 가능하게 하되, 스토퍼(220)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에, 스토퍼(220)가 체결부재(300)및 수직 고정폴(214)을 통해 스토퍼 결합면(213)에 고정됨으로써, 패널(120)이 유동된 상태에서 진동되는 경우 탄성체(222)가 표시부 브라켓(110)과 패널(120)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스토퍼(22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여, 스토퍼(2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도 7은 도 4에서 탄성 샤시부를 기준으로 탄성 샤시부의 일면에는 패널이, 타면에는 표시부 브라켓이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부 브라켓(110)은 탄성 샤시부(210)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표시부 브라켓(110)의 주변 둘레에는, 스토퍼 결합면(213)의 위치에 대응되며 후술하는 스토퍼(220)가 배치되는 배치면(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면(111)에는 스토퍼(220)가 표시부 브라켓(110)을 관통하여 스토퍼 결합면(213)에 체결되도록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배치면(111)에는 두 개의 개구, 즉, 제1,2개구부(112a, 112b)가 형성된다. 제1,2개구부(112a, 112b)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부 브라켓(110)의 주변둘레에는 배치면(111)이 형성되되, 배치면(111)에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주변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면(111)의 일면부(113), 제1개구부(112a), 배치면(111)의 중앙면부(114), 제2개구부(112b) 및 배치면(111)의 타면부(115)의 순서대로 형성된다. 이에, 후술하는 스토퍼(220)의 일측(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바디부(221a)'를 일컫는다.)은 제1개구부(112)에 결합되어 스토퍼(220)의 일측과 제1개구부(112)는 대면되고, 스토퍼(220)의 타측(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바디부(221a)'를 일컫는다.)은 제2개구부(112)에 결합되어 스토퍼(220)의 타측과 제2개구부(112)가 서로 대면된다. 또한, 스토퍼(22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앙(이하에서 설명하는 '중앙 바디부(221b)'를 일컫는다.)은 제1,2개구부(112) 사이의 배치면(111)의 중앙부와 대면된다. 이에, 스토퍼(220)와 탄성 샤시부(210)가 일체형으로 결합됨은 물론 탄성 샤시부(210)와 스토퍼(220) 사이에 표시부 브라켓(110)이 끼어져 체결되는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도 3에서 A부분 확대도로서, 스토퍼 부재 중 스토퍼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서 도 8에 개시된 스토퍼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토퍼(220)는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에 따라 진동되는 패널(120)의 변위 공간(D)을 제한하며, 패널(120)의 플로우팅 시 패널(120)이 몸체(101)에서 즉,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한다. 특히 스토퍼(220)는 표시부 브라켓(110)을 관통하여 탄성 샤시부(210)와 결합됨으로써, 스토퍼(220)가 탄성 샤시부(210)에 고정됨은 물론 스토퍼(120)와 탄성 샤시부(210) 사이에 표시부 브라켓(110), 구체적으로 배치면(111)의 중앙면부(114)가 배치되어 전자기기의 주변둘레를 살펴보면 도 1,2와 같은 결합 형태 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토퍼(220)는 바디부(221)와 탄성체(222)를 포함한다. 바디부(221)는 배치면(111)에 안착되고, 바디부(221)의 양측면에 표시부 브라켓(110)의 하측면에서 개구부(112)를 관통하여 스토퍼 결합면(213)에 체결된다. 바디부(221)는 제1,2바디부(221)와 중앙 바디부(221b)를 포함한다. 즉, 즉, 표시부 브라켓(110) 하면에서 제1,2개구부(112a, 112b)를 관통하여 스토퍼 결합면(213)에 체결되는 제1,2바디부(221a)와, 제1,2바디부(221a) 사이에서 절곡 연장되며 배치면(111)의 중앙면부(114)와 대면되는 중앙 바디부(221b)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디부(221)의 형상은 '
Figure pat00001
'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2바디부(221)와 중앙 바디부(221b)에는 탄성체(222)가 각 바디부(221)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탄성체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2바디부(221)에는 제1,2판스프링(222a)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 바디부(221b)에는 중앙 판 스프링(222b)이 각각 형성된다. 제1판스프링(222a)은 제1바디부(221a)에서 돌출되되 패널(12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제1판스프링(222a)은 제1바디부(221a)의 절곡된 모서리 측에서 제1바디부(221a)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되, 패널(120)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판스프링(222a)은 제2바디부(221a)에서 돌출되되, 패널(12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중앙 바디부(221b)를 중심으로 제2판스프링(222a)은 제1판스프링(222a)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제2판스프링(222a)의 경우, 제2바디부(221a)의 절곡된 모서리 측에서 제2바디부(221a)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되, 패널(120)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더불어 중앙 판 스프링(222b)은 중앙 바디부(221b)에서 돌출되되, 제1,2판스프링(222a)과는 다른 방향, 즉 패널(120)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중앙 판스프링(222b)은 중앙 바디부(221b)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되, 패널(120) 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제1,2 판스프링(222a)이 이동되는 공간(G1)과, 중앙 판스프링(222b)의 공간(G2)이 패널(120)의 진동에 따라 압축되면 제1,2판스프링은 패널(120) 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고, 중앙 판스프링(222b)은 패널(120) 표시부 브라켓(110)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스토퍼(220)를 스토퍼 결합면(213)에 체결하기 위해 스토퍼 결합면(213)에 형성된 결합홀(213a)의 위치에 맞물리도록 스토퍼(220)에는 체결홀(22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부(221a)의 단부와 제2바디부(221a)의 단부에 각각 체결홀(223)이 형성된다. 패널(120)과 스토퍼(220) 사이에 플레이트(211)가 체결된 상태에서 스토퍼(220)를 제1,2개구부(112a, 112b)를 통해 스토퍼 결합면(213)에 안착시킨 후, 체결부재(300)를 체결홀(223)을 통해 결합홀(213a)에 체결함으로써, 스토퍼(220)가 중앙 바디부(221b) 사이에 표시부 브라켓(110)을 끼고 스토퍼 결합면(213)에 장착된다.
도 10은 도 9에 배치면에 고정된 스토퍼 상에 스토퍼 브라켓에 배치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토퍼(220)가 스토퍼 결합면(213)에 체결되는 경우, 스토퍼 결합면(213)에 돌출된 수직 고정폴(214)에 스토퍼(2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1바디부(221a)와 제2바디부(221a)가 절곡된 부분 근처로 수직 고정폴(214)의 위치에 맞물려 수직 고정폴(214)가 관통되는 개구(2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토퍼(220)가 스토퍼 결합면(213)에 안착될 때, 개구(224)에 수직 고정폴(214)이 끼워져 스토퍼(220)가 수평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패널(120), 플레이트(211), 표시부 브라켓(110) 및 스토퍼(220) 순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스토퍼(220)가 배치되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배치면(111) 상에는 스토퍼(220)를 커버하며 배치면(111)과 결합되는 브라켓 스토퍼(250)가 더 포함된다. 브라켓 스토퍼(250)는 스토퍼(220)가 스토퍼 결합면(213) 및 배치면(111)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커버함으로써, 유동된 패널(120)의 진동시 스토퍼(220)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 스토퍼(250)는 스토퍼(220) 중 탄성체(222)들을 받쳐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브라켓 스토퍼(220)가 배치면(111)에 장착되도록 배치면(111)의 일면부(113)와 타면부(115)에는 브라켓 스토퍼 (220)를 장착할 수 있는 체결개구(111a)가 형성된다. 이에 브라켓 스토퍼(220)의 홀(251)을 통해 체결부재(400)가 체결됨으로써, 스토퍼 브라켓(250)이 스토퍼(220)를 커버하면서 표시부 브라켓(110)에 고정된다.
더불어 액츄에이터(130)의 경우, 패널(120)의 하측에 배치되되, 본 실시예에서 패널(120)의 하면에 플레이트(211)가 제공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경우 플레이트(211)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패널(120)에 진동을 전달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렇게 결합된 상태의 패널(120)은 탄성 샤시부(210) 특히, 탄성판(212)들에의해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유동된 상태 즉, 떠있는 상태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도 3 참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패널(120)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패널(120)은 접촉이나 눌림 등을 판별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접촉에 따른 액츄에이터(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플레이트(211)의 하측에 제공된 액츄에이터(130)가 진동되면, 탄성판(212)에 의해 표시부 브라켓(110)에서 떠있는 패널(120)이 유동된 상태에서 진동된다, 더불어 액츄에이터(130)는 유동된 패널(120) 및 플레이트(211)의 하측에 제공됨으로서, 액츄에이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패널(120)로 최대한 전달되는 것이다.
이에, 패널이 몸체에서 유동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물론, 액츄에이터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여도 변위 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진동함은 물론 몸체에서 유동된 상태로 진동됨으로써 최대한의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전자기기 101: 몸체
120: 패널 130: 액추에이터
140: 탄성부재 150: 스토퍼
151: 제1걸림플레이트 152: 제2걸림플레이트
153: 탄성체

Claims (18)

  1. 전자기기에 있어서,
    표시부 브라켓;
    상기 표시부 브라켓 전면에 제공되고, 버튼 입력을 위한 터치를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제공되고,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촉각(haptic) 신호를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패널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 지지된 상태의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패널의 주변둘레를 따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측으로 돌출 절곡되는 제1걸림플레이트;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주변둘레를 따라 상기 패널 측으로 돌출 절곡되며, 상기 제1 걸림플레이트에 걸려 맞물리되, 상기 패널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소정간격 이격된 공간을 가지며 맞물리는 제2걸림플레이트; 및
    상기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플로우팅에 따른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패널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플레이트는 상기 패널의 하면에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플레이트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상면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패널을 플로우팅 시키도록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플로우팅 되는 상기 패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포론, 폼 또는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6. 전자기기에 있어서,
    표시부 브라켓;
    상기 표시부 브라켓 전면에 제공되고, 버튼 입력을 위한 터치를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패널;
    상기 패널에 제공되고,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촉각(haptic) 신호를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패널의 진동 시 진동되는 변위 공간을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패널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패널을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서 이격된 상태로 플로우팅 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진동되는 상기 패널의 변위 공간을 제한하며, 상기 패널의 플로우팅 시 상기 패널의 이탈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패널의 변위 공간 및 상기 패널의 이탈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패널의 하면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부 브라켓 측으로 복수개의 탄성판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주변둘레에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패널의 주변둘레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는 스토퍼 결합면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주변 둘레에는 상기 스토퍼가 배치되는 배치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치면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표시부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 결합면에 체결되게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제1개구부와, 제1개구부와 이격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일측은 상기 제1개구부에, 상기 스토퍼의 타측은 제2개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하측면에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 결합면에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판에 의해 플로우팅 된 상기 패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2개구부를 통해 상기 스토퍼 결합면에 체결되는 제1, 2몸체부; 및
    상기 제1, 2몸체부 사이에서 절곡 연장되는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2몸체부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패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2 판스프링; 및
    상기 중앙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 측으로 돌출되는 중앙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몸체부의 각각 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을 통해 상기 주변부에 체결되어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면에는 상기 스프링을 커버하며 상기 표시부 브라켓과 결합되는 브라켓 스토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 측의 상기 배치면에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 스토퍼가 체결되는 체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결합면에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수직 고정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120068623A 2012-06-26 2012-06-26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KR20140000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23A KR20140000906A (ko) 2012-06-26 2012-06-26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US13/922,986 US20130342484A1 (en) 2012-06-26 2013-06-20 Electronic device having floating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23A KR20140000906A (ko) 2012-06-26 2012-06-26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06A true KR20140000906A (ko) 2014-01-06

Family

ID=4977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623A KR20140000906A (ko) 2012-06-26 2012-06-26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342484A1 (ko)
KR (1) KR201400009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4892B2 (ja) 2014-01-14 2018-01-24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60148881A (ko) * 2015-06-17 2016-12-2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전자장치
EP4144447B1 (en) * 2016-04-19 2024-05-0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seudo force sense generation apparatus
JP6843628B2 (ja) * 2017-01-23 2021-03-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触覚フィードバック装置及び該触覚フィードバック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6943639B2 (ja) * 2017-06-09 2021-10-06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
US10635176B2 (en) * 2017-12-18 2020-04-28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10521016B2 (en) * 2017-12-18 2019-12-31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10698489B1 (en) 2018-04-03 2020-06-30 Apple Inc. Compact pivoting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9660B2 (en) * 2008-10-10 2011-08-16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with suspension interface for localized haptic response
US20100245254A1 (en) * 2009-03-24 2010-09-30 Immersion Corporation Planar Suspension Of A Haptic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42484A1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0906A (ko) 플로우팅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
US10942571B2 (en) Laptop computing device with discrete haptic regions
US9939901B2 (en) Haptic feedback assembly
US9304949B2 (en) Sensing user input at display area edge
JP5373236B1 (ja) 電子機器
WO2015092966A1 (ja) 電子機器
EP3118713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30162591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4035561A (zh) 触觉反馈系统、方法和触摸显示装置
WO2010110965A2 (en) Planar suspension of a haptic touch screen
CN209118238U (zh) 触摸板模块和具有触摸板的设备
JP2013033458A (ja) 電子機器
JP6676635B2 (ja) 回路基板におけるタッチ入力デバイス
JP2018206275A (ja) 入力装置
CN204965394U (zh) 触控板和电子设备
KR101171163B1 (ko) 햅틱 액츄에이터
US20130147738A1 (en) Portable terminal
KR101891096B1 (ko) 전자기기
CN111665973A (zh) 触控反馈装置及智能终端
EP2874046B1 (en) Operation panel and operation apparatus
US20100315354A1 (en) Electronic device of touch input type
CN210721417U (zh) 触控反馈装置及电子设备
CN107908298B (zh) 触摸输入设备及其操作方法
CN203535569U (zh) 可提供触觉反馈的电子装置
JP6876141B2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