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114A -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114A
KR20160146114A KR1020150082782A KR20150082782A KR20160146114A KR 20160146114 A KR20160146114 A KR 20160146114A KR 1020150082782 A KR1020150082782 A KR 1020150082782A KR 20150082782 A KR20150082782 A KR 20150082782A KR 20160146114 A KR20160146114 A KR 20160146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practitioner
unit
shaf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958B1 (ko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컨
Priority to PCT/KR2015/00589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99962A1/ko
Priority to US15/735,358 priority patent/US10456650B2/en
Priority to KR1020150082782A priority patent/KR10169195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5/00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63B60/28Adjustable handles with adjustable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63B2220/44Angular 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63B2225/54Transponders, e.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80Circular bats or padd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59/20 - A63B59/7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olf Club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습스윙용 배트 특히, 골프 스윙연습시 스윙속도, 각 클럽 별 가상의 비거리 등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이를 단말에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는 배트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배트는 스윙계측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Golf Swing Training Assist Ba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습스윙용 배트 특히, 골프 스윙연습시 스윙속도, 각 클럽 별 가상의 비거리 등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이를 단말에 전송하여 관리할 수 있는 배트이다. 또한, 볼 발명의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를 통한 스윙 연습시 스윙플레인을 인식하여 단말에 전송하여 연습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골프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고 스코어를 낮추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등 각 클럽의 페이스(Face)에 골프공이 정확히 타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항상 일관성있는 스윙자세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골프 스윙은 리드미컬(rhythmical)한 동작으로 이루어질 때 자세가 안정될 뿐만 아니라 각 클럽별 정확한 임팩트시 안정적인 골프공의 탄도 및 비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골프 스윙은 어드레스(Address), 백스윙(Back Swing), 백스윙 탑(Back Swing Top),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우스루(Follow-Through), 피니쉬(Finish) 등 약 7단계로 구분된다.
안정적인 스윙 연습을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82482호를 개시하고 있다. 위 등록특허인 연습용 배트는 백스윙 탑 위치와 피니쉬 위치의 시점을 알림볼이 알람관에 충돌할 때의 소리에 의하여 연습자에게 알려준다. 실내 골프 연습장 등에서는 다른 연습자의 연습에 따른 소음 등으로 인하여 충돌음이 잘 들리지 않는다. 집중력을 요하는 골프 스윙에 있어서 위 충돌음은 자신의 스윙 연습에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연습용 배트의 추가 구입에 따른 골프 연습자의 비용 부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골프채와 다른 연습용 배트로 스윙 연습을 하게 되므로 혈실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골프 스윙연습 중 어드레스(Posture)가 중요하다. 정상적인 어드레스를 체크하기 위하여 소위 라이각(Lie Angle)을 체크한다. 일반적으로 라이각은 어드레스 했을 때 골프채의 샤프트의 선과 지면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뒷쪽 각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샤프트의 길이가 짧은 웨지일 경우에는 라이각이 크고, 이와 반대인 드라이버일 경우에는 라이각이 작다. 한편, 특정 골프채를 기준으로 봤을 때 정상적인 라이각보다 클 경우(예를 들면, 골프공과 발끝사이의 거리가 정상적인 거리보다 멀 때) 골프채의 힐(Heel) 부분이 지면에서 들리게 된다. 정상적인 라이각보다 작을 경우(예를 들면, 골프공과 발끝사이의 거리가 정상적인 거리보다 가까울 때) 골프채의 토우(Toe) 부분이 지면에서 들리게 된다. 힐 부분이 들렸을 때 타겟 방향보다 오른쪽으로 골프공이 날아가게 된다. 슬라이스(Slice) 또는 페이드(Fade) 구질이 된다. 토우부분이 들렸을 때 타겟방향보다 왼쪽으로 골프공이 날아가게 된다. 훅(Hook) 또는 드로우(Draw) 구질이 된다. 어드레스 시 자신의 자세에 의하여 라이각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연습배트를 사용시 자신의 스윙속도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클럽별 비거리를 가상적으로 추측할 수 있고, 자신이 소유한 클럽의 샤프트의 강도등이 스윙속도와 맞는지 등을 확인하여 알맞게 클럽을 피팅(fitting)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더하여, 스윙속도를 계측하여 각 클럽별 환산 거리를 예측하여 일관된 스윙템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스윙연습시 스윙궤적 즉, 스윙플레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관된 스윙플레인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하겠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982482호(2010.09.09.등록: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2. 한국등록특허 제10-1513473호(2015.04.14.등록 :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골프 클럽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트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습자의 스윙스피드를 계측하여 이를 가상적으로 골프공을 타격하였을 때의 비거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트의 스윙궤적을 인식하여 어드레스 시점과 임팩시점을 상호 비교하여 정확한 임팩시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배트의 스윙시 그 스피드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클럽이 자신에게 맞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럽 피팅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본 발명은 헤드(100); 상기 헤드(100)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제1샤프트(200); 상기 제1샤프트(200)와 연결되는 길이조절부(300); 상기 길이조절부(300)와 연결되며, 일측 단부측에 연습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립(410)이 형성된 제2샤프트(400); 및 상기 헤드(100), 제1샤프트(200), 길이조절부(300), 및 제2샤프트(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스윙계측모듈(50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윙계측모듈(500)은 연습자의 백스윙 탑에서 팔로우 스윙에 이르는 시점까지의 스윙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스윙속도 계측부(520); 상기 길이조절부(300)에 의하여 길이조절된 후 고정된 길이에 따라 골프 클럽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설정부(550); 및 상기 스윙속도 계측부에서 인식된 상기 스윙속도와 상기 모드설정부(500) 설정된 클럽을 비교하여 가상으로 골프공을 타격할 때의 비거리로 환산하기 위한 비거리환산부(5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윙계측모듈(500)은 상기 연습자가 연습스윙을 위하여 어드레스하였을 때의 시점을 인식하여, 상기 제1샤프트와 지면이 이루는 라이각을 인식하기 위한 제1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에 의하여 인식된 라이각을 표시하기 위한 라이각 표시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윙계측모듈(500)은 상기 연습자의 연습스윙시 스윙되는 궤적을 인식하기 위한 제2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부터 인식되는 궤적을 별도의 모바일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헤드(100)의 내부에는, 내부가 빈 통체(141); 상기 통체의 내부를 이동하며, 상자성물체로 이루어진 이동체(142); 상기 통체(1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143); 및 상기 자성체(143)의 내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자성물체로 이루어져 상기 자성체(143)의 자성이 상기 이동체(142)로 전달되어 상기 이동체(142)를 자성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144);를 포함하는 알림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윙계측모듈(500)은 상기 연습자의 연습 중 다운스윙에서 임팩트시점을 거쳐 팔로우스루에 이르는 궤적에 이르는 동안 상기 이동체(142)가 상기 고정부(14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통체(141)의 타측에 이르는 시점과 상기 제2센서로부터 인식된 스윙궤적 중 임팩시점을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임팩 확인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헤드(100)의 내부에는, 상기 연습자의 연습 중 어드레스 시점을 촉각적으로 상기 연습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진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프 클럽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트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습자의 스윙스피드를 계측하여 이를 가상적으로 골프공을 타격하였을 때의 비거리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보다 현실감있는 스윙 연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배트의 스윙궤적을 인식하여 어드레스 시점과 임팩시점을 상호 비교하여 정확한 임팩시점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확히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스윙 궤적을 만들 수 있도록 연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트의 스윙시 그 스피드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클럽이 자신에게 맞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럽 피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트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트의 헤드부분을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트의 스윙계측모듈 및 알림수단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트의 스윙계측모듈의 커버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트의 스윙계측모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트의 길이조절부 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트로 연습한 스윙 궤적을 모바일상에서 측면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트로 연습한 스윙 궤적을 모바일상에서 정면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개념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헤드(100), 제1 및 제2샤프트(200, 400), 제1 및 제2샤프트 사이에 구비되어, 샤프트의 총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300) 및 제2샤프트의 끝 부분에 구비된 그립(410)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연습자의 스윙 속도, 라이각, 스윙 궤적, 및 스윙플레인 등을 계측할 수 있는 스윙계측모듈(500), 스윙계측모듈(5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600), 배터리(60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700)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헤드(100)는 연습자가 파지하는 반대측 부위로서 그립(410)측 보다 무거운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면, 이를 위하여 헤드(100)의 내측부분에 무게추(130)를 구비할 수 있다. 무게추(130)는 헤드(100)의 끝부분측에 체결된 캡(120)을 풀고 삽입 고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게추(130)는 연습자의 근력, 체격 및 성별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무게가 가변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게추(130)의 크기를 달리하거나, 크기는 동일하더라도 비중을 달리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헤드(100)의 내측에는 보조알림부(110)가 구비된다. 보조알림부(110)는 내부가 중공된 중공 파이프 형상의 내부에 보조이동체(112)가 구비된다. 중공 파이프 형상의 일측에는 자석(111)이 구비된다. 보조이동체(112)는 상자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이동체(112)가 자석(111)측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자성결합된다. 연습자의 최초 어드레스시 보조이동체(112)는 자중에 의하여 자석(111)의 반대방향에 위치한다. 백스윙이 이루어지면서, 자중에 의하여 보조이동체(112)는 자석(111)에 자성결합된다. 다운스윙시에는 자성에 의하여 보조이동체(112)는 자석(111)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정확한 임팩시점에 이르러서야 자중 및 원심력 등에 의하여 자석(111)으로부터 보조이동체(112)가 이탈되어 반대방향으로 강하게 낙하되된다. 보조이동체(112)와 전술한 중공 파이프 형상의 타측 격벽 또는 별도의 소리를 유도할 수 있는 원판(113)에 부딪치면서 소리가 발생한다.
한편, 전술한 자석(111)은 자성을 갖고 있지 않은 별도의 원판(111)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최초 어드레드 당시, 자중에 의하여 보조이동체(11)가 원판(113)측에 있다가 백스윙을 하는 과정 또는 백스윙 탑에 이르러서야 자성을 갖고 있지 않은 원판(111)에 떨어진다. 이 경우에도 정확한 임팩시점에 이르러서야 보조 이동체(112)의 자중 및 원심력 등에 의하여 원판(111)으로부터 이탈되어 또 다른 원판(113)에 부딪치면서 소리가 발생된다. 이로써, 연습자는 어디에서 임팩이 발생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스윙계측모듈(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스윙계측모듈(500)은 라이각 표시부(510), 스윙속도 계측부(520), 비거리 환산부(530), 임팩 확인부(540), 모드설정부(550), 스윙플레인 인식부(560), 디스플레이부(570), 및 전송부 등을 포함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스윙계측모듈(500)에서 계측 및 처리된 데이터 및 스윙플레인 등을 포함하는 영상 등을 별도 마련된 모바일에 전송되어 이에 설치된 앱에 디스플레이 및 관리될 수 있다. 스윙계측모듈(500)과 모바일은 주지 관용의 근거리 통신 특히, NFC,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에 구현되는 앱의 이미지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7 및 8과 같은 스윙궤적을 포함하는 스윙플레인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윙계측모듈(500)은 헤드(100)의 중앙 내측부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제1샤프트(200), 길이조절부(300), 및 제2샤프트(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마련되어 본 발명의 배트외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장착의 위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도록 한다. 연습자의 스윙 궤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헤드(100)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 중 스윙계측모듈은 제1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제1센서는 연습자의 최초 어드레스 당시 제1 및 제2샤프트(200, 400)를 직선적으로 지면에 연장한 선과, 지면과의 사이의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센서이면 족하다. 예를 들면,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센서에 의하여 계측된 라이각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570)에 전송하는 것이 라이각 표시부(510)의 역할이다. 표시된 라이각을 연습자가 확인하여 어드레스가 잘 되어있는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다.
도 5를 참고하면, 스윙속도 계측부(520)는 연습자의 백스윙 탑에서부터 피니쉬에 이르는 구간까지의 스윙 속도를 계측한다. 자신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등에 대한 스팩과 계측된 속도를 비교하여 알맞는 클럽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하며, 클럽 피팅시 활용 가능하다. 또한, 계측된 스윙 속도가 불규칙적일 경우, 반복적인 연습 스윙을 통하여 항상 일관된 스윙 속도 및 템보를 만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윙속도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미도시) 등을 활용하여 계측 가능하다.
도 6을 참고하면, 스윙속도 계측부(520)를 통하여 계측된 스윙속도로 정확히 타격하였을 경우 날아가는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로 환산한다. 골프클럽은 드라이버에서 퍼터에 이르기까지 약 14개에 이른다. 퍼터를 제외하면 각 클럽별 정확한 비거리를 인식하여야 재미있는 운동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라이버의 경우 약 200m, 7번 아이언의 경우 약 130m 등, 가상적으로 연습자마다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트를 활용하여 가승의 골프공 비거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드설정부(550)를 구비하였다. 모드설정부(550)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연습모드를 드라이버 모드, 7번 아이언 모드 등으로 정할 수 있다. 계측된 스윙속도와 정해진 연습모드를 비교하여 비거리 환산부(530)에서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로 환산된다.
환산방법으로는 별도의 경험칙상의 공식으로 환산하거나, 프로골퍼 등의 스윙스피드와 비거리를 각각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통계적으로 환산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비거리 환산부(530)에서의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 환산 및 연습자의 보다 재미있고 정확한 연습을 위하여 각 클럽의 샤프트의 길이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길이조절부(300)를 구비하였다. 길이조절부(300)에서 드라이버 샤프트의 길이에 맞춰놓고, 스윙 연습한 후 해당 스윙속도와 모드설정부(550)에서 드라이버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가상적인 골프공의 비거리가 환산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센서를 구비한 스윙플레인 인식부(560)가 구비된다. 스윙플레인 인식부(560)는 연습자의 연습스윙 궤적을 모두 읽어 이를 직선적으로 표현하는 스윙 궤적, 이를 평면적으로 표시하는 스윙플레인 등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스윙플레인은 전송부를 통하여 모바일에 전송, 이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2센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스윙 궤적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다른 센서를 활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를 참고하여, 임팩확인부(540)를 설명한다. 임팩확인부(540)는 연습자의 연습 중 다운스윙에서 임팩트시점을 거쳐 팔로우스루에 이르는 궤적에 이르는 동안 후술하는 이동체(142)가 고정부(144)로부터 이탈되어 통체(141)의 타측에 이르는 시점과 제2센서로부터 인식된 스윙궤적 중 임팩시점을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는, 임팩확인부(540)는 제1 또는 제2센서 등을 통하여 연습자의 최초 어드레스 시점을 인식한 후, 백스윙탑 이후 다운스윙을 거쳐 인식된 임팩시점이 상호 일치하는지 또는 어드레스 시점보다 임팩시점이 도 8과 같은 임팩존에 이르렀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570)에 전송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570)는 정확한 임팩이 이루어졌다면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 또는 스윙스피드 등을 표시할 것이다. 정확하지 않은 임팩이라면 에러 표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디스플레이부(570)의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헤드(100) 내부에 장착된 스윙계측모듈(500) 및 이에 수반되는 배터리(600) 및 충전부(700) 등을 도시하였다. 도 내지 4를 참고하면, PCB 기판 상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부(570) 및 전원버튼(580)이 구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PCB 기판의 하부측에 알림수단(140)을 구비한다. 알림수단은 전술한 보조 알림부(110)와 유사하게 내부가 빈 통체(141), 통체(141)의 내부를 이동하며, 상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이동체(142), 통체(1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143), 및 상기 자성체(143)의 내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자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자성체(143)의 자성이 상기 이동체(142)로 전달되어 상기 이동체(142)를 자성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144)를 포함한다. 고정부(144)는 상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나사일 수 있다. 고정부(144)를 정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된 자성체(143)로부터 이동체(142)를 멀게하거나 가깝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자성체(143)가 이동체(142)에 미치는 자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체(142)의 운동 메커니즘은 전술한 보조알림부(110)의 보조이동체(112)와 마찬가지이다.
즉, 백스윙 탑에 이르렀을 때 이동체(142)는 고정부(144)에 자성결합되어 있다. 다운 스윙 이후 임팩시점에 이르러 이동체(142)는 자중 및 원심력 등에 의하여 고정부(144)의 반대편 측에 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142)가 고정부(144)의 반대편 측에 떨어지는 시점을 임팩시점이라 가정하고, 이와 제 1 또는 2센서로부터 인식된 스윙궤적 중 임팩시점을 상호 비교하여, 정확한 임팩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을 참고하여 길이조절부(300)를 상술한다.
길이조절부는 회전부(310)와 확장부(32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고하면, 회전부의 일측은 제2샤프트(40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2샤프트(400)를 회전시키면, 이와 일체로 고정된 회전부(310)도 일체로 회전된다. 회전부(310)의 타측에는 단면이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에 나사산(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치합될 수 있도록 확장부(320)의 내측면에는 골(321)이 형성된다.
회전부(310)의 정회전시 확장부(320)의 내측으로 회전부(310)가 전진함으로써, 확장부(320)는 점점 벌어진다. 벌어지는 확장부(320)의 외주면이 제2샤프트(200)의 내주면을 압박한다. 이로써 고정된다. 반대로 역회전시 회전부(310)가 확장부(320)외 외측으로 후진함으로써, 벌어졌던 확장부(320)가 복귀되어 느슨해진다. 이때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트에 의하여 자신의 스윙 스피드를 인식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항상 일관된 스윙스피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가상의 골프공 비거리로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습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샤프트의 길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하나의 배트로 각 클럽별 연습이 가능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100 : 헤드 200 :제1샤프트
300 : 길이조절부 400 : 제2샤프트
500 : 스윙계측모듈 600 : 배터리
700 : 충전부

Claims (5)

  1. 헤드(100);
    상기 헤드(100)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제1샤프트(200);
    상기 제1샤프트(200)와 연결되는 길이조절부(300);
    상기 길이조절부(300)와 연결되며, 일측 단부측에 연습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립(410)이 형성된 제2샤프트(400); 및
    상기 헤드(100), 제1샤프트(200), 길이조절부(300), 및 제2샤프트(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스윙계측모듈(50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윙계측모듈(500)은 연습자의 백스윙 탑에서 팔로우 스윙에 이르는 시점까지의 스윙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스윙속도 계측부(520);
    상기 길이조절부(300)에 의하여 길이조절된 후 고정된 길이에 따라 골프 클럽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설정부(550); 및
    상기 스윙속도 계측부에서 인식된 상기 스윙속도와 상기 모드설정부(500) 설정된 클럽을 비교하여 가상으로 골프공을 타격할 때의 비거리로 환산하기 위한 비거리환산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계측모듈(500)은 상기 연습자가 연습스윙을 위하여 어드레스 하였을 때의 시점을 인식하여, 상기 제1샤프트와 지면이 이루는 라이각을 인식하기 위한 제1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에 의하여 인식된 라이각을 표시하기 위한 라이각 표시부(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계측모듈(500)은 상기 연습자의 연습스윙시 스윙되는 궤적을 인식하기 위한 제2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부터 인식되는 궤적을 별도의 모바일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0)의 내부에는,
    내부가 빈 통체(141);
    상기 통체의 내부를 이동하며, 상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이동체(142);
    상기 통체(141)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체(143); 및 상기 자성체(143)의 내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자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자성체(143)의 자성이 상기 이동체(142)로 전달되어 상기 이동체(142)를 자성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144);를 포함하는 알림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윙계측모듈(500)은 상기 연습자의 연습 중 다운스윙에서 임팩트시점을 거쳐 팔로우스루에 이르는 궤적에 이르는 동안 상기 이동체(142)가 상기 고정부(14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통체(141)의 타측에 이르는 시점과 상기 제2센서로부터 인식된 스윙궤적 중 임팩시점을 상호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임팩 확인부(5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0)의 내부에는,
    상기 연습자의 연습 중 어드레스 시점을 촉각적으로 상기 연습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진동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20150082782A 2015-06-11 2015-06-11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169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5898 WO2016199962A1 (ko) 2015-06-11 2015-06-11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US15/735,358 US10456650B2 (en) 2015-06-11 2015-06-11 Bat for golf swing practice
KR1020150082782A KR101691958B1 (ko) 2015-06-11 2015-06-11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82A KR101691958B1 (ko) 2015-06-11 2015-06-11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114A true KR20160146114A (ko) 2016-12-21
KR101691958B1 KR101691958B1 (ko) 2017-01-09

Family

ID=5750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782A KR101691958B1 (ko) 2015-06-11 2015-06-11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56650B2 (ko)
KR (1) KR101691958B1 (ko)
WO (1) WO2016199962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243B1 (ko) * 2018-10-17 2019-02-21 (주) 더조은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1950242B1 (ko) * 2018-10-17 2019-02-21 (주) 더조은 스윙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1963080B1 (ko) * 2018-02-05 2019-03-27 주식회사 에스지엠 모의 골프클럽을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995061B1 (ko) * 2018-09-28 2019-07-01 진익현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KR102004646B1 (ko) * 2018-02-05 2019-07-26 주식회사 에스지엠 모의 골프클럽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WO2019151572A1 (ko) * 2018-02-05 2019-08-08 주식회사 에스지엠 모의 골프클럽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190103622A (ko) * 2018-02-28 2019-09-05 김성완 스윙 분석장치
KR20220101288A (ko) * 2021-01-11 2022-07-19 (주) 블루셀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골프 스윙 분석장치
KR20220102164A (ko) * 2021-01-11 2022-07-20 (주) 블루셀 클럽 종류 자동인식 및 방향성, 비거리 자동측정이 가능한 골프 스윙 분석장치
KR20220102163A (ko) * 2021-01-11 2022-07-20 (주) 블루셀 클럽 종류 자동인식이 가능한 골프 스윙 분석장치
US20220339534A1 (en) 2021-04-22 2022-10-27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Visual and tactile ar mediu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33B1 (ko) * 2017-08-23 2019-03-15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스윙 스피드 가변형 스마트 스윙 연습기 및 스마트 스윙 연습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0661145B2 (en) 2018-06-20 2020-05-26 BTE Enterprises, LLC Sports swing training device
WO2022163876A1 (ko) * 2021-01-27 2022-08-04 주식회사 베스컨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WO2023184016A1 (en) * 2022-03-30 2023-10-05 Alcide Deschesnes Systems and methods for swing exerci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619A (en) * 1992-11-16 1994-02-01 Napolitano Anthony P Practice golf club having a collapsible and adjustable length shaft
KR100982482B1 (ko)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20130087218A (ko) * 2012-01-27 2013-08-06 김익년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140129991A (ko) 2013-04-30 2014-11-07 주식회사 베스컨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7335B2 (en) * 2006-10-07 2012-12-25 Dugan Brian M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or analyzing swing information
US8257191B2 (en) * 2009-08-27 2012-09-04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having digital lie and/or other angle measuring equipment
US8715096B2 (en) * 2011-05-19 2014-05-06 Michael Robert CHERBINI Golf swing analyzer and analysis methods
KR20110122656A (ko) * 2011-09-29 2011-11-10 한준희 골프 연습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WO2013108945A1 (ko) * 2012-01-20 2013-07-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체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WO2014178604A1 (ko) * 2013-04-30 2014-11-06 주식회사 베스컨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20150045262A (ko) * 2013-10-18 2015-04-28 오연수 스마트폰을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US9636578B1 (en) * 2014-02-03 2017-05-02 Brett Ricky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619A (en) * 1992-11-16 1994-02-01 Napolitano Anthony P Practice golf club having a collapsible and adjustable length shaft
KR100982482B1 (ko)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KR20130087218A (ko) * 2012-01-27 2013-08-06 김익년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140129991A (ko) 2013-04-30 2014-11-07 주식회사 베스컨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646B1 (ko) * 2018-02-05 2019-07-26 주식회사 에스지엠 모의 골프클럽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963080B1 (ko) * 2018-02-05 2019-03-27 주식회사 에스지엠 모의 골프클럽을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WO2019151572A1 (ko) * 2018-02-05 2019-08-08 주식회사 에스지엠 모의 골프클럽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190103622A (ko) * 2018-02-28 2019-09-05 김성완 스윙 분석장치
KR101995061B1 (ko) * 2018-09-28 2019-07-01 진익현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JP2020075096A (ja) * 2018-09-28 2020-05-21 イク ヒュン ジン ゴルフのスイングの練習を補助する人工知能、及び拡張現実基盤のゴルフ練習装置
KR101950243B1 (ko) * 2018-10-17 2019-02-21 (주) 더조은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1950242B1 (ko) * 2018-10-17 2019-02-21 (주) 더조은 스윙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20220101288A (ko) * 2021-01-11 2022-07-19 (주) 블루셀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골프 스윙 분석장치
KR20220102164A (ko) * 2021-01-11 2022-07-20 (주) 블루셀 클럽 종류 자동인식 및 방향성, 비거리 자동측정이 가능한 골프 스윙 분석장치
KR20220102163A (ko) * 2021-01-11 2022-07-20 (주) 블루셀 클럽 종류 자동인식이 가능한 골프 스윙 분석장치
US20220339534A1 (en) 2021-04-22 2022-10-27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Visual and tactile ar medium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220145555A (ko) * 2021-04-22 2022-10-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시촉각 ar 매체
US11786811B2 (en) 2021-04-22 2023-10-17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Visual and tactile AR medium based on augmented re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69500A1 (en) 2018-06-21
WO2016199962A1 (ko) 2016-12-15
US10456650B2 (en) 2019-10-29
KR101691958B1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58B1 (ko)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1532206B1 (ko)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050239567A1 (en) Golf alignment device, method and apparatus
KR102265374B1 (ko) 에이밍 기능이 구비된 퍼팅정보 제공 장치
KR101646558B1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KR101515428B1 (ko) 스윙 분석 센서가 내장된 골프 그립 및 이를 이용한 스윙 분석 시스템
JP6297662B1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用バット
US8915792B2 (en) Golf swing training aid and method
US20110237343A1 (en) Golf Training Apparatus
US7144329B2 (en) Golf club with which gravity rule is realized
KR101720671B1 (ko) 골프스윙 보조기구
KR101030471B1 (ko) 골퍼 지향각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퍼 지향각 표시방법
KR10161289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102452594B1 (ko) 스윙 정보를 표시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KR20150057216A (ko) 센서 시스템을 갖는 골프공
KR102123447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2520867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20017906A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160028782A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KR101687730B1 (ko) 스윙 방향 안내 기능을 가진 골프 클럽
US20080234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golf
JP2024521261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具
KR20200117097A (ko) 골프 클럽에 장착 가능한 에이밍 장치
KR20150109235A (ko) 밸런스 스윙 휘슬 스틱
KR20150115310A (ko) 3축 센서를 이용한 골프 퍼팅 훈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