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061B1 -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061B1
KR101995061B1 KR1020180116641A KR20180116641A KR101995061B1 KR 101995061 B1 KR101995061 B1 KR 101995061B1 KR 1020180116641 A KR1020180116641 A KR 1020180116641A KR 20180116641 A KR20180116641 A KR 20180116641A KR 101995061 B1 KR101995061 B1 KR 101995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swing
head
user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익현
Original Assignee
진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익현 filed Critical 진익현
Priority to KR102018011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061B1/ko
Priority to JP2019176336A priority patent/JP680686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골프연습장치에 있어서, 헤드, 샤프트,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구비되는 제1 자력부, 상기 헤드에 구비되는 제2 자력부 및 상기 헤드에 구비되는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력부 및 상기 제2 자력부 사이에는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여 골프 스윙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자력부에 상기 인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인력을 초과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자력부가 상기 타격부에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GOLF TRAINING DEVICE FOR SUPPORTING GOLF SWING PRACT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ILIT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 연습을 하려면 골프 연습장에 가야 하고, 공 없이 골프채만 휘두르는 연습을 하기에도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골프 연습장에 가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하고, 개인적으로 연습을 하기에도 골프채를 휘두를만큼 넓은 공간이 확보된 곳도 많지 않다.
이에 골프채 대신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실제 골프채를 휘두르는 것과 같은 감각을 주기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고, 부품의 무게로 인하여 쉽게 파손되기도 한다.
또한, 실제로 골프채를 휘두르는 것과 유사한 감각을 제공하기 위한 연습도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밀성을 갖춘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9481호, 2014.01.29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골프연습장치는, 헤드, 샤프트,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구비되는 제1 자력부, 상기 헤드에 구비되는 제2 자력부 및 상기 헤드에 구비되는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력부 및 상기 제2 자력부 사이에는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여 골프 스윙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자력부에 상기 인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인력을 초과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자력부가 상기 타격부에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상기 소켓과 상기 헤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거리 조절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나사선 및 상기 나사선을 따라서 회전하며 승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선은 두줄나사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나사선을 따라서 회전함에 따라 변경되는 기준속도를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이 표시되고, 상기 기준속도는, 상기 제2 자력부가 상기 타격부에 충돌하도록 하는 상기 골프연습장치의 스윙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 및 상기 헤드의 적어도 일부는 황동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자력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마련되는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상기 타격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완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헤드가 소정 범위 내의 방향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스윙 인식을 시작하고, 상기 헤드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스윙에 따른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속도, 방향 및 비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타격위치, 타격각도 및 타격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골프연습장치는, 어디에서나 골프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석을 이용하여 실제 공을 타격하는 것과 같이 스윙에 따른 타격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두줄나사선을 이용함으로써 더 정밀하게 스윙의 기준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동 재질 등 자석에 붙지 않는 재질을 활용함으로써 자석들 간의 자기력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골프 스윙을 분석하고, 스윙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 등 다양한 연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 및 거리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여 스윙을 연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술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특정 구성요소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술한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실시예들은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골프 연습장치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는 필요한 구성만을 예시적으로 제시하며, 본 발명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는 샤프트 및 헤드(110)를 포함하고, 샤프트 및 헤드(110)와 결합되는 소켓(10)을 포함한다. 또한, 골프연습장치(100)는 소켓(10)에 구비되는 제1 자력부(1), 헤드(110)에 구비되는 제2 자력부(2) 및 헤드(110)에 구비되는 타격부(3)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력부(1) 및 제2 자력부(2) 사이에는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고,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골프 스윙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제2 자력부(2)에 상기 인력을 초과하는 원심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2 자력부(2)가 타격부(3)에 충돌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자력부(1) 및 제2 자력부(2)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자석에 붙는 금속(예를 들어, 철)일 수 있다. 또한, 제1 자력부(1) 및 제2 자력부(2)는 모두 자석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1 자력부(1)는 자석이고, 제2 자력부(2)는 자석에 붙는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를 휘두르는 경우, 헤드(110)가 원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자력부(2)에 원심력이 가해지게 된다. 제1 자력부(1)는 소켓(10)과 일체로서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고, 제2 자력부(2)는 평소에는 제1 자력부(1)와의 인력으로 인해 헤드(110)의 일측 면에 고정된다. 이 때, 제2 자력부(2)와 타격부(3) 사이에는 제2 자력부(2)가 타격부(3)까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제2 자력부(2)가 고정되는 헤드(110)의 일측 면과 제1 자력부(1)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제2 자력부(2)에 제1 자력부(1)와 제2 자력부(2) 사이의 인력의 반대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제1 자력부(1)와 제2 자력부(2) 사이의 인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2 자력부(2)는 제1 자력부(1)와 멀어질 수 있으며, 타격부(3)에 충돌함으로써 타격음을 낼 수 있다.
제2 자력부(2)에 가해지는 힘은 원심력 및 중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도 3a 및 도 3b)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 및 거리 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소켓(10)은 소켓(10)과 헤드(1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헤드(1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110)에 대응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13)는 소켓(10)의 상부(11)에 구비된 연결부(12)에 마련되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거리 조절부(13)의 내부에는 연결부(12)에 구비되는 나사선(15)이 포함되고, 거리 조절부(13)는 나사선(15)을 따라서 회전하며 승강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13)가 승강함에 따라 소켓(10)과 헤드(14)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110)는 거리 조절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켓(10)에 구비되는 제1 자력부(1)와 헤드(14)에 구비되는 제2 자력부(2) 간의 거리가 따라서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자력부(1)와 제2 자력부(2) 간에 작용하는 인력 또한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 자력부(1)는 고정된 상태로, 거리 조절부(13)의 승강에 따라 헤드(14) 및 헤드(14)에 포함된 제2 자력부(2)가 함께 승강하여, 제1 자력부(1) 및 제2 자력부(2) 간의 거리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제1 자력부(1) 및 제2 자력부(2) 간의 인력이 조절된다. 제1 자력부(1) 및 제2 자력부(2) 간의 인력이 강할수록 골프연습장치(100)를 더 빠르게 스윙하여야 제2 자력부(2)가 타격부(3)에 충돌할 수 있으므로, 거리 조절부(13)를 승강시킴에 따라 골프연습장치(100)를 스윙하여야 하는 기준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리 조절부(13)에는 거리 조절부(13)가 나사선(15)을 따라서 회전함에 따라 변경되는 기준속도를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이 표시되고, 상기 기준속도는, 상기 제2 자력부(2)가 상기 타격부(3)에 충돌하도록 하는 상기 골프연습장치의 스윙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10)은 소켓의 상부(11)와 나사선(15) 내부에 결합되는 기어(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리 조절부(13)의 내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랙(rack, 17)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어(16)의 일 측면에는 홈이 구비되고, 홈에는 핀(18)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홈과 핀(18)사이에 배치되어 핀(18)이 홈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리 조절부(13)가 회전하는 경우 랙(17)과 핀(18) 사이의 충돌로 인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핀(18)은 랙(17)에 포함된 톱니 사이의 홈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거리 조절부(13)가 회전함에 따라 다른 톱니들 사이의 홈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리 조절부(13)를 회전시키는 데 대한 소리 피드백을 얻을 수 있고, 소리가 발생하는 횟수 및 핀(18)과 랙(17)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진동과 반발력으로 인해 거리 조절부(13)를 원하는 만큼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속도는 헤드의 이동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고, 골프연습장치(100)에 대응하는 실제 골프채를 통해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하였을 때 골프공의 비행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나사선(15)은 두줄나사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줄나사선은 나사선이 두 줄로 되어있는 구조로서, 나사선(15)을 따라 회전하며 승강하는 거리 조절부(13)가 나사선(15)의 피치의 두 배로 승강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두줄나사선을 이용함으로써 거리 조절부(13)는 상기 기준속도를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속도를 실제 속도에 가깝도록 조율하기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10) 및 헤드(14)의 적어도 일부는 황동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재질은 황동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자석에 붙지 않는 재질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켓(10) 및 헤드(14)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력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어, 기준 속도를 더욱 정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14)에는 제2 자력부(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력부(2)가 타격부(3)를 파손하고 골프연습장치(100)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4)에는 제2 자력부(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자력부(2)와 연결되는 강선, 제2 자력부(2)보다 작은 크기의 통공을 포함하는 고정수단, 타격부(3)의 파손시 2차적으로 제2 자력부(2)를 수용할 수 있는 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골프연습장치(100)의 고정장치에 대한 일 실시 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7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14)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마련되는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판은 제2 자력부(2)와 타격부(3)간의 타격으로 인한 충격으로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장치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장치는 타격부(3)와 기판 사이에 마련되어, 타격부(3)에 가해지는 충격이 기판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기판은 헤드(14)의 일 측면 내벽에 구비되는 등 제2 자력부(2)와 타격부(3) 간의 타격으로 인한 충격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판은 중앙에 통공을 포함하는 도넛 형태로 성형되어, 제2 자력부(2) 및 타격부(3) 중 적어도 하나가 통공 내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제2 자력부(2)와 타격부(3) 간의 충격이 기판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서버(300),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골프연습장치(100)는 서버(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채를 대신하여 사용자의 스윙 연습을 돕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채와 유사한 무게를 가지며, 길이는 골프채보다 짧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스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로 전달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는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연습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는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골프연습장치(1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스윙 연습을 보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실감있는 다양한 종류의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의 정면 및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골프연습장치(100)의 정면 및 배면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 골프연습장치(100)의 특정 부분이 정면이나 배면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 정면에는 발광장치(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장치(120)는 LED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장치(120)는 상술한 기판과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 배면에는 골프연습장치(10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22)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단자(122)는 마이크로 5핀, 라이트닝 8핀 및 USB-C 타입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충전단자(122)는 상술한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는 본체(114)에 커버(112)를 씌운 형태로 구성된다. 커버(112)는 본체(114)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스펀지, 고무, 실리콘 등 탄성이 있거나 완충이 가능한 부재로 구성된다.
커버(112)에는 본체(114)에 구비된 발광장치(1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커버(112)에는 본체(114)에 구비된 충전단자(1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구비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는 손잡이(130), 손잡이(130)와 본체(114) 사이에 위치하는 샤프트(150) 및 샤프트(150)와 본체(114)를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스윙 도중 골프연습장치(100)가 파손되어도 부품의 이탈로 인한 기물파손이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전장치는 연결부(140)에 구비된 소켓(180), 샤프트(150) 내부에 구비되어 소켓(180)과 결합되는 강선(160) 및 강선(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장치(17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18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소켓(11)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180)은 골프연습장치(100)에 골프채와 같은 무게감을 주기 위한 무게를 갖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연습이 가능하도록 실제 골프채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샤프트(150)는 실제 골프채보다는 짧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샤프트(150)의 한쪽 끝에 구비되며, 실제 골프채의 손잡이와 같거나 유사한 형태로 구성, 실제 골프채를 잡는 것과 같은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쪽 일 측면에 구비되는 소켓(180)은 강선(160)과 연결되어 골프연습장치(100)가 파손되어도 헤드(110)의 이탈로 인한 부상이나 기물파손을 방지하고, 소정 무게를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골프채와 같은 무게감과 원심력을 느끼며 스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헤드(110)의 본체(114)와 사프트(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연결부(140)에 포함된 소켓(180)은 본체(114)와 결합되어, 본체(114)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14)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프로세서, 통신모듈 및 발광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로장치(116)가 포함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샤프트(150)의 내부에는 소켓(180)과 연결되는 강선(160)이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강선(160)의 일 측면에는 나선 형태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소켓(180)에는 강선(160)에 대응하는 나선 형태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통공이 구비되어, 소켓(180)의 통공을 이용하여 소켓(180)과 강선(16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강선(160)의 다른 일 측면에는, 강선(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장치(170)가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장치(170)는 강선(160)과 나선 형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고정장치(170)는 그 일부가 샤프트(150)에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가 샤프트(150) 외부로 노출되되, 그 지름(또는 일 측면 길이)이 샤프트(150)의 내경 지름보다 큰 걸림수단으로 구성되어, 고정장치(170)에 의하여 강선(160)이 샤프트(15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예로, 골프연습장치(100)의 스윙에 따라 소켓(180)이나 헤드(110)가 원심력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하여 소켓(180)이나 헤드(110)가 이탈될 수 있다. 소켓(180)이나 헤드(110)가 이탈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체(114)에 구비된 회로(116)등 골프연습장치(100)가 파손될 수 있다. 회로(116)는 상술한 기판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선(160)은 일 측면이 소켓(180)과 결합되어 소켓(180)을 고정하고, 다른 일 측면은 고정장치(170)와 결합되어 소켓(180)의 이탈을 방지한다. 소켓(180)은 헤드(110)와 결합(예를 들어, 나선결합)되어, 헤드(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강선(160)과 결합되고, 강선(160)을 따라 높이가 조절되어, 골프연습장치의 스윙에 따른 원심력을 조절하는 무게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와 강선(160)은 나선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게추는 제1 자력부(1) 또는 제2 자력부(2)로 대체되거나, 이와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고정장치(170)는 강선(160)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가는 쇠선 또는 복수의 쇠선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헤드(110)가 샤프트(15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는 제어부(101), 전원부(102), 센서부(103), 발광부(104) 및 통신부(105)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부(102)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단자 및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103)는 3축 가속도센서 및 3축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는 6축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103)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3축 자기장 센서를 더 포함하는 9축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104)는 골프연습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104)는 골프연습장치(100)의 충전상태를 나타내거나, 연습 중 소정의 타이밍에 대한 정보, 대기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104)는 어두운 곳에서의 연습을 돕기 위하여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 부분을 밝게 빛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05)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 및 네트워크 무선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01)는 전원부(102), 센서부(103), 발광부(104) 및 통신부(105)를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연습을 보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01)는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 없이 자체적인 프로세싱을 통해 사용자의 연습을 보조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사용자의 연습 중 수집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연습 중 수신되는 정보는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즉시 전송되거나, 연습 중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후 연습 이후, 또는 특정 시점에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골프연습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수행하는 것으로 서술되는 것은 일 예로서 이해될 수 있고, 각각의 동작의 주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골프연습장치(100)를 들고 준비자세를 취할 수 있다. 준비자세는 실제 골프채를 들고 준비자세를 취하는 것과 같이, 골프공(20)을 향하도록 골프채를 아래로 들고 있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골프공(20)은 실제로 놓여 있을 수도 있고, 가상의 골프공(20)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골프 연습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의 길이는 실제 골프채보다 짧으므로, 골프공(20)이 실제로 타격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가 소정의 시간동안 골프공(20)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면,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공(20)의 위치에 실제 또는 가상의 골프공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스윙을 인식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전환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가 준비상태로 전환되면, 발광장치(120)에 불이 들어오거나, 특정 색상의 불빛이 들어올 수 있다.
사용자는 발광장치(120)에 불빛이 들어오면,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윙을 할 수 있다. 스윙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강한 드라이브 샷부터 퍼팅까지 다양한 종류의 스윙이 수행되고, 인식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여 스윙을 연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골프연습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골프연습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수행하는 것으로 서술되는 것은 일 예로서 이해될 수 있고, 각각의 동작의 주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골프연습장치(100)가 준비상태로 전환된 이후, 사용자는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윙을 연습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는 센서부(103)를 이용하여 골프연습장치(100)의 헤드(110)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연습장치(100)는 스윙 궤적(400)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채(30)와 골프연습장치(100)의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채(30)와 골프연습장치(100)의 길이 차이를 고려하여, 스윙 궤적(400)을 수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채(30)의 길이는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선택된 길이가 골프채(30)의 길이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스윙의 속도와 궤적을 판단하여, 골프공의 타격여부, 골프공을 타격한 위치, 골프공을 타격한 강도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골프연습장치(100)는 가상의 골프공의 비거리 및 궤적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행한 스윙에 따른 가상의 골프공의 비거리 및 궤적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상의 골프공의 비거리 및 궤적에 대한 정보는 골프연습장치(100)에서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골프공에 대하여 정타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소정의 비거리 이상 공이 날아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윙이 성공적이었는지 여부를 즉시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은 불빛 또는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피드백은 스윙 이후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에 음성이나 불빛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에 골프공을 제대로 타격한 것으로 판단되면 맑은 소리를 내고, 빗맞은 것으로 판단되면 둔탁한 소리를 내며, 타격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 소리를 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의 강도에 따라 더 큰 소리를 내거나, 더 작은 소리를 냄으로써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한 강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피드백은 상술한 제2 자력부(2)와 타격부(3) 간의 충돌에 의하여 발생하는 타격음을 보조하는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골프채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는 선택된 골프채의 종류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연습장치(100)는 선택된 골프채의 종류에 따라 골프공의 정타여부 및 비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퍼팅연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10미터 앞)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홀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스윙에 따라 골프공의 이동방향을 계산, 홀인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골프 연습을 위한 보조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골프연습장치(100)에서 수행된 스윙 연습에 따른 정보를 획득한다. 스윙 연습에 따른 정보는 골프연습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스윙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스윙 궤적을 평가하거나 레퍼런스 스윙 궤적과 비교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스윙 궤적은 사용자의 이전 스윙 궤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레퍼런스 스윙 궤적은 골프선수의 스윙 궤적일 수 있다. 골프선수의 스윙 궤적은 영상분석을 통해 수집될 수도 있고, 골프선수가 직접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윙한 정보를 통해 수집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레퍼런스 스윙 궤적은 또 다른 골프연습장치(100) 사용자의 스윙 궤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 선수는 아니더라도 다른 골프연습장치(100) 사용자들 중 좋은 실력을 가진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들의 스윙 궤적을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각각의 스윙 궤적을 평가하고, 좋은 스윙 궤적들을 선택하여 레퍼런스 스윙 궤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서버(300)는 각각의 스윙 궤적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특징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과, 사용자의 골프 실력을 객관적 수치로 분석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골프 실력은 사용자의 스윙 궤적을 평가한 결과로서 수집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며,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 성적에 따라 평가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실력 등 사용자의 특성에 기초하여, 서버(300)에 레퍼런스 스윙 궤적을 요청할 수 있다.
스윙 궤적에는 정답이 없으며,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스윙 궤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소정의 교과서적인 스윙궤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개인화된 최적의 스윙궤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유사한 키나 체격을 갖는 사용자의 스윙궤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가 불편한 경우, 이와 유사한 증상을 갖는 사용자의 스윙궤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스윙 궤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보자가 바로 프로선수의 스윙궤적을 따라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스윙궤적을 평가할 때에는 스윙 속도를 함께 평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초보자는 프로 선수의 스윙속도와 스윙궤적을 함께 따라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적절한 레퍼런스 스윙 궤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단계적으로 골프연습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사용자보다 조금 더 나은 실력을 가진 사용자의 스윙 궤적을 레퍼런스로 제공할 수도 있고, 프로 선수의 스윙 궤적을 레퍼런스로 제공하되, 그 속도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서로 다른 골프연습장치(100) 사용자들의 스윙궤적을 수집하고, 이를 레퍼런스로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100)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자신의 스윙 궤적이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랭킹을 산정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윙 궤적이 제공된 횟수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보상이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스윙 궤적이 제공된 횟수에 따른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스윙궤적(400)과 레퍼런스 스윙궤적을 비교하고, 잘못된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윙궤적(400)을 소정 시간단위 또는 소정 거리단위 등으로 분할하고, 각 부분에 대하여 레퍼런스 스윙궤적과 상이한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스윙궤적(400)상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레퍼런스 스윙궤적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과 상이하거나, 잘못되었다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예시로써 기술된 것이며,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지점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에는 가상의 골프코스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현실 및 가상현실 영상은 VR(Virtual Reality) 및 VR 영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가상현실 영상,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과 증강현실 영상, 혼합현실(MR, Mixed Reality)과 혼합현실 영상 및 일반 영상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현실, 가상 및 현실과 가상이 혼합된 모든 종류의 영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코스는 시작지점, 그린, 홀 및 벙커나 해저드 등의 장애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의 골프코스는 실제로 존재하는 골프코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코스를 이용하여 실제 골프게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상의 골프코스는 실제로는 불가능한 가상의 장애물이나 코스 구조로 구성되어, 다양한 게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코스는 골프를 방해하는 동물이나, 계단형 코스 등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특정 가상의 골프코스를 선택하고,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골프채의 종류를 정하고,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스윙함으로써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골프채의 종류 및 사용자의 스윙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이동방향 및 비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하고, 가상의 골프코스에는 방위가 표시될 수 있다. 골프연습장치(100)는 자기장 센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방위를 판단하고, 골프공의 이동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골프공의 위치가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골프공의 위치에서 게임을 속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골프공의 위치로 이동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고, 사용자가 골프공의 비거리만큼 이동한 후에만 다음 스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장 등 넓은 공간에서 가상의 골프게임을 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윙 후 실제로 골프공의 비거리만큼 걸은 후에 다음 스윙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골프공이 벙커와 같은 장애물에 빠진 경우,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골프공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골프공이 벙커에 빠진 경우 일반적인 스윙과 달리 골프공을 퍼올리는 스윙을 할 수 있다.
골프공이 그린에 올라가거나 그린 근처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퍼팅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퍼터를 선택하면, 골프공과 홀 사이의 지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퍼팅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골프공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판단하여, 홀인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방법은, 가상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현실 장비를 통해 사용자의 스윙에 따른 골프공의 움직임을 가상현실 영상으로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고, 가상의 골프코스의 풍경 또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코스에서 실제로 골프게임을 하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실제 주변 환경과 가상의 골프코스영상을 결합한 혼합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 장비는 스마트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실제 주변 환경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장에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윙에 따라 가상의 골프공이 운동장을 가로질러 날아가는 증강현실 영상이 제공되로, 운동장 한 구석에 마련된 가상의 홀을 향해 골프공을 넣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가상의 골프게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골프코스뿐 아니라 도심, 해변, 관광지, 놀이공원 등 다양한 배경과 함께 제공되는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 장비 없이도, 주변의 지형에 기초한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GPS 정보 및 주변의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골프코스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의 골프코스는 주변의 지형, 도로, 건물 등을 반영하여 생성되며,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스윙하는 경우 주변의 건물에 골프공이 부딪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건물을 넘어 어디까지 골프공이 날아갔는지를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제로 골프공이 떨어진 곳까지 걸어간 후 다시 스윙을 할 수도 있고, 해당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하여 다음 스윙을 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골프연습장치(100)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한 골프레슨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증강현실 영상 장비에 골프 강사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다른 사용자 또는 골프선수의 스윙 궤적이 표시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증강현실 영상 장비에 골프 강사(또는 다른 사용자)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마치 골프 강사가 눈 앞에 있는 것처럼 골프 강사의 스윙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골프 강사의 스윙 영상은 사전에 촬영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와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통신하는 중에 실시간으로 촬영된 것일 수도 있다. 즉,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비를 이용하면, 원격지에서도 골프 레슨을 할 수 있다.
또한, 골프 강사의 스윙 영상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골프연습장치(100)를 이용하여 획득된 스윙 궤적에 기초하여 렌더링되어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윙 궤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하는 스윙을 하는 사람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동일한 스윙 궤적을 갖는 스윙을 하는 영상을 렌더링하여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골프 강사는 별도의 촬영장비가 없는 경우에도 골프연습장치(100)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의 스윙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보여줄 수 있다. 즉, 카메라 장치가 없어도, 골프연습장치(100)에서 인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생성, 원격지에서 골프 레슨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장치는 기존에 수집된 정보 또는 실시간으로 골프 강사에 의하여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한 스윙 궤적을 현재 사용자의 신체 위치 및 형태와 정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스윙하여야 하는 궤적을 증강현실을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증강현실 골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장비(예를 들어, HMD)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골프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건물 옥상에서, 가상의 골프공을 골프연습장치(100)의 스윙을 통해 다른 곳으로 날려보내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른 건물의 특정 유리창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골프연습장치(100)의 스윙을 통해 가상의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의 골프공의 이동방향 및 비거리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의 골프공의 궤적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의 골프공이 다른 건물의 유리창에 부딪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유리창이 깨지는 이펙트와 같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가상의 골프공을 다른 건물의 옥상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스윙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골프연습장치(100)의 스윙을 인식하고, 인식된 스윙에 대응하는 가상의 골프공의 궤적을 분석, 가상의 골프공이 떨어진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촬영된 영상 각각의 위치마다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고, 가상의 골프공이 떨어지는 위치에 따라 점수를 판단 및 합산하여 제공하는 골프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게임들을 제공하는 동안에도, 상술한 스윙궤적 분석을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스윙궤적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골프연습장치
110: 헤드

Claims (10)

  1. 골프 스윙 연습을 위한 골프연습장치에 있어서,
    헤드;
    샤프트;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구비되는 제1 자력부;
    상기 헤드에 구비되는 제2 자력부; 및
    상기 헤드에 구비되는 타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력부 및 상기 제2 자력부 사이에는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골프연습장치를 이용하여 골프 스윙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자력부에 상기 인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인력을 초과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자력부가 상기 타격부에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소켓과 상기 헤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거리 조절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나사선; 및
    상기 나사선을 따라서 회전하며 승강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선은 두줄나사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 및 상기 헤드의 적어도 일부는 황동 재질로 구성되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나사선을 따라서 회전함에 따라 변경되는 기준속도를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이 표시되고,
    상기 기준속도는,
    상기 제2 자력부가 상기 타격부에 충돌하도록 하는 상기 골프연습장치의 스윙속도를 나타내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자력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장치; 를 더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마련되는 기판; 을 더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타격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완충장치; 를 더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헤드가 소정 범위 내의 방향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스윙 인식을 시작하고,
    상기 헤드가 지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하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된 스윙에 따른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속도, 방향 및 비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연습장치는,
    상기 가상의 골프공의 위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된 스윙 궤적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의 골프공에 대한 타격위치, 타격각도 및 타격강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KR1020180116641A 2018-09-28 2018-09-28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KR101995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41A KR101995061B1 (ko) 2018-09-28 2018-09-28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JP2019176336A JP6806868B2 (ja) 2018-09-28 2019-09-27 ゴルフのスイングの練習を補助する人工知能、及び拡張現実基盤のゴルフ練習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41A KR101995061B1 (ko) 2018-09-28 2018-09-28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061B1 true KR101995061B1 (ko) 2019-07-01

Family

ID=6725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641A KR101995061B1 (ko) 2018-09-28 2018-09-28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06868B2 (ko)
KR (1) KR101995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28B1 (ko) * 2020-12-11 2021-07-16 남동운 골프 스윙 연습 보조장치
KR20220108381A (ko)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베스컨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00716A (ja) 2021-04-08 2021-07-08 雄三 安形 9軸センサ内蔵型ゴルフクラブ及びそれを用いたスイング軌道計測システ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27Y1 (ko) * 2003-03-13 2003-06-18 김석헌 연습용 골프채
KR100722952B1 (ko) * 2005-11-18 2007-05-30 안효영 골프 스윙연습기
KR101166490B1 (ko) * 2010-03-09 2012-07-19 유인성 골프클럽용 스윙연습기를 이용한 학습용 스윙정보 제공시스템
KR101359481B1 (ko) 2012-01-30 2014-02-07 윤지원 골프스윙연습기
KR101388527B1 (ko) * 2013-07-31 2014-04-23 진종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KR101645438B1 (ko) * 2015-12-30 2016-08-05 주식회사 디알지코리아 골프용 퍼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용 퍼터
KR20160146114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베스컨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969A (ko) * 2004-05-24 2005-11-29 정윤정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410215Y1 (ko) * 2005-12-15 2006-03-07 조용연 스윙연습용 골프채
KR101048211B1 (ko) * 2009-02-18 2011-07-08 김영득 헤드 스피드 조절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채
KR100982482B1 (ko) *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중량추가 내장된 탑, 임팩트, 피니쉬타이밍 조절용 골프연습배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27Y1 (ko) * 2003-03-13 2003-06-18 김석헌 연습용 골프채
KR100722952B1 (ko) * 2005-11-18 2007-05-30 안효영 골프 스윙연습기
KR101166490B1 (ko) * 2010-03-09 2012-07-19 유인성 골프클럽용 스윙연습기를 이용한 학습용 스윙정보 제공시스템
KR101359481B1 (ko) 2012-01-30 2014-02-07 윤지원 골프스윙연습기
KR101388527B1 (ko) * 2013-07-31 2014-04-23 진종호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KR20160146114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베스컨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KR101645438B1 (ko) * 2015-12-30 2016-08-05 주식회사 디알지코리아 골프용 퍼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용 퍼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28B1 (ko) * 2020-12-11 2021-07-16 남동운 골프 스윙 연습 보조장치
WO2022124562A1 (ko) * 2020-12-11 2022-06-16 남동운 골프 스윙 연습 보조장치
KR20220108381A (ko)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베스컨 사용자 맞춤형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06868B2 (ja) 2021-01-06
JP2020075096A (ja)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578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US9370704B2 (en) Trajectory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for tennis
US97378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KR101995061B1 (ko) 골프 스윙 연습을 보조하는 인공지능 및 증강현실 기반 골프연습장치
US9604136B1 (en) Golf club simulation apparatus
TW200527259A (en) Input system and method
KR20090105279A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US20170203182A1 (en) Golf putter with training device
KR101950243B1 (ko)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JP2003180896A (ja) バーチャルスポーツシステム
US11173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gaming event
KR100972819B1 (ko) 포터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3180896A5 (ko)
CN111228771B (zh) 高尔夫球娱乐系统和高尔夫球训练方法
KR101950242B1 (ko) 스윙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101911546B1 (ko) 골프연습장치
CN109475773B (zh) 用于模拟游戏事件的方法和设备
WO2019142229A1 (ja) ロボット装置、ロボット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03549A (ja) 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JP6961723B2 (ja) 移動体および移動体制御方法
JP6297662B1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用バット
US202103794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ugmented reality golf simulation and training using interactive tools
US20220288457A1 (en) Alternate reality system for a ball sport
KR102554884B1 (ko) 분리 결합형 엘이디 스트립 스틱을 이용한 골프 스윙 분석 장치
KR102004646B1 (ko) 모의 골프클럽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