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977A - 콤팩트한 소형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 Google Patents

콤팩트한 소형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977A
KR20160144977A KR1020167025992A KR20167025992A KR20160144977A KR 20160144977 A KR20160144977 A KR 20160144977A KR 1020167025992 A KR1020167025992 A KR 1020167025992A KR 20167025992 A KR20167025992 A KR 20167025992A KR 20160144977 A KR20160144977 A KR 20160144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fire
trigger valve
bearing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895B1 (ko
Inventor
뤼디거 클루크
보도 뮐러
위르겐 테슈너
Original Assignee
잡 리젠즈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잡 리젠즈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filed Critical 잡 리젠즈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4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가압된 소화제(l)가 압력 용기(2) 내에서 유출 억제되는 방식으로, 천공 부재(13)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폐쇄 부재(5)로 폐쇄되어 있는 유출 개구부(4)를 포함하여 가압된 소화제(L)로 충전되어 있는 압력 용기(2); - 천공 부재(13)와 열적 트리거 부재(24)를 포함하여 유출 개구부(4) 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10)로 형성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에 관한 것이며, 천공 부재(13)는 트리거링 위치의 방향으로 예압되어 열적 트리거 부재(24)에 의해 트리거링 위치와 다른 대기 위치에서 유지되고, 열적 트리거 부재(24)는,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통해 트리거링이 야기될 때, 천공 부재가 대기 위치에서 자체에 가해지는 예압을 통해 구동되면서 폐쇄 부재(5)를 천공하는 트리거링 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천공 부재(13)를 릴리스(release)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적 트리거 밸브(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특정하게 범위 한정되어 타당한 크기를 가지면서 증가된 화재 위험에 노출되는 공간에 구비되어 이 공간이 보호될 수 있게 하는 소형화된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콤팩트한 소형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COMPACT MINIATURE FIRE-EXTINGUISHING AND/OR FIRE-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면서 청구항 제9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passively thermal controlled trigger valve)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이고 허용 가능한 정도를 초과하여 주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 열적 트리거 부재들(trigger element)에 의해 트리거링되어 화재의 소화 또는 소방(fire-protection)을 위해 소화제를 방출하는 소화 장치들 또는 소방 장비들을 제공하는 점은 이미 오래전부터 공지된 바 있다. 상기 장치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대면적의 구역의 보호를 위해 특히 건물들의 내부 공간들, 예컨대 사무실 공간들, 생활공간들, 지붕으로 덮인 차고들 등에서 스프링클러 시스템들의 형태로 공지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오래전부터, 상대적으로 더 작게 치수 설계된 공간들 및 용적들의 보호를 위해 그에 상응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를 사용하고자 하는 고려 및 접근법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DE 10 2009 023 422 A1은 하우징 내에 끼워진 전기 구조 컴포넌트를 기재하고 있으며, 상기 전기 구조 컴포넌트는 한 실시예에서 차량 내에 배치되는 전기 독서등(electric reading light)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독서등의 경우, 상기 전기 컴포넌트의 특별한 화재 위험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소화제의 방출을 통해 소화하거나 방지하기에 적합한 소형화된 소화 장치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소화 장치의 트리거링을 위해, 예컨대 바이메탈 또는 메모리 메탈일 수 있는 열 센서가 제안되었다. 상기 센서 컴포넌트들의 장점으로서 여기서는 주변 온도를 수동적으로(passively), 특히 무전류 상태에서 모니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가능성이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DE 10 2009 023 422 A1에 기재된 소형 소화 장치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 유형 및 방식의 더 정확한 기재내용은 위 독일 공보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조밀하게 범위 한정된 공간들 중 화재 위험이 있는 영역들에서 국소적으로 집중된 소화 능력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추가 예시는 DE 10 2011 087 608 B3에 기재되어 있다. 이 독일 공보에는, 수동형 소화 시스템(passive extinguishing system)을 구비한 세탁물 건조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독일 공보에서 제안되는 수동형 소화 시스템의 경우, 소화약제 저장탱크가 중앙에 배치되는 용기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 용기로부터 소화약제 라인들이, 민감하고 화재 위험이 있는 여러 지점으로 연결된다. 상기 소화약제 라인들은 열적 트리거 밸브들로 폐쇄되며, 그럼으로써 민감한 지점들 중 어느 한 지점에서 화재가 있는 경우에, 그 해당 지점의 밸브가 개방되고, 소화제는 중앙에 배치된 용기로부터 할당된 소화약제 라인을 경유하여 가능한 화재원으로 공급되어 이 화재원으로 방출될 수 있다. 열적 트리거 밸브들의 열적 트리거 부재들에 대해 상기 독일 공보에서는 이른바 열 전구(thermo-bulb)가 예시되어 있고, 이런 열 전구는 열적 트리거 액으로 충전되어 양측에서 폐쇄된 관형 유리 용기이며, 열적 트리거 액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 도달하거나 트리거링 온도를 초과할 때, 형성된 압력을 통해 유리 용기의 벽부가 파열되게 하는 방식으로 팽창되며, 그에 따라 열적 트리거 부재를 파괴하고 밸브의 개방을 유발한다.
밸브 어셈블리의 부품으로서 유사한 열적 트리거 부재는 DE 199 11 530 C2에 지시되어 있으며, 이 독일 공보의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한 실시예에서 트리거 밸브는 중공 니들(hollow needle)의 형태인 천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니들은 트리거부(trigger portion) 상에 배치된다. 트리거부는 열적 트리거 부재, 여기서도 다시금 이른바 열 전구에 의해 대기 위치에서 유지되어 나선형 스프링을 통해 트리거링 위치의 방향으로 예압되며, 그리고 열적 트리거 부재가 트리거링되면(열 전구가 파열되면) 트리거부는 상기 트리거링 위치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중공 니들을 전진 구동시킨다. 상기 트리거링 위치에서, 중공 니들은, 오버플로 채널을 폐쇄하고 있는 폐쇄 멤브레인을 천공하여 관통한다. 여기에 도시된 열적 트리거 밸브는 압축가스 용기를 위한 안전밸브로서의 이용과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밸브는, 트리거링 온도가 임계적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 가연성인 가스로 충전되고 가압된 용기를 하중 완화하고 그에 따라 화재 또는 폭발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비상 개구부를 개방시킨다. 그러나, 원칙상 DE 199 11 530 C2에 도시된 밸브는, 오버플로 채널 내에서 가압된 가연성 압축가스 대신 압축된 소화제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를 위한 트리거 밸브로서도 간주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EP 2 332 616 A1에는, 전기 기기들의 소방을 위한 추가 가능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 유럽 공보에서 제시되는 해결책의 경우, 소화제를 위한 저장 탱크 또는 저장 용기가 하우징 부재 내에 통합되며, 저장 용기는, 임계 온도를 초과할 때 예컨대 벽부의 상응하는 재료를 용융시키는 것을 통해 개구부들을 개방시키고, 결과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저장 용기 내에 배치된 소화약제, 예컨대 C6 플루오로케톤이 방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US 7,703,640 B1에는, 과열 시 가압된 가스 용기를 개방시키고 이렇게 용기 내에 포함된 가스를 배출하여 가스 용기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된 가스 용기 상에 장착되는, 열적으로 트리거링되는 배출 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소화 장치 또는 소방 장비는 이 미국 공보에는 공개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하면, 특정하게 그에 상응하게 범위 한정되고 증가된 화재 위험에 노출되는 공간에 구비되어 이 공간이 보호될 수 있게 하는 소형화된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점은, 예컨대 가정용 기기들의 특별한 영역들 및 내부의 특별한 영역들, 예컨대 열을 생성하는 전자 컴포넌트들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들(예컨대, 자체의 하우징을 포함한 배전반 및 제어반), 또는 상응하는 기기들 자체가, 예컨대 세탁물 건조기들의 경우에서처럼, 처리 열(process heat)을 생성하는 영역들에도 적용된다. 특히 여기서는 독립적인 부재 및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콤팩트하게 치수 설계될 수 있고 독립적인 부재로서 다수의 적용 분야에서 유연하면서도 자립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위험이 있는 구역 또는 그에 상응하는 화재 위험이 있는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로 설치 위치에서 트리거링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이미 발생한 국소적인 화재를 소화하여 화재의 추가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예컨대 상대적으로 더 대형인 가정용 기기, 또는 예컨대 전체 차량과 같은 상대적으로 더 복잡한 구조의 추가 부재들 및 부품들이 소화약제 또는 소화제의 사용을 통해 손상을 입게 되는 점을 배제하기 위해, 해당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가 내부에 배치되는 구획(compartment)의 용적에 매칭(matching)되는 양의 소화약제를 방출할 수 있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를 명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응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를 명시하는 것에 있다. 추가 양태에 의해,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명시할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관점에서,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상기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를 통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 제2항 내지 제8항에 명시되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는 청구항 제9항에 그 특징과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 밸브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 제10항 내지 제23항에 지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우선,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가압된 소화제로 충전된 압력 용기;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로 형성되는 새로운 유형의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가 명시된다. 이 경우, 압력 용기는, 가압된 소화제가 압력 용기 내에서 유출 억제되는 방식으로, 천공 부재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폐쇄 부재로 폐쇄되어 있는 유출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폐쇄 부재는 예컨대 폐쇄 멤브레인, 폐쇄 필름, 파열 디스크(bursting disc)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중요한 사항은, 상기 폐쇄 부재가 한편으로 소화제의 유출 억제를 확실하게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체의 구조 및 특성과 관련하여, 결과적으로 유출 개구부를 개방하여 소화제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천공 부재를 통해 천공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에 대한 주요 사항은,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가 직접적으로, 다시 말하면 어떠한 추가 연결 라인들, 연장 라인들 등의 중간 개재 없이, 유출 개구부 상에 장착된다는 점이다. 이는, 오직 이러한 방식으로만,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가 달성하고자 하는 콤팩트하고 공간을 절약하는 구조 형상에 의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자립적인 소방용 유닛으로서 소형으로 치수 설계되는 구획들 및 구조 부재들 내에도, 예컨대 하우징과 함께 끼워진 전자 컴포넌트들 내에도, 통합될 수 있는 점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추가의 실질적인 관점은, 예컨대 상응하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필요에 따라 심지어는 평가되어야만 하는 센서 신호들을 전송해야 하는 상응하는 센서들에서 요구되는 것과 같은 능동적인 트리거링 제어(active triggering control)가 생략된다는 점을 의미하는 사항으로서, 트리거 밸브가 수동형(passive)으로 열적 제어된다는 상황에 있다. 특히 수동형으로 열적 제어되는 점은, 이와 관련하여, 트리거 밸브가 자체의 에너지 공급 장치를 요구하지 않고 전체적으로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작동 전압 또는 작동 에너지 공급으로부터 독립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열적 트리거 부재들은 예컨대 납땜 스트럿(soldered strut)으로 형성되는 몸체일 수 있지만, 그 밖에도 최초에 기재한 이른바 열 전구, 다시 말하면 일반적으로 내부 공간을 완전하게 에워싸는 유리 용기일 수 있으며, 이런 유리 용기의 경우 내부 공간은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 도달할 때 열적 팽창과 이에 수반되는 압력 발생으로 인해 유리 용기의 벽부를 파열시키고 그에 따라 열적 트리거 부재를 비가역적인 방식으로 파괴하는 트리거 액으로 충전되어 있다.
트리거 밸브에 속하는 천공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경우 대기 위치에서 유지되며, 이는 열적 트리거 부재를 통해 수행된다. 또한, 천공 부재는 대기 위치에서 트리거링 위치의 방향으로 예압되며, 이는 예컨대 상응하는 스프링 또는 그에 대응하게 작용하는 또 다른 클램핑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리거링 위치는, 천공 부재가 트리거링 위치에 도달할 때 천공 부재가 폐쇄 부재를 천공하고 그에 따라 유출 개구부를 개방시킴으로써, 가압된 소화제가 압력 용기의 내부로부터 방출되면서 소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리거 밸브는,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통해 (열적 트리거 부재의 응답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트리거링이 야기될 때 천공 부재가 릴리스(release) 되면서 대기 위치에서 자체에 가해지는 예압을 통해 구동되어 트리거링 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설명 및 상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여기서, 매우 콤팩트하게 형성되어, 콤팩트한 구조 형상을 기반으로 화재 위험이 있는 섹션들 또는 구조 부재들을 정의하는 조밀하게 치수 설계된 영역들, 또는 하우징 내에 매우 적합하게 배치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가 명시된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그 밖에도, 압력 용기의 저장 용량 또는 내부 용적의 선택을 통해 그에 상응하는 매칭(matching)도 가능하며, 특히 내부 용적 내에 충전되는 소화제의 양은,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가 사용되는 공간에서 충분하게 상응하는 효과로 화재를 방지하거나 이미 발생한 국소적 화재를 소화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과량으로 소화제가 방출되지 않는 것을 통해 인접한 영역들의 손상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할당된다.
이 경우 확인된 점에 따르면, 10㎖ 내지 1500㎖의 내부 용적을 갖는 압력 용기들은 광범위한 적용분야를 위한 그 적합성과 관련하여 매우 우수했다. 그러므로 상기 압력 용기들은, 특히 상대적으로 더 작은 크기가 선택된다면,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더 좁은 장착 상황에서도 내장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히 작게 치수 설계되기는 하지만,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화재가 있는 경우에 충분한 소화 작용을 발휘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범위에서 그리고 충분한 양으로 상응하는 소화제를 방출한다. 이 경우, 보통은, 최대 250㎖까지의 용적부, 특히 50㎖와 250㎖ 사이의 용적부를 갖는 압력 용기들이 이용된다.
소화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소화 가스가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소화 가스가 대단히 많이 압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소화 가스를 위한 작은 저장 용적으로도 트리거링 동안 소화 작용을 위한 충분히 큰 토출 용적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압력 용기 내의 소화 가스는 특히 액화될 수도 있으며, 그럼으로써 훨씬 더 효과적인 용적 확대가 가능하게 된다. 소화 가스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산소와 결합하고, 그리고/또는 산소를 밀어내는 소화 가스이다. 그러나, 여기서 소화 가스 대신 또 다른 가압된 소화제들도 역시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발포제와 예컨대 분말 형태 또는 에어로졸 형태를 취하는 소화약제 또는 상응하는 소화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소화 가스의 이용이 선호되며, 이는 한편으로 앞에서 이미 상술한 이유에서 선호되며, 다른 한편으로 그 이유는,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응하는 가스들이 최소의 손상을 초래하며, 그럼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 소방 장비가 트리거링될 때, 특히 상대적으로 더 크게 적용되는 장치, 예컨대 세탁물 건조기, 세탁기, 세정기 등과 같이 전기로 작동되는 가정용 기기의 주변 환경에 위치하여, 화재에 관계하지 않는 컴포넌트들 및 구조 부재들은 함께 손상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에 상응하게 마련된 상대적으로 더 대형인 기기의 기능성은, 화재에 관계하지 않는 컴포넌트, 예컨대 하우징 외함을 구비한 전자 배전반이 교환되고,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로 다시 안전이 보장되는 새 구조 부재로 교환됨으로써, 간단하게 복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트리거 밸브는 가능한 구성 형태에서 유출 개구부와 연결되는 소화제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며, 그리고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소화제의 분배가 수행되게 하는 소화제를 위한 분배 개구부들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런 경우, 소화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유출 개구부에서 유출되는 소화제는 트리거 밸브의 내부에 도달하고 그런 다음 분배 개구부들에까지 이르며, 이 분배 개구부들은 예컨대 분배 노즐들일 수 있고, 그럼으로써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소화제의 목표되는 분배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분배 개구부들은 각각의 국소적인 조건들에 따라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소화제의 분배는 소화제가 직접적으로, 그리고 가능한 짧은 경로로 신속하게 화재 위험이 있는 영역들의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되게 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압력 용기는 유출 개구부의 영역에 제1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트리거 밸브는 연결 섹션에 제1 나사부에 상보적인 제2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압력 용기와 트리거 밸브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의 나사 조임을 통해 결합된다. 이 경우, 예컨대 제1 나사부는 수나사부이고 제2 나사부는 암나사부일 수 있다. 이런 변형예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며, 이때 맨 먼저 압력 용기는 소화제로 충전되고 폐쇄 부재를 통해 폐쇄되며, 상기 폐쇄 부재는 이 경우 특히 유출 개구부의 영역에서 나사부를 범위 한정하는 상기 유출 개구부의 상부 에지 상에 장착되고, 그런 다음 이어서 폐쇄 부재가 트리거 밸브에 나사로 조여진다. 여기서, 트리거 밸브의 천공 부재의 트리거링 위치는, 트리거 밸브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연결 섹션의 영역에 위치하고 천공 부재는 트리거링 위치의 상기 영역에서 압력 용기의 유출 개구부의 폐쇄 부재를 천공하여 개방하는 방식으로 형성 및 배치된다는 점을 확실하고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마련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는,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가 트리거링되었을 때 신호를 송출하는 트리거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센서 장치는 예컨대 열적 트리거 밸브의 트리거링 동안 차단되고 그에 따라 센서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전기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센서 장치는 평상시 열려 있는 전기 회로를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런 전기 회로는 열적 트리거 밸브의 트리거링을 통해,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열적 트리거 밸브의 컴포넌트들의 이동을 통해 닫히고 그에 따라 신호를 송출한다. 트리거 센서 장치의 신호는 예컨대 경보의 활성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지만, 그러나 자동으로 개시되는 추가 조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예컨대 추가 소화 메커니즘을 트리거링하고 소방용 차단 장치의 폐쇄 등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부재, 즉
- 베어링부(bearing portion);
- 대기 위치와 트리거링 위치 사이에서 베어링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트리거부;
- 트리거부 상에 배치되는 천공 부재;
- 베어링부와 트리거부 사이에 배치되어 베어링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트리거부를 트리거링 위치로 예압하는 스프링 수단;
- 스프링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예압에 대항하여 트리거부를 대기 위치에서 유지하는 열적 트리거 부재
를 포함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는, 트리거부가 슬리브 유형으로 형성되어 베어링부 상에 장착되며, 그리고 대기 위치와 트리거링 위치 사이에서 베어링부의 종방향으로 베어링부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특징을 가지면서 구성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는 특히 앞에서 기재한 것과 같은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형성을 위해 이용되기에 적합하지만, 그러나 이러한 용도로만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트리거 밸브는 예컨대 이미 서두에 언급한 DE 199 11 530 C2에서처럼 기재된 압축가스 용기를 위한 안전밸브로서의 이용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범위에서 상대적으로 더 크게 치수 설계되는 소화 및/또는 소방용 장비 또는 시스템의 트리거 밸브로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처럼 기재되고 청구되는 구현예에 따라서, 트리거부가 슬리브 유형으로 베어링부 상에 장착됨으로써, 특히 신뢰성이 있으면서 효율성의 관점에서 적합하게 형성된 구성이 마련된다. 이는 특히 트리거 밸브를 실질적으로 축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 경우 특히 열적 트리거 부재를 중앙에, 그리고 중심축을 따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는, 이미 언급한 DE 199 11 530 C2에 공개되고 이 독일 공보의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면서 유사하게 작용하는 밸브의 구성과도 구별된다. 요컨대 이런 점에서, 상기 구성에 의해, 열적 트리거 부재는 중심을 벗어나서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트리거 부재의 트리거링 동안 해당 위치에 중공 니들로서 도시된 천공 부재의 종방향으로 향하는 운동량(momentum)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상기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운동량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비틀림(twisting) 또는 경동(tilting)을 초래할 수 있고 상기 밸브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는, 기재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그에 상응하게 방지되며, 그리고 깔끔한 축 방향 트리거링 힘(axial triggering force) 및 상응하는 운동량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밸브의 제안되는 구현예에 따라서, 베어링부는, 슬리브 유형으로 형성된 트리거부가 그 위에 안착되는 외부 표면으로, 대기 위치로부터 트리거링 위치로 트리거부가 이동할 때 트리거부를 위한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응하는 가이드를 통해,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재차 한 번 더, 대기 위치로부터, 천공 부재가 결과적으로 유동 경로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응하는 폐쇄 부재를 천공할 수 있는 트리거링 위치로, 트리거부 및 그에 따른 천공 부재의 상응하는 이동이 수행되는 점이 보장된다.
트리거부가 슬리브 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지시되는 상황은, 상기 트리거부가 특히 연속해서 원통형으로 슬리브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경우, 특히 트리거부가 베어링부 상에 장착되어 베어링부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슬리브 섹션을 포함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이런 경우, 특히 트리거부는, 상기 슬리브 섹션과 더불어, 선단면에서 폐쇄되는 트리거부의 상응하는 종단부를 형성하는 돔 섹션(dome section)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돔 섹션의 내부 표면 상에는 특히 열적 트리거 부재의 단부를 위한 받침부(abutment)로서 이용되는 베어링 표면이 마련되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는 특히 축 방향 단부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베어링 표면을 경유하여 돔 섹션 상으로, 그에 따라 트리거부 상으로, 스프링 수단을 통해 가해지는 예압에 대항하여 대기 위치에서 트리거부를 유지하는 열적 트리거 부재의 상응하는 유지력(holding force)이 전달된다.
앞에서 기재한 것처럼 트리거부가 선단면에서 폐쇄되는 상기 돔 섹션을 구비하여 형성된다면, 트리거부의 외벽부에는, 외면을 트리거부의 내부와 연결하고 특히 돔 섹션의 바로 하부에 배치되는 측면 유출 개구부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유출 개구부들은, 트리거 밸브의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트리거 밸브를 통과하여 유출 개구부들에까지 유동하고 그런 다음 외면 쪽으로 방출되는, 방출 소화제를 분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가능한 구성 변형예에서, 베어링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되는 베어링부 상에는 특히 마찬가지로 원형 지름을 갖는 트리거부의 슬리브 섹션이 장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에 의해 대기 위치로부터 트리거링 위치로의 전환 중에 특히 적합하게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밸브로 그에 상응하게 폐쇄되고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개방되는 통이나 용기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밸브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베어링부는,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라서, 일측 단부, 특히 선단면의 단부 상에, 천공될 수 있는 폐쇄 부재로 폐쇄된 유출 개구부에 연결되어 이 유출 개구부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구조는 특히 나사부, 예컨대 암나사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밸브는, 일 구성 변형예에 따라서, 트리거부 상에 배치되는 스프링 수단을 위한 지지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베어링은, 특히 트리거부 상으로, 길이방향 연장부에서 트리거부의 제1 측에 배치될 수 있고 트리거부는 제1 측에 대향하는 제2 측에서 열적 트리거 부재를 위한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지지 베어링과 받침부 사이에는 길이방향 연장부에서 볼 때 최초 스프링 수단이 배치되고 스프링 수단의 타측에는 열적 트리거 부재가 배치된다. 이 경우, 특히 스프링 수단 및 열적 트리거 부재는, 결과적으로 앞에서 이미 바람직하게 달성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대칭과 그에 따른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의 정확한 트리거링을 달성하기 위해, 구조의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앞에서 기술한 지지 베어링은, 일 구성 변형예에서, 특히 트리거부의 슬리브 유형의 섹션의 서로 대향하는 벽 영역들 상에 고정되고 트리거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어링부 내 가이드 슬롯들(guide slot)을 관통하는 베어링 핀(bearing pin)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구성은, 지지 베어링의 순수한 제공과 더불어 추가 장점들도 제공한다. 따라서 한편으로 베어링부의 가이드 슬롯들 내에서 베어링 핀의 가이드를 통해, 특히 여타의 경우 트리거부의 회전 가능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면, 상기 트리거부의 회전 가능성의 저지와 관련하여 추가의 확실한 안내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부 내 가이드 슬롯들 및 베어링 핀의 상호작용을 통해 특히 트리거링 위치를 위한 상응하는 정지부들(stopper)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밸브의 추가의 가능한 형성 변형예에서, 베어링부 내에는 축 방향 보어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축 방향 보어 내에서는 스프링 수단이 배치되어 일측에서 축 방향 보어를 선단면에 있어서 범위 한정하는 스프링 베어링 상에 지지된다. 특히 베어링부 내에서 중앙에 있어서, 다시 말하면 베어링부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안내되는 상기 축 방향 보어를 통해, 스프링 수단의 매우 정확한 배치, 그리고 그에 따라 트리거부 상에서 대기 위치로 향하는 예압의 정확한 제어가 달성될 수 있다.
열적 트리거 부재는 특히 다시 이른바 열 전구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일반적으로 내부 공간 내에 포함되어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서 유리 용기를 파열시킬 때까지 팽창하는 트리거 액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완전하게 에워싸는 유리 용기일 수 있다.
천공 부재는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맨드릴, 천공 블레이드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천공 니들, 특히 천공 중공 니들이며, 이 천공 중공 니들은, 트리거 밸브의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자체의 중공부로 즉시 트리거 밸브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안내를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추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트리거 밸브는, 이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가 트리거링 되었을 때 신호를 송출하는 트리거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트리거 밸브의 전기 전도성 컴포넌트들 상에 전기 접점들이 부착될 수 있고 이 전기 접점들은 전기 회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 전도성 컴포넌트들을 통해서는 대기 위치에서 폐쇄되는 전기 회로가 형성되고, 이 전기 회로는 트리거링 위치를 취하는 것을 통해 차단되고 그에 따라 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예컨대 대기 위치로부터 트리거링 위치로의 전이 중에 트리거 밸브의 2개의 부재가 기계적으로 이동하고 서로 분리됨으로써 전기 접점이 개방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트리거 밸브의 트리거링 위치로의 전이를 통해 얇은 와이어 라인(wire line)이 파열되게 하거나,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 파괴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그 결과로 전기 회로는 차단된다. 또한, 예컨대 열적 트리거 부재, 예컨대 트리거 액으로 충전된 유리 용기는 예컨대 상응하는 코팅층을 통해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되어 전기 회로 내에 통합될 수 있지만, 상기 전기 회로는 트리거링 동안 (예컨대 유리 용기가 파열되면) 차단된다. 그 대안으로, 트리거 센서 장치는 대기 위치에서 개방되는 전기 회로 역시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회로는 트리거 밸브를 트리거링하고 트리거링 위치를 취하는 것을 통해 폐쇄되며, 그 결과 신호를 생성한다. 이처럼 전기 회로의 폐쇄는, 예컨대 트리거 밸브의 2개의 전기 접촉형 컴포넌트가 트리거링되고, 트리거링 위치를 취할 때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기계적으로 전기 접촉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대기 위치에서 폐쇄되어 열적 트리거 부재, 특히 트리거 액으로 충전된 유리 용기, 예컨대 유리 앰풀(glass ampoule)을 통해 안내되는 전기 회로를 트리거 센서 장치가 포함한다면, 상기 전기 회로는, 이 전기 회로 내로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열적 트리거 부재를 통해 안내되는 라인 섹션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열적 작용을 통해, 열적 트리거 부재를 목표한 바대로 트리거링 온도로 가열하고 그에 따라 원격 릴리스 장치(remote release device)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응하는 전기 회로는 열적 트리거 부재를 통해 안내되는 라인 섹션을 구비하여 트리거 센서 장치 없이도 형성될 수 있으면서 순수하게 원격 릴리스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자명한 사실로서, 앞에서 상술한 바람직한 구현예들 모두는, 분명하게 배타적이지 않는 한, 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배제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되어서도 실현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조합 가능성에 의해 추가 장점들도 달성되며, 그럼으로써 바람직한 것으로서 기재된 특징들의 조합은 다양한 요건 상황들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명백하게 제시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조합 가능성들의 추가 장점들 및 특징들, 특히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에 따르는 한 실시예의 이하에 상술하는 내용에서 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즉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형성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면서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르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의 작동 방식을 트리거링 과정 동안 4가지 순간에 따라서 각각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은 트리거 센서 장치를 내장한 도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트리거 밸브를 도 3의 절단선 A-A를 따라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은 개략도이며 본 발명의 예시로서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구체적인 도면과 도시된 구조들 및 구현예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특히 도면들은, 대략 일정한 축척 비율로 도시된 것이 아닌 완전한 구성 도면들로서 간주해야 한다. 요컨대 도면들은 오히려 본원에 기재되는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의 도시를 위한 순수한 개략도들 및 도해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1에는, 우선, 도면부호 1이 부여된 본 발명에 따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가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는 실질적인 컴포넌트들로서 압력 용기(2) 및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10)를 포함한다. 압력 용기(2)는 압력 카트리지의 유형에 따라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예컨대 특수강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 용적(7)을 에워싸는 외부 벽부(3)를 포함한다. 압력 용기(2)는, 폐쇄 필름(5)으로 밀봉 폐쇄되어 있는 유출 개구부(4)를 포함한다. 유출 개구부(4) 근처의 목(neck) 형태의 영역에서 압력 용기(2)는 수나사부(6)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력 용기(2)의 내부 용적(7) 내에 충전되고 압축되는 소화약제 또는 소화제는 별도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소화약제 또는 소화제는 폐쇄 필름(5)을 통해 내부 용적(7) 내에서 유출 억제되어, 유출 개구부(4)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되어 있다. 폐쇄 필름(5)은 그에 상응하게 강력하고 하중을 견딜 수 있게 선택되며, 그럼으로써 폐쇄 필름은 내부 용적(7) 내에서 우세하게 존재하면서 압축된 소화약제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다.
트리거 밸브(10)는, 암나사부(25)가 그 위에 설치된 연결편으로, 압력 용기(2)의 유출 개구부(4)를 구비한 목 형태의 섹션 및 이 섹션에 제공된 수나사부(6) 상에 나사 조임되고 그에 따라 압력 용기(2)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를 구성하는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특히 여기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트리거 밸브(10)는 압력 용기(2) 상에 직접 장착되어 이 압력 용기와 결합되며, 여기서는 예컨대 길게 안내되는 압력 라인 등은 중간에 개재되지 않아도 된다. 그에 상응하게 여기에 도시된 부품은 콤팩트하게 형성되며, 예컨대 상기 부품은 전체적으로 약 100㎜[압력 용기(2)의 길이 및 트리거 밸브(10)의 길이의 합)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면서 가장 넓은 위치에서는 약 20 내지 25㎜의 총 지름을 나타낼 수 있다. 압력 용기의 내부 용적(7)의 저장 용적은 본 예시에서 50㎖ 내지 100㎖일 수 있다.
그 자체로 볼 때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별도의 대상을 형성하고 특히 여기에 도시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의 범위에서의 이용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와는 다른 이용 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는 트리거 밸브(10)는, 우선 2개의 실질적인 주 컴포넌트, 요컨대 암나사부(25)가 그 위에 형성되고 그에 상응하게 위치 고정되어 압력 용기(2)와 연결되는 베어링부(11)와, 그리고 트리거부(12)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트리거부(12)가 슬리브 유형으로 베어링부(11) 상에 장착되며, 여기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베어링부(11)의 외부면과 트리거부(12)의 상응하는 내부 표면의 상호작용을 통해 베어링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가능한 트리거부(12)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가 형성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트리거부(12) 상에는, 천공 부재(13)가, 여기서는 천공 니들, 특히 천공 중공 니들의 형태로 고정 배치되어, 종방향에서 베어링부(11)에 상대적인 트리거부(12)의 가능한 이동 방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베어링부(11) 내에는 축 방향으로 보어(14)가 구성되고 이 보어 내로 압축 스프링(15)이 삽입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15)은, 일측에서는 베어링부(11)와 교차하면서 슬리브 형태로 형성된 트리거부의 각각의 외부 벽부와 결합되는 베어링 핀(16) 상에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 베어링(17) 상에서 지지되며, 이 스프링 베어링(17)은 보어(14)의 선단면 테이퍼부 또는 안착 에지를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 스프링(15)은 베어링부(11)와 트리거부 사이에서 스프링 수단으로서 작용하면서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트리거 밸브(10)의 대기 위치에서, 트리거부(12)를, 이하에서 훨씬 더 상세하게 기재되는 방식으로 트리거링 위치로 예압한다.
베어링부(11)는 스프링 베어링(17)에 대향하는 자체의 외부 선단면 상에 깔때기 형태의 함몰부(18)를 포함하며, 이 함몰부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름을 갖는) 보어(14)의 연장부를 통해 상기 보어와 연결되어 소화제 채널을 형성한다.
또한, 베어링부(11)의 외부 벽부에는 가이드 슬롯(19)도 형성되며, 이 가이드 슬롯은 축 방향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들(long-hole) 또는 길이방향 슬롯들(longitudinal slot)로서 베어링 핀(16)이 그를 통과하여 연장되게 하고 상기 베어링 핀에 길이방향 슬롯들(19)을 따르는 이동 가능성을 개시하면서 가이드를 제공한다.
트리거부(12)는, 이 트리거부가 베어링부(11) 상에 장착되게 하는 슬리브 형태의 섹션(21)과 더불어, 암나사부(25)를 갖는 연결편에 대향하는 자체의 선단면 단부 상에서 트리거부(21)를 폐쇄하는 돔 섹션(20)도 포함한다. 돔 섹션(20)의 안쪽에 위치하는 표면 상에는, 길게 신장되면서 종축을 따라 배치되는 열적 트리거 부재(24)를 위한 받침부(22)가 형성되고, 열적 트리거 부재는 일측에서 길이방향 단부로 받침부(22) 상에 지지되고 제2 길이방향 단부로는 베어링부(11)의 깔때기 형태의 함몰부(18) 내에 지지된다. 그에 따라, 열적 트리거 부재(24)는, 트리거부(12)가 압력 용기(2)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즉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없을 때 압축 스프링(15)을 통해 가해지는 스프링 힘으로 인해 야기될 수도 있는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트리거 밸브(10)를 자체의 대기 위치에서 유지한다.
돔 섹션(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면서 외주를 따라서 트리거부(12)의 측면 벽부에 분포되는 방식으로 방출 개구부들(23)이 제공되며, 이 방출 개구부들을 통해서는, 이하에서 재차 기재되는 것과 같이, 천공 부재(13)를 통해 폐쇄 필름(5)의 천공이 개시되는 경우에, 사전에, 보어(14), 깔때기 형태의 함몰부(18) 내로의 전이부, 및 돔 섹션(20)의 내부 영역을 통해 형성된 소화제 채널을 통해 관류하여 내부 용적(7)으로부터 유출되는 소화제가 반경 방향으로 분배되면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출 개구부들(23)을 통해서는, (여기서는 열 전구의 형태인) 트리거 부재(24)가 대기 위치에서 관찰되고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착색된 트리거 액의 경우에 따른 손상 또는 불규칙성, 예컨대 그 손실의 관점에서 검사될 수 있다. 이런 점도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의 장점인데, 그 이유는 트리거 부재의 상기 관찰은 DE 199 11 530 C2에 따른 구성과 이 독일 공보에 도시된 도 4에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미 기재한 것처럼, 도 1에는 트리거 밸브가 대기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른바 열 전구, 다시 말하면 트리거 액으로 충전된 내부 공간을 완전히 에워싸는 유리 용기, 특히 양측 단부 측에서 폐쇄된 유리관일 수 있는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트리거링되는 트리거링의 경우에, 트리거부(12)가 베어링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예컨대 도 1에서는 압력 용기(2)로 향하는 하향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트리거 밸브(10)가 트리거링된다.
도 2에는, 위의 사항이 상세도인 도 2a 내지 도 2d로 한 번 더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열적 트리거 밸브가 한 번 더 대기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런 대기 위치에서 열적 트리거 부재(24)는 온전한 상태이고, 트리거부(12)는 베어링부(11)와 트리거부(12) 사이에 고정되는 자체의 위치로 대기 위치에서 지지되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압축 스프링(15)에 의해 가해져서 트리거링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한편, 예컨대 도 2b에서 불꽃(F)을 통해 상징적으로 도시된 화재를 통해 야기되어 트리거링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안쪽에 있는 트리거 액이 자체의 팽창으로 인해 유리 용기를 폭파시킴으로써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트리거링 된다면, 베어링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트리거부(12)를 대기 위치에서 유지하는 "홀더"가 떨어져 나가며, 그럼으로써 트리거부(12)는 압축 스프링(15) 및 이 압축 스프링에 의해 야기된 힘을 통해 도 2b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외부에서는 베어링부(11) 상에서 이 베어링부의 외부 표면을 통해 안내되면서 상기 베어링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에 상응하게 이동되고 변위된다. D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여기서는 열 전구인 열적 트리거 부재(24) 내에서 트리거 액이 증발되는 점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2c에는, 천공 부재(13)가 폐쇄 부재, 예컨대 폐쇄 필름(5)을 찔러 꿰뚫는, 다시 말하면 천공하는, 트리거링 위치에 트리거 밸브(10)가 어떻게 도달했는지에 관한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베어링 핀(16)은 베어링부(11)의 가이드 슬롯들(19) 내에서 안내되면서 트리거링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도면에서 압축 스프링(1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완되어 자체의 압축력을 베어링 핀(16)에 전달하였으며, 그에 따라 트리거링 위치의 방향으로 트리거부(12)를 전진 구동하였음을 잘 알 수 있다. 한편, 사전에 폐쇄 부재, 예컨대 폐쇄 필름(5)을 통해 유출 억제된 소화제, 특히 압력 용기(2) 내에 포함된 소화제는 용기로부터 도 2c의 화살표(P)의 방향으로 유출되어 트리거 밸브(10) 안쪽에 도달한다. 그리고 소화제는 트리거 밸브에서, 도 2d에 최종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계속하여 소화제 채널을 따라서 도 2d에 도시된 화살표(P)의 방향으로 유동하여 도 2d에서 L로 표시된 소화약제 기둥(extinguishing agent plume)으로 방출 개구부들(23)로부터 방출된다.
여기서 트리거 밸브의 구성과 관련하여 특히 강조되는 사항은, 베어링 부재(11) 및 이 베어링 부재 상에 슬리브 형태로 안착 배치되어 베어링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천공 부재(13)를 지지하는 트리거 부재(12)의 특별한 형성을 통해, 그리고 압축 스프링(15) 및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트리거 밸브(10)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점을 통해, 매우 대칭적인 구조 형상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압축 스프링(15)을 통해 가해진 힘이 매우 정확하게 의도되는 변위의 방향으로 향하는 장점을 가지면서도, 이때 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부재가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통해 여기서 의도되지 않고 간섭하는 측면 운동량이 야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한편으로 트리거 부재(12)의 슬리브 형태의 섹션(21)과, 베어링 저널과 같은 자체의 외부 표면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베어링부(11)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가이드 슬롯들(19) 내에서 베어링 핀(16)에 제공되는 추가 안내를 통해 베어링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트리거부(12)의 매우 정확하면서도 적합한 안내도 달성된다.
도 3 및 도 4에는, 트리거 밸브(10)의 일 변형예(여기서는 압력 용기가 생략되어 따로 분리되어 있음)가 측면도(도 3)로, 그리고 도 3에 따른 절단선(A-A)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도 4)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 밸브는 실질적인 부재들 및 기능 부품들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정확히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러므로, 어느 경우든 기능상 동일하게 형성되는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된다. 이러한 부재들은, 이하에서 차이점이 설명되지 않는 한, 이상에서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그에 상응하게, 도 3 및 도 4에 따르는 트리거 부재(12)의 구성 및 원칙적인 기능과 관련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따르는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기재내용이 참조된다.
한편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다른 한편의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 사이의 구성상 차이점은 열적 트리거 부재가 그 위에 지지되는 받침부(22)의 형상에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시의 경우, 상기 받침부(22)는 간단하게 돔 섹션(20)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반면, 도 3 및 도 4에 따른 구현예에서는 받침부 부재(26)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부 부재(26)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받침부 부재(26)를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된 트리거부(12)로부터 전기 절연하는 전기 절연 부재(27)가 중간에 개재된 상태에서, 돔 섹션(12) 내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며, 그리고 트리거부(12)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열적 트리거 부재(24)로 향해 있는 표면 상에는 함몰부의 형태인 실질적인 받침부(22)를 포함한다. 받침부 부재(26)와 전기 절연 부재(27)로 이루어진 쌍은, 이러한 쌍이 그 내로 삽입되는 돔 섹션(20)의 개구부 내에 예컨대 압입 끼워 맞춤을 통해 결속되고 고정된다.
도면들에서 상부에 도시된 받침부 부재(26)의 단부는, 노출되는 방식으로, 바깥쪽을 향해 돔 섹션(20)을 통해 관통한다. 전기 라인(28)은 클램핑 나사(30)에 의해 받침부 부재(26)의 상기 단부 상에 결속되고 이 위치에서 받침부 부재(26)와 전기 접촉한다.
추가 전기 라인(29)은, 클램핑 나사(31)에 의해 또한 암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베어링부(11) 상에 결속되고 이 위치에서 상기 베어링부에 전기 연결된다. 베어링부(11)는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성 재료, 예컨대 황동 또는 특수강으로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 특징은,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전기 라인을 구비하며, 특히 여기서는 열적 트리거 부재(2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전기 전도성 코팅층(32)을 구비한다는 점이다. 특히 상기 전기 전도성 코팅층(32)은,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베어링부(11) 내의 깔때기 형태의 함몰부(18) 내에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베어링부(11)의 재료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영역들에까지, 그리고 또한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받침부 부재(26)의 받침부(22) 상에 안착되고 이 위치에서 받침부 부재(26)의 재료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영역들에까지도 연속해서 연장된다. 그 결과 전기 라인(28)에서부터 받침부 부재(26), 전기 전도성 코팅층(32) 및 베어링부(11)를 경유하여 전기 라인(29)에까지 연속적인 전기 연결이 제공된다. 따라서 두 전기 라인(28 및 29)은 예컨대 전기 센서 회로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결과 폐쇄되어 모니터링되는 전기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에 따라서 열적 트리거 밸브(10)의 동일하게 작용하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해 기술한 것처럼,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트리거링되면, 다시 말해 파열되면, 전기 전도성 코팅층(32)을 통해 형성되는 전기 연결의 섹션은 차단되며, 그에 따라 전기 회로도 역시 전체적으로 차단된다. 이런 경우, 상기 위치에서 예컨대 센서 회로를 통해 검출되는 전압 강하는, 열적 트리거 밸브(10) 및 그에 따라 이 열적 트리거 밸브를 구비한 콤팩트한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의 트리거링에 대한 신호로서 평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신호는, 다시금, 예컨대 경보를 송출하고,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가 교환되어야 한다는 점을 표시하며, 다른 조치들을 야기하기 위해, 예컨대 추가적인 소화 장치들을 트리거링하거나, 또는 그와 같은 조치를 실행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원에서 선택되어 평상시 폐쇄된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는, 예컨대 정전 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경우에도 경보를 송출하기 때문에, 최초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전기 회로를 폐쇄하는 그런 센서 장치에 비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라인(28)으로부터 받침부 부재(26), 전기 전도성 코팅층(32) 및 베어링부(11)를 경유하여 전기 라인(29)에까지 이르는 연속적인 전기 연결과, 이런 전기 연결로 구성되는 전기 회로는, 트리거 센서 장치의 형성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밸브의 원격 릴리스 장치의 형성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요컨대 소정의 기간 동안 실행되든지, 또는 심지어 시간상 제한되는 펄스로서만 실행되는지 그 여부와 무관하게 높은 전류가 상기 라인 내로 공급된다면, 전기 저항으로 인해 전도성 코팅층(32)은 가열되고 그 결과 트리거 액 내로의 열 유입을 초래하며, 이런 경우 트리거 액은 열적 트리거 부재(24)를 파열시키고, 그럼으로써 밸브는 결과적으로 트리거링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분명한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여기서 강조할 사항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열적 트리거 밸브의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의 형성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압축가스 용기와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되며, 그리고 이런 경우 트리거링 과정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진행되고, 단지 추가로 트리거 센서 장치에 의해 신호가 송출되는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실시예들의 전술한 기재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콤팩트하게 형성된 소화 장치 및 소방 장비(1)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10)가 어떠한 특별한 특성들 및 장점들을 달성하는지가 한 번 더 명백하게 제시되었다.
1: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2: 압력 용기
3: 벽부
4: 유출 개구부
5: 폐쇄 필름
6: 수나사부
7: 내부 용적
10: 트리거 밸브
11: 베어링부
12: 트리거부
13: 천공 부재
14: 보어
15: 압축 스프링
16: 베어링 핀
17: 스프링 베어링
18: 깔때기 형태의 함몰부
19: 가이드 슬롯
20: 돔 섹션
21: 슬리브 형태의 섹션
22: 받침부
23: 방출 개구부
24: 열적 트리거 부재
25: 암나사부
26: 받침부 부재
27: 전기 절연 부재
28: 전기 라인
29: 전기 라인
30: 클램핑 나사
31: 클램핑 나사
32: 전기 전도성 코팅층
D: 증기
F: 불꽃
L: 소화제
P: 화살표

Claims (23)

  1. - 가압된 소화제(L)가 압력 용기(2) 내에서 유출 억제되는 방식으로, 천공 부재(13)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폐쇄 부재(5)로 폐쇄되는 유출 개구부(4)를 포함하여 가압된 소화제(L)로 충전되는 압력 용기(2);
    - 천공 부재(13)와 열적 트리거 부재(24)를 포함하여 유출 개구부(4) 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10)
    로 형성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에 있어서,
    상기 천공 부재(13)는 트리거링 위치의 방향으로 예압되어 상기 열적 트리거 부재(24)에 의해 트리거링 위치와 다른 대기 위치에서 유지되며, 그리고 상기 열적 트리거 부재(24)는,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통해 트리거링이 야기될 때, 상기 천공 부재(13)가 대기 위치에서 자체에 가해지는 예압을 통해 구동되어 폐쇄 부재(5)를 천공하는 트리거링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천공 부재(13)를 릴리스(release)하는 것인,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2)는 10㎖ 내지 1500㎖의 내부 용적(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L)는 산소와 결합하고, 그리고/또는 산소를 밀어내는 소화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밸브(10)는, 상기 유출 개구부(4)와 연결되는 소화제 가이드 채널과, 트리거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소화제(L)의 분배가 수행되게 하는, 소화제(L)용 분배 개구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트리거 부재(24)는, 내부 공간 내에 포함되어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서 유리 용기를 파열시킬 때까지 팽창되는 트리거 액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완전하게 에워싸는 유리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2)는 상기 유출 개구부(4)의 영역에 제1 나사부(6)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밸브(10)는 연결 섹션에서 상기 제1 나사부(6)에 상보적인 제2 나사부(25)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압력 용기(2)와 상기 트리거 밸브(10)는 제1 나사부(6)와 제2 나사부(25)의 나사 조임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는, 상기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10)가 트리거링되었을 때 신호를 송출하는 트리거 센서 장치(28, 26, 32, 11, 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는 전기 작동형 원격 릴리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9. 특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1)를 형성하기 위한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로서,
    - 베어링부(11);
    - 대기 위치와 트리거링 위치 사이에서 베어링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트리거부(12);
    - 트리거부(12) 상에 배치되는 천공 부재(13);
    - 베어링부(11)와 트리거부(12) 사이에 배치되어 베어링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트리거부(12)를 트리거링 위치로 예압하는 스프링 수단(15);
    - 스프링 수단(15)에 의해 가해지는 예압에 대항하여 대기 위치에서 트리거부(12)를 유지하는 열적 트리거 부재(24)
    를 포함하는 상기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12)는 적어도 한 섹션(21)에서 슬리브 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부(11) 상에 장착되며, 대기 위치와 트리거링 위치 사이에서 상기 베어링부(11)의 종방향으로 상기 베어링부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21)에서 슬리브 유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트리거부(12)가 그 위에 안착되는 외부 표면으로, 대기 위치로부터 트리거링 위치로 트리거부가 이동할 때 상기 트리거부(12)를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12)는 슬리브 섹션(21)과, 선단면에서 폐쇄된 돔 섹션(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돔 섹션(20)의 내부 표면 상에서 베어링 표면은 상기 열적 트리거 부재(24)의 일측 단부, 특히 축 방향 단부를 위한 받침부(2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12)의 외부 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부의 내부를 외면과 연결하며, 특히 상기 돔 섹션(20)의 바로 하부에 배치되는 측면 방출 개구부(23)를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1)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1)는, 일측 단부, 특히 선단면의 단부 상에, 천공 가능한 폐쇄 부재(5)로 폐쇄된 유출 개구부(4)에 연결되어 이 유출 개구부와 결합되기 위한 연결 구조, 특히 나사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15)을 위해 상기 트리거부(12) 상에 배치되는 지지 베어링(16)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12)는 길이방향 연장부에서 제1 측에 상기 스프링 수단(15)을 위한 지지 베어링(1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에 대향하는 제2 측에서는 상기 열적 트리거 부재(24)를 위한 받침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베어링(16)과 상기 받침부(22) 사이에는 길이방향 연장부에서 볼 때 연이어서 최초로 상기 스프링 수단(15)이 배치되고 그런 다음 상기 스프링 수단(15)의 타측에는 상기 열적 트리거 부재(2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어링(16)은, 상기 트리거부(12)의 슬리브 유형의 섹션(21)의 서로 대향하는 벽 영역들 상에 고정되고 상기 트리거부(12)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부(11) 내 가이드 슬롯(19)을 관통하는 베어링 핀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19. 제9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11) 내에 축 방향 보어(14)가 제공되며, 이 축 방향 보어 내에서는 상기 스프링 수단(15)이 배치되어 일측에서 상기 축 방향 보어(14)를 선단면에 있어서 범위 한정하는 스프링 베어링(17) 상에 지지되는 것인, 상기 축 방향 보어를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20.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트리거 부재(24)로서, 내부 공간 내에 포함되어 사전 설정된 트리거링 온도에서 유리 용기를 파열시킬 때까지 팽창하는 트리거 액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완전하게 에워싸는 유리 용기를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21. 제9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부재(13)로서의 천공 니들(perforation needle)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22. 제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는, 이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10)가 트리거링되었을 때 신호를 송출하는 트리거 센서 장치(28, 26, 32, 11, 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23. 제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는 전기 작동형 원격 릴리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열적 제어형 트리거 밸브.
KR1020167025992A 2014-04-22 2015-03-11 콤팩트한 소형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KR102035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4101880.8 2014-04-22
DE202014101880.8U DE202014101880U1 (de) 2014-04-22 2014-04-22 Kompakte Miniatur-Feuerlösch- bzw. Brandschutzeinrichtung
PCT/EP2015/055039 WO2015161955A1 (de) 2014-04-22 2015-03-11 Kompakte miniatur-feuerlösch- bzw. brandschutz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977A true KR20160144977A (ko) 2016-12-19
KR102035895B1 KR102035895B1 (ko) 2019-10-23

Family

ID=5082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992A KR102035895B1 (ko) 2014-04-22 2015-03-11 콤팩트한 소형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18119B2 (ko)
EP (1) EP3134187B1 (ko)
KR (1) KR102035895B1 (ko)
DE (1) DE202014101880U1 (ko)
ES (1) ES2667126T3 (ko)
HU (1) HUE036592T2 (ko)
PL (1) PL3134187T3 (ko)
WO (1) WO201516195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62A (ko) 2018-05-15 2019-11-25 육송(주)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20210047767A (ko) 2019-10-22 2021-04-30 김성호 소형자동소화장치 및 제어시스템
KR20220118651A (ko) * 2021-02-19 2022-08-26 (주)페스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20230107963A (ko) 2022-01-10 2023-07-18 이강호 소형 자동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9818B2 (en) * 2012-10-02 2020-03-24 Banjo, Inc. Event-based vehicle operation and event remediation
RU2667881C1 (ru) * 2017-07-20 2018-09-24 Николай Вадимович С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активации для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а
KR101900874B1 (ko) * 2017-08-30 2018-09-21 전길숙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CN107507085B (zh) * 2017-09-01 2020-04-07 合肥德鑫财务咨询有限公司 一种财务报表整合设备
EP3702003B1 (en) 2019-03-01 2021-04-28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head with a bulb having an embedded rfid circuit
EP3753607A1 (en) * 2019-06-17 2020-12-23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bulb
CN111298349A (zh) * 2020-04-15 2020-06-19 安徽世纪凯旋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用二氧化碳钢瓶自动刺破装置
KR20230045987A (ko) 2021-09-29 2023-04-05 화이어제로 주식회사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RU210311U1 (ru) * 2021-12-17 2022-04-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ироХимика"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ервуаров с текучим огнегасящим составом
CN114699680A (zh) * 2022-05-06 2022-07-05 哲弗智能系统(上海)有限公司 灭火系统
CN115845289A (zh) * 2022-12-12 2023-03-28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一种矿用车载式双重无源自动灭火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517A (en) * 1995-09-05 1996-09-03 Arsenault; Joseph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ischarge valve
DE10242056B3 (de) * 2002-09-11 2004-03-11 Serhan Erdal Thermo-pneumatisches Auslöseelement
EP1905485A2 (en) * 2006-09-28 2008-04-02 C.P. Holding AF 2002 AP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mounting on a pressurized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4430A (en) * 1970-10-06 1972-05-23 Htl Industries Electrical monitor for fire extinguisher
JP2602239Y2 (ja) * 1993-06-22 2000-01-11 グローリー機器株式会社 消火ガス自動噴射装置のリテイナー作動機構
JP2900155B1 (ja) * 1998-04-03 1999-06-02 優 藤木 ガス式消火具
DE19911530C2 (de) * 1999-03-16 2001-05-17 Vti Ventil Technik Gmbh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n Druckgasbehälter
US7703640B1 (en) 2006-02-01 2010-04-27 Anthony Scott Hollars Heat actuated puncturing mechanism for a compressed gas cartridge
DE102009023422A1 (de) 2009-05-29 2010-12-09 Airbus Deutschland Gmbh Elektrische Bauteilkomponente mit selbstüberwachender Löschautomatik, insbesondere für einen Einsatz in Flugzeugen
DE102010001318A1 (de) 2009-12-09 2011-06-16 Robert Bosch Gmbh Schutzein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DE102011087608B3 (de) 2011-12-01 2013-0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er mit passivem Lösch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517A (en) * 1995-09-05 1996-09-03 Arsenault; Joseph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ischarge valve
DE10242056B3 (de) * 2002-09-11 2004-03-11 Serhan Erdal Thermo-pneumatisches Auslöseelement
EP1905485A2 (en) * 2006-09-28 2008-04-02 C.P. Holding AF 2002 AP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mounting on a pressurized contain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독일 특허공보 DE10242056(2004.03.11.)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62A (ko) 2018-05-15 2019-11-25 육송(주)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20210047767A (ko) 2019-10-22 2021-04-30 김성호 소형자동소화장치 및 제어시스템
KR20220118651A (ko) * 2021-02-19 2022-08-26 (주)페스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20230107963A (ko) 2022-01-10 2023-07-18 이강호 소형 자동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4187A1 (de) 2017-03-01
HUE036592T2 (hu) 2018-07-30
KR102035895B1 (ko) 2019-10-23
EP3134187B1 (de) 2018-01-31
US10518119B2 (en) 2019-12-31
WO2015161955A1 (de) 2015-10-29
PL3134187T3 (pl) 2018-07-31
ES2667126T3 (es) 2018-05-09
US20170036048A1 (en) 2017-02-09
DE202014101880U1 (de)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4977A (ko) 콤팩트한 소형 소화 장치 및/또는 소방 장비
US9821181B2 (en) Fire protection device for small electrical devices
RU2564612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ассивного, не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двухступенчатого подавления огня
WO2009145661A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 пуском
US3762479A (en) Remotely actuatable portable fire suppression apparatus
RU2695425C2 (ru) Система подавл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US3552495A (en) Fire extinguisher
EP3773937B1 (en) Fire-safety device and system
US3547201A (en) Fire extinguisher
MX2013004038A (es) Metodos y aparatos para el control y señalizacion de peligro.
EP1905485A2 (e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for mounting on a pressurized container
EP1878471A1 (en) Fire protection system
KR20080015969A (ko)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기동용 헤드 어셈블리를 구비한스프링클러
JP5759631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装置
RU26678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активации для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а
RU2804889C2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возгорания в защищаемом объеме
RU102518U1 (ru) Клапан огнетушителя
RU2804888C2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возгорания в защищаемом объеме
RU2804864C2 (ru) Способ освобождения емкости для газового огнетушащего вещества газ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WO2003043700A1 (fr) Extincteur automatique
RU2804890C2 (ru) Адаптер для газ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20230045987A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RU2812906C2 (ru) Способ освобождения емкости для газового огнетушащего вещества газ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RU2804887C2 (ru) Газ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с адаптеро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я
RU2804863C2 (ru) Способ заправки емкости для газового огнетушащего вещества газ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