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151A - 각막 인레이 운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각막 인레이 운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151A
KR20160145151A KR1020167031881A KR20167031881A KR20160145151A KR 20160145151 A KR20160145151 A KR 20160145151A KR 1020167031881 A KR1020167031881 A KR 1020167031881A KR 20167031881 A KR20167031881 A KR 20167031881A KR 20160145151 A KR20160145151 A KR 20160145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l
fluid
inserter
aperture
in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에스게라
아담 애리얼리
알렌 응옥 레
존 킬코인
조세 구엘
키이스 홀리데이
Original Assignee
리비젼 옵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비젼 옵틱스, 인크. filed Critical 리비젼 옵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14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5Corneal inlays, onlays, or lenses for refractive correction
    • A61F2/1451Inlays or on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8Implantation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막 이식물 인서터들 및 사용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인서터들은, 이 인서터들이 각막 포켓들 안으로 각막 인레이들을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적응된다.

Description

각막 인레이 운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ORNEAL INLAY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4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980,504 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 이하의 출원들에 관한 것이며, 이의 개시들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2012년 4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번호 8,162,953; 2013년 9월 26일자로 공개된 미국 공보 번호 2013/0253527; 및 2013년 5월 16일자로 공개된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
인용에 의한 포함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공보 및 특허 출원들은 각각의 개별 공보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인용에 의해 포함되도록 지시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포함되어 있다.
운반 디바이스들은, 안구내 렌즈들 및 눈 안으로의 각막 이식물들과 같은 안구 디바이스들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각막 이식물들, 예컨대, 제한 없는, 작은 직경, 친수성(hydrophilic) 각막 이식물들을 운반할 수 있는 대안적인 디자인들 및 사용 방법들이 요구된다.
개시의 일 양태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이며, 원위 구역은 전방 및 후방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 및 이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채널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안정하게 서로 접속하도록 적응되고 그리고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유체 채널은 제 1 디바이스 내에 있으며, 제 2 디바이스는 이의 전방 또는 후방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는 원위 구역을 포함한다. 원위 단부는 전방 또는 후방 표면을 통해 복수의 애퍼처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기다란 본체(elongate body)를 포함하며, 기다란 본체는 원위 구역 및 유체 채널을 그 안에 포함한다. 원위 구역은 전방 또는 후방 표면을 통해 복수의 애퍼처들을 가질 수 있다. 유체 채널은 기다란 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애퍼처로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 위에서 고착되는 각막 인레이(corneal inlay)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위 구역은 이의 후방 표면을 통해 어떠한 애퍼처도 가지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위 구역은 이의 전방 표면을 통해 어떠한 애퍼처도 가지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위 구역은 전방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 및 후방 표면을 통한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며, 2 개의 애퍼처들은 유체 연통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각막 이식물(corneal implant)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를 제공하는 단계(이 원위 구역은 이의 전방 및 후방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 및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운반 채널(fluid delivery channel)을 가지며, 각막 이식물은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 위에서 인서트에 고착됨); 그리고 각막 이식물을 원위 구역으로부터 그리고 각막 조직 상으로 리펠링하기 위해,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통해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방법은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 전에, 제 1 디바이스에 유체 저장소를 갖는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에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에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에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의 후방 측에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후방 측이 제 1 디바이스의 전방 측보다 망막(retina)에 더 가깝도록, 제 1 디바이스를 각막 포켓 안으로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 전에, 각막 포켓 안으로 인서터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는 각막 이식물을 각막 포켓 안으로 리펠링시킨다(repel).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는, 비록 더 많은 유체가 운반될 수 있지만,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약 10 마이크로리터만큼 적은, 4 마이크로리터 만큼 적은, 또는 심지어 1 마이크로리터만큼 적은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록 더 큰 유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각막 이식물을 포함하는 인서터는 10 마이크로리터만큼 적은, 또는 4 마이크로리터 만큼 적은, 또는 심지어 1 마이크로리터만큼 적은 유체 모두가 인서터로부터 각막 이식물을 방출하기 위해 운반되는데 필요하도록, 적응된다. 이는 안구 내의 렌즈 운반 시스템과는 대조적이며, 이 시스템은, 안구 내의 렌즈가 비교적으로 매우 적은 양의 유체에 의해 운반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거나 또는 운반될 수 있도록 적응되지 않는다.
개시의 일 양태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이며, 기다란 본체는 그 안에 유체 운반 채널을 가지며, 유체 운반 채널은 근위 구역과 유체 연통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애퍼처는 기다란 본체의 근위 구역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통해 연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 운반 채널은 인서터의 원위 구역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통해 연장하는 복수의 애퍼처들과 유체 연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 운반 채널은, 근위 표면이 아닌, 전방 표면을 통해서만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 운반 채널은, 전방 표면이 아닌, 후방 표면을 통해서만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의 하나 이상의 개구 위에 있는 포지션(position)에서 인서터에 고착되는 각막 인레이를 더 포함한다. 각막 인레이는 친수성 인레이일 수 있으며, 이는, 본원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인서터로부터 멀어지거나 또는 밖으로의 인레이의 유체 운반을 허용할 수 있다. 각막 인레이는약 10 미크론(micron) 내지 약 100 미크론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각막 인레이는 약 10 미크론 내지 약 100 미크론 사이의 중심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막 이식물은 근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애퍼처에 걸쳐 측정된 하나 이상의 애퍼처의 가장 큰 선형 크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의 근위 단부는 유체 운반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interface) 구성되며, 유체 운반 디바이스는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애퍼처 밖으로 유체를 진행시키도록 적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 위에 포지셔닝되는(positioned) 고착 부재(securing member)를 더 포함하며, 고착 부재 및 원위 구역은 각막 인레이가 배치될 수 있는 체적부(volume)를 규정하며, 고착 부재는 체적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원위 구역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애퍼처는 .02 mm 및 1.0mm의 근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애퍼처에 걸쳐 측정된 가장 큰 선형 크기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방 및 후방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각막 이식물(corneal implant)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각막 이식물 인서터(corneal implant inserter)를 제공하는 단계(각막 이식물 인서터는 그 안에 인서터의 원위 구역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운반 채널, 및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의 적어도 애퍼처 위에서 인서터에 고착되는 각막 이식물을 가짐); 및 원위 구역으로부터 그리고 눈 안으로 각막 이식물을 리펠링시키기 위해,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통해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의 근위 단부에 유체 저장소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운반 단계는 유체 저장소로부터 그리고 유체 운반 채널 안으로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 전에, 각막 포켓 안으로 각막 이식물 인서터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는 각막 이식물을 각막 포켓 안으로 리펠링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는, 비록 더 많은 유체가 운반될 수 있지만,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10 마이크로리터만큼 적은, 4 마이크로리터만큼 적은, 또는 심지어 1 마이크로미터만큼 적은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록 더 큰 유체가 사용될 수 있지만, 각막 이식물을 포함하는 인서터는 10 마이크로리터만큼 적은, 4 마이크로리터 만큼 적은, 또는 심지어 1 마이크로리터만큼 적은 유체 모두가 인서터로부터 각막 이식물을 방출하기 위해 운반되는데 필요하도록, 적응된다. 이는 안구 내의 렌즈 운반 시스템과는 대조적이며, 이 시스템은, 안구 내의 렌즈가 매우 적은 양의 유체에 의해 운반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거나 또는 운반될 수 있도록 적응되지 않는다.
개시의 일 양태는 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 표면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는 원위 구역, 및 제 1 포지션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애퍼처에 더 가까운 제 2 포지션으로 이동되도록 적응되는 소수성(hydrophobic) 부재를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수성 부재는 원위 구역에 간접적으로 고착되지만, 그러나 원위 구역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구동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소수성 부재는, 구동 부재의 구동 시, 하나 이상의 애퍼처에 더 가깝게 이동되도록 적응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안구 디바이스 인서터는 원위 구역 및 원위 구역에 유지되는 안구 디바이스, 그리고 안구 디바이스에 대해 이동되도록 적응되는 리펠링 부재를 포함하며, 리펠링 부재는, 안구 디바이스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함 없이 안구 디바이스를 향하여 이동될 때, 리펠링 부재가 안구 디바이스를 원위 구역으로부터 멀어지게 리펠링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물리적 특성들을 가진다. 안구 디바이스는 친수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구 디바이스는 각막 이식물이며, 원위 구역은 전방 표면, 후방 표면, 및 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 표면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며, 각막 이식물은 하나 이상의 애퍼처 위에서 전방 표면 또는 후방 표면에 고착되며; 그리고 리펠링 부재는 전방 표면 또는 후방 표면으로부터 각막 이식물을 리펠링시키기 위해 각막 이식물에 대해 이동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펠링 부재는 원위 구역에 간접적으로 고착되지만, 그러나 원위 구역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구동가능한 부재를 더 포함하며, 리펠링 부재는, 구동 부재의 구동 시, 안구 디바이스에 더 가깝게 이동되도록 적응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안구 디바이스를 눈 안으로 운반시키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안구 디바이스 및 안구 디바이스 인서터를 제공하는 단계(인서터는 원위 구역 및 안구 디바이스를 리펠링시키도록 적응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물리적인 특성들을 가지는 리펠링 부재를 포함함); 및 안구 디바이스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하게 함 없이 안구 디바이스를 향하여 리펠링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인서터의 원위 구역으로부터 그리고 눈 안으로 안구 디바이스를 리펠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위 구역은 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 표면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포함하며, 안구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 위에서 전방 표면 또는 후방 표면에 유지되며; 그리고 여기서 안구 디바이스를 리펠링시키는 단계는 전방 및 후방 표면들 중 다른 하나의 표면 상에서 안구 디바이스에 더 가깝게 리펠링 부재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원위 구역의 전방 표면에서 복수의 애퍼처들(apertures)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채널을 갖는 예시적인 인서터(inserter)를 예시한다.
도 2는 유체 저장소에 부착되는 제 1로부터의 인서터를 예시한다.
도 3은 원위 구역의 전방 표면에서 하나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채널을 갖는 인서터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h는 인서터 안에 유체 운반 채널을 갖는 제 1 디바이스 및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갖는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인서터를 예시한다.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은 안정적으로 서로 접속하도록(interface)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인서터로부터 멀리 그리고 눈 안으로 이식물을 리펠링하도록(repel) 적응되는 구동가능한 리펠링 부재(actuatable repelling member)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인서터를 예시한다.
본 개시는, 본원에서, 각막 조직 상에 또는 이 각막 조직 안으로 각막 이식물들과 같은 안구 디바이스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해 적응되는 디바이스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은 본원에서 인서터들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막 이식물들은 각막의 전방 표면의 곡률에서의 변경을 생성하며, 그리고/또는 이식물의 고유한 특성들로 인해 각막 내의 다중포컬리티들(multifocalities)을 생성함으로써, 시각 장애(vision impairment)를 보정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각막 이식물들"은 각막 온레이들(corneal onlays) 및 각막 인레이들(corneal inlays)을 포함한다. 온레이는, 각막의 외부 층, 즉, 상피(epithelium)가 이식물 위에서 성장하고 그리고 이 이식물을 둘러쌀 수 있도록, 각막의 기질(stromal) 부분에 걸쳐 배치되는 각막의 이식물이다. 인레이는, 예를 들어, 각막에서 플랩(flap)을 절단하고 그리고 플랩 아래에 인레이를 인서팅함으로써, 또는 각막 내에서 생성되는 포켓 내에서 이 인레이를 배치시킴으로써, 각각 조직의 일부분 아래에 있는 각막 조직 내에 이식되는 이식물이다. 인레이들 및 온레이들 양자 모두는, 전방 각막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또는 각막과 다른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또는 양자 모두의 경우에 의해, 각막의 굴절력(refractive power)을 변경할 수 있다. 개시가, 본원에서 "인레이"로 지칭할 때,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또한 다른 유형들의 각막 이식물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막 포켓 내에서 임플란트들을 인서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막 조직 상에 각막 임플란트들을 인서팅하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각막 "포켓"은 각막 이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각막 조직 내에서 형성되는 오목부(recess)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된다. 포켓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접근하는 방법이, 예컨대 본원에서 인용에 의해 전체적으로 포함된, 2013년 9월 26일자로 공개된 발명의 명칭이 "각막 이식물들을 위한 기질 포켓들을 생성하는 방법" 미국 공보 번호 2003/0014042에서 설명되어 알게 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포켓들은 예를 들어 페토세컨드 레이저(Femtosecond laser) 또는 블레이드 포켓 메이커(Blade Pocket Maker)에 의해 만들어진다. 각막 포켓들 또는 각막 채널들을 생성하기 위한 추가의 예시적인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2010년 8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공보 번호 2012/0046680에서 알게 될 수 있으며, 이의 개시가 본원에서 인용에 의해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포켓들을 생성하고 그리고 접근하기 위한 임의의 기술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포켓들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막 포켓들 안으로 인레이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예시적인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미국 특허 번호 8,162,953(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1 및 이의 설명을 참조)에서 설명되어 알게 될 수 있다. 미국 특허 번호 8,162,953에서, 운반 디바이스는 인레이를 하우징하도록 적응되는 이의 원위 단부에 고정 공간(holding space)을 포함하며, 그리고 유체는 고정 공간으로부터 그리고 포켓 안으로 인레이를 배치하는데 사용된다. 고정 공간을 갖는 운반 디바이스를 통해 유체를 운반시킴으로써, 포켓들에서 인레이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추가의 예시적인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미국 공보 번호 2013/0253527에서 설명되어 알게될 수 있다.
일부 추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인레이와 디바이스 사이에서 선택적인 접착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주로 하이드로겔 재료로 그리고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인레이들(2011년 9월 8일자로 공개된, 미국 공보 번호 2011/0218623에서 설명되는 일부 인레이들과 같음)을 위해, 비교적으로 강한 힘들이 인레이 내의 유체 상에 작용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인레이의 이러한 특성 및 유체와 다양한 표면 기하 형상들 사이에서 보이는 접착력들을 사용한다. 운반 프로세스의 상이한 단계들 동안의 인레이의 선택적인 접착 또는 전달은 상이한 재료 및/또는 표면 기하 형상들을 사용함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선택적인, 또는 "우선적인(preferential)" 접착을 사용하는 운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예들은 2013년 5월 16일에 공개된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예를 들어, "미세 메쉬(fine mesh)" 및 "코스 메쉬(course mesh)" 재료들로서 본원에서 지칭될 수 있는, "적합한(moderate)" 및 "최소의" 본체들 사이의 상대적인 접착을 참조)에서 알게될 수 있다.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플랩이 생성되고 그리고 리프팅된 후에, 각막 베드(corneal bed) 상에 인레이를 증착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설명된다.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에서, 2 개의 재료들 사이의 우선적인 접착은, 인레이가 기질 베드에 접촉하고 그리고 이 기질 베드에 접착할 때까지, 운반의 상이한 단계들로 제어된다. 인레이를 포켓 안으로 운반하는 절차에서, 디바이스 및 인레이가 포켓을 향하여 그리고 포켓 안으로 진행될 때, 눈에서의 조직 및/또는 액체는 인레이 및 디바이스 재료에 일정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포켓 안으로의 삽입(insertion) 동안 인레이와 운반 디바이스 사이에 강한 어트랙션(attraction)이 존재하기 위해, 또는, 일단 인레이가 포지션에 의해 전달이 준비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각막 포켓 안으로 인레이를 선택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도록, 감소(reduction) 또는 전달 기구(transfer mechanism)가 존재하기 위해, 인레이의 우선적인 접착이, 바람직하게는, 제어된다.
개시의 일 양태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이며, 원위 구역은 전방 및 후방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며; 그리고 유체 채널이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한다.
도 1 및 도 2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인서터(14)의 예를 예시하며, 원위 구역은 전방 및 후방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며; 그리고 유체 채널이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서터(14)는 근위 단부를 갖는 근위 구역(19)을 가지며, 근위 구역(19)은 유체 저장소에 고착되도록 구성되지만,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터는 유체 저장소(즉, 물리적 변형 또는 파괴 없이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지 않음)와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소(12)(도 2 참조)는 실린지(syringe)이며, 이는 유체 챔버(fluid chamber)(17)를 포함한다. 인서터(14)와 유체 저장소(12) 사이의 연결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루어 피팅(luer fitting)과 같음)일 수 있다.
인서터(14)는 원위 구역(20)을 갖는 기다란 본체(30)를 가지며, 원위 구역(20)은 원위 구역의 전방 및 후방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포함한다. 원위 구역(20)은 전방 표면(2) 및 후방 표면(4)을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은, 인서터가 사용될 때, 인서터의 상대적인 포지션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내용에서, 전방은 각막의 전방 표면에 더 가까운 포지션을 지칭하며, 그리고 후방은 각막의 전방 표면보다 망막(retina)에 더 가까운 상대적인 포지션을 지칭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후방 표면(2)은 "상부" 표면으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그리고 후방 표면(4)은 원위 구역(20)의 "저부" 표면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인서터(14)는 유체 채널(18)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인서터(14)는 기다란 본체(30)를 포함하며, 이 기다란 본체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22)와 연통하는 이 기다란 본체 안에 있는 유체 채널(18)을 포함한다. 유체 채널(18)은 기다란 본체(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에 대해 바로 아래에 있거나 또는 후방에 있는 위치로 연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위 구역(20)은 전방 표면(2)에서 복수의 애퍼처들(22)을 가지고, 그리고 후방 표면(4)에서 애처들을 가지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위 구역은 후방 표면에서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고, 그리고 전방 표면에서는 애퍼처가 없는 반면에,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위 구역(20)은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의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서터(14)는 유체 저장 어댑터(fluid reservoir adaptor)(28)를 포함하며, 이는 기다란 본체(30)와의 일체형이지 않지만, 그러나 오히려 이 기다란 본체에 고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어댑터(28)는 기다란 본체(30)와 일체형이고, 그리고 일반적인 전방 방향으로의 기다란 본체(30)의 연장부가 고려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어댑터(28)는 유체 저장소(12)에 고착되도록 적응되는 근위 구역(19)을 포함한다. 어댑터(28)는 기다란 본체(30)에서 유체 채널(18)과 유체 연통하는 어댑터안에 있는 유체 채널(16)을 포함한다. 유체 저장소(12)가 인서터(14)에 고착될 때, 유체 채널(17), 유체 채널(16), 유체 채널(18) 및 하나 이상의 애퍼처(22) 모두가 유체 연통 상태이다. 어댑터(28)가 기다란 본체(30)와 일체형인 실시예들에서, 유체 채널(16)은 단순히 근위 구역(19)을 향하는 유체 채널(18)의 연장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28)는 기다란 본체(30)에 고착된다. 기다란 본체(30)는 접착과 같은 임의의 수의 기술들을 사용하여 어댑터(28)의 후방부, 또는 저부에 고착될 수 있다. 어댑터(28)는 그 안에 기다란 본체(30)의 근위 단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수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서터는 전방 측(2) 내의 하나 이상의 애퍼처 위에서 원위 구역(20)의 전방 측(2)에 안구 디바이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막 인레이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위 구역(20)은 원위 구역(20)의 전방 표면(2)에서 복수의 애퍼처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레이는 접착력들로 인해 복수의 애퍼처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전방 측(3)에 유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애퍼처들(22)은 "우선적인 재료" 또한 지칭되는,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에서 "적합한 본체" 메쉬와 유사하게 기능한다. 원위 단부(20)는, 따라서, 각막 인레이가 원위 단부에 접착하고, 그리고 이 원위 단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에서, 각막 인레이들이 일반적으로 각막 베들 상의 배치를 위해 적합한 본체의 "후방" 측에 접착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반면에,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막 인레이는 복수의 애퍼처들의 전방 측(2) 상에 포지셔닝되어 배치되고 그리고 이 전방 측 상에 유지된다.
본원에서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달리 표시하지 않는다면, 전방 및 후방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실질적으로 평행함은 이 표면들이 정확히 평행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지만, 그러나, 관찰 시에, 당업자가 이 표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의 도면들에서 근위쪽으로부터 원위쪽으로 연장하는 2 개의 표면들 모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표면들은, 이 표면들에 대한 약간의 곡도(degree of curve)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최소" 또는 "코스" 메쉬 재료(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음), 또는 원위 단부(20)보다 각막 인레이를 위한 덜 우선적인 접착을 가지는 다른 재료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지만, 각막 인레이가, 일부 실시예드에서, 보관(storage) 및 포장(packaging)을 위해 미세 메쉬와 코스 메쉬 사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는 것이 추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코스 메쉬는, 그 후,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레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미세 메쉬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및 보관 디바이스는 미세 및 코스 메쉬 재료들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코스 메쉬 재료는 미세 메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며, 그리고 인레이는, 우선적으로, 미세 메쉬에 접착할 것이다. 따라서,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에서 설명되는 우선적인 접착 이론들은 본원에서 이러한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이용될 수 있다.
애퍼처들을 규정하는 구역을 포함하는 원위 구역(20)은, 예를 들어, 제한 없이, 티타늄일 수 있다. 또한,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에서 설명된 일부의 메쉬 구성은 원위 구역(20)의 메쉬 구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인레이는 인서터(14)의 근위 측(4)에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적용들에서, 눈에서의 배치를 위해 후방 측(4) 상에 각막 이식물을 포지셔닝하는 것이 소망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인서터는 유체 채널(18)과 유체 연통하는 근위 측(4)에 복수의 애퍼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막 이식물이 유지되는 측에 반대편에 있는 원위 구역(20)의 측 상에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는 것은 추가되는 이익들이 존재할 것이다. 반대편에 있는 측은, 따라서, 비록 이식물이 이 측에 있지 않을지라도, 유체 채널(18)과 유체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그 안에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소는 인서터(14)에 고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후, 이식물을 각막 조직 상에, 예컨대 포켓 안으로 전진시킬 때, 사용자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각막 포켓 안으로의 운반을 위한 예시적인 사용 방법에서, 일단 인서터(14)가 삽입에 대해 준비된다면, 사용자는 각막 인레이가 접착되는 원위 단부(20)를 이미 준비된 각막 포켓 안으로 도입할 것이다. 일단 소망하는 인레이 위치가 달성된다면, 사용자는, 저장 챔버(17)로부터 유체 채널들(16 및 18)을 통해, 그리고 애퍼처들(22) 밖으로 후방 방향으로 유체를 진행시키기 위해 플런저(plunger)(15)(이 플런저는 임의의 다른 구동 기구일 수 있음)를 구동할 것이다. 애퍼처들(22)의 밖으로의 유체의 유동은, 유압식으로(hydraulically) 그리고/또는 각막 인레이와 원위 구역(20) 사이의 접착력들의 감소를 통해, 유발하며, 그리고 원위 구역(20)으로부터 멀리 인레이를 리펠링하여, 이 인레이를 원위 구역으로부터 분리시키며 그리고, 따라서 인레이를 각막 포켓 안으로 운반시킨다. 인서터는, 그 후, 포켓으로부터 제거된다. 임의의 인서터들은, 본원에서, 각막 플랩을 생성함으로써,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운반 절차로 각막 베드 상의 안구 디바이스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되도록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서터(14)는 포장되고 그리고 각막 이식물과 함께(인용에 의해 본원에서 포함된 출원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이식물을 고착시키기 위해 제자리에 있는 2 개의 메쉬 재료들과 함께) 보관된다.
인서터(14)의 원위 단부(20)는, 저부 피스 내에 형성된 채널을 갖는 저부 피스에 대해 복수의 애퍼처들이 그 안에서 형성되는 재료의 피스의 상부 또는 전방부를 고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2 개의 피스들이 함께 고착될 때, 유체는, 이제 형성된 유체 채널(18) 아래로, 애퍼처들을 향하여,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화살표들의 방향으로 지향된다. 인서터(14)의 원위 구역(20)은, 또한 유체 채널(18)을 생성하기 위해 다른 방식들로 제작될 수 있다. 원위 부분(20)의 예시적인 라운딩된 원위 단부(27)는, 유체가 오직 애퍼처들을 통해 원위 단부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폐쇄되며, 이는 인레이가 원위 구역(2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보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나, 양자 모두의 측면들 상에 애퍼처들을 가지는 것은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는, 따라서, 이식물과 원위 구역(20) 사이의 접착을 파괴하는 역할을 하며, 그리로 인레이는 원위 구역으로부터 떨어지게 그리고 멀어지게 드리프팅한다(drift).
임의의 미세 메쉬 재료들(적합한 재료들로서 또한 지칭됨), 애퍼처들의 배향, 및 미국 공보 번호 2013/0123916에서 설명되는 이들을 제작하기 위한 기술들은, 본원에서, 원위 구역(20) 및/또는 기다란 본체(30), 또는 임의의 원위 구역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것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이식물이 원위 구역의 후방 측 또는 "저부"에 접착하도록 또한 적응될 수 있다. 유체 채널은 이식물의 상부 상에 또는 이식물에 대해 전방에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유체는 메쉬로부터 하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식물을 변위할 것이다. 임의의 디바이스들은, 본원에서, 인레이가 원위 구역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 상에 포지셔닝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원위 구역의 전방 측 및/또는 후방 측의 애퍼처들은 본원에서 원위 포트들로부터 구별되며, 이를 통해, 안구 내의 렌즈들 또는 다른 안구 디바이스들은 눈 안으로의 운반 동안 일반적으로 줄곧(through) 푸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레이(37)(또는 본원에서 임의의 인서터들과 함께 사용되는 임의의 인레이들)는 1 mm 내지 5 mm사이의 직경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레이는 약 10 미크론(micron) 내지 약 100 미크론 사이의 중심 두께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인레이는 적어도 60%의 수분 함량(water content)을 가지고 그리고 하이드로겔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리고 본원에서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적용들에서, 인레이의 직경은 근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애퍼처에 걸쳐 측정된 하나 이상의 애퍼처의 가장 큰 선형 크기보다 더 크다. 임의의 실시예들에서, 본원에서, 하나 이상의 애퍼처, 예컨대 모든 애퍼쳐들은, .02 mm 내지 1.0 mm 사이의, 예컨대 .02 mm 내지 .75 mm 사이의 근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애퍼처에 걸쳐 측정된 가장 큰 선형 크기를 가진다.
도 3은 각막 포켓 내에 이식물(58)을 포지셔닝하도록 적응되는 대안적인 인서터(50)를 예시한다. 인서터(50)는 일반적인 캐뉼라(cannulas)와 유사하지만, 그러나 일반적으로 납작해진(flattened) 기다란 본체(54)를 가진다. 인서터(50)는 기다란 본체(54) 및 원위 구역(52)을 포함하며, 여기서 원위 구역(52)은 전방 측(51) 상에 원위 구역 안에 있는 오직 하나의 애퍼처(56)를 가지고 그리고 후방 측(53)에 어떠한 애퍼처들도 가지지 않는다. 이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의 예이지만, 그러나 하나 초과이지 않다. 유체 채널(도 3에서 라벨링되지(labeled) 않음)은 인서터(50)를 통해 애퍼처(56)로부터 기다란 본체(54)를 통해 그리고 핸들 부분(57) 안으로 연장한다. 유체는, 예컨대 플런저에 의해,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유체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그리고 애퍼처(56) 밖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방 표면(51) 및 후방 표면(53)은 또한 이러한 예들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예시적인 사용 방법에서, 인레이(58)는, 애퍼처(56)에 걸쳐 원위 구역(52) 상에 일단 포지셔닝된다면, 일부 접착력들로 인해 원위 구역(52)에 접착한다. 접착력들은, 그러나,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존재하는 것들과 같이 크지 않을 수 있다. 인서터에 접착되는 인레이를 갖는 인서터는, 그 후,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각막 포켓 내로 진행된다. 인서터(50)로부터 인레이(56)를 분리시키기 위해, 유체는 유체 채널을 통해 그리고 애퍼처(56) 밖으로 진행되어, 인레이가 인서터(50)로부터 그리고 포켓 안으로 변위되는 것을 유발시킨다. 다시, 인서터(50)는 근위 측(53) 상에 애퍼처(들)을 가질 수 있어, 인레이는 인서터(50)로부터, 하방 또는 전방 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4a 내지 도 4h에서 도시되는 실시예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인서터(14)의 예이며, 원위 구역은 이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며, 그리고, 유체 채널은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서터(60)는 서로 안정적으로 접속하도록 적응되고 그리고 구성되는 제 1(72) 및 제 2(64) 분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유체 채널은 제 1 디바이스(72) 내에 있고, 그리고 제 2 디바이스(64)는 이의 전방 및 후방 표면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69)를 가지는 원위 구역(66)을 포함한다. 유체 채널(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은, 따라서, 제 1(72) 및 제 2(64) 디바이스들이 서로 고착될 때, 하나 이상의 애퍼처(68)와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2 디바이스(64)는 메쉬 디바이스,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된 메쉬들 중 일부 메쉬일 수 있고,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일부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막 이식물은 접착력들로 인해 메쉬(예를 들어, 미세 메쉬)의 원위 구역의 전방 표면에 고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h는 원위 구역(74)의 주변부에 측면 리지들(side ridges)(75)을 포함하는 원위 구역(74)을 갖는 제 1 디바이스(7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인서터(60)를 예시하고, 그리고 제 1 디바이스(72)의 원위 구역(74)이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제 2 디바이스(64)의 원위 구역(66)에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2 디바이스(64)는 본원에서 설명된 미세 메쉬 구성 및 그 위에 고착된 각막 이식물(69)(도 4g 참조)을 포함한다. 도 4b, 도 4c, 및 4h는,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접속한 후의 인서터를 예시한다. 인서터의 제 1 디바이스(72)는, 이 디바이스가 이의 근위 단부(71)에서 루어 로크(luer lock)를 갖는 유체 저장소(75)(도 4a 내지 도 4c), 예컨대 플런저를 갖는 실린지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a는 제 1 디바이스(72), 제 2 디바이스(64) 및 유체 저장소(75)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인서터를 도시한다. 도 4b는, 제 1 디바이스(72) 및 제 2 디바이스(64)가 안정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후, 그리고 저장소(75)가 제 1 디바이스(72)에 고착되어 있는 후의 인서터(6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d는 제 1 디바이스(72)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e는 제 1 디바이스(72)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f는 제 1 디바이스(7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g는, 접속 관계 상태가 아닌, 제 2 디바이스(64) 및 제 2 디바이스(64) 각각의 원위 구역들(66 및 74)를 도시한다. 도 4h는 접속 관계 상태의 원위 구역들(66 및 74)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제 1 디바이스는 접속 구역들(interface regions)(80)에서 제 2 디바이스에 접속하며,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제 1 디바이스(72)에 대해 제 2 디바이스(64)를 안정화시킨다.
사용 시,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은 서로에 고착된 후에(도 4b, 도 4c, 및 도 4h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음), 유체는 제 1 디바이스(72)에서 유체 채널을 통해(예를 들어, 유체 저장소(75)에서의 실린지를 이용하여), 제 2 디바이스(72)의 애퍼처들(76)의 밖으로, 그리고, 그 후, 제 2 디바이스(64)의 메쉬 애퍼처(들(68)을 통해 운반되어, 본원에서 어느 곳에서나 설명된 바와 같이, 각막 이식물(96)이 제 2 디바이스(64)의 원위 구역(6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예를 들어, 이 구역으로부터 멀어지게 드리프링되는 것)을 유발시킨다.
도 4c 및 도 4h는 제 2 디바이스(64)의 메쉬에 대한 후방에 포지셔닝된, 제 2 디바이스 안에 있는 유체 채널을 갖는 제 1 디바이스(72) 및 인레이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디바이스(72)는 이의 원위 단부에 유체 필로우(fluid pillow)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유체가 실린지로부터 유체(예를 들어, 염분이 함유됨) 필로우로 운반될 때, 유체는 필로우의 존재로 인해 보다 완만하게(gently) 메쉬 애퍼처들을 통해 운반된다. 따라서, 필로우는 보다 제어된 그리고 완만한 방식으로 메쉬 애퍼처를 통해 유체를 진행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필로우는, 티백(teabag)과 개념적으로 유사한 다공성(perforated)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유형들의 기구들이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를 함께 고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본 개시의 요지 내에 여전히 속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64)의 원위 구역은 제 1 디바이스(72)의 원위 구역에서 클립들을 억제시킴에 따라 (그 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원에서는, 안구 디바이스 인서터는 원위 구역 및 원위 구역에 유지되는 안구 디바이스, 그리고 안구 디바이스에 대해 이동되도록 적응되는 리펠링 부재를 포함하며, 리펠링 부재는, 안구 디바이스와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하게 함 없이 안구 디바이스를 향하여 이동될 때, 리펠링 부재가 안구 디바이스를 원위 구역으로부터 멀어지게 리펠링하는 것을 유발시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물리적 특성들을 가진다. 도 5a 내지 도 5c의 인서터 및 안구 디바이스는 이러한 인서터 및 안구 디바이스의 예이다.
인서터(40)는 원위 구역(44)에 고착되는 핸들 부분(42)을 포함한다. 인서터(40)는 구동가능한 부재(49)의 기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리펠링 부재(46)(도 5b 및 도 5c 참조)를 포함하는 구동가능한 가동 부재(moveable member)(49)를 또한 포함한다. 원위 구역(44)은 커넥터(91)를 통해 핸들(42)에 커플링되며, 이 커넥터에 원위 구역(44)이 고착된다.
원위 구역(44)은 본원에서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메쉬 재료들(적합한 또는 최소)과 매우 유사하거나 또는 심지어 동일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원위 구역은 이들을 통해, 전방 표면(41)으로부터 후방 표면(43)으로의 복수의 애퍼처들(45)을 포함한다. 안구 디바이스(48) 및 원위 구역(44)은 안구 디바이스(48)가 접착력들로 인해 원위 구역(44) 상에 유지되도록 적응된다. 그러나, 이식물을 운반하기 위해 단순히 유체 유동을 사용하는 것보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펠링 부재가 이식물에 보다 가까이로 운반되며, 이는 이식물이 원위 구역(44)으로부터 그리고 눈 안으로 리펠링되는 것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서터는 리펠링 부재(46)에 커플링되는 구동가능한 부재(49)를 포함하고 그리고, 리펠링 부재(46)가 구동될 때, 원위 구역(44)의 후방 표면(43)을 따라 이식물(48)에 더 가까이 이동된다. 이식물이 충분히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지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펠링 부재(46)는, 이식물에 보다 가까이에 이동될 때, 이 리펠링 부재가 이식물을 전방 방향에서 원위 단부(44)로부터 멀어지게, 원위 단부(44)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눈 안으로 리펠링시키는 수소성 재료이다. 도 5c는, 리펠링 부재가, 구동 전에 도 5b에서 도시되는 초기 포지션에 비해, 이식물(48)에 보다 가까이로 이동된 후의 리펠링 부재(46)의 후방도를 도시한다. 도 5c에서, 리펠링 부재는 애퍼처들(45) 중 적어도 일부의 애퍼처의 후방 측 상에 배치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이식물은 원위 구역의 후방 측에 고착되며, 그리고 인서터는, 리펠링 부재가 전방 측 상에 이식물에 보다 가까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배열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이식물은 원위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후방 방향으로 눈 안으로 리펠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펠링 부재는, 이식물에 보다 가까이로 이동할 때, 유체 및/또는 이식물을 수소성 재료로부터 멀어지게 리펠링하여, 따라서 인서터로부터 그리고 포켓 안으로 이식물을 배치시키는 수소성 재료이다. 테프론(Teflon)과 같은 재료는 수소성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수소성 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식물은 친수성으로 고려될 수 있는 하나의 재료에 접착되는 반면에, 리펠링 부재(46)는 수소성이다. 리펠링 부재(46)는, 예컨대 구동가능한 부재(49)가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키는 핸들 상의 구동장치를 통해, 이식물/원위 구역 접속부를 향하는 임의의 고려가능한 방식으로 대안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리펠링 부재가 수소성 재료인 실시예들에서의 리펠링 작용은 연잎(lotus leaf)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연잎 효과(lotus effect)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연잎 효과는, 연꽃의 잎들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매우 높은 물 반발성(repellence)의 결과인 자체-세정(self-cleaning) 특성들(초소수성(superhydrophobicity))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연잎은 매우 반발성이 있는 이유의 부분은 이의 혹-커버된(nodule-covered) 표면에 가둔(trapped) 공기로 인한 것이다. 효과는 표면 장력에 의존하며, 따라서, 공기와 물 사이에 표면이 있는 것이 필요하다. 소수성 부재들은, 본원에서, 리펠링 작용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러한공기를 가두도록 (수정을 통한 것과 같이) 구성되는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는 이식물을 운반하기 위해 비-유체(non-fluid) 부재를 사용하는 예이며, 그리고 인서터로부터 이식물을 운반하기 위해 이식물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게 되지 않는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는 각막 포켓에 이식물을 배치시키기 위해 본원의 사용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3)

  1. 원위 구역(distal region)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corneal inlay inserter)로서,
    상기 원위 구역은 이의 전방 및 후방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aperture);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채널(fluid channel)을 가지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안정하게 서로 접속하도록 적응되고 그리고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채널은 상기 제 1 디바이스 내에 있으며,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이의 전방 또는 후방 표면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는 상기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구역은 전방 또는 후방 표면을 통해 복수의 애퍼처들을 가지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터는 기다란 본체(elongate body)를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본체는 상기 원위 구역 및 상기 유체 채널을 그 안에 포함하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구역은 전방 또는 후방 표면을 통해 복수의 애퍼처들을 가지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채널은 상기 기다란 본체의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로 연장하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 위에서 고착되는 각막 인레이(corneal inlay)를 더 포함하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구역은 이의 후방 표면을 통해 어떠한 애퍼처도 가지지 않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구역은 이의 전방 표면을 통해 어떠한 애퍼처도 가지지 않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구역은 전방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 및 후방 표면을 통한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가지며, 상기 2 개의 애퍼처들은 유체 연통하는,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11. 각막 이식물(corneal implant)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으로서,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원위 구역은 이의 전방 및 후방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애퍼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운반 채널(fluid delivery channel)을 가지며, 각막 이식물은 적어도 애퍼처 위에서 상기 인서트에 고착됨─; 및
    상기 각막 이식물을 원위 구역으로부터 그리고 각막 조직 상으로 리펠링하기 위해,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통해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터는 상기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유체 저장소를 갖는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에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후방 측에 제 2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측이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전방 측보다 망막(retina)에 더 가깝도록,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각막 포켓 안으로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 전에, 각막 포켓 안으로 상기 인서터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는 상기 각막 이식물을 상기 각막 포켓 안으로 리펠링시키는(repel),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는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10 마이크로리터(microliter)만큼 적은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18.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로서,
    상기 기다란 본체는 그 안에 유체 운반 채널을 가지며,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은 근위 구역과 유체 연통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애퍼처는 상기 기다란 본체의 근위 구역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통해 연장하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은 상기 인서터의 상기 원위 구역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을 통해 연장하는 복수의 애퍼처들과 유체 연통하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은, 상기 근위 표면이 아닌, 상기 전방 표면을 통해서만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은, 상기 전방 표면이 아닌, 상기 후방 표면을 통해서만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표면 및 상기 후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 위에 있는 포지션(position)에서 상기 인서터에 고착되는 각막 인레이를 더 포함하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 인레이는 1 mm 내지 5 mm 사이의 직경을 가지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 인레이는 약 10 미크론(micron) 내지 약 100 미크론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 이식물은 근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애퍼처에 걸쳐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의 가장 큰 선형 크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터의 근위 단부는 유체 운반 디바이스와 접속하도록(interface) 구성되며, 상기 유체 운반 디바이스는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 밖으로 유체를 진행시키도록 적응되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 위에 포지셔닝되는(positioned) 고착 부재(securing memb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착 부재 및 상기 원위 구역은 각막 인레이가 배치될 수 있는 체적부(volume)를 규정하며, 상기 고착 부재는 상기 체적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원위 구역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는 .02 mm 및 1.0mm의 근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상기 애퍼처에 걸쳐 측정된 가장 큰 선형 크기를 가지는,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2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기다란 본체를 갖는 각막 인레이 인서터.
  30. 각막 이식물(corneal implant)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으로서,
    각막 이식물 인서터(corneal implant inserter)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각막 이식물 인서터는 그 안에 상기 인서터의 원위 구역의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서의 하나 이상의 애퍼처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운반 채널, 및 상기 전방 표면 및 상기 후방 표면 중 하나의 표면 상의 적어도 상기 애퍼처 위에서 상기 인서터에 고착되는 각막 이식물을 가짐─; 및
    원위 구역으로부터 그리고 눈 안으로 상기 각막 이식물을 리펠링시키기 위해,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통해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터의 근위 단부에 유체 저장소를 고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반 단계는 상기 유체 저장소로부터 그리고 상기 유체 운반 채널 안으로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 전에, 각막 포켓 안으로 상기 각막 이식물 인서터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는 상기 각막 이식물을 상기 각막 포켓 안으로 리펠링시키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는 상기 유체 운반 채널을 통해 10 마이크로리터(microliter)만큼 적은 유체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이식물을 눈 안으로 운반하는 방법.
KR1020167031881A 2014-04-16 2015-04-16 각막 인레이 운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20160145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80504P 2014-04-16 2014-04-16
US61/980,504 2014-04-16
PCT/US2015/026162 WO2015161069A1 (en) 2014-04-16 2015-04-16 Corneal inlay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151A true KR20160145151A (ko) 2016-12-19

Family

ID=5432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881A KR20160145151A (ko) 2014-04-16 2015-04-16 각막 인레이 운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297340A1 (ko)
JP (1) JP2017514572A (ko)
KR (1) KR20160145151A (ko)
CN (1) CN106456318A (ko)
AU (1) AU2015247592A1 (ko)
CA (1) CA2943430A1 (ko)
DE (1) DE112015001818T5 (ko)
GB (1) GB2540110A (ko)
WO (1) WO2015161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5371B2 (en) 2004-04-30 2020-11-17 Rvo 2.0, Inc. Small diameter corneal inlay methods
US9549848B2 (en) 2007-03-28 2017-01-24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mplant inserters and methods of use
US9271828B2 (en) 2007-03-28 2016-03-01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mplant retain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5944005B2 (ja) 2011-10-21 2016-07-05 リヴィジョン・オプ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角膜移植片保管および送達装置
AU2015385773A1 (en) 2015-03-12 2017-10-05 Revision Optics, Inc. Methods of correcting vision
US11957569B2 (en) * 2019-02-28 2024-04-16 Tissuecor, Llc Graft tissue injector
US20230060227A1 (en) * 2021-09-01 2023-03-02 Tissuecor, Llc Device and system for injecting biological tissue
CN114983670A (zh) * 2022-05-30 2022-09-02 海思盖德(苏州)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眼内植入物输送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999A (en) * 1997-12-18 2000-04-18 Keravision, Inc. Corneal implant introducer and method of use
US6543610B1 (en) * 2000-09-12 2003-04-08 Alok Nigam System for packaging and handling an implant and method of use
US20060173539A1 (en) * 2005-01-31 2006-08-03 Yichieh Shiuey Corneal implant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placement
US8470029B2 (en) * 2006-01-26 2013-06-25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Medical tools for facilitating deep lamellar endothelial keratoplasty and related methods
JP5470854B2 (ja) * 2007-02-08 2014-04-16 株式会社カネカ 眼用インジェクター
US9549848B2 (en) * 2007-03-28 2017-01-24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mplant inserters and methods of use
US20080269771A1 (en) * 2007-04-26 2008-10-30 Fulcher Samuel F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hthalmic surgery
WO2009132212A2 (en) * 2008-04-25 2009-10-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vice to store and inject corneal graft
EP2332494A1 (de) * 2009-12-09 2011-06-15 Neoptics AG Applikator zur Einführung von Linsen
US9186245B2 (en) * 2011-09-07 2015-11-17 Vladimir Feingold Lens injector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43430A1 (en) 2015-10-22
DE112015001818T5 (de) 2016-12-29
GB2540110A (en) 2017-01-04
AU2015247592A1 (en) 2016-10-06
WO2015161069A1 (en) 2015-10-22
JP2017514572A (ja) 2017-06-08
US20150297340A1 (en) 2015-10-22
CN106456318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5151A (ko) 각막 인레이 운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102282973B1 (ko) 안구용 주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49848B2 (en) Corneal implant inserters and methods of use
US20190038462A1 (en) Ocular Implant Systems
JP2024025801A (ja) 調節型眼内レンズおよび製造する方法
US8540727B2 (en) Insertion system for corneal implants
IL117284A (en)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and implantation of planar implants and a medical device for it
US20100211079A1 (en) Subretinal implantation instrument
MX2010008998A (es) Implantes lagrimales y metodos relacionados.
BRPI0314288B1 (pt) aparelhos para o envio de implantes oculares
WO2007131050A3 (en) Method for drug delivery to ocular tissue using microneedle
CN103124540A (zh) 用于展开放入一个柔性植入物的装置
AU2015374033A1 (en) Glaucom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CN109789250B (zh) 青光眼治疗装置和方法
KR20140118988A (ko) 각막 이식물 저장 및 전달 디바이스
US11925548B2 (en) Hydraulic delivery of surgical implants
JP7301886B2 (ja) 細胞播種された超薄型基質を移植するための器具及び方法
CN100360096C (zh) 人工晶状体
US20140330374A1 (en) Implanting oversized objects into surgical beds
KR20230117127A (ko) 안구내 임플란트의 전달을 위한 햅틱 관리
EP3920857A1 (en) Implantation device
WO2011102725A1 (en) An ophtalmic surgical device and a method of preparing a device
KR20070035529A (ko) 안과용 임플란트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방법
US20180325655A1 (en) Corneal device inserters and methods of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