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999A -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999A
KR20160142999A KR1020150078957A KR20150078957A KR20160142999A KR 20160142999 A KR20160142999 A KR 20160142999A KR 1020150078957 A KR1020150078957 A KR 1020150078957A KR 20150078957 A KR20150078957 A KR 20150078957A KR 20160142999 A KR20160142999 A KR 20160142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bead
beads
light sourc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정
김시민
윤경근
김영신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2999A/ko
Publication of KR2016014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2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 G02B5/0841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가로세로 각각 2.0×3.0㎜ 크기의 PET 칩을 액체 질소를 냉매로 하여 동결한 상태에서 분쇄하여 PET 비드를 제조하며, 동결분쇄에 의해 입경 40㎛ 내지 50㎛의 PET 비드가 얻어진다.

Description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MANUFACTURING METHOD OF PET BEAD AND REFRECTIVE FILM AND LIGHT SOURCE ASSEMBLY}
본 발명은 PET 비드의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 스크래치성이 향상된 반사필름 코팅용 PET 비드 제조방법 및 이 PET 비드가 코팅된 반사필름과 이 반사필름을 갖는 광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 및 저 소비전력화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되고 있고, 이중 LED 광원을 액정표시장치의 측면에 배치하는 이른바 에지 타입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통상 하부에 반사필름을 배치하고, 그 위에 도광판과 광 확산필름 등을 배치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예를 들어 진동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반사필름과 도광판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 도광판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며, 이 스크래치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의 휘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도광판용 반사필름은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바인더 수지, 광 확산입자 및 무기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비드 형상으로 코팅된 광 확산층을 가지며, 광 확산입자로는 아크릴계 중합체 입자, 올레핀계 중합체 입자, 아크릴계와 올레핀계의 공중합체 입자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입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나일론계 중합체 입자, 우레탄계 중합체 입자 및 PBMA계 중합체 입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확산입자로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들을 사용하고 있고, 이와 같이 도광판과 반사필름이 접촉하는 부분인 비드(광 확산층의 광 확산입자) 용 재료에 경도가 높은 재료를 이용하면 역시 스크래치의 발생 가능성은 남는다.
또, 스크래치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드의 외부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비드의 이에 대한 방안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2012-0136894호 공보(2012. 12. 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칩을 동결 분쇄하는 방법에 의해 외부 표면이 최대한 매끄러운 구형을 이루면서, 내 용제성도 우수한 비드를 제조하는 PET 비드 제조방법 및 이 PET 비드를 이용한 반사필름, 이 반사필름을 갖는 광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PET 비드 제조방법은, PET 칩을 분쇄하여 PET 비드를 제조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PET 비드 제조방법은, PET 칩을 동결한 상태에서 분쇄하여 PET 비드를 제조한다.
상기 PET 칩의 동결은 액체 질소를 냉매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도 좋고, 또, 상기 PET 칩은 가로세로 각각 2.0×3.0㎜의 크기를 갖는 칩으로 해도 좋으며, 또,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PET 비드의 입경은 1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조된 상기 PET 비드의 외주 면을 구형화하는 구형화 공정을 더 포함해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사필름은,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어느 한 면에 코팅된 안티 블로킹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티 블로킹 비드는 상기 어느 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PET 비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원 어셈블리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입사하는 광을 내부로 반사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과 대면하는 면에 배치되는 상기 반사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표면이 최대한 매끄러운 구형을 이루어서 내 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내 용제성이 우수하며, PET 비드 제조공정에서의 제품 수율도 높은 PET 비드 제조방법 및 이 PET 비드를 이용한 반사필름,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SEM 분석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비드 제조용 재료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칩을 이용한다. PET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 폴리에스터 고분자 중 하나이며, 가볍고 냄새가 없어서 음료수 병(PET 병), 생활 용품, 장난감, 전기절연체, 각종 가전제품의 케이스 및 포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종래기술인 특허문헌 1에서 사용하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에 비해 연질의 재료이다.
1. PET 비드의 제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PET 칩을 분쇄하여 PET 비드를 제조하며, 바람직하게는 PET 칩의 동결분쇄에 의해 PET 비드를 제조하며, PET 칩의 동결을 위한 매체로는 액체 질소를 이용하고, 이때의 동결온도는 -20℃ 내지 -70℃ 정도의 범위 내에서 실행한다.
또, 동결분쇄용 분쇄기는 공지의 동결분쇄기를 이용하였고, 분쇄용 PET 칩으로는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크기로 절단된 PET 칩을 이용하였으며, 분쇄조건은 분쇄 rpm과 동결분쇄기의 피더(feeder) 내로 공급하는 PET 칩 공급량을 변화시키면서 분쇄를 실행하였다.
<실시 예 1>
가로세로 각각 2.0×3.0㎜ 정도의 크기로 절단된 PET 칩을 냉동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으며, 동결분쇄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속도인 분쇄 rpm을 3,500rpm, 냉동분쇄기의 피더에 PET 칩을 공급하는 PET 칩 공급속도를 70㎏/hour로 하여 분쇄를 실행하였다.
<실시 예 2>
기본적으로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분쇄를 하였으며, 다만, 냉동분쇄기의 피더에 PET 칩을 공급하는 PET 칩 공급속도를 75㎏/hour로 증가시켜서 분쇄를 실행하였다.
<실시 예 3>
기본적으로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분쇄를 하였으며, 다만, 냉동분쇄기의 피더에 PET 칩을 공급하는 PET 칩 공급속도를 80㎏/hour로 증가시켜서 분쇄를 실행하였다.
<실시 예 4>
기본적으로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분쇄를 하였으며, 다만, 냉동분쇄기의 피더에 PET 칩을 공급하는 PET 칩 공급속도를 85㎏/hour로 증가시켜서 분쇄를 실행하였다.
<실시 예 5>
기본적으로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분쇄를 하였으며, 다만, 분쇄 rpm을 3,000rpm으로 낮춰서 분쇄를 실행하였다.
<실시 예 6>
기본적으로는 실시 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분쇄를 하였으며, 다만, 분쇄 rpm을 3,000rpm으로 하고, 냉동분쇄기의 피더에 PET 칩을 공급하는 PET 칩 공급속도를 80㎏/hour로 하여 분쇄를 실행하였다.
상기 각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PET 비드와의 비교를 위해 비교 예 1 내지 3의 방법에 의해 비드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7>
제조된 비드의 구형화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 예 1의 샘플에 대해 구형화 공정을 실행하여 구형화도가 향상된 PET 비드를 제조하였다.
구형화 공정에서는 실시 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PET 비드를 구형화장비 (Hybridzation system, 바로 엔지니어링사 제의 QM14090 모델)를 사용하여 구형화를 실행하였다. 구형화에 있어서, 구형화장비의 내부 용기 회전속도는 3,000rpm으로 고정하고, 구형화 시간은 10분으로 하였다. 이때, 투입되는 PET 비드의 양은 10㎏으로 하였고, 내부 온도는 20~35도 정도로 유지하였다.
PET 비드의 구형화를 위한 구형화장비는 상기 장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에 의한 비드 간의 상호 충돌에 의해 비드 외주 면의 뾰족한 부분을 둥글게 할 수 있는 장비라면 어떤 장비를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일본 호소카와 미크론 주식회사(ホソカワミクロン 株式會社) 제의 비놀타(ノビルタ) NOB-130을 이용해도 좋다.
<비교 예 1>
실시 예 1의 상기 PET 칩 대신에 PMMA 칩을 이용하였으며, 분쇄 rpm은 3,500rpm, 냉동분쇄기의 피더에 PET 칩을 공급하는 PET 칩 공급속도를 70㎏/hour로 하였다. 그 외의 조건은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비교 예 2>
실시 예 1의 상기 PET 칩 대신에 PE( Polyetylene ) 칩을 이용하였으며, 분쇄 rpm은 3,500rpm, 냉동분쇄기의 피더에 PET 칩을 공급하는 PET 칩 공급속도를 70㎏/hour로 하였다. 그 외의 조건은 실시 예 1과 동일하다.
<비교 예 3>
비드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면서 입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 예 1의 PET 칩 대신에 PET 조분을 이용하여 분쇄를 실행하였으며,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분쇄 rpm은 3,500rpm, 냉동분쇄기의 피더에 PET 칩을 공급하는 PET 칩 공급속도를 70㎏/hour로 하였다.
2. 평가
(1) 비드 입자의 물성평가
제조된 PET 비드의 물성 평가를 위해 상기 각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의해 제조된 샘플에 대한 SEM 평가, 제조 수율 및 평균 입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실시 예 1의 S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낸다.
- SEM 평가 : 평가를 위한 SEM으로는 Hitachi사의 S-4300을 이용하였으며, 평가기준은 SEM 사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조된 PET 비드의 외부 표면이 구형을 이루는 경우에는 「양호」로 판정하고, 제조된 PET 비드의 외부 표면의 일부에 구형을 이루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 제품 수율 : 분쇄 후 분급과정을 거쳐서 지름 10~60㎛ 범위의 크기를 갖는 PET 비드의 수득량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 PET 비드의 입자의 지름을 10~60㎛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PET 비드의 지름이 10㎛ 미만인 때에는 반사필름을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한 경우에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터치하면 반사필름 표면에 터치에 의한 눌림 자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PET 비드의 지름이 60㎛를 넘으면 코팅된 PET 비드가 기재필름에서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 평균 입도 : 제조된 비드의 입자 지름인 입도의 측정은 Beckman coulter counter사의 LS13320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SEM 평가결과는 PMMA를 이용하여 비드를 제조한 비교 예 1은 불량으로 판정되었고, 그 외의 샘플인 실시 예 1 내지 6 및 비교 예 1, 3의 샘플은 모두 양호로 판정되었다.
비교 예 1의 샘플이 불량으로 판정된 것은, 재료의 분쇄에 의해 제조되는 비드 입자의 구형화는 분쇄과정에서 계속해서 입자가 깨어지는 과정에서 일정한 정도 이상의 힘을 받을 때 각각의 입자의 모서리가 둥글어지는 현상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나, 비교 예 1의 PMMA는 재료 자체가 PET에 비해서 딱딱한 성질을 가지므로 분쇄가 진행됨에 따라서 외부 표면이 둥글게 다듬어지는 것이 아니라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PMMA는 반사필름용 비드로서는 접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드 입자의 평균 입도는 분쇄 rpm을 3,500rpm으로 한 실시 예 1 내지 4 및 비교 예 2에서는 평균 입도가 10~60㎛ 범위 이내로 반사필름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크기의 비드 입자를 얻을 수 있었으나, 분쇄 rpm을 3,500rpm으로 한 실시 예 5, 6에서는 평균 입도가 60㎛ 이상으로 너무 커서 반사필름용 비드로는 접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조된 비드의 입도의 균일성 정도를 C.V 값은 분쇄 rpm이 높을수록, 그리고 시간당 재료의 투여량이 적을수록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PMMA를 사용한 비교 예 1 및 PET 조분을 사용한 비교 예 3이 C.V 값이 가장 작았다.
(2) 내 용제성 평가
비드가 용제에 잠겨도 그 성질이 변하지 않는 정도를 나타내는 내 용제성 평가를 위해 상기 각 실시 예 및 비교 예의 샘플을 반사필름 제조에 자주 사용되는 용제인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각각과 중량비로 동일 양으로 혼합하고 Bl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점도 변화의 측정결과 24시간 경과 후의 점도가 20cp 이하인 것은 「양호」로 판정하고, 20cp를 초과하는 것을 「불량」으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비드 제조용 재료로 PE를 사용한 비교 예 2의 샘플 및 PET 조분을 사용한 비교 예 3의 샘플을 제외하고 나머지 샘플은 모두 내 용제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비교 예 2가 내 용제성이 불량인 이유는 PE가 갖는 재료 고유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비교 예 3은 실시 예 1 내지 6과 동일한 PET 재질임에도 내 용제성이 불량한 이유는 PET 비드를 구성하는 입자가 작아짐에 따라서 비드의 표면적이 넓어진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와 같이 내 용제성이 불량한 경우에는 비드를 반사필름에 코팅하는 과정에서 용제에 팽창(Swelling)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사필름 코팅용 비드로 사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3) 내 스크래치성 평가
상기 각 실시 예 및 비교 예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샘플에 대한 내 스크래치성 평가를 위해서, 먼저, 각 샘플의 비드를 PET로 이루어진 기재필름상에 코팅하여 반사필름을 제작하고, 이 반사필름을 비드가 코팅된 코팅 면이 도광판과 접하도록 합지한 상태에서 진동시험기에 장착하여 왕복 진동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는 창신과학사의 진동시험기 Shaker C-SK-6을 사용하였으며, 100rpm에서 1시간 동안 시행한 후에 도광판의 긁힘 정도를 현미경으로 확인하여, 도광판이 전혀 긁히지 않을 정도인 경우에는 「상」으로, 다소의 긁힘 발생의 가능성은 있으나 그 정도가 도광판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중」으로 판정하고, 도광판의 긁힘 정도가 도광판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한 경우에는 「하」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내 스크래치성, 즉, 긁힘 현상의 발생은 비드 제조용 재료가 갖는 재료 고유의 성질과 C.V 값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 예 1 내지 7의 샘플은 모두 PET라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임에도, 실시 예 6의 샘플만이 내 스크래치성이 「하」인 이유는 실시 예 1 내지 5의 샘플에 비해 제조된 비드의 입도가 크고, 균일성을 나타내는 C.V 값이 지나치게 높아서 입도 분포가 고르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또, 비교 예 1의 샘플이 내 스크래치성이 「하」로 판정된 것은 비교 예 1은 비교적 딱딱한 특성을 갖는 PMMA를 이용하여 제조한 샘플이므로 다른 샘플에 비해 C.V 값은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짐에도 내 스크래치성은 「하」인 것으로 보이며, 이와 달리, 비교 예 2의 샘플은 C.V 값이 다른 샘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짐에도 내 스크래치성이 「중」으로 판정된 것은 비교 예 2의 샘플은 C.V 값은 크나 재료 자체가 소프트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실시 예 7의 샘플만이 내 스크래치성 평가결과가 「상」으로 판정된 것은, 실시 예 7의 샘플은 실시 예 1의 샘플에 구형화 공정을 더 실행하여 PET 비드의 구형화도를 향상시켰으므로 PET 비드 외주 면의 모서리부분이 상당부분 구형화된 때문으로 판단된다.
구 분 SEM 평균 입도(㎛) 내 용제성 C.V(%) 제품 수율(%) 긁힘
실시예 1 양호 42.0 양호 31.5 42.8
실시예 2 양호 43.6 양호 32.8 34.5
실시예 3 양호 44.6 양호 38.1 42.5
실시예 4 양호 44.4 양호 42.1 43.8
실시예 5 양호 62.4 양호 54.3 26.8
실시예 6 양호 65.3 양호 69.6 20.5
실시예 7 양호 41.2 양호 29.8 38.7
비교예 1 불량 30.3 양호 20.4 27.8
비교예 2 양호 46.2 불량 72.3 18.4
비교예 3 양호 32.6 불량 25.6 50.2
상기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실시 예 1 내지 4의 샘플은 SEM 평가, 평균 입도, 내 용제성, 제품 수율, 내 스크래치성 모두 반사필름용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나, 실시 예 1 내지 4와 동일한 PET 칩을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 예 5, 6의 샘플은 평균 입도가 적정 범위를 벗어나고, 제품 수율도 다른 샘플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특히, 실시 예 6의 샘플은 내 스크래치성도 불량으로 판정되었다.
또, 특허문헌 1의 종래기술의 실시 예 1에서 광 확산입자로 사용한 재료인 PMMA 칩을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 예 1의 샘플은 내 용제성 이외의 대부분의 평가가 불량으로 판정되고, PE를 사용한 비교 예 2의 샘플은 배 용제성 및 제품 수율 면에서 불량이며, PET 조분을 사용한 비교 예 3의 샘플은 평균 입도 및 내 용제성 면에서 불량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상기 종합적인 평가결과로부터, 반사필름용 비드는 칩 형태의 PET 재료를 사용하여, 이 PET 칩을 동결분쇄에 의해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칩의 분쇄공정에서의 분쇄 rpm은 3,500rpm, 시간당 PET 칩의 공급량은 70~85㎏/hour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반사필름
반사필름용 안티 블로킹 비드로 상기 실시 예 1 내지 4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PET 비트를 기재필름에 코팅하여 반사필름을 제작한다.
기재필름으로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등의 공지의 고분자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PET 비트의 기재필름상의 코팅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투명한 바인더 수지를 이용하며, 이에 의해 기재필름으로부터 비드 입자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무기안료 입자 등도 PET 비드 및 바인더 수지와 함께 코팅되어도 좋고, 이들의 코팅에 의해 반사필름을 얻을 수 있으며, 코팅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 광원 어셈블리
광원 어셈블리용 반사필름으로 상기 반사필름을 도광판의 일 면에 구비한 광원 어셈블리를 구현한다.
광원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LED를 백라이트용 광원으로 이용하는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LED로 이루어지며 빛을 발하는 광원과, 광원의 측면에 배치되는 반사필름과, 반사필름의 상부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내부로 반사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확산필름 및 프리즘 등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들 구조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광원 어셈블리는 상기 구조로 한정되지는 않고, 반사필름과 도광판을 이용하는 구조라면 공지의 어떤 구성이라도 좋으며,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PET 비드가 코팅된 반사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8)

  1. PET 칩을 분쇄하여 PET 비드를 제조하는 PET 비드 제조방법.
  2. PET 칩을 동결한 상태에서 분쇄하여 PET 비드를 제조하는 PET 비드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의 동결은 액체 질소를 냉매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 비드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ET 칩은 가로세로 각각 2.0×3.0㎜의 크기를 갖는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 비드 제조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ET 비드의 입경은 1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 비드 제조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조된 상기 PET 비드의 외주 면을 구형화하는 구형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 비드 제조방법.
  7.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어느 한 면에 코팅된 안티 블로킹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안티 블로킹 비드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PET 비드인 반사필름.
  8.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입사하는 광을 내부로 반사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과 대면하는 면에 배치되며, 청구항 7에 기재된 반사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KR1020150078957A 2015-06-04 2015-06-04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KR20160142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957A KR20160142999A (ko) 2015-06-04 2015-06-04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957A KR20160142999A (ko) 2015-06-04 2015-06-04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99A true KR20160142999A (ko) 2016-12-14

Family

ID=5757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957A KR20160142999A (ko) 2015-06-04 2015-06-04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29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6355A (zh) * 2017-12-04 2019-06-11 株式会社富研 制造光学微珠的方法、由其制造的光学微珠及包含其的反射膜、以及光源组件
KR102033033B1 (ko) * 2018-08-24 2019-10-16 주식회사 퓨엠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894A (ko) 2011-06-10 2012-12-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도광판용 고휘도 반사필름, 광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894A (ko) 2011-06-10 2012-12-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도광판용 고휘도 반사필름, 광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6355A (zh) * 2017-12-04 2019-06-11 株式会社富研 制造光学微珠的方法、由其制造的光学微珠及包含其的反射膜、以及光源组件
KR102033033B1 (ko) * 2018-08-24 2019-10-16 주식회사 퓨엠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0729B (zh) 光学层积体
EP1574882B1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with touch panel
CN1260586C (zh) 光学薄膜,偏振光学薄膜和图像显示器
KR101920523B1 (ko)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831071A (zh) 防眩性硬涂膜
JP2006215488A (ja) 積層型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08027461B (zh) 低闪光哑光涂层及制备方法
KR20160142999A (ko) Pet 비드 제조방법, 반사필름 및 광원 어셈블리
KR101934486B1 (ko) 슬립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05278148B (zh) 偏振板、具有偏振板的液晶显示装置和制造偏振板的方法
CN110861327A (zh) 一种高韧性耐冲击pet保护膜的制备方法
EP2751176B1 (en) Optical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1596802A (zh) 一种光学用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TW201106029A (en) Polariz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990524A (zh) 抗静电聚酯薄膜
CN103817590A (zh) 研磨垫、研磨装置及研磨垫的制造方法
CN104356622B (zh) 一种高浓度pc反射片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37396B1 (ko)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CN108350196A (zh) 环状烯烃系树脂组合物膜
JP2005181648A (ja) プリズムシート用光散乱性ポリエテルフィルム
CN110733224A (zh) 一种高透光防刮伤pet保护膜及其制备方法
Isayev et al. Decrosslinking of crosslinked high‐density polyethylene via ultrasonically aided single‐screw extrusion
KR102033033B1 (ko) 광학 비드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비드, 광학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 필름, 및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KR20180030855A (ko) 대형 디스플레이용 백색 반사 필름
KR102350469B1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