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204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204A
KR20160144204A KR1020150080709A KR20150080709A KR20160144204A KR 20160144204 A KR20160144204 A KR 20160144204A KR 1020150080709 A KR1020150080709 A KR 1020150080709A KR 20150080709 A KR20150080709 A KR 20150080709A KR 20160144204 A KR20160144204 A KR 20160144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der pipe
header
fixing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정영우
백용기
가쿠 하야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204A/ko
Priority to PCT/KR2016/004099 priority patent/WO2016200042A1/ko
Publication of KR2016014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28F9/002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with fastening means for othe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교환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열교환기는 냉매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는 헤더 파이프; 상기 헤더 파이프로 유입되거나 상기 헤더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출입배관; 상기 헤더 파이프에 상기 유출입배관을 고정하는 연결유닛; 및 상기 헤더 파이프에 대한 상기 유출입배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유출입배관과 상기 연결유닛을 고정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더 파이프에 냉매의 유출입관을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며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튜브들, 방열 면적을 넓히도록 튜브들에 접촉하는 열교환 핀 및 상기 냉매튜브들의 양단들에 연통되어 냉매튜브들로 냉매를 안내하고 냉매튜브들을 지지하는 헤더 파이프를 구비하여, 냉매와 외부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장치이다.
열교환기는 크게 알루미늄 소재의 박막 열교환 핀에 동 소재의 전열 관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핀 튜브(Fin tube) 타입과, 다수의 마이클로 채널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의 냉매튜브들의 사이에 열교환 판이 배치되고 냉매튜브들은 한 쌍의 헤더에 의해 지지되는 패러렐 플로우(Parallel flow) 타입이 있으며, 패러렐 플로우 타입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패러렐 플로우 타입의 열교환기에서 헤더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냉매튜브를 거치며 열교환작용을 수행한 후 다시 헤더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또한, 냉매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냉매튜브에는 열교환 핀이 결합되며, 헤더 파이프에는 냉매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유출입배관이 결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열교환기의 제조과정에서는 냉매튜브에 열교환 핀을 접합하고 냉매튜브에 헤더 파이프를 접합시키는 용접공정과, 유출입배관을 헤더에 접합시키는 용접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열교환기는 압축기와 같은 진동하는 구성요소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압축기에서 발생한 진동은 열교환기에 응력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응력은 통상적으로 헤더 파이프와 유출입배관이 연통되는 부분에 집중하였다.
종래에는 헤더 파이프와 유출입배관을 알루미늄 블록에 의해 연결하여 유출입배관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응력을 분산시켰다. 하지만, 유출입배관에 토크가 가해지는 경우, 유출입배관의 헤더 파이프에 대한 회전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더 파이프에 대한 유출입배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더 파이프와 유출입배관의 연결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헤더 파이프와 유출입배관의 결합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매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는 헤더 파이프; 상기 헤더 파이프로 유입되거나 상기 헤더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출입배관; 상기 헤더 파이프에 상기 유출입배관을 고정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유출입배관의 일부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연결유닛의 일부에 형성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상기 헤더 파이프에 대한 상기 유출입배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서로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방지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각각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방지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2 쌍이 구비되며, 각 쌍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유출입배관의 일부에 형성된 제3 부분 및 상기 연결유닛의 일부에 형성된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유출입배관의 단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유출입배관이 끼움 결합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헤더 파이프의 외주의 일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간격에 상기 냉매튜브가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헤더 파이프와 상기 유출입배관이 연통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이 상기 헤더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며, 상기 유출입배관이 상기 헤더 파이프에 결합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냉매튜브, 상기 헤더 파이프 및 상기 유출입배관에 용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유닛은 외부구조물에 결합 및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홀은 나사홀 또는 용접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입배관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동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는 헤더 파이프; 상기 헤더 파이프로 유입되거나 상기 헤더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출입배관; 및 상기 헤더 파이프에 상기 유출입배관을 고정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출입배관과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유출입배관이 상기 헤더 파이프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상호 평면으로 접촉하는 면접촉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유출입배관이 끼움 결합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헤더 파이프의 외주의 일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냉매튜브가 통과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Ⅲ으로 표시한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1 헤더 파이프, 유입배관 및 연결유닛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Ⅵ-Ⅵ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연결유닛의 변형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3에서 Ⅷ-Ⅷ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1)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는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냉매튜브(10), 복수의 냉매튜브(10)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열교환 핀(20), 냉매튜브(10)로 유입되거나 냉매튜브(1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기 위해 복수의 냉매튜브(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헤더 파이프(30) 및 제2 헤더 파이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냉매튜브(10), 열교환 핀(20),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는 열교환기(1)의 열전도율과 강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알루미늄 재질을 통해 마련된다.
냉매튜브(10)는 유체인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냉매튜브(10)의 내부는 단일의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격벽 등을 통해 냉매튜브(10)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냉매튜브(10)를 따라 흐르는 냉매는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 변화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 하거나,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 변화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 하게 되는데, 냉매가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 변화될 때 열교환기(10)는 응축기로 사용되고, 냉매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 변화될 때 열교환기(10)는 증발기로 사용된다.
냉매튜브(10)에는 열교환 핀(20)이 결합되며, 열교환 핀(20)은 다수 회 굴곡 밴딩된 판체로 구성되어 각각의 냉매튜브(10)의 사이에 접합된다. 냉매튜브(10)의 외면에 접합된 열교환 핀(20)은 외부 공기와 냉매튜브(10)의 열교환 면적을 넓혀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냉매튜브(10)의 열교환 면적을 넓힐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제1 헤더 파이프(30) 및 제2 헤더 파이프(40)는 복수의 냉매튜브(10)의 양단에 접합되어 복수의 냉매튜브(10) 사이를 냉매가 연통되어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 이하에서 편의상 도 1에서 냉매튜브(10)의 우측에 배치되는 헤더 파이프를 제1 헤더 파이프(30)라고 하고, 좌측에 배치되는 헤더 파이프를 제2 헤더 파이프(40)라고 한다.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따라서,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의 단면은 대략 원의 형상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략 "D"자 형상이나 그 밖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의 일측으로는 냉매튜브(10)의 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슬롯(31, 41)이 마련된다. 복수의 냉매튜브들(10)의 양단들은 각각 슬롯(31, 41)에 삽입된 후 브레이징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냉매튜브들(10)과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의 내부공간이 연통되고, 냉매가 냉매튜브들(10),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의 사이에서 유동될 수 있다. 각 헤더 파이프(30, 40)의 길이방향 양단은 커버(32, 42)를 통해 밀폐되며, 커버(32, 42)는 각 헤더 파이프(30, 40)에 조립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에는 각각 유로 형성 가이드들(33a, 43a)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제1 헤더 파이프(30)를 살펴보면, 유로 형성 가이드(33a)는 제1 헤더 파이프(30)의 가이드 삽입구(33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형성 가이드들(33a, 43a)은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헤더 파이프(30)에 배치된 유로 형성 가이드들(33a) 및 제2 헤더 파이프(40)에 배치된 유로 형성 가이드들(43a)은 상호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냉매는 냉매튜브(10)의 상측부터 하측까지 균형있게 분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 형성 가이드들(33a, 43a)이 각 헤더 파이프(30, 40)마다 3개씩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냉매튜브(10), 열교환 핀(20),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 및 커버(32, 42)는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단일의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접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교환기(1)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키게 된다.
브레이징 공정을 위해 각 부품의 표면에는 접합재가 적층되며, 접합재는 각 부품의 용융점 이하에서 용융되는 소재를 통해 마련된다. 그리고 브레이징 공정에서 열교환기(1)가 투입된 브레이징 로를 접합재의 용융온도로 가열하면, 접합재가 용융되면서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부품 사이는 접합된다.
이때, 열교환기(10)의 재질을 감안하여 브레이징 온도는 대략 6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된 열교환기(1)를 브레이징 로에 투입하거나 브레이징 공정이 완료된 상태의 열교환기(1)를 브레이징 로에서 인출하는 과정은 이송장비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브레이징 공정은 자동공정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헤더 파이프(30)에는 열교환기(1)로 유입되거나 열교환기(1)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도록 구리합금과 같은 구리 재질로 마련된 유출입배관(50)이 접합되며, 이와 같은 유출입배관(50)의 접합공정은 열교환기(1)의 제조과정에 포함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출입배관(50)은 외부의 냉매를 열교환기(1) 내부로 안내하는 유입배관(51) 및 열교환기(1)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출배관(56)으로 구성되며, 유입배관(51) 및 유출배관(56)은 제1 헤더 파이프(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합된다. 유입배관(51) 및 유출배관(56)이 접합되는 제1 헤더 파이프(30)의 부분에는 냉매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유출입구(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출입배관(50)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동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배관(51)을 통해 제1 헤더 파이프(30)로 유입된 냉매는 각 냉매튜브(20)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태에서 유출배관(56)을 통해 열교환기(1)의 외부로 유출된다. 냉매의 유동경로를 변경함에 따라 유입배관(51) 및 유출배관(56)은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는 냉매가 하부에 접합된 유출배관(56)을 통해 열교환기(1)로 유입된 후, 상부에 접합된 유입배관(51)을 통해 열교환기(1)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이렇게 냉매의 유동경로를 변경함에 따라, 열교환기(1)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냉매가 유입배관(51)으로 유입되어 유출배관(56)으로 유출되는 경우 열교환기(1)가 응축기로 사용된다면, 반대로 냉매가 유출배관(56)으로 유입되어 유입배관(51)으로 유출되는 경우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출입배관(50)에는 제1 헤더 파이프(30)에 연결되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제1 부분(52)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부분(52)은 후술할 제2 부분(63)과 함께 한 쌍으로 회전방지부(70)를 이룬다. 이러한 제1 부분(52)은 원형의 유출입배관(50)의 일부를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제1 부분(52)은 대향하는 위치에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출입배관(50)의 제1 부분(52)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유출입배관(50)의 단면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제3 부분(53)이 형성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는 제1 헤더 파이프(30)와 유출입배관(50)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유닛(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유닛은 제1 헤더 파이프(30) 또는 유출입배관(50)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연결유닛(60)은 유입배관(51)과 제1 헤더 파이프(30)가 연통되는 부분 및 유출배관(56)과 제1 헤더 파이프(30)가 연통되는 부분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입배관(51)과 제1 헤더 파이프(3)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유닛(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연결유닛(60)은 그 길이방향이 제1 헤더 파이프(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며, 유출입배관(50)이 결합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유출입배관(50)의 제1 헤더 파이프(30)에 대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유닛(60)은 유입배관(51)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61) 및 제1 헤더 파이프(30)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66)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61)는 유입배관(51)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공간(62)을 구비한다. 이러한 공간(62)은 제2 부분(63) 및 제4 부분(64)을 포함한다.
제2 부분(63)은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유입배관(51)은 제2 부분(63)의 사이 공간(62)으로 끼움 결합된다. 이때, 제2 부분(63)은 유입배관(51)의 제1 부분(52)과 평면으로 접촉하므로, 유입배관(51)의 제1 헤더 파이프(30)에 대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4 부분(64)은 제1 고정부(61)의 공간(62)의 내측에 유입배관(51)의 단면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4 부분(64)은 유입배관(51)의 제3 부분(53)과 접촉한다. 즉, 제3 부분(53)은 제4 부분(64)과 한 쌍을 이룬다.
이러한 제2 부분(63) 및 제4 부분(64)에 의해 유입배관(51)은 연결유닛(60)의 제1 고정부(61)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고정부(61)의 2개의 제2 부분(63) 사이의 간격은 유입배관(51)이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부분(52)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약간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고정부(66)는 제1 헤더 파이프(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헤더 파이프(30)의 외주의 일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유닛(60)은 제1 고정부(61)와 제2 고정부(66)의 협력에 의해 제1 헤더 파이프(30)와 유입배관(51)을 상호 고정하므로, 제2 고정부(66)는 유입배관(51)이 제1 헤더 파이프(30)에 결합되는 축보다 소정 각도 더 제1 헤더 파이프(3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고정부(66)는 냉매튜브(10)가 통과하여 제1 헤더 파이프(30)의 슬롯(31)에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접촉부(6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접촉부(67)는 제1 헤더 파이프(30)에 장착된 냉매튜브(10)의 사이의 제1 헤더 파이프(3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제1 헤더 파이프(30)를 고정한다. 또한, 복수의 접촉부(67)는 냉매튜브(10)가 제1 헤더 파이프(30)의 슬롯(31)에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부(66)는 제1 헤더 파이프(30)를 고정함과 동시에 냉매튜브(10)가 제1 헤더 파이프(30)의 슬롯(31)에 장착됨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또한, 유입배관(51)에 응력이 가해짐에 따라 연결유닛(60)이 제1 헤더 파이프(30)의 길이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제2 고정부(66)는 냉매튜브(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1 헤더 파이프(30)의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66)는 2개의 접촉부(67)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접촉부(67)가 냉매튜브(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7에서와 같이 3개의 접촉부(67a)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2 고정부(66)는 3개의 접촉부(67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접촉부(67a)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냉매튜브(10)가 제1 헤더 파이프(30)에 접합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다. 아울러, 접촉부(67a)가 3개 구비됨에 따라 제1 헤더 파이프(30)와 유입배관(51)이 연통되는 부분에 가해지는 응력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아울러, 접촉부(67a)가 3개 구비됨에 따라, 연결유닛(60)의 제1 헤더 파이프(30)의 길이방향에 따른 움직임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접촉부(67)의 개수를 증가시켜, 연결유닛(60)을 대형화할수록 더 견고한 열교환기(1)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접촉부(67)의 개수를 3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접촉부(67)의 개수를 증가함에 따라 제1 헤더 파이프(30)와 유입배관(51)의 연통 부분에 가해지는 응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는 있으나, 제조단가가 상승하므로, 접촉부(67)는 적절한 개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유닛(60)에 의해 제1 헤더 파이프(30) 및 유입배관(51)은 1차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연결유닛(60)은 외부구조물에 열교환기(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69)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홀(69)은 연결유닛(60)의 제1 고정부(61)의 회전방지부(70)가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홀(69)은 나사홀 또는 용접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교환기(1)를 외부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홀(69)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는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의 내벽 또는 차량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방지부(70)는 유입배관(51)이 제1 헤더 파이프(30)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유입배관(51)의 제1 부분(52) 및 연결유닛(60)의 제2 부분(6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유입배관(51)은 제1 고정부(61)의 공간(62) 내부에 끼움 결합되며, 이때, 제1 고정부(61)의 제2 부분(63)과 유입배관(51)의 제1 부분(52)이 평면 접촉하도록 끼워진다. 이에 따라, 유입배관(51)은 외부로부터 제1 헤더 파이프(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외력을 받더라도 회전하지 않을 수 있어 열교환기(1)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부분(53) 및 제4 부분(64)이 한 쌍을 이루며, 유입배관(51)의 단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나, 제1 부분(52) 및 제2 부분(63)과 같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유입배관(51)과 같이 원형의 배관을 제1 부분(52)과 같이 평면으로 만드는 것은 제작공정이 더 소요되므로, 평면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제1 부분(52) 및 제2 부분(63)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1 부분(52) 및 제2 부분(63)은 한 쌍을 이루며, 제1 고정부(61)의 공간(62)의 상측 또는 하측면에 한 쌍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작의 편의를 고려하였을 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냉매튜브(10)에 열교환 핀(20),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를 결합한다.
이후, 유입배관(51) 및 유출배관(56)을 제1 헤더 파이프(30)의 유출입구(34)에 결합시키고, 연결유닛(60)을 통해 제1 헤더 파이프(30) 및 유출입배관(50)을 상호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연결유닛(60)의 접촉부(67)를 제1 헤더 파이프(30)의 냉매튜브(10) 사이의 외주면과 접촉시키며 제2 고정부(66)를 제1 헤더 파이프(30)에 결합시킨 후, 제1 헤더 파이프(3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연결유닛(60)을 회전하며 유출입배관(50)을 제1 고정부(61)의 공간(62)에 끼움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유출입배관(50)의 제1 부분(52)과 연결유닛(60)의 제2 부분(63)이 평면으로 접촉하여 회전방지부(70)를 형성한다. 이때, 사용자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 연결유닛(60)을 유입배관(51)에 억지 끼움 결합을 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제1 헤더 파이프(30), 유입배관(51) 및 연결유닛(60)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냉매튜브(10), 열교환 핀(20), 제1 및 제2 헤더 파이프(30, 40) 및 연결유닛(60)을 상호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접합한다. 이러한 브레이징 공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는 연결유닛(60)을 이용하여 헤더 파이프(30, 40)와 유출입배관(50)을 리벳이나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부(70)를 구비함으로써 유출입배관(50)의 헤더 파이프(30, 40)에 대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유닛(60)이 냉매튜브(10) 사이의 헤더 파이프(30, 40)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므로 연결유닛(60)의 헤더 파이프(30, 40)의 길이방향에 따른 움직임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30; 제1 헤더 파이프 40; 제2 헤더 파이프
51; 유입배관 52; 제1 부분
53; 제3 부분 56; 유출배관
60; 연결유닛 61; 제1 고정부
62; 제2 고정부 63; 제2 부분
64; 제4 부분 70; 회전방지부

Claims (15)

  1. 냉매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는 헤더 파이프;
    상기 헤더 파이프로 유입되거나 상기 헤더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출입배관;
    상기 헤더 파이프에 상기 유출입배관을 고정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유출입배관의 일부에 형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연결유닛의 일부에 형성된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상기 헤더 파이프에 대한 상기 유출입배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서로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각각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2 쌍이 구비되며, 각 쌍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상기 유출입배관의 일부에 형성된 제3 부분 및 상기 연결유닛의 일부에 형성된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유출입배관의 단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유출입배관이 끼움 결합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헤더 파이프의 외주의 일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간격에 상기 냉매튜브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헤더 파이프와 상기 유출입배관이 연통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이 상기 헤더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며, 상기 유출입배관이 상기 헤더 파이프에 결합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브레이징 공정을 통해 상기 냉매튜브, 상기 헤더 파이프 및 상기 유출입배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외부구조물에 결합 및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나사홀 또는 용접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배관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동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4. 냉매튜브의 단부에 연결되는 헤더 파이프;
    상기 헤더 파이프로 유입되거나 상기 헤더 파이프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유출입배관; 및
    상기 헤더 파이프에 상기 유출입배관을 고정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출입배관과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유출입배관이 상기 헤더 파이프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상호 평면으로 접촉하는 면접촉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유출입배관이 끼움 결합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헤더 파이프의 외주의 일부를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냉매튜브가 통과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50080709A 2015-06-08 2015-06-08 열교환기 KR20160144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09A KR20160144204A (ko) 2015-06-08 2015-06-08 열교환기
PCT/KR2016/004099 WO2016200042A1 (ko) 2015-06-08 2016-04-20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09A KR20160144204A (ko) 2015-06-08 2015-06-08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04A true KR20160144204A (ko) 2016-12-16

Family

ID=5750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709A KR20160144204A (ko) 2015-06-08 2015-06-08 열교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44204A (ko)
WO (1) WO2016200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8728B1 (en) * 2017-04-12 2020-02-12 Mahle International GmbH Pipe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pipe sections
CN111661888B (zh) * 2020-06-15 2022-07-05 方诺传热系统(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蒸发空冷技术的降膜式空冷器及废水处理流程
CN114654674B (zh) * 2022-04-05 2023-03-10 东台迈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快速降温机构的风力发电机叶片模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364A (en) * 1996-03-15 1997-11-11 Zexel Usa Corporation Snap-on bracket for a condenser header
JPH102692A (ja) * 1996-06-14 1998-01-06 Zexel Corp 熱交換器のブラケット構造
KR100537228B1 (ko) * 2004-03-27 2005-12-16 호일정공 주식회사 자동차 에어컨용 응축기의 장착물 가조립구조
KR101040409B1 (ko) * 2008-07-23 2011-06-09 갑을오토텍(주) 응축유닛 조립체
KR101280622B1 (ko) * 2010-04-12 2013-07-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응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0042A1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4886B1 (en) Heat exchanger
CN101490494A (zh) 螺旋扁平管式换热器
JP5794022B2 (ja) 熱交換器
JP6088708B2 (ja) 接続モジュール、熱交換器、および対応する熱交換アセンブリ
JP5206830B2 (ja) 熱交換器
KR20160144204A (ko) 열교환기
JP2012193872A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H10160382A (ja) 空調用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26133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854971B2 (ja) 冷媒分配器、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KR102122257B1 (ko) 열교환기
US20220120505A1 (en)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4001897A (ja) 熱交換器
JP2016183847A (ja) 熱交換器
JP2004183960A (ja) 熱交換器
WO2012043380A1 (ja) 熱交換器
JP7296264B2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7348308B2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7198403A (ja) 扁平管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47297A (ko)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출입배관 접합방법
JP7118236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H0616309Y2 (ja) 熱交換器
JP6601380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23003759A (ja) 熱交換器
JP5741470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